KR102391612B1 - 위기경보수준 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위기경보수준 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1612B1
KR102391612B1 KR1020190139699A KR20190139699A KR102391612B1 KR 102391612 B1 KR102391612 B1 KR 102391612B1 KR 1020190139699 A KR1020190139699 A KR 1020190139699A KR 20190139699 A KR20190139699 A KR 20190139699A KR 102391612 B1 KR102391612 B1 KR 1023916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ert level
information
disaster
crisis
determ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96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4109A (ko
Inventor
박남희
여욱현
황연정
안용철
Original Assignee
㈜유엔이
박남희
여욱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엔이, 박남희, 여욱현 filed Critical ㈜유엔이
Priority to KR10201901396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1612B1/ko
Publication of KR202100541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41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16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16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25Monitoring making use of different thresholds, e.g. for different alarm level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위기경보수준 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이 개시된다. 상기 위기경보수준 관리방법은 위기경보수준 관리시스템이 재난상황 발생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위기경보수준 관리시스템이 수신한 재난상황 발생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재난의 종류를 특정하고, 특정한 상기 재난의 종류에 기초하여 수집할 확산가능성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위기경보수준 관리시스템이 결정된 확산가능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위기경보수준 관리시스템이 획득한 상기 확산가능성 정보를 포함하는 경보수준 고려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재난상황의 위기경보수준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위기경보수준 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grade of risk alarm}
본 발명은 위기경보수준 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재난상황에서 위기경보수준을 자동으로 판단할 수 있도록 하여 빠른 위기대처 및 위기경보수준에 적합한 대응이 가능토록 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재난(재난/재해/사고 등의 폭넓은 의미로 정의함)상황이 발생한 경우 해당 재난의 위기경보수준에 따라 적절한 대응이 요구되며, 특히 대형재난의 경우에는 재난의 상황에 따른 위기경보수준을 미리 정의하고 있는 경우가 존재한다. 예컨대,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에는 재난발생에 따른 위험수준, 발생 가능성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위기경보를 발령할 수 있도록 규정되어 있으며, 동 법에는 위기경보를 관심, 주의, 경계, 심각 등으로 구분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위기경보수준에 따라 대응절차, 대응인력 등의 대응수준 역시 달라질 수 있다.
이처럼 재난 발생 시에 위기경보를 수준별로 수행하고 그에 따른 적절한 대응을 하기 위한 노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종래에는 재난이 발생한 경우 재난현장의 상황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확인 후 상황판단회의 등을 통해 유관인력들이 회의 또는 인위적 판단을 통해 위기경보수준을 결정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방식의 문제로 인해 재난상황이 발생하더라도 해당 재난상황의 위기수준의 절차적 또는 사실적 판단 과정의 요구로 인해 위기경보발령이 상대적으로 늦어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위기경보발령의 시간적 지연 문제 또는 위기경보수준의 판단이 매번 유관인력들의 인위적 판단요소에 의해 결정되는 문제는 재난발생시 즉각적인 대응체계 또는 정확하고 적절한 대응수준을 확립하는데 장애가 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100800023호 "재난대응 자원 관리 시스템 및 방법"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제문제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발명으로서, 재난상황 발생 시 빠르고 신속하게 위기경보수준의 판단 및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위기경보수준 관리방법은 위기경보수준 관리시스템이 재난상황 발생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위기경보수준 관리시스템이 수신한 재난상황 발생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재난의 종류를 특정하고, 특정한 상기 재난의 종류에 기초하여 수집할 확산가능성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위기경보수준 관리시스템이 결정된 확산가능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위기경보수준 관리시스템이 획득한 상기 확산가능성 정보를 포함하는 경보수준 고려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재난상황의 위기경보수준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위기경보수준 관리방법은 상기 위기경보수준 관리시스템이 재난 종류별로 재난확산요소를 정의하는 재난확산요소 테이블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재난의 종류에 기초하여 수집할 확산가능성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재난확산요소 테이블에 기초하여 상기 확산가능성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기경보수준 관리방법은 상기 재난상황에 상응하는 소셜동향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위기경보수준 관리시스템이 획득한 상기 확산가능성 정보를 포함하는 경보수준 고려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재난상황의 위기경보수준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소셜동향정보를 더 포함하는 상기 경보수준 고려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재난상황의 위기경보수준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재난상황에 상응하는 소셜동향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재난상황에 상응하는 언론 컨텐츠 또는 상기 재난상황에 상응하는 사용자 컨텐츠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소셜동향정보를 더 포함하는 상기 경보수준 고려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재난상황의 위기경보수준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언론 컨텐츠 또는 상기 사용자 컨텐츠의 빈도수에 기초하여 상기 재난상황의 위기경보수준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소셜동향정보를 더 포함하는 상기 경보수준 고려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재난상황의 위기경보수준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언론 컨텐츠 또는 상기 사용자 컨텐츠의 감성분석(sentiment analysis)을 수행하고, 수행한 감성분석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재난상황의 위기경보수준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셜동향정보를 더 포함하는 상기 경보수준 고려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재난상황의 위기경보수준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소셜동향정보에 포함된 언론 컨텐츠 또는 사용자 컨텐츠의 빈도수가 많을수록 위기경보수준을 판단하기 위한 수준지수를 향상하거나, 상기 언론 컨텐츠 또는 상기 사용자 컨텐츠의 감성분석의 결과가 부정적 반응이 많을수록 상기 수준지수를 향상할 수 있다.
상기 위기경보수준 관리시스템이 획득한 상기 확산가능성 정보를 포함하는 경보수준 고려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재난상황의 위기경보수준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재난상황의 사상자 수, 요구조자 수, 또는 피해정도를 더 포함하는 상기 경보수준 고려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재난상황의 위기경보수준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기경보수준 관리시스템이 획득한 상기 확산가능성 정보를 포함하는 경보수준 고려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재난상황의 위기경보수준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경보수준 고려정보별로 각각 분류된 세부등급에 따라 상기 경보수준 고려정보별 세부지수를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된 상기 경보수준 고려정보 별 세부지수를 종합하여 상기 위기경보수준을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일 측면에 따른 위기경보수준 관리방법은 위기경보수준 관리시스템이 재난상황 발생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위기경보수준 관리시스템이 상기 재난상황에 상응하는 소셜동향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위기경보수준 관리시스템이 상기 소셜동향정보를 포함하는 경보수준 고려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재난상황의 위기경보수준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방법들은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른 위기경보수준 관리시스템은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저장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되는 프로그램은 재난상황 발생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재난상황 발생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재난의 종류를 특정하고, 특정한 상기 재난의 종류에 기초하여 수집할 확산가능성 정보를 결정하며, 결정된 확산가능성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상기 확산가능성 정보를 포함하는 경보수준 고려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재난상황의 위기경보수준을 판단한다.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되는 프로그램은 상기 재난상황에 상응하는 소셜동향정보를 더 획득하고, 상기 소셜동향정보를 더 포함하는 상기 경보수준 고려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재난상황의 위기경보수준을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른 위기경보수준 관리시스템은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저장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되는 프로그램은 재난상황 발생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재난상황에 상응하는 소셜동향정보를 획득하며, 획득한 상기 소셜동향정보를 포함하는 경보수준 고려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재난상황의 위기경보수준을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재난발생시 재난상황의 위기경보수준을 미리 정해진 기준 및 재난의 종류에 따라 적응적으로 그리고 시스템적으로 판단하도록 함으로써 위기경보의 발령의 신속성 및 위기경보수준의 일관성을 제공할 수 있고 그에 따른 대응의 신속성 및 대응수준의 적정성이 확보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의 물리적 환경에 국한되지 않고 소셜동향(언론, 여론 등)을 위기경보수준의 판단에 반영함으로써 국민적 관심사에 따라 적응적이고 적절한 위기대응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위기경보수준 관리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위기경보수준 관리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위기경보수준 및 판단기준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재난 종류별 재난확산요소 테이블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셜동향정보의 수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셜동향정보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위기경보수준을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는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를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도 있는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를 '직접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지 않고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상기 데이터가 전송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위기경보수준 관리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기경보수준 관리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위기경보수준 관리시스템(10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위기경보수준 관리시스템(10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라 재난상황이 발생할 경우 상기 재난의 위기경보수준을 자동으로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시스템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재난이라 함은 자연적 재난, 재해뿐만 아니라 인간에 의한 사고를 포함하며 위기관리 및 대응이 필요한 상황을 포괄적으로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위기경보수준 관리시스템(100)이 위기경보수준을 자동으로 판단한다고 함은, 상기 위기경보수준 관리시스템(100)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라 판단한 위기경보수준이 최종적인 경우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위기경보수준 관리시스템(100)의 판단에 기초하여 사람 또는 기관이 최종적으로 위기경보수준을 판단하거나 상기 위기경보수준 관리시스템(100)의 판단과 사람 또는 기관의 판단이 결합되어 위기경보수준이 최종적으로 판단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종래의 위기경보수준의 결정은 재난이 발생한 경우 재난현장의 상황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확인 후 유관기관의 관련자들에 의한 회의를 통해 위기경보수준이 결정되었다. 이러한 방식은 재난현장의 상황 정보이외에는 폭넓은 관련 요소들의 정보수집이 사람에 의해 수동으로 이루어져서 시간이 걸릴 뿐 아니라 그 정보의 폭이 제한적일 수밖에 없고, 유관기관 관련자의 회의소집이나 참석, 회의 진행 등에 상당한 시간이 걸리며, 사람에 의한 인위적인 판단으로 인해 판단결과가 일관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위기경보수준 관리시스템(100)은 위기경보수준을 결정하는데 고려되어야 할 요소 정보를 빠르게 수집할 뿐만 아니라, 종래에는 고려되지 못했던 정보들(예컨대, 소셜동향정보 등)이 위기경보수준의 결정에 반영됨으로써 국민적 사회적 관심사에 따라 적응적인 재난대응을 합리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상기 위기경보수준 관리시스템(10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라 정의되는 위기경보수준 고려요소들을 수집하기 위해 관리자 단말(200), 정보채널(300), 및/또는 소셜채널(40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관리자 단말(200)은 재난상황의 발생 및/또는 재난현장정보(예컨대, 재난의 종류, 현재의 진행상황, 피해정도, 사상자 수, 요구조자 수 등) 등과 같이 재난현장에서 인위적으로 수집될 수 있는 정보들을 입력하는 단말일 수 있다. 상기 관리자 단말(200)은 재난상황을 대응하고 관리하는 소정의 관리자가 이용하는 단말기를 의미할 수 있으며, 컴퓨터, 핸드폰, 스마트 패드 등과 같이 상기 위기경보수준 관리시스템(10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어떠한 형태의 데이터 처리장치로도 구현될 수 있음을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는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정보채널(300)은 위기경보수준을 결정하는데 고려될 수 있는 요소들을 자동으로 수집할 수 있는 다양하고 정형적인 정보수집루트를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정보채널(300)은 기상청, 경찰청, 소방방재청, 행정안전부, 지역자치단체 등과 같이 재난관리 또는 재난상황을 통제하고 판단하는데 필요한 정보들을 가지고 있는 유관기관의 시스템일 수 있지만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상기 정보채널(300)을 통해 수집되는 정보는 위기경보수준을 결정하는데 고려될 요소정보 즉, 경보수준 고려정보 중 정형화된 정보 예컨대, 기상정보, 교통정보, 지리정보, 지역정보 등일 수 있다. 따라서 경보수준 고려정보 중 정형화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어떠한 채널도 상기 정보채널(300)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정보채널(300)을 통해서 수집되는 중요한 경보수준 고려정보 중에 하나는 재난상황의 확산가능성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확산가능성은 재난이 더 확산될 수 있는지 여부에 따라 위기경보수준을 결정하고자 하는 것이며, 종래에는 이러한 확산가능성에 대해 관련자들의 인위적인 판단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재난의 종류에 따라 확산가능성을 판단할 수 있는 요소들 즉, 재난확산요소들을 미리 특정해두고, 특정해둔 요소들을 자동으로 수집한 후 이를 위기경보수준의 결정에 반영함으로써 신속하고 일관된 판단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재난확산요소는 재난 자체의 확산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뿐만 아니라 재난에 따른 피해의 확산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존재할 수 있다.
예컨대, 재난의 종류가 화재인 경우에는 화재 자체의 확산가능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정보(예컨대, 풍속, 습도 등)가 재난확산요소로 특정될 수 있고, 피해의 확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예컨대, 화재현장의 건물 밀집도, 인구밀집도 등의 지역정보, 교통상황정보 등)가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재난의 종류가 해난사고일 경우에는 조류의 유속, 시야 등의 해상 기상정보가 재난확산요소가 될 수 있고, 인근의 구조 가능한 선박의 수 등이 필요에 따라 재난확산요소에 더 포함될 수 있다.
이처럼 재난별로 미리 재난확산요소를 특정해두고, 재난의 발생시 이러한 재난확산요소들을 신속히 정보채널(300)을 통해 수집한 후 수집된 결과에 따라 재난확산가능성을 고려하여 위기경보수준을 판단하는 경우 종래에 비해 신속하고 일관되며 폭넓은 정보에 따른 신뢰성 있는 위기경보수준의 판단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소셜채널(40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라 경보수준 고려정보에 포함되는 소셜동향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정보수집채널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소셜동향정보는 종래에는 위기경보수준을 결정하는데 전혀 고려되지 못했던 정보이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같이 자동화되고 일관된 위기경보수준의 판단을 위한 시스템에서 더 고려될 수 있는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소셜동향정보는 사용자 즉, 국민들이나 지역민들의 재난상황에 대한 태도나 반응을 확인할 수 있는 비정형정보들을 의미할 수 있다.
이처럼 소셜동향정보가 위기경보수준 고려정보에 고려됨으로써 국민의 관심사는 반응의 추이에 따라 더욱더 유관기관의 적절하고 신속한 대응을 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소셜동향정보는 재난상황에 상응하는 언론 컨텐츠(언론기사 등) 및/또는 국민들이나 지역민들의 직접적인 소셜 반응이 포함되는 사용자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소셜 반응은 사용자(국민이나 지역민 등)이 직접 생성하는 컨텐츠 예컨대, 블로그, 카페, 동영상이거나 이들에 대한 댓글 등과 같이 사용자들의 재난상황에 대한 반응이 포함되는 어떠한 정보도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따라서 소셜채널(400)은 언론사 시스템 또는 소정의 SNS 채널(예컨대,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카페, 블로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상기 위기경보수준 관리시스템(100)에 의해 수집되는 소셜동향정보는 예컨대, 언론 컨텐츠 또는 사용자 컨텐츠의 빈도수 또는 감성분석결과 등의 분석대상이 될 수 있다. 즉, 재난상황에 상응하는 언론 컨텐츠 또는 사용자 컨텐츠는 해당 재난을 언급한 컨텐츠들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빈도수는 언론이나 국민들의 관심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활용될 수 있다. 일예에 의하면 빈도수가 많을수록 위기경보수준 또는 동일한 위기경보수준이라도 세부등급에서 그 수준이 높아지도록 반영될 수 있다.
감성분석(Sentiment Analysis)는 언론 컨텐츠 또는 사용자 컨텐츠에 표현되는 재난상황에 대한 사용자의 감성을 분석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감성분석은 오피니언 마이닝(opinion mining)이라고 불리기도 하며 종래에는 전통적인 머신러닝 기법을 통해 텍스트로부터 긍정, 부정, 중립 등의 극성탐지(Polarity detection) 반응을 분류하는 방식(예컨대, Naive Bayes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딥러닝을 통해 보다 고도화된 감성분석이 가능해지고 있다. 이러한 딥러닝 방식은 미리 정해진 반응들로 라벨링된 다수의 데이터(소셜반응)를 딥러닝 기반의 자연어 처리모델로 학습하고, 학습된 모델로 입력되는 데이터에 대해 미리 정해진 반응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 분류를 수행하는 일종의 분류모델(classification model)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딥러닝 기반의 감성분석 모델을 구현할 경우에는 단순한 긍정, 부정, 중립으로의 분류 이외에도 학습 데이터의 라벨링 결과에 따라 다양한 반응들로 분류가 가능해질 수 있다.
예컨대, 매우긍정, 다소 긍정, 중립, 다소 부정, 매우 부정과 같이 반응이 분류될 수도 있고, 후술할 바와 같이 우울, 불안, 불쾌, 슬픔, 실망, 안도, 유쾌, 행복 등과 같이 분류될 수도 있다. 이런 경우 우울, 불안, 불괘, 슬픔, 실망의 반응은 부정적 반응, 나머지는 긍정적 반응으로 분류될 수도 있고, 어떠한 경우든 이러한 소셜 반응의 분류결과를 위기경보수준을 결정하는데 반영함으로써 사회적 또는 국민적 관심사에 따라 위기경보수준의 결정 및 결정된 위기경보수준에 따른 대응수준의 적응적 결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감성분석을 위한 머신러닝 또는 딥러닝 모델의 구현은 널리 공지되어 있으므로, 구체적인 감성분석 모델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에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처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라 재난의 확산가능성 정보 및/또는 소셜동향정보가 경보수준 고려정보에 이용될 수 있지만, 이외에도 사상자 수, 요구조자 수, 피해정도 등 다양한 요소들이 위기경보수준을 판단하는데 고려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들은 관리자 단말(200) 및/또는 정보채널(300)을 통해 상기 위기경보수준 관리시스템(100)으로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위기경보수준 관리시스템(100)에 의해 판단된 위기경보수준에 대한 정보는 다양한 유관기관의 시스템 또는 대응을 수행하는 대응자 단말 등 위기대응 관련자의 시스템 또는 단말 즉, 위기대응 시스템(500)으로 전송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실시 예에 따라서는 상기 위기경보수준 관리시스템(100)은 위기대응 시스템(500)으로 위기경보수준에 따른 미리 정해진 대응 메뉴얼 등의 유의미한 정보를 더 전송할 수도 있다.
이러한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위기경보수준 관리시스템(100)의 개략적인 구성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기경보수준 관리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위기경보수준 관리시스템(10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메모리(120), 및 상기 메모리(12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세서(11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10)는 상기 위기경보수준 관리시스템(100)의 구현 예에 따라, CPU, 모바일 프로세서 등 다양한 명칭으로 명명될 수 있음을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는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플랫폼 제공시스템(100)은 복수의 물리적 장치들이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프로세서(110)는 물리적 장치별로 적어도 한 개 구비되어 본 발명의 플랫폼 제공시스템(100)을 구현할 수 있음을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는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메모리(120)는 상기 프로그램이 저장되며, 상기 프로그램을 구동시키기 위해 상기 프로세서가 접근할 수 있는 어떠한 형태의 저장장치로 구현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하드웨어적 구현 예에 따라 상기 메모리(120)는 어느 하나의 저장장치가 아니라 복수의 저장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120)는 주기억장치 뿐만 아니라, 임시기억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상기 프로그램이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도록 구현되는 모든 형태의 정보저장 수단을 포함하는 의미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위기경보수준 관리시스템(100)은 실시 예에 따라 정부기관, 지방자치단체, 또는 재난대응의 주무관청 등이 운영하고 실시하는 시스템일 수 있고, 웹 서버, 컴퓨터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 정의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어떠한 형태의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도 포함하는 의미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기경보수준 관리시스템(100)의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한 주변장치들(주변장치 1 내지 주변장치 N)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키보드, 모니터, 그래픽 카드, 통신장치 등이 주변장치로써 상기 위기경보수준 관리시스템(100)에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는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정의되는 상기 위기경보수준 관리시스템(100)의 기능 또는 프로세스는 상기 프로세서(110)가 상기 메모리(12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구현될 수 있음을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는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을 것이다.
도 3은 위기경보수준 및 판단기준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위기경보수준 및 판단기준은 종래의 다중밀집시설의 대형화재 위기경보 판단기준을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위기경보수준은 크게 관심, 주의, 경계, 심각의 4개 수준으로 구분되어 있다.
이러한 위기경보수준의 일반적 판단기준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관심 수준은 징후가 있으나 그 확동수준이 낮으며 가까운 기간 내에 국가위기로 발전할 가능성도 비교적 낮은 상태의 수준인 경우일 수 있다.
주의 수준은 징후 활동이 비교적 활발하고 국가위기로 발전할 수 있는 일정 수준의 경향성이 나타나는 상태를 의미하고, 경계 수준은 징후 활동이 매우 활발하고 전개 송도 등이 현저한 수준으로 국가위기로의 발전 가능성이 농후한 상태를 의미하며, 심각 수준은 징후 활동이 매우 활발하고 전개 속도, 경향성 등이 심각한 수준으로서 위기발생이 확실시되는 상태로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위기경보수준을 재난의 종류별로 가급적 구체적으로 정의한 기준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기경보수준들 및 각 수준의 판단기준일 수 있다.
하지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난종류별 구체적 판단기준이 미리 정의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이러한 판단기준은 상당히 개념적이고 모호성이 큰 기준일 수 있으며 일반적 판단기준의 내용이 구체적으로 반영되어 있지 못하는 경우도 존재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판단기준으로 다중밀집시설에 실제 대형화재가 발생한 경우, 유관기관 관련자들의 회의를 통해 현재 재난상황의 위기경보수준을 결정하는 경우 참석자에 따라 그리고 시기에 따라 서로 다른 판단이 이루어지거나 판단의 명확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위기경보수준을 고려할 때 반영해야할 요소들을 구체적으로 정의하고, 이러한 요소들 즉 경보수준 고려정보를 최대한 수집하여 가급적 명확하고 신속한 경보수준의 판단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그 주요한 목적이자 효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모호한 판단기준이 아니라 본 발명에 의해 정의되는 명확한 기준 즉, 경보수준 고려정보에 기초하여 경보수준을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판단기준으로써 본 발명에 의해 정의되는 명확한 기준 즉, 경보수준 고려정보는 재난의 확산가능성 및/또는 소셜동향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 사상자 수, 요구조자 수, 피해정도 등이 경보수준 고려정보로 더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경보수준 고려정보별로 세부등급이 나누어질 수 있고, 현재의 재난상황에 대해서 경보수준 고려정보별로 세부등급이 평가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세부등급이 종합적으로 고려되어 재난의 경보수준이 판단될 수 있다.
예컨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위기경보수준을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인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위기경보수준 관리시스템(100)은 경보수준 고려정보별로 각각 세부등급(예컨대, 상, 중, 하)을 분류하고, 각 세부등급별로 미리 정해진 세부지수를 정의해둘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세부등급에 속하기 위한 기준을 재난종류별로 미리 정의해둘 수 있다.
예컨대, 화재의 경우에는 확산가능성이 세부등급 상, 중, 하로 분류되기 위한 구체적인 기준(예컨대, 풍속이 얼마이고, 해당 지역정보의 인구밀집도가 얼마이고 등)이 미리 정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소셜동향정보에서 세부등급 상, 중, 하로 분류되기 위한 구체적인 기준(예컨대, 빈도수가 어느 정도, 부정적 감성분석 결과의 비율 등)이 미리 정의될 수 있다.
동일한 방식으로 각각의 경보수준 고려정보별(예컨대, 사상자 수, 요구조자 수, 피해정도 등)로 세부등급 상, 중, 하로 분류되기 위한 구체적인 기준이 미리 정의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세부등급은 일정한 세부지수가 부여될 수 있으며, 경보수준 고려정보별 세부지수에 따라 종합적으로 재난의 전체 지수가 산출될 수 있다.
물론, 종합적인 전체 지수를 산출하기 위해 경보수준 고려정보별로 동일한 수준의 기여도(또는 웨이트 팩터)가 부여되어 단순히 세부지수의 합으로 결정될 수도 있고, 특정 경보수준 고려정보에는 좀 더 가중치가 부여되어 전체 지수가 산출될 수도 있으며,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
또한, 세부등급을 분류하는 구체적인 기준 역시 실시 예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하게 정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어떠한 경우든 이러한 기준이 명확하게 정의되면, 재난상황이 발생한 경우에는 이렇게 정의된 기준에 따라 경보수준 고려정보별 세부지수 및 전체 지수가 명확하고 신속하게 판단될 수 있다.
그리고 이처럼 도 8에 도시된 세부등급, 세부등급별 판단기준, 및 세부지수는 재난의 종류별로 미리 정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라 위기경보수준을 판단하기 위한 중요한 경보수준 고려정보 중 하나인 확산가능성을 판단하기 위한 일 예는 도 4에 도시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재난 종류별 재난확산요소 테이블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위기경보수준 관리시스템(100)은 재난종류별로 해당 재난의 확산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인, 재난확산요소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정의해둘 수 있다. 이렇게 정의된 정보를 본 명세서에서는 재난종류별 재난확산요소 테이블로 명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재난확산요소 테이블은 재난상황 발생정보가 상기 위기경보수준 관리시스템(100)으로 입력되는 경우, 정보채널(300)을 통해 재난현장에서 확인할 수 있는 정보 이외에 추가적으로 재난의 확산가능성을 판단하기 위해 수집하기 위한 수집대상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위기경보수준 관리시스템(100)은 관리자 단말(200)로부터 재난상황 발생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재난상황 발생정보는 예컨대, 재난의 종류, 재난의 위치 등의 기본적인 정보만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재난상황 발생정보에는 재난현장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추가적인 정보 예컨대, 요구조자 수, 사상자 수 등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들은 경보수준 고려정보로 활용될 수도 있다.
어떠한 경우든 상기 위기경보수준 관리시스템(100)은 재난상황 발생정보에 기초하여 재난종류를 특정할 수 있다. 그러면 재난의 종류에 따라 어떠한 재난확산요소를 수집해야할지를 상기 재난종류별 재난확산요소 테이블에 기초하여 특정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재난종류별 재난확산요소 테이블에 정의된 정보의 일부가 재난상황 발생정보에 포함될 수도 있고, 이러한 경우에는 나머지 재난확산요소 정보들만 수집될 수도 있다.
재난의 종류에 따라 재난확산요소가 특정되면, 상기 위기경보수준 관리시스템(100)은 정보채널(300)을 통해 특정된 재난확산요소를 수집할 수 있다. 이러한 수집은 정보채널(300)과 미리 협약된 프로토콜 또는 API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컨대, 화재의 경우에는 풍속, 풍향, 지역정보(인구밀집도, 건물의 배치상황 등), 습도 등이 미리 재난확산요소로 정의될 수 있고, 홍수의 경우에는 지형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지리정보, 예상강수량, 기압 등의 다양한 정보가 재난확산요소로 정의될 수 있다. 교통사고의 경우에는 안개 또는 시야정보, 인근 지역 교통량이나 도로의 폭 등의 교통정보 등이 미리 재난확산요소로 정의되어 있을 수 있다.
이처럼 재난종류별로 재난확산요소를 미리 정의해두고, 정의된 재난확산요소를 수집할 수 있는 정보채널(300)이 미리 특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위기경보수준 관리시스템(100)은 재난상황 발생정보가 입력된 경우 즉각적으로 상기 정보채널(300)을 통해 재난의 종류에 따른 재난확산요소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그리고 수집된 재난확산요소에 따라 도 8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확산가능성에 대한 정도를 지수화하여 산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중요한 경보수준 고려정보로 정의된 소셜동향정보를 수집하고 판단하는 일 예는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셜동향정보의 수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셜동향정보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선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위기경보수준 관리시스템(100)은 다양한 언론사, 소셜채널(예컨대, SNS 등), 및/또는 다양한 유관기관의 시스템으로부터 언론의 동향 및/또는 사용자 반응을 확인할 수 있는 다양한 컨텐츠를 크롤링(crawling)할 수 있다.
이러한 크롤링은 재난상황 발생정보의 수신 즉, 재난상황이 발생하였음을 상기 위기경보수준 관리시스템(100)이 인지하면 즉시 수행될 수 있고, 일회성의 수집이 아니라 일정주기별로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소셜동향정보로부터 획득되는 반응분석결과의 변화추이를 확인하고, 단순한 반응분석결과뿐만 아니라 반응분석결과의 변화추이까지도 소셜동향정보라는 경보수준 고려정보의 세부등급 또는 지수를 판단하는데 반영할 수 있다.
소셜동향정보의 반응분석결과는 전술한 바와 같이 언론 컨텐츠 및/또는 사용자 컨텐츠에 포함된 재난상황에 상응하는 컨텐츠의 빈도수 또는 감성분석결과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위기경보수준 관리시스템(100)이 위기경보수준을 판단하는데 소셜동향정보를 이용 또는 고려한다고 함은, 이러한 소셜동향정보의 반응분석결과를 이용 또는 고려함을 의미할 수 있다.
재난상황에 상응하는 컨텐츠의 빈도수를 파악하기 위한 일 예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을 수 있다.
상기 위기경보수준 관리시스템(100)은 미리 정해진 다양한 소셜채널(예컨대, 트위터, 블로그, 커뮤니티, 인스타그램 등)에서 특정 재난이 언급된 수 즉, 빈도수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언론 컨텐츠(예컨대, 뉴스)는 별도로 그 빈도수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석할 수 있다.
이러한 빈도수가 소셜동향정보의 반응분석결과로 도출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반응분석결과를 관리자 단말(200)로 전송하여 관리자가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이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서는 언론 컨텐츠 또는 사용자 컨텐츠의 수집 채널별로 빈도수의 산정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전체 빈도수라는 지수를 산출할 수도 있다.
이러한 빈도수라는 지표 또는 지수가 높다고 함은, 국민적으로 또는 사회적으로 해당 재난에 대한 관심이 높거나 중대한 상황임을 간접적으로 나타내는 지표라 볼수 있고, 이에 따라 빈도수가 높을수록 경보수준이 상향될 수 있도록 소정의 룰 또는 알고리즘이 설계될 수 있다.
경보수준이 상향될 수 있도록 한다고 함은, 빈도수에 따라 위기경보수준 자체를 상향시키는 것뿐만 아니라 전술한 바와 같이 소셜동향정보라는 경보수준 고려정보별 세부등급이 높아지도록 하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이러한 빈도수 반응분석결과를 산출하기 위해 상기 위기경보수준 관리시스템(100)은 소셜채널로부터 수집된 다수의 무작위 컨텐츠로부터 재난상황이 언급된 컨텐츠를 카운트하거나 또는 재난상황이 언급된 컨텐츠만을 크롤링하는 등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함을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는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위기경보수준 관리시스템(100)이 소셜동향정보를 통해 분석하는 반응분석결과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감성분석결과일 수도 있다.
감성분석결과는 전술한 바와 같이 컨텐츠의 작성자의 감성을 분류한 결과를 의미할 수 있으며, 상기 위기경보수준 관리시스템(100)은 감성분석을 위한 감성분석 엔진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컨텐츠별 감성분류는 상기 위기경보수준 관리시스템(100)에 포함된 상기 감성분석 엔진이 컨텐츠를 어떠한 분류들로 분류하도록 학습되는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도 7에 도시된 예시적인 감성분석결과는 컨텐츠를 우울, 불안, 불쾌, 슬픔, 실망, 안도, 유쾌, 행복 등의 감성으로 분류한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
하지만, 실시 예에 따라서는 단순히, 긍정, 부정, 중립의 3가지 감성으로 분류하도록 상기 위기경보수준 관리시스템(100)이 구현될 수도 있고, 강한 긍정, 약한긍정, 강한부정, 약한부정, 중립 등과 같이 5가지의 감성으로 분류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하게 감성이 분류될 수 있고, 감성분석 엔진은 미리 분류된 감성 중 어느 하나로 컨텐츠가 분류될 수 있도록 학습될 수 있다.
이러한 감성분석 엔진을 구현하기 위한 실시 예는 널리 공지된 바 있다. 예컨대, 순수 베이지안 분류(Naive Bayes), 랜덤 포레스트(Random forest), 서포트 벡터 머신(Support vector machine), 또는 딥러닝 방식 중 적어도 하나가 이용될 수 있다.
예컨대, 딥러닝 방식은 컨텍스트 센서티브(context sensitive)한 자연어 처리모델(예컨대, 구글 BERT 등)을 이용하여 다수의 언론 컨텐츠 또는 사용자 컨텐츠 각각에 대해 미리 정해진 감성 중 어느 하나로 라벨링(labeling)을 수행하고, 라벨링된 다수의 컨텐츠들을 학습 데이터로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이렇게 학습된 감성분석 엔진은 새로운 컨텐츠가 입력되면 입력된 컨텐츠를 미리 정해진 감성 중 어느 하나로 분류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감성분석 엔지의 구체적인 구현 방식은 널리 공지되어 있으며, 어떠한 경우든 감성분석 엔진이 구비된 상기 위기경보수준 관리시스템(100)은 언론 또는 사용자들이 현재 재난상황에 대해 어떻게 반응하고 있는지를 요약하여 분석해주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분석결과를 위기경보수준의 판단 시에 적극적으로 활용함으로써 비정형적 요소(언론이나 국민적 관심 정도)까지도 재난대응의 수준을 결정하는데 활용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예컨대,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위기경보수준 관리시스템(100)은 감성분석 결과 부정적 반응의 비율이 높을수록 경보수준이 향상되는 판단을 수행할 수 있다. 부정적 반응은 감성의 분류 자체에 부정이 있는 것뿐만 아니라, 다양한 감성분류 중에서 부정적 반응으로 취급될 수 있는 반응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도 7에 도시된 예에서는, 우울, 불안, 불쾌, 슬픔, 실망 등이 부정적 반응일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서는 부정적 반응들 중에서도 강한 정도의 부정적 반응인지 약한 정도의 부정적인 반응인지를 구분하여 경보수준을 결정하는데 차별적인 영향인자로 활용할 수도 있음을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는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을 것이다.
결국,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본 발명에서 정의되는 고유한 경보수준 고려정보에 따라 신속하고 일관되게 위기경보수준을 판단할 수 있고 이를 활용하여 신속하고 적절한 위기 대응이 가능토록 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구현 예에 따라서, 상기 위기경보수준 관리시스템(100)은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싱글 코어 CPU혹은 멀티 코어 CPU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플래시 메모리 장치, 또는 기타 비휘발성 고체상태 메모리 장치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기타 구성 요소에 의한 메모리로의 액세스는 메모리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위기경보수준 관리시스템(100)으로 하여금, 상술한 지능형 재난대응 훈련시스템 제공방법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기경보수준 관리방법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프로그램 및 대상 프로그램도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소프트웨어 분야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전자적으로 정보를 처리하는 장치, 예를 들어,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3)

  1. 위기경보수준 관리시스템이 재난상황 발생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위기경보수준 관리시스템이 수신한 재난상황 발생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재난의 종류를 특정하고, 특정한 상기 재난의 종류에 기초하여 수집할 확산가능성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위기경보수준 관리시스템이 결정된 확산가능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위기경보수준 관리시스템이 획득한 상기 확산가능성 정보를 포함하는 경보수준 고려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재난상황의 위기경보수준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기경보수준 관리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기경보수준 관리방법은,
    상기 위기경보수준 관리시스템이 재난 종류별로 재난확산요소를 정의하는 재난확산요소 테이블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재난의 종류에 기초하여 수집할 확산가능성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재난확산요소 테이블에 기초하여 상기 확산가능성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기경보수준 관리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기경보수준 관리방법은,
    상기 재난상황에 상응하는 소셜동향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위기경보수준 관리시스템이 획득한 상기 확산가능성 정보를 포함하는 경보수준 고려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재난상황의 위기경보수준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소셜동향정보를 더 포함하는 상기 경보수준 고려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재난상황의 위기경보수준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기경보수준 관리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재난상황에 상응하는 소셜동향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재난상황에 상응하는 언론 컨텐츠 또는 상기 재난상황에 상응하는 사용자 컨텐츠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소셜동향정보를 더 포함하는 상기 경보수준 고려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재난상황의 위기경보수준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언론 컨텐츠 또는 상기 사용자 컨텐츠의 빈도수에 기초하여 상기 재난상황의 위기경보수준을 판단하는 위기경보수준 관리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소셜동향정보를 더 포함하는 상기 경보수준 고려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재난상황의 위기경보수준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언론 컨텐츠 또는 상기 사용자 컨텐츠의 감성분석(sentiment analysis)을 수행하고, 수행한 감성분석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재난상황의 위기경보수준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기경보수준 관리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소셜동향정보를 더 포함하는 상기 경보수준 고려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재난상황의 위기경보수준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소셜동향정보에 포함된 언론 컨텐츠 또는 사용자 컨텐츠의 빈도수가 많을수록 위기경보수준을 판단하기 위한 수준지수를 향상하거나, 상기 언론 컨텐츠 또는 상기 사용자 컨텐츠의 감성분석의 결과가 부정적 반응이 많을수록 상기 수준지수를 향상하는 위기경보수준 관리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기경보수준 관리시스템이 획득한 상기 확산가능성 정보를 포함하는 경보수준 고려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재난상황의 위기경보수준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재난상황의 사상자 수, 요구조자 수, 또는 피해정도를 더 포함하는 상기 경보수준 고려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재난상황의 위기경보수준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기경보수준 관리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기경보수준 관리시스템이 획득한 상기 확산가능성 정보를 포함하는 경보수준 고려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재난상황의 위기경보수준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경보수준 고려정보별로 각각 분류된 세부등급에 따라 상기 경보수준 고려정보별 세부지수를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된 상기 경보수준 고려정보 별 세부지수를 종합하여 상기 위기경보수준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기경보수준 관리방법.
  9. 삭제
  10. 데이터 처리장치에 설치되며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1.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저장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되는 프로그램은,
    재난상황 발생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재난상황 발생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재난의 종류를 특정하고, 특정한 상기 재난의 종류에 기초하여 수집할 확산가능성 정보를 결정하며, 결정된 확산가능성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상기 확산가능성 정보를 포함하는 경보수준 고려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재난상황의 위기경보수준을 판단하는 위기경보수준 관리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되는 프로그램은,
    상기 재난상황에 상응하는 소셜동향정보를 더 획득하고, 상기 소셜동향정보를 더 포함하는 상기 경보수준 고려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재난상황의 위기경보수준을 판단하는 위기경보수준 관리시스템.
  13. 삭제
KR1020190139699A 2019-11-04 2019-11-04 위기경보수준 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3916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9699A KR102391612B1 (ko) 2019-11-04 2019-11-04 위기경보수준 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9699A KR102391612B1 (ko) 2019-11-04 2019-11-04 위기경보수준 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4109A KR20210054109A (ko) 2021-05-13
KR102391612B1 true KR102391612B1 (ko) 2022-04-29

Family

ID=75913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9699A KR102391612B1 (ko) 2019-11-04 2019-11-04 위기경보수준 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16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0851B1 (ko) * 2022-06-30 2022-10-24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재난 위기 경보 정보의 시각화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7379B1 (ko) 2005-10-17 2006-05-10 (주)그린시스 재난재해시 위험지역 주민대피를 위한 경보송출방법을 포함한 재난방재통합관리시스템
JP2016197343A (ja) * 2015-04-03 2016-11-24 Tis株式会社 危機管理情報共有装置、危機管理情報共有方法及び危機管理情報共有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9145A (ko) * 1999-11-12 2001-06-15 김원규 재해 자동 경보 시스템
KR100800023B1 (ko) 2007-05-18 2008-02-01 대한민국 재난대응 자원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45771A (ko) * 2013-10-21 2015-04-29 대한민국(국민안전처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통합적인 재난관리를 위한 스마트 재난관리 시스템
KR101685335B1 (ko) * 2015-05-12 2016-12-12 대한민국 빅데이터 의미 기반 재난 감성분류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7379B1 (ko) 2005-10-17 2006-05-10 (주)그린시스 재난재해시 위험지역 주민대피를 위한 경보송출방법을 포함한 재난방재통합관리시스템
JP2016197343A (ja) * 2015-04-03 2016-11-24 Tis株式会社 危機管理情報共有装置、危機管理情報共有方法及び危機管理情報共有プログラム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박남희 외 2, "위기경보수준 관리를 위한 요소 도출", (사)한국재난정보학회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pp.259-261, 2019.09.27. 1부.*
박남희 외 2, "재난대응을 위한 위기경보수준 관리시스템 개발 기초연구", (사)한국재난정보학회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pp.255-256, 2019.09.27.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4109A (ko) 2021-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una et al. Social media applications and emergency management: A literature review and research agenda
Zhang et al. Social media for intelligent public information and warning in disasters: An interdisciplinary review
Yuan et al. Mining social media data for rapid damage assessment during Hurricane Matthew: Feasibility study
Zhai et al. Examine the effects of neighborhood equity on disaster situational awareness: Harness machine learning and geotagged Twitter data
Velazquez et al. A review of the technical and socio-organizational components of earthquake early warning systems
Kankanamge et al. Public perceptions on artificial intelligence driven disaster management: Evidence from Sydney, Melbourne and Brisbane
KR101890497B1 (ko) 교통 위험도 분석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저장매체
KR102350534B1 (ko) 인공지능에 의한 빅데이터의 주요 키워드 분석기술을 활용한 재난예측 시스템 및 방법
Zou et al. Social media for emergency rescue: An analysis of rescue requests on Twitter during Hurricane Harvey
Fromm et al. Social media data in an augmented reality system for situation awareness support in emergency control rooms
Power et al. The social media intelligence analyst for emergency management
US11184476B2 (en) Preventing photo image related risks
KR102391612B1 (ko) 위기경보수준 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
Du et al. Data mining of social media for urban resilience study: A case of rainstorm in Xi'an
Vemprala et al. From puzzles to portraits: Enhancing situation awareness during natural disasters using a design science approach
Habig et al. DCT Knowledge Base–A consolidated understanding of Disaster Community Technologies for social media and crowdsourcing
KR102242317B1 (ko) 정성적 가짜 뉴스 판단 시스템, 판단 방법 및 이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McAllister Community resilience: The role of the built environment
Kanellopoulos et al. The Role of Social Media to the Natural Disaster or Crisis Management
Marbouti et al. Social Media Analyst Responding Tool: A Visual Analytics Prototype to Identify Relevant Tweets in Emergency Events.
Zaki et al. A review on service oriented architecture approach in flood disaster management framework for sentiment analysis: Malaysia context
Johnson et al. Moving Emergency Response Forward: Leveraging Machine-Learning Classification of Disaster-Related Images Posted on Social Media
Ma et al. Investigating disaster response for resilient communities through social media data and the Susceptible-Infected-Recovered (SIR) model: A case study of 2020 Western US wildfire season
Henríquez-Coronel et al. Management of natural disasters based on twitter analytics. 2017 Mexico earthquake
KR20220037004A (ko) 지능형 위기경보수준 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