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3788A - 수상 이동용 보드 - Google Patents

수상 이동용 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3788A
KR20160063788A KR1020140167518A KR20140167518A KR20160063788A KR 20160063788 A KR20160063788 A KR 20160063788A KR 1020140167518 A KR1020140167518 A KR 1020140167518A KR 20140167518 A KR20140167518 A KR 20140167518A KR 20160063788 A KR20160063788 A KR 201600637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board
pedal
mov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7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상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앤씨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앤씨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앤씨코리아
Priority to KR10201401675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63788A/ko
Publication of KR20160063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37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2/00Water sports boards; Accessories therefor
    • B63B32/50Board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2/00Water sports boards; Accessories therefor
    • B63B32/60Board appendages, e.g. fins, hydrofoils or centre 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16/00Marine propulsion by muscle power
    • B63H16/08Other apparatus for converting muscle power into propulsive effort
    • B63H16/20Other apparatus for converting muscle power into propulsive effort using rotary cranking a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16/00Marine propulsion by muscle power
    • B63H16/08Other apparatus for converting muscle power into propulsive effort
    • B63H16/20Other apparatus for converting muscle power into propulsive effort using rotary cranking arm
    • B63H2016/202Other apparatus for converting muscle power into propulsive effort using rotary cranking arm specially adapted or arranged for being actuated by the feet of the user, e.g. using bicycle-like ped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 위에 떠서 이동하는 수상 이동용 보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상에서 놀이 및 이동을 목적으로 사용하며, 필요에 따라 수상에서 휴식을 취하기 용이한 수상 이동용 보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상 이동용 보드{Board for Moving on Water}
본 발명은 물 위에 떠서 이동하는 수상 이동용 보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상에서 놀이 및 이동을 목적으로 사용하며, 필요에 따라 수상에서 휴식을 취하기 용이한 수상 이동용 보드에 관한 것이다.
수, 강, 바다 등의 수상을 통해 이동 및 물놀이의 용도로 다양한 수상용 기구들이 이용되고 있으며, 특히 인력에 의해 수상에서 이동이 가능한 구조물로서는 수상 보트, 자전거와 조립된 구조물 및 기타의 레저용 수상이동구조물이 있고, 단순히 부력을 이용하여 물에 뜬 상태에서 사용자가 임의로 수영하여 이동하는 방법과, 별도의 프로펠러가 설치된 동력수단을 이용하여 수상에서 이동하는 등 다양한 방법들이 구비된 수상이동기구들이 있다.
이러한 수상 이동기구는 호수나 강가에서 놀이용, 낚시용 및 기타 이동수단으로서 활용되고 있으며, 통상의 수상보트는 손으로 노를 젓거나 발로 페달을 굴러 구동력을 생성한다. 노를 저어 이동하는 수상보트의 경우 노의 길이에 따른 회전 반경이 넓어 강한 구동력에 의해 이동 속도가 빠른 장점이 있으나, 일반인들에게는 노를 젓는 요령이 익숙하지 않아 체력 소모에 비해 이동 거리가 짧아지는 단점이 있다. 반면에 페달을 이용해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수상보트의 경우 노를 젓는 보트에 비해 속도는 느리지만 안정적으로 구동력을 생성한다는 점에서 비숙련자들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으나, 페달 구름 방식의 수상보트의 경우 구동력에 따른 추력에 비해 보트의 무게가 무겁기 때문에 이 역시 체력 소모 대비 이동거리가 짧은 단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36719호(2014.03.26.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보드 형태의 몸체에 페달 및 페달의 회전에 의해 구동되는 프로펠러를 구비하여 페달의 회전을 통해 추력을 발생시킨 수상 이동용 보드를 제공함에 있다.
특히 페달에 오리발을 추가 적용하여 프로펠러의 추진력과 더불어 페달 회전 시 오리발의 추진력을 이용하여 추력을 발생시킨 수상 이동용 보드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이동 시 보드의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해 후미 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며, 정지 시 부력 발생을 위해 보드의 후미 측에는 접철식 가변 날개를 구비한 수상 이동용 보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수상 이동용 보드는, 판상의 보드 몸체; 상기 몸체의 후미에 구비된 추진부; 및 상기 몸체의 후미에 구비되며, 상기 추진부의 구동을 위한 구동부; 를 포함하며, 상기 보드 몸체는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해 후미 측으로 갈수록 수평 방향 폭이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수상 이동용 보드의, 상기 구동부는 페달의 회전을 통해 구동력을 상기 추진부에 전달하며, 상기 페달에 구비되되, 수면에 수평한 방향 또는 수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방향 전환이 가능하도록 단부가 상기 페달에 힌지 결합되는 오리발; 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수상 이동용 보드는, 상기 몸체의 후미 측에 구비되며, 수면에 수평한 방향으로 접철 가능한 가변 날개; 를 더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수상 이동용 보드는, 전후 길이가 조절되도록 몸체 상에 구비된 길이조절부; 를 더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수상 이동용 보드는, 페달의 회전을 통해 구동력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초보자도 쉽게 이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무게가 가볍고 저항을 최소화한 보드 형상의 몸체가 적용되어 적은 힘으로 먼 거리의 이동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페달에 오리발을 적용하여 페달 회전 시 오리발에 따른 추진력이 추가 발생함에 따라 이동 효율이 높은 효과가 있다.
아울러, 폭이 좁아지는 보드의 후미 측에 접철식 가변 날개를 적용하여 휴식이 필요할 경우 날개를 이용하여 부력을 증가시켜 수상에서 안정적으로 휴식을 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보드 전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보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보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보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보드 부분확대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보드 평면도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수상 이동용 보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 실시 예 1 (기본 형)
도 1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수상 이동용 보드(100)(이하, 보드)의 전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보드(100)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보드(100)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보드(100)는 몸체(110), 구동부(120), 추진부(130) 및 길이조절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몸체(110)는 판상으로 이루어지며 물에 뜨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일예로 발포폴리스티렌 또는 물에 뜨는 사출 성형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몸체(110)에는 사용자가 엎드린 형태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몸체(110)의 선두는 좌우 폭이 넓게 형성되고, 구동부(120) 및 추진부(130)가 형성되는 몸체(110)의 후미는 이동 시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해 폭이 좁게 형성된다. 즉 몸체(110)는 선두에서 후미 측으로 갈수록 좌우 폭이 좁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구동부(120)는 몸체(110)의 후미 측에 구비된다. 구동부(120)는 사용자의 구동력을 추진부(130)에 전달하기 위한 구성으로 페달(121), 제1 바벨기어(122) 및 페달(121)과 제1 바벨기어(122)를 연결하는 제1 회전축(12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페달(121)을 구르게 되면 제1 회전축(123)이 회전하게 되고 제1 바벨기어(122)를 통해 제1 회전축(123)의 회전력을 추진부(130)에 전달하게 된다.
추진부(130)는 제1 회전축(123)의 회전력을 제1 바벨기어(122)로부터 전달 받아 몸체(110)를 수상에서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된다. 추진부(130)는 몸체(110)의 후미 측에 구비되며, 제2 바벨기어(131), 프로펠러(132) 및 바벨기어(131)와 회전축을 연결하는 제2 회전축(13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제2 바벨기어(131)를 통해 구동부(120)의 회전 구동력 방향을 변환하여 제2 회전축(133)을 통해 프로펠러(132)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몸체(110) 상에는 몸체(110)의 전후 길이 조절이 가능한 길이조절부(150)를 구비한다. 길이조절부(150)를 통해 다양한 신장을 가진 사용자에게 적용이 용이하도록 구성된다. 길이조절부(150)는 몸체(110)의 선두 측과 후미 측을 분리형성하고 선두 측과 후미 측 중 어느 한 측을 다른 한 측에 끼움 결합하여 슬라이드 방식을 통해 길이가 조절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몸체(110) 상에 주름을 형성하여 주름의 접철을 통해 길이가 조절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 실시 예 2 (추력 확장 형)
도 4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수상 이동용 보드(200)(이하, 보드)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보드(200)의 부분확대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보드(200)는 몸체(210), 구동부(220), 추진부(230) 및 길이조절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보드(200)는 상술된 제1 실시 예의 보드(100)와 구동부(220)의 구성만 상이할 뿐 나머지 구성은 대동소이하므로 구동부(220)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보드(200)는 추진부(230)의 추진력뿐만 아니라, 페달(221)을 회전하는 회전력 자체만을 이용하여 추력을 추가 발생시키기 위해 다음과 같은 특징적인 구성을 갖는다. 보드(200)는 오리발(260)을 더 포함한다. 오리발(260)은 통상의 오리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끝단이 페달(221)에 결합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오리발(260)은 페달(221) 회전 시에는 보드(200)의 전방으로 추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수면에 수직하게 배치되며, 페달(220) 정지 시에는 보드(200)의 부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수면에 수평하게 배치되도록 페달(22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오리발(260)의 끝단은 힌지결합부(261)를 통해 페달(221)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 실시 예 3 (부력 확장 형)
도 6에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수상 이동용 보드(300)(이하, 보드)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a는 가변날개(360) 접힘 시, 도 6b는 가변날개(360) 펼침 시) 도시된 바와 같이 보드(300)는 몸체(310), 구동부(320), 추진부(330) 및 길이조절부(3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보드(300)는 상술된 제1 실시 예의 보드(100)와 몸체(310) 후미의 구성만 상이할 뿐 나머지 구성은 대동소이하므로 몸체(310) 후미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보드(300)는 이동 시에는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하 후미 측의 폭이 선두 측의 폭보다 좁게 구성되어 정지 시에는 후미 측의 부력이 선두 측보다 약해 후미 측이 가라앉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드(300)는 후미 측의 부력 증가를 위해 가변 날개(360)가 구비될 수 있다. 가변 날개(360)는 몸체(310)의 후미 측에 수평 방향으로 접철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보드(300) 이동 시에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 날개(360)를 접어 이동 저항을 최소화 하며, 보드(300) 정지 시에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 날개(360)를 펼쳐 몸체(310) 후미 측의 부력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보드(300) 정지 시에도 안정적으로 수상에 떠있는 상태로 사용자가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가변 날개(360)와 몸체(310)의 결합구조는 통상의 힌지결합구조를 통한 날개 접철부의 구성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날개 접철을 위한 구동수단은 수동 접철 또는 모터나 유압을 이용한 자동 접철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하여 기술적 사상을 해석해서는 안 된다.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100, 200, 300 : 보드 110, 210, 310 : 몸체
120, 220, 320 : 구동부 121 : 페달
122 : 제1 바벨기어 123 : 제1 회전축
130, 230, 330 : 추진부 131 : 제2 바벨기어
132 : 프로펠러 133 : 제2 회전축
150, 250, 350 : 길이조절부
260 : 오리발
360 : 가변 날개

Claims (4)

  1. 판상의 보드 몸체;
    상기 몸체의 후미에 구비된 추진부; 및
    상기 몸체의 후미에 상기 추진부와 연결되며, 상기 추진부의 구동을 위한 구동부;
    을 포함하며,
    상기 몸체는 이동 시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해 선두에서 후미 측으로 갈수록 수평 방향 폭이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이동용 보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상 이동용 보드는,
    상기 구동부는 페달의 회전을 통해 구동력을 상기 추진부에 전달하며,
    상기 페달에 구비되되, 수면에 수평한 방향 또는 수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방향 전환이 가능하도록 단부가 상기 페달에 힌지 결합되는 오리발;
    을 더 포함하는, 수상 이동용 보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상 이동용 보드는,
    상기 몸체의 후미 측에 구비되며, 수면에 수평한 방향으로 접철 가능한 가변 날개;
    를 더 포함하는, 수상 이동용 보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상 이동용 보드는,
    전후 길이가 조절되도록 몸체 상에 구비된 길이조절부;
    를 더 포함하는, 수상 이동용 보드.
KR1020140167518A 2014-11-27 2014-11-27 수상 이동용 보드 KR201600637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7518A KR20160063788A (ko) 2014-11-27 2014-11-27 수상 이동용 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7518A KR20160063788A (ko) 2014-11-27 2014-11-27 수상 이동용 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3788A true KR20160063788A (ko) 2016-06-07

Family

ID=56192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7518A KR20160063788A (ko) 2014-11-27 2014-11-27 수상 이동용 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6378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21770A1 (ko) * 2016-07-24 2018-02-01 (주)다이나필 인력으로 추진하는 수상이동수단과 그를 위한 간편하게 접을 수 있는 인력추진장치
KR102178902B1 (ko) * 2020-08-11 2020-11-13 신재근 사용자의 힘에 의하여 이동되는 서핑 보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6719A (ko) 2012-09-18 2014-03-26 (주)버드나루 조립식 레저용 보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6719A (ko) 2012-09-18 2014-03-26 (주)버드나루 조립식 레저용 보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21770A1 (ko) * 2016-07-24 2018-02-01 (주)다이나필 인력으로 추진하는 수상이동수단과 그를 위한 간편하게 접을 수 있는 인력추진장치
KR102178902B1 (ko) * 2020-08-11 2020-11-13 신재근 사용자의 힘에 의하여 이동되는 서핑 보드
WO2022034994A1 (ko) * 2020-08-11 2022-02-17 신재근 사용자의 힘에 의하여 이동되는 서핑 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93754B1 (en) Powered water sports board
NO148104B (no) Ror for vannfartoey og flytende innretninger.
NZ739829A (en) Marine propulsion system
US8992272B1 (en) Stand-up pedal board
BR102015010669A2 (pt) sistema de propulsão de lâmina oscilante e método para controlar um movimento de uma lâmina móvel oscilante
ES2683270T3 (es) Dispositivo para instalar un medio de accionamiento en una embarcación
KR20160063788A (ko) 수상 이동용 보드
DE602005009189D1 (de) Wasserfahrzeug mit mehreren schiffskörpern und mittschiffs montierten schrauben
CA3071455A1 (en) Retractable propeller driven pedal system and method of use
JP2012245918A (ja) 補助装置を備えているサーフボード
TW200844002A (en) Propulsion system for a powered boat
US8529306B2 (en) Device for pedal powering a watercraft
RU179143U1 (ru) Движитель для надводного и подводного транспорта
US8894453B2 (en) Shallow-draft watercraft propulsion and steering apparatus
KR101334832B1 (ko) 사이드 스러스터의 유동방향 조절장치
US7001229B2 (en) Water vehicle propeller
KR102168130B1 (ko) 작용반작용 법칙을 이용한 추진체
ES2411554B1 (es) Propulsión acuática por aletas oscilantes
RU2301761C1 (ru) Гребной винт с направляющей насадкой конструкции землякова
CN216366602U (zh) 一种划水玩具
JP7432232B2 (ja) 足蹴り推進水面走り人力艇
US693228A (en) Boat adapted to be propelled on land or in water.
GB103166A (en) Submarine & Submergeable Trading Ships.
RU2579454C1 (ru) Судовое рулевое устройство
GB2521015B (en) Propulsion device for a watercraf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