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2935A - 폐쇄회로텔레비젼 카메라의 자동 초점 조절방법 - Google Patents

폐쇄회로텔레비젼 카메라의 자동 초점 조절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2935A
KR20160062935A KR1020140166238A KR20140166238A KR20160062935A KR 20160062935 A KR20160062935 A KR 20160062935A KR 1020140166238 A KR1020140166238 A KR 1020140166238A KR 20140166238 A KR20140166238 A KR 20140166238A KR 20160062935 A KR20160062935 A KR 201600629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cus
auto
signal
zoom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6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호
Original Assignee
에이치디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디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치디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66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62935A/ko
Publication of KR201600629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29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9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for automatic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28Systems for automatic generation of focusing signals
    • G02B7/282Autofocusing of zoom lens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46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zoom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c Focus Adjustment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쇄회로텔레비젼 카메라의 자동 초점 조절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자동 초점 제어부가 외부에서 입력되는 줌(Zoom) 동작신호에 따라 줌 모터와 포커스(Focus) 모터를 동작시켜 렌즈를 변위시키는 렌즈 변위단계와, 상기 자동 초점 제어부가 촬영영상의 심도를 얕아지게 하기 위하여 조리개 개방을 포함하는 심도저하환경을 설정하는 심도저하환경 설정단계와, 영상신호처리부가 상기 심도저하환경이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포커스 모터의 재동작에 따라 촬상소자에 촬상되어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자동초점추적(Auto Focus Detection, AFD) 신호를 생성하는 자동초점추적신호 생성단계와, 상기 자동 초점 제어부가 상기 영상신호처리부로부터 전송받은 자동초점추적 신호의 크기를 기준으로 상기 포커스 모터의 정지 좌표를 결정하여 자동 초점을 결정하는 자동 초점 결정단계 및 상기 자동 초점 제어부가 미리 설정된 영상처리과정이 수행되도록 상기 영상신호처리부를 제어하는 영상처리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야간에 따른 포커스 쉬프트의 발생을 방지하고 오토 포커싱의 성공률을 높일 수 있는 폐쇄회로텔레비젼 카메라의 자동 초점 조절방법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폐쇄회로텔레비젼 카메라의 자동 초점 조절방법{AUTO FOCUSING METHOD OF CLOSED CIRCUIT TELEVISION CAMERA}
본 발명은 폐쇄회로텔레비젼 카메라의 자동 초점 조절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주체적으로, 본 발명은 주야간에 따른 포커스 쉬프트의 발생을 방지하고 오토 포커싱의 성공률을 높일 수 있는 폐쇄회로텔레비젼 카메라의 자동 초점 조절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폐쇄회로텔레비젼(CCTV) 시스템의 카메라는 사용 용도에 따라 줌 렌즈(zoom lens), 가변초점(Vari-focal) 렌즈, 고정 초점 렌즈(fixed focus lens)를 장착하고 있다.
줌 렌즈는 줌인/줌아웃 동작이 빈번한 카메라에 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가격이 비싸고 제어 동작이 복잡한 편이며, 가변초점(Vari-focal) 렌즈는 설치 목적에 따라 초점 거리를 가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 것으로서, 줌 렌즈보다 상대적으로 가격이 싸며, 수동으로 초점 거리를 이동하면서 렌즈의 초점을 맞추는 방식을 사용하므로 렌즈의 제어가 간편한 장점이 있고, 고정초점 렌즈는 초점 거리가 고정되어 있어, 렌즈 제어가 필요없는 염가형 카메라에 주로 이용되고 있다.
가변초점 렌즈를 적용한 폐쇄회로텔레비젼 시스템에서는 설치 환경과 목적에 적합하게 사용자가 줌 렌즈를 이용하여 초점 거리를 이동시킨 후, 피사체의 초점이 맞도록 초점 렌즈를 이용하여 초점을 맞추는데, 이때 초점 틀어짐이 발생할 수 있다.
초점 렌즈의 조정을 위해서는 기구물을 해체한 후, 초점을 조정하고, 기구물을 재조립하여 적합한 위치에 폐쇄회로텔레비젼 카메라를 설치해야 한다. 설치 후 초점 거리와 초점이 안 맞으면, 재분해하여 조정 작업을 반복해야 하므로, 이러한 번거로움을 없애기 위해 가변초점 렌즈에 초점거리 이동용 모터와 초점조정 이동용 모터를 장착하고, 외부에 연결된 모니터를 이용하여 카메라를 통한 화면을 보면서 제어 장치를 통해, 초점거리 이동용 모터와 초점조정 이동용 모터를 이동시키면서 초점 거리와 초점을 맞추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수동 초점 제어 방법은 피사체의 초점 위치가 변경될 때마다 제어장치를 통해 초점 위치를 수동으로 조정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특히, 낮에는 피사체가 가시광선의 광원과 함께 촬상되므로, 불필요한 빛까지 촬상되어 노이즈가 영상으로 나오지 않도록 촬상소자(CCD, CMOS) 앞에 Day&Night 필터를 장착하지만, 밤에는 가시광선의 양이 매우 적어 카메라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피사체의 윤곽 데이터 신호가 미세함으로 적외선 영역까지 촬상되도록 하기 위해 촬상소자에서 상기 Day&Night 필터를 분리하고 있다. 따라서, 낮에는 Day&Night 필터가 장착되고, 밤에는 Day&Night 필터가 제거되면서 렌즈에 맺히는 피사체의 초점이 조금씩 틀어지는 포커스 쉬프트가 발생하여 오토 포커싱의 성공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52553호(등록일자: 2011년 07월 22일, 폐쇄회로 티브이용 카메라의 자동 초점 제어방법)
본 발명은 주야간에 따른 포커스 쉬프트의 발생을 방지하고 오토 포커싱의 성공률을 높일 수 있는 폐쇄회로텔레비젼 카메라의 자동 초점 조절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폐쇄회로텔레비젼 카메라의 자동 초점 조절방법은 자동 초점 제어부가 외부에서 입력되는 줌(Zoom) 동작신호에 따라 줌 모터와 포커스(Focus) 모터를 동작시켜 렌즈를 변위시키는 렌즈 변위단계와, 상기 자동 초점 제어부가 촬영영상의 심도를 얕아지게 하기 위하여 조리개 개방을 포함하는 심도저하환경을 설정하는 심도저하환경 설정단계와, 영상신호처리부가 상기 심도저하환경이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포커스 모터의 재동작에 따라 촬상소자에 촬상되어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자동초점추적(Auto Focus Detection, AFD) 신호를 생성하는 자동초점추적신호 생성단계와, 상기 자동 초점 제어부가 상기 영상신호처리부로부터 전송받은 자동초점추적 신호의 크기를 기준으로 상기 포커스 모터의 정지 좌표를 결정하여 자동 초점을 결정하는 자동 초점 결정단계 및 상기 자동 초점 제어부가 미리 설정된 영상처리과정이 수행되도록 상기 영상신호처리부를 제어하는 영상처리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폐쇄회로텔레비젼 카메라의 자동 초점 조절방법에 있어서, 상기 자동초점추적신호는 촬영된 영상의 콘트라스트 비(Contrast Ratio)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폐쇄회로텔레비젼 카메라의 자동 초점 조절방법에 있어서, 상기 자동 초점 결정단계에서, 상기 자동 초점 제어부는 상기 자동초점추적신호의 크기가 최대값인 경우를 자동 초점 위치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폐쇄회로텔레비젼 카메라의 자동 초점 조절방법은 주간과 야간의 전환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주야간의 환경변화에 따른 포커스 쉬프트(focus shift)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자동초점추적신호 생성단계와 상기 자동 초점 결정단계를 재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폐쇄회로텔레비젼 카메라의 자동 초점 조절방법에 있어서, 상기 렌즈 변위단계는 상기 줌 동작신호에 따라 상기 줌 모터를 동작시키는 단계와, 피사체와 상기 렌즈 간의 거리와 상기 렌즈의 초점 거리에 대한 데이터가 매칭되어 저장되어 있는 줌 트래킹 테이블(Zoom Tracking Table)을 참조하여 상기 포커스 모터를 동작시키는 단계 및 외부에서 입력되는 줌 정지신호에 따라 상기 줌 모터와 상기 포커스 모터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폐쇄회로텔레비젼 카메라의 자동 초점 조절방법항에 있어서, 상기 심도저하환경 설정단계는 상기 조리개를 최대로 개방시키는 단계와, 디지털 슬로우 셔터(Digital Slow Shutter, DSS) 모드를 오프(off)시키는 단계와, 노이즈 감쇄(Noise Reduction, NR) 모드를 오프시키는 단계 및 자동 이득 제어(Automatic Gain Control, AGC) 모드를 최적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폐쇄회로텔레비젼 카메라의 자동 초점 조절방법에 있어서, 상기 심도저하환경 설정단계 이후, 상기 조리개의 물리적인 개방이 완료되기까지 대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폐쇄회로텔레비젼 카메라의 자동 초점 조절방법에 있어서, 상기 영상처리단계는 상기 조리개를 자동 개방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와, 디지털 슬로우 셔터(Digital Slow Shutter, DSS) 모드를 온(on)시키는 단계와, 노이즈 감쇄(Noise Reduction, NR) 모드를 온시키는 단계 및 자동 이득 제어(Automatic Gain Control, AGC) 모드를 중간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야간에 따른 포커스 쉬프트의 발생을 방지하고 오토 포커싱의 성공률을 높일 수 있는 폐쇄회로텔레비젼 카메라의 자동 초점 조절방법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폐쇄회로텔레비젼 카메라의 자동 초점 조절방법이 수행되는 장치 구성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폐쇄회로텔레비젼 카메라의 자동 초점 조절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포함된 렌즈 변위단계의 구체적인 구성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포함된 심도저하환경 설정단계의 구체적인 구성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자동 초점 결정단계에서 자동 초점 위치를 결정하는 구체적인 방식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포함된 영상처리단계의 구체적인 구성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폐쇄회로텔레비젼 카메라의 자동 초점 조절방법이 수행되는 장치 구성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폐쇄회로텔레비젼 카메라의 자동 초점 조절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폐쇄회로텔레비젼 카메라의 자동 초점 조절방법은 렌즈 변위단계(S10), 심도저하환경 설정단계(S20), 자동초점추적신호 생성단계(S40), 자동 초점 결정단계(S50) 및 영상처리단계(S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렌즈 변위단계(S10)에서는, 자동 초점 제어부(20)가 외부에서 입력되는 줌(Zoom) 동작신호에 따라 줌 모터(110)와 포커스(Focus) 모터를 동작시켜 렌즈(10)를 적정 위치로 변위시키는 과정이 수행된다. 렌즈 변위단계(S10)는 후술하는 자동 초점 결정단계(S50) 이전에 수행되는 단계이며, 렌즈 변위단계(S10)가 수행되고 나면, 렌즈(10)는 초점이 조절된 정초점 위치는 아니지만, 대략 그 주변의 어느 지점에 위치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3을 추가적으로 참조하면, 이러한 렌즈 변위단계(S10)는 단계 S110, 단계 S120 및 단계 S1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단계 S110에서는, 자동 초점 제어부(20)가 외부에서 입력되는 줌 동작신호에 따라 줌 모터(110)를 동작시키는 과정이 수행되며, 줌 모터(110)의 동작에 대응하여 줌 렌즈(120)의 위치가 변화한다.
단계 S120에서는, 자동 초점 제어부(20)가 줌 트래킹 테이블(Zoom Tracking Table)을 참조하여 포커스 모터(130)를 동작시키는 과정이 수행되며, 포커스 모터(130)의 동작에 대응하여 포커스 렌즈(140)의 위치가 변화한다. 줌 트래킹 테이블에는 피사체와 렌즈(10) 간의 거리와 렌즈(10)의 초점 거리에 대한 데이터가 상호 매칭(matching)되어 저장되어 있다.
단계 S130에서는, 자동 초점 제어부(20)가 외부에서 입력되는 줌 정지신호에 따라 줌 모터(110)와 포커스 모터(130)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과정이 수행된다.
이상의 과정을 통하여, 렌즈(10)는 초점이 조절된 정초점 위치는 아니지만, 대략 그 주변의 어느 지점에 위치하게 된다.
심도저하환경 설정단계(S20)에서는, 자동 초점 제어부(20)가 촬영영상의 심도를 얕아지게 하기 위하여 조리개(160) 개방을 포함하는 심도저하환경을 설정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이 과정은 자동 초점 제어부(20)의 제어명령을 수신한 영상신호처리부(30)에 의해 수행된다.
예를 들어, 도 4를 추가적으로 참조하면, 이러한 심도저하환경 설정단계(S20)는 단계 S210, 단계 S220, 단계 S230 및 단계 S2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단계 S210에서는, 자동 초점 제어부(20)로부터 제어명령을 수신한 영상처리모듈(310)이 조리개(160)를 최대로 개방시키도록 하는 제어명령을 조리개 제어모듈(320)로 전송하고, 조리개 제어모듈(320)이 이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조리개 모터(150)로 전송함으로써, 조리개(160)를 최대로 개방시키는 과정이 수행된다.
단계 S220에서는, 자동 초점 제어부(20)로부터 제어명령을 수신한 영상처리모듈(310)이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된 DSS 모듈(330)을 제어하여 디지털 슬로우 셔터(Digital Slow Shutter, DSS) 모드를 오프(off)시키는 과정이 수행된다.
단계 S230에서는, 자동 초점 제어부(20)로부터 제어명령을 수신한 영상처리모듈(310)이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된 NR 모듈(340)을 제어하여, 노이즈 감쇄(Noise Reduction, NR) 모드를 오프시키는 과정이 수행된다. 이는 불필요한 잡음의 증폭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단계 S240에서는, 자동 초점 제어부(20)로부터 제어명령을 수신한 영상처리모듈(310)이 AGC 모듈(350)을 제어하여, 자동 이득 제어(Automatic Gain Control, AGC) 모드를 최적으로 설정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이와 같이, 자동 초점 결정단계(S50)를 수행하기 이전에, 심도저하환경 설정단계(S20)를 실행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즉, 조리개(160)를 개방하면 심도가 얕아져서 초점이 맞는 영역이 줄어들고, 오토포커싱을 실행한 이후에 조리개(160)를 자동 개방 모드로 하면, 즉, 조리개를 자동 모드로 조이면, 심도가 깊어지면서 더 넓은 범위의 포커스를 맞출 수 있다. 다시 말해, 조리개를 개방하고 오토 포커싱을 수행하면, 일정한 밝기를 유지할 수 있어, 후술하는 자동초점추적(Auto Focus Detection, AFD) 신호가 안정되며, 오토 포커싱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와 같이, 조리개(160)를 모두 열고 오토포커싱을 하면, 이 후, 조리개(160) 심도 변화에 따른 포커스 맞는 영역이 균일하게 동작되므로 원하는 영역에 초점을 일정하게 맞출 수 있다.
또한, DSS 모듈(330), NR 모듈(340)은 후술하는 자동초점추적(Auto Focus Detection, AFD) 신호에 영향을 주므로 오프(off)하여, 오토 포커싱 수행 도중 영향을 덜 받도록 하였으며, 저조도에서 오토 포커싱 수행 중 AFD 신호의 변별력을 높이기 AGC 모드를 최적으로 설정하였다.
단계 S30에서는, 조리개(160)의 물리적인 개방이 완료되기까지 대기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이 대기 시간은 조리개(160)의 개방시간을 고려하여 결정되며, 30초 이상 80초 이하의 범위에서 설정될 수 있다.
자동초점추적신호 생성단계(S40)에서는, 영상신호처리부(30)가 심도저하환경이 설정된 상태에서 포커스 모터(130)의 재동작에 따라 촬상소자(40)에 촬상되어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자동초점추적(Auto Focus Detection, AFD)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자동초점추적 신호의 생성은 영상신호처리부(30)에 포함된 AFD 모듈(36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동초점추적신호는 촬영된 영상의 콘트라스트 비(Contrast Ratio)일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에는 콘트라스트 방식의 오토 포커싱이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자동 초점 결정단계(S50)에서는, 자동 초점 제어부(20)가 영상신호처리부(30)로부터 전송받은 자동초점추적 신호의 크기를 기준으로 포커스 모터(130)의 정지 좌표를 결정하여 자동 초점을 결정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예를 들어, 이러한 자동 초점 결정단계(S50)에서는, 자동 초점 제어부(20)가 자동초점추적신호의 크기가 최대값인 경우를 자동 초점 위치로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자동 초점 결정단계(S50)에서 자동 초점 위치를 결정하는 구체적인 방식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추가적으로 참조하면, 자동 초점 결정단계(S50)에서는, 피사체에 초점이 맞았을 때 고주파 성분의 크기가 최대라는 사실을 이용한다.
하나의 예로, 정방향 즉, 시계방향으로 이동된 콘트라스 비가 그 반대방향으로 이동된 콘트라스 비보다 클 경우, 포커스 모터(130)를 역방향 즉, 반시계방향으로 기본 스텝수만큼 회전시킨 상태에서 정방향인 시계방향으로 다시 감으면서 휘도의 변화가 발생하지 않는 지점에 이르면 정지하고 이를 기점으로 포커스를 맞추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역방향 즉, 반시계방향으로 이동된 콘트라스트 비가 그 반대방향으로 이동된 콘트라스트 비보다 클 경우, 포커스 모터(130)를 정방향 즉, 시계방향으로 기본 스텝수만큼 회전시킨 상태에서 역방향인 반시계방향으로 다시 감으면서 휘도의 변화가 발생하지 않는 지점에 이르면 정지하고 이를 기점으로 포커스를 맞추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영상처리단계(S60)에서는, 자동 초점 제어부(20)가 미리 설정된 영상처리과정이 수행되도록 영상신호처리부(30)를 제어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예를 들어, 도 6을 추가적으로 참조하면, 영상처리단계(S60)는 단계 S610, 단계 S620, 단계 S630 및 단계 S6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과정은 자동 초점 제어부(20)로부터 제어명령을 수신한 영상처리모듈(310)에 의해 실행된다.
단계 S610에서는, 영상처리모듈(310)이 조리개(160)를 자동 개방 모드로 설정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단계 S620에서는, 영상처리모듈(310)이 디지털 슬로우 셔터(Digital Slow Shutter, DSS) 모드를 온(on)시키는 과정이 수행된다.
단계 S630에서는, 영상처리모듈(310)이 노이즈 감쇄(Noise Reduction, NR) 모드를 온시키는 과정이 수행된다.
단계 S640에서는, 영상처리모듈(310)이 자동 이득 제어(Automatic Gain Control, AGC) 모드를 중간(middle) 모드로 설정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이러한 영상처리단계(S60)를 거치면, 자동 초점 조절된 영상이 최종적으로 출력되며, 이 출력영상은 도시하지 않는 조정매체에 저장되는 동시에 모니터를 통해 디스플레이된다.
한편 본 실시 예는 앞서 설명한 과정이 수행된 이후, 주간과 야간의 전환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주야간의 환경변화에 따른 포커스 쉬프트(focus shift)를 방지하기 위해 자동초점추적신호 생성단계(S40)와 자동 초점 결정단계(S50)를 재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주야간에 따른 포커스 쉬프트의 발생을 방지하고 오토 포커싱의 성공률을 높일 수 있는 폐쇄회로텔레비젼 카메라의 자동 초점 조절방법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 렌즈
20: 자동 초점 제어부
30: 영상신호처리부
40: 촬상소자
110: 줌 모터
120: 줌 렌즈
130: 포커스 모터
140: 포커스 렌즈
150: 조리개 모터
160: 조리개
310: 영상처리모듈
320: 조리개 제어모듈
330: DSS 모듈
340: NR 모듈
350: AGC 모듈
360: AFD 모듈
S10: 렌즈 변위단계
S20: 심도저하환경 설정단계
S40: 자동초점추적신호 생성단계
S50: 자동 초점 결정단계
S60: 영상처리단계

Claims (8)

  1. 폐쇄회로텔레비젼 카메라의 자동 초점 조절방법에 있어서,
    자동 초점 제어부가 외부에서 입력되는 줌(Zoom) 동작신호에 따라 줌 모터와 포커스(Focus) 모터를 동작시켜 렌즈를 변위시키는 렌즈 변위단계;
    상기 자동 초점 제어부가 촬영영상의 심도를 얕아지게 하기 위하여 조리개 개방을 포함하는 심도저하환경을 설정하는 심도저하환경 설정단계;
    영상신호처리부가 상기 심도저하환경이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포커스 모터의 재동작에 따라 촬상소자에 촬상되어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자동초점추적(Auto Focus Detection, AFD) 신호를 생성하는 자동초점추적신호 생성단계;
    상기 자동 초점 제어부가 상기 영상신호처리부로부터 전송받은 자동초점추적 신호의 크기를 기준으로 상기 포커스 모터의 정지 좌표를 결정하여 자동 초점을 결정하는 자동 초점 결정단계; 및
    상기 자동 초점 제어부가 미리 설정된 영상처리과정이 수행되도록 상기 영상신호처리부를 제어하는 영상처리단계를 포함하는, 폐쇄회로텔레비젼 카메라의 자동 초점 조절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초점추적신호는 촬영된 영상의 콘트라스트 비(Contrast Ratio)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회로텔레비젼 카메라의 자동 초점 조절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초점 결정단계에서,
    상기 자동 초점 제어부는 상기 자동초점추적신호의 크기가 최대값인 경우를 자동 초점 위치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회로텔레비젼 카메라의 자동 초점 조절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주간과 야간의 전환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주야간의 환경변화에 따른 포커스 쉬프트(focus shift)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자동초점추적신호 생성단계와 상기 자동 초점 결정단계를 재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회로텔레비젼 카메라의 자동 초점 조절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변위단계는
    상기 줌 동작신호에 따라 상기 줌 모터를 동작시키는 단계;
    피사체와 상기 렌즈 간의 거리와 상기 렌즈의 초점 거리에 대한 데이터가 매칭되어 저장되어 있는 줌 트래킹 테이블(Zoom Tracking Table)을 참조하여 상기 포커스 모터를 동작시키는 단계; 및
    외부에서 입력되는 줌 정지신호에 따라 상기 줌 모터와 상기 포커스 모터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회로텔레비젼 카메라의 자동 초점 조절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심도저하환경 설정단계는
    상기 조리개를 최대로 개방시키는 단계;
    디지털 슬로우 셔터(Digital Slow Shutter, DSS) 모드를 오프(off)시키는 단계;
    노이즈 감쇄(Noise Reduction, NR) 모드를 오프시키는 단계; 및
    자동 이득 제어(Automatic Gain Control, AGC) 모드를 최적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회로텔레비젼 카메라의 자동 초점 조절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심도저하환경 설정단계 이후,
    상기 조리개의 물리적인 개방이 완료되기까지 대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회로텔레비젼 카메라의 자동 초점 조절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처리단계는
    상기 조리개를 자동 개방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
    디지털 슬로우 셔터(Digital Slow Shutter, DSS) 모드를 온(on)시키는 단계;
    노이즈 감쇄(Noise Reduction, NR) 모드를 온시키는 단계; 및
    자동 이득 제어(Automatic Gain Control, AGC) 모드를 중간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회로텔레비젼 카메라의 자동 초점 조절방법.
KR1020140166238A 2014-11-26 2014-11-26 폐쇄회로텔레비젼 카메라의 자동 초점 조절방법 KR201600629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6238A KR20160062935A (ko) 2014-11-26 2014-11-26 폐쇄회로텔레비젼 카메라의 자동 초점 조절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6238A KR20160062935A (ko) 2014-11-26 2014-11-26 폐쇄회로텔레비젼 카메라의 자동 초점 조절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2935A true KR20160062935A (ko) 2016-06-03

Family

ID=56192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6238A KR20160062935A (ko) 2014-11-26 2014-11-26 폐쇄회로텔레비젼 카메라의 자동 초점 조절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6293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2553B1 (ko) 2010-03-31 2011-07-29 주식회사 씨앤비텍 폐쇄회로 티브이용 카메라의 자동 초점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2553B1 (ko) 2010-03-31 2011-07-29 주식회사 씨앤비텍 폐쇄회로 티브이용 카메라의 자동 초점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74669B2 (ja) オートフォーカスユニット及びデジタルカメラ
JP2010122301A (ja) フォーカス制御装置、およびフォーカス制御方法
KR20140091959A (ko) 초점상태 표시장치
JP2007108412A (ja) オートフォーカス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4944393B2 (ja) 撮像装置
US8068166B2 (en) Zoom camera with manual focus function
US7941041B2 (en) Image pickup apparatus
US10659692B2 (en) Image blur correction device, imaging apparatus, control method of imaging apparatus and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JP4922768B2 (ja) 撮像装置、焦点自動調節方法
JP2007178577A (ja) 光学装置
JP5196768B2 (ja) 撮像装置
JP6398250B2 (ja) 焦点検出装置
KR101698917B1 (ko) 폐쇄회로텔레비젼 카메라의 팬/틸트/줌/포커싱 통합 제어방법
KR101052553B1 (ko) 폐쇄회로 티브이용 카메라의 자동 초점 제어방법
KR20160062935A (ko) 폐쇄회로텔레비젼 카메라의 자동 초점 조절방법
JP6168827B2 (ja) 像振れ補正装置および光学機器
JP2011107491A (ja) 監視用テレビカメラ装置
WO2019146164A1 (ja) 撮像装置、撮像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090087694A (ko) 오토 포커스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오토 포커스 방법
JPH04314275A (ja) 撮像装置
JP2018189666A (ja) 撮像装置の制御方法
WO2022209478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2006106356A (ja) オートフォーカスシステム
JP6379844B2 (ja) 自動露出制御装置
KR101176840B1 (ko) 촬영장치 및 이에 적용되는 자동 초점 검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