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2374A - 차량의 유류 혼용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유류 혼용 방지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62374A KR20160062374A KR1020140164964A KR20140164964A KR20160062374A KR 20160062374 A KR20160062374 A KR 20160062374A KR 1020140164964 A KR1020140164964 A KR 1020140164964A KR 20140164964 A KR20140164964 A KR 20140164964A KR 20160062374 A KR20160062374 A KR 2016006237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hicle
- main
- oil pipe
- cap
- main oi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403—Anti-siphoning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5—Inlet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주유 시 해당 차량의 주유캡 개방 동작에서 감각적으로 해당 차량의 사용 유류를 인지할 수 있게 하고 이에 더하여 시각 및 청각의 도움을 받아 사용 유류를 더 정확히 인지해 차량별 혼유 현상이 방지될 수 있게 하는 차량의 유류 혼용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유류 혼용 방지장치는, 차량의 연료탱크와 통하며, 차량의 사용 유류 구분을 위한 표시를 위해 좌우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의 나사산이 형성되는 주유관과 주유관에 대한 나사 결합을 위해 좌우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의 나선홈이 형성되며 주유관의 개방 시 주유관과의 나사 결합 방향에 따른 파지 조작용 회전 손잡이부가 일면에 형성되는 주유캡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차량의 주유 시 해당 차량의 주유캡 개방 동작에서 감각적으로 사용 유류를 인지할 수 있고 이에 더하여 시각 및 청각의 도움을 받아 사용 유류를 더 정확히 인지할 수 있어 차량별 혼유 현상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유류 혼용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경유를 이용한 자동차는 소음, 겨울철 시동 문제, 잦은 결함, 오일누유 등으로 인해 몇 년 전 까지만 해도 화물차로 각인되어 왔다. 경유를 사용한 디젤 엔진은 휘발유를 사용한 가솔린 엔진에 비하여 엔진 자체의 소음을 줄이기가 쉽지 않고, 압축점화 방식을 사용하는 가솔린 엔진에 비하여 디젤 엔진은 압축착화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더 큰 압축비가 사용됨으로써 소음이 클 수밖에 없는 구조로 구성된다.
하지만 최근 들어 진일보된 소음, 차음제 및 방진제가 개발되고 이를 바탕으로 엔진의 진동이 차체에 최소로 전달되도록 하는 엔진 차체 결합 방식과 차량 떨림 현상을 보정할 수 있는 방진기술이 결합된 경유 승용차가 속속 출시되고 있으며 고유가시대에 높은 연비를 자랑하는 경유 승용차는 그 인기가 날로 수직상승 중이다.
휘발유의 전유물로 여겨지던 승용차 시장에 경유 승용차가 급속도로 성장 및 보급되면서 해당 차량 사용 유류가 아닌 다른 유류를 주유하는 혼유 사고도 덩달아 늘고 있다. 이러한 혼유 사고는 대부분 주유 후 일정거리 이상 주행 후 출력이 급격하게 떨어지면서 엔진 떨림, 시동 꺼짐 등의 현상이 발생되고 나서야 혼유 사실을 알게 되며, 이 때문에 차량의 손상 정도가 크다.
이러한 문제로 사용자의 불만이 급증하고 있으나 사용자가 해당 차량의 유종을 미리 밝히지 않거나 혼유 사실 입증이 곤란할 경우 차량 수리비 일부 또는 전부를 사용자가 부담하게 되는 경우도 생겨나고 있다. 이 때문에 해당 차량의 유종 정보 전달을 위한 사용자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며, 사용자가 직접 전달하지 못하더라도 주유소의 주유원 등 차량에 대해 주유 작업을 하는 작업자가 차량별로 해당 차량의 사용 유류를 기억 작용을 통한 감각적 구분 방식을 통해 정확히 인지 후 해당 유류를 주입할 수 있도록 할 필요성이 있는 것이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차량의 주유 시 해당 차량의 주유캡 개방 동작에서 감각적으로 사용 유류를 인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차량별 주유 시 연료의 혼유 현상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유류 혼용 방지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차량의 주유 시 해당 차량의 주유캡 개방 동작에서 감각적으로 사용 유류를 인지할 수 있는 형태로써, 시각에 의지하지 않는 방식이어서 야간 등 주변의 조도가 낮은 지역에서도 유류 구분을 위한 시각적인 도움 없이 차량별 사용 유류의 종류를 주유캡의 개방 시 회전방향에 대한 기억 작용을 통해 감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차량의 유류 혼용 방지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차량의 주유 시 해당 차량의 주유캡 개방과 연계되고 시각 및 청각 중 적어도 하나의 감각을 이용하는 유류 종류 표시 기능이 있어 주유캡 개방 시의 회전 방향을 통해 사용 유류의 확인이 여의치 못한 경우에 해당의 보조 기능을 통해 사용 유류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유류 혼용 방지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유류 혼용 방지장치는, 차량의 연료탱크와 통하며, 상기 차량의 사용 유류 구분을 위한 표시를 위해 좌우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의 나사산이 형성되는 주유관과 상기 주유관에 대한 나사 결합을 위해 좌우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의 나선홈이 형성되며, 상기 주유관의 개방 시 상기 주유관과의 나사 결합 방향에 따른 파지 조작용 회전 손잡이부가 일면에 형성되는 주유캡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 손잡이부는 상기 주유관에 나사 결합되는 상기 주유캡의 나사 결합 방향으로 만곡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형태인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 손잡이부는 상기 주유캡의 일면을 태극 문양으로 분할하는 정현파 형상의 돌출부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돌출부는 상기 주유관에 대한 상기 주유캡의 나사 결합 방향에 따라 대칭되는 2가지 형태인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유캡은 외부 조도가 낮은 상황 시 상기 차량의 사용 유류 구분을 위해 상기 회전 손잡이부 및 상기 회전 손잡이부가 형성된 일면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가 야광 소재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지 주유관에 대한 상기 주유캡의 개방 시 회전을 감지하여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센싱부와 상기 센싱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차량의 사용 유류를 외부에 알리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상기 차량의 사용 유류를 외부에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차량의 사용 유류를 음성정보로 출력하는 스피커 및 상기 차량의 사용 유류를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LED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인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LED는 복수의 LED가 상기 차량의 사용 유류를 표시하는 문자, 기호 또는 이미지의 형상으로 그룹을 형성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LED는 복수의 색상으로 발광할 수 있는 형태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유관 주변의 차량 프레임 색상에 따라 상기 LED의 발광 색상을 조정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싱부는 상기 주유캡에 설치되는 제1 소자 및 상기 주유캡의 상기 주유관에 대한 폐쇄 시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소자와 마주하는 상태로 상기 주유관 또는 상기 차량의 프레임에 설치되는 제2 소자를 포함하여 상기 제1 소자 및 제2 소자 간의 신호 송수신이 끊김 시 상기 제어부에 신호를 출력하는 형태인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유관은 상기 연료탱크와 일체로 성형된 주유관이거나 상기 연료탱크의 주유관에 결합 되는 독립된 형태의 주유관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차량의 주유 시 해당 차량의 주유캡 개방 동작에서 감각적으로 사용 유류를 인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차량별 주유 시 연료의 혼유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주유 시 해당 차량의 주유캡 개방 동작에서 감각적으로 사용 유류를 인지할 수 있어, 야간 등 주변의 조도가 낮은 지역에서도 유류 구분을 위한 시각적인 도움 없이 차량별 사용 유류의 종류를 주유캡의 개방 시 회전방향에 대한 기억 작용을 통해 감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차량의 주유 시 해당 차량의 주유캡 개방과 연계되고 시각 및 청각 중 적어도 하나의 감각을 이용하는 유류 종류 표시 기능을 이용하여 주유캡 개방 시의 회전 방향을 통해서는 사용 유류의 확인이 여의치 못한 경우에 해당의 보조 기능을 통해 사용 유류를 인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유류 혼용 방지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유류 혼용 방지장치의 전기적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유류 혼용 방지장치의 주유캡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유류 혼용 방지장치의 요부를 평면 형태로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유류 혼용 방지장치의 사용 상태를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유류 혼용 방지장치의 전기적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유류 혼용 방지장치의 주유캡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유류 혼용 방지장치의 요부를 평면 형태로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유류 혼용 방지장치의 사용 상태를 보인 도면
이하의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에 대한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하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재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발명에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유류 혼용 방지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유류 혼용 방지장치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유류 혼용 방지장치의 전기적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유류 혼용 방지장치의 주유캡을 보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유류 혼용 방지장치의 요부를 평면 형태로 보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유류 혼용 방지장치의 사용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유류 혼용 방지장치는 주유관(100) 및 주유캡(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유류 혼용 방지장치는 센싱부(300), 제어부(400), 표시부(5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주유관(100)은 차량의 연료탱크(600)와 통하는 상태로 연료탱크(600)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주유관(100)은 연료탱크(600)와 일체로 성형된 형태일 수 있고, 이와 달리 연료탱크(600)의 기존 주유관에 결합되는 독립된 형태의 별도 주유관의 형태일 수도 있다. 여기서 주유관(100)이 연료탱크(600)의 기존 주유관과는 다른 별개의 형태인 경우, 주유관(100)은 연료탱크(600)의 기존 주유관에 연료 주입 시의 수밀을 유지할 수 있는 상태로 결합됨은 물론이다. 그리고 이렇게 주유관(100)이 연료탱크의 기존 주유관과 독립된 형태일 경우, 주유관(100)은 이미 사용 중인 기존 연료탱크(600)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다시 말해 기존 차량으로 하여금 연료탱크(600)의 교체 없이도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유류 혼용 방지장치의 추가 설치를 가능케 한다.
그리고 주유관은 해당 차량의 사용 유류 구분을 위한 표시를 위해 좌우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의 나사산이 형성된다. 다시 말해 주유관에 결합되는 주유캡의 나사 결합 방향을 통해 해당 차량의 사용 유류 종류를 구분하는 것으로서, 이에 대해서는 이어서 설명되는 주유캡에서 더 설명키로 한다.
주유캡(200)은 주유관(100)에 대한 나사 결합을 위해 좌우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의 나선홈이 형성되며, 또한 주유캡(200)의 일면에는 주유관(100)에 대한 개방 동작 시 해당 주유관(100)과의 나사 결합 방향에 따른 파지 조작용 회전 손잡이부(210)가 형성된다.
여기서, 회전 손잡이부(210)는 주유관(100)에 나사 결합되는 주유캡(200)의 나사 결합 방향으로 만곡된 돌출부의 형태이다. 이는 주유캡(200)의 개방 시 처음 힘을 줄 때 통상 엄지 손가락을 이용하는데 따른 것으로서, 주유캡(20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엄지 손가락으로 보다 용이하게 힘을 가할 수 있는 형태를 취한 것이다.
본 실시 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회전 손잡이부(210)는 주유캡(200)의 일면을 태극 문양으로 분할하는 정현파 형상의 돌출부 형태로 형성되며, 이때 주유캡(200)은 주유관(100)에 오른 나사 방향으로 결합되는 것과 왼 나사 방향으로 결합되는 2종류이므로, 돌출부 형태의 회전 손잡이부(210)도 좌우 대칭되는 2가지의 형태를 갖는다.
또한 회전 손잡이부(210)는 외부 조도가 낮은 상황에서도 주유캡(200)의 위치 확인 및 주유관(100) 개방을 위한 회전 방향이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확인될 수 있도록 야광 소재로 형성된다. 이때 주유캡(200)의 일면 및 회전 손잡이부(210) 중 어느 하나가 야광인 형태일 수 있도, 이와 달리 주유캡(200)의 일면 및 회전 손잡이부(210) 모두가 야광인 형태일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주유캡(200)의 일면 및 이러한 주유캡(200) 일면의 회전 손잡이부(210)가 모두 야광인 형태를 예로 하였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는 해당 차량의 유류를 휘발유와 경유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동일하지 않은 유류 사용에 따른 혼유 발생 범위 내에서 각 나사 결합 방식에 따라 유류를 분류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두가지 이상의 유류가 사용될 수 있다.
다음은 센싱부(300) 및 제어부(400) 그리고 표시부(500)에 대해 설명한다.
센싱부(300)는 주유관(100)에 대한 주유캡(200)의 개방 시 회전을 감지 후 해당 신호를 제어부(400)에 출력하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이러한 센싱부(300)는 수광소자 및 발광소자가 사용되는 형태일 수 있다. 즉, 센싱부(300)는 주유캡(200)에 설치되는 제1 소자(310) 및 주유캡(200)의 주유관(100)에 대한 폐쇄 시를 기준으로 제1 소자(310)와 마주하는 상태로 주유관(100) 또는 차량의 프레임에 설치되는 제2 소자(32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주유관(100)에 대한 주유캡(200)의 폐쇄 동작 시 제1 소자(310)와 제2 소자(320) 간에는 연속적인 신호 송수신이 이루어지며, 주유관(100)에 대한 주유캡(200)의 개방 동작 시 제1 소자(310)와 제2 소자(320) 간의 신호 송수신이 끊김에 따라 센싱부(300)가 제어부(400)에 신호를 출력하는 형태이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센싱부(300)가 제1 소자(310) 및 제2 소자(320) 간의 신호 송수신 여부를 기준으로 주유캡(200)의 개방 동작 여부를 감지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가속도 센서를 주유캡(200)에 설치하여 이를 통한 주유캡(200)의 회전 여부 감지나 압력 감지 센서를 주유캡(200)에 설치하여 이를 통한 주유캡(200)의 파지 여부 감지 및 그에 기반한 주유캡의 회전 여부 감지 그리고 자석과 자기장 센서를 통한 주유캡(200)의 회전 여부 감지 등 주유관(100)에 대한 주유캡(200)의 개방 동작을 감지할 수 있는 조건을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가 사용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센싱부(300)를 통하여 전송된 주유캡(200)의 개방 신호를 바탕으로 해당 차량의 사용 유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표시부(500)에 출력한다. 즉, 제어부(400)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표시부(500)의 한 종류인 LED(520)의 색상이나 광량을 조절하거나, 표시부(500)의 또 다른 종류인 스피커(510)를 통하여 사전에 저장된 음성정보가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표시부(500)는 제어부(400)의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차량의 사용 유류를 외부에 표시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상술한 바와 같이 표시부(500)로는 LED(520), 스피커(510) 등이 사용될 수 있다.
LED(520)는 복수 개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때 LED(520)는 해당 차량의 사용 유류 표시를 위하여 문자, 기호 또는 이미지 형상으로 그룹을 형성하며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를 기준으로 부연 설명하면, LED(520)는 주유캡(200)의 회전 방향을 화살표 및 영문자로 표시하는 동시에 차량의 사용 유류 종류를 국문자로써 표시한다. 여기서, LED(520)의 복수의 색상으로 발광될 수 있는 종류가 사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어부(400)는 주유관(100) 주변의 차량 프레임 색상에 따라 LED(520)의 발광 색이 선택되도록 하고, 이를 통해 보색 관계 등을 통해 LED(520)를 통한 표시 내용이 시각적으로 보다 선명하게 확인되도록 할 수 있다.
스피커(510)는 제어부(40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바탕으로 해당 차량의 사용 유류에 대한 음성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것으로 주유관(100) 또는 해당 차량의 프레임에 해당 차량의 외부로 음성이 출력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술한 도 1 내지 도 5의 실시 예를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유류 혼용 방지장치는, 차량의 주유 시 해당 차량의 주유캡 개방 동작에서 감각적으로 사용 유류를 인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차량별 주유 시 연료의 혼유 현상이 방지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차량의 주유 시 해당 차량의 주유캡 개방 동작에서 감각적으로 사용 유류를 인지할 수 있으므로, 야간 등 주변의 조도가 낮은 지역에서도 유류 구분을 위한 시각적인 도움 없이 차량별 사용 유류의 종류를 주유캡의 개방 시 회전방향에 대한 기억 작용을 통해 감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차량의 주유 시 해당 차량의 주유캡 개방과 연계되고 시각 및 청각 중 적어도 하나의 감각을 이용하는 유류 종류 표시 기능을 이용하여 주유캡 개방 시의 회전 방향을 통해서는 사용 유류의 확인이 여의치 못한 경우에 해당의 보조 기능을 통해 사용 유류를 인지할 수 있게 한다.
이상과 같이 본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주유관 200 : 주유캡
210 : 회전 손잡이부 300 : 센싱부
310 : 제 1 소자 320 : 제 2 소자
400 : 제어부 500 : 표시부
510 : 스피커 520 : LED
600 : 연료탱크
210 : 회전 손잡이부 300 : 센싱부
310 : 제 1 소자 320 : 제 2 소자
400 : 제어부 500 : 표시부
510 : 스피커 520 : LED
600 : 연료탱크
Claims (10)
- 차량의 연료탱크와 통하며, 상기 차량의 사용 유류 구분을 위한 표시를 위해 좌우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의 나사산이 형성되는 주유관;
상기 주유관에 대한 나사 결합을 위해 좌우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의 나선홈이 형성되며, 상기 주유관의 개방 시 상기 주유관과의 나사 결합 방향에 따른 파지 조작용 회전 손잡이부가 일면에 형성되는 주유캡을 포함하는 차량의 유류 혼용 방지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손잡이부는 상기 주유관에 나사 결합되는 상기 주유캡의 나사 결합 방향으로 만곡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유류 혼용 방지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손잡이부는 상기 주유캡의 일면을 태극 문양으로 분할하는 정현파 형상의 돌출부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돌출부는 상기 주유관에 대한 상기 주유캡의 나사 결합 방향에 따라 대칭되는 2가지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유류 혼용 방지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주유캡은 외부 조도가 낮은 상황 시 상기 차량의 사용 유류 구분을 위해 상기 회전 손잡이부 및 상기 회전 손잡이부가 형성된 일면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가 야광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유류 혼용 방지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지 주유관에 대한 상기 주유캡의 개방 시 회전을 감지하여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센싱부;
상기 센싱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차량의 사용 유류를 외부에 알리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상기 차량의 사용 유류를 외부에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유류 혼용 방지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차량의 사용 유류를 음성정보로 출력하는 스피커 및 상기 차량의 사용 유류를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LED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유류 혼용 방지장치.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LED는 복수의 LED가 상기 차량의 사용 유류를 표시하는 문자, 기호 또는 이미지의 형상으로 그룹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유류 혼용 방지장치.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LED는 복수의 색상으로 발광할 수 있는 형태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유관 주변의 차량 프레임 색상에 따라 상기 LED의 발광 색상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유류 혼용 방지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상기 주유캡에 설치되는 제1 소자 및 상기 주유캡의 상기 주유관에 대한 폐쇄 시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소자와 마주하는 상태로 상기 주유관 또는 상기 차량의 프레임에 설치되는 제2 소자를 포함하여 상기 제1 소자 및 제2 소자 간의 신호 송수신이 끊김 시 상기 제어부에 신호를 출력하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유류 혼용 방지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유관은 상기 연료탱크와 일체로 성형된 주유관이거나 상기 연료탱크의 주유관에 결합 되는 독립된 형태의 주유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유류 혼용 방지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64964A KR101627086B1 (ko) | 2014-11-25 | 2014-11-25 | 차량의 유류 혼용 방지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64964A KR101627086B1 (ko) | 2014-11-25 | 2014-11-25 | 차량의 유류 혼용 방지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62374A true KR20160062374A (ko) | 2016-06-02 |
KR101627086B1 KR101627086B1 (ko) | 2016-06-13 |
Family
ID=56135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64964A KR101627086B1 (ko) | 2014-11-25 | 2014-11-25 | 차량의 유류 혼용 방지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27086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423634A (zh) * | 2019-01-07 | 2021-09-21 | 印度商宜诺摩托克普有限公司 | 车辆的后端结构 |
KR20220159796A (ko) * | 2021-05-26 | 2022-12-05 | 김창수 | 목재열분해 가스화 발전시스템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34585Y1 (ko) * | 2006-09-26 | 2006-12-22 | 박진숙 | 페트병 뚜껑구조 |
KR200435910Y1 (ko) | 2007-02-13 | 2007-03-12 |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 차량의 연료주입 경고 메시지 출력장치 |
JP2007062762A (ja) * | 2005-08-30 | 2007-03-15 | Toyoda Gosei Co Ltd | キャップ装置 |
KR20070037084A (ko) * | 2005-09-30 | 2007-04-04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이종의 연료 주유 방지장치 |
KR20070093956A (ko) * | 2007-08-31 | 2007-09-19 | 박원병 | 연료 종류 경보 장치가 내장된 자동차용 주유 캡 |
KR101410520B1 (ko) | 2012-12-27 | 2014-07-02 | 조인호 | 혼유사고 방지장치 |
-
2014
- 2014-11-25 KR KR1020140164964A patent/KR10162708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062762A (ja) * | 2005-08-30 | 2007-03-15 | Toyoda Gosei Co Ltd | キャップ装置 |
KR20070037084A (ko) * | 2005-09-30 | 2007-04-04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이종의 연료 주유 방지장치 |
KR200434585Y1 (ko) * | 2006-09-26 | 2006-12-22 | 박진숙 | 페트병 뚜껑구조 |
KR200435910Y1 (ko) | 2007-02-13 | 2007-03-12 |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 차량의 연료주입 경고 메시지 출력장치 |
KR20070093956A (ko) * | 2007-08-31 | 2007-09-19 | 박원병 | 연료 종류 경보 장치가 내장된 자동차용 주유 캡 |
KR101410520B1 (ko) | 2012-12-27 | 2014-07-02 | 조인호 | 혼유사고 방지장치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423634A (zh) * | 2019-01-07 | 2021-09-21 | 印度商宜诺摩托克普有限公司 | 车辆的后端结构 |
KR20220159796A (ko) * | 2021-05-26 | 2022-12-05 | 김창수 | 목재열분해 가스화 발전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27086B1 (ko) | 2016-06-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TWI450227B (zh) | 以不同光線效果且以軟體方式控制顯示提示訊息之導航裝置與導航方法 | |
CN109969086A (zh) | 车辆用显示系统 | |
CN105523041B (zh) | 车道偏离警告系统和用于控制该系统的方法 | |
JP5114814B2 (ja) | 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 |
US11137598B2 (en) | Display device | |
JP2007249567A (ja) | 表示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 |
US20160159351A1 (en) | Driving control system of vehicle and method for changing speed setting mode using the same | |
KR101627086B1 (ko) | 차량의 유류 혼용 방지장치 | |
GB2554972A (en) | Vehicle interior lighting systems and methods | |
KR101857942B1 (ko) | 차량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 디스플레이 방법 | |
JP2005241288A (ja) | 車両制限速度警報装置 | |
JP2008268801A (ja) | 表示装置 | |
CN104163221A (zh) | 摩托车用数字仪表背光变色警示系统及数字仪表 | |
CN204288521U (zh) | 带有超速警示装置的交通信号灯 | |
JP6327131B2 (ja) | 後部座席用表示システム、後部座席用受光表示装置、および制御装置用のプログラム | |
US8438916B2 (en) | Meter apparatus | |
KR101681735B1 (ko) | 교통 신호를 알려주는 차량용 장치 및 방법 | |
JP6118972B2 (ja) | 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 |
US9931934B2 (en) | Vehicular pointer-type residual quantity meter | |
KR101636168B1 (ko) | 자동차의 클러스터를 이용한 도어 열림 알림장치 및 그 방법 | |
JP5201645B2 (ja) | 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 |
JP6600864B2 (ja) | 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 |
JP2010262889A (ja) | 車輌用灯具 | |
JP2022028678A (ja) | 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 |
JP6316360B2 (ja) | 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