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1560A - 테일러 웰디드 블랭크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테일러 웰디드 블랭크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1560A
KR20160061560A KR1020140163758A KR20140163758A KR20160061560A KR 20160061560 A KR20160061560 A KR 20160061560A KR 1020140163758 A KR1020140163758 A KR 1020140163758A KR 20140163758 A KR20140163758 A KR 20140163758A KR 20160061560 A KR20160061560 A KR 201600615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ded
filler wire
welded portion
taylo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3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4121B1 (ko
Inventor
김소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637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4121B1/ko
Priority to US14/660,199 priority patent/US9873929B2/en
Priority to CN201510165732.0A priority patent/CN106141433A/zh
Priority to DE102015206318.6A priority patent/DE102015206318A1/de
Publication of KR201600615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15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4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41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20Bonding
    • B23K26/21Bonding by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20Bonding
    • B23K26/32Bonding taking account of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olved
    • B23K26/322Bonding taking account of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olved involving coated metal part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methods other than heat treatment or deform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6/00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21D6/001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containing Ni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6/00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21D6/005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containing Mn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5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welded joints
    • C21D9/505Cooling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52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wires; for strips ; for rods of unlimited length
    • C21D9/525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wires; for strips ; for rods of unlimited length for wire, for rod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ick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18Sheet panels
    • B23K2101/185Tailored b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3/00Materials to be soldered, welded or cut
    • B23K2103/08Non-ferrous metals or alloys

Abstract

본 발명은 도금강판을 이용하여 테일러 웰디드 브랭크 제조시 용접부의 품질을 향상시키면서 제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테일러 웰디드 블랭크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일러 웰디드 블랭크 제조방법은 이종 두께 또는 강도를 갖는 한 쌍 이상의 이종 도금강판을 필러 와이어를 이용하여 레이저 용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테일러 웰디드 블랭크 제조방법{METHOD FOR TAILOR WELDED BLANKS}
본 발명은 이종 두께 또는 이종 재질의 강판을 연결하여 제조되는 테일러 웰디드 블랭크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금강판을 이용하여 테일러 웰디드 브랭크 제조시 용접부의 품질을 향상시키면서 제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테일러 웰디드 블랭크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환경 및 안전규제 강화에 따른 차량 요구조건이 지속적으로 강화되고 있다. 즉, 연비향상을 위한 경량화 요구와 충돌안전성 향상에 대응하기 위해, 예컨대 AHSS(Advance High Strength Steel)를 포함한 고강도강의 적용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차체 제조시에는 측면 충돌을 보강하기 위해 고강도의 부품을 적용하며, 특히 전기자동차의 경우 배터리 보호를 위해 측면 충돌 필러의 역할이 기존 내연기관 차체보다 더욱 중요하다. 이를 위해, HPF(Hot Press Forming) 기술이 적용된 초고강도강의 사용이 확대되고 있다.
한편, 충돌 부재로 적용되는 부품은 크게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첫째, 에너지흡수 부재(Energy absorption part)로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변형을 통하여 흡수하는 부재이다.
에너지흡수 부재로는 대표적으로, 전방 사이드 멤버(Front side member)의 앞쪽, 후방 사이드 멤버(Rear side member)의 뒤쪽과 비-필러(B-pillar)의 아래쪽이 해당된다.
둘째, 비침투 부재(Anti-intrusion part)로 변형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 부재이다. 예컨대, 충돌시 승객이 타고 있는 공간(Cabin zone)을 확보하고 있어야 하므로, 여기에 적용되는 충돌부재는 대부분 비침투 부재에 해당된다.
대표적으로, 전방 사이드 멤버의 뒷쪽, 후방 사이드 멤버의 앞쪽과 비-필러의 위쪽이 해당된다.
비침투 부재의 경우, HPF를 적용하여 충돌성능을 향상시키는 사례가 급격히 늘어나고 있으며, 충돌 흡수 부재는 상대적으로 연신율이 높은 AHSS를 적용하고 있다.
상기 전방 사이드 멤버, 후방 사이드 멤버 및 비-필러와 같은 부재의 경우 에너지흡수 부재와 비침투 부재가 결합되어 있는 형태로, 두 부재를 용접한 후 성형하여 제조된다.
이때, 주로 사용되는 테일러 웰디드 블랭크 공법(TWB; Tailor Welded Blank)은 마치 양복을 재단하는 것과 같이 두께, 강도 및 재질이 서로 다른 이종의 강판을 필요한 모양으로 절단하여 용접한 후 프레스 성형하여 부품을 제조하는 일련의 과정을 의미하며, 크게, 강판을 커팅하는 절단공정과 절단된 강판을 레이저로 용접하는 용접공정 및 용접된 강판 일체를 블랭킹 공정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테일러 웰디드 블랭크 공법(TWB)은 이종의 두께 및 강종을 용접할 수 있어 부위별로 요구되는 특성을 갖도록 할 수 있으며, 강판에 비하여 보다 단단한 구조 및 긴 수명뿐만 아니라 정확한 치수로 제작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어, 자동차나 전동차 등의 차체 패널 등의 구조물 생산시 적용되고 있다.
특히, 고생산성, 저비용 및 저중량이 요구되는 자동차 산업 분야에서 종래 차체 패널의 구조물 생산시 강판를 절단하여 각각 성형한 후 점용접을 실시하여 부품을 제작하던 성형방법에 비하여 부품수 감소, 차체 경량화, 제조원가 절감, 품질향상, 충돌 안정성 향상 및 차체 구조의 단순화 등의 장점이 있다.
그러나, 도금층이 Al-Si 또는 Zn계로 이루어진 도금강판의 경우, 레이저 용접시 용접부에 도금층이 혼입되어 900~950℃의 온도로 가열하는 경우에도 오스테나이트 조직 확보가 어려워 급냉시 마르텐사이트 조직 확보가 어려워 용접부의 물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도금강판을 용접하기 위해서는 도금강판의 도금층 제거가 필수적이다. 그러나, 용접을 위해 도금층이 제거된 부위에 부식(Rust)이 발생되어 생산되는 제품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테일러 웰디드 블랭크 용접으로 도금강판 용접시, 도금층을 제거하지 않더라도 용접부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테일러 웰디드 블랭크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핫스탬핑 작업 후 용접부가 풀 마르텐사이트 조직을 갖도록 하는 테일러 웰디드 블랭크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일러 웰디드 블랭크 제조방법은 이종 두께 또는 강도를 갖는 한 쌍 이상의 이종 도금강판을 필러 와이어를 이용하여 레이저 용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필러 와이어는, 상기 도금강판의 도금층이 혼입되더라도, 용접부가 900 ~ 950℃에서 오스테나이트 조직으로 변태되는 성분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필러 와이어는, 오스테나이트 안정화 원소로 C 및 Mn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러 와이어는, 오스테나이트 안정화 원소로 Ni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러 와이어는, C: 0.6 ~ 0.9 wt%, Mn: 0.3 ~ 0.9wt%, Ni 1.6 ~ 3.0wt% 및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도금강판은 Al-Si 도금층을 포함하며, 모재는 C: 0.19 ~ 0.25wt%, Si: 0.20 ~ 0.40wt%, Mn: 1.10 ~ 1.60wt%, P: 0.03wt% 이하, S: 0.015wt% 이하, Cr: 0.10 ~ 0.60 wt%, B: 0.0008 ~ 0.0050wt%,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일러 웰디드 블랭크 제조방법은 상기 필러 와이어를 이용하여 레이저 용접된 테일러 웰디드 블랭크를 핫 스탬핑 성형한 후, 냉각 속도 40℃/s 이상으로 급냉시켜 상기 용접부의 조직을 마르텐사이트로 변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테일러 웰디드 블랭크를 제조하기 위해 레이저 용접시 도금층 제거 및 재도금 공정이 필요하지 않아 생산시간을 단축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용접부가 풀 마르텐사이트 조직을 갖도록 함으로써, 용접부의 품질을 향상시킬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알루미늄 함량과 온도에 따른 변태곡선을 보여주는 그래프이고,
도 2는 오스테나이트 안정화 원소 함량 증강에 따른 변태곡선의 이동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며,
도 3은 니켈 함량 증강에 따른 변태곡선을 보여주는 그래프이고,
도 4는 필러 와이어의 니켈 함량에 따른 인장시험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이러한 규칙 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일러 웰디드 블랭크 제조방법은 이종 소재 또는 이종 두께를 갖는 한 쌍 이상의 이종 도금 강판을 레이저 용접으로 연결하여 국부적으로 서로 다른 물성을 갖는 테일러 웰디드 블랭크를 제조시, 도금층의 성분이 용접부에 혼입되어 발생되는 강도 저하 등의 문제점을 방지하는 것을 주요 사상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용접부의 도금층을 제거하지 않은 상태에서 도금강판을 레이저 용접으로 접합하는 경우 도금층이 용융되어 용접부에 혼입되면 용접부의 강도 저하 등 문제점을 유발하게 되는데, 이는 용접부가 도금강판의 모재와 도금층이 혼합된 성분계를 갖기 때문에 모재와 다른 물성을 나타내기 때문이며, 이는 용접부의 강도 저하를 유발한다.
핫 스탬핑 성형을 위한 테일러 웰디드 블랭크의 모재는 주로 경화능을 갖는 보론 강판을 이용하며, 도금층은 Al-Si이 주로 사용된다.
도 2는 종래 변태곡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금층이 용접부에 혼입되어 용접부의 Al 함량이 증가되면, 900 ~ 950℃로 가열하더라도, 풀 오스테나이트 조직 확보가 불가능하여, 핫스탬핑 성형 이후 급냉시키더라도 용접부가 풀 마르텐사이트 조직을 갖지 못하고 페라이트와 마르텐사이트가 공존하는 조직을 갖기 때문에 용접부의 강도 저하가 발생하게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테일러 웰디드 블랭크의 모재는 C: 0.19 ~ 0.25wt%, Si: 0.20 ~ 0.40wt%, Mn: 1.10 ~ 1.60wt%, P: 0.03wt% 이하, S: 0.015wt% 이하, Cr: 0.10 ~ 0.60 wt%, B: 0.0008 ~ 0.0050wt%,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구성된 것을 사용하였으며, 도금층은 Al-Si로 구성된 것을 사용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일러 웰디드 블랭크 제조방법은 레이저 용접시 필러 와이어를 이용함으로써, 용접부의 성분을 조절함으로써 900 ~ 950℃의 온도에서 용접부가 풀 오스테나이트 조직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핫 스탬핑 성형 이후 급냉시켜 용접부를 풀 마르텐사이트로 변태시킴으로써 용접부의 강도를 향상시켜 원하는 물성을 갖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2는 오스테나이트 안정화 원소 함량 증강에 따른 변태곡선의 이동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C 및 Mn은 오스테나이트 안정화 원소로서 그 함량이 증가 될수록 공석온도(Ac3)를 낮춰 변태곡선이 오른쪽으로 이동되며, 오스테나이트 영역이 확대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러 와이어는 오스테나이트 안정화 원소로 C 및 Mn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용접 후 핫 스탬핑 성형 중 900 ~ 950℃로 가열시, 용접부가 풀 오스테나이트 조직으로 존재하여, 핫 스템핑 성형 후 급냉시킴에 따라 용접부가 풀 마르텐사이트 조직으로 변태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러 와이어는 오스테나이트 안정화 원소로 니켈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니켈 함량 증강에 따른 변태곡선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러 와이어의 니켈 함량이 증가 될수록 공석온도(Ac3)를 낮춤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필러 와이어는 C: 0.6 ~ 0.9wt%, Mn:0.3 ~ 0.9wt%, Ni 1.6 ~ 3.0wt% 및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C의 함량이 0.6wt% 미만인 경우 오스테나이트 영역 증가율이 낮아 용접시 900 ~ 950℃의 온도에서 용접부에 페라이트 조직이 공존하며, 0.9wt%를 초과하는 경우 용접부의 경도 및 강도가 과도하게 상승함에 따라 충돌 등 충격발생시 용접부에 파단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Mn 및 Ni도 상기의 조성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900 ~ 950℃의 온도에서 용접부가 풀 오스테나이트 조직을 갖지 못하며, 핫 스탬핑 성형 후 완성된 제품의 용접부의 물성이 변화되어 용접부 파단 등 결함을 발생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도 4는 필러 와이어의 니켈 함량에 따른 인장시험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러 와이어 중 Ni의 함량이 1.6 ~ 3.0wt%인 경우 용접부의 강도가 향상됨에 따라 인장시험시 모재 파단이 발생된 반면, Ni의 함량이 1.6wt% 미만 또는 3.0wt%를 초과하는 경우 인장시험시 용접부 파단이 발생됨을 알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러 와이어의 조성이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900 ~ 950℃의 온도에서 용접부가 풀 오스테나이트 조직을 갖도록 함으로써, 핫 스탬핑 성형 후 급냉시킴에 따라, 용접부를 풀 오스테나이트 조직으로 변태시켜 용접부의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필러 와이어는 용접시 도금층의 Al이 용접부에 혼입되더라도 필러 와이어에 포함된 오스테나이트 안정화 원소에 의해 핫 스탬핑 성형 후 용접부가 풀 마르텐사이트 조직을 갖도록 함으로써, 도금층을 제거하지 않고 용접을 실시하더라도 용접부의 경도 및 강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어 용접부 파단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일드 웰디드 블랭크 제조방법은 핫 스탬핑 성형 후 40℃/s 이상의 냉각 속도로 급냉시켜 용접부의 조직을 마르텐사이트로 변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핫 스탬핑 성형 후 즉시 (0.5 초 이내에) 냉각을 개시하고, 냉각 중의 평균 냉각 속도를 40℃/s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40℃/s 미만으로 냉각시키는 경우, 입자 성장에 따라 용접부의 조직이 미세화되기 어려워 냉각 후 용접부의 조직을 풀 마르텐사이트로 변태시키기 어렵기 때문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7)

  1. 이종 두께 또는 강도를 갖는 한 쌍 이상의 이종 도금강판을 필러 와이어를 이용하여 레이저 용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일러 웰디드 블랭크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러 와이어는,
    상기 도금강판의 도금층이 혼입되더라도, 용접부가 900 ~ 950℃에서 오스테나이트 조직으로 변태되는 성분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일러 웰디드 블랭크 제조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필러 와이어는,
    오스테나이트 안정화 원소로 C 및 Mn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일러 웰디드 블랭크 제조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필러 와이어는,
    오스테나이트 안정화 원소로 Ni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일러 웰디드 블랭크 제조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필러 와이어는,
    C: 0.6 ~ 0.9 wt%, Mn: 0.3 ~ 0.9wt%, Ni 1.6 ~ 3.0wt% 및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일러 웰디드 블랭크 제조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금강판은 Al-Si 도금층을 포함하며,
    모재는 C: 0.19 ~ 0.25wt%, Si: 0.20 ~ 0.40wt%, Mn: 1.10 ~ 1.60wt%, P: 0.03wt% 이하, S: 0.015wt% 이하, Cr: 0.10 ~ 0.60 wt%, B: 0.0008 ~ 0.0050wt%,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일러 웰디드 블랭크 제조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러 와이어를 이용하여 레이저 용접된 테일러 웰디드 블랭크를 핫 스탬핑 성형한 후, 냉각 속도 40℃/s 이상으로 급냉시켜 상기 용접부의 조직을 마르텐사이트로 변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일러 웰디드 블랭크 제조방법.
KR1020140163758A 2014-11-21 2014-11-21 테일러 웰디드 블랭크 제조방법 KR1017141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3758A KR101714121B1 (ko) 2014-11-21 2014-11-21 테일러 웰디드 블랭크 제조방법
US14/660,199 US9873929B2 (en) 2014-11-21 2015-03-17 Method of manufacturing tailor welded blanks
CN201510165732.0A CN106141433A (zh) 2014-11-21 2015-04-09 制造拼焊板的方法
DE102015206318.6A DE102015206318A1 (de) 2014-11-21 2015-04-09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maßgeschneiderten geschweißten Platin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3758A KR101714121B1 (ko) 2014-11-21 2014-11-21 테일러 웰디드 블랭크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1560A true KR20160061560A (ko) 2016-06-01
KR101714121B1 KR101714121B1 (ko) 2017-03-09

Family

ID=55914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3758A KR101714121B1 (ko) 2014-11-21 2014-11-21 테일러 웰디드 블랭크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873929B2 (ko)
KR (1) KR101714121B1 (ko)
CN (1) CN106141433A (ko)
DE (1) DE102015206318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8021B1 (ko) 2020-05-14 2021-10-01 현대제철 주식회사 차량용 핫 스탬핑 부품 및 그 제조방법
WO2023013876A1 (ko) * 2021-08-05 2023-02-09 주식회사 포스코 테일러 웰디드 블랭크, 열간성형부재 및 이들의 제조방법
US11629389B2 (en) 2017-06-27 2023-04-18 Hyundai Steel Company Steel material for taylor welded blan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hot-stamped part using same stee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75683B (zh) * 2016-12-29 2018-11-16 苏州大学 一种具有Al-Si镀层热成形钢板的激光拼焊方法
EP3704281A1 (en) 2017-11-02 2020-09-09 AK Steel Properties, Inc. Press hardened steel with tailored properties
WO2019102255A1 (en) 2017-11-24 2019-05-31 Arcelormittal Method of producing a welded steel blank with the provision of a filler wire having a defined carbon content, associated welded blank, method of producing a welded part with hot press-formed and cooled steel part and associated part
KR102410518B1 (ko) 2017-12-01 2022-06-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테일러 웰디드 블랭크 제조방법
WO2019166852A1 (en) 2018-02-27 2019-09-06 Arcelormittal Method for producing a press-hardened laser welded steel part and press-hardened laser welded steel part
EP3805421A4 (en) * 2018-05-31 2021-04-28 Posco AL-FE ALLOY PLATED STEEL SHEET FOR HOT FORMING WITH EXCELLENT TWB WELDING CHARACTERISTICS, HOT FORMING ELEMENT AND RELATED MANUFACTURING PROCESSES
KR20200040565A (ko) * 2018-10-10 2020-04-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동시성형 핫스탬핑 방법 및 핫스탬핑 제품
WO2020136402A1 (en) 2018-12-24 2020-07-02 Arcelormittal Method for producing a welded steel blank and associated welded steel blank
CN111215751B (zh) * 2019-03-29 2022-06-28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带铝或者铝合金镀层的钢制差强焊接部件及其制造方法
US11618098B2 (en) * 2020-02-03 2023-04-0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s of forming and stamping tailor friction stir welded blanks with enhanced edge stretch
CN111360156A (zh) * 2020-02-25 2020-07-03 东风天汽模(武汉)金属材料成型有限公司 激光拼焊板、激光拼焊板热成型部件及其制备方法
CN111496380B (zh) * 2020-04-28 2022-05-20 凌云吉恩斯科技有限公司 一种薄铝硅镀层钢板的拼焊制造方法及门环的制造方法
CN112548395A (zh) * 2020-11-27 2021-03-26 无锡朗贤轻量化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激光填丝焊接用焊丝及制备方法和拼焊板制造工艺
CN112593153A (zh) * 2020-11-27 2021-04-02 无锡朗贤轻量化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抗高温氧化、高强韧的激光拼焊板及其热冲压工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5753B1 (ko) * 2010-06-29 2011-05-20 현대제철 주식회사 Twb 공법을 이용한 핫 스탬핑 성형체 및 그 제조 방법
KR20130102461A (ko) * 2010-05-03 2013-09-17 티센크루프 테일러드 블랑크스 게엠베하 온간 성형할 테일러드 용접 강판 제품의 제조 방법 및 테일러드 용접 강판 제품
WO2014075824A1 (de) * 2012-11-19 2014-05-22 Wisco Tailored Blanks Gmbh Verfahren zum laserschweissen eines oder mehrerer werkstücke aus härtbarem stahl im stumpfstoss unter verwendung eines zusatdrahtes
KR20140071581A (ko) * 2012-12-03 2014-06-12 현대하이스코 주식회사 테일러 웰디드 블랭크,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핫스탬핑 부품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45286A (ja) * 2001-11-14 2003-05-20 Kobe Steel Ltd 鋼材のレーザ溶接方法
WO2007118939A1 (fr) 2006-04-19 2007-10-25 Arcelor France Procede de fabrication d'une piece soudee a tres hautes caracteristiques mecaniques a partir d'une tole laminee et revetue
FR2903623B1 (fr) 2006-07-12 2008-09-19 L'air Liquide Procede de soudage hybride laser-arc de pieces metalliques aluminiees
JP4978121B2 (ja) 2006-08-31 2012-07-18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金属板の突合せ接合方法
FR2962673B1 (fr) 2010-07-13 2013-03-08 Air Liquide Procede de soudage hybride arc/laser de pieces en acier aluminise avec fil a elements gamagenes
JP5316670B1 (ja) 2012-04-17 2013-10-16 新日鐵住金株式会社 ホットスタンプ用のテーラードブランクと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2461A (ko) * 2010-05-03 2013-09-17 티센크루프 테일러드 블랑크스 게엠베하 온간 성형할 테일러드 용접 강판 제품의 제조 방법 및 테일러드 용접 강판 제품
KR101035753B1 (ko) * 2010-06-29 2011-05-20 현대제철 주식회사 Twb 공법을 이용한 핫 스탬핑 성형체 및 그 제조 방법
WO2014075824A1 (de) * 2012-11-19 2014-05-22 Wisco Tailored Blanks Gmbh Verfahren zum laserschweissen eines oder mehrerer werkstücke aus härtbarem stahl im stumpfstoss unter verwendung eines zusatdrahtes
KR20140071581A (ko) * 2012-12-03 2014-06-12 현대하이스코 주식회사 테일러 웰디드 블랭크,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핫스탬핑 부품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29389B2 (en) 2017-06-27 2023-04-18 Hyundai Steel Company Steel material for taylor welded blan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hot-stamped part using same steel
US11655518B2 (en) 2017-06-27 2023-05-23 Hyundai Steel Company Steel material for taylor welded blan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hot-stamped part using same steel
KR102308021B1 (ko) 2020-05-14 2021-10-01 현대제철 주식회사 차량용 핫 스탬핑 부품 및 그 제조방법
WO2023013876A1 (ko) * 2021-08-05 2023-02-09 주식회사 포스코 테일러 웰디드 블랭크, 열간성형부재 및 이들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873929B2 (en) 2018-01-23
KR101714121B1 (ko) 2017-03-09
US20160144456A1 (en) 2016-05-26
DE102015206318A1 (de) 2016-05-25
CN106141433A (zh) 2016-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4121B1 (ko) 테일러 웰디드 블랭크 제조방법
JP5873934B2 (ja) テーラードブランクの製造方法
JP3389562B2 (ja) 車輌用衝突補強材の製造方法
EP3390206B1 (en) B-pillar central bea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EP2889102B1 (en) Method for welding overlapped part, method for manufacturing lap weld member, lap weld member, and component for automobile
EP3960592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n unitary body side structural frame of a vehicle and corresponding unitary body side structural frame
CN111332367B (zh) 加压硬化焊接钢合金部件
KR101330952B1 (ko) 핫 스탬핑 성형체 및 그 제조 방법
KR102410518B1 (ko) 테일러 웰디드 블랭크 제조방법
KR20190086702A (ko) 개선된 냉간 가공성을 갖는 미세 합금강으로 섀시 부품을 생산하는 방법
JP5888168B2 (ja) 低強度部を有する熱間プレス成形品及びその製造方法
DE102009049398B3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trukturbauteils für ein Kraftfahrzeug, Platine für die Warmumformung und Strukturbauteil
KR20180079439A (ko) 오스테나이트 강 구성 요소의 제조 방법 및 상기 구성 요소의 사용
KR20120132836A (ko) 핫 스탬핑 성형체 및 그 제조 방법
JP5251764B2 (ja) 車両用構造部材とその製造方法
KR101333971B1 (ko) 충돌성능이 우수한 핫 스탬핑용 아연도금강판을 이용한 이종강도를 갖는 강 제품 및 그 제조 방법
KR102308021B1 (ko) 차량용 핫 스탬핑 부품 및 그 제조방법
KR101257166B1 (ko) 자동차 사이드 멤버 및 그 제조 방법
KR20230103522A (ko) 고강도의 차량 바디 부품 제조방법
CN118019682A (en) Floor panel and method f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