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1074A - 식품가공 충진기 - Google Patents

식품가공 충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1074A
KR20160061074A KR1020140163520A KR20140163520A KR20160061074A KR 20160061074 A KR20160061074 A KR 20160061074A KR 1020140163520 A KR1020140163520 A KR 1020140163520A KR 20140163520 A KR20140163520 A KR 20140163520A KR 20160061074 A KR20160061074 A KR 201600610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processing
filling chamber
gear
hopper
convey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3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70046B1 (ko
Inventor
서한일
Original Assignee
서한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한일 filed Critical 서한일
Priority to KR10201401635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0046B1/ko
Publication of KR201600610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10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00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00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23P30/10Moulding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11/00Sausage making ; Apparatus for handling or conveying sausage products during manufacture
    • A22C11/02Sausage filling or stuffing machines
    • A22C11/0245Controll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2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from offal, e.g. rinds, skins, marrow, tripes, feet, ears or snou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60Comminuted or emulsified meat products, e.g. sausages; Reformed meat from comminuted meat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ormation And Processing Of Food Products (AREA)
  • Processing Of Meat And 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식품가공 충진기는, 호퍼(20)에 공급된 식품가공용 재료를 바깥에서 안쪽으로 긁어주면서 충진실(10)의 내부를 향해 나선방향으로 이송시키도록 호퍼(20)의 내부에 나선방향으로 회전되는 제1 재료이송수단(30)이 설치되고, 충진실(10)의 내부에 공급된 식품가공용 재료를 긁어주면서 배출구(12)를 통해 배출시킬 때 압축시키도록 충진실(10)의 내부에 편심 회전되는 제2 재료이송수단(40)이 설치되며, 제2 재료이송수단(40)을 일방향으로 감속 회전시키면서 제2 재료이송수단(40)과 기어유닛(60)을 매개로 기어접촉된 상기 제1 재료이송수단(30)을 동시 회전시키도록 충진실(10)의 측면에 중공축 모터(50)가 설치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식품가공용 재료가 충진기를 통과하여 배출될 때 밀집도가 균일하면서 일정한 흐름(속도)으로 이송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순대나 소세지 등의 성형시 식품가공용 재료가 불균일하게 응집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제품에 대한 신뢰도를 높일 수 있으며, 또한 충진기를 소형화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구조를 단순화시켜 고장수리가 용이하도록 함은 물론 제조 원가를 낮출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식품가공 충진기{a filling machine of processed food}
본 발명은 식품가공 충진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식품가공용 재료가 충진기를 통과하여 배출될 때 밀집도(密集度)가 균일하면서 일정한 흐름(속도)으로 이송되어 배출되도록 한 식품가공 충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품가공 충진기는 호퍼에 투입된 육류, 어묵 및 야채 등의 재료를 이송 및 충진시키면서 소정의 형상 및 크기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순대나 소세지 등의 완제품으로 성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종래의 식품가공 충진기는 상부에 호퍼가 설치되고 내부 일측에 이송관이 설치된 충진실과, 상기 충진실에 공급된 재료를 상기 이송관으로 이송 및 충진시킬 수 있도록 모터의 구동으로 작동되는 스크류와, 상기 이송관을 통해 이송 및 충진된 재료를 소정의 크기와 형상으로 배출시키도록 충진실의 일측에 설치된 배출구로 크게 구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식품가공 제조기는 호퍼내에 투입된 식품가공용 재료가 자연 낙하되어 스크류에 직접 공급되면 이 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재료가 이송관을 따라 이송 및 충진되면서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구조로 되어 있으나, 이러한 스크류 충진방식은 충진기 자체가 크고 많은 부품수로 인하여 구조가 복잡하기 때문에 제조 원가가 높을 뿐만 아니라 고장수리가 용이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스크류의 피치 간격이 넓기 때문에 식품가공용 재료가 이송관을 통과할 때 제대로 충진(압축)되지 못함에 따라 불균일한 응집 상태로 띄엄 띄엄 배출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순대나 소세지 등을 성형시 식품가공용 재료가 불균일하게 응집된 상태로 제품화됨에 따라 신뢰도가 현저히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서, 식품가공용 재료가 충진기를 통과하여 배출될 때 밀집도가 균일하면서 일정한 흐름(속도)으로 이송되어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순대나 소세지 등의 성형시 식품가공용 재료가 불균일하게 응집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함은 물론 제품에 대한 신뢰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 식품가공 충진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충진기를 소형화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구조를 단순화시켜 고장수리가 용이하도록 함은 물론 제조 원가를 낮출 수 있도록 한 식품가공 충진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품가공 충진기는, 상부에 주입구 및 정면 일측에 배출구가 형성된 충진실과, 상기 충진실의 주입구에 설치되는 호퍼와, 상기 호퍼에 공급된 식품가공용 재료를 바깥에서 안쪽으로 긁어줌과 동시에 충진실의 내부를 향해 나선방향으로 이송시키면서 밀집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도록 호퍼의 내주면에 나선방향으로 밀착되어 회전되는 제1 재료이송수단과, 상기 충진실의 내부에 공급된 식품가공용 재료를 긁어줌과 동시에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시킬 때 압축시키면서 밀집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도록 충진실의 내부에 편심 회전되는 제2 재료이송수단과, 상기 제2 재료이송수단을 일방향으로 감속 회전시키도록 상기 충진실의 측면에 고정된 중공축 모터와, 상기 중공축 모터의 동력을 제1 재료이송수단을 매개로 전달받아 상기 제2 재료이송수단을 일방향으로 동시 감속 회전시키도록 중공축 모터의 상면 일측에 지지대를 매개로 지지된 기어유닛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배출구는 상기 주입구을 기준으로 상기 충진실의 정면측으로 120°각도로 위치하도록 설치되면서 안쪽보다 바깥쪽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제1 재료이송수단은, 상기 충진실의 주입구에 고정되며 둘레 일측 높이에 개구부가 형성된 외측 하우징과, 상기 외측 하우징의 내주면에 대하여 하단으로부터 일정한 높이에 고정된 기어받침링과, 상기 외측 하우징의 내주에 대하여 상기 기어받침링에 안착되면서 기어면이 상기 개구부의 높이에 위치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링기어와, 상기 외측 하우징의 내주면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링기어의 상단을 커버하는 가이드링과, 상기 링기어과 가이드링의 내주면을 커버하면서 회전하도록 링기어와 연결되는 내측 하우징과, 상기 호퍼의 내주 경사면에 나선모양으로 밀착되다가 하부로 갈수록 지름이 좁아지면서 상기 내측 하우징의 내주면에 고정되어 동시 회전되는 스크류와, 상기 스크류의 상단에 일체로 고정되어 동시 회전되면서 호퍼의 내주면에 닿은 식품가공용 재료를 긁어서 모아주는 스크레이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스크류는 나선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호퍼에 공급된 식품가공용 재료가 상기 충진실의 내부로 용이하게 이송되도록 나선방향을 따라 일정한 평면(폭)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제2 재료이송수단은, 상기 충진실을 관통하여 상기 중공축 모터에 회전가능케 결합되는 회전축과, 상기 충진실의 내주면과 둘레 일측이 편심 접촉되어 회전되면서 공급된 식품가공용 재료를 압축하도록 상기 회전축의 일측단에 일체로 고정된 캠롤러와, 상기 충진실의 내부면과 항상 접촉되어 회전되면서 상기 캠롤러에 의해 압축된 식품가공용 재료를 긁어줌과 동시에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캠롤러의 직경 중심을 가로질러 유동가능케 지지되는 복수의 임펠러와, 상기 충진실의 내주면 양 측단과 상기 캠롤러의 외주면 양 측단 사이에 각각 끼워맞춤되어 틈새를 밀봉하는 좌우 한쌍의 밀봉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캠롤러의 한쪽 측면에 대하여 직경 중심에는 상기 복수의 임펠러가 열십자 모양으로 겹쳐진 채로 삽입되도록 열십자 모양의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임펠러는 그들 한쪽 측면 중앙에 디긋(ㄷ)자 모양으로 개구된 유동홈이 각각 형성되면서 이들 유동홈의 개구방향으로 서로 마주함과 동시에 열십자 모양으로 겹쳐진 채로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기어유닛은, 상기 지지대의 일측단을 수직으로 관통하면서 회전 자유롭게 지지된 제1 축과, 상기 제1 축의 하단과 상기 회전축의 끝단에 서로 대응되게 기어맞춤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한 쌍의 베벨기어과, 상기 제1 축의 상단에 결합되어 동시 회전되는 작은기어와, 상기 지지대의 타측단 상면에 고정된 제2 축에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면서 상기 작은기어와 상기 링기어를 연결하도록 기어맞춤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큰기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식품가공 충진기는 호퍼에 공급된 식품가공용 재료를 바깥에서 안쪽으로 긁어주면서 충진실의 내부를 향해 나선방향으로 이송시키도록 호퍼의 내부에 나선방향으로 회전되는 제1 재료이송수단이 설치되고, 충진실의 내부에 공급된 식품가공용 재료를 긁어주면서 배출구를 통해 배출시킬 때 압축시키도록 충진실의 내부에 편심 회전되는 제2 재료이송수단이 설치되며, 제2 재료이송수단을 일방향으로 감속 회전시키면서 제2 재료이송수단과 기어유닛을 매개로 기어접촉된 상기 제1 재료이송수단을 동시 회전시키도록 충진실의 측면에 중공축 모터가 설치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식품가공용 재료가 충진기를 통과하여 배출될 때 밀집도가 균일하면서 일정한 흐름(속도)으로 이송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순대나 소세지 등의 성형시 식품가공용 재료가 불균일하게 응집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제품에 대한 신뢰도를 높일 수 있으며, 또한 충진기를 소형화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구조를 단순화시켜 고장수리가 용이하도록 함은 물론 제조 원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품가공 충진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품가공 충진기를 평면에서 본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식품가공 충진기를 저면에서 본 결합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식품가공 충진기의 요부 단면 처리하여 본 결합 사시도,
도 5는 도 2의 A-A선에서 본 종단면도,
도 6은 도 2의 B-B선에서 본 종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식품가공 충진기는, 지지구조물에 지지되도록 하부에 받침대(10a)가 형성되고 상부에 주입구(10b) 및 정면 일측에 배출구(12)가 형성된 충진실(10)과, 상기 충진실(10)의 주입구(10b)에 설치되는 호퍼(20)와, 상기 호퍼(20)에 공급된 식품가공용 재료를 바깥에서 안쪽으로 긁어줌과 동시에 충진실(10)의 내부를 향해 나선방향으로 이송시키면서 밀집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도록 호퍼(20)의 내주면에 나선방향으로 밀착되어 회전되는 제1 재료이송수단(30)과, 상기 충진실(10)의 내부에 공급된 식품가공용 재료를 긁어줌과 동시에 상기 배출구(12)를 통해 배출시킬 때 압축시키면서 밀집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도록 충진실(10)의 내부에 편심 회전되는 제2 재료이송수단(40)과, 상기 제2 재료이송수단(40)을 일방향으로 감속 회전시키도록 상기 충진실(10)의 측면에 모터스페이서(52)를 매개로 고정된 중공축 모터(50)와, 상기 중공축 모터(50)의 동력을 제1 재료이송수단(30)을 매개로 전달받아 상기 제2 재료이송수단(40)을 일방향으로 동시 감속 회전시키도록 중공축 모터(50)의 상면 일측에 지지대(54)를 매개로 지지된 기어유닛(60)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상기 배출구(12)는 상기 주입구(10b)을 기준으로 상기 충진실(10)의 정면측으로 120°각도로 위치하도록 설치되면서 안쪽보다 바깥쪽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경사져 있으며, 이 출구 끝단에는 순대나 소세지 등의 완제품 성형이 용이하도록 별도의 플렉시블(flexible)한 충진관이 연결되어 진다.
상기 제1 재료이송수단(30)은, 상기 충진실(10)의 주입구(10b)에 고정되며 둘레 일측 높이에 개구부(31a)가 형성된 외측 하우징(31)과, 상기 외측 하우징(31)의 내주면에 대하여 하단으로부터 일정한 높이에 고정된 기어받침링(32)과, 상기 외측 하우징(31)의 내주에 대하여 상기 기어받침링(32)에 안착되면서 기어면이 상기 개구부(31a)의 높이에 위치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링기어(33)와, 상기 외측 하우징(31)의 내주면 상단에 다수의 체결볼트(34)를 매개로 결합되어 상기 링기어(33)의 상단을 커버하는 가이드링(35)과, 상기 링기어(33)과 가이드링(35)의 내주면을 커버하면서 회전하도록 링기어(33)와 연결핀(36)을 매개로 연결되는 내측 하우징(37)과, 상기 호퍼(20)의 내주 경사면에 나선모양으로 밀착되다가 하부로 갈수록 지름이 좁아지면서 상기 내측 하우징(37)의 내주면에 고정되어 동시 회전되는 스크류(38)와, 상기 스크류(38)의 상단에 일체로 고정되어 동시 회전되면서 호퍼(20)의 내주면에 닿은 식품가공용 재료를 긁어서 모아주는 스크레이퍼(39)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스크류(38)는 나선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호퍼(20)에 공급된 식품가공용 재료가 상기 충진실(10)의 내부로 용이하게 이송되도록 나선방향을 따라 일정한 평면(폭)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크레이퍼(39)는 상기 호퍼(20)의 내주 경사면에 대응하여 긴밀하게 밀착되는 좌우면적보다 상하면적이 넓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재료이송수단(40)은, 상기 충진실(10)과 모터스페이서(52)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상기 중공축 모터(50)에 회전가능케 결합되는 회전축(41)과, 상기 충진실(10)의 내주면과 둘레 일측이 편심 접촉되어 회전되면서 공급된 식품가공용 재료를 압축하도록 상기 회전축(41)의 일측단에 일체로 고정된 캠롤러(cam roller)(42)와, 상기 충진실(10)의 내부면과 항상 접촉되어 회전되면서 상기 캠롤러(42)에 의해 압축된 식품가공용 재료를 긁어줌과 동시에 상기 배출구(12)를 통해 배출되도록 캠롤러(42)의 직경 중심을 가로질러 유동가능케 지지되는 복수의 임펠러(43)와, 상기 충진실(10)의 내주면 양 측단과 상기 캠롤러(42)의 외주면 양 측단 사이에 각각 끼워맞춤되어 틈새를 밀봉하는 좌우 한쌍의 밀봉부재(44)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회전축(41)은 상기 캠롤러(42)쪽에서 끝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3단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큰 직경은 상기 모터스페이서(52)에 대응하여 헐겁게 끼워맞춤되고, 중간 직경은 상기 중공축 모터(50)에 회전중심홀(56a)에 억지 끼워맞춤되며, 작은 직경은 상기 기어유닛(60)에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연결된다.
상기 캠롤러(42)의 한쪽 측면에 대하여 직경 중심에는 상기 복수의 임펠러(43)가 열십자 모양으로 겹쳐진 채로 삽입되도록 열십자 모양의 가이드홈(42a)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임펠러(43)는 그들 한쪽 측면 중앙에 디긋(ㄷ)자 모양으로 개구된 유동홈(43a)이 각각 형성되면서 이들 유동홈(43a)의 개구방향으로 서로 마주함과 동시에 열십자 모양으로 겹쳐진 채로 상기 가이드홈(42a)에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복수의 임펠러(43)는 그들 유동홈(43a)을 통해 열십자 모양으로 겹쳐진 채로 상기 캠롤러(42)의 가이드홈(42a)에 삽입되면서 그들 4방향 날개 끝단이 상기 충진실(10)의 내주면에 항상 접촉되어 회전되는 구조로서, 그들 4방향 날개 단부가 캠롤러(42)의 편심 회전시 편심량에 따라 가이드홈(42a) 속으로 서서히 함몰되었다가 돌출되면서 캠롤러(42)의 외주면과 충진실(10)의 내주면과의 사이 간극에 압축된 식품가공용 재료를 긁어서 배출구(12)쪽으로 배출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중공축 모터(50)는 회전중심홀(56a)을 가진 감속기(56)와 모터(58)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기어유닛(60)은, 상기 지지대(54)의 일측단을 수직으로 관통하면서 회전 자유롭게 베어링(61)을 매개로 지지된 제1 축(62)과, 상기 제1 축(62)의 하단과 상기 회전축(41)의 끝단에 서로 대응되게 기어맞춤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한 쌍의 베벨기어(63)과, 상기 제1 축(62)의 상단에 결합되어 동시 회전되는 작은기어(64)와, 상기 지지대(54)의 타측단 상면에 고정된 제2 축(65)에 베어링(66)을 매개로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면서 상기 작은기어(64)와 상기 링기어(33)를 연결하도록 기어맞춤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큰기어(67)로 구성되어 있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14는 상기 충진실(10)의 좌우를 커버하는 좌우 한쌍의 덮개판을 나타낸 것이고, 15는 덮개판(14)의 내주면과 상기 회전축(41) 및 캠롤러(42)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각각 매개되는 베어링을 나타낸 것이며, 16은 상기 충진실(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캠롤러(42)의 편심 회전을 안내하는 캠하우징을 나타낸 것이다.
다음은,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식품가공 충진기에 대한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식품가공 충진기를 가동하기 위하여 전원을 공급하면, 모터(58)가 구동되면서 감속기(56)를 구동하게 되고, 이 감속기(56)는 그 회전중심홀(56a)에 삽입된 제2 재료이송수단(40)의 회전축(41)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회전축(41)의 끝단에 연결된 한 쌍의 베벨기어(63)는 동시 회전되면서 제1 축(62)을 매개로 작은기어(64)를 회전시키게 되고, 이 작은기어(64)는 그 둘레측과 기어맞춤된 큰기어(67)를 회전시키게 되며, 이 큰기어(67)는 그 둘레측과 기어맞춤된 제1 재료이송수단(30)의 링기어(33)를 회전시켜 줌으로써 링기어(33)와 연결핀(36)으로 연결된 내측 하우징(37)을 동시 회전시킴과 동시에 내측 하우징(37)에 고정된 스크류(38)를 회전시키게 된다.
즉, 내측 하우징(37)에 고정된 스크류(38)가 회전되면, 이 스크류(38)는 호퍼(20)의 내주면과 긴밀하게 접촉된 상태로 나선 모양으로 회전됨과 동시에 그 상부 끝단에 고정된 스크레이퍼(39)를 동시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스크레이퍼(39)는 호퍼(20)의 내주 경사면과 대응되게 접촉된 상태로 스크류(38)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동시 회전될 때 호퍼(20)에 공급된 식품가공용 재료를 바깥에서 안쪽으로 긁어서 스크류(38)의 회전 중심 한가운데로 낙하되도록 모아줌과 동시에 스크류(38)의 나선 모양의 평면을 타고 이송되도록 모아줌으로써 식품가공용 재료의 밀집도가 균일하면서 일정한 흐름(속도)으로 충진실(10)의 내부로 공급되도록 유도하게 된다.
그리고, 중공축 모터(5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축(41)이 회전될 때 회전축(41)의 타측단과 일체로 고정된 캠롤러(42)는 회전축(41)의 회전 중심으로 편심 회전되면서 그 가이드홈(42a)에 삽입 결합된 복수의 임펠러(43)를 회전시키게 된다.
즉, 캠롤러(42)는 편심 회전될 때 그 편심량에 따라 복수의 임펠러(43)를 타고 슬라이딩됨과 동시에 편심량이 큰 외주면이 충진실(10)측 캠하우징(16)의 내주면과 항상 접촉된 상태로 구름운동되면서 그 사이로 공급된 식품가공용 재료를 압축하여 밀집도를 높여줌과 동시에 균일하게 형성시키게 된다.
이때, 복수의 임펠러(43)는 그 양쪽 끝단이 충진실(10)측 캠하우징(16)의 내주면과 항상 접촉된 상태에서 캠롤러(42)의 편심 회전력에 의해 함께 회전되면서 캠롤러(42)에 의해 압축된 식품가공용 재료가 일정한 흐름(속도)으로 배출구(1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긁어줌과 동시에 밀어주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식품가공 충진기는 스크류(38)와 스크레이퍼(39)로 이루어진 제1 재료이송수단(30)이 호퍼(20)의 내부에 설치되고, 캠롤러(42)와 임펠러(43)로 이루어진 제2 재료이송수단(40)이 충진실(10)의 내부에 설치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식품가공용 재료가 충진기를 통과하여 배출될 때 밀집도가 균일하면서 일정한 흐름(속도)으로 이송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순대나 소세지 등의 성형시 식품가공용 재료가 불균일하게 응집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제품에 대한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식품가공 충진기는 하나의 중공축 모터(50)를 이용하여 호퍼(20)의 내부에 설치된 제1 재료이송수단(30)과 충진실(10)의 내부에 설치된 제2 재료이송수단(40)을 동시 회전시킬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충진기를 소형화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구조를 단순화시켜 고장수리가 용이하도록 함은 물론 제조 원가를 낮출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기술사상 역시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 : 충진실 10a : 받침대
10b : 주입구 12 : 배출구
20 : 호퍼 30 : 제1 재료이송수단
31 : 외측 하우징 31a : 개구부
32 : 기어받침링 33 : 링기어
34 : 체결볼트 35 : 가이드링
36 : 연결핀 37 : 내측 하우징
38 : 스크류 39 : 스크레이퍼
40 : 제2 재료이송수단 41 : 회전축
42 : 캠롤러 42a : 가이드홈
43 : 임펠러 43a : 유동홈
44 : 밀봉부재 50 : 중공축 모터
52 : 모터스페이서 54 : 지지대
56 : 감속기 56a : 회전중심홀
58 : 모터 60 : 기어유닛
61 : 베어링 62 : 제1 축
63 : 베벨기어 64 : 작은기어
65 : 제2 축 66 : 베어링
67 : 큰기어

Claims (7)

  1. 상부에 주입구(10b) 및 정면 일측에 배출구(12)가 형성된 충진실(10)과,
    상기 충진실(10)의 주입구(10b)에 설치되는 호퍼(20)와,
    상기 호퍼(20)에 공급된 식품가공용 재료를 바깥에서 안쪽으로 긁어줌과 동시에 충진실(10)의 내부를 향해 나선방향으로 이송시키면서 밀집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도록 호퍼(20)의 내주면에 나선방향으로 밀착되어 회전되는 제1 재료이송수단(30)과,
    상기 충진실(10)의 내부에 공급된 식품가공용 재료를 긁어줌과 동시에 상기 배출구(12)를 통해 배출시킬 때 압축시키면서 밀집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도록 충진실(10)의 내부에 편심 회전되는 제2 재료이송수단(40)과,
    상기 제2 재료이송수단(40)을 일방향으로 감속 회전시키도록 상기 충진실(10)의 측면에 고정된 중공축 모터(50)와,
    상기 중공축 모터(50)의 동력을 제1 재료이송수단(30)을 매개로 전달받아 상기 제2 재료이송수단(40)을 일방향으로 동시 감속 회전시키도록 중공축 모터(50)의 상면 일측에 지지대(54)를 매개로 지지된 기어유닛(6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가공 충진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12)는 상기 주입구(10b)을 기준으로 상기 충진실(10)의 정면측으로 120°각도로 위치하도록 설치되면서 안쪽보다 바깥쪽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가공 충진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재료이송수단(30)은,
    상기 충진실(10)의 주입구(10b)에 고정되며 둘레 일측 높이에 개구부(31a)가 형성된 외측 하우징(31)과,
    상기 외측 하우징(31)의 내주면에 대하여 하단으로부터 일정한 높이에 고정된 기어받침링(32)과,
    상기 외측 하우징(31)의 내주에 대하여 상기 기어받침링(32)에 안착되면서 기어면이 상기 개구부(31a)의 높이에 위치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링기어(33)와,
    상기 외측 하우징(31)의 내주면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링기어(33)의 상단을 커버하는 가이드링(35)과,
    상기 링기어(33)과 가이드링(35)의 내주면을 커버하면서 회전하도록 링기어(33)와 연결되는 내측 하우징(37)과,
    상기 호퍼(20)의 내주 경사면에 나선모양으로 밀착되다가 하부로 갈수록 지름이 좁아지면서 상기 내측 하우징(37)의 내주면에 고정되어 동시 회전되는 스크류(38)와,
    상기 스크류(38)의 상단에 일체로 고정되어 동시 회전되면서 호퍼(20)의 내주면에 닿은 식품가공용 재료를 긁어서 모아주는 스크레이퍼(39)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가공 충진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38)는 나선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호퍼(20)에 공급된 식품가공용 재료가 상기 충진실(10)의 내부로 용이하게 이송되도록 나선방향을 따라 일정한 평면(폭)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가공 충진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재료이송수단(40)은,
    상기 충진실(10)을 관통하여 상기 중공축 모터(50)에 회전가능케 결합되는 회전축(41)과,
    상기 충진실(10)의 내주면과 둘레 일측이 편심 접촉되어 회전되면서 공급된 식품가공용 재료를 압축하도록 상기 회전축(41)의 일측단에 일체로 고정된 캠롤러(42)와,
    상기 충진실(10)의 내부면과 항상 접촉되어 회전되면서 상기 캠롤러(42)에 의해 압축된 식품가공용 재료를 긁어줌과 동시에 상기 배출구(12)를 통해 배출되도록 캠롤러(42)의 직경 중심을 가로질러 유동가능케 지지되는 복수의 임펠러(43)와,
    상기 충진실(10)의 내주면 양 측단과 상기 캠롤러(42)의 외주면 양 측단 사이에 각각 끼워맞춤되어 틈새를 밀봉하는 좌우 한쌍의 밀봉부재(4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가공 충진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캠롤러(42)의 한쪽 측면에 대하여 직경 중심에는 상기 복수의 임펠러(43)가 열십자 모양으로 겹쳐진 채로 삽입되도록 열십자 모양의 가이드홈(42a)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임펠러(43)는 그들 한쪽 측면 중앙에 디긋(ㄷ)자 모양으로 개구된 유동홈(43a)이 각각 형성되면서 이들 유동홈(43a)의 개구방향으로 서로 마주함과 동시에 열십자 모양으로 겹쳐진 채로 상기 가이드홈(42a)에 삽입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가공 충진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어유닛(60)은,
    상기 지지대(54)의 일측단을 수직으로 관통하면서 회전 자유롭게 지지된 제1 축(62)과,
    상기 제1 축(62)의 하단과 상기 회전축(41)의 끝단에 서로 대응되게 기어맞춤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한 쌍의 베벨기어(63)과,
    상기 제1 축(62)의 상단에 결합되어 동시 회전되는 작은기어(64)와,
    상기 지지대(54)의 타측단 상면에 고정된 제2 축(65)에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면서 상기 작은기어(64)와 상기 링기어(33)를 연결하도록 기어맞춤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큰기어(67)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가공 충진기.
KR1020140163520A 2014-11-21 2014-11-21 식품가공 충진기 KR1016700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3520A KR101670046B1 (ko) 2014-11-21 2014-11-21 식품가공 충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3520A KR101670046B1 (ko) 2014-11-21 2014-11-21 식품가공 충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1074A true KR20160061074A (ko) 2016-05-31
KR101670046B1 KR101670046B1 (ko) 2016-10-27

Family

ID=56099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3520A KR101670046B1 (ko) 2014-11-21 2014-11-21 식품가공 충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004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2254B1 (ko) * 2021-12-06 2022-12-05 주식회사 원창피드셀 호퍼브릿지방지를 위한 정량피더
CN117803027A (zh) * 2024-03-01 2024-04-02 中建八局第四建设有限公司 一种建筑桩基防偏结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3947B1 (ko) 2020-06-24 2022-09-15 지대호 식품 충진장치
KR102556086B1 (ko) 2022-12-15 2023-07-21 주식회사 에프시이엔지 식재료 정량 토출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7853B1 (ko) * 1987-02-23 1990-10-22 레온 지도끼 가부시끼가이샤 음식재료 압출장치
JPH05236863A (ja) * 1992-03-02 1993-09-17 Higashimoto Kikai:Kk 原料肉の真空充填装置
KR100715183B1 (ko) * 2006-04-19 2007-05-07 정종영 순대충진기
KR20090035366A (ko) * 2007-10-05 2009-04-09 안상열 임펠러형 기능성 순대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7853B1 (ko) * 1987-02-23 1990-10-22 레온 지도끼 가부시끼가이샤 음식재료 압출장치
JPH05236863A (ja) * 1992-03-02 1993-09-17 Higashimoto Kikai:Kk 原料肉の真空充填装置
KR100715183B1 (ko) * 2006-04-19 2007-05-07 정종영 순대충진기
KR20090035366A (ko) * 2007-10-05 2009-04-09 안상열 임펠러형 기능성 순대 제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2254B1 (ko) * 2021-12-06 2022-12-05 주식회사 원창피드셀 호퍼브릿지방지를 위한 정량피더
CN117803027A (zh) * 2024-03-01 2024-04-02 中建八局第四建设有限公司 一种建筑桩基防偏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0046B1 (ko) 2016-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0046B1 (ko) 식품가공 충진기
US7044289B2 (en) Screw conveyor for the transport of flowable substances and/or lumps of material
JP6341921B2 (ja) ブレンダ付きポンプ
CN112354407A (zh) 基于可定量的双料斗进料药剂混合装置
CN111773944B (zh) 一种消毒凝胶搅拌装置
CN211025897U (zh) 一种搅拌均匀的螺带混合机
CN107628413A (zh) 用于粉体给料的装置
CN214398542U (zh) 双出料口螺旋喂料机
EP1544138B1 (en) Loss-in-weight feeder for powders and dry goods
CN214732050U (zh) 一种小麦混合用绞龙
CN109331741A (zh) 一种一体式造粒机
CN113768104B (zh) 一种肉类速冻食品的生产工艺及其装置
CN214877885U (zh) 一种双进口的螺旋喂料机
CN208724779U (zh) 饺子压模除面絮装置及饺子机的机头
CN211521005U (zh) 一种旋转绞龙防结拱破结拱仓底卸料器
RU122249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изделий из теста с начинкой
CN210841542U (zh) 一种食品机械注馅装置
JPS5845725A (ja) 混合撹拌機
CN208832474U (zh) 危险废物回转窑焚烧炉连续进料装置
RU127291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изделий из теста с начинкой
CN210382405U (zh) 一种拌面机面壁除垢装置
CN108739919A (zh) 一种面团输送机
CN116785995B (zh) 一种原料混合用高效搅拌装置
CN220361118U (zh) 一种带有定量进料机构的拌馅机
CN219807317U (zh) 一种平刮板机无残留清料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