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0328A - 머플러 - Google Patents

머플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0328A
KR20160060328A KR1020140162446A KR20140162446A KR20160060328A KR 20160060328 A KR20160060328 A KR 20160060328A KR 1020140162446 A KR1020140162446 A KR 1020140162446A KR 20140162446 A KR20140162446 A KR 20140162446A KR 20160060328 A KR20160060328 A KR 201600603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l
exhaust gas
diaphragm
muffler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2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레이거 진
존 올리버
Original Assignee
포레시아배기컨트롤시스템코리아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레시아배기컨트롤시스템코리아 유한회사 filed Critical 포레시아배기컨트롤시스템코리아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201401624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60328A/ko
Priority to CN201510810901.1A priority patent/CN105626197A/zh
Publication of KR20160060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03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00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 F01N1/08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reducing exhaust energy by throttling or whirling
    • F01N1/083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reducing exhaust energy by throttling or whirling using transversal baffles defining a tortuous path for the gases or successively throttling gas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00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 F01N1/08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reducing exhaust energy by throttling or whirling
    • F01N1/084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reducing exhaust energy by throttling or whirling the gases flowing through the silencer two or more times longitudinally in opposite directions, e.g. using parallel or concentric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05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draining or otherwise eliminating condensates or moisture accumulating in the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490/00Structure, disposition or shape of gas-chambers
    • F01N2490/02Two or more expansion chambers in series connected by means of tubes
    • F01N2490/06Two or more expansion chambers in series connected by means of tubes the gases flowing longitudinally from inlet to outlet in opposite dir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490/00Structure, disposition or shape of gas-chambers
    • F01N2490/15Plurality of resonance or dead chambers
    • F01N2490/155Plurality of resonance or dead chambers being disposed one after the other in flow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머플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머플러는, 내부 공동을 포함하는 쉘, 상기 쉘의 내부에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쉘의 내벽에 연결되는 복수의 격판, 그리고 상기 복수의 격판 중 하나 이상의 격판과 각각 연결되는 배기 가스 유입 파이프 및 배기 가스 배출 파이프를 포함한다. 또한 머플러는 상기 쉘의 하부 영역에서 상기 복수의 격판 중 하나 이상의 격판과 연결되는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이러한 플레이트는 상기 쉘의 내벽과의 사이에서 통로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통로는 상기 쉘의 하부 영역에 위치됨으로써, 상기 쉘 내로 유입된 배기 가스가 상기 통로를 지나 상기 쉘 밖으로 배출되는 동안 상기 쉘의 하부 영역에 고인 응축물이 상기 배기 가스에 의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즉, 배기 가스는 쉘의 하부 영역에 형성된 통로를 지나면서 하부 영역에 모인 응축물을 쓸어 내어 배기 가스 배출 파이프를 통해 응축물을 쉘 외부로 배출시킨다.

Description

머플러{MUFFLER}
본 발명은 머플러에 관한 것으로서, 머플러의 하부 영역에 배기 가스가 안내될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하여 머플러 하부 영역의 응축물을 배기 가스가 스위핑(sweeping)할 수 있도록 한 머플러에 관한 것이다.
내연 기관으로부터 방출된 고온의 배기 가스는 증발된 액체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배기 가스 내의 증기는 가스가 냉각됨에 따라 응축된다. 이와 같은 응축은 차량 운중 중 배기 가스가 엔진으로부터 멀리 이동하였을 때 발생하는 냉각 작용에 의해 머플러 내에서 발생할 수 있다. 머플러 내의 응축물은 머플러의 저부에 고일 수 있다. 또한, 응축물은 머플러 내면과 격판이 접합된 부분과 같은 유폐된 영역(confined area)에 고일 수 있다. 이렇게 머플러 내에서 존재하는 응축물은 머플러 부품의 부식을 야기한다. 또한 머플러 내의 온도가 올라가게 되면, 고인 응축물은 머플러 부품의 매우 큰 부식을 야기할 수 있다.
종래에는 머플러 내의 응축물을 제거하고자 머플러 내부 챔버에서 연장 배치되는 사이펀관을 사용하였다. 하지만, 사이펀관을 사용하더라도 머플러의 하부 영역이나 유폐된 영역에 모인 응축물은 효과적으로 제거되지 않았다.
또 다른 방법으로서, 종래에는 머플러 내에 응축물이 고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머플러 하단부에 구멍을 뚫어 이 구멍으로 응축물이 배출되도록 하는 방법을 취하였다. 그러나 머플러 하단부에 구멍을 뚫는 것은 몇몇 타입의 머플러에는 적용될 수 없는 방법이고, 특히 차고에 차가 주차되는 경우 응축물이 차고 바닥으로 떨어지게 되어 사용자가 이러한 방법을 원치 않는다.
본 발명은 머플러 내부의 하부 영역에 응축물이 고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머플러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은, 배기 가스가 머플러 내부의 하부 영역으로 흐르도록 하여 배기 가스가 하부 영역에 모인 응축물들을 스위핑하도록 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장치 내부에 유폐된 영역이 형성되는 것을 최소화함으로써, 유폐된 영역에 응축물들이 고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머플러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머플러의 제조를 위한 스터핑(stuffing)공정 수행 시, 격판의 파이프 홀과 격판의 단부 사이에서 일어날 수 있는 벤딩을 차단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격판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머플러는, 내부 공동을 포함하는 쉘, 상기 쉘의 내부에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쉘의 내벽에 연결되는 복수의 격판, 그리고 상기 복수의 격판 중 하나 이상의 격판과 각각 연결되는 배기 가스 유입 파이프 및 배기 가스 배출 파이프를 포함한다. 또한 머플러는 상기 쉘의 하부 영역에서 상기 복수의 격판 중 하나 이상의 격판과 연결되는 플레이트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플레이트는 상기 쉘의 내벽과의 사이에서 통로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통로는 상기 쉘의 하부 영역에 위치됨으로써, 상기 쉘 내로 유입된 배기 가스가 상기 통로를 지나 상기 쉘 밖으로 배출되는 동안 상기 쉘의 하부 영역에 고인 응축물이 상기 배기 가스에 의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즉, 배기 가스는 쉘의 하부 영역에 형성된 통로를 지나면서 하부 영역에 모인 응축물을 쓸어 내어 배기 가스 배출 파이프를 통해 응축물을 쉘 외부로 배출시킨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배기 가스 유입 파이프의 단부 영역이 연결된 격판과 상기 배기 가스 배출 파이프의 단부 영역이 연결된 격판 사이에서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격판은 제1 격판 및 제2 격판을 포함하고, 상기 쉘은 상기 제1 격판의 일측에 의해 정의되는 제1 챔버, 상기 제1 격판의 타측과 상기 제2 격판의 일측에 의해 정의되는 제2 챔버, 그리고 상기 제2 챔버의 타측에 의해 정의되는 제3 챔버를 포함하며, 상기 배기 가스 유입 파이프는 상기 제1 격판을 지나 상기 제2 격판까지 연장되어 배기 가스를 상기 제3 챔버로 유입시키고, 상기 제3 챔버의 배기 가스는 상기 통로를 지나 상기 제1 챔버로 흐르며, 상기 배기 가스 배출 파이프는 상기 제2 격판을 지나 상기 제1 격판까지 연장되어 상기 제1 챔버의 배기 가스를 상기 쉘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플레이트 또는 상기 배기 가스 배출 파이프는 복수의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격판 중 하나 이상의 격판은 격판의 단부 둘레면이 상기 쉘의 내벽과 접촉하지 않는 비접촉 에지를 포함하고, 상기 배기 가스는 상기 쉘의 내벽과 상기 비접촉 에지 사이를 통해 흐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격판의 비접촉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격판은 상기 쉘의 하부 영역에 인접한 부분에 응축물이 통과하는 응축홀을 포함하는 제3 격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머플러 내부 하부 영역으로 배기 가스가 지나가면서, 하부 영역에 모인 응축물을 스위핑하여 장치 밖으로 배출시킬 수 있는바, 머플러 내부 하부 영역에 응축물이 고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머플러 하부 영역에서 격판이 머플러와 접촉하지 않음으로써, 격판과 머플러의 접합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유폐된 영역이 최소화될 수 있고, 따라서 유폐된 영역에서부터 장치의 부식이 일어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사이펀관 없이도 응축물을 효과적으로 머플러 밖으로 배출할 수 있고, 별도의 플레이트를 구비함으로써 챔버들을 연결하기 위해 종래에 사용되었던 중간 파이프를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최소 질량 유량이 종래 머플러보다 작아 차량이 저속으로 움직일 때에도 장치 내부의 응축물을 효과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으며, 같은 시간 동안 종래 머플러에 비해 더 많은 응축물을 배출시킬 수 있어 장치의 부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격판의 단부를 파이프가 통과할 수 있는 개방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스터핑 공정 시 벤딩이 일어날 수 있는 영역을 제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일반적인 격판은 머플러 쉘의 단면을 모두 덮도록 배치되었다. 그리고 격판상에 형성된 홈을 통과하도록 파이프가 배치되었다. 이러한 구조의 격판에 따르면 스터핑 공정 시 격판의 단부 영역(예컨대 파이프용 홀과 머플러 쉘 내벽 사이의 영역)에서 벤딩이 일어나는 문제가 있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격판의 단부 영역을 제거함으로써 스터핑 공정 시 벤딩이 일어날 수 있는 영역을 제거하였다. 그에 따라 벤딩 문제를 해결할 뿐 아니라, 벤딩에 완전히 노출되었던 종래의 격판에 비해 격판을 더 얇게 형성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머플러를 내부가 보이도록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격판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머플러에서 배기 가스가 흐르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머플러(1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은 머플러(100)의 내부가 잘 보일 수 있도록 장치의 벽이 투명하게 도시되어 있다. 머플러(100)는 쉘(110), 복수의 격판(120, 130, 140), 배기 가스 배출 파이프(150), 배기 가스 유입 파이프(160), 그리고 플레이트(170)를 포함한다.
쉘(110)은 머플러(100)의 하우징을 이루는 구성으로써, 쉘(110)의 내부에는 공동이 형성된다. 배기 가스는 쉘(100) 내부의 공동에 배치된 파이프들을 따라 안내된다. 쉘(110)의 일측에는 배기 가스 유입 파이프(160)가 통과하는 홀이 형성될 수 있고, 쉘(110)의 타측에는 배기 가스 배출 파이프(150)가 통과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쉘(110)은 상부 쉘과 하부 쉘이 서로 결합되는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하지만, 쉘의 제조 방식은 일정 방식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2개 이상의 여러 분할된 부분들이 결합되는 방식 또는 일체로 형성되는 방식 등 다양한 제조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복수의 격판(120, 130, 140)은 쉘(110)의 내부 공동 내에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격판에 배기 가스가 통과할 수 있는 복수의 홀이 형성됨으로써, 배기 가스의 온도저하 및 압력감소에 따른 소음 저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복수의 격판(120, 130, 140)은 쉘(110) 내에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쉘(110)의 내벽과 이격된 격판들로 둘러싸인 챔버가 정의된다. 격판은, 격판 둘레면의 일정 부분 이상이 쉘(110)의 내벽에 연결되어 지지될 수 있고, 또는 쉘(110)의 내벽에 연결되지 않고 파이프들에 지지될 수도 있다. 그 외에 격판을 지지하는 다양한 구조 및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격판(120, 130, 140)은 제1 격판(120), 제2 격판(130), 및 제3 격판(140)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격판은 쉘(110) 내에서 챔버를 정의한다. 예컨대, 쉘(110)의 내벽과 제1 격판(120)의 일측에 의해 제1 챔버(111)가 정의되고, 제1 격판(120)의 타측과 제2 격판(130)의 일측에 의해 제2 챔버(112)가 정의되며, 제2 격판(130)의 타측과 제3 격판(140)의 일측에 의해 제3 챔버(113)가 정의되고, 제3 격판(140)의 타측과 쉘(110)의 내벽에 의해 제4 챔버(114)가 정의된다. 이하 본원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여 격판을 설명한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격판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에는 제1 격판(120)이 도시되어 있다. 제1 격판(120)에는 배기 가스가 통과할 수 있는 복수의 홀(121)이 형성될 수 있다. 홀의 크기 및 개수는 머플러의 요구되는 소음 특성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제1 격판(120)에는 배기 가스 배출 파이프(150)가 통과하는 배출 파이프 홀(122)과 배기 가스 유입 파이프(160)가 통과하는 유입 파이프 홀(123)이 형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파이프가 격판을 통과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파이프용 홀이 격판에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격판(120)은 접촉 에지(124)와 비접촉 에지(125)를 포함한다. 접촉 에지(124)는 쉘(110)의 내벽과 접촉하며 배기 가스는 접촉 에지(124)와 쉘(110) 사이로는 안내되지 못한다. 이에 반하여 제1 격판(120)의 비접촉 에지(125)는 쉘(110)의 내벽에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쉘(110)의 내벽과 제1 격판(120)의 비접촉 에지(125) 사이를 통해 배기 가스가 안내될 수 있다.
도 2b에는 제2 격판(130)이 도시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격판(130)은 제1 격판(120)과 마찬가지로 배기 가스가 통과할 수 있는 복수의 홀(131)과 배기 가스 배출 파이프(150)가 통과하는 배출 파이프 홀(132) 및 배기 가스 유입 파이프(160)가 통과하는 유입 파이프 홀(133)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격판(130) 역시 쉘(110)의 내벽에 접촉하는 접촉 에지(134)와 쉘(110)의 내벽에 접촉하지 않는 비접촉 에지(135)를 포함할 수 있다. 쉘(110)의 내벽과 제2 격판(130)의 비접촉 에지(135) 사이를 통해 배기 가스가 안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제1 격판(120)의 비접촉 에지(125)와 제2 격판(130)의 비접촉 에지(135)가 쉘(110)의 하부 영역에 오도록, 제1 격판(120) 및 제2 격판(130)이 쉘(110) 내에 배치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서는, 격판들에 형성된 비접촉 에지가 직선의 형상을 취하나, 이러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격판 내부로 오목하게 들어가는 형상과 같은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다.
본 발명과 같이 격판의 일단부에 비접촉 에지를 형성하는 경우, 즉, 격판의 단부를 개방형으로 형성하는 경우, 종래와 같이 격판이 쉘의 단면을 모두 덮지 않는다. 종래와 같이 격판이 쉘의 단면을 모두 덮는 경우 스터핑 공정 중 격판의 단부 영역에서 벤딩이 일어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비접촉 에지는 이러한 벤딩이 일어날 수 있는 영역을 제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벤딩 현상이 제거되면 격판의 두께를 더 얇게 구현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복수의 격판은 제3 격판(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c는 제3 격판(140)을 도시한다. 제3 격판(140)에는 배기 가스 배출 파이프(150)가 통과하는 배출 파이프 홀(14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3 챔버(113)와 제4 챔버(114)간 연통을 허용하는 추가 파이프(180)가 통과하는 추가 파이프 홀(142)가 제3 격판(140)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 격판(140)에는 배기 가스가 통과할 수 있는 홀이 형성되지 않는다. 대신, 제3 격판(140)의 일측에는 제4 챔버(114)의 응축물이 제3 챔버(113)를 향해 통과할 수 있는 응축홀(143)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응축홀(143)이 쉘(110)의 하부 영역에 인접한 부분에 올 수 있도록 제3 격판(140)이 쉘(110) 내에 배치된다.
플레이트(170)는 쉘(110)의 하부 영역에서 복수의 격판 중 하나 이상의 격판과 연결되도록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플레이트(170)가 제1 격판(120)과 제2 격판(130)에 연결되는 것으로 예시한다. 이때, 플레이트(170)는 제1 격판(120)의 비접촉 에지(125)와 제2 격판(130)의 비접촉 에지(135)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본원 도 1을 참조하면, 플레이트(170)와 쉘(110)의 내벽 사이에 배기 가스가 흐를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되고, 이러한 통로는 쉘(110)의 하부 영역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제1 격판(120)의 비접촉 에지(125)와 제2 격판(130)의 비접촉 에지(135)는 각각 통로의 양 단부를 정의하게 된다.
본 발명과 같이 쉘(110)의 하부 영역에 플레이트(170)를 배치하는 경우, 챔버간 연통을 위해 종래에 사용되어 오던 중간 파이프가 제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쉘의 내벽과 제1 격판(120)의 비접촉 에지(125)가 형성하는 영역의 넓이 및 쉘의 내벽과 제2 격판(130)의 비접촉 에지(135)가 형성하는 영역의 넓이는 각각 종래 사용되어 오던 중간 파이프 양 단의 단면 넓이와 같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플레이트(170)는 배기 가스 유입 파이프(160)의 단부 영역이 연결된 격판과 배기 가스 배출 파이프(150)의 단부 영역이 연결된 격판 사이에서 연장한다. 예컨대, 도 1의 실시예의 플레이트(170)는 배기 가스 유입 파이프(160)의 단부 영역이 연결된 제2 격판(130)과 배기 가스 배출 파이프(150)의 단부 영역이 연결된 제1 격판(120) 사이에서 연장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배기 가스 유입 파이프(160)를 통해 유입된 배기 가스는 플레이트(170)에 의해 쉘(110)의 하부 영역에 형성된 통로를 통해 흐르고 배기 가스 배출 파이프(150)를 통해 쉘(1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170)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플레이트(170)에는 배기 가스가 통과할 수 있는 복수의 구멍(171)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플레이트(170)에 형성된 구멍(171)의 개수 또는 총 넓이는 종래에 사용되어 오던 중간 파이프에 형성된 구멍의 개수 또는 총 넓이와 같을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플레이트(170)는 쉘의 내벽에 연결될 수 있고, 또는 쉘의 내벽과 일정 크기의 간격을 형성하여 떨어져 배치될 수도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기 가스 유입 파이프(160) 또는 배기 가스 배출 파이프(150)에 배기 가스가 통과할 수 있는 복수의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플레이트(170), 배기 가스 유입 파이프(160), 그리고 배기 가스 배출 파이프(150)에 형성된 구멍의 개수, 크기, 형상 및 플레이트(170)와 쉘(110)의 내벽과의 간격 크기는 머플러의 요구되는 소음 특성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머플러에서 배기 가스가 흐르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머플러(100) 내에서 배기 가스가 어떻게 흐르는지 설명한다. 한편, 도 4는 설명을 위해 배기 가스 유입 파이프(160)와 배기 가스 배출 파이프(150)가 모두 도시되도록 개략적으로 도시된 것으로서, 각 파이프들과 격판들의 배치는 변경될 수 있음이 당연하다.
배기 가스 유입 파이프(160)는 쉘(110)의 내부로 연장되어 제1 격판(120)을 지나 제2 격판(130)까지 연장되어 배기 가스를 제3 챔버(113)로 유입시킨다. 제3 챔버(113)내로 유입된 배기 가스는 플레이트(170)에 의해 쉘(110)의 하부 영역에 형성된 통로(190)를 통해 흐른다. 배기 가스가 통로(190)를 지나면서 쉘(110)의 하부 영역에 모인 응축물들이 배기 가스에 의해 스위핑된다. 배기 가스는 통로(190)를 지나 제1 챔버(111)로 흐른다. 한편, 제3 격판(140)에 의해 형성된 응축홀(143)을 통해 제4 챔버(114)의 응축물들이 제3 챔버(113)로 모이고 이렇게 모인 응축물 역시 배기 가스에 의해 스위핑될 수 있다.
배기 가스 배출 파이프(150)는 제2 격판(130)을 지나 제1 격판(120)까지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챔버(111)로 흐른 배기 가스는 배기 가스 배출 파이프(150)를 통해 쉘(110)의 외부로 배출되며, 이때 쉘(110)의 하부 영역에서 스위핑된 응축물이 외부로 배출된다. 이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르면 머플러(100) 내에, 특히 하부 영역에 응축물들이 고이거나 머무르거나 모이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장치의 부식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머플러를 적용한 머플러와 종래의 머플러의 성능 테스트 결과를 제시한다. 실시예 1 및 실시예 2는 본 발명에 따른 머플러의 두가지 프로토타입이고 비교예는 종래의 머플러이다.

실시예
비교예
1 2
빈 머플러 무게(kg) 8.563 8.566 8.919
물을 포함한 머플러 무게(kg) 11.063 11.066 11.419
최소 질량 유량(kg/h) 110 110 160
표 1을 참조하면, 실시예 1, 2 그리고 비교예의 머플러 내에 모두 동일한 양의 물이 포함되도록 하였다. 그리고 배기 가스의 질량 유량이 점점 증가하도록 엔진을 작동하였다. 그리고, 머플러 외부로 물이 처음 배출되는 시점의 질량 유량(최소 질량 유량)을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실시예 1 및 2의 경우 최소 질량 유량이 110kg/h 였으나, 비교예의 경우 최소 질량 유량이 160kg/h 였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머플러를 적용한 차량은 보다 저속에서(예컨대 도심 운전) 응축물을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비교예의 경우 응축물을 배출하는데 그만큼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저속 운전만 한 후에 시동을 끈 경우에는 머플러 내부에 응축물이 그대로 남아있을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실시예 1 및 2에 의한 머플러가 부품의 부식에서도 유리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비교예
1 2
표 1에 따른 실험 이후의 물을 포함한 머플러 무게(kg) 11.052 11.508 11.408
15분 테스트 후 머플러 무게(kg) 9.432 9.424 10.256
30분 테스트 후 머플러 무게(kg) 9.359 9.332 10.155
60분 테스트 후 머플러 무게(kg) 9.263 9.180 10.059
15분 테스트 후 제거된 응축물 비율(%) 65.09 65.57 46.28
30분 테스트 후 제거된 응축물 비율(%) 68.02 69.26 50.34
60분 테스트 후 제거된 응축물 비율(%) 71.88 75.36 54.20
표 2를 참조하면, 표 1의 실험 이후에 이어서 실시예 1, 2 및 비교예에 따른 머플러가 동일한 배기 가스 질량 유량을 갖도록 엔진을 작동시켰다. 본 실험의 경우 주어진 질량 유량은 215kg/h이다. 실시예 1의 경우 엔진 작동 후 15분 후에는 머플러 내에 존재하는 최초 응축물의 65.09%가 제거되었고, 30분 후에는 68.02%가 제거되었으며, 60분 후에는 71.88%가 제거되었다. 이에 반하여, 비교예의 경우 엔진 작동 후 15분 후에는 46.28%, 30분 후에는 50.34%, 60분 후에는 54.20%가 제거되었다. 따라서 실시예 1에 따른 머플러가 비교예에 따른 머플러에 비해 주어진 시간 동안 더 많은 응축물을 배출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실시예 2와 비교예를 비교해보아도 마찬가지이다. 결국, 실시예 1 및 2에 의한 머플러가 비교예에 비해 짧은 시간에 응축물을 효과적으로 배출하고 그에 따라 부품의 부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첨부된 청구항에 기재된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100: 머플러 110: 쉘
120: 제1 격판 130: 제2 격판
140: 제3 격판 150: 배기 가스 배출 파이프
160: 배기 가스 유입 파이프 170: 플레이트
190: 통로

Claims (7)

  1. 내부 공동을 포함하는 쉘, 상기 쉘의 내부에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쉘의 내벽에 연결되는 복수의 격판, 그리고 상기 복수의 격판 중 하나 이상의 격판과 각각 연결되는 배기 가스 유입 파이프 및 배기 가스 배출 파이프를 포함하는 머플러에 있어서,
    상기 머플러는 상기 쉘의 하부 영역에서 상기 복수의 격판 중 하나 이상의 격판과 연결되는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쉘의 내벽과의 사이에서 통로를 형성하며,
    상기 통로는 상기 쉘의 하부 영역에 위치되어 상기 쉘 내로 유입된 배기 가스가 상기 통로를 지나 상기 쉘 밖으로 배출되는 동안 상기 쉘의 하부 영역에 고인 응축물이 상기 배기 가스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는 머플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배기 가스 유입 파이프의 단부 영역이 연결된 격판과 상기 배기 가스 배출 파이프의 단부 영역이 연결된 격판 사이에서 배치되는 머플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격판은 제1 격판 및 제2 격판을 포함하고,
    상기 쉘은 상기 제1 격판의 일측에 의해 정의되는 제1 챔버, 상기 제1 격판의 타측과 상기 제2 격판의 일측에 의해 정의되는 제2 챔버, 그리고 상기 제2 챔버의 타측에 의해 정의되는 제3 챔버를 포함하며,
    상기 배기 가스 유입 파이프는 상기 제1 격판을 지나 상기 제2 격판까지 연장되어 배기 가스를 상기 제3 챔버로 유입시키고,
    상기 제3 챔버의 배기 가스는 상기 통로를 지나 상기 제1 챔버로 흐르며,
    상기 배기 가스 배출 파이프는 상기 제2 격판을 지나 상기 제1 격판까지 연장되어 상기 제1 챔버의 배기 가스를 상기 쉘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머플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또는 상기 배기 가스 배출 파이프는 복수의 홀을 포함하는 머플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격판 중 하나 이상의 격판은 상기 쉘의 내벽과 접촉하지 않는 비접촉 에지를 포함하고, 상기 배기 가스는 상기 쉘의 내벽과 상기 비접촉 에지 사이를 통해 흐르는 머플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격판의 비접촉 에지에 연결되는 머플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격판은 상기 쉘의 하부 영역에 인접한 부분에 응축물이 통과하는 응축홀을 포함하는 제3 격판을 포함하는 머플러.
KR1020140162446A 2014-11-20 2014-11-20 머플러 KR2016006032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2446A KR20160060328A (ko) 2014-11-20 2014-11-20 머플러
CN201510810901.1A CN105626197A (zh) 2014-11-20 2015-11-20 消声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2446A KR20160060328A (ko) 2014-11-20 2014-11-20 머플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0328A true KR20160060328A (ko) 2016-05-30

Family

ID=56041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2446A KR20160060328A (ko) 2014-11-20 2014-11-20 머플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60060328A (ko)
CN (1) CN10562619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52927B1 (en) * 2019-11-19 2024-04-09 Woodrow Woods Water drop muffler for diesel powered marine generato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217105Y (zh) * 1994-12-06 1996-01-10 冶金工业部重庆钢铁设计研究院 一种消声器
JP2008157213A (ja) * 2006-12-25 2008-07-10 Sango Co Ltd 消音器
CN202866946U (zh) * 2012-09-26 2013-04-10 上海天纳克排气系统有限公司 车用自动排水消音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52927B1 (en) * 2019-11-19 2024-04-09 Woodrow Woods Water drop muffler for diesel powered marine gen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626197A (zh) 2016-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7147B1 (ko) 차량의 소음기 및 이를 사용한 배기 장치
US5563385A (en) Stamp formed muffler with siphon tube
EP2907997A1 (en) Resonator for vehicle
US5563383A (en) Stamp formed muffler with integral evacuation tube
KR20100005982A (ko) 자동차용 메인 소음기
KR20160060328A (ko) 머플러
US8910747B2 (en) Tail pipe assembly for vehicle
KR100925928B1 (ko) 가변 복합 소음기를 갖춘 차량의 배기 장치
JP2006112327A (ja) 車両用消音器の水抜き構造
CA2151103C (en) Stamp formed muffler with siphon tube
WO2020253435A1 (zh) 注水式尾气处理器
CN103982276B (zh) 水冷散热消音器
KR100765716B1 (ko) 엔진지게차의 배기파이프 장치
KR200416275Y1 (ko) 소음기
KR20120137155A (ko) 차량용 테일 파이프 어셈블리
KR20120137150A (ko) 차량용 테일 파이프 어셈블리
JP4152670B2 (ja) 内燃機関用消音器
CN203847212U (zh) 冷凝式散热型消音器
KR100409574B1 (ko) 부식 방지를 위한 머플러 구조
KR100448767B1 (ko) 스탬프형 머플러를 이용한 소음저감용 차량의 배기시스템
JPS6139081Y2 (ko)
JP6079530B2 (ja) 消音器
RU1778327C (ru) Глушитель шума
JP2001295644A (ja) 排気ガス処理装置
JP2008274767A (ja) 車両用消音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