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9533A - 연직도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연직도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9533A
KR20160059533A KR1020140160819A KR20140160819A KR20160059533A KR 20160059533 A KR20160059533 A KR 20160059533A KR 1020140160819 A KR1020140160819 A KR 1020140160819A KR 20140160819 A KR20140160819 A KR 20140160819A KR 20160059533 A KR20160059533 A KR 201600595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steel
hole
nut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0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창수
이상용
Original Assignee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608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59533A/ko
Publication of KR20160059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95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2Piers; Abutments ; Protecting same against drifting 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직도 조절 장치는, 복수의 프리캐스트 블록을 적층하여 인공구조물을 가설하는 조립식 가설 장치 중 지반에 정착되는 기초시공부 상에 단면의 형상이 동일한 제1 블록 및 제2 블록이 기울어지지 않고 적층되도록 상기 제1 블록 및 상기 제2 블록에 장착되는 연직도 조절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초시공부 상에 적층되는 상기 제1 블록의 측면에 장착되며 연직방향으로 제1 관통홀이 형성된 제1 강재부; 및 상기 제1 블록의 상측으로 적층되는 상기 제2 블록의 측면에 장착되며 상기 연직방향으로 제2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관통홀에 삽입될 수 있는 강봉을 구비하는 제2 강재부;를 포함하며, 상기 강봉은 상기 제1 관통홀에 삽입된 채 제1 너트로 체결되어 상기 제1 관통홀로부터 이탈이 방지되는 동시에 상기 제2 관통홀에 삽입된 채 제2 너트로 체결되어 상기 제2 관통홀로부터 이탈이 방지되며, 외력에 의해 상기 제1 너트 및 상기 제2 너트 중 적어도 하나를 회동시켜 상기 제1 너트 또는 상기 제2 너트가 상기 강봉을 따라 이동되도록 하여 상기 제1 강재부가 장착된 상기 제1 블록 및 상기 제2 강재부가 장착된 상기 제2 블록의 이격된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Description

연직도 조절 장치{Vertical degree control apparatus}
본 발명은 연직도 조절 장치에 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복수의 프리캐스트 블록을 적층하여 인공구조물을 가설하는 조립식 가설 장치 중 지반에 정착되는 기초시공부 상에 단면의 형상이 동일한 제1 블록 및 제2 블록이 기울어지지 않고 적층되도록 상기 제1 블록 및 상기 제2 블록에 장착되는 연직도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대규모화, 고강도화, 초경량화, 장수명화, 기능화 등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를 이용한 조립식 구조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최근 들어 교량 하부구조에 대한 프리캐스트 조립식 기술의 적용이 활발하게 이루어져왔다. 이는 프리캐스트 조립식 기술이 종래의 현장타설 콘크리트 시공으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점을 상당히 해결해 주기 때문이다. 국내 교량 교각의 대부분은 현장타설 콘크리트 교각이 주종을 이루고 있으나, 공사비 및 공기를 포함한 경제성, 교통 혼잡 야기 등의 여러 문제로 하부구조의 중요성이 부각되어 최근 새로운 교각 시스템에 대한 연구와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다.
조립식 시공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주된 요인으로 활발하게 적용되고 있다.
첫째, 프리캐스트 조립식 교각은 관리 시스템이 잘 갖추어진 환경에서 사전제작 되기 때문에 현장타설 시 발생하는 제약사항이 없어 품질과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현장타설 공법과는 달리 이러한 기간 동안 발생할 교통 혼잡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둘째, 공사 현장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사전에 교량 부재를 제작장에서 제작함으로써 건설 노동자들의 현장작업 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고공작업, 수상작업 혹은 고압선 근처와 같은 작업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성을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다.
셋째, 환경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데 이는 현장에서의 대형 장비의 사용이나 사용 기간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장비를 환경에 민감한 영역에서 떨어진 곳에 둘 수 있고 가설 기간 동안만 최소한으로 사용하여 환경 파괴뿐만 아니라 민원 제기 등의 문제도 상당히 줄일 수 있게 된다.
마지막으로, 품질을 높이고 생애주기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사전에 제작하는 교량 부재는 전체 프로젝트의 공정에서 핵심적인 부분이 되지 않기 때문에 사전에 제작할 수 있어서 필요한 만큼의 시간을 사용할 수 있고 잘 갖춰진 환경에서의 제작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점이 기후에 대한 공기 지연의 가능성을 줄이고 교량 부재와 시스템의 품질을 높이는데 도움을 준다.
그러나, 미리 제작된 블록들이 순차적으로 시공되는 과정에서 매칭이 적절히 이루어지지 않아 집중하중이 발생하는 부분은 균열이 나타나거나 부분적으로 파괴될 수 있으며, 하부에 위치한 블록들의 매칭이 적절히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이후에 시공되는 블록들의 매치캐스팅은 더욱 어려워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립식 교각을 시공하는 과정 중에서 미리 제작된 블록들이 매치캐스팅 되도록 연직도를 조절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직도 조절 장치는, 복수의 프리캐스트 블록을 적층하여 인공구조물을 가설하는 조립식 가설 장치 중 지반에 정착되는 기초시공부 상에 단면의 형상이 동일한 제1 블록 및 제2 블록이 기울어지지 않고 적층되도록 상기 제1 블록 및 상기 제2 블록에 장착되는 연직도 조절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초시공부 상에 적층되는 상기 제1 블록의 측면에 장착되며 연직방향으로 제1 관통홀이 형성된 제1 강재부; 및 상기 제1 블록의 상측으로 적층되는 상기 제2 블록의 측면에 장착되며 상기 연직방향으로 제2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관통홀에 삽입될 수 있는 강봉을 구비하는 제2 강재부;를 포함하며, 상기 강봉은 상기 제1 관통홀에 삽입된 채 제1 너트로 체결되어 상기 제1 관통홀로부터 이탈이 방지되는 동시에 상기 제2 관통홀에 삽입된 채 제2 너트로 체결되어 상기 제2 관통홀로부터 이탈이 방지되며, 외력에 의해 상기 제1 너트 및 상기 제2 너트 중 적어도 하나를 회동시켜 상기 제1 너트 또는 상기 제2 너트가 상기 강봉을 따라 이동되도록 하여 상기 제1 강재부가 장착된 상기 제1 블록 및 상기 제2 강재부가 장착된 상기 제2 블록의 이격된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직도 조절 장치는, 상기 강봉에 의해 상기 제1 강재부 및 상기 제2 강재부가 연결되면, 상기 제1 블록의 상단면이 상기 제2 블록에 의해 덮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직도 조절 장치의 상기 제2 강재부는, 상기 제2 블록에 고정되는 수직강재부 및 상기 수직강재부에 장착되며, 상면에 제2-1 관통홀이 형성되고 저면에 상기 제2-1 관통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2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제2-1 관통홀 및 상기 제2-2 관통홀에 의해 포위된 상기 강선이 반경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강재박스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직도 조절 장치의 상기 제2 강재부는, 상면에 제2-3 관통홀이 형성되고 저면에 상기 제2-3 관통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4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제2-3 관통홀 및 상기 제2-4 관통홀에 의해 포위된 다른 강선이 반경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강재박스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직도 조절 장치는, 상기 제1 블록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제1 강재부에 장착되어 사용자가 상기 제1 너트 및 상기 제2 너트 중 적어도 하나를 회동시키도록 하는 작업 공간을 제공하는 작업공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직도 조절 장치에 의하면, 하부의 블록 상에 다른 블록이 적층될 때, 용이하게 블록간의 형상이 일치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적층된 블록들의 연직도를 조절하여, 이후에 시공되는 블록들의 연직도 오차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블록들을 적층하는 작업을 하는 사용자의 작업공간을 제공하여 시공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구조가 간단하여 보수 및 교체가 용이할 수 있다.
도 1은 교량의 일부분인 교각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직도 조절 장치가 장착된 블록을 도시한 개략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직도 조절 장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직도 조절 장치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직도 조절 장치에 의해 블록의 연직도가 조절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8 내지 도 10은 도 5 내지 도 7의 연직도 조절 장치를 확대하여 도시한 개략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직도 조절 장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직도 조절 장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교량의 일부분인 교각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상기 교각은 교량(미도시)의 하부 구조로 교량 거더(미도시)를 지지하고 교량 거더로부터의 하중을 하방 지반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교각은 하부로부터 지반과 맞닿아 있는 기초시공부(3), 상기 기초시공부(3) 상으로 적층되는 동일한 단면의 복수의 블록(B), 상기 복수의 블록(B)의 상측으로 적층되는 상부정착부(P)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정착부(P)의 상측으로 교량 거더가 위치하게 된다.
상기 복수의 블록(B)은 단면적이 원 또는 타원일 수 있으며, 상면은 반경이 점차 줄어들도록 함몰될 수 있으며, 저면은 반경이 점차 늘어나도록 돌출될 수 있다. 즉, 상면의 함몰된 정도와 저면의 돌출된 정도는 동일하여, 복수의 블록(B)이 적층되는 경우, 각각의 블록의 함몰된 상면과 이웃한 블록의 돌출된 저면이 매칭되어 상기 복수의 블록(B)이 안정적으로 적층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직도 조절 장치가 장착된 블록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직도 조절 장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직도 조절 장치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직도 조절 장치(10)는, 복수의 프리캐스트 블록을 적층하여 인공구조물을 가설하는 조립식 가설 장치 중 지반에 정착되는 기초시공부(3) 상에 단면의 형상이 동일한 제1 블록(1) 및 제2 블록(2)이 기울어지지 않고 적층되도록 상기 제1 블록(1) 및 상기 제2 블록(2)의 측면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프리캐스트 블록이란 콘크리트 블록이나 슬래브(slab) 등을 공장에서 미리 성형하는 것을 의미하며, 상기 제1 블록(1) 및 제2 블록(2)은 프리캐스트 블록일 수 있다.
상기 제1 블록(1) 및 제2 블록(2)의 단면적은 원 또는 타원일 수 있으며, 상면은 반경이 점차 줄어들도록 함몰될 수 있으며, 저면은 반경이 점차 늘어나도록 돌출될 수 있다. 즉, 상면의 함몰된 정도와 저면의 돌출된 정도는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1 블록(1)의 상측으로 상기 제2 블록(2)이 적층되는 경우, 상기 제1 블록(1)의 함몰된 상면과 상기 제2 블록(2)의 돌출된 저면이 매칭되어 상기 제2 블록(2)이 안정적으로 상기 제1 블록(1) 상에 적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초시공부(3)란 상기 제1 블록(1) 및 제2 블록(2)이 적층되는 지반에 정착되어 상기 제1 블록(1) 및 제2 블록(2)의 하중을 상기 지반에 전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연직도 조절 장치(10)는 제1 강재부(11) 및 제2 강재부를(12)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강재부(11)는 상기 제1 블록(1)의 측면에 고정되는 제1 수직강재부(111) 및 상기 제1 수직강재부(111)에 장착되며, 제1 관통홀(H)이 형성된 제1 강재박스부(11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수직강재부(111)는 앵커 볼트(미도시) 등에 의해 상기 제1 블록(1)에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강재박스부(113)는 체결부재(T1)에 의해 상기 제1 수직강재부(111)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관통홀(H)은 상기 제1 강재박스부(113)의 상면에 형성된 제1-1 관통홀(h1) 및 상기 제1 강재박스부(113)의 저면에 형성된 제1-2 관통홀(h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1 관통홀(h1) 및 상기 제1-2 관통홀(h2)의 홀의 방향은 연직방향(-z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1 관통홀(h1) 및 상기 제1-2 관통홀(h2)을 동시에 통과한 강선(125)이 연직방향(-z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강재부(12)는 상기 제2 블록(2)의 측면에 고정되는 제2 수직강재부(121) 및 상기 제2 수직강재부(121)에 장착되며, 제2 관통홀(R)이 형성된 제2 강재박스부(12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수직강재부(121)는 앵커 볼트(미도시) 등에 의해 상기 제2 블록(2)에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강재박스부(123)는 체결부재(T2)에 의해 상기 제2 수직강재부(121)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2 관통홀(R)은 상기 제2 강재박스부(123)의 상면에 형성된 제2-1 관통홀(r1) 및 상기 제2 강재박스부(123)의 저면에 형성된 제2-2 관통홀(r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강재부(12)는 상기 제2-1 관통홀(r1) 및 상기 제2-2 관통홀(r2)을 통과한 강봉(125)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강봉(125)은 연직방향(-z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1 관통홀(r1) 및 상기 제2-2 관통홀(r2)에 의해 포위된 상기 강선(125)은 반경방향(±x방향) 또는 원주방향(±y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2-1 관통홀(r1) 및 상기 제2-2 관통홀(r2)이 연직방향(-z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됨에 따라 상기 강선(125)이 반경방향(±x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는 회동축이 2개가 되어, 어느 하나의 회동축에 의해서 회동되는 상기 강선(125)을 다른 회동축이 방해하여 상기 강선(125)의 반경방향(±x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제2 강재박스부(123)에 관통홀이 하나만 형성되어 있다면 상기 관통홀에 삽입된 강선은 상기 관통홀을 회동축으로 하여 반경방향(±x방향)으로의 회동이 자유로울 수 있으며 이는 상기 강선이 연직방향(-z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방해하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강봉(125)은 적어도 일부분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나사산은 상기 제2 강재박스부(123)의 상측에 위치하는 제2 너트(126)에 체결될 수 있으며, 외력에 의해 상기 나사산에 체결된 상기 제2 너트(126)를 조이거나 풀어서 상기 강봉(125)이 상기 제2 관통홀(R)을 따라 연직방향(-z방향) 또는 연직반대방향(+z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너트(126)에 체결된 상기 강봉(125)은 자중에 의해 상기 제2 강재부(12)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너트(126)는 상기 제2 강재부(12)와의 접촉 면적이 커지도록 제2 너트보조부(128)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강봉(125)에 의해 연직방향(-z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는 상기 제2 너트(126)는 상기 제2 강재부(12)에 상기 힘을 전달하게 되는데 이 때, 상기 제2 너트보조부(128)에 의해 분산된 힘이 상기 제2 강재부(12)로 전달되도록 하여 상기 강선(125)이 상기 제2 강재부(12)에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1 블록(1)의 상측으로 상기 제2 블록(2)을 적층하는 경우, 상기 강봉(125)이 구비된 상기 제2 강재부(12)와 상기 제1 블록(1)의 제1 강재부(11)가 연직방향(-z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제2 블록(2)을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2 블록(2)의 단면과 상기 제1 블록(1)의 단면이 일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도 5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기 제1 블록(1) 상에 적층되는 상기 제2 블록(2)의 연직도가 어떻게 조절되는지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직도 조절 장치에 의해 블록의 연직도가 조절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며, 도 8 내지 도 10은 도 5 내지 도 7의 연직도 조절 장치를 확대하여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5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우선 상기 제2 블록(2)을 상기 제1 블록(1)에 적층하기 전에 상기 제1 블록(1)의 상면에 스페이서(S)를 배치한 후 에폭시를 도포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S)는 상기 제2 블록(2)이 적층되는 경우 수평 유지를 위한 구성요소일 수 있으며, 상기 에폭시는 상기 제1 블록(1)과 상기 제2 블록(2)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접착제의 일종일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S)에 의해 상기 제1 블록(1)과 상기 제2 블록(2) 사이의 공간에는 무수축 몰탈(미도시)을 충진하여, 상기 제1 블록(1)과 상기 제2 블록(2) 사이의 공극을 제거할 수 있으며, 이에 관하여는 공지된 기술에 해당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케이블(C)을 이용하여 상기 제2 블록(2)이 상기 제1 블록(1)의 상측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1 블록(1)의 상기 제1 강재부(11)와 상기 제2 블록(2)의 상기 제2 강재부(12)가 연직방향(-z방향)으로 일렬 배치되도록 상기 케이블(C)을 조정할 수 있으며, 상기 케이블(C)은 상기 제2 블록(2)의 제2 강재부(12)에 장착되어 상기 제2 블록(2)을 위치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제2 블록(2)이 상기 제1 블록(1)의 상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한 후, 상기 케이블(C)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시켜 상기 제1 강재부(11)와 상기 제2 강재부(12)가 연직방향(-z방향)으로 수직 일렬 배치되도록 하여, 상기 제2 블록(2)이 상기 제1 블록(1)에 적층되는 대략적인 위치를 매칭시킬 수 있다(도 5 참조).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강재부(11)의 상기 제1 관통홀(H)과 상기 제2 강재부(12)의 상기 제2 관통홀(R)이 연직방향(-z방향)으로 일렬 배치되도록 상기 제2 블록(2)을 위치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블록(2)이 상기 제1 블록(1)의 상측으로 이격된 채 매칭이 완료된 후, 상기 제2 블록(2)과 상기 제1 블록(1)의 이격 거리가 좁아지도록 상기 제2 블록(2)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 블록(2)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2 강재부(12)의 상기 강봉(125)이 상기 제1 강재부(11)의 제1 관통홀(H)에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관통홀(H)에 삽입된 상기 강봉(125)은 제1 너트(116)에 의해 상기 제1 강재박스부(113)에 장착될 수 있다(도 6 참조).
상세하게는, 상기 제1 관통홀(H)에 삽입된 상기 강봉(125)은 상기 제1 강재박스부(113)의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돌출된 상기 강봉(125)이 상기 제1 너트(116)에 의해 체결되어 상기 제1 강재부(11)로부터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너트(116)는 상기 제1 강재박스부(113)와의 접촉 면적이 커지도록 제1 너트보조부(118)를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강봉(125)에 의해 연직반대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는 상기 제1 너트(116)는 상기 제1 강재부(11)에 상기 힘을 전달하게 되는데 이 때, 상기 제1 너트보조부(118)에 의해 분산된 힘이 상기 제1 강재부(11)로 전달되도록 하여 상기 강선(125)이 상기 제1 강재부(11)에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상기 제2 블록(2)이 상기 제1 블록(1) 상에 적층이 완료되면, 상기 제1 블록(1) 및 상기 제2 블록(2)의 연직도를 측정 및 산출할 수 있으며, 상기 연직도는 컴퓨터 시뮬레이팅 및 현장 측정을 통해 획득할 수 있다.
만약, 기설정된 연직도와 획득한 연직도가 다를 경우, 상기 연직도 조절 장치(10)를 통해 연직도를 조정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 너트(116) 및 상기 제2 너트(126) 중 적어도 하나를 조이거나 풀어서 상기 제1 너트(116) 또는 상기 제2 너트(126)가 상기 강봉(125)을 따라 이동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제1 블록(1)과 상기 제2 블록(2)의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블록(1)과 상기 제2 블록(2)이 접촉되었을 경우라도, 상기 제1 블록(1)과 상기 제2 블록(2)은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려울 정도의 공간에 의해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공간은 상기 제1 블록(1)과 상기 제2 블록(2)의 외면의 형상 및 상기 제1 블록(1)과 상기 제2 블록(2) 사이의 이물질에 의해 생길 수 있다.
상기 연직도 조절 장치(10)는 상기 공간을 메우거나 띄울 수 있게 하는 장치일 수 있으며, 띄워진 상기 공간은 무수축 몰탈 등으로 메워질 수 있다.
상기 제2 블록(2)의 보다 정확하고 빠른 연직도 조절을 위해서는 상기 제1 블록(1) 및 상기 제2 블록(2)의 측면에 상기 연직도 조절 장치(10)와 동일한 장치를 복수개 장착하여, 다양한 위치에서 상기 제1 블록(1)과 상기 제2 블록(2)의 이격된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제2 블록(2)의 연직도 조절이 완료되면, 상기 제1 블록(1)에 장착된 상기 제1 강재부(11)를 분리하여 상기 제2 블록(2)의 상측으로 적층되는 제3 블록(미도시)에 장착함으로써 상기 제3 블록의 연직도 조절에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블록(2)에 장착된 상기 제2 강재부(12) 중 상기 강선(125)만을 상기 제3 블록의 제3 강재부(미도시)에 장착시킴으로써 상술한 제2 블록(2)의 연직도 조절과 같은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직도 조절 장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직도 조절 장치는 상술한 연직도 조절 장치의 제2 강재부(12)에 제2-2 강재박스부(1122)가 추가된 내용이므로, 상기 제2-2 강재박스부(1122)에 관한 설명만을 하기로 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직도 조절 장치의 제2 강재부(1120)는, 상면에 제2-3 관통홀(Q1)이 형성되고 저면에 상기 제2-3 관통홀(Q1)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4 관통홀(Q2)이 형성되어 상기 제2-3 관통홀(Q1) 및 상기 제2-4 관통홀(Q2)에 의해 포위된 강선(1125)이 반경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2 강재박스부(112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2 강재박스부(1122)는 제2 블록(102)의 상측으로 적층되는 제3 블록(103)의 제3 강재박스부(136)와 강선(1125)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쉽게 말해, 상기 제2-2 강재박스부(1122)는 상술한 제1 강재박스부(116)와 동일한 구성 및 효과를 갖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상기 제2 블록(102)의 상측으로 적층되는 제3 블록(103)의 연직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제3 강재박스부(136)에 장착된 상기 강선(1125)이 상기 제2-2 강재박스부(1122)의 제2-3 관통홀(Q1) 및 제2-4 관통홀(Q2)에 삽입되어 상기 제2 블록(102) 및 제3 블록(103)의 이격 거리가 조절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2-2 강재박스부(1125)를 구비한 제2 강재부(1120)는 상기 제2 블록 (102)상에 적층되는 제3 블록(103)에 의해 상기 제2 블록(102)의 연직도가 재조정되어야 할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 블록(102)의 상측에 적층된 상기 제3 블록(103)의 연직도를 조정하는 경우, 위치 조정된 상기 제3 블록(103)에 의해 상기 제2 블록(102)의 위치가 변할 수 있으며 재차 상기 제2 블록(102)의 연직도를 조정하여 상기 제2 블록(102) 및 상기 제3 블록(103)의 연직도를 조정해야 하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즉,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강재부(1122)는 제2 블록(102)의 연직도 조절을 위한 제2-1 강재박스부(1121)와 상기 제3 블록(103)의 연직도 조절을 위한 제2-2 강재박스부(1122)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직도 조절 장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직도 조절 장치는, 상기 제1 블록(201)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제1 강재부(211)에 장착되어 사용자가 상기 제1 너트(116, 도 4 참조) 및 상기 제2 너트(126, 도 4 참조) 중 적어도 하나를 회동시키도록 하는 작업 공간을 제공하는 작업공간부(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업공간부(200)는 사용자가 발을 디딜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발판부(210) 및 상기 발판부(210)에 장착되어 사용자가 상기 발판부(2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펜스부(22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발판부(210)는 트러스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펜스부(220)는 상기 발판부(210)의 상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사용자가 기대거나 그립할 수 있는 구성요소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P: 교각
1, 101, 201: 제1 블록
2, 102, 202: 제2 블록
3: 기초시공부
11: 제1 강재부
12: 제2 강재부
111: 제1 수직강재부
121: 제2 수직강재부
125: 강봉
116: 제1 강재박스부
126: 제2 강재박스부

Claims (5)

  1. 복수의 프리캐스트 블록을 적층하여 인공구조물을 가설하는 조립식 가설 장치 중 지반에 정착되는 기초시공부 상에 단면의 형상이 동일한 제1 블록 및 제2 블록이 기울어지지 않고 적층되도록 상기 제1 블록 및 상기 제2 블록에 장착되는 연직도 조절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초시공부 상에 적층되는 상기 제1 블록의 측면에 장착되며 연직방향으로 제1 관통홀이 형성된 제1 강재부; 및
    상기 제1 블록의 상측으로 적층되는 상기 제2 블록의 측면에 장착되며 상기 연직방향으로 제2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관통홀에 삽입될 수 있는 강봉을 구비하는 제2 강재부;를 포함하며,
    상기 강봉은 상기 제1 관통홀에 삽입된 채 제1 너트로 체결되어 상기 제1 관통홀로부터 이탈이 방지되는 동시에 상기 제2 관통홀에 삽입된 채 제2 너트로 체결되어 상기 제2 관통홀로부터 이탈이 방지되며,
    외력에 의해 상기 제1 너트 및 상기 제2 너트 중 적어도 하나를 회동시켜 상기 제1 너트 또는 상기 제2 너트가 상기 강봉을 따라 이동되도록 하여 상기 제1 강재부가 장착된 상기 제1 블록 및 상기 제2 강재부가 장착된 상기 제2 블록의 이격된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연직도 조절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봉에 의해 상기 제1 강재부 및 상기 제2 강재부가 연결되면,
    상기 제1 블록의 상단면이 상기 제2 블록에 의해 덮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직도 조절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강재부는,
    상기 제2 블록에 고정되는 수직강재부 및
    상기 수직강재부에 장착되며, 상면에 제2-1 관통홀이 형성되고 저면에 상기 제2-1 관통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2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제2-1 관통홀 및 상기 제2-2 관통홀에 의해 포위된 상기 강선이 반경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강재박스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직도 조절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강재부는,
    상면에 제2-3 관통홀이 형성되고 저면에 상기 제2-3 관통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4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제2-3 관통홀 및 상기 제2-4 관통홀에 의해 포위된 다른 강선이 반경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강재박스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직도 조절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록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제1 강재부에 장착되어 사용자가 상기 제1 너트 및 상기 제2 너트 중 적어도 하나를 회동시키도록 하는 작업 공간을 제공하는 작업공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직도 조절 장치.

KR1020140160819A 2014-11-18 2014-11-18 연직도 조절 장치 KR201600595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0819A KR20160059533A (ko) 2014-11-18 2014-11-18 연직도 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0819A KR20160059533A (ko) 2014-11-18 2014-11-18 연직도 조절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9533A true KR20160059533A (ko) 2016-05-27

Family

ID=56105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0819A KR20160059533A (ko) 2014-11-18 2014-11-18 연직도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5953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96917A (zh) * 2019-07-13 2019-11-01 济邦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立交桥拼接式墩柱
KR20230013817A (ko) 2021-07-20 2023-01-2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프리캐스트 구조물용 지그를 이용한 기둥구조물 시공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96917A (zh) * 2019-07-13 2019-11-01 济邦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立交桥拼接式墩柱
CN110396917B (zh) * 2019-07-13 2021-02-05 成都市路桥工程股份有限公司 一种立交桥拼接式墩柱
KR20230013817A (ko) 2021-07-20 2023-01-2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프리캐스트 구조물용 지그를 이용한 기둥구조물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9586B1 (ko) 라멘화된 교량용 거더, 라멘화된 교량용 거더의 제작방법 및 라멘화된 교량용 거더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JP4929331B2 (ja) 鉄骨露出型柱脚部の施工方法
CN102561712A (zh) 大型钢柱、设备基础固定螺栓精确定位架及其施工方法
JP2013112926A (ja) 太陽光発電装置の基礎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101339946B1 (ko) 프리캐스트 조립식 교각
US9540783B2 (en) Tie rod for structural projects
CN112627547A (zh) 安置隔震橡胶支座的置放平台的施工方法
CN201013008Y (zh) 斜拉桥索塔锚固区的牛腿
CN107524096A (zh) 一种悬灌连续梁0#块现浇支架及搭设方法
KR20160059533A (ko) 연직도 조절 장치
JP2967876B1 (ja) コンクリート床版の形成方法及び上路式吊構造橋の構築方法
CN110284589B (zh) 轮毂式预制混凝土梁柱装配式自复位系统及施工方法
JP2008285952A (ja) 免震建物構造
JP6134231B2 (ja) ベースプレート位置調整システム
JP2014001550A (ja) 連結用スラブ及びその構築方法
JP2022130986A (ja) 滑り免震装置の取り付け方法
CN109898540B (zh) 桥梁桥墩、承台及桩基间的湿式接头结构及其施工工艺
CN106638650B (zh) 装配式混凝土基础结构
JP3244102U (ja) スチールハウスの基礎構造およびそれに用いるアンカーセット
JP7290940B2 (ja) 免震装置据付用部材、免震装置架台構造及び免震装置架台の構築方法
KR20160011464A (ko) 인크로징 철탑 각입 셋팅장치
CN103774845A (zh) 一种高层大跨劲性阻尼结构施工方法
CN214738814U (zh) 切角多边形柱脚
RU2528753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силения сплошных железобетонных плит
CN215759739U (zh) 一种隔震支座安装定位及平整度精细调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