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9042A - 작업기계의 파킹 브레이크 시스템 - Google Patents

작업기계의 파킹 브레이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9042A
KR20160059042A KR1020140160003A KR20140160003A KR20160059042A KR 20160059042 A KR20160059042 A KR 20160059042A KR 1020140160003 A KR1020140160003 A KR 1020140160003A KR 20140160003 A KR20140160003 A KR 20140160003A KR 20160059042 A KR20160059042 A KR 201600590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clutch
parking brake
driver
work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0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5518B1 (ko
Inventor
백정훈
이재훈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600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5518B1/ko
Publication of KR20160059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90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5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55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K23/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ain transmission clu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1/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 B60T11/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transmitting by fluid means, e.g. hydraul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기계의 파킹 브레이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운전자가 작업기계를 파킹 또는 파킹 해제를 위해 조작하는 파킹 스위치; 상기 파킹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전진용 클러치와 후진용 클러치가 동시에 작동 또는 작동 해제되어 상기 작업기계를 파킹 또는 파킹 해제시키는 클러치 파킹부; 압유를 생성 공급하는 차징펌프와, 상기 차징펌프의 출구측에 설치되어 상기 클러치 파킹부가 작동 또는 작동 해제되도록 압유를 공급 또는 차단하는 전진 클러치용 비례제어밸브 및 후진 클러치용 비례제어밸브를 포함하는 압유 구동부; 및 상기 파킹 스위치로부터 파킹 작동 신호를 입력 받으면, 상기 전진 클러치용 비례제어밸브와 상기 후진 클러치용 비례제어밸브를 동시에 구동시키고, 이후 상기 파킹 스위치로부터 파킹 해제 신호를 입력 받으면, 상기 전진 클러치용 비례제어밸브와 상기 후진 클러치용 비례제어밸브의 구동을 동시에 차단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작업기계의 파킹 브레이크 시스템은, 엔진이 시동 온 상태일 때, 운전자가 운전석을 이석하게 되면 착석감지센서의 이석신호에 따라 파킹 브레이크 유닛이 아닌 전진용 및 후진용 클러치에 의한 클러치 파킹부의 작동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운전자가 운전석을 이석할 때마다 별도의 파킹 브레이크를 조작해야 함에 따른 수고를 덜 수 있고, 운전자의 부주의로 인해 별도의 파킹 브레이크를 작동시키지 않고 하차함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지게차의 안전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작업기계의 파킹 브레이크 시스템은, 엔진이 시동 온 상태일 때, 운전자가 파킹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파킹 브레이크 유닛이 아닌 전진용 및 후진용 클러치에 의한 클러치 파킹부의 작동이 수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운전자가 운전석을 이석할 때마다 별도의 파킹 브레이크를 조작해야 함에 따른 수고를 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작업기계의 파킹 브레이크 시스템은, 엔진이 시동 온 상태일 때 유압의 힘에 의하여 파킹 브레이크 유닛의 작동이 해제되고, 엔진이 시동 오프 상태일 때 유압이 제거되면서 파킹 브레이크 유닛의 작동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별도의 브레이크 조작이 필요 없어 운전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엔진이 시동 오프인 상태에서만 파킹이 구현되므로 파킹 브레이크 유닛을 구성하기 위한 부품을 간소화할 수 있어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작업기계의 파킹 브레이크 시스템{PARKING BRAKE SYSTEM FOR WORKING EQUIPMENT}
본 발명은 작업기계의 파킹 브레이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작업기계는 산업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작업의 다양성으로 인해, 굴삭장비, 적재장비, 운반장비, 하역장비, 다짐장비, 기초공사장비 등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지게차, 불도저, 굴삭기 등과 같이 상당히 많은 종류의 장비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일반적으로 작업기계인 지게차는 비교적 고중량의 하물(荷物)을 들어올리고 내리거나 혹은 이 하물을 제한된 작업 환경에서 원하는 위치로 운반하기 위한 장비이다.
이러한 지게차는 엔진지게차와 전동지게차로 구분되는데, 엔진지게차는 주로 아웃도어(outdoor) 영역에서 널리 이용되는 한편 전동지게차는 매연이나 소음이 적어 인도어(indoor) 영역에서 흔히 사용된다.
또한, 지게차는 마스트 조립체가 차체에 고정되어 있는 표준 지게차와, 마스트 조립체가 리치 래그를 따라 차체에 대해 전후로 움직이도록 하는 리치 타입(reach type) 지게차로 분류되는데, 표준타입 지게차는 일반적으로 엔진식과 전동식으로 구분되고, 엔진식은 엔진을 탑재하고 있으며, 전동식 및 리치 타입 지게차는 전기모터와 이것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탑재한 이른바 전동식 지게차이다.
이러한 지게차는, 파킹 브레이크 장치와 주행 브레이크 장치를 구비한다. 파킹 브레이크 장치는, 지게차가 주행시 또는 주차시 구동륜을 제동시키는 장치로서, 액슬축에 설치되는 드럼의 주연을 밴드로 가압하여 제동하는 밴드식 파킹 브레이크 장치와, 액슬축에 설치되는 디스크를 마찰판으로 압착하여 제동하는 다판식 파킹 브레이크 장치, 액슬축에 설치되는 디스크를 전자석 브레이크 블록으로 압착하여 제동하는 마그네틱 파킹 브레이크 장치 등 다양한 파킹 브레이크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 지게차는 주행시 또는 주차시 ON/OFF 스위치 또는 파킹 레버를 사용하여 운전자가 지게차에서 하차하기 전에 파킹 브레이크 장치를 수동으로 작동시켜야 하므로, 운전자가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지게차가 평지가 아닌 경사면에서 주행할 경우, 운전자가 파킹 브레이크 장치를 작동시키지 않고 지게차에서 이석할 경우 뒤로 밀려 지게차의 전복과 같은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이 연구되고 있다.
또한, 종래 파킹 브레이크 장치는, 주행시 또는 주차시 파킹 성능 및 안정성을 위해 파킹 브레이크 작동용 솔레노이드 밸브, 유압 실린더 및 파킹 제어장치 등 복잡한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유압 실린더와 같은 고가의 부품을 사용하고 있어, 파킹 성능 및 안정성을 확보하면서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방안도 연구되고 있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 10-2010-0075288 호 (공개일: 2010년 07월 02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엔진이 시동 온 상태일 때, 파킹 브레이크 유닛이 아닌 전진용 클러치와 후진용 클러치에 의한 클러치 파킹부가 작동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운전자가 운전석을 이석할 때마다 별도의 파킹 브레이크를 조작해야 함에 따른 수고를 덜 수 있고, 운전자의 부주의로 인해 별도의 파킹 브레이크를 작동시키지 않고 하차함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지게차의 안전도를 확보할 수 있는 작업기계의 파킹 브레이크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엔진이 시동 온 상태일 때, 유압의 힘에 의하여 파킹 브레이크 유닛의 작동이 해제되고, 엔진이 시동 오프 상태일 때, 유압이 제거되면서 파킹 브레이크 유닛의 작동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별도의 파킹 브레이크 조작이 필요 없어 운전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엔진이 시동 오프인 상태에서만 파킹이 구현되므로 파킹 브레이크 유닛을 구성하기 위한 부품을 간소화할 수 있는 작업기계의 파킹 브레이크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작업기계의 파킹 브레이크 시스템은, 운전자가 작업기계를 파킹 또는 파킹 해제를 위해 조작하는 파킹 스위치; 상기 파킹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전진용 클러치와 후진용 클러치가 동시에 작동 또는 작동 해제되어 상기 작업기계를 파킹 또는 파킹 해제시키는 클러치 파킹부; 압유를 생성 공급하는 차징펌프와, 상기 차징펌프의 출구측에 설치되어 상기 클러치 파킹부가 작동 또는 작동 해제되도록 압유를 공급 또는 차단하는 전진 클러치용 비례제어밸브 및 후진 클러치용 비례제어밸브를 포함하는 압유 구동부; 및 상기 파킹 스위치로부터 파킹 작동 신호를 입력 받으면, 상기 전진 클러치용 비례제어밸브와 상기 후진 클러치용 비례제어밸브를 동시에 구동시키고, 이후 상기 파킹 스위치로부터 파킹 해제 신호를 입력 받으면, 상기 전진 클러치용 비례제어밸브와 상기 후진 클러치용 비례제어밸브의 구동을 동시에 차단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파킹 스위치는, 상기 작업기계의 엔진이 시동 온 상태일 때 작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진용 클러치 및 상기 후진용 클러치는, 상기 작업기계의 전후진 주행을 위해 전후진 레버를 조작함에 의해 각각 작동 또는 작동 해제되며, 상기 작업기계의 파킹 또는 파킹 해제를 위해 상기 파킹 스위치를 조작함에 의해 동시에 작동 또는 작동 해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운전자가 운전석에 착석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착석감지센서; 및 상기 착석감지센서에 의해 상기 운전자가 상기 운전석을 이석한 것으로 감지되면, 그 시간이 정해진 시간 이상인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타이머를 더 포함하며, 상기 클러치 파킹부는, 상기 착석감지센서의 이석신호 또는 착석신호에 따라 전진용 클러치와 후진용 클러치가 동시에 작동 또는 작동 해제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착석감지센서로부터 상기 이석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타이머에 의해 설정된 시간 이상인지를 확인하여, 상기 전진 클러치용 비례제어밸브와 상기 후진 클러치용 비례제어밸브를 동시에 구동시키고, 이후 상기 착석감지센서로부터 상기 착석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전진 클러치용 비례제어밸브와 상기 후진 클러치용 비례제어밸브의 구동을 동시에 차단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착석감지센서는, 상기 작업기계의 엔진이 시동 온 상태일 때 작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파킹 스위치로부터 상기 파킹 작동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착석감지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착석 및 이석신호를 차단시키고, 상기 파킹 스위치로부터 상기 파킹 해제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착석감지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착석 및 이석신호가 정상적으로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작업기계의 액슬축에 설치되는 파킹 브레이크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파킹 브레이크 유닛은, 상기 작업기계의 엔진이 시동 온 상태일 때 상기 차징펌프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압유의 힘에 의해 작동이 해제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엔진이 시동 오프 상태가 되면 자동으로 상기 유압이 제거되면서 작동이 자동으로 이루어져 상기 작업기계의 파킹을 구현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압 구동원은, 상기 차징펌프의 출구측에 설치되는 메인 릴리프 밸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메인 릴리프 밸브는, 상기 클러치 파킹부의 상기 전진용 클러치 및 상기 후진용 클러치에 유량 및 압유를 일정한 압력으로 공급하고, 상기 압유의 일부를 상기 파킹 브레이크 유닛 쪽으로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작업기계의 파킹 브레이크 시스템은, 엔진이 시동 온 상태일 때, 운전자가 운전석을 이석하게 되면 착석감지센서의 이석신호에 따라 파킹 브레이크 유닛이 아닌 전진용 및 후진용 클러치에 의한 클러치 파킹부의 작동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운전자가 운전석을 이석할 때마다 별도의 파킹 브레이크를 조작해야 함에 따른 수고를 덜 수 있고, 운전자의 부주의로 인해 별도의 파킹 브레이크를 작동시키지 않고 하차함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지게차의 안전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작업기계의 파킹 브레이크 시스템은, 엔진이 시동 온 상태일 때, 운전자가 파킹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파킹 브레이크 유닛이 아닌 전진용 및 후진용 클러치에 의한 클러치 파킹부의 작동이 수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운전자가 운전석을 이석할 때마다 별도의 파킹 브레이크를 조작해야 함에 따른 수고를 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작업기계의 파킹 브레이크 시스템은, 엔진이 시동 온 상태일 때 유압의 힘에 의하여 파킹 브레이크 유닛의 작동이 해제되고, 엔진이 시동 오프 상태일 때 유압이 제거되면서 파킹 브레이크 유닛의 작동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별도의 브레이크 조작이 필요 없어 운전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엔진이 시동 오프인 상태에서만 파킹이 구현되므로 파킹 브레이크 유닛을 구성하기 위한 부품을 간소화할 수 있어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기계의 파킹 브레이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기계의 파킹 브레이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유압 회로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기계의 파킹 브레이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기계의 파킹 브레이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유압 회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기계의 파킹 브레이크 시스템(100)은, 착석감지센서(110), 파킹 스위치(120), 타이머(130), 유압 구동원(140), 클러치 파킹부(150), 제어부(160), 파킹 브레이크 유닛(17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작업기계의 파킹 브레이크 시스템(100)은, 지게차에 적용될 수 있으며, 산업 현장에서 다양하게 이루어지는 작업에 사용되는 굴삭장비, 적재장비, 운반장비, 하역장비, 다짐장비, 기초공사장비로서의 불도저, 굴삭기 등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착석감지센서(110)는, 엔진(10)이 시동 온 상태일 때 작동되며, 운전자의 운전석 내에 삽입 설치되어 운전자가 운전석에 착석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착석신호 또는 이석신호를 후술할 제어부(160)로 전달할 수 있으며, 후술할 클러치 파킹부(150)가 자동 작동 또는 자동 해제될 수 있게 하는 자동 파킹 모드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 엔진(10)은, 열에너지, 전기 에너지, 수력 에너지 따위를 기계적인 힘으로 바꾸는 장치라 정의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엔진식 작업기계는 물론 전기에너지를 기계에너지로 변화시키는 전기모터와 이것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탑재한 이른바 전동식 작업기계에 사용될 수 있다.
파킹 스위치(120)는, 엔진(10)이 시동 온 상태일 때 작동되며, 운전자가 운전석에서 이석 하기에 앞서 후술할 클러치 파킹부(150)를 수동으로 작동시키거나, 운전석으로 돌아와 착석한 후 작동중인 후술할 클러치 파킹부(150)를 수동으로 해제할 수 있도록 하는 신호를 후술할 제어부(160)로 입력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후술할 클러치 파킹부(150)가 수동 작동 또는 수동 해제될 수 있게 하는 수동 파킹 모드에 사용될 수 있다.
타이머(130)는, 엔진(10)이 시동 온 상태일 때 작동되며, 운전자가 파킹 스위치(120)를 이용하여 수동으로 후술할 클러치 파킹부(150)를 작동시키거나 해제시키지 않는 자동 파킹 모드에서, 착석감지센서(110)에 의해 운전자가 운전석을 이석한 것으로 감지되면, 그 시간이 정해진 시간 이상인지를 후술할 제어부(160)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이때, 타이머(130)에 의해 정해진 운전자의 이석 확정판단 시간은 2초 내지 4초로 정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운전자가 운전석에 착석하여 작업기계를 정상적으로 운행시키고 있는 도중에 요철을 통과할 때 가해지는 충격력 또는 다른 이유로 순간적으로 이석 및 착석될 수 있는데, 그럴 때마다 착석감지센서(110)에서 운전자가 이석 및 착석한 상태를 반복해서 감지하여 후술할 제어부(160)로 전달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즉, 착석감지센서(110)에서 비록 운전자의 이석신호를 검출하여 이를 후술할 제어부(160)로 전달한다 하더라도 제어부(160)에서는 해당 이석신호가 타이머(130)에 의해 설정된 2초 내지 4초 이상이 지속되지 않으면 작업기계가 요철부 등을 통과함으로 인해 착석감지센서(110)에서 불안정한 이석신호가 검출되고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후술할 클러치 파킹부(150)의 자동 작동을 차단하여 작업기계의 운행 중 운전자의 이석으로 오인 판단하고 클러치 파킹부(150)를 자동으로 작동시킴으로 인한 안전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함이다.
유압 구동원(140)은, 엔진(10)이 시동 온 상태일 때 후술할 클러치 파킹부(150)가 작동 또는 작동 해제될 수 있도록 후술할 제어부(160)에 의해 후술할 클러치 파킹부(150)에 압유를 공급 또는 차단할 수 있고, 또한 엔진(10)이 시동 온 상태일 때 후술할 파킹 브레이크 유닛(170)이 작동 해제될 수 있도록 파킹 브레이크 유닛(170)에 자동으로 압유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유압 구동원(140)은, 후술할 클러치 파킹부(150)를 이루는 후술할 전진용 클러치(151) 및 후술할 후진용 클러치(152)에 압유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기계의 자동변속기용일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유압 구동원(140)으로서 작업기계의 자동변속기용을 일례로 설명할 뿐, 수동변속기용 등 작업기계에 사용되는 다양한 유압 구동원을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유압 구동원(140)은, 자동변속기 내부의 자동변속기유(ATF: Automatic Transmission Fluid)를 흡입하여 후술할 전진용 클러치(151) 및 후술할 후진용 클러치(152)를 포함하는 변속기 내의 각 컴포넌트에 필요한 유량과 유압을 생성 공급하는 차징펌프(141)와, 차징펌프(141)로부터 배출되는 압유를 일정하게 유지시켜주는 메인 릴리프 밸브(142)와, 변속 필링 조정 또는 기타 목적으로 클러치 압력 모듈레이션 커브를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전진 클러치용 비례제어밸브(143) 및 후진 클러치용 비례제어밸브(14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차징펌프(141)는, 토크컨버터(도면부호 미도시)와 기어열에 의하여 연결되어 구동될 수 있고, 이러한 차징펌프(141)의 출구에는 메인 릴리프 밸브(142), 전진 클러치용 비례제어밸브(143) 및 후진 클러치용 비례제어밸브(144)가 연결될 수 있다.
메인 릴리프 밸브(142)는, 차징펌프(141)의 출구측에 설치되어, 후술할 전진용 클러치(151) 및 후술할 후진용 클러치(152)를 포함하는 자동변속기의 각 컴포넌트에 유량 및 압유를 일정한 압력으로 공급하고, 또한 자동변속기의 각 컴포넌트를 향하는 압유의 일부를 후술할 파킹 브레이크 유닛(170) 쪽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메인 릴리프 밸브(142)는, 후술할 전진용 클러치(151) 및 후술할 후진용 클러치(152)를 포함하는 자동변속기의 각 컴포넌트를 향하는 압유가 메인 릴리프 밸브(142)의 설정 조절압력 이상이 되도록 하여, 메인 릴리프 밸브(142)의 설정 조절압력 이상의 압유 일부를 파킹 브레이크 유닛(170) 쪽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일반적으로 메인 릴리프 밸브(142)의 설정 조절압력 이상의 압유 일부가 빠져나가는 출구에는, 메인 릴리프 밸브(142)로부터의 배출되는 압유를 일반적인 파킹 브레이크 장치에 공급 또는 차단시키는 작동을 하는 솔레노이드 밸브가 연결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작동을 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및 솔레노이드 밸브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삭제할 수 있다. 그 이유는 후술 하기로 한다.
전진 클러치용 비례제어밸브(143)는, 차징펌프(141)의 출구측에 설치되어, 전후진 레버(20)의 조작에 따라 제어부(160)에 의해 후술할 클러치 파킹부(150)의 전진용 클러치(151)에 압유를 공급 또는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후진 클러치용 비례제어밸브(144)는, 차징펌프(141)의 출구측에 설치되어, 전후진 레버(20)의 조작에 따라 제어부(160)에 의해 후술할 클러치 파킹부(150)의 후진용 클러치(152)에 압유를 공급 또는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한 전진 클러치용 비례제어밸브(143) 및 후진 클러치용 비례제어밸브(144) 각각은, 메인 릴리프 밸브(142)와 클러치 파킹부(15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클러치 파킹부(150)는, 엔진(10)이 시동 온 상태일 때, 착석감지센서(110)의 착석신호 또는 이석신호에 따라 자동으로 작동 또는 작동 해제되도록 구성되거나, 파킹 스위치(120)의 조작에 따라 수동으로 작동 또는 작동 해제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전진용 클러치(151), 후진용 클러치(152)를 포함할 수 있다.
전진용 클러치(151)는, 전후진 레버(20)의 전진 주행 조작에 따라 제어부(160)에 의해 전진 클러치용 비례제어밸브(143)가 개방됨으로써, 압유가 공급되어 작업기계가 전진 주행될 수 있도록 한다.
후진용 클러치(152)는, 전후진 레버(20)의 후진 주행 조작에 따라 제어부(160)에 의해 후진 클러치용 비례제어밸브(144)가 개방됨으로써, 압유가 공급되어 작업기계가 후진 주행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전진용 클러치(151) 및 후진용 클러치(152)는, 운전자가 작업기계의 전후진 주행을 위해 전후진 레버(20)를 조작함에 의해 각각 작동 또는 작동 해제될 수 있으며, 또한 착석감지센서(110)의 이석신호 또는 파킹 스위치(120)의 조작에 따라 동시에 작동 또는 작동 해제될 수 있어, 클러치 파킹부(150)의 작동이 자동 또는 수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클러치 파킹부(150)는, 엔진(10)이 시동 온 상태일 때, 운전자가 운전석을 이석하게 되면 착석감지센서(110)가 이석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후술할 제어부(160)가 이석신호를 입력받아 전진 클러치용 비례제어밸브(143) 및 후진 클러치용 비례제어밸브(144)를 동시에 개방시키고, 이로 인하여 전진용 클러치(151) 및 후진용 클러치(152)가 동시에 작동됨으로써, 상충되는 작업기계의 전진력 및 후진력에 의해 작업기계의 파킹이 구현될 수 있게 하며, 이후 착석감지센서(110)로부터 운전자의 착석신호가 입력되는 즉시 후술할 제어부(160)가 전진 클러치용 비례제어밸브(143) 및 후진 클러치용 비례제어밸브(144)의 구동을 동시에 차단시켜, 작업기계의 클러치 파킹부(150)가 자동 해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클러치 파킹부(150)는, 엔진(10)이 시동 온 상태일 때, 운전자가 파킹 스위치(120)를 조작함에 따라 출력되는 파킹 작동 신호에 의해 후술할 제어부(160)가 전진 클러치용 비례제어밸브(143) 및 후진 클러치용 비례제어밸브(144)를 동시에 개방시키고, 이로 인하여 전진용 클러치(151) 및 후진용 클러치(152)가 동시에 작동됨으로써, 상충되는 작업기계의 전진력 및 후진력에 의해 작업기계의 파킹이 구현될 수 있게 하며, 이후 운전자가 파킹 스위치(120)를 조작함에 따라 출력되는 파킹 해제 신호에 의해 후술할 제어부(160)가 전진 클러치용 비례제어밸브(143) 및 후진 클러치용 비례제어밸브(144)의 구동을 동시에 차단시켜, 작업기계의 클러치 파킹부(150)가 수동 해제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착석감지센서(110)와 타이머(130)에 의한 자동 파킹 모드 및 파킹 스위치(120)에 의한 수동 파킹 모드를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함은 물론, 유압 구동원(140)의 전진 클러치용 비례제어밸브(143) 및 후진 클러치용 비례제어밸브(144) 역시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먼저, 착석감지센서(110)와 타이머(130)에 의해 클러치 파킹부(150)가 자동 작동 또는 자동 해제될 수 있게 하는 자동 파킹 모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어부(160)는, 엔진(10)이 시동 온 상태일 때, 운전석에 설치되어 있는 착석감지센서(110)를 통해 실시간으로 출력되는 운전자의 착석 및 이석신호를 입력받아, 만약 운전자가 운전석을 이석한 것으로 판단되는 이석신호가 착석감지센서(110)로부터 입력되면, 그 상태가 타이머(130)에 의해 설정된 시간 이상인지를 확인하여, 그 이상 지속될 경우에는 운전자가 운전석을 이석한 것으로 확정 판단하고, 즉시 유압 구동원(140)의 전진 클러치용 비례제어밸브(143) 및 후진 클러치용 비례제어밸브(144)를 동시에 구동시켜, 작업기계의 클러치 파킹부(150)가 자동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상기와 같이 클러치 파킹부(150)가 자동 파킹 모드에서 작동되고 있는 도중에 착석감지센서(110)로부터 운전자의 착석신호가 입력되면, 즉시 전진 클러치용 비례제어밸브(143) 및 후진 클러치용 비례제어밸브(144)의 구동을 동시에 차단시켜, 작업기계의 클러치 파킹부(150)가 자동 해제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파킹 스위치(120)에 의해 클러치 파킹부(150)가 수동 작동 또는 수동 해제될 수 있게 하는 수동 파킹 모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어부(160)는, 엔진(10)이 시동 온 상태일 때, 운전자가 작업기계의 파킹 구현을 위해 파킹 스위치(120)를 조작함에 따라 출력되는 파킹 작동 신호를 입력 받으면, 즉시 유압 구동원(140)의 전진 클러치용 비례제어밸브(143) 및 후진 클러치용 비례제어밸브(144)를 동시에 구동시켜, 작업기계의 클러치 파킹부(150)가 수동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상기와 같이 클러치 파킹부(150)가 수동 파킹 모드에서 작동되고 있는 도중에 운전자가 작업기계의 파킹 해제를 위해 파킹 스위치(120)를 조작함에 따라 출력되는 파킹 해제 신호를 입력 받으면, 즉시 유압 구동원(140)의 전진 클러치용 비례제어밸브(143) 및 후진 클러치용 비례제어밸브(144)의 구동을 동시에 차단시켜, 작업기계의 클러치 파킹부(150)가 수동 해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파킹 스위치(120)로부터 파킹 작동 신호가 입력되면, 착석감지센서(110)로부터 출력되는 운전자의 착석 및 이석신호를 차단시키고, 파킹 스위치(120)로부터 파킹 해제 신호가 입력되면, 착석감지센서(110)로부터 출력되는 운전자의 착석 및 이석신호가 정상적으로 입력될 수 있게 제어할 수 있다. 이는 클러치 파킹부(150)의 수동 파킹 모드와 자동 파킹 모드를 이원화 즉, 제어부(160)가 수동 파킹 모드를 자동 파킹 모드보다 우선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클러치 파킹부(150)가 수동 파킹 모드에서 작동되고 있는 도중에 운전자가 운전석을 이석 및 착석하더라도 클러치 파킹부(150)가 자동 해제되지 않아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파킹 브레이크 유닛(170)은, 작업기계의 액슬축(도시하지 않음)에 설치될 수 있으며, 엔진(10)이 시동 온 상태일 때 유압 구동원(140)의 차징펌프(141)로부터 공급되는 압유의 힘에 의하여 작동이 해제되고, 엔진(10)이 시동 오프 상태일 때 자동으로 유압이 제거되면서 작동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파킹 브레이크 유닛(170)은, 차징펌프(141)의 출구측에 설치되는 유압 구동원(140)의 메인 릴리프 밸브(142)에 의해 자동변속기의 각 컴포넌트를 향하는 압유의 일부를 공급받을 수 있다.
이러한 파킹 브레이크 유닛(170)은, 엔진(10)이 시동 온 상태일 때는 기존의 솔레노이드 밸브와 같은 중간 구성물을 거치지 않고 차징펌프(141)로부터 직접 압유가 공급되므로 항상 파킹이 해제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가, 엔진(10)이 시동 오프 상태가 되면 차징펌프(141) 역시 구동을 멈추게 되어 압유가 자동으로 공급되지 않으므로, 파킹 브레이크 유닛(170)에 공급되었던 압유가 자동으로 제거되면서 작업기계의 파킹이 구현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파킹 브레이크 유닛(170)은, 파킹 구현 및 해제에 따른 작동이 단순하면서 엔진(10)이 시동 오프인 상태에서만 파킹이 구현되므로, 기존과는 달리 구성을 단순하게, 예를 들어,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유압에 의해 작동하는 브레이크 피스톤 및 탄성 부재와, 액슬축을 구속하는 마찰판 등 일반적인 파킹 브레이크 장치에 사용되는 기본적인 부품만으로 구성하더라도 작업기계의 파킹 구현에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엔진(10)이 시동 온 상태일 때, 운전자가 운전석을 이석하게 되면 착석감지센서(110)의 이석신호에 따라 파킹 브레이크 유닛(170)이 아닌 전진용 및 후진용 클러치(151, 152)에 의한 클러치 파킹부(150)의 작동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운전자가 운전석을 이석할 때마다 별도의 파킹 브레이크를 조작해야 함에 따른 수고를 덜 수 있고, 운전자의 부주의로 인해 별도의 파킹 브레이크를 작동시키지 않고 하차함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지게차의 안전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엔진(10)이 시동 온 상태일 때, 운전자가 파킹 스위치(120)의 조작에 따라 파킹 브레이크 유닛(170)이 아닌 전진용 및 후진용 클러치(151, 152)에 의한 클러치 파킹부(150)의 작동이 수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운전자가 운전석을 이석할 때마다 별도의 파킹 브레이크를 조작해야 함에 따른 수고를 덜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엔진(10)이 시동 온 상태일 때 유압의 힘에 의하여 파킹 브레이크 유닛(170)의 작동이 해제되고, 엔진(10)이 시동 오프 상태일 때 유압이 제거되면서 파킹 브레이크 유닛(170)의 작동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별도의 브레이크 조작이 필요 없어 운전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엔진(10)이 시동 오프인 상태에서만 파킹이 구현되므로 파킹 브레이크 유닛(170)을 구성하기 위한 부품을 간소화할 수 있어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 엔진 20: 전후진 레버
100: 파킹 브레이크 시스템 110: 착석감지센서
120: 파킹 스위치 130: 타이머
140: 유압 구동원 141: 차징펌프
142: 메인 릴리프 밸브 143: 전진 클러치용 비례제어밸브
144: 후진 클러치용 비례제어밸브 150: 클러치 파킹부
151: 전진용 클러치 152: 후진용 클러치
160: 제어부 170: 파킹 브레이크 유닛

Claims (8)

  1. 운전자가 작업기계를 파킹 또는 파킹 해제를 위해 조작하는 파킹 스위치;
    상기 파킹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전진용 클러치와 후진용 클러치가 동시에 작동 또는 작동 해제되어 상기 작업기계를 파킹 또는 파킹 해제시키는 클러치 파킹부;
    압유를 생성 공급하는 차징펌프와, 상기 차징펌프의 출구측에 설치되어 상기 클러치 파킹부가 작동 또는 작동 해제되도록 압유를 공급 또는 차단하는 전진 클러치용 비례제어밸브 및 후진 클러치용 비례제어밸브를 포함하는 압유 구동부; 및
    상기 파킹 스위치로부터 파킹 작동 신호를 입력 받으면, 상기 전진 클러치용 비례제어밸브와 상기 후진 클러치용 비례제어밸브를 동시에 구동시키고, 이후 상기 파킹 스위치로부터 파킹 해제 신호를 입력 받으면, 상기 전진 클러치용 비례제어밸브와 상기 후진 클러치용 비례제어밸브의 구동을 동시에 차단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기계의 파킹 브레이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킹 스위치는,
    상기 작업기계의 엔진이 시동 온 상태일 때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기계의 파킹 브레이크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진용 클러치 및 상기 후진용 클러치는,
    상기 작업기계의 전후진 주행을 위해 전후진 레버를 조작함에 의해 각각 작동 또는 작동 해제되며,
    상기 작업기계의 파킹 또는 파킹 해제를 위해 상기 파킹 스위치를 조작함에 의해 동시에 작동 또는 작동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기계의 파킹 브레이크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가 운전석에 착석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착석감지센서; 및
    상기 착석감지센서에 의해 상기 운전자가 상기 운전석을 이석한 것으로 감지되면, 그 시간이 정해진 시간 이상인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타이머를 더 포함하며,
    상기 클러치 파킹부는,
    상기 착석감지센서의 이석신호 또는 착석신호에 따라 전진용 클러치와 후진용 클러치가 동시에 작동 또는 작동 해제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착석감지센서로부터 상기 이석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타이머에 의해 설정된 시간 이상인지를 확인하여, 상기 전진 클러치용 비례제어밸브와 상기 후진 클러치용 비례제어밸브를 동시에 구동시키고, 이후 상기 착석감지센서로부터 상기 착석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전진 클러치용 비례제어밸브와 상기 후진 클러치용 비례제어밸브의 구동을 동시에 차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기계의 파킹 브레이크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착석감지센서는,
    상기 작업기계의 엔진이 시동 온 상태일 때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기계의 파킹 브레이크 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파킹 스위치로부터 상기 파킹 작동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착석감지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착석 및 이석신호를 차단시키고,
    상기 파킹 스위치로부터 상기 파킹 해제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착석감지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착석 및 이석신호가 정상적으로 입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기계의 파킹 브레이크 시스템.
  7.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기계의 액슬축에 설치되는 파킹 브레이크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파킹 브레이크 유닛은,
    상기 작업기계의 엔진이 시동 온 상태일 때 상기 차징펌프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압유의 힘에 의해 작동이 해제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엔진이 시동 오프 상태가 되면 자동으로 상기 유압이 제거되면서 작동이 자동으로 이루어져 상기 작업기계의 파킹을 구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기계의 파킹 브레이크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 구동원은,
    상기 차징펌프의 출구측에 설치되는 메인 릴리프 밸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메인 릴리프 밸브는,
    상기 클러치 파킹부의 상기 전진용 클러치 및 상기 후진용 클러치에 유량 및 압유를 일정한 압력으로 공급하고, 상기 압유의 일부를 상기 파킹 브레이크 유닛 쪽으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기계의 파킹 브레이크 시스템.
KR1020140160003A 2014-11-17 2014-11-17 작업기계의 파킹 브레이크 시스템 KR1019455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0003A KR101945518B1 (ko) 2014-11-17 2014-11-17 작업기계의 파킹 브레이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0003A KR101945518B1 (ko) 2014-11-17 2014-11-17 작업기계의 파킹 브레이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9042A true KR20160059042A (ko) 2016-05-26
KR101945518B1 KR101945518B1 (ko) 2019-04-18

Family

ID=56104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0003A KR101945518B1 (ko) 2014-11-17 2014-11-17 작업기계의 파킹 브레이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55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13554A1 (ko) * 2018-07-13 2020-01-16 (주)엠에스정밀 산업차량 및 건설장비용 오토 파킹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4595A (ko) * 2008-05-30 2009-12-0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지게차용 자동 파킹 브레이크장치
KR20100075288A (ko) 2008-12-24 2010-07-02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전동 지게차용 전기 주차 브레이크의 안전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00109343A (ko) * 2009-03-30 2010-10-08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작업차의 전동 장치
KR20140074606A (ko) * 2012-12-10 2014-06-18 주식회사 두산 지게차의 자동 제동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4595A (ko) * 2008-05-30 2009-12-0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지게차용 자동 파킹 브레이크장치
KR20100075288A (ko) 2008-12-24 2010-07-02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전동 지게차용 전기 주차 브레이크의 안전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00109343A (ko) * 2009-03-30 2010-10-08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작업차의 전동 장치
KR20140074606A (ko) * 2012-12-10 2014-06-18 주식회사 두산 지게차의 자동 제동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13554A1 (ko) * 2018-07-13 2020-01-16 (주)엠에스정밀 산업차량 및 건설장비용 오토 파킹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5518B1 (ko) 2019-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73339B2 (en) Hybrid industrial vehicle
US9085871B2 (en) Swing brake control apparatus for construction machinery
KR101925588B1 (ko) 지게차의 자동 제동장치
US9133604B2 (en) Hydraulic control device for work machine
JP4160047B2 (ja) 作業車両の機能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EP3415778A1 (en) Wheel loader, method for controlling wheel loader, and system for controlling wheel loader
EP3419851B1 (en) Transmission internal pto clutch and method of control
AU2023266904A1 (en) Braking device and braking method for unmanned mining dump truck
KR101931231B1 (ko) 작업기계의 자동감속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091937A (ko) 작업기계의 오르막 경사로 밀림방지 시스템 및 방법
KR101945518B1 (ko) 작업기계의 파킹 브레이크 시스템
KR101959011B1 (ko) 작업기계의 브레이크 시스템 및 제동 방법
CA2884512C (en) Traveling control device for industrial vehicle
EP3419850A1 (en) Transmission internal pto clutch and method of control
US10017167B2 (en) Device and method for braking and vehicle using same
US8528684B2 (en) Charge pressure reduction circuit for improved transmission efficiency
EP2862834B1 (en) Industrial vehicle
KR20150105752A (ko) 건설기계의 트랜스미션 컷오프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CN219115419U (zh) 用于工程机械的液压辅助制动系统和工程机械
US20190154092A1 (en) Work-machine erroneous forward/backward travelling operation notifying device
EP2908032A1 (en) Automatic transmission equipped with friction element having locking mechanism attached thereto, and control method therefor
ITMI941161A1 (it) Apparecchiatura idraulica ausiliaria per l'azionamento di utensili applicabile ad autocarr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