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5752A - 건설기계의 트랜스미션 컷오프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건설기계의 트랜스미션 컷오프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5752A
KR20150105752A KR1020140027689A KR20140027689A KR20150105752A KR 20150105752 A KR20150105752 A KR 20150105752A KR 1020140027689 A KR1020140027689 A KR 1020140027689A KR 20140027689 A KR20140027689 A KR 20140027689A KR 20150105752 A KR20150105752 A KR 201501057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pressure value
brake pressure
actuator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7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2615B1 (ko
Inventor
박무영
김인동
Original Assignee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276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2615B1/ko
Priority to CN201510104369.1A priority patent/CN104913044B/zh
Publication of KR201501057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57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2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26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50Inputs being a function of the status of the machine, e.g. position of doors or safety belts
    • F16H59/54Inputs being a function of the status of the machine, e.g. position of doors or safety belts dependent on signals from the brakes, e.g. parking bra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50Inputs being a function of the status of the machine, e.g. position of doors or safety belts
    • F16H59/52Inputs being a function of the status of the machine, e.g. position of doors or safety belts dependent on the weight of the machine, e.g. change in weight resulting from passengers boarding a b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14Inputs being a function of torque or torque demand
    • F16H59/16Dynamometric measurement of torqu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기계의 트랜스미션 컷오프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건설기계의 트랜스미션 컷오프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은, 브레이크 압력, 트랜스미션 토크 및 액추에이터 압력을 고려하도록 하여 트랜스미션에서 기어가 중립으로 전환하도록 하는 시점이 결정된다.
이로써 적재물의 무게 변화에 따라 트랜스미션에서 중립 전환의 시점이 최적의 시점으로 설정될 수 있고, 이로써 연비향상과 주행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건설기계의 트랜스미션 컷오프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CUT-OFF OF HEAVY CONSTRUCTION EQUIPMENT}
본 발명은 건설기계의 트랜스미션 컷오프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적재물의 무게에 따라 트랜스미션 컷오프 기능을 차등하여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건설기계의 트랜스미션 컷오프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휠 로더(Wheel Loader)와 같은 건설기계는 모래나 자갈 등의 적재물을 버킷(Bucket)에 담는 작업과 다른 장소로 적재물을 운반하는 작업과 덤프트럭에로의 상차 작업을 수행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은 건설기계의 작업은 서행 후에 정지하는 작동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이 때 트랜스미션 클러치(Clutch)를 컷오프(Cut off)하지 않은 상태에서 제동이 이루어지면 액슬 등의 동력전달부 전부위에 충격이 가해지므로 차량 전체에 대해서도 노우즈 다이브(Nose Dive) 현상이 더 크게 발생하게 되어 버킷에 담긴 적재물이 유출 낙하되는 등 안전사고 위험이 있을 뿐만 아니라 제동기능도 크게 저하된다.
따라서 휠 로더와 같은 건설기계의 작업할 때에 클러치가 컷오프된 상태로 제동할 수 있도록 하는 트랜스미션 컷오프 제어장치가 장착된다.
트랜스미션 컷오프 제어장치는 클러치 컷오프 스위치를 구비한다. 트랜스미션 컷오프 제어장치를 정상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버킷에 적재물을 담아서 상차작업을 하는 동안에는 서행과 제동이 반복되기 쉬우므로 주로 클러치 컷오프 스위치를 온 작동하여 클러치를 컷오프 시킨 상태로 작업한다.
일반 도로 주행일 때 또는 적재물의 원거리 이송을 위하여 이동할 때에는 고속주행일 것이므로, 제동할 때에 엔진으로부터 감속력을 얻는 엔진 브레이크 효과를 얻기 위해서 클러치 컷오프 스위치를 오프 작동하여 클러치가 동력전달부로 연결된 상태로 전환되어야 한다.
따라서 작업 도중에 작업자가 수시로 클러치 컷오프 스위치를 전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한편, 클러치 컷오프 스위치 전환이 요구되는 상황에서 작업자가 망각하여 스위치를 작동하지 않는다면 제동기능이 저하되게 되거나 그로 인한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게 된다.
즉, 종래에는 건설기계를 이용하여 적재물을 굴삭하고 상차하는 일련의 작업과정에서 클러치 컷오프 기능을 작동하거나 정지하기 위해서는 운전자가 클러치 컷오프 스위치 온/오프 동작을 반복해야 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다른 한편으로, 휠 로더 타입의 건설기계의 엔진은 토크컨버터를 거쳐 트랜스미션과 연결되어 있고, 아울러 유압 펌프와 직접 연결되어 있다.
차량(건설기계)이 트랜스미션에서 전진 주행으로 설정된 상태에서 엔진을 가동시키면, 주행계와 유압 펌프에 동시에 부하를 받게 된다. 굴삭할 때에는 전진주행과 유압 펌프에 동시에 파워가 공급되어야 한다.
그러나 주행은 정지상태이면서 유압 펌프만 사용하고자 할 때, 즉, 차량은 멈추어 있지만, 프런트 액추에이터(예: 붐 실린더)만 작동하고자 하면 전진 주행을 계속 하고 있는 상태에서 브레이크를 밟고 붐 상승 작동을 수행하게 된다.
이 때, 전진주행으로 공급되는 파워는 아무런 일도 하지 않고, 토크컨버터를 스톨(stall)시키게 되며, 이때의 에너지는 열에너지로 변환 되어 소멸된다.
한편, 프런트 액추에이터의 작동만 수행하고자 할 때에는, 트랜스미션의 기어위치를 중립 위치에서 프런트 액추에이터의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에 에너지 효율관리 관점에서 효율적이다. 그러나 작업자 입장에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트랜스미션의 기어 위치를 중립 위치로 전환하는 행위 자체가 작업성 저하로 이어지게 된다.
한편, 연비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브레이크를 밟는 즉시 트랜스미션의 기어를 중립 위치로 바뀌는 것이 효과가 있지만, 안전 운행을 위해서는 트랜스미션의 중립위치 변환이 최대한 늦춰지는 것이 좋다.
따라서 트랜스미션의 기어를 중립위치로 전환함에 있어서 전환하는 시점에 따라 연비효과와 안전운행에 상반되므로 트랜스미션의 중립 전환하도록 하는 시점을 최적화할 것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공개 특허공보 제10-2013-0105683호(2013.09.25.)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트랜스미션의 중립 전환하도록 하는 시점은 브레이크 압력, 트랜스미션 토크 및 액추에이터 압력을 고려하도록 하여 최적의 시점에 트랜스미션의 중립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건설기계의 트랜스미션 컷오프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건설기계의 트랜스미션 컷오프 제어장치는, 브레이크 압력 값이 확보되는 브레이크 압력 검출부(110); 트랜스미션 토크 값이 확보되는 트랜스미션 토크 검출부(120); 액추에이터 압력 값이 확보되는 액추에이터 압력 검출부(150); 상기 브레이크 압력 값과, 상기 트랜스미션 토크 값과, 상기 액추에이터 압력 값이 수집되어 트랜스미션에서 기어가 중립으로 전환될 제1시점이 결정되는 차량제어장치(160); 및 상기 제1시점에 트랜스미션(140)에서 클러치를 이동시키도록 하는 중립 클러치 압력이 상승되게 제어되는 트랜스미션 제어장치(13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트랜스미션 컷오프 제어장치에서, 상기 제1시점은, 상기 액추에이터 압력 값의 크기에 비례하여 결정된 브레이크 압력에 상기 브레이크 압력 값이 도달된 시점인 것일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트랜스미션 컷오프 제어장치는, 브레이크 압력 값이 확보되는 브레이크 압력 검출부(110); 트랜스미션 토크 값이 확보되는 트랜스미션 토크 검출부(120); 액추에이터 압력 값이 확보되는 액추에이터 압력 검출부(150); 상기 액추에이터 압력 값을 입력 받는 차량제어장치(160); 및 상기 브레이크 압력 값과, 상기 트랜스미션 토크 값을 입력 받고, 상기 차량제어장치(160)로부터 상기 액추에이터 압력 값을 입력 받아 제2시점이 결정되고, 상기 제2시점에 트랜스미션(140)에서 클러치를 이동시키도록 하는 중립 클러치 압력이 상승되게 제어되는 트랜스미션 제어장치(13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트랜스미션 컷오프 제어장치에서, 상기 제2시점은, 상기 액추에이터 압력 값의 크기에 비례하여 결정된 브레이크 압력에 상기 브레이크 압력 값이 도달된 시점인 것일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트랜스미션 컷오프 제어방법은, 브레이크 압력 값과, 트랜스미션 토크 값과, 액추에이터 압력 값을 입력받는 입력단계; 상기 브레이크 압력 값과, 상기 트랜스미션 토크 값과, 상기 액추에이터 압력 값에 근거하여 트랜스미션에서 기어가 중립으로 전환될 시점이 결정되는 연산단계; 및 상기 시점에서 트랜스미션이 제어되어 기어가 중립으로 전환되는 수행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트랜스미션 컷오프 제어방법에서, 상기 시점은, 상기 액추에이터 압력 값의 크기에 비례하여 브레이크 압력이 결정되고, 상기 브레이크 압력 값이 상기 브레이크 압력에 도달된 시점인 것일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건설기계의 트랜스미션 컷오프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은, 브레이크 압력 값(P)과 트랜스미션 토크 값과 액추에이터 압력 값을 입력 받아서, 트랜스미션에서 기어를 중립위치로 전환할 시점을 결정하는 것이므로, 연비효율을 구현하면서도 주행안전까지 도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비교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트랜스미션 컷오프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트랜스미션 컷오프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크기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한편,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비교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트랜스미션 컷오프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1 및 도 2는 비교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트랜스미션 컷오프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비교예에 따른 건설기계의트랜스미션 컷오프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브레이크 압력 검출부(10)로부터 현재의 브레이크 압력 값을 확보하고, 트랜스미션 토크 검출부(20)로부터 트랜스미션 토크 값을 확보한다.
브레이크 압력 값은 클수록 제동력이 커져 제동거리를 짧게 할 수 있지만, 안전사고 위험 및 승차감이 좋지 않을 수 있다.
트랜스미션 토크 값은 클수록 견인력 켜지므로 주행성능이 좋아지지만, 제동력이 그만큼 더 많이 필요하게 된다.
트랜스미션 제어장치(30)는 상술한 브레이크 압력 값(P)과 트랜스미션 토크 값을 입력받아 트랜스미션에서 기어를 중립위치로 전환할 시점을 결정한다.
예를 들면, 비교예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브레이크 압력 값(P)이 20bar일 때에 중립 클러치 압력 값을 상승시켰다.
즉, 트랜스미션(40)은 트랜스미션 제어장치(30)에서 결정된 시점, 예컨대 브레이크압력 값(P)이 설정된 특정한 압력 값에 도달하는 경우에 중립 클러치 압력을 상승시켜 기어를 중립위치로 전환한 것이다.
그러나 상술한 비교예는 연비상승 효과만을 고려한 것이므로, 주행 안전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이하,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비교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트랜스미션 컷오프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트랜스미션 컷오프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트랜스미션 컷오프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브레이크 압력 검출부(110)로부터 현재의 브레이크 압력 값을 확보하고, 트랜스미션 토크 검출부(120)로부터 현재의 트랜스미션 토크 값을 확보한다. 또한, 액추에이터 압력 검출부(150)로부터 액추에이터 압력 값을 확보한다.
브레이크 압력 값은 클수록 제동력이 커져 제동거리를 짧게 할 수 있지만, 안전사고 위험 및 승차감이 좋지 않을 수 있다.
트랜스미션 토크 값은 클수록 견인력 켜지므로 주행성능이 좋아지지만, 제동력이 그만큼 더 많이 필요하게 된다.
액추에이터 압력 값은 클수록 적재물의 무게가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부연설명을 하면, 차량의 무게가 20톤이라고 가정하고, 적재물의 무게가 10톤이라면 전체적인 중량은 30톤이 된다. 즉, 제동에 필요한 제동력은 더 큰 값이 요구된다.
한편, 액추에이터는 압력 값은 붐 액추에이터의 헤드 쪽에 압력을 참고할 수 있다. 즉, 버킷에 적재물이 있다면, 그 적재물의 무게는 붐 액추에이터에 작용될 것이고, 이로써 붐 액추에이터의 헤드 쪽에는 그 만큼 더 큰 압력이 형성될 것이기 때문이다. 즉, 붐 액추에이터로부터 확보되는 압력 값에 의해 적재물의 무게를 추정할 수 있는 것이다.
차량제어장치(160)는 상술한 브레이크 압력 값(P)과 트랜스미션 토크 값과 액추에이터 압력 값을 입력 받는다, 이후, 차량제어장치(160)는 트랜스미션에서 기어를 중립위치로 전환할 제1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차량제어장치(160)는 액추에이터 압력 검출부(110)로부터 액추에이터 압력 값을 입력 받아 트랜스미션제어장치(130)로 제공할 수 있다.
트랜스미션 제어장치(130)는 상술한 브레이크 압력 값(P)과 트랜스미션 토크 값과 액추에이터 압력 값을 입력 받아서, 트랜스미션에서 기어를 중립위치로 전환할 제2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트랜스미션 제어장치(130)는 차량제어장치(160)로부터 결정된 제1시점 또는, 트랜스미션 제어장치에서 결정된 제2시점을 참조하여 트랜스미션(140)을 제어한다. 즉, 트랜스미션(140)은 제1 시점 또는 제2시점 중에 어느 하나에 근거하여 트랜스미션(140)에서 기어를 중립으로 전환하도록 한다.
예를 들면, 차량(건설기계)의 중량이 20톤이고, 적재물의 무게가 10톤이라고 가정하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예에서는 브레이크 압력 값(P)이 20bar일 때에 중립 클러치 압력 값을 상승시켰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적재물의 무게만큼 더 큰 압력이 형성된 30bar에서 브레이크 해제를 실시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미션(140)은 트랜스미션에서 기어의 중립 전환으로 결정된 제1, 2시점, 예컨대 브레이크 압력 값(P)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더 큰 압력 값(P1)에서 중립 클러치 압력을 상승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적제물의 무게가 더 큰 값이라면, 브레이크 압력 값(P2)은 더 큰 값에 도달된 시점에 중립 클러치 압력을 상승시켜 기어를 중립위치로 전환하도록 한 것이다. 이로써 주행이 정지되어야 할 상황에서 안정된 상태로 주행이 정지되어 주행안정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상술한, 제1, 2 시점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액추에이터 압력 값의 크기에 비례하여 브레이크 압력이 결정되고, 브레이크 압력 값이 브레이크 압력에 도달된 시점일 수 있다. 즉,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적재물의 무게가 증가될수록 브레이크 압력이 증가된다.
이후,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 압력 값을 고려하지 않을 때에는 제일 작은 압력 값(P)에서 중립 클러치 압력 값이 상승된다. 그러나 액추에이터 압력 값이 고려됨으로써 브레이크 압력 값은 증가된 시점에 중립 클러치 압력 값이 상승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트랜스미션 컷오프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은 적재물의 무게가 무거울수록 트랜스미션에서 중립으로 전환되는 시점이 지연되는 것이다. 이렇게 지연되는 시간만큼 차량(건설기계)의 주행안정성은 향상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트랜스미션 컷오프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은, 브레이크 압력 값(P)과 트랜스미션 토크 값과 액추에이터 압력 값을 입력 받아서, 트랜스미션에서 기어를 중립위치로 전환할 시점을 결정하는 것이므로, 연비효율을 구현하면서도 주행안전까지 도모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설기계의 트랜스미션 컷오프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은 트랜스미션에서 기어를 중립위치로 전환하는 시점을 결정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10, 110: 브레이크 압력 검출부
20, 120: 트랜스미션 토크 검출부
30, 130: 트랜스미션 제어장치(TCU)
40, 140: 트랜스미션
150: 액추에이터 압력 검출부
160: 차량제어장치(VCU)

Claims (6)

  1. 브레이크 압력 값이 확보되는 브레이크 압력 검출부(110);
    트랜스미션 토크 값이 확보되는 트랜스미션 토크 검출부(120);
    액추에이터 압력 값이 확보되는 액추에이터 압력 검출부(150);
    상기 브레이크 압력 값과, 상기 트랜스미션 토크 값과, 상기 액추에이터 압력 값이 수집되어 트랜스미션에서 기어가 중립으로 전환될 제1시점이 결정되는 차량제어장치(160); 및
    상기 제1시점에 트랜스미션(140)에서 클러치를 이동시키도록 하는 중립 클러치 압력이 상승되게 제어되는 트랜스미션 제어장치(130);
    를 포함하는 건설기계의 트랜스미션 컷오프 제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시점은,
    상기 액추에이터 압력 값의 크기에 비례하여 결정된 브레이크 압력에 상기 브레이크 압력 값이 도달된 시점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트랜스미션 컷오프 제어장치.
  3. 브레이크 압력 값이 확보되는 브레이크 압력 검출부(110);
    트랜스미션 토크 값이 확보되는 트랜스미션 토크 검출부(120);
    액추에이터 압력 값이 확보되는 액추에이터 압력 검출부(150);
    상기 액추에이터 압력 값을 입력 받는 차량제어장치(160); 및
    상기 브레이크 압력 값과, 상기 트랜스미션 토크 값을 입력 받고, 상기 차량제어장치(160)로부터 상기 액추에이터 압력 값을 입력 받아 제2시점이 결정되고, 상기 제2시점에 트랜스미션(140)에서 클러치를 이동시키도록 하는 중립 클러치 압력이 상승되게 제어되는 트랜스미션 제어장치(130);
    를 포함하는 건설기계의 트랜스미션 컷오프 제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시점은,
    상기 액추에이터 압력 값의 크기에 비례하여 결정된 브레이크 압력에 상기 브레이크 압력 값이 도달된 시점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트랜스미션 컷오프 제어장치.
  5. 브레이크 압력 값과, 트랜스미션 토크 값과, 액추에이터 압력 값을 입력받는 입력단계;
    상기 브레이크 압력 값과, 상기 트랜스미션 토크 값과, 상기 액추에이터 압력 값에 근거하여 트랜스미션에서 기어가 중립으로 전환될 시점이 결정되는 연산단계; 및
    상기 시점에서 트랜스미션이 제어되어 기어가 중립으로 전환되는 수행단계;
    를 포함하는 건설기계의 트랜스미션 컷오프 제어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시점은,
    상기 액추에이터 압력 값의 크기에 비례하여 브레이크 압력이 결정되고, 상기 브레이크 압력 값이 상기 브레이크 압력에 도달된 시점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트랜스미션 컷오프 제어방법.
KR1020140027689A 2014-03-10 2014-03-10 건설기계의 트랜스미션 컷오프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1021226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7689A KR102122615B1 (ko) 2014-03-10 2014-03-10 건설기계의 트랜스미션 컷오프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CN201510104369.1A CN104913044B (zh) 2014-03-10 2015-03-10 工程机械的变速器切断控制装置及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7689A KR102122615B1 (ko) 2014-03-10 2014-03-10 건설기계의 트랜스미션 컷오프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5752A true KR20150105752A (ko) 2015-09-18
KR102122615B1 KR102122615B1 (ko) 2020-06-12

Family

ID=54082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7689A KR102122615B1 (ko) 2014-03-10 2014-03-10 건설기계의 트랜스미션 컷오프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22615B1 (ko)
CN (1) CN104913044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0327A (ko) * 2016-03-23 2017-10-11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기계의 트랜스미션 컷오프 제어 장치 및 방법
WO2018182370A1 (ko) * 2017-03-31 2018-10-04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기계의 제어 장치 및 건설기계의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89635B2 (ja) * 2019-12-05 2023-11-30 カヤバ株式会社 作動流体供給システ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4335A (ja) * 2000-12-01 2002-06-21 Hitachi Ltd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KR20120069788A (ko) * 2010-12-21 2012-06-29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중장비의 트랜스미션 컷 오프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077453T3 (es) * 1992-08-26 1995-11-16 Volkswagen Ag Procedimiento y dispositivo para el acoplamiento y desacoplamiento regulador del embrague de marcha en la caja de cambios de un vehiculo.
US7361121B2 (en) * 2004-08-30 2008-04-22 Komatsu Ltd.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input clutch of work vehicle
CN102037193B (zh) * 2008-03-21 2013-06-19 株式会社小松制作所 作业车辆、作业车辆的控制装置以及作业车辆的控制方法
JP5503954B2 (ja) * 2009-12-14 2014-05-28 日立建機株式会社 作業車両のクラッチ制御装置
JP5778554B2 (ja) * 2011-11-15 2015-09-16 日立建機株式会社 作業車両のクラッチ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4335A (ja) * 2000-12-01 2002-06-21 Hitachi Ltd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KR20120069788A (ko) * 2010-12-21 2012-06-29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중장비의 트랜스미션 컷 오프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20130105683A (ko) 2010-12-21 2013-09-25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중장비의 트랜스미션 컷 오프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0327A (ko) * 2016-03-23 2017-10-11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기계의 트랜스미션 컷오프 제어 장치 및 방법
WO2018182370A1 (ko) * 2017-03-31 2018-10-04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기계의 제어 장치 및 건설기계의 제어 방법
KR20180111055A (ko) * 2017-03-31 2018-10-11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기계의 제어 장치 및 건설기계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913044A (zh) 2015-09-16
KR102122615B1 (ko) 2020-06-12
CN104913044B (zh) 2017-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44013B2 (en) Power transmission control method and device for crane and crane
CA2768583C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 driving direction of an electric drive machine
JP5156693B2 (ja) 産業車両のエンジン回転数制御装置
US8855870B2 (en) Clutch control device for industrial vehicle
JP5174952B2 (ja) 作業車両の省燃費制御装置および作業車両の省燃費制御方法
US9133604B2 (en) Hydraulic control device for work machine
CN103534467B (zh) 履带式作业车辆
WO2017159389A1 (ja) 作業車両
KR20090083486A (ko) 산업 차량의 변속 제어 장치
WO2013115399A1 (ja) 作業車両のエンジン制御装置
CN103946577A (zh) 作业车辆的离合器控制装置
JP6658190B2 (ja) 車速制御装置
KR20150105752A (ko) 건설기계의 트랜스미션 컷오프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US20120330524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brake system
JP5092059B1 (ja) 作業車両及び作業車両の制御方法
KR102597075B1 (ko) 건설기계의 트랜스미션 컷오프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20069788A (ko) 건설중장비의 트랜스미션 컷 오프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JP6575953B2 (ja) ブレーキシステム検証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6806728B2 (ja) 作業車両
JP2005299732A (ja) 作業車両のクラッチ制御装置
JP5227153B2 (ja) ブルドーザの制御装置
JP7278130B2 (ja) 作業機械、及び作業機械の制御方法
US10415656B2 (en) Work-machine erroneous forward/backward travelling operation notifying device
CN219115419U (zh) 用于工程机械的液压辅助制动系统和工程机械
JPH0216900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