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8916A - Carbon dioxide application device - Google Patents

Carbon dioxide application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8916A
KR20160058916A KR1020167010401A KR20167010401A KR20160058916A KR 20160058916 A KR20160058916 A KR 20160058916A KR 1020167010401 A KR1020167010401 A KR 1020167010401A KR 20167010401 A KR20167010401 A KR 20167010401A KR 20160058916 A KR20160058916 A KR 201600589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dioxide
flow rate
storage tank
flow path
outsid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04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타카시 사이토
히로시 키타자키
Original Assignee
후타바 인더스트리얼 컴패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타바 인더스트리얼 컴패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타바 인더스트리얼 컴패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600589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891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8Greenhouses for treating plants with carbon dioxide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2Treatment of plants with carbon diox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01D53/0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stationary adsorb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3/00Adsorbents used in seperation treatment of gases and vapours
    • B01D2253/10Inorganic adsorbents
    • B01D2253/102Carb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30Sulfur compounds
    • B01D2257/302Sulfur ox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40Nitrogen compounds
    • B01D2257/404Nitrogen oxides other than dinitrogen ox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50Carbon oxides
    • B01D2257/504Carbon diox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8/00Sources of waste gases
    • B01D2258/02Other waste gases
    • B01D2258/0283Flue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9/00Type of treatment
    • B01D2259/40Further details for adsorption processes and devices
    • B01D2259/40083Regeneration of adsorbents in processes other than pressure or temperature swing adsorption
    • B01D2259/40088Regeneration of adsorbents in processes other than pressure or temperature swing adsorption by he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CCAPTURE, STORAGE, SEQUESTRATION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GHG]
    • Y02C20/00Capture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 Y02C20/40Capture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of CO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 Greenhouses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otan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류해 둔 이산화탄소를 장시간에 걸쳐 배출하고, 농업용 하우스 내에 낭비없이 시용할 수 있는 이산화탄소 시용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 이산화탄소 시용 장치(1)는, 공급 유로(51)에서 저류 탱크(71)를 통해서 배출 유로(81)에 도달하는 외기의 유량을 제1 유량이라 하고, 공급 유로(51)에서 바이패스 배관(91)을 통해서 배출 유로(81)에 도달하는 외기의 유량을 제2 유량이라 하였을 때에, 제1 유량에 대한 제2 유량의 비율을 변화되게 구성되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rbon dioxide application device which can discharge stored carbon dioxide over a long period of time and can be used in an agricultural house without waste. The carbon dioxide application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low rate of the outside air reaching the discharge flow path 81 from the supply flow path 51 through the storage tank 71 is referred to as a first flow rate, The ratio of the second flow rate to the first flow rate is changed when the flow rate of the outside air reaching the discharge flow path 81 through the bypass pipe 91 is referred to as a second flow rate.

Description

이산화탄소 시용 장치{Carbon dioxide application device}[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bon dioxide application device,

본 발명은 연소 장치의 연소 배기가스로부터 이산화탄소를 회수해서 저류해 두고, 당해 이산화탄소를 농업용 하우스 내에 공급하는 이산화탄소 시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bon dioxide application device for recovering and storing carbon dioxide from combustion exhaust gas of a combustion apparatus and supplying the carbon dioxide into an agricultural house.

주지한 바와 같이, 시설 원예의 농업용 하우스(온실)에서는, 야간에 기온이 지나치게 떨어져서 작물의 생육이 저해되는 일이 없도록, 가온기(연소 장치)를 이용해서 농업용 하우스 내의 공기를 따뜻하게 하고 있다. 이 가온기는, 중유나 등유 등을 연소시켜서 얻어진 열을, 온풍으로 농업용 하우스 내에 보내는 것이다. As is well known, in the agricultural house (greenhouse) of the facility horticulture, the air in the agricultural house is warmed by using a warming device (combustion device) so that the temperature does not fall too much at night and the growth of the crop is not hindered. This warming machine is to send the heat obtained by burning heavy oil or kerosene, etc. into the agricultural house by warm wind.

한편, 원예작물의 수율 및 품질 향상을 위해, 광합성에 필요한 이산화탄소를 농업용 하우스 내에 시용(공급)하기 위한 이산화탄소 시용 장치가 개발되어 있고, 보급되고 있다. 이 이산화탄소 시용 장치는, 중유나 등유 등을 연소시킴으로써 이산화탄소를 발생하게 하여, 당해 이산화탄소를 농업용 하우스 내(식물의 잎의 근방)에 공급하는 것이다.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improve the yield and quality of horticultural crops, a carbon dioxide application device for applying (supplying) carbon dioxide necessary for photosynthesis to an agricultural house has been developed and popularized. This carbon dioxide application device generates carbon dioxide by burning heavy oil or kerosene, and supplies the carbon dioxide to an agricultural house (in the vicinity of a leaf of a plant).

상기한 바와 같이, 농업용 하우스에서는, 야간은 가온기에서 중유나 등유 등을 연소시키고, 주간에는 이산화탄소 시용 장치에서 중유나 등유 등을 연소시키고 있다. 즉, 주간이나 야간에도, 중유나 등유 등의 연소에 의해 열과 이산화탄소 모두 발생되고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agricultural house, at night, heavy oil or kerosene are burned in the warmer, and heavy oil or kerosene is burned in the carbon dioxide application device during the daytime. In other words, both heat and carbon dioxide are generated by combustion of heavy oil or kerosene during daytime and nighttime.

그런데, 주간에는 광합성 때문에 이산화탄소가 필요하지만, 야간에는 광합성이 행해지지 않기 때문에 이산화탄소는 필요 없다. 또, 야간에는 기온이 떨어지기 때문에 열이 필요하지만, 주간에는 기온이 비교적 높기 때문에 열은 필요 없는 경우가 많다. 이에 감안하면, 야간에 가온기에서 발생한 연소 배기가스에서 이산화탄소를 회수·저류해 두고, 이를 주간에 농업용 하우스 내에 시용할 수 있으면, 주간은 중유나 등유 등을 연소시킬 필요는 없어지기 때문에, 에너지 절약의 촉진·지구 온난화 억제라고 하는 큰 효과가 얻어진다. By the way, carbon dioxide is necessary for the photosynthesis in the daytime, but carbon dioxide is not necessary in the nighttime because the photosynthesis is not performed. In addition, at night, heat is needed because the temperature drops, but in the daytime, the temperature is relatively high, so heat is often not needed. In view of this, it is not necessary to burn heavy oil or kerosene during the day when the carbon dioxide can be recovered and stored in the combustion exhaust gas generated at the night, and can be used in the agricultural house during the daytime. A great effect of inhibition of global warming can be obtained.

하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이산화탄소 시용 장치에서는, 야간, 가온기에서 발생한 연소 배기가스에서 이산화탄소를 회수·저류해 두고, 주간, 당해 이산화탄소를 농업용 하우스 내에 시용하고 있다. 따라서, 주간에는 중유나 등유 등을 연소시킬 필요가 없고, 높은 에너지 효율로 농업용 하우스 내에 이산화탄소를 시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In the carbon dioxide application device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carbon dioxide is recovered and stored in the combustion exhaust gas generated at nighttime and in a warmer, and the carbon dioxide is applied to the agricultural house during the daytime. Therefore, it is not necessary to burn heavy oil or kerosene during the day, and carbon dioxide can be used in the agricultural house with high energy efficiency.

하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이산화탄소 시용 장치는, 저류 탱크 내에 흡착재를 배치해 두고, 상기 흡착재에 이산화탄소를 흡착시킴으로써, 이산화탄소를 저류해 두는 것이다. 저류해 둔 이산화탄소를 배출(농업용 하우스 내에 시용)할 때에는, 저류 탱크 내에 외기(공기)를 공급하여, 당해 공기와 함께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이산화탄소 시용 장치에서는, 이산화탄소 방출과정의 초기 단계에서, 비교적 고농도의 이산화탄소가 배출되어버리는 경향이 있다. 배출되는 이산화탄소의 농도는, 이후 점점 감소되어가는 것이나, 초기 단계에서 고농도의 이산화탄소가 배출되기 때문에, 저류해 둔 이산화탄소는 비교적 단시간 내에 없어져버린다. The carbon dioxide application device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below has a structure in which a sorbent material is placed in a storage tank and carbon dioxide is adsorbed on the sorbent material to store carbon dioxide. When the stored carbon dioxide is to be discharged (applied in an agricultural house), outside air (air) is supplied into the storage tank, and carbon dioxide is discharged together with the air. In such an apparatus for applying carbon dioxide, a relatively high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tends to be discharged at an early stage of the carbon dioxide emission process. The concentration of discharged carbon dioxide gradually decreases, but since the high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is discharged in the initial stage, the stored carbon dioxide disappears in a relatively short period of time.

이산화탄소 시용 장치에서는, 식물의 잎 근방에 대하여, 광합성을 행하기 위해서 필요한 정도 양의 이산화탄소를 가능한 한 장시간에 걸쳐 배출(시용)하는 것이 요구된다. 고농도의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더라도, 그 대부분은 광합성에 사용되는 일 없이 농업용 하우스의 외부로 배출되어, 낭비가 되기 때문이다. In the carbon dioxide application device, it is required to discharge (apply) the amount of carbon dioxide necessary for performing the photosynthesis to the vicinity of the leaf of the plant for as long as possible. Even if a high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is emitted, most of the carbon dioxid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agricultural house without being used for photosynthesis, which is wasteful.

따라서, 하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이산화탄소 시용 장치는, 저류해 둔 이산화탄소를 낭비없이 시용한다고 하는 관점에서, 한층 더 개량의 여지가 있다. Therefore, the carbon dioxide application device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described below can be further improved from the viewpoint that the stored carbon dioxide is used without waste.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 2012-016322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2-016322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에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저류해 둔 이산화탄소를 장시간에 걸쳐 배출하고, 농업용 하우스 내에 낭비 없이 시용할 수 있는 이산화탄소 시용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rbon dioxide application device capable of discharging stored carbon dioxide over a long period of time and using it without waste in an agricultural house.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이산화탄소 시용 장치는, 연소 장치의 연소 배기가스로부터 이산화탄소를 회수하여 저류해 두고, 당해 이산화탄소를 농업용 하우스 내에 공급하는 이산화탄소 시용 장치로서, 내부에 흡착재를 가지고 있고, 이산화탄소를 상기 흡착재에 흡착시켜서 저류하는 저류 탱크와, 상기 저류 탱크에 연소 배기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유로인 공급 유로와, 상기 저류 탱크로부터 이산화탄소를 배출하기 위한 유로인 배출 유로와, 상기 저류 탱크를 개재하지 않고 상기 공급 유로와 상기 배출 유로를 연결하는 유로인 바이패스 유로와, 상기 공급 유로를 통해서 상기 저류 탱크에 외기를 공급함으로써, 상기 배출 유로를 통해서 상기 저류 탱크로부터 이산화탄소를 배출하게 하는 외기 도입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저류 탱크로부터 이산화탄소를 배출할 때에는, 상기 공급 유로로부터 상기 저류 탱크를 통해서 상기 배출 유로에 도달하는 외기의 유량을 제1 유량이라 하고, 상기 공급 유로로부터 상기 바이패스 유로를 통해서 상기 배출 유로에 도달하는 외기의 유량을 제2 유량이라고 하였을 때에, 상기 제1 유량에 대한 상기 제2 유량의 비율을 변화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 carbon dioxide application device for recovering carbon dioxide from a combustion exhaust gas of a combustion device and storing the carbon dioxide, and supplying the carbon dioxide into an agricultural house, the carbon dioxide application device having an adsorbent therein, A reservoir tank for adsorbing carbon dioxide on the adsorbent and storing the carbon dioxide, a supply flow path for supplying combustion exhaust gas to the storage tank, a discharge flow path for discharging carbon dioxide from the storage tank, A bypass flow path which is a flow path connecting the supply flow path and the discharge flow path without supplying the air to the storage tank and an outside air introduction means for discharging carbon dioxide from the storage tank through the discharge flow path by supplying outside air to the storage tank through the supply flow path, , And the storage tank The flow rate of the outside air reaching the discharge flow path from the supply flow path through the reservoir tank is referred to as a first flow rate and the flow rate of the outside air reaching the discharge flow path from the supply flow path through the bypass flow path And the ratio of the second flow rate to the first flow rate is changed when the flow rate is a second flow rate.

본 발명에 의한 이산화탄소 시용 장치에서는, 공급 유로에서 저류 탱크를 통해서 배출 유로에 도달하는 외기의 유량을 제1 유량이라 하고, 공급 유로에서 바이패스 유로를 통해서 배출 유로에 도달하는 외기의 유량을 제2 유량이라 하였을 때에, 제1 유량에 대한 제2 유량의 비율을 변화시킨다. 때문에, 저류 탱크로부터 배출되는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시간의 경과와 함께 변화하여도, 제1 유량에 대한 제2 유량의 비율을 변화시켜서 적당히 조정함으로써, 농업용 하우스에 시용되는 이산화탄소의 농도(공급량이라고 하여도 된다)가 변화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초기 단계에서 저류 탱크로부터 단숨에 이산화탄소가 방출되어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저류해 둔 이산화탄소를 장시간에 걸쳐 배출하고, 농업용 하우스 내에 낭비 없이 시용할 수 있다. 또, 식물이 광합성을 행하는데 최적인 특정 시간대에 있어서, 방출하는 이산화탄소 농도가 최대가 되도록, 제1 유량에 대한 제2 유량의 비율을 변화시키는 것도 가능해진다. In the carbon dioxide appl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low rate of the outside air reaching the discharge flow path from the supply flow path through the storage tank is referred to as a first flow rate, and the flow rate of the outside air, The flow rate of the second flow rate to the first flow rate is changed. Therefore, even if the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discharged from the storage tank changes with the lapse of time, the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used in the agricultural house (the supply amount Can be restrained from changing.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emission of carbon dioxide at a short time from the storage tank in the initial stage, to discharge the stored carbon dioxide over a long period of time, and to use it without waste in the agricultural house. It is also possible to change the ratio of the second flow rate to the first flow rate so that the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emitted is maximized in a specific time period optimal for plants to perform photosynthesis.

또 본 발명에 의한 이산화탄소 시용 장치는, 상기 저류 탱크로부터 이산화탄소를 배출할 때에는, 상기 제1 유량에 대한 상기 제2 유량의 비율을 서서히 또는 단계적으로 감소하게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It is also preferable that, in discharging the carbon dioxide from the storage tank, the ratio of the second flow rate to the first flow rate is gradually or stepwise decreased.

이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제1 유량에 대한 제2 유량의 비율을 서서히 또는 단계적으로 감소된다. 저류 탱크로부터 배출되는 이산화탄소의 농도는, 시간의 경과와 함께 저하되는 경향이 있으므로, 제1 유량에 대한 제2 유량의 비율을 서서히 또는 단계적으로 감소시킴으로써, 농업용 하우스에 시용되는 이산화탄소의 농도 변화를 억제할 수 있다. In this preferred form, the ratio of the second flow rate to the first flow rate is reduced gradually or stepwise. Since the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discharged from the storage tank tends to decrease with the lapse of time, by gradually or stepwise decreasing the ratio of the second flow rate to the first flow rate, the change in the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used in the agricultural house is suppressed can do.

또 본 발명에 의한 이산화탄소 시용 장치는, 상기 공급 유로를 통하는 연소 배기가스의 열을 회수해서 축열해 두는 축열 수단을 더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저류 탱크로부터 이산화탄소를 배출할 때에, 상기 축열 수단에 축열되어 있던 열에 의해, 상기 외기 도입 수단에 의해 상기 저류 탱크에 공급되는 외기를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 the apparatus for using carbon dioxi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 heat storage means for collecting and storing the heat of the combustion exhaust gas flowing through the supply flow passage, and when the carbon dioxide is discharged from the storage tank, And the outside air to be supplied to the storage tank is heated by the outside heat introduction means.

이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연소 배기가스의 열(배기열)을 회수해서 축열해 두는 축열 수단을 구비하고, 이 축열 수단에 축열되어 있던 열을 이용하여, 저류 탱크에 공급되는 외기를 가열한다. 저류 탱크로부터 배출되는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저하되었을 때에, 가열된 외기를 저류 탱크에 공급하면, 흡착재로부터의 이산화탄소의 이탈이 촉진된다. 그 결과, 저류 탱크로부터 배출되는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상승하기 때문에, 농업용 하우스 내로의 이산화탄소의 시용 시간을 더 길게 할 수 있다. In this preferred embodiment, there is provided a heat storage means for recovering and storing heat (exhaust heat) of the combustion exhaust gas, and uses the heat stored in the heat storage means to heat the outside air supplied to the storage tank. When the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discharged from the storage tank is lowered, when the heated outside air is supplied to the storage tank, the release of carbon dioxide from the adsorbent is promoted. As a result, since the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discharged from the storage tank is increased, the application time of carbon dioxide into the agricultural house can be made longer.

본 발명에 의하면, 저류해 둔 이산화탄소를 장시간에 걸쳐 배출하고, 농업용 하우스 내에 낭비없이 시용할 수 있는 이산화탄소 시용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arbon dioxide application device capable of discharging stored carbon dioxide over a long period of time and using it without waste in an agricultural hous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이산화탄소 시용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전체도.
도 2는 이산화탄소 배출 과정에서의 이산화탄소 농도의 시간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3은 이산화탄소 배출 과정에서의 이산화탄소 농도의 시간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4는 이산화탄소 배출 과정에서의 이산화탄소 농도의 시간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whole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carbon dioxide application devic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graph showing the time variation of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during the carbon dioxide emission process. FIG.
FIG. 3 is a graph showing the time variation of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in the carbon dioxide emission process. FIG.
FIG. 4 is a graph showing a time variation of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in the carbon dioxide emission process. FIG.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설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각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descrip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denote the same elements in the drawings, and redundant explanations are omitted.

도 1은 본 실시예의 이산화탄소 시용 장치(1)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전체도이다. 이산화탄소 시용 장치(1)는 연소 배기가스에서 이산화탄소를 회수·저류하고, 저류한 이산화탄소를 방출하여 농업용 하우스 내에 공급하는 시스템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산화탄소 시용 장치(1)는 가온기(11; 연소 장치)와, 외기 도입 유로(21)와, 공급 유로(51)와, 배기열 회수기(31; 축열 수단)와, 정화 장치(41)와, 블로워(61; 외기 도입 수단)와, 저류 탱크(71)와, 배출 유로(81)와, 바이패스 배관(91)과, 연소 배기 가스량 조정 밸브(V1)와, 외기량 조정 밸브(V2)와, 배출 유량조정 밸브(V3) 그리고 바이패스 유량 조정 밸브(V4)를 구비한다. 또,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산화탄소 시용 장치(1)는, 농업용 하우스(10) 내에 수용된다. Fig. 1 is a whole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the carbon dioxide application device 1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carbon dioxide application device 1 collects and stores carbon dioxide in combustion exhaust gas, releases the stored carbon dioxide, and supplies the carbon dioxide to the agricultural house. 1, the carbon dioxide application device 1 includes a warming device 11 (combustion device), an outside air introduction passage 21, a supply passage 51, an exhaust heat collecting device 31 (heat storage means) The exhaust pipe 81, the bypass piping 91, the combustion exhaust gas amount adjusting valve V1, and the like are connected to the purifier 41, the blower 61 (outdoor air introducing means), the storage tank 71, A rate adjusting valve V2, a discharge flow rate adjusting valve V3, and a bypass flow rate adjusting valve V4. Further, as shown in Fig. 1, the carbon dioxide application device 1 is accommodated in the agricultural house 10. Fig.

가온기(11)는, 중유나 등유 등을 연소해서 얻어진 열을, 온풍으로 보내는 장치이다. 가온기(11)는, 야간에 기온이 지나치게 내려가서 작물의 생육이 저해되는 일이 없도록, 농업용 하우스(10) 내에 온풍을 공급한다. 가온기(11)에는 굴뚝(12)이 접속되어 있고, 이 굴뚝(12)으로부터, 중유나 등유 등의 연소에 의해 발생한 연소 배기가스가 배출된다. 이 굴뚝(12)의 중간에는, 연소 배기 가스량 조정 밸브(V1)를 개재해서 공급 유로(51)가 접속되어 있다. 도시하지 않은 제어장치에 의해 연소 배기 가스량 조정 밸브(V1)를 제어하는 것으로, 연소 배기가스가 굴뚝(12)으로부터 배출되는 상태와, 연소 배기가스가 공급 유로(51)에 공급되는 상태가 절환된다. The warming device 11 is a device for sending heat obtained by burning heavy oil or kerosene to warm air. The warming unit (11) supplies warm air to the agricultural house (10)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warming unit (11) does not excessively lower at night and the growth of crops is not hindered. A chimney 12 is connected to the warming unit 11 and combustion exhaust gas generated by combustion such as heavy oil or kerosene is discharged from the chimney 12. In the middle of the chimney 12, a supply flow path 51 is connected via a combustion exhaust gas amount adjusting valve V1. The combustion exhaust gas amount adjusting valve V1 is controlled by a control device (not shown) to switch the state in which the combustion exhaust gas is discharged from the stack 12 and the state in which the combustion exhaust gas is supplied to the supply flow passage 51 .

공급 유로(51)는 굴뚝(12)(연소 배기 가스량 조정 밸브(V1))과 저류 탱크(71)를 연결하는 배관으로, 가온기(11)에서 연소 배기가스를 저류 탱크(71)에 공급하는 유로로 되어 있다. 공급 유로(51)의 중간에는, 상류 측에서 순서대로, 외기 도입 유로(21), 배기열 회수기(31), 정화 장치(41), 응축수 탱크(121) 그리고 블로워(61)가 각각 접속되어 있다. The supply flow path 51 is a pipe connecting the chimney 12 (combustion exhaust gas amount adjustment valve V1) and the reservoir tank 71 and supplies the combustion exhaust gas to the reservoir tank 71 in the warmer 11 It is in euros. The outside air introduction flow path 21, the exhaust heat recovery device 31, the purifier 41, the condensate tank 121 and the blower 61 are connected in order from the upstream side in the middle of the supply flow path 51.

외기 도입 유로(21)는, 그 일단이 공급 유로(51)에 접속되고, 타단이 농업용 하우스(10) 내의 공간에 개방된 배관이다. 외기 도입 유로(21)에 의해, 농업용 하우스(10) 내의 공기(외기)를 공급 유로(51) 내에 도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외기 도입 유로(21)로부터 도입되는 외기의 유량은, 외기 도입 유로(21)에 설치된 외기량 조정 밸브(V2)에 의해 조정된다. The outside air introduction flow path 21 is a pipeline in which one end is connected to the supply flow path 51 and the other end is opened in a space in the agricultural house 10. [ It is possible to introduce the air (outside air) in the agricultural house 10 into the supply flow passage 51 by the outside air introduction flow passage 21. The flow rate of the outside ai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air introduction flow passage 21 is adjusted by the outside air adjustment valve V2 provided in the outside air introduction flow passage 21. [

배기열 회수기(31)는, 소위 열교환기로, 공급 유로(51) 내를 흐르는 기체(연소 배기가스)의 열을 회수하거나, 공급 유로(51) 내를 흐르는 기체(외기)에 열을 더하거나 할 수 있는 장치이다. 배기열 회수기(31)는, 공급 유로(51) 중, 공급 유로(51)와 외기 도입 유로(21)의 접속 부분보다도 하류 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배기열 회수기(31)에 의해 연소 배기가스의 열을 회수하는 것으로, 공급 유로(51) 내를 흐르는 연소 배기가스의 온도를 내리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결과, 하류 측의 저류 탱크(71)에 공급되는 연소 배기가스의 온도를, 이산화탄소의 흡착에 적합한 온도로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배기열 회수기(31)에 의해 회수된 열은, 저탕 탱크(33; 축열 수단) 내에 탕(湯)으로 축열된다. The exhaust heat recovery device 31 is a so-called heat exchanger that is capable of recovering heat of a gas (combustion exhaust gas) flowing in the supply flow path 51 or adding heat to a gas (ambient air) flowing in the supply flow path 51 Device. The exhaust heat recovery device 31 is dispos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supply flow path 51 with respect to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supply flow path 51 and the ambient air introduction flow path 21. The temperature of the combustion exhaust gas flowing in the supply flow path 51 can be lowered by recovering the heat of the combustion exhaust gas by the exhaust heat recovery device 31. As a result, it becomes possible to set the temperature of the combustion exhaust gas supplied to the storage tank 71 on the downstream side to a temperature suitable for adsorption of carbon dioxide. The heat recovered by the exhaust heat recovery device 31 is stored in hot water in the storage tank 33 (heat storage means).

배기열 회수기(31)와 저탕 탱크(33)는 배관(34)으로 접속되어 있고, 배관(34)에는 방열 장치(32)가 배치되어 있다. 필요에 따라 방열 장치(32)로부터 열을 방출함으로써, 저탕 탱크(33) 내의 탕의 온도가 지나치게 상승하는 것이 방지된다. The exhaust heat recovery device 31 and the storage tank 33 are connected by a pipe 34 and a heat dissipating device 32 is disposed in the pipe 34. By releasing heat from the heat dissipating device 32 as necessary,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in the warming tank 33 is prevented from rising excessively.

또한, 배기열 회수기(31)로서는, 연소 배기가스의 열을 회수하고, 회수한 열을 축열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 종류의 열교환기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방열 장치(32)로서는, 배관(34)을 흐르는 물의 온도를 낮추는 기능을 가지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 종류의 것(예를 들면, 라디에이터)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 exhaust heat recovering device 31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has a function of recovering the heat of the combustion exhaust gas and storing the recovered heat, and various kinds of heat exchangers can be used. The heat dissipating device 32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has a function of lowering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flowing through the pipe 34, and it is possible to use various kinds of radiators (for example, a radiator).

정화 장치(41)는, 연소 배기가스 중의 질소 산화물 및 유황 산화물을 제거하는 장치이다. 질소 산화물 및 유황 산화물은, 식물의 생육에 즈음하여 악영향을 주기 때문에, 이들을 제거하기 위하여 정화 장치(41)가 설치되어 있다. 정화 장치(41)는, 공급 유로(51) 중 배기열 회수기(31)보다 하류 측에 배치되어 있다. 단, 촉매 등을 이용한 고온 정화를 행할 경우에는, 공급 유로(51) 중 배기열 회수기(31)보다 상류 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The purifier 41 is a device for removing nitrogen oxides and sulfur oxides in the combustion exhaust gas. Nitrogen oxides and sulfur oxides adversely affect the growth of plants, and therefore a purification device 41 is provided to remove them. The purifier 41 is dispos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exhaust heat reclaimer 31 in the supply passage 51. However, when high temperature purification using a catalyst or the like is performed, it may be disposed on the upstream side of the exhaust heat recovery device 31 in the supply flow path 51.

응축수 탱크(121)는, 연소 배기가스 중의 수분을 회수하는 장치이다. 공급 유로(51) 내를 흐르는 연소 배기가스가, 상술한 배기열 회수기(31)에 의해 열이 회수되어서 냉각될 때에, 연소 배기가스 중의 수분이 응축되어 공급 유로(51) 내에서 물방울(응축수)이 된다. 이와 같은 공급 유로(51) 내에 생기는 물방울을 회수하기 위하여 응축수 탱크(121)가 설치되어 있다. The condensate tank 121 is a device for collecting moisture in the combustion exhaust gas. When the combustion exhaust gas flowing in the supply flow passage 51 is cooled by recovering heat by the exhaust heat recovery device 31 described above, water in the combustion exhaust gas is condensed and water droplets (condensed water) do. A condensate tank 121 is provided to collect water droplets generated in the supply passage 51.

블로워(61)는, 공급 유로(51) 내를 흐르는 기체(외기나 연소 배기가스)를 저류 탱크(71) 측으로 송풍하는 송풍 장치이다. 블로워(61)로서는, 예를 들면 송풍 팬이 사용된다. 블로워(61)를 가동하는 것으로, 공급 유로(51) 내의 기체가 저류 탱크(71)에 공급된다. 블로워(61)는, 공급 유로(51) 중 응축수 탱크(121)보다 하류 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블로워(61)의 위치는 이와 같은 위치에 한정되지 않고, 공급 유로(51)의 임의의 위치로 할 수 있다. The blower 61 is a blowing device for blowing a gas (outside air or combustion exhaust gas) flowing in the supply passage 51 to the storage tank 71 side. As the blower 61, for example, a blowing fan is used. By operating the blower 61, the gas in the supply passage 51 is supplied to the storage tank 71. The blower 61 is dispos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condensed water tank 121 in the supply passage 51. Further, the position of the blower 61 is not limited to this position, but may be any position of the supply passage 51. [

저류 탱크(71)는, 공급 유로(51)의 가장 하류 측에 설치되고, 공급 유로(51)를 통해서 저류 탱크(71)에 공기 또는 연소 배기가스가 도입된다. 저류 탱크(71)는, 연소 배기가스 중의 이산화탄소를 흡착·저류하는 흡착재(72)를 내부에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저류 탱크(71)에 도입된 연소 배기가스에 포함된 이산화탄소는, 저류 탱크(71) 내의 흡착재(72)에 의해 흡착·저류된다. 연소 배기가스는, 이와 같이 이산화탄소의 일부 또는 전부가 제거된 후, 저류 탱크(71)에 접속된 배출 유로(81)로부터 배출된다. 이때, 흡착재(72)에 흡착된 이산화탄소의 양은 점차로 증가되어, 상한량(포화 흡착량)에 도달한 후에 일정하게 된다. The storage tank 71 is provided at the most downstream side of the supply passage 51 and air or combustion exhaust gas is introduced into the storage tank 71 through the supply passage 51. The storage tank 71 has therein a sorbent material 72 for adsorbing and storing carbon dioxide in the combustion exhaust gas. Therefore, the carbon dioxide contained in the combustion exhaust gas introduced into the stock tank 71 is adsorbed and stored by the adsorbent 72 in the stock tank 71. The combustion exhaust gas is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assage 81 connected to the storage tank 71 after part or all of the carbon dioxide is removed as described above. At this time, the amount of carbon dioxide adsorbed on the adsorbent 72 gradually increases and becomes constant after reaching the upper limit amount (saturated adsorption amount).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흡착재(72)로 예를 들면 활성탄 등이 사용되지만, 연소 배기가스 중의 이산화탄소를 흡착·저류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이라면 다른 재료를 사용할 수도 있고, 예를 들면 제올라이트 등의 친수성 다공질 재료를 사용할 수도 있다. In this embodiment, for example, activated carbon or the like is used as the adsorbent 72, but other materials may be used as long as they have the function of adsorbing and storing carbon dioxide in the combustion exhaust gas. For example, hydrophilic porous materials such as zeolite Materials may also be used.

바이패스 배관(91)은, 공급 유로(51) 중 블로워(61)와 저류 탱크(71) 사이의 부분(분기부(52))과, 배출 유로(81)를 접속하는 배관이다. 블로워(61)에 의해 송풍된 기체는, 분기부(52)에서 분기되어 저류 탱크(71)와 바이패스 유로의 바이패스 배관(91) 양쪽에 유입된다. 그 후, 바이패스 배관(91)과 배출 유로(81)와의 접속 부분(합류부(82))에서 다시 합류한다. The bypass piping 91 is a pipe for connecting the part of the supply flow path 51 between the blower 61 and the reservoir tank 71 (branching section 52) and the discharge flow path 81. The gas blown by the blower 61 branches at the branching section 52 and flows into both the storage tank 71 and the bypass piping 91 of the bypass flow path. Thereafter, the refrigerant is joined again at the connecting portion (merging portion 82) between the bypass piping 91 and the discharge flow path 81.

다시 말해, 바이패스 배관(91)은, 저류 탱크(71)를 개재하지 않고 공급 유로(51)와 배출 유로(81)를 연결하는 유로(바이패스 유로)를 구성하는 배관이다. 바이패스 배관(91)에는, 바이패스 유량조정 밸브(V4)가 설치되어있다. 바이패스 유량조정 밸브(V4)에 의해, 바이패스 배관(91)을 흐르는 공기의 유량이 조정되도록 되어 있다. In other words, the bypass piping 91 is a piping constituting a flow path (bypass flow path) for connecting the supply flow path 51 and the discharge flow path 81 without interposing the storage tank 71. The bypass piping 91 is provided with a bypass flow rate adjusting valve V4. The flow rate of the air flowing through the bypass pipe 91 is adjusted by the bypass flow rate adjusting valve V4.

배출 유로(81)에는, 배출 유량조정 밸브(V3)가 설치되어 있다. 배출 유량조정 밸브(V3)에 의해, 배출 유로(81) 내를 흐르는 공기 또는 연소 배기가스의 유량이 조정되도록 되어 있다. The discharge flow path 81 is provided with a discharge flow rate adjusting valve V3. The flow rate of the air or combustion exhaust gas flowing through the discharge passage 81 is adjusted by the discharge flow rate adjusting valve V3.

상기 구성을 구비한 이산화탄소 시용 장치(1)에 있어서, 연소 배기가스 중의 이산화탄소를 저류 탱크(71)에 흡착·저류하는 이산화탄소 흡착 과정과, 저류 탱크(71)에 흡착·저류된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이산화탄소 배출 과정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In the carbon dioxide application device 1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the carbon dioxide adsorption process for adsorbing and storing carbon dioxide in the combustion exhaust gas in the storage tank 71 and the carbon dioxide adsorption process for adsorbing and storing the carbon dioxide adsorbed and stored in the storage tank 71 The discharge process will be described below.

이산화탄소 흡착 과정에서는, 연소 배기가스가 공급 유로(51) 측으로 흐르도록 연소 배기 가스량 조정 밸브(V1)를 조정한 상태에서, 가온기(11) 및 블로워(61)를 가동시킨다. 이때, 외기량 조정 밸브(V2)는 닫힌 상태로 되어 있고, 배출 유량조정 밸브(V3)는 열린 상태로 되어 있고, 바이패스 유량조정 밸브(V4)는 닫힌 상태로 되어 있다. 그러므로, 가온기(11)로부터 공급 유로(51) 내에 도입된 연소 배기가스의 전량은 블로워(61)에 송풍되어 저류 탱크(71)에 유입된다. 배기열 회수기(31)는 가동한 상태로 되어 있고, 연소 배기가스는 온도가 내려간 상태에서 저류 탱크(71) 측에 공급된다. 그 결과, 연소 배기가스에 함유되는 이산화탄소가 흡착재(72)에 흡착되고, 저류 탱크(71) 내에 저류된다. 이와 같은 이산화탄소 흡착 과정은, 주로, 농업용 하우스(10) 내의 온도가 저하되는 야간에 행해진다. In the carbon dioxide adsorption process, the warmer 11 and the blower 61 are operated in a state in which the combustion exhaust gas amount adjustment valve V1 is adjusted so that the combustion exhaust gas flows to the supply flow path 51 side. At this time, the outside air adjustment valve V2 is closed, the discharge flow rate adjustment valve V3 is open, and the bypass flow rate adjustment valve V4 is closed. Therefore, the entire amount of the combustion exhaust gas introduced into the supply passage 51 from the warmer 11 is blown into the blower 61 and flows into the storage tank 71. [ The exhaust heat recovery device 31 is in the operating state, and the combustion exhaust gas is supplied to the storage tank 71 side in a state in which the temperature is lowered. As a result, the carbon dioxide contained in the combustion exhaust gas is adsorbed by the adsorbent 72 and stored in the stock tank 71. This carbon dioxide adsorption process is performed mainly at night where the temperature in the agricultural house 10 is lowered.

이산화탄소 배출 과정에서는, 가온기(11)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블로워(61)를 가동한다. 이때, 외기량 조정 밸브(V2)는 열린 상태로 되어 있고, 배출 유량조정 밸브(V3)는 열린 상태로 되어 있고, 바이패스 유량조정 밸브(V4)는 열린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공급 유로(51) 내에서는, 외기 도입 유로(21)로부터 도입된 외기가 흐른다. 상기 외기는, 저류 탱크(71)와 바이패스 배관(91) 양쪽에 공급된다. In the carbon dioxide discharge process, the blower 61 is operated in a state in which the warmer 11 is stopped. At this time, the outside air adjustment valve V2 is opened, the discharge flow rate adjustment valve V3 is open, and the bypass flow rate adjustment valve V4 is open. Therefore, the outside ai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air introduction flow path 21 flows in the supply flow path 51. The outside air is supplied to both the storage tank 71 and the bypass pipe 91.

저류 탱크(71) 내에서 흡착, 저류되어 있던 이산화탄소는, 블로워(61)로부터 저류 탱크(71)에 공급된 외기와 함께, 배출 유로(81)로 배출된다. 그 후, 바이패스 배관(91)을 흐르는 외기와 합류하여 농도가 저하된 상태에서, 농업용 하우스(10) 내(식물의 잎의 근방)로 배출된다. 이와 같은 이산화탄소 배출 과정은, 식물이 광합성을 행하는 주간에 행해진다. The carbon dioxide adsorbed and stored in the storage tank 71 is discharged to the discharge flow path 81 together with the outside air supplied from the blower 61 to the storage tank 71. Thereafter, it is merged with the outside air flowing through the bypass piping 91 and is discharged into the agricultural house 10 (near the leaf of the plant) in a state where the concentration is lowered. Such a carbon dioxide emission process is performed during a day when a plant performs photosynthesis.

또한, 바이패스 유량조정 밸브(V4)의 개방도는, 도시하지 않은 제어장치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예를 들면 시간의 경과와 함께 조정되는 것이다. 바이패스 유량조정 밸브(V4)의 개방도에 관해서는, 예를 들면, 이산화탄소 배출 과정의 초기 단계에서, 바이패스 유량조정 밸브(V4)를 전체 개방으로 하고, 공급 유로(51) 내에서 도입되는 외기 유량의 약 반 정도를 바이패스 배관(91)으로 흐르게 하여 바이패스한 후,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바이패스 유량조정 밸브(V4)를 전체 폐쇄로 하고, 공급 유로(51) 내에서 도입되는 외기의 전량을 저류 탱크(71)에 공급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opening degree of the bypass flow rate adjusting valve V4 is adjusted with a passage of time, for example, by a signal from a controller (not shown). Regarding the opening degree of the bypass flow rate regulating valve V4, for example, in the initial stage of the carbon dioxide discharging process, the bypass flow rate regulating valve V4 is opened as a whole, The bypass flow control valve V4 is fully closed 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after passing about half of the flow rate of the outside air through the bypass pipe 91 and then introduced into the supply flow path 51 It is also possible to supply the entire amount of outside air to the storage tank 71.

또, 예를 들면, 초기 단계에 바이패스 유량조정 밸브(V4)를 전체 개방으로 하고, 그 후는 바이패스 유량조정 밸브(V4)를 서서히 닫는 것으로, 바이패스 배관(91)에 흐르는 외기 양을 서서히 감소시키고, 저류 탱크(71)에 흐르는 외기의 양을 서서히 증가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공급 유로(51)로부터 저류 탱크(71)를 통해서 배출 유로(81)에 도달하는 외기의 유량(제1 유량)과, 공급 유로(51)로부터 바이패스 배관(91)을 통해서 배출 유로(81)에 도달하는 외기의 유량(제2 유량)의 비율은, 바이패스 유량조정 밸브(V4)의 개방도를 조정함으로써 서서히 또는 단계적으로 바꿀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1 유량에 대한 제2 유량의 비율을 서서히 또는 단계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For example, the bypass flow rate adjusting valve V4 may be fully opened at an initial stage, and then the bypass flow rate adjusting valve V4 may be gradually closed to increase the amount of outside air flowing through the bypass pipeline 91 It is possible to gradually reduce the amount of outside air flowing into the storage tank 71 and gradually increase the amount of outside air. As described above, the flow rate (the first flow rate) of the outside air reaching the discharge flow path 81 from the supply flow path 51 through the storage tank 71 and the discharge amount from the supply flow path 51 through the bypass piping 91 The ratio of the flow rate of the outside air (second flow rate) reaching the flow path 81 can be changed gradually or stepwise by adjusting the opening degree of the bypass flow rate adjusting valve V4. In other words, the ratio of the second flow rate to the first flow rate can be changed gradually or stepwise.

또 상술한 이산화탄소 배출 과정에 있어서, 배출 유량조정 밸브(V3)의 개방도를, 바이패스 유량조정 밸브(V4)의 개방도와 함께 (또는 단독으로) 조정하는 것으로, 제1 유량에 대한 제2 유량의 비율이 감소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저류 탱크(71)에 흐르는 외기의 유량에 대한 바이패스 배관(91)에 흐르는 외기의 유량 비율을, 배출 유량조정 밸브(V3) 및 바이패스 유량조정 밸브(V4) 양방의 개방도에 의해 감소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비율에 관해서는, 예를 들면, 제1 유량에 대한 제2 유량의 비율이 서서히 감소되게 구성할 수도 있고, 소정 시간 경과 후에, 제1 유량에 대한 제2 유량의 비율이 단계적으로 변화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in the aforementioned carbon dioxide discharge process, by adjusting the opening degree of the discharge flow rate adjusting valve V3 together with (or alone) the opening degree of the bypass flow rate adjusting valve V4, the second flow rate May be configured to be reduced. In other words, the ratio of the flow rate of the outside air flowing through the bypass pipe 91 to the flow rate of the outside air flowing into the reservoir tank 71 is set to the opening degree of both the discharge flow rate adjusting valve V3 and the bypass flow rate adjusting valve V4 . ≪ / RTI > As for this ratio, for example, the ratio of the second flow rate to the first flow rate may be gradually decreased, or after the lapse of a predetermined time, the ratio of the second flow rate to the first flow rate may be changed stepwise You may.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유량에 대한 제2 유량의 비율을 변화시킨다. 따라서, 저류 탱크(71)로부터 배출되는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변화되어도, 제1 유량에 대한 제2 유량의 비율을 변화시켜서 적당히 조정함으로써, 농업용 하우스에 시용되는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변화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초기 단계에서 저류 탱크로부터 단숨에 이산화탄소가 방출되어 버리는 일 없이, 저류해 둔 이산화탄소를 장시간에 걸쳐 배출하고, 농업용 하우스 내에 낭비없이 시용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ratio of the second flow rate to the first flow rate is changed as described above. Therefore, even if the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discharged from the storage tank 71 changes, the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used in the agricultural house can be prevented from being changed by appropriately adjusting the ratio of the second flow rate to the first flow rate .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discharge the stored carbon dioxide over a long period of time without waste of carbon dioxide from the storage tank at the initial stage, and to use it without waste in the agricultural house.

또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유량에 대한 제2 유량의 비율이 서서히 또는 단계적으로 감소된다. 이산화탄소의 저류량(흡착량)의 저하에 따라, 저류 탱크(71)로부터 배출 유로(81)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의 농도는 시간의 경과와 함께 저하되는 경향에 있으므로, 제1 유량에 대한 제2 유량의 비율을 서서히 또는 단계적으로 감소시킴으로써, 농업용 하우스(10) 내에 시용되는 이산화탄소의 농도 변화를 억제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the ratio of the second flow rate to the first flow rate is gradually or stepwise reduced. The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discharged from the reservoir tank 71 to the discharge flow path 81 tends to decrease with the lapse of time due to the decrease of the storage amount (adsorption amount) of carbon dioxide, so that the second flow rate to the first flow rate By gradually or stepwise decreasing the ratio,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concentration change of the carbon dioxide used in the agricultural house 10.

계속해서 도 2를 참조하면서, 상술한 이산화탄소 배출 과정에 있어서의 이산화탄소 농도의 시간 변화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이산화탄소 배출 과정에 있어서의 이산화탄소 농도의 시간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로, 이산화탄소 시용 장치(1)에 의해 이산화탄소를 시용하였을 경우와, 종래의 이산화탄소 시용 장치에 의해 이산화탄소를 시용하였을 경우를 비교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2에 있어서의 그래프의 횡축은 시간을 나타내고, 도 2에 있어서의 그래프의 종축은 농업용 하우스(10) 내에 공급(시용)되는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2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이산화탄소 시용 장치(1)에 의해 시용하였을 경우에 있어서의 이산화탄소 농도의 시간 변화를, 그래프 G1로 나타내고 있다. 또, 종래의 이산화탄소 시용 장치에 의해 시용하였을 경우에 있어서의 이산화탄소 농도의 시간 변화를, 그래프 G2로 나타내고 있다. Next, with reference to Fig. 2,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the time variation of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in the above-described carbon dioxide emission process. FIG. 2 is a graph showing the change over time of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in the carbon dioxide emission process. It is a comparison between the case where carbon dioxide is used by the carbon dioxide application device 1 and the case where carbon dioxide is used by a conventional carbon dioxide application device . The abscissa of the graph in Fig. 2 represents time, and the ordinate of the graph in Fig. 2 represents the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fed into the agricultural house 10. Fig. 2 is a graph G1 showing the change over time of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when the carbon dioxide is applied by the carbon dioxide application device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graph G2 shows the change over time of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when the apparatus was applied by a conventional carbon dioxide application apparatus.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그래프 G1과 그래프 G2를 비교하면, 그래프 G1(본 발명) 쪽이, 특히 이산화탄소 배출 과정의 초기 단계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 농도를 대폭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시간의 경과와 함께, 그래프 G2(종래)에서는 이산화탄소 농도가 크게 감소하고 있으나, 그래프 G1(본 발명)에서는, 시간이 경과하여도 이산화탄소 농도의 변화(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그래프 G1(본 발명)에서는, 농업용 하우스(10) 내에 공급하는 이산화탄소 농도를 거의 일정한 상태로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 결과, 종래보다도 장시간의 이산화탄소의 시용이 가능해진다. As shown in FIG. 2, when the graphs G1 and G2 are compared with each other, the graph G1 (present invention)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discharged in the initial stage of the carbon dioxide emission process. With the elapse of time,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is greatly reduced in the graph G2 (conventional), but in the graph G1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nge (decrease) of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can be suppressed even after a lapse of time. In other words, in the graph G1 (present invention), the concentration of the carbon dioxide supplied into the agricultural house 10 can be made substantially constant.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use carbon dioxide for a longer time than in the prior art.

또 본 발명 사용 방법에서는, 이산화탄소 배출 과정에 있어서, 소정 시간 경과 후(도 2에서는 시각 t1)에, 바이패스 배관(91)에 설치된 바이패스 유량조정 밸브(V4)의 개방도를 작게 하여, 제1 유량에 대한 제2 유량의 비율을 감소시키고 있다. 즉, 저류 탱크(71)에 흐르는 외기의 유량에 대한 바이패스 배관(91) 내에 흐르는 외기의 유량 비율이 감소하고 있다. 따라서, 저류 탱크(71)에 흐르는 외기의 유량이 커지고, 농업용 하우스(10) 내에 공급되는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증가되고 있다. 그 결과, 보다 장시간의 이산화탄소의 시용이 가능하게 된다. Further, in the method of us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ning degree of the bypass flow rate adjusting valve (V4) provided in the bypass pipe (91) is reduced afte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The ratio of the second flow rate to the first flow rate is reduced. In other words, the flow rate ratio of the outside air flowing in the bypass pipe 91 to the flow rate of the outside air flowing into the storage tank 71 decreases. Therefore, the flow rate of the outside air flowing into the storage tank 71 is increased, and the concentration of the carbon dioxide supplied into the agricultural house 10 is increasing.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use carbon dioxide for a longer time.

계속해서, 도 3을 참조하면서, 상술한 이산화탄소 시용 장치(1)의 운전 방법(제1 운전 방법)과는 다른 운전 방법(제2 운전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은, 도 2와 같은 그래프로, 이산화탄소 배출 과정에 있어서의 이산화탄소 농도의 시간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구체적으로는, 이산화탄소 시용 장치(1)에 의해 이산화탄소를 시용하였을 경우와, 종래의 이산화탄소 시용 장치에 의해 이산화탄소를 시용하였을 경우를 비교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또한, 이 제2 운전 방법에 있어서도, 상술한 제1 운전 방법과 마찬가지로, 시각(t1)에 바이패스 유량조정 밸브(V4)의 개방도를 작게 하고 있다. Next, an operation method (second operation method) different from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method (first operation method) of the carbon dioxide application device 1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FIG. 3 is a graph showing the change over time of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in the carbon dioxide discharge process, as shown in FIG. 2. Specifically, this graph is a graph for comparing the case where carbon dioxide is used by the carbon dioxide application device 1 and the case where carbon dioxide is used by a conventional carbon dioxide application device. Also in this second operating method, the opening degree of the bypass flow rate adjusting valve V4 is made small at time t1 similarly to the above-described first operating method.

이 제2 운전 방법에서는, 저류 탱크(71)로부터 배출되는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저하되었을 때(도 3의 시각(t2))에, 저류 탱크(71)에 공급되는 외기를 배기열 회수기(31)에 의해 가열한다. 다시 말해, 저탕 탱크(33; 축열 수단)에 축열하고 있던 열을 이용하여, 공급 유로(51) 내를 흐르는 외기를 가열한다. 저류 탱크(71)에는 비교적 따뜻한 외기가 도입되고, 흡착재(72)로부터의 이산화탄소의 이탈이 촉진되기 때문에, 농업용 하우스(10) 내에 공급되는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시각(t2)에서 다시 상승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저류 탱크(71)에 공급되는 외기를 중도에서 가열하여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상승시키는 것으로, 농업용 하우스(10) 내로의 이산화탄소의 시용 시간을 더 길게 할 수 있다. In this second operation method, when the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discharged from the storage tank 71 is lowered (time t2 in FIG. 3), the outside air supplied to the storage tank 71 is discharged by the exhaust heat recovery device 31 Heat it. In other words, the outside air flowing through the supply passage 51 is heated by the heat stored in the storage tank 33 (heat storage means). Relatively warm outside air is introduced into the reservoir tank 71 and the desorption of carbon dioxide from the adsorbent 72 is promoted so that the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supplied into the agricultural house 10 rises again at time t2. By thus heating the outside air supplied to the reservoir tank 71 in the middle to raise the concentration of the carbon dioxide, the application time of the carbon dioxide into the agricultural house 10 can be made longer.

계속해서, 도 4를 참조하면서, 상술한 이산화탄소 시용 장치(1)의 운전 방법(제2 운전 방법)과는 다른 운전 방법(제3 운전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는, 도 2 및 도 3과 같은 그래프로, 이산화탄소 배출 과정에 있어서의 이산화탄소 농도의 시간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구체적으로는, 이산화탄소 시용 장치(1)에 의해 이산화탄소를 시용하였을 경우와, 종래의 이산화탄소 시용 장치에 의해 이산화탄소를 시용하였을 경우를 비교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4에 나타낸 그래프 G2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그래프 G2와 동일한 그래프로, 종래의 이산화탄소 시용 장치에 의해 시용한 경우에서의 이산화탄소 농도의 시간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도 4에 나타낸 그래프 G1는 이 제3 운전 방법으로 이산화탄소 시용 장치(1)를 운전한 경우에 있어서의 이산화탄소 농도의 시간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Next, an operation method (third operation method) different from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method (second operation method) of the carbon dioxide application device 1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Fig. 4 is a graph showing the change over time of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in the carbon dioxide discharge process, as shown in Figs. 2 and 3. Specifically, this graph is a graph for comparing the case where carbon dioxide is used by the carbon dioxide application device 1 and the case where carbon dioxide is used by a conventional carbon dioxide application device. The graph G2 shown in FIG. 4 is the same graph as the graph G2 shown in FIG. 2 and FIG. 3, and shows the change over time of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in the case of using the conventional carbon dioxide testing device. The graph G1 shown in FIG. 4 shows the change over time of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when the carbon dioxide application device 1 is operated by the third operation method.

이 제3 운전 방법에서는, 또, 식물이 광합성을 행하는데 최적의 특정 시간대(시각(t20))를 포함하는 시간대)에서, 방출하는 이산화탄소 농도가 최대가 되도록, 제1 유량에 대한 제2 유량의 비율을 변화시키고 있다. 그래프 G1에 나타낸 종래의 운전 방법에서는, 운전의 초기 단계(시각(t10))를 포함하는 시간대)에서 가장 높은 농도의 이산화탄소가 방출되고, 그 후는 서서히 감소하고 있다. 이에 대하여, 이산화탄소 시용 장치(1)에서는, 이와 같이 임의의 시간대에서 가장 높은 농도의 이산화탄소가 방출되도록 운전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In the third operation method, the second flow rate to the first flow rate is set such that the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emitted is maximized at a time zone including a specific time zone (time t20) optimal for plants to perform photosynthesis The ratio is changing. In the conventional operation method shown in the graph G1,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is emitted in the initial stage of operation (time (t10)), and then gradually decreases. On the other hand, in the carbon dioxide application device 1,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operation so that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is released in an arbitrary time period.

이상, 구체적인 예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들의 구체적인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이들 구체적인 예에, 당업자가 적당히 설계 변경을 더하는 것도, 본 발명의 특징을 구비하고 있는 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전술한 각 구체적인 예가 구비한 각 요소 및 그 배치, 재료, 조건, 형상, 사이즈 등은, 예시한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적당히 변경할 수 있다.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specific example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specific examples. In other words, it i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appropriately add design modifications to these specific examples so long as they have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ments, arrangements, materials, conditions, shapes, sizes, and the like of each specific example described above are not limited to those illustrated and can be changed as appropriate.

1: 이산화탄소 시용 장치
10: 농업용 하우스
11: 가온기
12: 굴뚝
21: 외기 도입 유로
22: 외기 도입부
31: 배기열 회수기
32: 방열 장치
33: 저탕 탱크
34: 배관
41: 정화 장치
51: 공급 유로
52: 분기부
61: 블로워
71: 저류 탱크
72: 흡착재
81: 배출 유로
82: 합류부
91: 바이패스 유로
121: 응축수 탱크
V1: 연소 배기 가스량 조정 밸브
V2: 외기량 조정 밸브
V3: 배출 유량 조정 밸브
V4: 바이패스 유량 조정 밸브
1: CO2 application device
10: Agricultural House
11: Warming machine
12: Chimney
21: atmosphere introduction channel
22: Outer air introduction part
31: exhaust heat recovery machine
32: Heat dissipation device
33: Storage tank
34: Piping
41: purifier
51: Supply flow
52:
61: Blower
71: Reservoir tank
72: sorbent
81: Exhaust flow path
82:
91: Bypass channel
121: Condensate tank
V1: Combustion exhaust gas amount adjustment valve
V2: External adjustment valve
V3: Discharge flow adjustment valve
V4: Bypass flow adjustment valve

Claims (3)

연소 장치의 연소 배기가스로부터 이산화탄소를 회수하여 저류해 두고, 당해 이산화탄소를 농업용 하우스 내에 공급하는 이산화탄소 시용 장치로서,
내부에 흡착재를 가지고 있고, 이산화탄소를 상기 흡착재에 흡착시켜 저류하는 저류 탱크와,
상기 저류 탱크에 연소 배기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유로인 공급 유로와,
상기 저류 탱크로부터 이산화탄소를 배출하기 위한 유로인 배출 유로와,
상기 저류 탱크를 개재하지 않고 상기 공급 유로와 상기 배출 유로를 연결하는 유로인 바이패스 유로와,
상기 공급 유로를 통해서 상기 저류 탱크에 외기를 공급함으로써, 상기 배출 유로를 통하여 상기 저류 탱크로부터 이산화탄소를 배출하게 하는 외기 도입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저류 탱크로부터 이산화탄소를 배출할 때에는, 상기 공급 유로로부터 상기 저류 탱크를 통해서 상기 배출 유로에 도달하는 외기의 유량을 제1 유량이라 하고, 상기 공급 유로로부터 상기 바이패스 유로를 통해서 상기 배출 유로에 도달하는 외기의 유량을 제2 유량이라 하였을 때에, 상기 제1 유량에 대한 상기 제2 유량의 비율을 변화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시용 장치.
A carbon dioxide application device for recovering and storing carbon dioxide from a combustion exhaust gas of a combustion device and supplying the carbon dioxide into an agricultural house,
A storage tank having an adsorbent therein and adsorbing and storing carbon dioxide in the adsorbent,
A supply flow path which is a flow path for supplying combustion exhaust gas to the storage tank,
A discharge flow path which is a flow path for discharging carbon dioxide from the storage tank,
A bypass flow path which is a flow path connecting the supply flow path and the discharge flow path without interposing the storage tank,
And outdoor air introducing means for supplying outdoor air to the storage tank through the supply passage to discharge carbon dioxide from the storage tank through the discharge passage,
Wherein a flow rate of the outside air that flows from the supply passage to the discharge passage through the reservoir tank is referred to as a first flow rate when the carbon dioxide is discharged from the storage tank and flows from the supply passage to the discharge passage Wherein the ratio of the second flow rate to the first flow rate is changed when the flow rate of the outside air is defined as a second flow r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류 탱크로부터 이산화탄소를 배출할 때에는, 상기 제1 유량에 대한 상기 제2 유량의 비율을 서서히 또는 단계적으로 감소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시용 장치. The carbon dioxide application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n the carbon dioxide is discharged from the storage tank, the ratio of the second flow rate to the first flow rate is gradually or stepwise reduced.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유로를 통하는 연소 배기가스의 열을 회수하여 축열해두는 축열 수단을 더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저류 탱크로부터 이산화탄소를 배출할 때에, 상기 축열 수단에 축열되어 있던 열에 의해, 상기 외기 도입 수단에 의해 상기 저류 탱크에 공급되는 외기를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시용 장치.3. The fuel cell system according to claim 1 or 2, further comprising a heat storage means for collecting and storing the heat of the combustion exhaust gas flowing through the supply flow passage, wherein when the carbon dioxide is discharged from the storage tank, And the outside air supplied to the storage tank by the outside air introducing means is heated by the heat.
KR1020167010401A 2013-12-27 2014-10-16 Carbon dioxide application device KR20160058916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272998A JP6290622B2 (en) 2013-12-27 2013-12-27 Carbon dioxide application equipment
JPJP-P-2013-272998 2013-12-27
PCT/JP2014/077609 WO2015098252A1 (en) 2013-12-27 2014-10-16 Carbon dioxide application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8916A true KR20160058916A (en) 2016-05-25

Family

ID=53478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0401A KR20160058916A (en) 2013-12-27 2014-10-16 Carbon dioxide application device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290622B2 (en)
KR (1) KR20160058916A (en)
WO (1) WO2015098252A1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4789A (en) * 2017-08-31 2019-03-08 후타바 인더스트리얼 컴패니 리미티드 Carbon dioxide application device
KR20190039211A (en) * 2016-08-22 2019-04-10 후타바 인더스트리얼 컴패니 리미티드 Carbon dioxide feeder
KR20190039210A (en) * 2016-08-22 2019-04-10 후타바 인더스트리얼 컴패니 리미티드 Carbon dioxide feeder
KR20200012614A (en) * 2018-07-27 2020-02-05 이영재 Apparatus for supplying carbon dioxide
KR20200073184A (en) * 2017-08-31 2020-06-23 후타바 인더스트리얼 컴패니 리미티드 Carbon dioxide appl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capturing carbon dioxide contained in a combustion exhaust gas
KR20230083381A (en) 2021-12-02 2023-06-12 김엽규 Carbon dioxide supply system of greenhous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51504A1 (en) * 2016-09-16 2018-03-22 フタバ産業株式会社 Purification device
JP7026477B2 (en) * 2016-10-20 2022-02-28 株式会社桂精機製作所 Integrated environmental control system for horticultural house and house heating method
JP6853146B2 (en) * 2017-08-31 2021-03-31 フタバ産業株式会社 Carbon dioxide application device
JP6787854B2 (en) * 2017-08-31 2020-11-18 フタバ産業株式会社 Carbon dioxide application device
JP6849563B2 (en) * 2017-08-31 2021-03-24 フタバ産業株式会社 Carbon dioxide application device
JP7043325B2 (en) * 2018-04-02 2022-03-29 株式会社東芝 Carbon dioxide supply system and carbon dioxide supply method
JP6966514B2 (en) * 2019-08-08 2021-11-17 フタバ産業株式会社 Carbon dioxide application device
FR3102337B1 (en) * 2019-10-28 2022-10-28 Hebraoui Michel an organic-natural horticultural agricultural greenhouse without pesticides, on floors, air-conditioned, multifunction, with its innovative accessories
JP7453667B2 (en) 2020-02-04 2024-03-21 株式会社Jccl Gas supply device, gas supply method, and storage medium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20626A (en) * 1982-06-17 1983-12-22 財団法人産業創造研究所 Atmosphere adjustment in carbon dioxide fertilizing and cultivating house
JPS63112928A (en) * 1986-10-30 1988-05-18 キユーピー株式会社 Environment control method and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control apparatus of plant culture room
JPS62220114A (en) * 1986-03-19 1987-09-28 菱明技研株式会社 Carbon dioxide supply method
JPS61224917A (en) * 1986-03-26 1986-10-06 吉田 厚生 Heating apparatus for greenhouse having carbon dioxide generating function
JPH06253682A (en) * 1993-02-26 1994-09-13 Kanebo Ltd Plant rearing house
JP2004066091A (en) * 2002-08-06 2004-03-04 Meidensha Corp Method of treating carbon dioxide-containing gas and equipment therefor
US7438744B2 (en) * 2004-05-14 2008-10-21 Eco/Technologies, Llc Method and system for sequestering carbon emissions from a combustor/boiler
JP4822746B2 (en) * 2005-06-10 2011-11-24 株式会社東芝 Carbon dioxide supply device for greenhouse for horticulture
WO2011072122A1 (en) * 2009-12-09 2011-06-16 Algenol Biofuels, Inc. Water/carbonate stripping for co2 capture adsorber regeneration and co2 delivery to photoautotrophs
JP6179915B2 (en) * 2011-09-13 2017-08-16 国立研究開発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Carbon dioxide supply equipment for horticultural facilities using carbon dioxide in combustion exhaust gas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9211A (en) * 2016-08-22 2019-04-10 후타바 인더스트리얼 컴패니 리미티드 Carbon dioxide feeder
KR20190039210A (en) * 2016-08-22 2019-04-10 후타바 인더스트리얼 컴패니 리미티드 Carbon dioxide feeder
KR20190024789A (en) * 2017-08-31 2019-03-08 후타바 인더스트리얼 컴패니 리미티드 Carbon dioxide application device
KR20200073184A (en) * 2017-08-31 2020-06-23 후타바 인더스트리얼 컴패니 리미티드 Carbon dioxide appl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capturing carbon dioxide contained in a combustion exhaust gas
KR20200012614A (en) * 2018-07-27 2020-02-05 이영재 Apparatus for supplying carbon dioxide
KR20230083381A (en) 2021-12-02 2023-06-12 김엽규 Carbon dioxide supply system of greenhou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290622B2 (en) 2018-03-07
WO2015098252A1 (en) 2015-07-02
JP2015126708A (en) 2015-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58916A (en) Carbon dioxide application device
JP4822746B2 (en) Carbon dioxide supply device for greenhouse for horticulture
KR101681601B1 (en) Carbon dioxide supply device
KR101788494B1 (en) Carbon dioxide application apparatus
US2011020317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xtracting carbon dioxide from air
JP2013074887A (en) Carbon dioxide feeder to horticultural facility utilizing carbon dioxide in flue gas
US11388861B2 (en) System for climate control in closed or semi closed spaces
CN106659128B (en) Carbon dioxide application apparatus
JP7043325B2 (en) Carbon dioxide supply system and carbon dioxide supply method
JP6718419B2 (en) Carbon dioxide application equipment
KR102192432B1 (en) Carbon dioxide appl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capturing carbon dioxide contained in a combustion exhaust gas
JP6708743B2 (en) Carbon dioxide supply device
JP6350709B1 (en)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in plant cultivation facilities
KR102196642B1 (en) Purification device
JP6787854B2 (en) Carbon dioxide application device
JP6736072B2 (en) Dehumidification system for gardening facilities
CA2358337A1 (en) Greenhouse climate control system
WO2015146269A1 (en) Gas-cool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