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7698A - 양문형 물품보관함과 이를 이용한 탈의실 분리형 샤워 공간 시스템 - Google Patents

양문형 물품보관함과 이를 이용한 탈의실 분리형 샤워 공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7698A
KR20160057698A KR1020140158635A KR20140158635A KR20160057698A KR 20160057698 A KR20160057698 A KR 20160057698A KR 1020140158635 A KR1020140158635 A KR 1020140158635A KR 20140158635 A KR20140158635 A KR 20140158635A KR 20160057698 A KR20160057698 A KR 201600576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shower
room
bathroom
d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8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9118B1 (ko
Inventor
박재홍
Original Assignee
(주)마이크로스튜디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마이크로스튜디오 filed Critical (주)마이크로스튜디오
Priority to KR10201401586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9118B1/ko
Publication of KR20160057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76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91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91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5Small buildings, arranged in other build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1/00Cabinets or rack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e.g. for storing guns or sk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2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thin, hollow, or thin-metal wings
    • E05B65/025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thin, hollow, or thin-metal wings for locke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헬스, 무술 도장 등의 운동, 체육시설에서의 탈의, 샤워 공간에 대한 공간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정해진 공간을 사용 목적 및 동선을 고려하여 공간을 분할하여 효율적인 공간 활용이 가능하도록 한 양문형 물품보관함과 이를 이용한 탈의실 분리형 샤워 공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대형 헬스클럽이나 체육시설의 경우 샤워실 공간을 할당함에 있어서 큰 어려움은 없지만 대다수가 도시 내에 위치하여 공간에 대한 압박을 받을 수 밖에 없어서 공동의 샤워실을 제공함에 있어서, 협소한 공간을 제한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쾌적한 샤워실 공간 환경을 제공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옷을 벗는 탈의공간과 샤워 및 샤워 후의 옷을 갖춰 입는 욕실 공간을 별도로 분리하여 최적의 공간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양문 잠금형 옷장을 이용하여 탈의실과 욕실을 분리 구분하고 1회 1인 사용하는 공간을 각각 구성하도록 함으로써, 남녀 구분 없이 개인단위로 공간 활용이 가능한 탈의실 분리형 샤워 공간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양문형 물품보관함과 이를 이용한 탈의실 분리형 샤워 공간 시스템{LOCKERS WITH DOORS ON BOTH SIDES, AND USING THE LOCKERS SEPARATE DRESSING ROOM BATHROOM SYSTEM}
본 발명은 헬스, 무술 도장 등의 운동, 체육시설에서의 탈의, 샤워 공간에 대한 공간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정해진 공간을 사용 목적 및 동선을 고려하여 공간을 분할하여 효율적인 공간 활용이 가능하도록 한 양문형 물품보관함과 이를 이용한 탈의실 분리형 샤워 공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대다수의 일반적인 운동, 체육시설에서는, 보다 상세하게는 헬스클럽 및 무술 도장 등에서는 운동 후에 샤워를 할 수 있도록 샤워실이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샤워실은 남,녀 별도로 분리되어 있고 각 샤워실은 옷장이 구비된 탈의실과 공동욕실로 구분되고, 탈의실에 샤워 후에 정리를 할 수 있는 공용공간이 구성되어 있다.
대형 헬스클럽이나 체육시설의 경우 샤워실 공간을 할당함에 있어서 큰 어려움은 없지만 대다수가 도시 내에 위치하여 공간에 대한 압박을 받을 수 밖에 없어서 공동의 샤워실을 제공함에 있어서, 협소한 공간을 제한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쾌적한 샤워실 공간 환경을 제공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옷을 벗는 탈의공간과 샤워 및 샤워 후의 옷을 갖춰 입는 욕실 공간을 별도로 분리하여 최적의 공간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양문 잠금형 옷장을 이용하여 탈의실과 욕실을 분리 구분하고 1회 1인 사용하는 공간을 각각 구성하도록 함으로써, 남녀 구분 없이 개인단위로 공간 활용이 가능한 탈의실 분리형 샤워 공간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물품보관함은 내부 동일한 물품보관 공간을 중심으로 도어를 구성하며, 상기 도어 각각에는 잠금/개폐가 동기 되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진 잠금장치를 포함하는 양문형 물품보관함을 이용한 탈의실 분리형 샤워 공간 시스템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양문형 물품보관함을 이용한 탈의실 분리형 샤워 공간 시스템은,
공용공간부로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통로를 구성하며, 상기 통로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개인단위로 사용 가능한 탈의실, 욕실을 포함하는 샤워개별룸을 하나 또는 하나 이상 구성하며,
상기 샤워개별룸은 탈의실과 샤워부스를 구비한 욕실을 1단위로 구성하며, 상기 욕실과 탈의실은 옷장을 중심으로 분리 밀폐되고, 상기 옷장은 탈의실과 욕실로 연결되며 탈의실과 욕실 각각에서 잠금/개폐가 동기되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진 잠금장치가 도어 각각에 구성되는 양문형 물품보관함(locker)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남녀 구분 없으며 또한 탈의 공간과 욕실 구분을 구분하여 설계함으로써, 같은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양문형 물품보관함을 이용한 탈의실 분리형 샤워 공간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3a,도 3b는 본 발명에 있어서, 물품보관함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a,도 4b는 본 발명에 있어서, 옷장의 물품보관함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 탈의실 분리형 샤워 공간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공용공간부(200)로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통로(110)를 구성하며, 상기 통로(110)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개인단위로 사용 가능한 탈의실(120), 욕실(130)을 포함하는 샤워개별룸(100)을 구성하며,
상`기 샤워개별룸(100)은 탈의실(120)과 샤워부스(140)를 구비한 욕실(130)을 1단위로 구성되며, 상기 욕실(130)과 탈의실(120)은 옷장(150)을 중심으로 분리 밀폐되고, 상기 옷장(150)은 탈의실(120)과 욕실(130)로 연결되며 탈의실(120)과 욕실(130) 각각에서 동일하게 잠금/개폐 가능하도록 동기되는 잠금장치(152a)(152b)가 도어(152) 각각에 구성되는 양문형 물품보관함(locker)(151)이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 탈의실 분리형 샤워 공간 시스템은 탈의하는 공간과 샤워하는 공간을 분리하여 개인단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공간 활용도를 높여 효율적인 샤워 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샤워개별룸(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의실(120), 욕실(130)을 포함하여 1단위로 구성되며, 공용공간부(200)로 연결되는 통로(110)를 중심으로 양 측으로 구성된다.
또한 샤워개별룸(100)은 도 2에 도시된 통로(110)를 따라 하나이상 다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탈의실(120)과 욕실(130)은 옷장(150)을 중심으로 구분되고 밀폐되며 각각의 도어를 통해 입실, 퇴실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탈의실(120)과 욕실(130) 각 도어에는 현재 탈의실(120), 욕실(130)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표시수단을 구성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잠금장치(152a)(152b)로 부터 신호를 받아 물품보관함(151)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가능정보를 표시하는 사용가능정보표시수단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옷장(150)은 하나 또는 도 4a,도 4b에서와 같이, 하나 이상의 물품보관함(151)이 구성될 수 있으며, 각 물품보관함(151)은 탈의실(120)과 욕실(130)로 통공되고 각 도어(152)가 구성되며 각각의 도어에는 잠금장치(152a)(152b)가 각각 구성된다.
상기 물품보관함(151)의 도어(152)에 구성된 잠금장치(152a),(152b)는 일 측에서 설정된 비밀번호가 동일하게 적용 되도록 동기 되는 한 쌍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잠금장치(152a)(152b)는 자물쇠형 잠금장치로 구성되는 경우, 동일한 열쇠로 열림/잠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욕실(130)에는 욕실(130) 내로 도어가 구성되는 샤워부스(140)가 구성된다.
상기 공용공간부(200)는 샤워 후 머리를 손질하는 등의 뒷처리를 위한 공간으로 거울 및 헤어드라이어, 빗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통로(110)로 진입하여 통로(110)의 양 측으로 구성되는 샤워개별룸(100)을 사용하게 되는 데, 사용자는 샤워개별룸(100)의 사용상태 및 사용 가능유무를 확인하고 샤워개별룸(100)을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샤워개별룸(100)을 사용함에 있어서, 탈의실(120)에서 옷을 탈의하여 옷장(150)의 물품보관함(151)에 보관하고 운동복으로 갈아입고 운동을 할 수 있으며, 운동 후 욕실(130)의 샤워부스(140)에서 샤워하고, 자신이 보관한 물품보관함(151)으로 부터 옷을 찾아 입을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는 입장 시 통로(110)로 진입하여 탈의실(120)의 도어에 구성된 사용상태표시수단에 표시된 사용상태 및 사용가능정보표시수단에 표시된 사용가능정보를 확인하고 탈의실(120)로 입장하여 옷을 탈의하고 물품보관함(151)에 옷을 보관한 후에 잠금장치(152a)에 비밀번호를 설정하여 잠근다.
이때 상기 사용자가 이용한 물품보관함(151)의 잠금장치(152a)와 한 쌍으로 연결된 욕실(130)에 위치한 잠금장치(152b) 또한 동일한 비밀번호로 설정된다.
이후 사용자는 운동을 한 후에 자신이 이용한 개별샤워룸(100)의 욕실(130)에 입장하여 샤워부스(140)에서 샤워를 한 후 상기 자신이 이용했던 물품보관함(151)의 잠금장치(152a)를 비밀번호로 잠금을 해제하고 그 내부에 탈의실(120)에서 보관했던 옷을 꺼내 입으면 된다.
이와 같이 남녀 구분 없이 탈의실(120)에서 옷을 보관하고 욕실(130)에서 자신의 옷을 찾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개인단위의 샤워룸 이용이 가능해진다.


Claims (4)

  1. 공용공간부(200)로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통로(110)를 구성하며, 상기 통로(110)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개인단위로 사용 가능한 탈의실(120), 욕실(130)을 포함하는 샤워개별룸(100)을 하나 또는 하나 이상 구성하며,
    상기 샤워개별룸(100)은 탈의실(120)과 샤워부스(140)를 구비한 욕실(130)을 1단위로 구성하며, 상기 욕실(130)과 탈의실(120)은 옷장(150)을 중심으로 분리 밀폐되고, 상기 옷장(150)은 탈의실(120)과 욕실(130)로 연결되며 탈의실(120)과 욕실(130) 각각에서 잠금/개폐가 동기되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진 잠금장치(152a)(152b)가 도어(152) 각각에 구성되는 양문형 물품보관함(locker)(151)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문형 물품보관함을 이용한 탈의실 분리형 샤워 공간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탈의실(120)과 욕실(130)의 도어(121)(131)에는 현재 탈의실(120), 욕실(130)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표시수단과, 잠금장치(152a)(152b)로 부터 신호를 받아 물품보관함(151)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가능정보를 표시하는 사용가능정보표시수단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문형 물품보관함을 이용한 탈의실 분리형 샤워 공간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옷장(150)에는 상기 물품보관함(151)이 두개 이상 다수 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문형 물품보관함을 이용한 탈의실 분리형 샤워 공간 시스템.
  4. 내부 동일한 물품보관 공간을 중심으로 도어를 구성하며, 상기 도어 각각에는 잠금/개폐가 동기 되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진 잠금장치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문형 물품보관함을 이용한 탈의실 분리형 샤워 공간 시스템.













KR1020140158635A 2014-11-14 2014-11-14 양문형 물품보관함과 이를 이용한 탈의실 분리형 샤워 공간 시스템 KR1016891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8635A KR101689118B1 (ko) 2014-11-14 2014-11-14 양문형 물품보관함과 이를 이용한 탈의실 분리형 샤워 공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8635A KR101689118B1 (ko) 2014-11-14 2014-11-14 양문형 물품보관함과 이를 이용한 탈의실 분리형 샤워 공간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7698A true KR20160057698A (ko) 2016-05-24
KR101689118B1 KR101689118B1 (ko) 2016-12-23

Family

ID=56113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8635A KR101689118B1 (ko) 2014-11-14 2014-11-14 양문형 물품보관함과 이를 이용한 탈의실 분리형 샤워 공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911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538Y1 (ko) * 2017-11-30 2018-05-31 조치훤 분리형 목욕 공간 시설
KR20190065097A (ko) * 2017-12-01 2019-06-1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잠금장치가 구비된 스마트 보관함의 관리 시스템과 이의 제어 방법
GB2586141A (en) * 2019-08-06 2021-02-10 Poolpod Products Ltd Storage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s
KR20230056978A (ko) * 2021-10-21 2023-04-28 주식회사 코렌 키오스크 설치형 샤워실 모듈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759069U (zh) * 2010-08-04 2011-03-16 重庆交通大学 组合式储物柜
KR20120052849A (ko) * 2010-11-15 2012-05-24 가부시키가이샤 치요다 조립식 샤워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759069U (zh) * 2010-08-04 2011-03-16 重庆交通大学 组合式储物柜
KR20120052849A (ko) * 2010-11-15 2012-05-24 가부시키가이샤 치요다 조립식 샤워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538Y1 (ko) * 2017-11-30 2018-05-31 조치훤 분리형 목욕 공간 시설
KR20190065097A (ko) * 2017-12-01 2019-06-1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잠금장치가 구비된 스마트 보관함의 관리 시스템과 이의 제어 방법
GB2586141A (en) * 2019-08-06 2021-02-10 Poolpod Products Ltd Storage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s
GB2586141B (en) * 2019-08-06 2023-03-15 Poolpod Products Ltd Storage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s
KR20230056978A (ko) * 2021-10-21 2023-04-28 주식회사 코렌 키오스크 설치형 샤워실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9118B1 (ko) 2016-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9118B1 (ko) 양문형 물품보관함과 이를 이용한 탈의실 분리형 샤워 공간 시스템
US9879467B2 (en) Secure access mirror
US2803512A (en) Multi-compartment cabinet structure
JP2018123489A (ja) 建具
US10607433B2 (en) Dual access ride lockers
JP3202178U (ja) ロッカー及びそれを用いた入浴施設の構造
US2643171A (en) Clothes locker
US1511725A (en) Locker
US1245022A (en) Locker system.
JP5275120B2 (ja) 脱衣籠
KR200454728Y1 (ko) 통기구멍을 갖는 사물함 손잡이
CN206314808U (zh) 一种带暗格的衣柜
JP2015086545A (ja) リラクゼーションルーム
US1505291A (en) Combination locker
KR200476075Y1 (ko) 통풍부재를 갖는 사물함
CN211459385U (zh) 一种旋转棱柱体门橱
KR101053993B1 (ko) 다용도 캐비넷
US812917A (en) Individual safety garment-rack.
CA176281S (en) Door for wardrobe cabinet
KR200311022Y1 (ko) 조립식 사물함용 이름꽂이 겸용 도어 잠금 손잡이
US1442751A (en) Locker
JP2003038273A (ja) 洗濯物収納装置
BR202016011730Y1 (pt) Armários guarda-volumes dotados de um compartimento restrito de acesso a reposição de roupas e acessórios
JP3189121U (ja) 脱衣カゴ
KR20110007449U (ko) 라커의 물품 보관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