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7671A - 축거조절 기능이 구비된 차량완구용 조립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완구 - Google Patents

축거조절 기능이 구비된 차량완구용 조립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7671A
KR20160057671A KR1020140158557A KR20140158557A KR20160057671A KR 20160057671 A KR20160057671 A KR 20160057671A KR 1020140158557 A KR1020140158557 A KR 1020140158557A KR 20140158557 A KR20140158557 A KR 20140158557A KR 20160057671 A KR20160057671 A KR 201600576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front wheel
rear wheel
module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8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8249B1 (ko
Inventor
전유호
Original Assignee
전유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유호 filed Critical 전유호
Priority to KR1020140158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8249B1/ko
Publication of KR20160057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76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82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82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7/00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7/00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 A63H17/05Trucks; Lorr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7/00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 A63H17/26Details;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9/00Drive mechanisms for toys in general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통상적인 차량의 외형으로 형성되어 서로 다른 전장(Overall Length)을 갖는 복수의 규격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는 하향 개구된 체결공간(110)이 마련되고, 상기 체결공간(110) 내에는 전방체결부(120)와 후방체결부(130)가 형성된 외형케이스(100); 상부에는 상기 전방체결부(120)에 탈착가능하게 체결되는 전륜체결구(211)가 배치되어 상기 체결공간(110) 내에서 전방 위치에 장착되는 박스 형태의 전륜케이스(210) 및, 상기 전륜케이스(210)에 지지되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전륜부(220)를 포함하는 전륜모듈부(200); 및 상부에는 상기 후방체결부(130)에 탈착가능하게 체결되는 후륜체결구(311)가 배치되어 상기 체결공간(110) 내에서 상기 전륜모듈부(200)로부터 소정의 축거 거리(Wheel Base,WB) 만큼 이격된 후방 위치에 장착되는 박스 형태의 후륜케이스(310) 및, 상기 후륜케이스(310)에 지지되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후륜부(320)를 포함하는 후륜모듈부(300);를 포함하는 차량완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축거조절 기능이 구비된 차량완구용 조립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완구{Assembly Module For Vehicle Toy And, Vehicle Toy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축거조절 기능이 구비된 차량완구용 조립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완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통상적인 차량의 외형으로 형성되어 서로 다른 전장(Overall Length)을 갖는 복수의 규격으로 이루어진 외형케이스의 전장 크기에 따라 축거 거리(Wheel Base)를 조절하여 차륜을 장착할 수 있는 축거조절 기능이 구비된 차량완구용 조립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완구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종래의 차량완구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종래의 차량완구는 차량의 하체를 형성하는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주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전륜 및 후륜 등의 휠(30) 및, 차량의 외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10)에 끼움결합되는 프레임커버(50)를 포함하여 구비되었다. 따라서, 차량의 외형을 변경하고자 할 경우 상기 프레임커버(50)를 교체하여 다양한 차량 이미지를 연출할 수 있었다.
그러나, 상기 프레임(10)의 경우 휠(30)이 일체형으로 고정장착되고 전륜과 후륜간의 이격거리인 축거(Wheel Base)를 변경할 수 없으며, 전단과 후단에 끼움돌기가 돌출형성되어 이 끼움돌기에 상기 프레임커버(50)가 끼움결합되기 때문에, 프레임커버(50)의 전장(Overall Length)이 고정된 상태에서 차량의 외형이미지만을 변경할 수 있어 다양한 차종으로의 형태 변경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전장이 짧은 승용차나 경주용차의 형태에서 상대적으로 전장이 긴 버스나 트럭의 형태로의 전환이나, 반대로 전장이 짧은 차량 형태에서 전장이 긴 차량 형태로의 전환이 불가하였기 때문에 다양한 차량 이미지 연출에 제한이 있었다.
한편, 레고나 옥스포드 등의 조립식 블럭완구의 경우 차량바퀴가 장착된 블럭을 이용하여 차량형태로의 완구조립이 가능하였으나, 상기 차량바퀴의 경우 단순히 회전만 가능하기 때문에 차량조립에 대한 흥미만을 제공할 수 있으며, 완성된 차량을 통해 자동주행 등의 역동적인 놀이가 제한되므로 흥미 유발에 제한이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2-0004349호(2002.01.16), 전동식 자동차 완구의 배터리 장착구조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통상적인 차량의 외형으로 형성된 외형케이스의 하부에 전륜모듈부와 후륜모듈부가 각각 장착되면서 차량형태로 조립되되, 상기 전륜모듈부와 후륜모듈부가 독립된 모듈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외형케이스의 전장 크기에 따라 축거 거리를 조절하여 장착할 수 있으므로 외형자체 뿐만이 아니라 다양한 전장을 갖는 차량형태로의 전환이 가능한 축거조절 기능이 구비된 차량완구용 조립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완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통상적인 차량의 외형으로 형성되어 서로 다른 전장(Overall Length)을 갖는 복수의 규격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는 하향 개구된 체결공간(110)이 마련되고, 상기 체결공간(110) 내에는 전방체결부(120)와 후방체결부(130)가 형성된 외형케이스(100); 상부에는 상기 전방체결부(120)에 탈착가능하게 체결되는 전륜체결구(211)가 배치되어 상기 체결공간(110) 내에서 전방 위치에 장착되는 박스 형태의 전륜케이스(210) 및, 상기 전륜케이스(210)에 지지되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전륜부(220)를 포함하는 전륜모듈부(200); 및 상부에는 상기 후방체결부(130)에 탈착가능하게 체결되는 후륜체결구(311)가 배치되어 상기 체결공간(110) 내에서 상기 전륜모듈부(200)로부터 소정의 축거 거리(Wheel Base,WB) 만큼 이격된 후방 위치에 장착되는 박스 형태의 후륜케이스(310) 및, 상기 후륜케이스(310)에 지지되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후륜부(320)를 포함하는 후륜모듈부(300);를 포함하는 차량완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전륜모듈부(200)는, 상기 전륜부(220)에 링크결합되어 조향동작시키는 조향링크부(230) 및, 상기 전륜케이스(210) 내에 배치되어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전륜부(220)가 조향동작하는데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조향모터(2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후륜모듈부(300)는, 상기 후륜케이스(310) 내에 배치되어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후륜부(320)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33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륜케이스(210) 또는 후륜케이스(310) 내에 배치되며, 조작모듈(500)의 무선조작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조향모터(240) 및 구동모터(330)를 구동제어하는 제어회로부(400);를 더 포함하는 차량완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통상적인 차량의 외형으로 형성되어 서로 다른 전장을 갖는 복수의 규격으로 이루어진 외형케이스(100)의 전장 크기에 따라 축거 거리를 조절하여 장착할 수 있는 차량완구용 조립모듈에 있어서, 상부에는 상기 외형케이스(100)의 하향 개구된 체결공간(110) 내에 형성된 전방체결부(120)에 탈착가능하게 체결되는 전륜체결구(211)가 배치되어 상기 체결공간(110) 내에서 전방 위치에 장착되는 박스 형태의 전륜케이스(210) 및, 상기 전륜케이스(210)에 지지되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전륜부(220)를 포함하는 전륜모듈부(200); 또는 상부에는 상기 외형케이스(100)의 체결공간(110) 내에 형성된 후방체결부(130)에 탈착가능하게 체결되는 후륜체결구(311)가 배치되어 상기 체결공간(110) 내에서 상기 전륜모듈부(200)로부터 소정의 축거 거리(WB) 만큼 이격된 후방 위치에 장착되는 박스 형태의 후륜케이스(310) 및, 상기 후륜케이스(310)에 지지되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후륜부(320)를 포함하는 후륜모듈부(30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모듈부를 포함하는 차량완구용 조립모듈이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통상적인 차량의 외형으로 형성된 외형케이스(100)의 하부에 전륜모듈부(200)와 후륜모듈부(300)가 각각 장착되면서 차량형태로 조립되되, 상기 전륜모듈부(200)와 후륜모듈부(300)가 상호 독립된 모듈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외형케이스(100)의 전장 크기에 따라 전륜모듈부(200)와 후륜모듈부(300)간의 이격거리 즉, 축거 거리(WB)를 조절하여 장착할 수 있으므로, 차량의 외형자체의 변경은 물론, 전장이 서로 다른 차량 형태로의 전환이 가능하여 보다 다양한 차량의 이미지 연출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전륜모듈부(200)에는 조향링크부(230)와 조향모터(240)가 장착되고, 후륜모듈부(300)에는 구동모터(330)가 장착되며, 무선조작신호에 따라 상기 조향모터(240) 및 구동모터(330)를 구동제어하는 제어회로부(400)가 구비되어, 스마트폰이나 리모컨 등의 조작모듈(500)을 이용하여 차량의 자동이동 및 방향전환이 가능하므로 차량조립에 대한 흥미뿐만 아니라 조립이 완성된 차량을 통해 자동주행이나 조종 등의 역동적인 놀이를 제공할 수 있어 차량완구에 대한 흥미를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완구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완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및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륜모듈부 및 후륜모듈부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방체결부, 후방체결부, 전륜체결구 및 후륜체결구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륜모듈부 및 후륜모듈부간의 축거 거리가 조절되어 외형케이스에 조립되는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 및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어회로부의 기능적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완구(1)는 전륜과 후륜간의 축거거리를 조절할 수 있어 차량의 외형자체의 변경은 물론 전장(Overall Length)이 서로 다른 차량 형태로의 전환이 가능하여 보다 다양한 차량의 이미지 연출이 가능한 완구로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형케이스(100) 및 차량완구용 조립모듈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먼저, 상기 외형케이스(100)는, 차량의 외부프레임을 형성하는 커버부재로서, 통상적인 차량의 외형으로 형성되어 서로 다른 전장을 갖는 복수의 규격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는 하향 개구된 체결공간(110)이 마련되고, 상기 체결공간(110) 내에는 전방체결부(120)와 후방체결부(130)가 형성된다.
여기서, 도 2,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형케이스(100)는 사용자가 취향에 따라 원하는 차량형태로의 전환이 가능하도록 경주용차, 승용차, 트럭, 버스 등과 같이 다양한 차종의 외형을 가질 뿐만 아니라 형태에 따라 서로 다른 전장을 갖는 다수의 규격으로 이루어진다. 즉, 도 2와 같이 전장이 짧은 차량 형태로는 물론 도 7과 같이 상대적으로 전장이 긴 차량 형태로도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양측부의 전방과 후방 위치에는 형성된 전장의 크기에 따라 차륜의 축이 관통될 수 있는 전륜축공(141)과 후륜축공(142)이 측방으로 개구되어 형성된다.
상기 차량완구용 조립모듈은, 외형케이스(100)의 하부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어 차량의 하부를 형성하는 조립체로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륜모듈부(200) 및 후륜모듈부(30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전륜모듈부(200)는, 차량의 전륜을 형성하는 조립부재로서, 상부에는 상기 전방체결부(120)에 탈착가능하게 체결되는 전륜체결구(211)가 배치되어 상기 체결공간(110) 내에서 전방 위치에 장착되는 박스 형태의 전륜케이스(210) 및, 상기 전륜케이스(210)에 지지되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전륜부(22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전륜케이스(210)는, 전륜부(22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함과 동시에 외형케이스(100)의 전방 위치에 장착될 수 있도록 상부에 전륜체결구(211)가 형성된 케이스부재이며, 상기 전륜부(220)는 지면과 접촉하면서 회전하여 차량완구(1)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바퀴부재이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륜케이스(210)는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프레임(212)과, 상부면에 전륜체결구(211)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소정의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프레임(212)의 상부에 체결되는 본체프레임(213)을 포함하여 구비되며, 상기 전륜부(220)는 전륜케이스(210)의 양측에 지지되어 회전가능하게 각각 배치되는 두 개의 전륜타이어(221)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후륜모듈부(300)는, 차량의 후륜을 형성하는 조립부재로서, 상부에는 상기 후방체결부(130)에 탈착가능하게 체결되는 후륜체결구(311)가 배치되어 상기 체결공간(110) 내에서 상기 전륜모듈부(200)로부터 소정의 축거 거리((Wheel Base,WB) 만큼 이격된 후방 위치에 장착되는 박스 형태의 후륜케이스(310) 및, 상기 후륜케이스(310)에 지지되어 회전가능허게 장착되는 후륜부(32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후륜케이스(310)는, 후륜부(32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함과 동시에 외형케이스(100)의 후방 위치에 장착될 수 있도록 상부에 후륜체결구(311)가 형성된 케이스부재이며, 상기 후륜부(320)는 지면과 접촉하면서 회전하여 차량완구(1)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바퀴부재이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륜케이스(310)는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프레임(312)과, 상부면에 후륜체결구(311)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소정의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프레임(312)의 상부에 체결되는 본체프레임(313)을 포함하여 구비되며, 상기 전륜부(220)는 상기 하부프레임(312)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수평배치되는 후륜축(322) 및, 상기 후륜축(322)의 양단에 끼움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는 후륜타이어(321)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한편, 상기 전륜모듈부(200) 및 후륜모듈부(300)가 외형케이스(100)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됨에 있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륜케이스(210) 및 후륜케이스(310)의 상부에 각각 형성된 전륜체결구(211) 및 후륜체결구(311)는 복수 개의 돌기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간(110)의 내에 배치된 전방체결부(120) 및 후방체결부(130)는 상기 돌기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향 오목하게 함몰된 홈 형상으로 형성되어 돌기와 홈의 끼움결합을 통해 탈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이와 반대로 전륜체결구(211) 및 후륜체결구(311)가 홈형상으로 형성되고 전방체결부(120) 및 후방체결부(130)가 돌기 형상으로 형성된 구성으로도 동일한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기는 종래의 레고나 옥스포드 등의 조립식 블럭완구에 구비된 돌기의 형상 및 배치간격이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조립식 블럭완구와 호환되어 전동부속으로 이용될 수도 있으며 다른 부속들과 조화롭게 조립될 수도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이러한 돌기와 홈의 끼움결합 방식 이외에,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방향으로 개구되어 체결홈이 형성된 복수 개의 클립(211a,311a)과 상기 체결홈에 끼움결합되는 체결바(120a,130a)에 의한 끼움결합 방식과,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대향하여 배치되는 영구자석(211b,311b)와 자성체(120a,130a)에 의한 부착 방식과,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방으로 연장형성된 레일(2111c,311c)과 각 레일(2111c,311c)의 레일홈에 슬라이딩되어 삽입되는 슬라이딩블럭(120c,130c)에 의한 끼움결합 방식 및, 도 5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대향하여 배치되는 암벨크로(211d,311d) 및 수벨크로(120d,130d)에 의한 부착 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각 모듈부(200,300)가 외형케이스(100)에 탈착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외형케이스(100)의 하부에 전륜모듈부(200)와 후륜모듈부(300)가 각각 장착되면서 차량형태로 조립되되, 상기 전륜모듈부(200)와 후륜모듈부(300)가 상호 독립된 모듈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외형케이스(100)의 전장 크기에 따라 전륜모듈부(200)와 후륜모듈부(300)간의 이격거리 즉, 축거 거리(WB)를 조절하여 장착할 수 있으므로, 차량의 외형자체의 변경은 물론, 전장이 서로 다른 차량 형태로의 전환이 가능하여 보다 다양한 차량의 이미지 연출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주용차 형태로 형성되어 상대적으로 전장이 짧은 외형케이스(100a)의 경우에는 전륜모듈부(200)와 후륜모듈부(300) 간의 이격거리인 축거 거리(WB1)가 상대적으로 짧아지도록 장착되고,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럭 형태로 형성되어 상대적으로 전장이 긴 외형케이스(100b)의 경우에는 전륜모듈부(200)와 후륜모듈부(300) 간의 축거 거리(WB2)가 상대대적으로 길어지도록 장착됨으로써, 서로 다른 전장을 갖는 복수의 규격으로 이루어진 다양한 외형케이스(100)에 범용적으로 장착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완구(1)는, 통상의 RC카와 같이 원격조정되어 자동주행 기능이 구현되도록 구비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륜모듈부(200)는 전륜부(220)에 링크결합되어 조향동작시키는 조향링크부(230) 및, 상기 전륜케이스(210) 내에 배치되어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전륜부(220)가 조향동작하는데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조향모터(240)를 더 포함하여 구비되며, 상기 후륜모듈부(300)는 후륜케이스(310) 내에 배치되어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후륜부(320)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330)를 더 포함하여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완구(1)는 상기 전륜케이스(210) 또는 후륜케이스(310) 내에 배치되며, 스마트폰이나 리모컨 등의 조작모듈(500)의 무선조작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조향모터(240) 및 구동모터(330)를 구동제어하는 제어회로부(400)를 더 포함하여 구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조향링크부(230)는 전륜케이스(210)에 지지되어 양측방향으로 슬라이딩 동작되고 중앙에는 축홈(235)이 개구되어 형성되며 양단에는 조향돌기(236)가 각각 형성된 조향바(231)와, 일측에는 상기 전륜타이어(221)가 축결합되고 타측에는 상기 조향돌기(236)에 삽입되는 통공(234)이 형성된 전륜축부(232) 및, 상기 조향모터(240)에 축결합되고 상기 축홈(235)에 삽입결합되는 편심축부(242)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조향모터(240)의 회전방향에 따라 편심축부(242)가 회동하면 조향바(231)가 측방향으로 가압되면서 수평이동하여 각 전륜타이어(221)는 동일한 조향각으로 동시에 회동할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주행중인 차량완구(1)의 주향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륜부(320)의 두 후륜타이어(321) 중 하나의 후륜타이어(321)에는 상기 구동모터(330)에 축결합된 구동기어(331)와 치합되어 회전하는 후륜기어(323)가 배치되어 상기 구동모터(330)의 회전에 따라 후륜부(320)가 함께 회전하면서 차량완구(1)가 전진 또는 후진할 수 있는 구동력을 제공받는다.
더불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회로부(400)에는 조작모듈(500)와 블루투스 등의 무선통신망을 통해 신호연결되어 차량완구(1)를 조작하기 위한 무선조작신호를 수신하는 무선통신모듈(410)과, 수신된 무선조작신호에 따라 조향모터(240) 및 구동모터(330)를 구동제어할 수 있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컴(420)과, 차량완구(1)를 구동시키는데 필요한 각종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430)와, 상기 마이컴(420)의 제어신호에 따라 조향모터(240)에 구동전원을 인가하여 조향모터(240)의 회전방향을 제어하는 조향모터구동부(440)와, 상기 마이컴(420)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모터(330)에 구동전원을 인가하여 구동모터(330)의 회전방향 및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구동모터구동부(460)와, 마이컴(420), 조향모터(240) 및 구동모터(330) 등의 전자부품에 전원을 인가하는 배터리(470) 및, 차량완구(1)의 동작 온오프를 조작하기 위한 전원스위치(45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사용자는 조작모듈(500)를 조작함으로서 전진, 후진, 좌회전 및 우회전 등 일반적인 차량의 주행방식과 같이 차량완구(1)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전륜모듈부(200)에는 조향링크부(230)와 조향모터(240)가 장착되고, 후륜모듈부(300)에는 구동모터(330)가 장착되며, 무선조작신호에 따라 상기 조향모터(240) 및 구동모터(330)를 구동제어하는 제어회로부(400)가 구비되어, 스마트폰이나 리모컨 등의 조작모듈(500)을 이용하여 차량의 자동이동 및 방향전환이 가능하므로 차량조립에 대한 흥미뿐만 아니라 조립이 완성된 차량을 통해 자동주행이나 조종 등의 역동적인 놀이를 제공할 수 있어 차량완구에 대한 흥미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회로부(400)는 두 모듈부(200,300) 중 하나의 모듈부에 내장되되, 다른 하나의 모듈부와는 전원케이블(미도시)을 통해 신호연결되어 제어신호 및 구동전원을 인가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도 3에서와 같이 제어회로부(400)가 장착된 모듈부에는 충전커넥터(215)가 배치되어 내장된 배터리(470)를 충전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도 4와 같이, 후륜케이스(310)의 본체프레임(313)은 일측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보조프레임(314)이 배치되어 상기 구동모터(330)가 보조프레임(314)에 장착된 상태에서 후륜케이스(310)에 장착되며, 전륜케이스(210)와 후륜케이스(310)를 구성하는 하부프레임(212,312) 및 본체프레임(213,313)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각 프레임을 제조하기 위한 금형 개수 및 몰딩 공정을 감축시켜 제조비용 및 제품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전륜케이스(210)의 본체프레임(213)의 일측에는 상기 후륜케이스(310)의 보조프레임(314)과 동일한 형상의 보조프레임(214)이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동일한 하부프레임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차량완구 100...외형케이스
110...체결공간 120...전방체결부
130...후방체결부 200...전륜모듈부
210...전륜케이스 220...전륜부
230...조향링크부 240...조향모터
300...후륜모듈부 310...후륜케이스
320...후륜부 330...구동모터
400...제어회로부 500...조작모듈

Claims (3)

  1. 통상적인 차량의 외형으로 형성되어 서로 다른 전장(Overall Length)을 갖는 복수의 규격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는 하향 개구된 체결공간(110)이 마련되고, 상기 체결공간(110) 내에는 전방체결부(120)와 후방체결부(130)가 형성된 외형케이스(100);
    상부에는 상기 전방체결부(120)에 탈착가능하게 체결되는 전륜체결구(211)가 배치되어 상기 체결공간(110) 내에서 전방 위치에 장착되는 박스 형태의 전륜케이스(210) 및, 상기 전륜케이스(210)에 지지되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전륜부(220)를 포함하는 전륜모듈부(200); 및
    상부에는 상기 후방체결부(130)에 탈착가능하게 체결되는 후륜체결구(311)가 배치되어 상기 체결공간(110) 내에서 상기 전륜모듈부(200)로부터 소정의 축거 거리(Wheel Base,WB) 만큼 이격된 후방 위치에 장착되는 박스 형태의 후륜케이스(310) 및, 상기 후륜케이스(310)에 지지되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후륜부(320)를 포함하는 후륜모듈부(300);를 포함하는 차량완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륜모듈부(200)는, 상기 전륜부(220)에 링크결합되어 조향동작시키는 조향링크부(230) 및, 상기 전륜케이스(210) 내에 배치되어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전륜부(220)가 조향동작하는데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조향모터(2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후륜모듈부(300)는, 상기 후륜케이스(310) 내에 배치되어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후륜부(320)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33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륜케이스(210) 또는 후륜케이스(310) 내에 배치되며, 조작모듈(500)의 무선조작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조향모터(240) 및 구동모터(330)를 구동제어하는 제어회로부(400);를 더 포함하는 차량완구.
  3. 통상적인 차량의 외형으로 형성되어 서로 다른 전장을 갖는 복수의 규격으로 이루어진 외형케이스(100)의 전장 크기에 따라 축거 거리를 조절하여 장착할 수 있는 차량완구용 조립모듈에 있어서,
    상부에는 상기 외형케이스(100)의 하향 개구된 체결공간(110) 내에 형성된 전방체결부(120)에 탈착가능하게 체결되는 전륜체결구(211)가 배치되어 상기 체결공간(110) 내에서 전방 위치에 장착되는 박스 형태의 전륜케이스(210) 및, 상기 전륜케이스(210)에 지지되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전륜부(220)를 포함하는 전륜모듈부(200); 또는
    상부에는 상기 외형케이스(100)의 체결공간(110) 내에 형성된 후방체결부(130)에 탈착가능하게 체결되는 후륜체결구(311)가 배치되어 상기 체결공간(110) 내에서 상기 전륜모듈부(200)로부터 소정의 축거 거리(WB) 만큼 이격된 후방 위치에 장착되는 박스 형태의 후륜케이스(310) 및, 상기 후륜케이스(310)에 지지되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후륜부(320)를 포함하는 후륜모듈부(30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모듈부를 포함하는 차량완구용 조립모듈.
KR1020140158557A 2014-11-14 2014-11-14 축거조절 기능이 구비된 차량완구용 조립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완구 KR1016382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8557A KR101638249B1 (ko) 2014-11-14 2014-11-14 축거조절 기능이 구비된 차량완구용 조립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8557A KR101638249B1 (ko) 2014-11-14 2014-11-14 축거조절 기능이 구비된 차량완구용 조립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완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7671A true KR20160057671A (ko) 2016-05-24
KR101638249B1 KR101638249B1 (ko) 2016-07-08

Family

ID=56113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8557A KR101638249B1 (ko) 2014-11-14 2014-11-14 축거조절 기능이 구비된 차량완구용 조립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824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66085A (zh) * 2017-05-12 2018-04-03 济南翼菲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蓝牙遥控的模块化组装玩具及其使用方法
KR20230072043A (ko) * 2021-11-17 2023-05-24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실습용 자동차 키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6533B1 (ko) * 2016-12-15 2018-08-08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밸런싱 로봇의 조향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36396U (ja) * 1982-08-30 1984-03-07 株式会社タカラ 走行玩具
JPH0362221A (ja) * 1989-07-31 1991-03-18 Toshiba Corp 表示切替え制御方式
KR20020004349A (ko) 2000-07-05 2002-01-16 이영민 전동식 자동차 완구의 배터리 장착구조
JP4191676B2 (ja) * 2002-05-01 2008-12-03 株式会社セガ トイズ ラジコン玩具及びラジコン玩具セット
JP2009183477A (ja) * 2008-02-06 2009-08-20 Kyosho Corp ラジオコントロールカーの操舵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55821A (en) * 1989-07-10 1990-09-11 Litton Systems, Inc. Method for controlling connector insertion or extraction sequence on power distribution panel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36396U (ja) * 1982-08-30 1984-03-07 株式会社タカラ 走行玩具
JPH0362221A (ja) * 1989-07-31 1991-03-18 Toshiba Corp 表示切替え制御方式
KR20020004349A (ko) 2000-07-05 2002-01-16 이영민 전동식 자동차 완구의 배터리 장착구조
JP4191676B2 (ja) * 2002-05-01 2008-12-03 株式会社セガ トイズ ラジコン玩具及びラジコン玩具セット
JP2009183477A (ja) * 2008-02-06 2009-08-20 Kyosho Corp ラジオコントロールカーの操舵制御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66085A (zh) * 2017-05-12 2018-04-03 济南翼菲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蓝牙遥控的模块化组装玩具及其使用方法
CN107866085B (zh) * 2017-05-12 2024-04-26 济南翼菲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蓝牙遥控的模块化组装玩具及其使用方法
KR20230072043A (ko) * 2021-11-17 2023-05-24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실습용 자동차 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8249B1 (ko) 2016-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86891B2 (en) Modular electric vehicle
KR101638249B1 (ko) 축거조절 기능이 구비된 차량완구용 조립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완구
KR100989768B1 (ko) 모듈형 장난감 자동차
CN203186508U (zh) 集中全部控制开关于方向盘上的电动玩具车
CN104192226B (zh) 一种带有辅助轮的独轮车
JP2008546963A (ja) 左右対称に配置された接続コネクタを備えた伝動機構・駆動機構ユニット
CN100473437C (zh) 包括柔性元件的自动玩具
CN215826903U (zh) 一种改良型三轮童车
KR101067532B1 (ko) 네비게이션 전후진 회전 장치
EP1116506B1 (en) Playing machine
CN109393696A (zh) 智能电动行李箱
CN201989725U (zh) 一种摄像头与后视镜的安装结构
CN204093031U (zh) 易拆装玩具车
JP7244222B2 (ja) 自動車玩具
CN204121752U (zh) 一种模块化设计的拼装电动玩具车
US20100291830A1 (en) Reconfigurable transmission for toy vehicles
CN202277677U (zh) 一种多功能组合型遥控玩具车
CN207529866U (zh) 车辆座椅开关总成和车辆
CN214260654U (zh) 一种结构简单的全向玩具车
CN201249036Y (zh) 玩具跳舞车
CN205340107U (zh) 一种电动漂移碰碰车
CN218923776U (zh) 一种具有蹦跳和站立行走功能的玩具车
CN219134396U (zh) 平衡车
KR200332361Y1 (ko) 완구용 모터 박스
CN2803477Y (zh) 一种遥控电动玩具越野车的转向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