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7282A - 폼 트래블러 - Google Patents

폼 트래블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7282A
KR20160057282A KR1020150038254A KR20150038254A KR20160057282A KR 20160057282 A KR20160057282 A KR 20160057282A KR 1020150038254 A KR1020150038254 A KR 1020150038254A KR 20150038254 A KR20150038254 A KR 20150038254A KR 20160057282 A KR20160057282 A KR 201600572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veler
girder
segment
girder segment
main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8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30798B1 (ko
Inventor
박응범
안홍진
이영규
Original Assignee
브이에스엘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이에스엘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브이에스엘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382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0798B1/ko
Publication of KR201600572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72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0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07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1/00Suspension or cable-stayed bridges
    • E01D11/04Cable-stayed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폼 트래블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시공된 거더 세그먼트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트래블러; 상기 거더 세그먼트 상에 설치되는 상부레일; 상기 상부트래블러와 상기 상부레일을 연결하고, 상기 상부트래블러 또는 상기 상부레일, 또는 이들 모두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런칭수단; 상기 상부트래블러에 연결되어 상기 세그먼트 하부에 배치되고, 거푸집이 설치되는 하부트래블러; 및 상기 거더 세그먼트와 상기 하부트래블러에 연결되어 상기 런칭수단에 의한 상기 상부트래블러의 이동 시, 상기 하부트래블러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종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은 콘크리트 사장교에 사용되는 거더의 외벽체의 단면 형상에 상관없이 적용될 수 있도록 상로식 폼 트래블러와 하로식 폼 트래블러가 병합되어 구성됨으로써 콘크리트 사장교에 사용되는 범용적인 폼 트래블러를 제안하고자 한다.

Description

폼 트래블러{FORM TRAVELLER}
본 발명은 콘크리트 사장교에 사용되는 거더의 외벽체의 단면 형상에 상관없이 적용될 수 있도록 상로식 폼 트래블러와 하로식 폼 트래블러가 병합되어 구성됨으로써 콘크리트 사장교에 사용되는 범용적인 폼 트래블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사장교는 내구성이 좋고 압축에 강하여 사장재의 축력에 대해 효율적 단면구성이 가능하다는 구조적인 장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초기 사장교 시스템에는 많이 사용되지 못하였다.
그러나 차츰 multi-stay 시스템의 보편화, 재료의 고강도화 및 시공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콘크리트 사장교는 현재 중대지간 교량의 대표적인 형식으로 자리매김 하였다.
이러한 콘크리트 사장교에 타설되는 거더는 단면 형상에 따라 박스형과 엣지형이 사용되고 있다.
먼저 박스 거더는 1면 케이블 배치를 많이 적용하는데 Skarnsundet Bridge와 같이 주경간장의 큰 반면 폭이 좁아 1면 케이블 배치로 충분한 비틀림 강성 확보가 어려울 경우 2면 배치를 적용하되, 캔틸레버가 없는 역삼각형 단면을 적용하기도 한다.
다음으로 엣지 거더는 자체의 비틀림 강성이 작아 2면 케이블 배치를 적용하며, 캔틸레버의 유무와 케이블 정착위치에 따라 단면 형상이 달라지고, 보도가 있는 경우에는 보도를 케이블 외측에 설치하여 캔틸레버 구조로 계획하면 단면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이 경우 거더의 세그먼트는 콘크리트 사장교의 케이블 배치간격에 따라 결정되는데, 콘크리트 사장교의 케이블 배치간격은 4 ~ 8m 정도가 일반적이며 거더의 가설단위가 되는 세그먼트 길이도 케이블 배치간격과 마찬가지로 4 ~ 8m로 적용된다.
또한 거더의 세그먼트를 타설하기 위한 폼 트래블러(FT, Form Traveller)의 규모는 거더 세그먼트의 길이 및 중량에 의해 결정되며, 세그먼트의 길이가 길어지면 폼 트래블러의 무게도 늘어나 시공하중이 커져 단면설계에 불리하게 된다.
이러한 폼 트래블러는 거더 상부에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캔틸레버 최선단으로부 연속적으로 거더 세그먼트를 타설 및 양생하는 상로식 폼 트래블러와, 폼 트래블러가 거더 하부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연속적으로 거더 세그먼트를 타설 및 양생하는 하로식 폼 트래블러가 있다.
특히 콘크리트 사장교는 거더 양측부에 케이블을 설치하여야 하기 때문에 상로식 폼 트래블러의 경우 모든 제반 설비가 거더 세그먼트 상부에 배치되므로 적합하지 않아 하로식 폼 트래블러가 적용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경우 하로식 폼 트래블러는 트러스 구조의 하부구조물에 거푸집이 설치된 상태에서 거더 세그먼트 양측에 레일 형태의 런칭수단이 트러스 구조의 하부구조물 양측부에 연결되어 하부구조물을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사장교에서 거더의 단면 형상이 도 3 내지 도 7과 같은 경우, 즉 엣지 거더의 엣지 부분인 외벽체의 단면 형상이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삼각꼴인 경우 외벽체의 형상이 대략 평면 형태에 유사한 단면을 거더 세그먼트에 적용되는 런칭수단은 외벽체의 돌출된 부분에 의하여 적용이 어렵거나, 또는 설계변경을 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설계변경을 하는 경우 외벽체의 돌출 부분을 감안하여야 하기 때문에 런칭수단은 그만큼 양측방향으로 연장되어야 하고, 이는 대부분의 중량이 하부구조물에 집중되어 있는 경우 런칭수단의 지지력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하로식 폼 트래블러가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여야 할 필요가 있고, 상기한 바와 같이 거더의 단면, 특히 외벽체의 단면 형상에 상관없이 적용이 가능한 폼 트래블러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62202호(2014.11.10.)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콘크리트 사장교에 사용되는 거더의 외벽체의 단면 형상에 상관없이 적용될 수 있도록 상로식 폼 트래블러와 하로식 폼 트래블러가 병설되어 구성됨으로써 콘크리트 사장교에 사용되는 범용적인 폼 트래블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또는 본 발명은 상부트래블러가 런칭수단에 의한 전진 이동 시, 상부트래블러와 함께 이동되도록 하부트래블러의 이동을 지지하는 종동수단이 구비되고, 이 종동수단은 구조적으로 단순하여 기준의 폼 트래블러에 설치가 쉽고 용이하도록 하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인장수단은 메인프레임에 후단부를 지지하기 위해 메인프레임의 후단부에 설치된 서포터와 거더 세그먼트에 설치되는 다수의 강봉들을 서포터 하부에 배치되는 인장용 잭으로 인장 프리스트레스를 인가함으로써 다수 개의 강봉들에 균일한 인장력을 작용시키고자 하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폼 트래블러은 시공된 거더 세그먼트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트래블러; 상기 거더 세그먼트 상에 설치되는 상부레일; 상기 상부트래블러와 상기 상부레일을 연결하고, 상기 상부트래블러 또는 상기 상부레일, 또는 이들 모두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런칭수단; 상기 상부트래블러에 연결되어 상기 세그먼트 하부에 배치되고, 거푸집이 설치되는 하부트래블러; 및 상기 거더 세그먼트와 상기 하부트래블러에 연결되어 상기 런칭수단에 의한 상기 상부트래블러의 이동 시, 상기 하부트래블러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종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종동수단은 상기 거더 세그먼트에 연결되어 하방으로 연장 배치되는 지지봉과, 상기 하부트래블러에 연결되고, 상기 지지봉 하부에 이동 가능하도록 거치되는 하부레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지지봉에는 하단에 연결되고, 상기 하부레일이 거치되는 가이드롤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거더 세그먼트를 시공하기 위한 폼 트래블러에 있어서,
시공된 거더 세그먼트 상부에 메인프레임이 설치되고, 상기 메인프레임의 전단부에 재하되는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메인프레임의 후단부와 상기 거더 세그먼트에 연결되어 인장 프리스트레스가 인가되는 강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강봉에 균일한 인장 프리스트레스를 인가하기 위한 인장수단은 상기 메인프레임의 후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강봉의 상단이 결합되는 서포터와, 상기 서포터의 하부에 배치되는 인장용 잭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인장수단의 인장용 잭과 상기 서포터 사이에 배치되는 전달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폼 트래블러는 콘크리트 사장교에 사용되는 거더의 외벽체의 단면 형상에 상관없이 적용될 수 있도록 상로식 폼 트래블러와 하로식 폼 트래블러가 병설되어 콘크리트 사장교에 사용되는 범용적인 폼 트래블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트래블러가 런칭수단에 의한 전진 이동 시, 상부트래블러와 함께 이동되도록 하부트래블러의 이동을 지지하는 종동수단이 구비되고, 이 종동수단은 구조적으로 단순하여 기준의 폼 트래블러에 설치가 쉽고 용이하여 경제성을 제고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폼 트래블러에 사용되는 인장 프리스트레스용 인가장치는 인장수단이 메인프레임에 후단부를 지지하기 위해 메인프레임의 후단부에 설치된 서포터와 거더 세그먼트에 설치되는 다수의 강봉들을 서포터 하부에 배치되는 인장용 잭으로 인장 프리스트레스를 인가함으로써 다수 개의 강봉들에 균일한 인장력을 한 번에 작용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하여 메인프레임의 후단부의 지지구조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폼 트래블러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폼 트래블러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폼 트래블러에서 거푸집 및 거푸집 탈형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폼 트래블러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폼 트래블러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동작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폼 트래블러에서 인장 프리스트레스용 인가수단을 나타내는 단면도.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폼 트래블러 및 이에 사용되는 인장 프리스트레스용 인가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상에서 사용되는 엄밀하지 않은 방향기준을 특정하면,
상부트래블러(100), 상부레일(200) 및 하부트래블러(400)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이동방향 쪽을 '전방 또는 전단'이라 하고, 이들의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을 '후방 또는 후단'이라 한다.
본 명세서상에서 사용되는 거더 세그먼트는 시공이 완료된 세그먼트를 의미하고, 이하에서 기술되는 거더 세그먼트와 세그먼트는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폼 트래블러는
시공된 거더 세그먼트(GS)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트래블러(100)와, 거더 세그먼트 상에 설치되는 상부레일(200)과, 상부트래블러(100) 또는 상부레일(200), 또는 이들 모두를 이동 가능하는 런칭수단(300)과, 상부트래블러(100)에 연결되어 거더 세그먼트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트래블러(400)와, 거더 세그먼트와 하부트래블러(400)에 연결되어 런칭수단(300)에 의한 상부트래블러(100)의 이동 시, 하부트래블러(400)를 이동시키는 종동수단(5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부트래블러(100)는
이미 시공된 거더 세그먼트(GS) 상부에 메인프레임(110)이 설치되고, 메인프레임(110) 중심부 상부에 설치되는 리어트러스(120)와, 메인프레임(110) 전단에 연결되어 프론트빔(130)과, 이 프론트빔(130) 하단에 연결되어 하부트래블러(400)가 장착되는 크로스암(140)과, 메인프레임(110) 후단에 연결되어 프리스트레스를 인가하기 위한 인장수단(1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부트래블러(100)의 메인프레임(110)은 거더 세그먼트(GS) 양측에 배치되는 센터프레임(111)과, 센터프레임(111)의 상부와 하부에 후단이 연결되는 프론트프레임(113)과, 센터프레임(111)의 상부와 하부에 전단이 연결되는 리어프레임(115)으로 구성된다.
이 경우 센터프레임(111)과, 프론트프레임(113) 및 센터프레임(111)간의 연결부위는 장착브래킷(117)에 의하여 결합되고, 상부 및 하부 프론트프레임(113)의 전단부와, 상부 및 하부 리어프레임(115)의 후단부 역시 장착브래킷(117)에 의하여 결합된다.
또한 센터프레임(111)의 하단에 유압잭(HJ)이 설치되고, 이 유압잭(HJ)은 거더 세그먼트 상면에 놓인 잭베이스(B)에 의하여 지지되며, 이 때 유압잭(HJ)은 상방으로 일정한 압력을 가하여 센터프레임(111)을 상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들어 올릴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부트래블러(100)의 리어트러스(120)는 두 개의 센터프레임(111) 상부에 결합되어 메인프레임(110)의 강성을 보강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아울러 메인프레임(110)의 프론트프레임(113) 전단에는 트러스 구조의 프론트빔(130)이 설치되고, 이때 프론트빔(130) 상단에는 상부 프론트프레임(113)의 장착된 지지프레임(131)이 연결되어 프론트빔(130)을 지지하게 된다.
이 경우 프론트빔(130) 하단에는 복수의 크로스암(140)이 장착되고, 이 크로스암(140)들은 2개 1조로 구성되며, 1조의 크로스암(140) 하단에는 수평방향으로 지지바(141)가 연결된다.
또한 지지바(141)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이 관통공에는 하부트래블러(400)와의 연결용 강봉(SP)이 관통 삽입된 후, 체결용 너트에 의하여 체결 고정되며, 강봉(SP)의 하단에는 하부트래블러(400)가 장착된다.
이 경우 강봉(SP)간의 간격은 일정하게 이격 설치되거나, 또는 도 1의 도시와 같이 강봉(SP)간의 간격을 다르게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도 3 내지 도 7에 도시와 같이 엣지 거더를 시공하는 경우 단면 형상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거더의 엣지 부분이 거더의 슬래브보다 두께가 훨씬 두껍기 때문에 콘크리트 타설 시, 슬래브보다 엣지 부분에 투입되는 콘크리트 타설 양이 상대적으로 많고, 이는 엣지 부분에 의하여 인가되는 하중이 슬래브에 의한 하중보다 크기 때문에 엣지 부분에 설치되는 강봉(SP)의 간격을 보다 조밀하게 설치하는 경우이다.
다만 거더의 단면 형상이 박스형이 거더의 경우와 같이 거더의 하중 분포가 다른 경우에는 하중 분포에 따라 강봉(SP)의 설치 개수나, 설치간격을 조절할 수 있고, 이 따라 크로스암(140)의 배치구조 역시 조절이 가능하다.
나아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트래블러(100)의 인장수단(150)은 메인프레임(110)의 후단, 즉 리어프레임(115)의 후단을 지지하는 강봉(SP)에 인장 프리스트레스를 인가하여 메인프레임(110)의 전방 쏠림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이는 메인프레임(110)의 프론트프레임(113) 전단에 연결되는 하부트래블러(400)의 무게와, 거푸집(600)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의한 하중에 의하여 메인프레임의 전단에는 하방으로 모멘트가 작용하게 되고, 따라서 메인프레임(110)은 전체적으로 전방으로 쏠림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인장수단(150)에 의하여 리어프레임(115) 후단에 연결되고, 거더 세그먼트에 정착된 다수의 강봉(SP)을 인장용 잭(151)으로 미리 인장하여 프리스트레스를 인가하게 되면 메인프레임(110)은 전단에 큰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안정적인 지지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강봉(SP)에 인장 프리스트레스를 인가하는 것은 상기한 바와 같이 메인프레임(110) 전단에 작용하는 하중은 매우 크기 때문에 프리스트레스 없이 설치된 강봉(SP)은 메인프레임(110)의 하중에 의하여 인장될 수 있고, 이렇게 강봉(SP)이 인장되는 경우 인장된 양에 상응하여 하부트래블러(400)와 거푸집(600) 등에 움직임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강봉(SP)을 미리 인장하여 프리스트레스를 가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인장수단(150)은 리어프레임(115)의 후단에 연결된 장착브래킷(117) 상부에 서포터(152)가 장착되고, 이 서포터(152)에는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강봉(SP)의 상단 삽입된 후, 체결용 너트에 의하여 체결 고정되며, 강봉(SP)의 하단은 거더 세그먼트에 체결용 너트로 장착 고정된다.
이 경우 강봉들(SP)은 서포터(152)의 모서리 부분 네 지점에 설치되어 힘의 균형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힘의 균형을 이룰 수 있는 배치구조라면 강봉의 설치 개수는 증감될 수 있다.
또한 인장수단(150)은 강봉(SP)에 인장 프리스트레스를 인가하기 위해 인장용 잭(151)이 구비되고, 이 인장용 잭(151)을 지지하기 위한 받침부재(155)가 상부레일(200) 상부에 배치되어 인장용 잭(151)의 하부를 지지하게 된다.
이 경우 인장용 잭(151)과 서포터(152) 사이에는 전달부재(153)가 구비되어 인장용 잭(151)의 승강 시, 함께 승강하여 인장용 잭(151)의 상승력을 서포터(152)에 전달하고, 이에 의하여 강봉(SP)을 인장하여 프리스트레스를 인가하게 된다.
또한 인장수단(150)에는 전달부재(153)의 중간 부분과 서포터(152)의 하부를 연결하는 결합부재(154)가 구비되어 전달부재(154)와 서포터(152)를 일체로 연결하여 인장용 잭(151)의 승강 시, 전달부재(153)와 서포터(152)가 일체로 거동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인장수단의 인장용 잭(151)은 서포터(152)의 하부에 배치되는데,
이는 상기한 바와 같이 강봉은 리어프레임의 후단 다수 지점에 연결되고, 이렇게 강봉들이 메인프레임의 리어프레임에 설치된 상태에서 강봉들을 상부에서 인장하는 경우 강봉들 모두에 균일한 인장력을 부여하기 어렵다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함이다.
즉 강봉들(SP)의 상단 연결되는 서포터(152) 하부에 인장용 잭(151)을 배치시켜 서포터(152)를 승강시키게 되면 서포터(152)에 의하여 강봉들(SP)에 동일한 인장력이 가해지고, 이에 의하여 강봉들(SP)에는 균일한 인장 프리스트레스가 인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인장수단(150)에 의하여 다수 강봉들(SP)에 균일한 인장 프리스트레스를 인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될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하여 메인프레임 전단에 작용하는 모멘트에 의한 메인프레임 전단 쏠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인장수단은 메인프레임의 후단에 설치된 강봉들에 인장 프리스트레스용 인가장치로서 역할을 하게 된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부레일(200)은
거더 세그먼트(GS) 상면부에 배치되어 런칭수단(300)에 의하여 상부트래블러(100)가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먼저 상부레일(200)은 거더 세그먼트 상면에 안착되는 레일받침대(210)가 서로 이격되어 다수로 배치되고, 레일받침대(210) 상부에 한 쌍의 상부레일(200)이 얹히어 거더의 양측부에 배치되며, 이때 한 쌍 상부레일(200)은 메인프레임(110)의 센터프레임(111)을 지지하는 유압잭(HJ)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다.
또한 상부레일(200)을 거더 세그먼트 상에 고정시키기 위해 한 쌍의 상부레일(200) 후단 상면을 가로지르도록 고정블록(230)이 안치되고, 이 고정블록(230)과 거더 세그먼트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강봉(SP)에 체결용 너트로 체결됨으로써 상부레일(200)을 세그먼트 상부에 고정시키게 된다.
아울러 상부레일(200)은 하기할 런칭수단(300)에 의하여 전방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데, 이는 상부트래블러(100)의 전진 이동을 위한 것이다.
따라서 상부트래블러(100)와 상부레일(200)에는 상부트래블러(100)의 이동과, 상부레일(200)의 이동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다양한 이동식 지지구들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동식 지지구들로는 먼저 메인프레임(110)의 센터프레임(111)에 연결되는 프론트보기(160)(front bogie)가 구비되어 후술할 런칭수단(300)에 연결되어 상부레일(200) 상면에 안착된다.
다음으로 메인프레임(110)의 리어프레임(115) 후단에 배치된 장착브래킷(117)에 연결되어 하단에 구비된 롤러가 한 쌍의 상부레일(200)의 내측 또는 외측 상부리브 하부에 배치되는 리어보기(170)(rear bogie)가 구비된다.
다음으로 메인프레임(110)의 리어프레임(115) 후단에 배치된 장착브래킷(117)에 상단에 연결되는 풀다운 클램프(180)(pull down clamp)가 구비되고, 이 풀다운 클램프(180)의 하단이 한 쌍의 상부레일(200) 상부 부분을 클램핑하도록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런칭수단(300)은
상부트래블러(100)의 이동을 위하여 상부트래블러(100)와 상부레일(200)에 연결되어 상부레일(200)의 이동과 상부트래블러(100)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한 런칭수단(300)은 상부레일(200)과 프론트보기(160)에 양단이 연결되는 유압실린더(310)로 구성되어 유압실린더(310)의 작동에 의하여 상부레일(200)을 이동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상부트래블러(100)가 상부레일(200)을 따라 이동될 수 있게 한다.
이렇게 구성된 런칭수단(300)에 의하여 상부트래블러(100)와 상부레일(200)을 이시(異時)에 이동되는데, 이 경우 이동 순서는 상부레일(200)이 먼저 전진 이동되고, 상부레일(200)의 이동 후, 상부트래블러(100)가 전진 이동된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부트래블러(400)는
상부트래블러(100)의 전단에 연결되어 거더 세그먼트(GS) 하부에 배치되고, 트러스 구조물로 구성되며, 그 상부에 거푸집(600)이 설치된다.
먼저 하부트래블러(400)의 전방에는 상부트래블러(100)의 전단에 배치된 크로스암(140) 및 지지바(141)에 설치되어 하부로 연장된 강봉(SP) 하단에 체결 고정되고, 후방에는 거더 세그먼트와 하부트래블러에 후방에 체결되는 후방 고정용 강봉(SP)이 설치된다.
다음으로 하부트래블러(400)의 후방 상부에는 거더 세그먼트 하면과의 사이에 유압잭(HJ)이 설치되고, 이 경우 유압잭(HJ)은 후방 고정용 강봉(SP)에 인접하거나 또는 관통하는 형태로 연결되어 하부트래블러(400)의 후방부를 구속함으로써 하부트래블러(400)의 후방 지지구조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하부트래블러(400) 상부에 배치되는 거푸집(600)은 거더 세그먼트의 엣지 부분, 즉 외벽체(OW)를 형성하는 외측거푸집(610)이 양측에 설치되고, 거더 세그먼트의 슬래브(S)를 시공하기 위한 슬래브거푸집(620)이 설치된다.
또한 거더 세그먼트의 내측에는 양측의 외벽체(OW)와 연결되는 내벽체(IW)를 형성하기 위해 내측거푸집(630)이 구비되고, 슬래브거푸집(620)은 내측거푸집(630)을 기준으론 전방과 후방에 각각 전방 및 후방 슬래브거푸집이 배치된다.
이 경우 하부트래블러(400)의 상부에는 슬래브거푸집(620)을 지지하기 위한 트러스 구조의 거푸집지지구(640)가 배치되어 슬래브거푸집(620) 하부를 받치게 된다.
이렇게 설치된 각 거푸집(600)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여 일정한 기간이 경과하게 되면 콘크리트가 경화되어 해당 세그먼트의 시공이 종료된다.
이렇게 해당 세그먼트가 경화되면 거더 세그먼트로부터 거푸집(600)을 탈형시키게 되며, 이 경우 외벽체(OW)에 설치되는 사장교 케이블(C)을 인장구(CT)로 인장함으로써 케이블 설치를 종료하게 된다.
이렇게 거푸집(600)의 탈형과 케이블의 설치 및 인장 작업이 종료되면 연속적으로 다음 세그먼트를 시공하기 위해 런칭수단(300)을 이용하여 상부레일(200), 상부트래블러(100) 및 하부트래블러(400)를 이동시키게 된다.
나아가 도 2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종동수단(500)은
거더 세그먼트(GS)와 하부트래블러(400)에 연결되어 런칭수단(300)에 의한 상부트래블러(100)의 이동 시, 상기 하부트래블러(400)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종동수단(500)은 거더 세그먼트에 연결되어 하방으로 연장 배치되는 지지봉(520)과, 하부트래블러(400)에 상부에 연결되어 후방으로 연장되고, 지지봉(520) 하부에 이동 가능하도록 거치되는 하부레일(5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지지봉(520)은 거더 세그먼트에 관통 결합되고, 체결용 너트에 의하여 고정되고, 지지봉(520)의 하단에는 롤러브래킷(530)이 구비된다.
롤러브래킷(530)은 하부레일(510)이 관통하도록 구성되고, 하단에 롤러(531)가 구비되어 하부레일(510)의 하부리브 하면에 접촉되어 하부트래블러(400)의 이동 시, 하부레일(510)이 롤러(531)를 타고 하부트래블러(400)와 함께 이동하게 된다.
이 경우 하부레일(510)은 하부트래블러(400) 양측에 각각 복수로 구성되고, 하부레일(510)에 상응하도록 지지봉(520)과 롤러브래킷(530)이 배치된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복합형 폼 트래블러의 구동 매커니즘을 도 8 내지 도 11의 도시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형 폼 트래블러에 의하여 거더 세그먼트가 시공이 종료된 상태로, 이 상태를 초기 상태로 한다.
이 상태에서 상부레일(200)을 이동시키기 위해 상부레일(200)을 지지하고 있는 강봉(SP)을 해체하고, 유압잭(HJ)을 이용하여 센터프레임(111)을 상방으로 들어 올려 상부레일(200)에 인가되는 메인프레임(110)의 하중을 저감시키거나, 제거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런칭수단(300)의 유압실린더(310)가 작동되어 플런저가 인입되면 상부레일(200)은 전방으로 전진하여 이동하게 되고,
이 경우 상부레일(200)을 받치고 있는 받침대와 상부레일(200)의 하부리브 사이에는 슬립패드(220)(slip pad)가 구비되어 상부레일(200)의 이동을 지지하게 된다.
이때 상부레일(200)은 현재 경화된 거더 세그먼트까지 소정 거리를 이동하게 되면 상부레일(200)의 이동을 정지한 후, 해체된 강봉(SP)을 고정블록(230)에 설치하여 상부레일(200)을 거더 세그먼트에 고정시키게 된다.
다음 단계로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레일(200)의 이동과 고정 작업이 종료되면 상부트래블러(100), 하부트래블러(400) 및 거푸집(600)을 이동시키기 위해 하부트래블러(400)와 거푸집(600)을 하강시키게 된다.
이 작업을 위하여 지지바(141)에 결합된 강봉(SP)과 종동수단(500)의 지지봉(520)을 해체하여 하방으로 하강시켜 거푸집(600)과 하부트래블러(400)가 현재 경화된 세그먼트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도록 한다.
이렇게 하부트래블러(400)와 거푸집(600)을 하강시킨 후에는 인장수단(150)의 강봉(SP)을 해체하여 메인프레임(110)의 후단 고정을 해제함으로써 상부트래블러(100)의 이동을 위한 준비 작업이 완료된다.
이 상태에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런칭수단(300)의 유압실린더(310)가 작동하게 되면 인입되었던 플런저가 인출되면 상부트래블러(100)는 전방으로 전진 이동하게 되고, 이때 하부트래블러(400) 역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종동수단(500)의 하부레일(510)이 롤러브래킷(530)의 롤러(531)에 의하여 회전 지지됨으로써 하부트래블러(400)의 안정적인 이동을 가이드하게 된다.
이 경우 상부트래블러(100)는 프론트보기(160), 리어보기(170) 및 풀다운 클램프(180) 등에 의하여 상부레일(200)을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부트래블러(100), 하부트래블러(400) 및 거푸집(600)이 다음 세그먼트를 타설 및 양생하기 위한 위치까지 이동하게 되면 인장수단(150)의 강봉(SP)을 거더 세그먼트에 체결하여 메인프레임(110)의 후방부를 고정시키게 된다.
마지막으로 도 8의 초기 상태와 같이 메인프레임(110)이 인장수단(150)에 의하여 고정되면 지지바(141)에 결합된 강봉(SP)과, 지지봉(520)을 승강시켜 하부트래블러(400)와 거푸집(600)을 승강하게 되고, 하부트래블러(400)와 거푸집(600)이 다음 세그먼트를 타설하고 양생하기 위한 위치까지 승강되면 지지바(141)에 결합된 강봉(SP)과 지지봉(520)을 고정시키게 된다.
또한 하부트래블러(400) 후방 고정용 강봉(SP)을 거더 세그먼트에 설치하고, 하부트래블러(400) 후방에 배치된 유압잭(HJ)을 이용하여 하부트래블러(400)의 설치위치를 고정시키게 된다.
이렇게 하부트래블러(400)와 거푸집(600)이 작업 위치에 고정되면 하부트래블러(400)를 고정시키기 위해 하부트래블러(400) 후방 고정용 강봉(SP)을 거더 세그먼트에 체결 고정함으로써 하부트래블러(400)의 고정 작업이 완료된다.
하부트래블러(400)의 고정 작업 완료 후에는 거푸집(600)을 세팅하여 다음 세그먼트를 제작하기 위한 준비 작업이 끝나면 거푸집(600)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여 세그먼트를 연속적으로 시공하게 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적용되는 유압잭(인장용 잭 포함)은 스크루 잭으로 대체 사용이 가능하고, 작동방식에 따라 기계식이나, 전동식 잭이 사용될 수 있으며,
런칭수단으로는 상기한 바와 같은 유압실린더나, 기계식 또는 전동식 잭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잭으로는 유압잭이나 스크루 잭 등의 도입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폼 트래블러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 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GS : 거더 세그먼트
OW : 외벽체 IW : 내벽체
S :슬래브 HJ : 유압잭
B : 잭베이스 SP : 강봉
C : 케이블 CT : 인장구
100 : 상부트래블러
110 : 메인프레임 111 : 센터프레임
113 : 프론트프레임 115 : 리어프레임
117 : 장착브래킷 120 : 리어트러스
130 : 프론트빔 131 : 지지프레임
140 : 크로스암 141 : 지지바
150 : 인장수단 151 : 인장용 잭
152 : 서포터 153 : 전달부재
154 : 결합부재 155 : 받침부재
160 : 프론트보기 170 : 리어보기
180 : 풀다운 클램프
200 : 상부레일
210 : 레일받침대 220 : 슬립패드
230 : 고정블록
300 : 런칭수단
310 : 유압실린더
400 : 하부트래블러
500 : 종동수단
510 : 하부레일 520 : 지지봉
530 : 롤러브래킷 531 : 롤러
600 : 거푸집
610 : 외측거푸집 620 : 슬래브거푸집
630 : 내측거푸집 640 : 거푸집지지구

Claims (6)

  1. 시공된 거더 세그먼트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트래블러(100);
    상기 거더 세그먼트 상에 설치되는 상부레일(200);
    상기 상부트래블러(100)와 상기 상부레일(200)을 연결하고, 상기 상부트래블러(100) 또는 상기 상부레일(200), 또는 이들 모두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런칭수단(300);
    상기 상부트래블러(100)에 연결되어 상기 세그먼트 하부에 배치되고, 거푸집(600)이 설치되는 하부트래블러(400); 및
    상기 거더 세그먼트와 상기 하부트래블러(400)에 연결되어 상기 런칭수단(300)에 의한 상기 상부트래블러(100)의 이동 시, 상기 하부트래블러(400)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종동수단(50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폼 트래블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수단(500)은
    상기 거더 세그먼트에 연결되어 하방으로 연장 배치되는 지지봉(520)과,
    상기 하부트래블러(400)에 연결되고, 상기 지지봉(520) 하부에 이동 가능하도록 거치되는 하부레일(51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폼 트래블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520)에는 하단에 연결되고, 상기 하부레일(510)이 관통하는 롤러브래킷(53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폼 트래블러.
  4. 거더 세그먼트를 시공하기 위한 폼 트래블러에 있어서,
    시공된 거더 세그먼트 상부에 메인프레임(110)이 설치되고,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전단부에 재하되는 하중에 의한 변위를 억제하기 위해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후단부와 상기 거더 세그먼트에 연결되어 인장 프리스트레스가 인가되는 강봉(SP)을 포함하는 폼 트래블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강봉(SP)에 균일한 인장 프리스트레스를 인가하기 위한 인장수단(150)은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후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강봉(SP)의 상단이 결합되는 서포터(152)와,
    상기 서포터(152)의 하부에 배치되는 인장용 잭(151)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폼 트래블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수단(150)의 인장용 잭(151)과 상기 서포터(152) 사이에 배치되는 전달부재(15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폼 트래블러.
KR1020150038254A 2015-03-19 2015-03-19 폼 트래블러 KR1017307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8254A KR101730798B1 (ko) 2015-03-19 2015-03-19 폼 트래블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8254A KR101730798B1 (ko) 2015-03-19 2015-03-19 폼 트래블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7282A true KR20160057282A (ko) 2016-05-23
KR101730798B1 KR101730798B1 (ko) 2017-04-28

Family

ID=56104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8254A KR101730798B1 (ko) 2015-03-19 2015-03-19 폼 트래블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079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86169A (zh) * 2017-12-13 2018-05-29 中国铁建大桥工程局集团有限公司 桥梁施工用移动模架的安装提升方法
CN109577164A (zh) * 2017-07-19 2019-04-05 孟美丽 桥梁及桥梁的安装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1148B1 (ko) * 2021-07-28 2023-01-19 현대건설(주) 폼 트래블러, 이를 이용한 fcm 교량의 거더 세그먼트 시공 방법 및 fcm 교량의 시공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77164A (zh) * 2017-07-19 2019-04-05 孟美丽 桥梁及桥梁的安装设备
CN108086169A (zh) * 2017-12-13 2018-05-29 中国铁建大桥工程局集团有限公司 桥梁施工用移动模架的安装提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0798B1 (ko) 2017-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3047B1 (ko) 측방풀링을 이용한 교량압출방법
KR101657994B1 (ko) 폼 트래블러 및 이를 이용한 교량의 시공방법
KR20090126957A (ko) 교량 상부 구조물 유닛의 프리 로딩 장치 및 이를 이용한상부 구조물 유닛의 휨 변형 부가 방법
KR100858397B1 (ko) 거더의 상연이 블록 아웃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빔에사용되는 정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스 도입방법
KR101730798B1 (ko) 폼 트래블러
KR101732671B1 (ko) 프리플렉스 거더 제작장치,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프리플렉스 거더 및 이를 이용한 프리플렉스 거더 제작방법
CN209408814U (zh) 一种pc轨道梁模板系统
JP2020183678A (ja) 箱桁の施工方法および施工システム
CN114214915B (zh) 部分预制拼装的波形钢腹板组合箱梁桥梁结构及施工方法
KR101564899B1 (ko) 트러스 거더 세그먼트 이동장치
JP2007092313A (ja) Pc波形鋼板ウエブ箱桁の構築方法
US4128610A (en) Method for casting concrete structures
JP5260709B2 (ja) 橋桁送出し工法
CN111042835B (zh) 一种隧道线缆沟和水沟施工台车及其施工方法
KR101646865B1 (ko) 보에서 긴장 정착시킨 장스팬 내화 데크의 긴장재 정착 시스템 및 그 시공 방법
KR101300911B1 (ko) 거푸집 시공용 인양 레일 조립체
CN106166796B (zh) 一种用于无砟式高速铁路轨道板生产的张拉台座
KR101200246B1 (ko) 철근조립용 지그의 토글링크식 리프팅 장치
KR101671163B1 (ko) 트러스 거더의 이동방법
CN210104575U (zh) 大跨度前支点牵索挂篮抗弯结构
KR101341864B1 (ko) 슬래브 거푸집 거더 빔 체결장치
CN103556835B (zh) 一种楼板台车
JP2003138522A (ja) 橋梁の押出し工法
KR101872298B1 (ko) 이동식 플레이트를 이용한 철골-콘크리트 하이브리드 pc기둥 및 pc보의 강접합 조인트 결합구조
KR20180049533A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지점부 제작대를 이용하여 받치는 형태로 프리캐스트 P.S(Prestressed)강합성거더를 제작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