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7246A - 연자성 합금 및 이를 포함하는 안테나용 차폐시트 - Google Patents

연자성 합금 및 이를 포함하는 안테나용 차폐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7246A
KR20160057246A KR1020140158271A KR20140158271A KR20160057246A KR 20160057246 A KR20160057246 A KR 20160057246A KR 1020140158271 A KR1020140158271 A KR 1020140158271A KR 20140158271 A KR20140158271 A KR 20140158271A KR 20160057246 A KR20160057246 A KR 201600572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ft magnetic
magnetic alloy
wireless power
present
shielding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8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지연
배석
문원하
이상원
이종혁
현순영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582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57246A/ko
Priority to EP15194319.8A priority patent/EP3021336B1/en
Priority to CN201510780758.6A priority patent/CN105609226A/zh
Priority to US14/940,629 priority patent/US20160138140A1/en
Publication of KR201600572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72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3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1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 H01F1/03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 H01F1/12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 H01F1/14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 H01F1/147Alloy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1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 H01F1/03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 H01F1/12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 H01F1/14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 H01F1/2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in the form of particles, e.g. powder
    • H01F1/22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in the form of particles, e.g. powder pressed, sintered, or bound together
    • H01F1/24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in the form of particles, e.g. powder pressed, sintered, or bound together the particles being insulated
    • H01F1/26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in the form of particles, e.g. powder pressed, sintered, or bound together the particles being insulated by 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34Special means for preventing or reducing unwanted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e.g. no-load losses, reactive currents, harmonics, oscillations, leakage fields
    • H01F27/36Electric or magnetic shields or scree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34Special means for preventing or reducing unwanted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e.g. no-load losses, reactive currents, harmonics, oscillations, leakage fields
    • H01F27/36Electric or magnetic shields or screens
    • H01F27/366Electric or magnetic shields or screens made of ferromagnet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4Inductive coupl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52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tennas; 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 antenna and another structure
    • H01Q1/526Electromagnetic shiel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2/00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 C01P2002/60Compounds characterised by their crystallite siz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2202/00Physical properties
    • H04B5/24
    • H04B5/79

Abstract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연자성 합금은 하기 화학식의 조성을 가진다.
[화학식]
Fe100-a-bSiaCrb
여기서, a는 1 내지 7at%이고, b는 3.5 내지 17at%이며, a+b는 10.5 내지 18at%이다.

Description

연자성 합금 및 이를 포함하는 안테나용 차폐시트{SOFT MAGNETIC ALLOY AND SHIELDING SHEET FOR ANTENNA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연자성 합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안테나용 차폐시트에 포함되는 연자성 합금에 관한 것이다.
무선 충전을 위한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의 안테나 모듈 또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의 안테나 모듈은 안테나 코일 및 차폐시트를 포함한다. 차폐시트는 자성소재, 예를 들면 페라이트, 비정질의 고투자율 재료, Fe-Si-Al 합금, Fe-Si-Cr 합금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안테나 코일의 인덕턴스를 크게 하고, 통신 거리를 넓힐 수 있다. 특히, Fe-Si-Cr 합금은 손실 계수가 낮으므로, 13.56MHz 대역을 사용하는 RFID용 안테나 모듈뿐만 아니라, 100kHz 대역을 사용하는 무선 충전용 안테나 모듈에도 적용될 수 있다.
차폐시트에 이용되는 일반적인 Fe-Si-Cr 합금은 Febal.Si12at%Cr1.5at%의 조성을 가진다. 이러한 조성의 Fe-Si-Cr합금은 내식성이 약하며, 판상 가공 시 깨지기 쉬운(brittle) 특성이 있다. 또한, Fe-Si-Cr합금의 내식성을 높이기 위하여 인산염 처리를 할 수는 있으나, 인산염 처리 후 포화자속밀도가 급격이 낮아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안테나용 차폐시트에 포함되는 연자성 합금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연자성 합금은 하기 화학식의 조성을 가진다.
[화학식]
Fe100-a-bSiaCrb
여기서, a는 1 내지 7at%이고, b는 3.5 내지 17at%이며, a+b는 10.5 내지 18at%이다.
a는 5 내지 7at%이고, b는 3.5 내지 11at%일 수 있다.
a는 1 내지 5at%이고, b는 11 내지 17at%일 수 있다.
포화자속밀도가 1.4 내지 1.9T이고, 비저항이 60μΩ.cm 이상일 수 있다.
입경이 30 내지 120㎛이고, 두께가 0.3 내지 1.5㎛인 판상 분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용 차폐시트는 상기 화학식의 조성을 가진다.
안테나용 차폐시트는 결합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재는 열가소성 수지, 열경화성 수지, 자외선 경화성 수지 및 방사선 경화성 수지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시스템의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연자성 코어, 그리고 상기 연자성 코어 상에 형성된 송신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연자성 코어는 상기 화학식의 조성을 가지는 연자성 합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시스템의 무선 전력 수신 장치는 연자성 시트, 그리고 상기 연자성 시트 상에 형성된 수신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연자성 시트는 상기 화학식의 조성을 가지는 연자성 합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RFID 태그뿐만 아니라 무선 충전을 위한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에 적용 가능한 연자성 합금 및 이를 포함하는 차폐시트를 얻을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자성 합금 및 차폐시트는 내식성이 강하고, 포화자속밀도가 높으며, 비저항이 높고, 면방향의 투자율이 높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시스템의 무선 전력 송수신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연자성 합금의 구형 분말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연자성 합금의 플레이크를 나타낸다.
도 7 내지 12는 실시예에 따른 연자성 합금의 내식성을 나타내며, 도 13 내지 15는 비교예에 따른 연자성 합금의 내식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 충전 시스템(10)은 전원(100),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 무선 전력 수신 장치(300) 및 부하단(400)을 포함한다.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는 전원(100)에 연결되며, 전원(100)으로부터 전력을 수신한다. 그리고,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300)에게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한다. 이때,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는 전자기 유도(electromagnetic induction) 방식 또는 공진(resonance) 방식을 이용하여 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 전원(100)과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가 별개의 구성인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원(100)은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에 포함될 수도 있다.
무선 전력 수신 장치(300)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한다. 무선 전력 수신 장치(300)도 전자기 유도(electromagnetic induction) 방식 또는 공진(resonance) 방식을 이용하여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 전력 수신 장치(300)는 수신한 전력을 부하단(400)에게 공급한다. 부하단(400)은 배터리 또는 배터리가 내장된 장치일 수 있다. 부하단(400)과 무선 전력 수신 장치(300)가 별개의 구성인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부하단(400)은 무선 전력 수신 장치(300)에 포함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시스템의 무선 전력 송수신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는 송신 코일(210)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 장치(300)는 수신 코일(310) 및 정류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100)은 소정 주파수를 갖는 교류 전력을 생성하여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의 송신 코일(210)에게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송신 코일(210)에 의하여 발생한 교류 전류는 송신 코일(210)과 유도 결합된 수신 코일(310)로 전달될 수 있다. 또는, 송신 코일(210)로 전달된 전력은 주파수 공진 방식에 의해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와 동일한 공진 주파수를 갖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300)로 전달될 수도 있다. 임피던스가 매칭된 2개의 LC 회로 간에는 공진에 의하여 전력이 전송될 수 있다.
전자기 유도(electromagnetic induction) 방식 또는 공진(resonance) 방식을 이용하여 수신 코일(310)로 전달된 전력은 정류부(320)를 통해 정류되어 부하단(400)으로 전달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무선 전력 송신 장치(1200)는 연자성 코어(1210) 및 영구 자석(1220)을 포함한다.
연자성 코어(1210)는 수 mm 두께의 연자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송신 코일(1220)은 연자성 코어(12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연자성 코어(1210) 상에 영구 자석이 더 배치되며, 영구 자석은 송신 코일(1220)에 의하여 둘러싸일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무선 전력 수신 장치(1300)는 연자성 기판(1310) 및 수신 코일(1320)을 포함하며, 연자성 기판(1310) 상에 수신 코일(1320)이 배치될 수 있다.
수신 코일(1320)은 연자성 기판(1310) 상에서 연자성 기판(1310)과 평행한 방향으로 감겨진 코일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무선 전력 수신 장치(1300)가 무선 충전 기능과 근거리 통신 기능을 동시에 가지는 경우, 연자성 기판(1310) 상에는 NFC 코일이 더 적층될 수 있다. NFC 코일은 수신 코일(1320)의 바깥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연자성 코어 및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연자성 기판 중 적어도 하나는 화학식 1의 조성을 가지는 연자성 합금을 포함한다.
[화학식 1]
Fe100-a-bSiaCrb
여기서, a는 1 내지 7at%이고, b는 3.5 내지 17at%이며, a+b는 10.5 내지 18at%이다.
이에 따라, 내식성이 양호하면서도 포화자속밀도가 높고, 비저항 및 면방향 투자율이 높은 연자성 합금을 얻을 수 있다.
여기서, Si는 전기 저항을 높이고, 과전류 손실을 감소시키며, 투자율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또한, Si는 환경에 따른 자기 특성의 변화를 억제하며, 충격에 대한 강도를 높이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Si가 1at%미만으로 함유되면, 비저항이 낮아지며, 강도가 약해지고, 내산화성이 낮아질 수 있다. 다만, Si가 7at%를 초과하여 함유되면, 깨지기 쉬운(brittle) 특성으로 인하여 넓고 얇은 플레이크로 성형하기 어려워지므로, 표면 결함이 높아지고, 면방향 투자율이 낮아지게 된다.
Cr은 성장 억제제(growth inhibitor)의 역할을 함과 동시에, 전기 저항을 높이며, 연자성 합금에 산화 피막을 형성함으로써 내식성을 높인다. 예를 들어, Cr은 Fe를 포함하는 연자성 합금의 제조 과정 또는 건조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Cr이 3.5at% 미만으로 포함되면, Cr이 오히려 부식의 시드(seed)가 되므로, 연자성 합금의 내식성을 악화시킬 수 있다. 다만, Cr이 17at%를 초과하여 포함되면, 성형성 및 포화자속밀도가 낮아질 수 있다.
한편, Si 및 Cr은 전체 연자성 합금의 10.5 내지 18at%, 즉 Fe는 전체 연자성 합금의 82 내지 89.5at%로 포함될 수 있다. Fe가 82at% 미만으로 포함되면, 포화자속밀도가 낮아지게 되어, 차폐시트의 박형화가 어려워질 수 있다. 그리고, Fe가 89.5at%를 초과하여 포함되면, 비정질 형성능(glass forming ability)이 낮아 결정상이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연자성 합금은 화학식 1의 조성에 따른 금속 분말을 혼합한 후 1500℃ 내지 1900℃에서 용융시키고, 워터?칭(Water Quenching) 기법 또는 멜트스피너(Melt spinner) 기법을 이용하여 상온으로 식히며, 가스 아토마이저(gas atomizer) 등을 이용하여 구형 분말을 생성할 수 있다. 이후, 구형 분말은 300 내지 500℃에서의 열처리 과정을 통하여 어닐링(annealing)되며, 판상의 플레이크(flake)로 성형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연자성 합금의 구형 분말을 나타내고,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연자성 합금의 플레이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연자성 합금의 플레이크는 입경이 30 내지 120㎛이고, 두께가 0.3 내지 1.5㎛이다. 연자성 합금에 포함되는 Si의 함량이 7at%이하이면, 연자성 합금의 성형성이 우수해지므로 입경이 30㎛ 이상,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120㎛인 플레이크를 얻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면방향의 투자율을 높일 수 있으며, 비저항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플레이크 형상으로 가공된 연자성 합금은 안테나용 차폐시트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용 차폐시트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연자성 합금 및 결합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용 차폐시트는 60 내지 95wt%의 연자성 합금 및 5 내지 40wt%의 결합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연자성 합금 및 결합재를 함량비에 따라 혼합한 후 고온에서 가압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용 차폐시트를 제조할 수 있다. 여기서, 결합재는 열가소성 수지, 열경화성 수지, 자외선 경화성 수지, 방사선 경화성 수지 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재는 에폭시 수지, 실리콘 수지, 실리콘 고무, 페놀 수지, 우레아 수지, 멜라민 수지 및 PVA(poly vinyl alcohol) 수지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될 수 있다. 안테나용 차폐시트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연자성 합금을 60wt% 미만으로 함유하면 포화자속밀도가 낮아질 수 있으며, 95wt%를 초과하여 함유하면 플레이크 간의 결합력이 낮아져서 부서지기 쉬워질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이용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표 1은 실시예에 따른 연자성 합금의 조성, 포화자속밀도(T), 비저항(μΩ·cm) 및 내식성을 나타낸다. 표 2는 비교예에 따른 연자성 합금의 조성, 포화자속밀도(T), 비저항(μΩ·cm) 및 내식성을 나타낸다. 그리고, 도 7 내지 12는 실시예 1 내지 6의 내식성을 나타내며, 도 13 내지 15는 비교예 1 내지 3의 내식성을 나타낸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연자성 합금은 각 조성에 따른 금속 분말을 1700℃에서 용해시킨 후, 워터?칭(water quenching) 기법을 이용하여 상온으로 식히고, 가스 아토마이저(gas atomizer)를 이용하여 구형 분말을 생성하였다. 그리고, 구형 분말을 350℃에서 열처리하여 플레이크(flake)로 가공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연자성 합금 플레이크의 포화자속밀도(T)는 VSM(Vibrating Sample Magnetometer) 장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비저항(μΩ·cm)은 포인트 프로브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리고, 내식성은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연자성 합금을 5wt%의 NaCl을 포함하는 염수로 48시간 동안 처리한 후, 부식의 정도를 관찰함으로써 측정하였다.
실험번호 조성(at.%) 포화자속밀도(T) 비저항(μΩ·cm) 내식성
실시예 1 Febal.Si7Cr3.5 1.86 80.7 통과
실시예 2 Febal.Si6.5Cr4 1.85 62.4 통과
실시예 3 Febal.Si6Cr8 1.71 70.5 통과
실시예 4 Febal.Si5Cr11 1.63 72.8 통과(우수)
실시예 5 Febal.Si3Cr14 1.51 70.2 통과(우수)
실시예 6 Febal.Si1Cr17 1.42 65.2 통과(우수)
실험번호 조성(at.%) 포화자속밀도(T) 비저항(μΩ·cm) 내식성
비교예 1 Febal.Si10Cr1.5 1.78 69.6 열위
비교예 2 Febal.Si0.5Cr2 1.91 22.8 열위
비교예 3 Febal.Si7Cr2.5 1.88 68.2 열위
비교예 4 Febal.Si0.5Cr18 1.31 60.2 통과
비교예 5 Febal.Si4Cr20 1.19 75.7 통과
표 1 내지 2 및 도 7 내지 15를 참조하면, Si가 1 내지 7at%로 포함되고, Cr이 3.5 내지 17at%로 포함되며, Si와 Cr가 10. 5 내지 18at%로 포함되는 실시예 1 내지 6의 연자성 합금은 포화자속밀도 및 비저항이 높고, 내식성이 좋으나, 이러한 수치 범위를 벗어나는 비교예 1 내지 5의 연자성 합금은 포화자속밀도, 비저항 및 내식성 중 적어도 하나가 양호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실시예 1 내지 6의 연자성 합금은 포화자속밀도가 1.4 내지 1.9T이고, 비저항이 60μΩ.cm 이상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4와 같이 Si가 5 내지 7at%로 포함되고, Cr이 3.5 내지 11at%로 포함되며, Si와 Cr이 10.5 내지 16at%로 포함되면, 포화자속밀도가 1.6T 이상인 연자성 합금을 얻을 수 있다. 포화자속밀도가 1.6T 이상이면, 박형의 차폐시트를 얻을 수 있으므로, 박형의 무선전력 송수신 장치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실시예 4 내지 6과 같이 Si가 1 내지 5at%로 포함되고, Cr이 11 내지 17at%로 포함되면, 내식성이 특히 우수한 연자성 합금을 얻을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연자성 코어 또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연자성 시트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자성 합금은 전자기장을 차폐하기 위한 다양한 시트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자성 합금은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안테나용 차폐시트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무선 충전 시스템
100: 전원
200: 무선 전력 송신 장치
300: 무선 전력 수신 장치

Claims (11)

  1. 하기 화학식의 조성을 가지는 연자성 합금:
    [화학식]
    Fe100-a-bSiaCrb
    여기서, a는 1 내지 7at%이고, b는 3.5 내지 17at%이며, a+b는 10.5 내지 18at%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a는 5 내지 7at%이고, b는 3.5 내지 11at%인 연자성 합금.
  3. 제1항에 있어서,
    a는 1 내지 5at%이고, b는 11 내지 17at%인 연자성 합금.
  4. 제1항에 있어서,
    포화자속밀도가 1.4 내지 1.9T이고, 비저항이 60μΩ.cm 이상인 연자성 합금.
  5. 제1항에 있어서,
    입경이 30 내지 120㎛이고, 두께가 0.3 내지 1.5㎛인 판상 분말을 포함하는 연자성 합금.
  6. 하기 화학식의 조성을 가지는 연자성 합금을 포함하는 안테나용 차폐시트:
    [화학식]
    Fe100-a-bSiaCrb
    여기서, a는 1 내지 7at%이고, b는 3.5 내지 17at%이며, a+b는 10.5 내지 18at%이다.
  7. 제6항에 있어서,
    포화자속밀도가 1.4 내지 1.9T이고, 비저항이 60μΩ.cm 이상인 안테나용 차폐시트.
  8. 제6항에 있어서,
    결합재를 더 포함하는 안테나용 차폐시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재 열가소성 수지, 열경화성 수지, 자외선 경화성 수지 및 방사선 경화성 수지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안테나용 차폐시트.
  10. 무선 충전 시스템의 무선 전력 송신 장치에 있어서,
    연자성 코어, 그리고
    상기 연자성 코어 상에 형성된 송신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연자성 코어는 하기 화학식의 조성을 가지는 연자성 합금을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화학식]
    Fe100-a-bSiaCrb
    여기서, a는 1 내지 7at%이고, b는 3.5 내지 17at%이며, a+b는 10.5 내지 18at%이다.
  11. 무선 충전 시스템의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 있어서,
    연자성 시트, 그리고
    상기 연자성 시트 상에 형성된 수신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연자성 시트는 하기 화학식의 조성을 가지는 연자성 합금을 포함하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
    [화학식]
    Fe100-a-bSiaCrb
    여기서, a는 1 내지 7at%이고, b는 3.5 내지 17at%이며, a+b는 10.5 내지 18at%이다.
KR1020140158271A 2014-11-13 2014-11-13 연자성 합금 및 이를 포함하는 안테나용 차폐시트 KR20160057246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8271A KR20160057246A (ko) 2014-11-13 2014-11-13 연자성 합금 및 이를 포함하는 안테나용 차폐시트
EP15194319.8A EP3021336B1 (en) 2014-11-13 2015-11-12 Soft magnetic alloy and shielding sheet for antenna comprising the same
CN201510780758.6A CN105609226A (zh) 2014-11-13 2015-11-13 软磁合金以及包含该软磁合金的用于天线的屏蔽片
US14/940,629 US20160138140A1 (en) 2014-11-13 2015-11-13 Soft magnetic alloy and shielding sheet for antenna compri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8271A KR20160057246A (ko) 2014-11-13 2014-11-13 연자성 합금 및 이를 포함하는 안테나용 차폐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7246A true KR20160057246A (ko) 2016-05-23

Family

ID=54542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8271A KR20160057246A (ko) 2014-11-13 2014-11-13 연자성 합금 및 이를 포함하는 안테나용 차폐시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60138140A1 (ko)
EP (1) EP3021336B1 (ko)
KR (1) KR20160057246A (ko)
CN (1) CN10560922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03642B (zh) * 2019-06-18 2021-11-09 阿莫先恩电子电器有限公司 磁场屏蔽片及其制造方法、无线电力接收模块及终端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7A (en) * 1837-07-29 Improvement in fire-arms
JP2003046321A (ja) * 2001-08-01 2003-02-14 Mitsubishi Materials Corp 磁芯部材及びそれを用いたrfid用タグ
JP4420235B2 (ja) * 2006-03-27 2010-02-24 Tdk株式会社 扁平状軟磁性金属粉末及びrfidのアンテナ用磁芯部材
KR101119446B1 (ko) * 2006-10-31 2012-03-15 소니 케미카루 앤드 인포메이션 디바이스 가부시키가이샤 적층형 연자성 시트의 제조 방법
JP2011018663A (ja) * 2009-07-07 2011-01-27 Daido Steel Co Ltd 扁平状軟磁性粉末および磁性体
JP5032711B1 (ja) * 2011-07-05 2012-09-26 太陽誘電株式会社 磁性材料およびそれを用いたコイル部品
JP5926011B2 (ja) * 2011-07-19 2016-05-25 太陽誘電株式会社 磁性材料およびそれを用いたコイル部品
CN102623122B (zh) * 2012-04-01 2014-10-15 电子科技大学 一种高微波磁导率Fe-Si-Al软磁材料的制备方法
KR20140081355A (ko) * 2012-12-21 2014-07-01 삼성전기주식회사 무선 충전 부품용 전자기 유도 모듈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4143286A (ja) * 2013-01-23 2014-08-07 Tdk Corp 軟磁性体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磁芯、並びに、コイル型電子部品
KR101489391B1 (ko) * 2013-03-04 2015-02-0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연자성 시트
CN104008844B (zh) * 2014-01-20 2017-05-10 横店集团东磁股份有限公司 一种软磁合金材料的制备加工方法
JP6442236B2 (ja) * 2014-11-10 2018-12-19 山陽特殊製鋼株式会社 軟磁性扁平粉末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138140A1 (en) 2016-05-19
CN105609226A (zh) 2016-05-25
EP3021336B1 (en) 2018-06-27
EP3021336A1 (en) 2016-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4596B1 (ko) 무선 충전용 자기장 차폐시트 및 이를 구비하는 안테나 모듈
EP3404793B1 (en) Wireless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US20200358192A1 (en) Magnetic isolator, method of making the same, and device containing the same
KR101399023B1 (ko) 무선 충전기용 자기장 차폐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무선충전기용 수신장치
KR20170028866A (ko) 자기공진방식 무선전력 전송용 자기장 차폐유닛, 이를 포함하는 무선전력 전송모듈 및 전자장치
KR20170040773A (ko) 다기능 복합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기기
CN111670518A (zh) 包括屏蔽层的天线模块和无线功率接收设备
KR20180129721A (ko) 무선전력 전송용 자기장 차폐유닛, 이를 포함하는 무선전력 전송모듈 및 휴대용 기기
KR101394508B1 (ko) 연자성 시트,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및 그의 무선 충전 방법
US20180359885A1 (en) Magnetic isolator, method of making the same, and device containing the same
EP2942793A1 (en) Soft magnetic alloy, wireless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and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EP3016203B1 (en) Receiving antenna and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comprising same
KR20160014423A (ko) 연자성 합금, 이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무선 전력 수신 장치
US10594141B2 (en) Soft magnetic alloy, wireless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and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20160057246A (ko) 연자성 합금 및 이를 포함하는 안테나용 차폐시트
KR20190058024A (ko) 차폐부재를 포함하는 안테나 모듈
Bae et al.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materials for the wireless power transfer module in mobile handset
CN108292549B (zh) 软磁合金
KR20160048747A (ko) 연자성 합금, 이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무선 전력 수신 장치
KR20180046243A (ko) 복합통신안테나용 플렉서블 전자파 흡수시트, 이를 포함하는 자기유도방식 무선충전용 수신모듈
KR101603562B1 (ko) 자기장 차폐 시트
KR20170038747A (ko) 무선전력 전송용 자기장 차폐유닛, 이를 포함하는 무선전력 전송모듈 및 휴대용 기기
KR20180052430A (ko) 자기장 차폐 소재 및 근거리 무선통신 안테나용 자기장 차폐 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