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7241A - 연안해역 실시간 이상현상 관측방법 - Google Patents

연안해역 실시간 이상현상 관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7241A
KR20160057241A KR1020140158265A KR20140158265A KR20160057241A KR 20160057241 A KR20160057241 A KR 20160057241A KR 1020140158265 A KR1020140158265 A KR 1020140158265A KR 20140158265 A KR20140158265 A KR 20140158265A KR 20160057241 A KR20160057241 A KR 201600572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coastal
land
sea level
s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8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0793B1 (ko
Inventor
임학수
박광순
심재설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401582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0793B1/ko
Publication of KR201600572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72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07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07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3/00Surveying specially adapted to open water, e.g. sea, lake, river or canal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8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the presence of persons in a body of water, e.g. a swimming pool; responsive to an abnormal condition of a body of wate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ome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연안해역 실시간 이상현상 관측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연안해역 실시간 이상현상 관측방법은, a) 해당 연안지역에 육상 기준점을 설정하되, 국가 기준점이 존재하는 경우에 국가 기준점을 육상 기준점으로 설정하고, 국가 기준점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소정의 위치에 육상 기준점을 설정한 후 설정된 육상 기준점에 대하여 정지측량과 수준측량을 실시하여 상기 육상 기준점의 위경도와 표고자료를 획득하고, 해당 연안지역 해상의 조석 관측자료로부터 평균 해수면자료를 획득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를 통하여 육상 기준점이 설정되면, 해당 육상 기준점에 육상레이저 측정기를 설치하고, 해당 연안지역의 해상에는 부유체를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하는 단계; 및 c) 상기 육상레이저 측정기로 상기 해당 연안지역의 해변과 해상을 동시에 실시간으로 측량하여, 해변의 지형자료로서 육상 지형의 위경도 및 육상 표고자료를 획득하고, 해상에 설치된 상기 부유체의 위경도 및 해발고도 또는 수위자료를 통하여 해수면의 변화자료를 실시간으로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육상레이저 측정기로 연안 및 연안의 해상에 설치된 부유체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육상 지형자료로부터 위경도 및 육상 표고자료와 해상에 설치된 부유체의 위경도와 해수면 수위자료를 실시간으로 획득할 수 있음으로써, 연안해역의 이상현상을 실시간으로 관측할 수 있고 이를 토대로 연안의 침식, 퇴적, 해안선 후퇴, 해빈변적 모니터링 또는 이상고파, 너울성 파랑, 아안류, 해일 등을 실시간으로 관측하여 연안의 재해재난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연안해역 실시간 이상현상 관측방법{Method of real-time monitoring for coastal anomalies}
본 발명은 연안해역 실시간 이상현상 관측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안해역의 이상현상(이상고파, 너울성파도, 이안류, 해일에 의한 침수범람 등)으로 인한 연안재해의 우려가 있는 연안지역에 육상레이저 측정기를 설치하고, 해상에는 측정용 부유체를 설치하여 육상레이저 측정기로 각 부유체의 위경도와 해수면 수위자료를 실시간으로 측량하여 연안해역의 이상현상을 관측할 수 있는 연안해역 실시간 이상현상 관측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국내외의 해변에서 이안류가 발생하여 해수욕을 하던 사람들이 이안류에 의해 해변에서 깊은 바다 쪽으로 떠내려가서 위험에 처해지는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특히, 인명사고 및 안전사고를 일으키는 이안류는 "돌발성" 이안류로서, 지속시간이 약 5분 이내에 급작스럽게 발생하는 이안류인 것이다. 따라서 먼바다에서 파도가 해안으로 내습할 때, 해안에서 먼바다 방향으로 발생하는 해류의 유속을 분석하여, 이안류의 발생여부를 판단 한 후, 필요한 경우에는 해안에 대해 대피 명령 등의 이안류 경보를 발할 필요가 있다.
전술한 이안류 뿐만 아니라, 해일이나 너울과 같은 침수범람을 예측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를 감안하여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191944호(공고일 : 2012.10.17)에는 이안류 경보발생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이안류 경보발생 방법은, 이안류의 발생을 모니터링하려는 대상지역에 대한 지형정보 및 가상의 해상조건 시나리오를 이용하여 대상지역에서 이안류가 발생하는 상태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해류의 유속을 산출하는 단계와, 시뮬레이션 결과로부터 도출된 해류의 유속정보를 기초로 하여 가상 해상조건 시나리오에 따라 대상지역에서 이안류가 발생하는 정도를 지수(index)로 정량화하여 이안류 발생지수를 산출하는 단계와, 가상 해상조건 시나리오를 변화시켜가면서 이안류 발생지수를 산출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단계와, 대상지역에서 실시간으로 측정되고 있는 해상조건을 파악하여, 현재 검측된 해상조건과 미리 산출하여 데이터베이스화 해둔 해상조건별 이안류 지수정보 간의 상관관계를 통해서 이안류 발생 경보 발생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이안류 경보발생 방법은, 가상의 해상조건 시나리오를 토대로 이안류의 발생을 판단하고 경보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연안의 지형변화와 연안해역에서 일어나는 실제 이상현상, 예를 들면, 이안류를 비롯한 이상고파, 너울성 파랑, 해일, 침수범람 등을 실시간으로 관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른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176901호(공고일 : 2012.10.05)에는 이안류 발생 예측, 경보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안류 발생 예측, 경보 장치는, 이안류 발생 예상 지역의 해수면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속도 측정용 부표와, 상기 이안류 발생 예상 지역으로 흐르는 지하수의 경로상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관측정과, 각각의 관측정 내부에 설치되어 지하수 수압을 실시간을 측정하여 전송하는 수압센서와, 상기 속도 측정용 부표와 상기 수압센서에서 관측되는 해수의 속도와 지하수의 수압을 실시간으로 전달받아 기록하는 검침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이안류 발생 예측, 경보 장치는, 수표와 관측정을 설치해야 함으로써 많은 비용이 발생되었고, 해일이나 너울성 파랑과 같은 이상현상을 예측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다른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153706호(공고일 : 2012.06.05)에는, 연안정밀 폭풍해일 예측 시스템과 연안정밀 폭풍 해일 예측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연안정밀 폭풍해일 예측 시스템과 연안정밀 폭풍 해일 예측 방법은, 태풍시기와 비태풍시기를 구분하여 기상입력자료를 생산하고 정밀하게 해일고를 산출하여 연안의 폭풍해일을 예측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나, 이 방법도 연안의 해일이나 이안류 및 너울성 파랑 등을 실시간으로 관측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른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0-138038호(공개일 : 2010.12.31)에는 침수범람 예측 및 재해도 작성을 위한 육도-해도 접합 정밀 지형도 제작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침수범람 예측 및 재해도 작성을 위한 육도-해도 접합 정밀 지형도 제작방법은, 고해상도와 수cm 정확도를 갖는 육도-해도 접합을 통한 정밀한 연안지역의 정보 취득을 위해서 육상용 3차원 레이저 스캐너를 통한 지형측량 및 다중빔음향측심기를 이용한 수심측량을 사리, 간조, 만조시 함께 실시하고, 또한 얻어진 측점들의 GRS80 타원체 기준 WGS84 좌표계의 실세계 수평좌표로의 매칭을 위해 실시간 위치측량기(Network- RTK)를 통한 정밀 좌표측량 및 조위보정을 위한 조위관측 및 목측을 실시하며, 수직좌표계는 인천평균해수면인 측지기준면을 기준으로 단일화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과정으로 얻은 측량 및 보정된 자료를 통해 연안지역 고정밀도 육도-해도 접합 지형도를 얻을 수 있고, 이를 토대로 수치표고모델(DEM : digital elevation model) 및 수치표면모델(DSM : digital surface
model)을 작성하고, 이렇게 얻어진 수치표면모델(DSM : digital surface model) 자료는 침수범람 예측모델의 입력자료 및 재해도 작성에 사용될 수 있었으나, 실시간 관측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고, 육상용 3차원 레이저 스캐너로 얻은 자료와 수심측량 자료 및 조위자료를 결합해야 하는 복잡한 과장을 거쳐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191944호(공고일 : 2012.10.17) .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176901호(공고일 : 2012.10.05) .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153706호(공고일 : 2012.06.05) .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0-138038호(공개일 : 2010.12.31)
본 발명의 목적은, 연안해역에서 발생되는 이상고파, 너울성파도, 이안류, 해일에 의한 침수범람 등과 같은 연안해역 이상현상과 연안의 침식, 퇴적 등과 같은 지형변화를 실시간으로 측량하여 연안해역의 이상현상을 모니터링하고 연안 재해재난을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a) 해당 연안지역에 육상 기준점을 설정하되, 국가 기준점이 존재하는 경우에 국가 기준점을 육상 기준점으로 설정하고, 국가 기준점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소정의 위치에 육상 기준점을 설정한 후 설정된 육상 기준점에 대하여 정지측량과 수준측량을 실시하여 상기 육상 기준점의 위경도와 표고자료를 획득하고, 해당 연안지역 해상의 조석관측 자료로부터 평균 해수면자료를 획득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를 통하여 육상 기준점이 설정되면, 해당 육상 기준점에 육상레이저 측정기를 설치하고, 해당 연안지역의 해상에는 부유체를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하는 단계; 및 c) 상기 육상레이저 측정기로 상기 해당 연안지역의 해변과 해상을 동시에 실시간으로 측량하여, 해변의 지형자료로서 육상 지형의 위경도 및 육상 표고자료를 획득하고, 해상에 설치된 상기 부유체의 위경도 및 해발고도 또는 수위자료를 통하여 해수면의 변화자료를 실시간으로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안해역 실시간 이상현상 관측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b) 단계는, 상기 해당 연안지역의 해안선에 해안선 변화 측량용 표시구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c) 단계는, 상기 육상레이저 측정기를 통하여 획득된 육상 지형의 위경도 및 육상 표고자료와, 상기 부유체의 위경도 및 해발고도 또는 수위자료를 이미지로 출력하거나, 수치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c) 단계는, 상기 육상레이저 측정기로 해변과 해상의 부유체를 동시에 실시간으로 측량하여 얻어진 해변의 지형자료와 해수면의 변화자료를 기 저장된 육상의 지형 자료 및 평균 해수면자료와 비교하여 상기 해당 연안지역의 지형변화와 해수면의 이상 변화를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c) 단계는, 상기 해당 연안지역의 지형 변화를 감지하여 해안선 변화값을 데이터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c) 단계는, 상기 해수면의 이상변화를 해수면 이상 변화값으로 출력하고, 해수면 이상 변화값이 기 저장된 해수면 이상 변화값보다 크면 경보 시스템을 작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안해역 실시간 이상현상 관측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안해역 실시간 이상현상 관측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안해역 실시간 이상현상 관측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해운대의 건물 옥상에 육상 기준점을 설정하고 육상 레이저 측량기를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이미지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안해역 실시간 이상현상 관측방법을 수행하기에 앞서 육상 레이저 측량기가 설치될 육상 기준점을 설정하고, 육상 기준점의 정지측량을 측량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이미지이다.
도 5 및 도 6은 국가 기준점이 없는 경우를 가정하여 해당 연안지역의 소정위치를 육지 기준점으로 설정하고 육지 기준점의 정지측량을 수행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이미지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연안해역 실시간 이상현상 관측방법에 따라 부산 해운대의 해변 및 해상을 육상레이저 측정기로 측량한 결과를 표현한 이미지이다.
도 8은 도 7과 동일한 측량 결과를 하늘에서 지상으로 바라본 이미지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안해역 실시간 이상현상 관측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안해역 실시간 이상현상 관측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안해역 실시간 이상현상 관측방법은 육상레이저 측정기(10)를 이용하여 육상의 변화와 해상의 해수면 변화를 동시에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해변 및 해수면의 이상변화를 실시간으로 동시에 모니터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측정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연안의 재해재난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연안해역 실시간 이상현상 관측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a) 단계
해당 연안지역에 육상 기준점(P)을 설정하되, 국가 기준점이 존재하는 경우에 국가 기준점을 육상 기준점(P)으로 설정하고, 국가 기준점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소정의 위치에 육상 기준점(P1,P2)을 설정한 후 설정된 육상 기준점(P1,P2)에 대하여 정지측량과 수준측량을 실시하여 육상 기준점(P1,P2)의 위경도와 표고자료를 획득하고, 해당 연안지역 해상의 조석 관측자료로부터 평균 해수면자료를 획득한다. (S1)
국가 기준점은 이미 이에 대한 위치정보가 있는 지점이나, 이를 육상 기준점(P)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국가 기준점을 활용한 육상 기준점(P)의 정지측량을 실시한다.
또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국가 기준점이 없거나 활용하기 곤란한 경우에는 소정의 위치를 육상 기준점(P1,P2)로 설정하고, 이 육상 기준점(P1,P2)에 대하여 GPS로 정지측량과 함께 RTK-GPS 나 Network-GPS로 수준측량(표고측량)을 실시하여 위경도와 표고자료를 획득한다.
이러한 육상 기준점(P,P1,P2)은 육상레이저 측정기(10)가 설치되기 위한 것으로, 육상레이저 측정기(10)가 육상 기준점(P)에 설치됨으로써, 지형의 측량시 그 기준이 될 수 있다.
이 단계는, 후술할 c) 단계에서 획득되는 자료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자료로서 활용하기 위한 것이다. 즉, 연안 관측시 해변이나 해수면의 이상변화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자료를 획득하는 단계이다.
이와 같이 설정된 각 육상 기준점(P,P1,P2)에 대하여 정지측량과 수준측량을 실시하여 각 육상 기준점(P,P1,P2)의 위경도 좌표와 표고값을 얻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지피에스가 구비된 육상레이저 측정기(10)가 사용될 수도 있고, 전술한 바와 같은 별도의 위치측량기를 통하여 지피에스(GPS) 측량을 실시하여 각 육상 기준점(P,P1,P2)의 위경도 좌표와 표고값을 얻을 수도 있다.
그리고, 해당 연안지역 해상의 평균 해수면자료는, 인천중등조위면(IMSL)을 이용한다. 이때, 인천중등조위면을 기준으로 해당 연안의 조석 관측자료를 이용하거나 조위를 직접 관측한 후 이를 평균 해수면자료로 사용할 수도 있다.
b) 단계
전술한 과정으로 육상 기준점(P,P1,P2)가 설정되면, 해당 연안지역에 육상레이저 측정기(10)를 설치하고, 해당 연안지역의 해상에는 부유체(20)를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한다.(S2)
육상레이저 측정기(10)는, 각 육상 기준점(P,P1,P2) 중에서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한 육상 기준점(P)에 설치한다. 이는 육상레이저 측정기(10)가 높은 곳에 위치하여야만 해변과 해상의 부유체를 한꺼번에 동시에 측량할 수 있기 때문이다. 만약, 낮은 지역에 설치되는 경우에 해변 전체가 측량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러한 육상레이저 측정기(10)(LiDAR : Light Detection And Ranging - RIEGL VZ-4000)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대상물(육상이나 해상의 부유체)을 3차원으로 스캔하도록 된 것으로, 최대 4km 이내의 지형을 1cm 이하의 정밀도로 높은 지대에서 정지상태로 지형을 측량할 수 있고, 이를 모니터로 출력가능하며, 데이터 출력도 가능하다. 즉, 이러한 육상용 레이저측량기(10)는 발사된 다량의 레이저 파가 해변에 반사되어 돌아온 반사파의 시간을 측정하여 측량지점으로부터 대상 해변의 상대적인 거리와 높이 값을 구하고, 이를 3차원 영상으로 얻도록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육상레이저 측정기(10)는 실시간으로 육상과 해수면에 설치된 부유체(20)의 위치정보(지형의 위경도 및 표고자료, 부유체의 위경도 및 해발고도 또는 수위자료 등)을 동시에 측정하고, 측정된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는 것이다.
해상에 설치되는 부유체(20)는, 해저면의 중량물과 로프로 연결되며, 로프의 길이는 부유체(20)가 전후, 좌우 그리고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충분한 길이를 갖는다. 예를들면, 수심보다 2 - 3배 정도 더 긴 길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부유체(20)는, 전술한 육상레이저 측정기(10)로부터 방사되는 레이저를 용이하게 반사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반사도료가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육상레이저 측정기(10)는 해변과 해수면을 동시에 측정할 수 있도록 전술한 바와 같이 높은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유체(20)는 일렬로 배치될 수도 있고, 지그재그로 배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부유체(20)의 수는 연안의 크기에 비례한 수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변(해안선)의 변화를 보다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해변에 다수개의 해안선 변화 측량용 표시구(30)를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해안선 변화 측량용 표시구(30)를 육상레이저 측정기(10)가 측량함으로써, 해안선의 변화를 보다 명확하게 관측할 수 있고, 이를 이미지나 데이터(숫자)로 출력할 수 있을 것이다.
c) 단계
전술한 과정으로 육상레이저 측정기(10)가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한 육상 기준점(P)에 설치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상레이저 측정기(10)로 해당 연안지역의 해변과 해상을 동시에 실시간으로 측량하여, 해변의 지형자료로서 육상 지형의 위경도 및 육상 표고자료를 획득하고, 해상에 설치된 부유체(20)의 위경도 및 해발고도 또는 수위자료를 통하여 해수면의 변화자료를 실시간으로 획득한다.(S3)
즉, 육상 레이저 측량기(10)는, 해당 연안의 해변 및 해상에 설치된 부유체(20)에 동시에 레이저를 방사하고, 해변과 부유체에 반사되어 돌아온 반사파의 시간을 측정하여 측량지점으로부터 대상 해변의 상대적인 거리와 높이 값 및 부유체(20)의 위치(위경도 및 해발고도 또는 수위자료)값을 구하고, 이를 3차원 영상으로 얻는 것이다. 이때, 해안선 변화 측량용 표시구(30)의 위경도 및 표고자료를 측량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육상 레이저 측량기(10)가 해변과 해상의 부유체(20)를 동시에 실시간으로 측량하므로, 해당 연안의 해변과 해수면의 이상 변화를 실시간으로 동시에 관측이 가능하게 된다.
육상 레이저 측량기(10)가 측량한 자료가 도 7 및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육상 레이저 측량기(10)는 측량 결과를 사진과 같은 이미지 데이터로 출력하거나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수치 데이터로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데이터를 토대로 해안선의 변화 및 해수면의 변화를 동시에 실시간으로 관측할 수 있게 된다.
d) 단계
전술한 c) 단계에서 얻어진 해변의 지형자료와 해수면의 변화자료를 기 저장된 육상의 지형자료와 해당 해역의 평균해수면자료를 비교하여 해당 연안지역의 지형 변화와 해수면의 이상 변화를 감지한다.(S4)
즉, 전술한 a) 단계에서 얻어진 육상 기준점(P)의 위경도 및 표고자료와. 해당 연안지역 해상의 평균해수면자료를 토대로, c) 단계에서 얻어진 획득한 해당 연안 지형의 위경도 및 육상 표고자료와, 해상에 설치된 부유체(20)의 위경도 및 해발고도 또는 수위자료를 이미지 데이터 또는 수치 데이터로 비교 판단하여 해변의 침식과 같은 변화 및 해수면의 이상현상, 예를 들면 연안 이상현상에 기인한 해수면 변화(상승 또는 하강), 이상고파, 너울성 파랑, 이안류, 해일 등 연안재해를 유발하는 해상상태를 판단하는 것이다.
이때, 지형 변화를 감지하여 해안선 변화값을 데이터로 출력할 수도 있고, 해수면의 이상변화를 해수면 이상 변화값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해수면 이상 변화값이 기 저장된 해수면 이상 변화값보다 크면 경보 시스템을 작동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해당 연안의 해상에 다수개의 부유체(20)를 설치한 후, 육상의 측정점 또는 기준점에서 육상레이저 측정기(10)로 해변에 대한 위치 데이터와 해상의 각 부유체(20)에 대한 위치 데이터를 동시에 실시간으로 측량할 수 있음으로써, 신속하고 용이하게 연안의 이상현상을 파악할 수 있고, 이를 토대로 연안의 재난재해를 미리 파악하여 경고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게 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육상레이저 측정기 20 : 부유체
30 : 해안선 변화 측량용 표시구
P, P1,P2 : 육상 기준점

Claims (6)

  1. a) 해당 연안지역에 육상 기준점을 설정하되, 국가 기준점이 존재하는 경우에 국가 기준점을 육상 기준점으로 설정하고, 국가 기준점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소정의 위치에 육상 기준점을 설정한 후 설정된 육상 기준점에 대하여 정지측량과 수준측량을 실시하여 상기 육상 기준점의 위경도와 표고자료를 획득하고, 해당 연안지역 해상의 조석 관측자료로부터 평균 해수면자료를 획득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를 통하여 육상 기준점이 설정되면, 해당 육상 기준점에 육상레이저 측정기를 설치하고, 해당 연안지역의 해상에는 부유체를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하는 단계; 및
    c) 상기 육상레이저 측정기로 상기 해당 연안지역의 해변과 해상을 동시에 실시간으로 측량하여, 해변의 지형자료로서 육상 지형의 위경도 및 육상 표고자료를 획득하고, 해상에 설치된 상기 부유체의 위경도 및 해발고도 또는 수위자료를 통하여 해수면의 변화자료를 실시간으로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안해역 실시간 이상현상 관측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해당 연안지역의 해안선에 해안선 변화 측량용 표시구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안해역 실시간 이상현상 관측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육상레이저 측정기를 통하여 획득된 육상 지형의 위경도 및 육상 표고자료와, 상기 부유체의 위경도 및 해발고도 또는 수위자료를 이미지로 출력하거나, 수치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안해역 실시간 이상현상 관측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육상레이저 측정기로 해변과 해상의 부유체를 동시에 실시간으로 측량하여 얻어진 해변의 지형자료와 해수면의 변화자료를 기 저장된 육상의 지형 자료및 평균해수면자료와 비교하여 상기 해당 연안지역의 지형 변화와 해수면의 이상 변화를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안해역 실시간 이상현상 관측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해당 연안지역의 지형 변화를 감지하여 해안선 변화값을 데이터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안해역 실시간 이상현상 관측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해수면의 이상변화를 해수면 이상 변화값으로 출력하고, 해수면 이상 변화값이 기 저장된 해수면 이상 변화값보다 크면 경보 시스템을 작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안해역 실시간 이상현상 관측방법.
KR1020140158265A 2014-11-13 2014-11-13 연안해역 실시간 이상현상 관측방법 KR1016407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8265A KR101640793B1 (ko) 2014-11-13 2014-11-13 연안해역 실시간 이상현상 관측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8265A KR101640793B1 (ko) 2014-11-13 2014-11-13 연안해역 실시간 이상현상 관측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7241A true KR20160057241A (ko) 2016-05-23
KR101640793B1 KR101640793B1 (ko) 2016-07-20

Family

ID=56104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8265A KR101640793B1 (ko) 2014-11-13 2014-11-13 연안해역 실시간 이상현상 관측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079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40005A (zh) * 2022-10-27 2022-12-06 安徽瞭望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雷达布控技术的水域监测预警系统
CN117351647A (zh) * 2023-12-06 2024-01-05 阳光学院 潮汐式水环境监测报警装置及监测报警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76972A1 (ja) * 2003-02-27 2004-09-10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水位計測システム
KR20100050684A (ko) * 2008-11-06 2010-05-14 한국해양연구원 연안지역의 해도와 육도의 접합 정밀 지형도 제작방법
KR20100138038A (ko) 2009-06-24 2010-12-31 한국해양연구원 침수범람 예측 및 재해도 작성을 위한 육도-해도 접합 정밀 지형도 제작방법
KR101153706B1 (ko) 2009-10-23 2012-06-05 한국해양연구원 연안정밀 폭풍해일 예측 시스템과 연안정밀 폭풍 해일 예측 방법
KR101176901B1 (ko) 2010-12-20 2012-10-05 주식회사 도화엔지니어링 이안류 발생 예측, 경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안류 발생 억제 장치
KR101191944B1 (ko) 2012-03-27 2012-10-17 대한민국(국토해양부 국립해양조사원장) 이안류 경보 발생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76972A1 (ja) * 2003-02-27 2004-09-10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水位計測システム
KR20100050684A (ko) * 2008-11-06 2010-05-14 한국해양연구원 연안지역의 해도와 육도의 접합 정밀 지형도 제작방법
KR20100138038A (ko) 2009-06-24 2010-12-31 한국해양연구원 침수범람 예측 및 재해도 작성을 위한 육도-해도 접합 정밀 지형도 제작방법
KR101153706B1 (ko) 2009-10-23 2012-06-05 한국해양연구원 연안정밀 폭풍해일 예측 시스템과 연안정밀 폭풍 해일 예측 방법
KR101176901B1 (ko) 2010-12-20 2012-10-05 주식회사 도화엔지니어링 이안류 발생 예측, 경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안류 발생 억제 장치
KR101191944B1 (ko) 2012-03-27 2012-10-17 대한민국(국토해양부 국립해양조사원장) 이안류 경보 발생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40005A (zh) * 2022-10-27 2022-12-06 安徽瞭望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雷达布控技术的水域监测预警系统
CN117351647A (zh) * 2023-12-06 2024-01-05 阳光学院 潮汐式水环境监测报警装置及监测报警方法
CN117351647B (zh) * 2023-12-06 2024-02-06 阳光学院 潮汐式水环境监测报警装置及监测报警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0793B1 (ko) 2016-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8197B1 (ko) 연안 이상현상 경보 발생방법
Didier et al. Multihazard simulation for coastal flood mapping: Bathtub versus numerical modelling in an open estuary, Eastern Canada
De Vries et al. Remote sensing of surf zone waves using stereo imaging
KR101559488B1 (ko) 연안지역 정밀 지형도 제작방법
Stockdon et al. National assessment of hurricane-induced coastal erosion hazards--Gulf of Mexico
CN103538708B (zh) 船舶吃水自动测量系统及自动测量方法
Pender et al. Use of computer models of flood inundation to facilitate communication in flood risk management
JP6179911B1 (ja) 変状度判定方法及び変状度判定システム
CN106023530A (zh) 一种暴雨型稀性泥石流监测预报预警装置及方法
KR20160117766A (ko) 실시간 해양정보 분석을 통한 해양재난의 예측 및 관리 시스템
Cabezas-Rabadán et al. Satellite derived shorelines at an exposed meso-tidal beach
Liu et al. A state of the art review on high water mark (HWM) determination
KR101640793B1 (ko) 연안해역 실시간 이상현상 관측방법
Kim et al. Verification of rip current simulation using a two-dimensional predictive model, HAECUM
Song et al. Observation and forecasting of rip current generation in Haeundae Beach, Korea Plan and Experiment
Grünthal et al. Monitoring of coastal processes by using airborne laser scanning data
Huizinga Bathymetric and velocimetric surveys at highway bridges crossing the Missouri River near Kansas City, Missouri, June 2–4, 2015
JP2006209712A (ja) 津波検知装置
Panagou et al. Shallow Water Bathymetry Derived from Green Wavelength Terrestrial Laser Scanner
CN109360449A (zh) 一种轮船偏航激光检测方法
KR101019555B1 (ko) 연안지역 육도-해도 접합 지형도 제작방법
Goseberg et al. Highly-resolved numerical modeling of tsunami run-up and inundation scenario in the city of Padang, West Sumatra
Klemm et al. Nautical Chart Adequacy Evaluation Using Publicly-Available Data
Archetti et al. Coastal vulnerability assessment through complementary monitoring technologies: The case of riccione
Florio et al. UAV close-range photogrammetry for breakwater damage assessment in a Tyrrhenian coastal si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