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8038A - 침수범람 예측 및 재해도 작성을 위한 육도-해도 접합 정밀 지형도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침수범람 예측 및 재해도 작성을 위한 육도-해도 접합 정밀 지형도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8038A
KR20100138038A KR1020090056378A KR20090056378A KR20100138038A KR 20100138038 A KR20100138038 A KR 20100138038A KR 1020090056378 A KR1020090056378 A KR 1020090056378A KR 20090056378 A KR20090056378 A KR 20090056378A KR 20100138038 A KR20100138038 A KR 201001380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l
tide
depth
imsl
coa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6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재설
김진아
임학수
김선정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해양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0563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38038A/ko
Publication of KR201001380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80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05Geographic mod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02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sectiona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12Relief m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Geometr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Measurement Of Velocity Or Position Using Acoustic Or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침수범람 예측 및 재해도 작성을 위한 육도-해도 접합 정밀 지형도 제작방법이 개시된다. 본 침수범람 예측 및 재해도 작성을 위한 육도-해도 접합 정밀 지형도 제작방법은 고해상도와 수cm 정확도를 갖는 육도-해도 접합을 통한 정밀한 연안지역의 정보 취득을 위해서 육상용 3차원 레이저 스캐너를 통한 지형측량 및 다중빔음향측심기를 이용한 수심측량을 사리 간조, 만조시 함께 실시하였고, 또한 얻어진 측점들의 GRS80 타원체 기준 WGS84 좌표계의 실세계 수평좌표로의 매칭을 위해 실시간 위치측량기(Network- RTK)를 통한 정밀 좌표측량 및 조위보정을 위한 조위관측 및 목측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수직좌표계는 인천평균해수면인 측지기준면을 기준으로 단일화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으로 얻은 측량 및 보정된 자료를 통해 연안지역 고정밀도 육도-해도 접합 지형도를 얻을 수 있다. 이를 토대로 수치표고모델(DEM : digital elevation model) 및 수치표면모델(DSM : digital surface model)을 작성하고, 이렇게 얻어진 수치표면모델(DSM : digital surface model) 자료는 침수범람 예측모델의 입력자료 및 재해도 작성에 사용된다.
연안지역, 육도,해도, 접합, 정밀, 침수범람, 재해도.

Description

침수범람 예측 및 재해도 작성을 위한 육도-해도 접합 정밀 지형도 제작방법{Method of fine-grid coastal mapping for the inundation model and hazard map}
본 발명은 침수범람 예측 및 재해도 작성을 위한 육도-해도 접합 정밀 지형도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육상용 3차원 레이저 스캐너와 실시간 위치측량기를 이용하여 해변 지형의 실세계 좌표값을 얻고, 다중빔음향측심기와 파고조위계 및 실시간 위치측량기 등을 이용하여 연안의 수심 좌표값을 얻어 지형의 좌표값과 수심의 좌표값을 결합시킴으로써 육도와 해도가 접합된 정밀 지형도를 얻을 수 있고, 이러한 정밀 지형도를 이용하여 연안지역의 침수범람 예측 및 재해도 작성을 가능케하는 육도-해도 접합 정밀 지형도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세계적으로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로 인하여 해수면 상승 및 고 파랑 내습, 폭풍해일 등에 의한 침수범람으로 인한 재해가 일어나고 있고, 이로 인한 인명 및 재산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연안에서의 자연재해 저감을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연안침식이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해수욕장의 경우 매년 많은 양의 모래가 유실되고 있고, 유실된 모래를 매년 보 충하고 있으나, 이러한 백사장의 침식은 매년 되풀이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연안지역에서 발생되는 자연재해 저감 및 모니터링을 위해서는 폭풍.해일에 대한 정확한 침수범람등을 정확하게 예측하여 이를 대비하여야 하고, 이를 위해서 침수범람 예측 및 재해도 작성이 필요하며, 정확한 침수범람 예측 및 재해도 작성을 위해서는 연안지역의 지형 및 수심에 대한 정보가 필요한 것이다.
그러나, 연안지역은 일반적으로 파랑 및 조석이 미치는 해륙의 경계지대라는 특성으로 기존의 지형도나 수치지도에서는 지형 또는 수심 정보를 취득하기가 어렵다. 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정확한 침수범람 예측이나 재해도 작성을 위해서는 정확하고 정밀한 연안정보 취득이 필수적이며, 이는 침수범람 예측모델의 입력자료 및 재해도의 기본지도로 이용되는 것이다.
재해도의 경우는 해일에 의한 연안지역의 침수피해를 줄이기 위한 재난지도로, 해안 저지대의 침수지역 및 안전지대를 구분하여 적어도 1m 간격의 등고선을 나타낸 상세한 지형자료가 요구된다. 그러나 기존의 지형도는 1:25000 또는 1:50000 축척이 대부분이고, 1:5000 또는 1:1000 축척의 지형도는 대도시 위주로 작업이 진행되고 있어 해안지역 침수예상도를 만드는데 어려움이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소방방재청이나 해양수산부 검토안을 보면 해안침수예상도는 1:5000 축척으로 제작되며 침수예상 지역을 나타내는 침수심은 0.5m단위로 표현하도록 하고 있어서, 이러한 정확도를 만족하면서 보다 신속하고 저비용으로 고정밀도 지형자료를 취득하는 방안이 절실하다.
또한, 수치지도의 경우는 주로 항해를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어 연안근처에서 의 수심정보가 불충분하여 침수범람 예측모델의 입력자료로는 부족함이 있다. 해안선 조사측량은 현재 해안선의 정확한 위치를 확정하고 향후 지형의 국지적 침식퇴적현상이 나타나는지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 하고 있으나, 이는 해안 인근에 몇몇 기준점을 설치하고 그 기준점으로부터 해안선까지의 거리와 주변지형을 측정한다. 따라서 이들 자료로는 연안지역에 연속적인 지형 및 수심 자료의 취득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와 같이 지금까지는 침수범람 예측 및 재해도를 작성하기 위한 연안지역의 정확하고 정밀한 육도-해도 접합된 지형 정보를 얻기 어려웠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연안지역에서의 침수범람 등을 예측하여 침수와 같은 재해에 대비할 수 있도록 침수범람 예측 및 재해도를 작성하기 위한 연안지역의 정밀 지형도를 작성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육도-해도 접합 정밀 지형도를 바탕으로 제작된 침수범람 예측 및 재해도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은,
a) 측량 대상지역인 해변 지형의 좌표 정보를 얻기 위하여 육상용 3차원 레이저 스캐너를 이용하여 해변의 지형을 스캐닝하되 적어도 한 측점 이상의 측점을 스캐닝하여 각 측점에 대한 상대적인 3차원 좌표값을 얻고, 이와 동시에 실시간 위치측량기로 실시간 위치측량을 실시하여 각 측점에 대한 실세계 좌표값을 얻되 수평좌표는 GRS80 타원체 기준의 WGS84 좌표계, 수직좌표는 인천중등조위면(IMSL) 기준으로 표고값을 산정하여 각 측점에 대한 실세계 좌표값을 얻는 단계;
b) 상기 실시간 위치측량기를 통해 얻는 각 측점에 대한 실세계 좌표값을 이용하여 상기 3차원 레이저 측정기로 얻은 각 측점에 대한 상대적인 좌표값을 실세계 좌표값으로 변환하여 해변 지형의 좌표값을 얻는 단계;
c) 다중빔음향측심기를 이용하여 측량 대상지역인 해변에 접한 연안의 수심을 적어도 한 측점 이상을 측량하되, 광역 보정지피에스(WA-DGPS)를 이용하여 실세 계 수평 위치정보 및 상대적 수심값을 얻는 단계;
d) 상기 c) 단계에서 얻은 수심값의 조위보정을 위하여 연안에 파고조위측정수단을 설치하여 조위를 측정하되, 상기 a) 단계에서 수직좌표의 기준점으로 이용한 인천중등조위면(IMSL)을 기준점으로 실시간 위치측량기로 실시간 위치측량을 실시하여 인천중등조위면(IMSL)을 기준으로 한 파고조위측정수단의 높이 및 이를 기준으로 변환된 파고값을 얻는 단계;
e) 상기 c) 단계에서 얻은 수심값을 상기 d) 단계에서 얻은 인천중등조위면(IMSL) 기준 파고값으로 조위보정을 수행하여 수심의 좌표값을 얻는 단계; 및
f) 상기 b) 단계에서 얻은 해변 지형의 좌표값과 상기 e) 단계에서 얻은 연안의 수심의 좌표값을 결합하여 육도와 해도의 접합 정밀 지형도를 얻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수범람 예측 및 재해도 작성을 위한 육도-해도 접합 정밀 지형도 제작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파고조위측량수단은 파고조위계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표척으로 이루어지는 목측관측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심의 경우 1㎡ 당 5point의 해상도 및 해변 정보의 경우 LiDAR 특성에 따라 방사형으로 5cm-5m의 해상도를 가지며 1-2cm이내의 수평정확도 및 3-5cm의 수직정확도를 갖는 고해상도, 고정밀도의 육도-해도 접합 정밀 지형도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또한 이를 통해 수치표고자료(DEM: Digital Elevation Model) 및 수치표면모델(DSM: Digital Surface Model) 을 작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수치표고자료(DEM: Digital Elevation Model) 및 수치표면모델(DSM: Digital Surface Model) 작성을 통하여 폭풍.해일로 인한 침수.범람 예측모델의 입력자료로 활용되고, 침수.범람 예측결과와 육도-해도 접합 정밀 지형도를 이용하여 재해도를 작성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연안의 주기적 정밀측량 및 육도-해도 정밀 접합자료의 프로파일 분석을 통한 높이차 계산, 특정 영역별 체적계산을 통해 그 변화량을 정밀하게 산출할 수 있어서 연안의 침.퇴적 분석을 통한 연안 모니터링에도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 예에 따라 제작될 연안지역은 충청남도 태안에 위치한 만리포 해변으로, 해변의 길이가 약 1.8km, 폭 약 300m로 완만한 경사를 이루고 있다.
먼저, 측량 대상지역인 만리포 해변 지형의 좌표 정보를 얻기 위하여 육상용 3차원 레이저 스캐너(육상 LiDAR-Terrestrial Light Detection Ranging)를 이용하여 해변의 지형을 스캐닝하되 적어도 한 측점 이상의 측점을 스캐닝하여 각 측점에 대한 상대적인 3차원 좌표값을 얻는다. 이와 동시에 실시간 위치측량기로 실시간 위치측량을 실시하여 각 측점에 대한 실세계 좌표값을 얻되 수평좌표는 GRS80 타원체 기준의 WGS84 좌표계, 수직좌표는 인천중등조위면(IMSL : Incheon Mean Sea Level) 기준으로 표고값을 산정하여 각 측점에 대한 실세계 좌표값을 얻는다.(a)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육상용 3차원 레이저 스캐너는 3차원 스캐너로 대상 물체를 매우 조밀하게 조사해 내려가는 스캐닝 방법으로, 최근에는 지형정보 취득수단으로 활발히 활용되고 있다. 육상용 3차원 레이저 스캐너에서 얻어지는 측점은 X,Y,Z의 3차원 좌표로, 1회 스캔으로 수백, 수천만개의 측점군을 얻을 수 있다. 육상용 3차원 레이저 스캐너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Riegl사의 LMS-Z420i이다. LMS-Z420i는 장거리용 고해상도 3차원 레이저 스캐너로 최대 1km이내 지형을 1cm 이하의 오차로 지형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육상용 3차원 레이저 스캐너로 측량 대상 지역인 만리포 해변 측량을 위해서, 특히 많은 연안지형정보의 획득을 위해서 조위차가 큰 사리의 저조 시간에 물이 빠진 백사장에 육상용 3차원 레이저 스캐너와 실시간 위치측량기(Network-RTK 또는 RTK-GPS)를 차량에 장착한 후 백사장으로 들어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 25m 간격으로 이동.정지. 스캐닝을 반복하면서 총 20회 스캐닝을 1시간 이내에 실시하였다.
이때, 실제 좌표변환을 위해 각 측량 지점마다 실시간 위치측량기를 통한 지피에스(GPS) 측량을 동시에 실시한다. 이를 통해 취득한 만리포 해변의 지형정보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측점군으로 나타난다. 취득한 측점군은 사람 및 갈매기 등의 불필요한 측점 제거 작업과 실세계 좌표로의 투영을 위한 후처리 작업을 실시하였다. 취득된 측점의 3차원 좌표는 육상용 3차원 레이저 스캐너 내부 기준점과 수평 및 수직 축에 의해 결정되는 육상용 3차원 레이저 스캐너 중심의 상대좌표이 며, 실시간 위치측량기를 통한 광역 보정지피에스(DGPS) 및 지상 기준점을 이용하여 실제 좌표계로 변환하였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육상용 3차원 레이저 스캐너를 통해 얻어진 상대적인 좌표를 실제 좌표로 변환하기 위해서 측량 지점마다 실시간 위치측량기를 통한 좌표측량을 함께 실시한다. 본 실시 예에서 사용된 실시간 위치측량기(Network-RTK)를 이용한 실시간 위치측량은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제공하는 가상 기준점측량 서비스이다. 원리는 이동국(관측점) 주변에 가상의 기준점을 설정하고 실시간으로 관측오차 보정요소(전리층, 대류권 및 위성궤도 오차 등)를 제거한 데이터를 이둥국에 전송함으로써 측위정도나 초기화 시간이 기준국간 거리에 좌우되지 않는 실시간 위치측량 지피에스 시스템이다. 수평위치정확도는 ±10m정도이며, cm급 수평위치 정확도를 얻기 위해서는 지피에스가 내장된 핸드폰 외에 가상기준점측량 방식이 지원되는 지피에스 측량기가 필요하다. 본 실시 예에서는 Huace X90 GPS 측량기를 이용하여 실시간 위치측량기(Network-RTK)를 통한 좌표측량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실시간 위치측량기를 육상용 3차원 레이저 스캐너의 위에 설치하고, 핸드폰으로 국도리정보원의 실시간 위치측량 서비스에 연결하여 블루투스 통신으로 연결된 PDA 및 GPS 수신기와 통신을 통해 정보를 주고 받는다.
이때, 수평좌표는 GRS80 타원체 기준의 WGS84 좌표계로 사용하였으며, 1-2cm의 수평오차를 보였다. 수직좌표를 위한 기준점으로는 국토지리정보원의 수준점으로 표고, 즉 전국을 단일 기준으로 통일시킨 인천항 평균해면( 인천중등조위면-IMSL)인 측지기준면을 사용하였다.
또한, 육상용 3차원 레이저 스캐너 자료의 정확도를 검증하기 위해 실시간 위치측량 보정위성항법장치(RTK-DGPS) 측량을 만리포 초소 앞에 설치된 동판을 기준국으로 하여 만리포 백사장 여러 곳을 다니며 이동국으로 지피에스 측량하여 좌표변환된 육상용 3차원 레이저 스캐너 자료와의 정확도를 비교하였다.
실시간 위치측량기(RTK-GPS)의 성능 검증을 위해 국토지리정보원의 서산 수준점 2곳 및 국립해양조사원의 안흥, 천리포 수준점 측량을 사전에 실시하였다.
이어서, 이러한 과정으로 상기 실시간 위치측량기를 통해 얻는 각 측점에 대한 실세계 좌표값을 이용하여 상기 3차원 레이저 측정기로 얻은 각 측점에 대한 상대적인 좌표값을 실세계 좌표값으로 변환하여 해변 지형의 좌표값을 얻는다.(b)
예를들면, 레이저 스캐너를 원점으로 (2.5, 3.5, 10)이라는 상대 좌표를 (126.123 , 36.45 , 5.5meter)의 WGS84좌표계 및 IMSL 기준 표고로 실세계 좌표로 변환된다.
이어서, 다중빔음향측심기(MBES : Multibeam Echo Sounder)를 이용하여 측량 대상지역인 만리포 해변에 접한 연안의 수심을 적어도 한 측점 이상을 측량하되, 광역 보정지피에스(WA-DGPS)를 이용하여 실세계 수평 위치정보 및 상대적 수심값을 얻는다. (c)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음향측심의 원리는 해면에서 짧은 시간 지속하는 음파를 음원에서 발사하면 음파가 해저에 반사된 후 수신되는 시간을 측정하여 해저와 음원간의 거리를 측정 하는 것이다. 최근 정밀수심측량에 이용되는 다중빔음향탐사시스템은 단시간에 대용량 고정밀의 수심정보를 취득할 수 있는 과학적 수로측량기술이다. 이러한 다중빔음향측심기는 연속적으로 운동하는 해면 혹은 수중에서 음파를 이용하여 수심과 후방산란자료 등을 계측하는 고정밀 수심측량장비로써 Gyro, Motion Sensor, Sonar head, GPS 등 다양한 부가장치들과 통합 운영된다. 이러한 다중빔음향측심기는 Reson사의 Seadat9001 MBES를 사용하였다. 이 장치는 455kHz의 주파수로 최대 1140m의 수심측량이 가능한 장비다. 해상도는 5cm 이내로 한번 주사되는 빔의 수는 1.5°에 60개 빔으로 90° 범위를 측량할 수 있다. 3차원 레이저 측정기 자료와의 접합을 위해 동일한 측량일, 즉 조위차가 큰 사리 때 가능한 많은 연안정보를 취득하기 위해 만조시간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사선박에 다중빔음향측심기 및 Gyro Compass, Sound velocity and pressure sensor, Motion Sensor, WA-DPGS를 함께 설치하여 연안 안쪽부터 측량하여 실세계 수평 위치정보 및 상대적 수심값을 얻었다.
이때, 수심측량자료는 실시간 조위변화량, 해수유동에 의한 유도 HEAVE, 파고값 등을 적용하여 보정하였다. 측선간격은 수심변화에 따라 10-20m로 하였고, 인접한 측량지역과는 10% 정도의 중복되는 부분을 갖도록 측량하였으며, 조사 시일은 2-3일 소요되었다.
한편, 상기 c) 단계에서 얻은 수심값의 조위보정을 위하여 연안에 파고조위측정수단을 설치하여 조위를 측정하되, 상기 a) 단계에서 수직좌표의 기준점으로 이용한 인천중등조위면(IMSL)을 기준점으로 실시간 위치측량기로 실시간 위치측량 을 실시하여 인천중등조위면(IMSL)을 기준으로 한 파고조위측정수단의 높이 및 파고값을 얻는다.(d)
즉, 전술한 과정으로 취득한 수심자료는 조사시점의 조위자료로 조위보정이 필요하다. 본 실시 예에서는 만리포에 직접 파고조위측량수단의 하나로서 파고 조위계를 설치하여 조사 시점의 조위보정자료로 활용하였다. 이때, 파고조위측량수단은 표척관측으로 대신할 수 있으나 침수범람 예측 및 재해도 작성을 위해 만리포의 MSL 산정을 위해 파고조위계 설치 및 관측을 통한 조위보정을 수행하였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수심자료의 조위보정을 위해서 만리포에 파고조위계를 설치하여 수심측량시 조위를 관측하였다. 또한, 육상용 3차원 레이저 스캐너 자료와의 접합을 위해 수직좌표계를 통일해야 하므로, 조위계의 상대적 조위를 측지기준면을 기준으로 환산하기 위해 수심측량시 10분간격 16시간에 걸친 표척관측 및 실시간 위치측량기로 측량을 동시에 실시하여 표척높이를 기록하고, 이를 측지기준면으로 환산하여 조위보정자료로 사용하였다.
이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얻은 수심값을 상기 d) 단계에서 얻은 인천중등조위면(IMSL) 기준 파고값으로 조위보정을 수행하여 수심의 좌표값을 얻는다. (e)
예를들면, 수심측량시 수심 10미터를 인천중등조위면(IMSL) 기준으로 조위보정을 하게 되면 육상을 +표고로 봤을 때 -9.2미터가 된다.
이러한 과정으로 연안의 수심 좌표값이 얻어지면 상기 b) 단계에서 얻은 해변 지형의 좌표값과 상기 e) 단계에서 얻은 연안의 수심의 좌표값을 결합하여 육도 와 해도의 접합 정밀 지형도를 얻는다. (f)
즉, 해변 지형의 좌표값과 연안의 수심 좌표값을 결합(각각의 좌표값을 필요 프로그램에서 불러들일 수 있도록 하나의 데이터로 만드는 작업)하여, 지리정보시스템 (GIS :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인 ArcGIS Desktop v9.3에서 결합된 데이터를 불러들이면, 육도와 해도가 오차없이 접합된 정밀한 지형도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5는 지에스아이를 통한 연안지역의 지형도이고, 도 6은 지아이에스(GIS :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를 통해 얻은 수치표면모델(DSM : digital surface model)이다.
이와 같이 정밀한 연안지역의 지형도를 얻을 수 있는 것은 해변의 지형자료 및 수심자료의 좌표 보정시 동일한 기준의 WGS84 수평좌표계 및 수직좌표계 즉, 인천평균해면인 측지기준면(인천중등조위면 : IMSL)을 기준으로 환산함으로써 가능한 것이다.
한편, 해안선(연안지역)의 충분한 정보 획특 및 접합자료의 검증을 위하여 육상용 3차원 레이저 스캐너 및 다중빔음향측심기 측량을 사리간조 및 만조에 함께 수행하여 해변자료와 연안자료(수심)의 접합시 해안선 주위의 겹치는 부분의 X,Y,Z 좌표를 비교하여 0.5-2cm 이내의 수직좌표 정확도를 확인하였다.
이상에서와 같이 고해상도와 수cm 정확도를 갖는 육도-해도 접합을 통한 정밀한 연안지역의 정보 취득을 위해서 육상용 3차원 레이저 스캐너를 통한 지형측량 및 다중빔음향측심기를 이용한 수심측량을 사리 간조, 만조시 함께 실시하였고, 또한 얻어진 측점들의 좌표들을 GRS80 타원체 기준 WGS84 좌표계로의 변환을 위해 Network- RTK를 통한 정밀 좌표측량 및 조위보정을 위한 조석관측 및 목측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수직좌표계는 인천평균해수면인 측지기준면을 기준으로 단일화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으로 얻은 측량 및 보정된 자료를 통해 연안지역 고정밀도 육도-해도 접합 수치표고모델(DEM : digital elevation model) 및 수치표면모델(DSM : digital surface model)을 작성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수치표면모델(DSM : digital surface model) 자료는 침수범람 예측모델의 입력자료 및 재해도 작성에 사용된다.
침수범람 예측 모델의 지형자료로 본 발명에 따른 육도-해도 접합 정밀 지형자료와 기상 및 해양환경 자료, 태풍 정보들을 통해 침수범람 예측결과가 생성되면, 이를 본 발명에 따른 육도-해도 접합 정밀 지형도 상의 표고값과 비교하여, 침수범람된 해일고의 값이 더 높은 경우 그 값의 범위에 따라 컬러맵을 사용하여 침수되는 지역 및 침수고에 따라 매핑된 재해도를 작성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및 변형한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당연하다.
도 1은 차량의 지붕에 탑재한 육상용 3차원 레이저 스캐너 및 실시간 위치측량기의 사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이 해변을 측량하는 모습의 사진.
도 3은 육상용 3차원 레이저 스캐너 및 실시간 위치측량기에 의해 얻어진 만리포 해변의 지형정보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다중빔음향측심기와 각종 센서가 부착된 모습의 사진.
도 5는 연안지역 정밀측량을 통한 육도-해도가 접합된 상태를 도시한 지형도.
도 6은 육도-해도 접합 수치표면모델을 도시한 도면.

Claims (2)

  1. a) 측량 대상지역인 해변 지형의 좌표 정보를 얻기 위하여 육상용 3차원 레이저 스캐너를 이용하여 해변의 지형을 스캐닝하되 적어도 한 측점 이상의 측점을 스캐닝하여 각 측점에 대한 상대적인 3차원 좌표값을 얻고, 이와 동시에 실시간 위치측량기로 실시간 위치측량을 실시하여 각 측점에 대한 실세계 좌표값을 얻되 수평좌표는 GRS80 타원체 기준의 WGS84 좌표계, 수직좌표는 인천중등조위면(IMSL) 기준으로 표고값을 산정하여 각 측점에 대한 실세계 좌표값을 얻는 단계;
    b) 상기 실시간 위치측량기를 통해 얻는 각 측점에 대한 실세계 좌표값을 이용하여 상기 3차원 레이저 측정기로 얻은 각 측점에 대한 상대적인 좌표값을 실세계 좌표값으로 변환하여 해변 지형의 좌표값을 얻는 단계;
    c) 다중빔음향측심기를 이용하여 측량 대상지역인 해변에 접한 연안의 수심을 적어도 한 측점 이상을 측량하되, 광역 보정지피에스(WA-DGPS)를 이용하여 실세계 수평 위치정보 및 상대적 수심값을 얻는 단계;
    d) 상기 c) 단계에서 얻은 수심값의 조위보정을 위하여 연안에 파고조위측정수단을 설치하여 조위를 측정하되, 상기 a) 단계에서 수직좌표의 기준점으로 이용한 인천중등조위면(IMSL)을 기준점으로 실시간 위치측량기로 실시간 위치측량을 실시하여 인천중등조위면(IMSL)을 기준으로 한 파고조위측정수단의 높이 및 이를 기준으로 변환된 파고값을 얻는 단계;
    e) 상기 c) 단계에서 얻은 수심값을 상기 d) 단계에서 얻은 인천중등조위면(IMSL) 기준 파고값으로 조위보정을 수행하여 수심의 좌표값을 얻는 단계; 및
    f) 상기 b) 단계에서 얻은 해변 지형의 좌표값과 상기 e) 단계에서 얻은 연안의 수심의 좌표값을 결합하여 육도와 해도의 접합 정밀 지형도를 얻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수범람 예측 및 재해도 작성을 위한 육도-해도 접합 정밀 지형도 제작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파고조위측량수단은 파고조위계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표척으로 이루어지는 목측관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수범람 예측 및 재해도 작성을 위한 육도-해도 접합 정밀 지형도 제작방법.
KR1020090056378A 2009-06-24 2009-06-24 침수범람 예측 및 재해도 작성을 위한 육도-해도 접합 정밀 지형도 제작방법 KR201001380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6378A KR20100138038A (ko) 2009-06-24 2009-06-24 침수범람 예측 및 재해도 작성을 위한 육도-해도 접합 정밀 지형도 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6378A KR20100138038A (ko) 2009-06-24 2009-06-24 침수범람 예측 및 재해도 작성을 위한 육도-해도 접합 정밀 지형도 제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8038A true KR20100138038A (ko) 2010-12-31

Family

ID=43511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6378A KR20100138038A (ko) 2009-06-24 2009-06-24 침수범람 예측 및 재해도 작성을 위한 육도-해도 접합 정밀 지형도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3803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7241A (ko) 2014-11-13 2016-05-23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연안해역 실시간 이상현상 관측방법
KR20160076211A (ko) 2014-12-22 2016-06-30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연안 이상현상 경보 발생방법
KR20160117766A (ko) 2015-03-31 2016-10-11 대한민국(국민안전처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실시간 해양정보 분석을 통한 해양재난의 예측 및 관리 시스템
CN110929956A (zh) * 2019-12-06 2020-03-27 中国水利水电科学研究院 一种基于机器学习的洪水预报方案实时优选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7241A (ko) 2014-11-13 2016-05-23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연안해역 실시간 이상현상 관측방법
KR20160076211A (ko) 2014-12-22 2016-06-30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연안 이상현상 경보 발생방법
KR20160117766A (ko) 2015-03-31 2016-10-11 대한민국(국민안전처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실시간 해양정보 분석을 통한 해양재난의 예측 및 관리 시스템
CN110929956A (zh) * 2019-12-06 2020-03-27 中国水利水电科学研究院 一种基于机器学习的洪水预报方案实时优选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8624B1 (ko) 연안지역의 해도와 육도의 접합 정밀 지형도 제작방법
KR100898617B1 (ko) LiDAR 측량값 및 MBES 측량값의 불규칙삼각망(TIN) 보간 성과 검증을 통한 육상부와 수심부가 함께 공존하는 지역의 수치표고모델을 구축하는 방법
KR101559488B1 (ko) 연안지역 정밀 지형도 제작방법
CN108413926B (zh) 用于海上风电场群桩桩基水下地形高程高精度测量的方法
KR100898618B1 (ko) 기준점 표석 매설을 통하여 육상부와 수심부가 함께 공존하는 지역의 수치표고모델을 구축하는 방법
Ceylan et al. An analysis of bathymetric changes in Altinapa reservoir
KR100898616B1 (ko) 육상부와 수심부가 함께 공존하는 지역의 수치표고모델을 구축하는 방법
KR20100138038A (ko) 침수범람 예측 및 재해도 작성을 위한 육도-해도 접합 정밀 지형도 제작방법
KR101019555B1 (ko) 연안지역 육도-해도 접합 지형도 제작방법
Gibeaut et al. Increasing the accuracy and resolution of coastal bathymetric surveys
Song et al. Preliminary 3D assessment of coastal erosion by data integration between airborne LiDAR and DGPS field observations
CN115290055A (zh) 基于无人机和无人船的海岸带sbt-dem构建方法
Shin et al. A study on airborne LiDAR calibration and operation techniques for bathymetric survey
Vecchi Impact of Geomatic Techniques on Topo-Bathymetric Surveys for Coastal Analysis
D'Urso et al.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to the Coastal Protection of Two Archaeological Sites in Lybia
Eakins et al. Digital elevation model of Nantucket, Massachusetts: Procedures, data sources and analysis
WEBSTER et al. Airborne laser altimetry for predictive modeling of coastal storm-surge flooding
Kim et al. Coastline Change Measurement Using Shipborne Mobile LiDAR in Anmok Beach, Gangneung, Korea
Salleh et al. Power spectral density analysis of ocean wave by using GPS buoy
Dietsch et al. Hydrographic Survey of Chaktomuk, the Confluence of the Mekong, Tonlé Sap, and Bassac Rivers near Phnom Penh, Cambodia, 2012
Kim et al. Bathymetric Survey for Seabed Topography using Multibeam Echo Sounder in Wando, Korea
Oladosu et al. Seamless Topo-Bathymetric Surveys of Maiyegun Estate Waterfront Lagos State, Nigeria
Berber et al. Hydrographic survey of a south Florida canal using a hydrolite
CN117516636B (zh) 一种海岸堤坝安全监测预警方法及系统
Lee Estimation of reservoir storage capacity using multibeam sonar and terrestrial lidar, Randy Poynter Lake, Rockdale County, Georgia, 2012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