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6931A - 14면체 나무블록 - Google Patents

14면체 나무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6931A
KR20160056931A KR1020167009880A KR20167009880A KR20160056931A KR 20160056931 A KR20160056931 A KR 20160056931A KR 1020167009880 A KR1020167009880 A KR 1020167009880A KR 20167009880 A KR20167009880 A KR 20167009880A KR 20160056931 A KR20160056931 A KR 201600569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group
main body
unit main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98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44696B1 (ko
Inventor
헝 장
Original Assignee
헝 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978899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60056931(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헝 장 filed Critical 헝 장
Publication of KR20160056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69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4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46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 A63H33/08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with ho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7/00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 A63H17/002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made of parts to be assembl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16Dolls made of parts that can be put togeth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44Building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 A63H33/08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with groov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 A63H33/08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with primary projections fitting by friction in complementary spaces between secondary projections, e.g. side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oys (AREA)
  • Revetment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14면체 나무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의 유닛본체(1)를 포함하고, 복수의 유닛본체(1)의 구조, 모양 및 크기는 모두 동일하다. 유닛본체(1)는 6개의 정사각형면(8) 및 8개의 정육각형면(9)을 가진 14면체이다. 6개의 정사각형면(8)은 평균 3개의 그룹으로 나누어지고 동일 그룹의 두 정사각형면(8)은 서로 평행된다. 8개의 정육각형면(9)은 평균 4개의 그룹으로 나누어지고 동일 그룹의 두 정육각형면(9)은 서로 평행된다. 두 개 이상의 유닛본체(1)가 서로 삽입연결 및/ 또는 고정 연결하여 하나의 그룹을 구성한다. 각 유닛본체(1)에 적어도 하나의 정사각형면(8)에 포스트(3)가 설치되어 있고, 포스트(3)와 동일 축선에 위치한 다른 정사각형면(8)에 삽입홈(2)이 설치되어 있어 임의의 두 개 또는 두 그룹의 유닛본체(1)의 포스트(3)와 삽입홈(2)은 서로 매칭된다. 동일 그룹의 두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유닛본체(1)가 서로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부품은 결합체이다.

Description

14면체 나무블록{TETRADECAHEDRAL BUILDING BLOCK}
본 발명은 조립 가능한 나무블록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14면체 나무블록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나무블록은 여러 모형(예를 들면 빌딩, 로봇 등)을 조립하기 위하여 반드시 크기 및 모양이 다른 유닛부품을 제작해야 한다. 이에 따른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다. 1、종래의 유닛부품으로는 하부가 넓고 상부가 좁은 모형 (예를 들면 피라미드)만 쌓을 수 있다. 그러므로 종래의 블록을 이용하여 조립할 수 있는 모형의 종류가 너무 적어 어린이의 창의력을 발휘하는데 국한되어 있다. 2 、종래의 유닛부품만으로 조립된 모형은 약간 기울거나 흔들리면 무너지기 때문에 그 안정성이 떨어져 어린이들로 하여금 좌절과 실패를 쉽게 느껴 블록 놀이에 흥미를 잃게 된다. 또한, 다양한 모양의 부품을 제조하는데 가공원가가 높고 쌓는 방법이 너무 복잡하여 배우기 어려우므로 흥미성이 약하게 된다. 또한, 다양한 모양의 부품 사이에는 특정한 삽입방법이 있어 일부 부품으로는 효과적으로 결합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 문제점으로 인해 어린이의 창의적 사고방식을 개발하는데 제한이 되며, 어린이의 지능 개발 및 3차원 공간감의 형성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발명은 입자형 유닛부품만으로 구성할 수 있는 14면체 나무블록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임의의 두 유닛부품으로 서로 조립 및 고정할 수 있어 조립방식이 간단하고 배우기 쉬우므로 어린이의 흥미 및 창조 욕망을 효과적으로 격발할 수 있다. 복수의 동일한 유닛부품으로 다양한 형상의 3차원 모형을 조립할 수 있으며, 상부가 크고 하부가 작은 모형이나 비대칭 모형을 막론하고 모두 튼튼하고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어 어린이들이 모형을 조립하는 과정에서 성취감과 흥미를 느끼게 함으로써 어린이의 공간감과 창의력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14면체 나무불록은 복수의 유닛본체를 포함하되, 복수의 유닛본체의 구조, 형상 및 체적이 모두 동일하고, 유닛본체는 6개의 정사각형면과 8개의 정육각형면을 가진 14면체이며, 6개의 정사각형면은 3개 그룹으로 나누어지되, 동일 그룹의 두 정사각형면은 평행되고, 8개의 정육각형면은 4개 그룹으로 나누어지되, 동일 그룹의 두 정육각형면은 평행되며, 두 개 이상의 유닛본체가 서로 삽입결합 또는/ 및 고정 연결되어 하나의 그룹을 구성하며, 각 유닛본체에 적어도 하나의 정사각형면에 포스트가 설치되며, 포스트와 동일 축선에 위치한 다른 정사각형면에 삽입홈이 설치되어 있으며, 임의의 두 유닛본체의 포스트와 삽입홈은 서로 매칭되며, 또는 임의의 두 그룹의 유닛본체의 포스트와 삽입홈이 서로 매칭되며; 동일 그룹의 두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유닛본체가 연결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부품이 결합체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4개 이상의 유닛본체를 하나의 그룹으로 연결하고, 4개 유닛본체마다 상호 연결된 중심부위에는 하나의 위치고정홈이 둘러싸고, 위치고정홈의 중부는 하나의 사각홀이며, 사각홀은 유닛본체의 임의의 정사각형면과 매칭되어, 14면체 나무블록이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연신된다. 한 그룹의 유닛본체와 하나 또는 한 그룹의 유닛본체는 제 3 그룹 또는 제 3 유닛본체를 통해 로킹 매치되며; 제 1 그룹 또는 제 1 유닛본체는 제 2 그룹 유닛본체의 위치고정홈과 매칭되고, 제1 그룹 유닛본체의 포스트 방향은 제 2 그룹 유닛본체의 포스트 방향과 수직 또는 평행되며, 제 3 그룹 또는 제 3 유닛본체와 제 2 그룹 유닛본체는 포스트와 삽입홈을 통해 삽입 매칭되어, 제 2 그룹 유닛본체와 제 3 그룹 또는 제 3 유닛본체는 각각 제 1 그룹 또는 제 1 유닛본체와 매칭되도록 하여, 제 1 그룹 또는 제 1 유닛본체가 로킹된다. 제 4 그룹 또는 제 4 유닛본체는 포스트와 삽입홈을 통해 삽입 매칭되고, 제 4 그룹 또는 제 4 유닛본체와 제 3 그룹 또는 제 3 유닛본체는 각각 제 1 그룹 유닛본체의 양측에 위치하며, 제 3 그룹 또는 제 3 유닛본체, 제 4 그룹 또는 제 4 유닛본체와 제 2 그룹 유닛본체는 공동으로 제 1 그룹 또는 제 1 유닛본체와 매칭되어, 제 1 그룹 또는 제 1 유닛본체를 로킹시킨다. 제 1 그룹 유닛본체와 제 2 그룹 유닛본체는 모두 6개의 유닛본체로 구성된 더블6결합체이고, 제 3 그룹 유닛본체는 두 개의 유닛본체로 구성된 싱글2결합체이며, 제 1 그룹 유닛본체 중의 두 유닛본체는 제 2 그룹 유닛본체의 두 위치고정홈과 매칭되고, 제 3 그룹 유닛본체는 제 2 그룹 유닛본체와 삽입 매치되며, 제 2 그룹 유닛본체와 제 3 그룹 유닛본체는 제 1 그룹 유닛본체를 로킹시키며, 제 1 그룹 유닛본체의 포스트 방향과 제 2 그룹 유닛본체의 포스트 방향은 수직된다. 유닛본체의 동일 그룹의 정사각형면 사이의 거리는 Hl이고, Hl=8mm, 16mm、24mm 또는 32mm이다. 상기 유닛본체에는 제 2 포스트가 설치되어 있고, 제 2 포스트가 구성된 정사각형면과 포스트가 구성된 정사각형면은 수직된다. 상기 삽입홈은 외부가 넓고 내부가 좁은 점차적으로 수축되는 홀이다. 상기 포스트는 각기둥, 뿔대와 원기둥으로 연결되어 구성되되, 각기둥은 정사각형면과 수직 연결되고, 각기둥은 뿔대를 통해 원기둥과 연결되며, 각기둥 변의 길이는 원기둥의 직경보다 크며; 뿔대의 외주에 작은 입자의 더블4결합체가 장착되고, 작은 입자 더블4결합체는 4개의 작은 유닛본체가 2행 2열로 연결되어 구성되며; 작은 유닛본체의 형상 구조는 유닛본체와 동일하고, 치수는 유닛본체의 1/2이며; 4개의 작은 유닛본체로 둘러싼 사각홀은 뿔대와 매치되고, 원기둥의 직경은 작은 유닛본체 포스트의 직경과 동일하다. 상기 유닛본체의 일 측에 연결축이 설치되고, 연결축의 축선은 포스트의 축선과 수직되며, 연결축의 일측에 볼이 설치되고, 볼에 삽입홀이 설치되어 있으며, 삽입홀과 삽입홈은 동일 측에 위치하며, 연결축의 축선은 각각 볼과 유닛본체의 중심을 거치며, 연결축, 볼과 유닛본체가 연결되어 카들러축이 구성되고, 볼의 직경은 유닛본체의 내접원 직경보다 작거나 같다. 상기 카들러축에 적어도 두 개의 볼과 유닛본체가 있으며, 인접된 두 볼 사이는 연결축으로 연결되고, 인접된 두 유닛본체 사이는 대응되는 정사각형면을 통해 연결되며, 동일 카들러축의 볼과 유닛본체의 중심은 동일 직선에 있으며; 카들러축에 적어도 두 개의 결합체가 장착되고, 적어도 두 개의 결합체가 연결 고정되어 조립체를 구성하며, 두 결합체 사이에 구성된 사각홀은 두 볼 사이의 연결축과 매칭되며, 조립체는 카들러축을 축으로 회전하며, 동시에 카들러축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지 않는다. 제3더블4결합체와 다른 결합체의 로킹 연결하는 단계는 아래와 같다. 먼저 제3더블4결합체의 위치고정홈은 다른 결합체의 한 유닛본체와 매칭되고; 제2싱글2결합체와 제3싱글2결합체는 각각 포스트와 삽입홈을 통해 제3더블4결합체와 매칭 연결되며, 제2싱글2결합체와 제3싱글2결합체는 제2결합체의 양측에 나란히 배열되고, 제2싱글2결합체, 제3싱글2결합체와 제3더블4결합로 제2결합체를 끼이며; 마지막으로 제2싱글2결합체와 제3싱글2결합체에 제1싱글2결합체를 장착하고, 제1싱글2결합체는 각각 제2싱글2결합체와 제3싱글2결합체의 동측의 유닛본체와 삽입 결합된다.
본 발명은 단일한 유닛 부품만으로도 각종 형상의 모형을 조립할 수 있으며, 또한 각 유닛 부품 사이에 삽입 결합방식으로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교차식 끼워맞추기, 서로 맞물려 로킹 할 수 있어 비대칭 모형 및 상부가 크고 하부가 작은 모형을 더욱 튼튼하고 쉽게 무너지지 않게 한다. 본 발명은 모형을 동시에 서로 수직인 2개 방향으로 연신시킬 수 있어 나무블록으로 구성된 모형이 다양화하며, 또한 로킹 구조는 모형 각 부품 사이가 더욱 튼튼하게 하여 모형이 이동 또는 조립하는 과정에서 쉽게 무너지지 않도록 한다. 또한 이의 유닛에 제 2 포스트를 추가 설치할 수 있다. 제 2 포스트는 유닛 부품의 연결 방향을 증가할 수 있어, 조립방법이 더욱 다양하며 조립된 모형의 형상 변화가 풍부하며 튼튼하게 한다. 또한 유닛본체에 오목홈과 삽입블록을 더 설치하여 유닛본체 사이에 경사지게 조립하도록 함으로써 투각의 3차원 모형을 조립할 수 있어 더욱 흥미롭다. 또한 3세 이하 어린이 상대로 설계한 결합체 부품은 어린이들이 보다 일찍 개인의 공간감과 창조력을 개발하게 하여 그 설계가 더 인간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심플하고 치밀한 구조, 저렴한 제조 원가 및 삽입 결합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14면체 나무블록의 제 1 실시예의 구조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저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14면체 나무블록의 제 2 실시예의 구조도이다.
도 6은 도 5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저면도이다.
도 8은 도 5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14면체 나무블록의 제 2 실시예의 구조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저면도이다.
도 11은 도 9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9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싱글4결합체의 구조도이다.
도 14는 4개의 유닛으로 연결 구성된 2행 2열의 더블4결합체에 대한 구조도이다.
도 15는 6개의 유닛으로 연결 구성된 2행 3열의 더블6결합체에 대한 구조도이다.
도 16은 두 더블4결합체와 하나의 싱글4결합체를 조립한 도면이며, 도면에서 위치고정홈의 형상을 잘 나타내기 위하여 위치고정홈을 점선으로 도시하였다.
도 17은 하나의 더블4결합체와 하나의 싱글3결합체를 조립한 도면이다. 도중에서 두 결합체의 메인 삽입헤드의 방향이 서로 반대되며 메인 삽입헤드는 사각홀과 연결 매칭된다.
도 18은 도 17의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분해도이다.
도 20은 두 더블6결합체, 하나의 싱글3결합체와 하나의 싱글2결합체를 조립 구성한 모형이다.
도 21은 도 20의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21의 분해도이다.
도 23은 도 21의 또 다른 각도에 대한 분해도이다.
도 24는 상기 카들러축(17)에 대한 구조도이다.
도 25는 도 24의 저면도이다.
도 26은 도 24의 사시도이다.
도 27은 상기 카들러축(17)과 두 싱글7결합체가 매칭된 구조도이며, 두 싱글7결합체는 포스트와 삽입홈을 통해 조립체로 삽입 연결되고, 두 싱글7결합체 사이에 구성된 사각홀은 카들러축(17)의 연결축(14)과 매칭된다.
도 28은 도 27의 사시도이다.
도 29는 도 27의 또 다른 각도의 사시도이다.
도 30은 다른 종류의 유닛본체에 대한 구조도이며, 도중의 포스트는 각기둥 (18), 뿔대(19)와 원기둥(20)으로 연결 구성된다.
도 31은 도 30에 도시된 유닛본체가 작은 입자 더블4결합체(21)과 매칭된 구조도이다.
도 32는 도 31의 분해도이다.
도 33은 로킹 연결 방법의 구조도이다.
도 34는 도 33의 분해도이다.
도 35는 두 싱글7결합체가 중부의 삽입홈과 포스트를 통해 삽입 매칭후 구성된 위치고정축 장치이다.
도 36은 도 35의 사시도이다.
도 37은 도 35의 다른 각도의 사시도이다.
도 38은 탱크로 조립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39는 건물로 조립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40은 매로 조립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41은 도마뱀으로 조립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42는 뱀으로 조립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43은 트랙터로 조립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44는 청화자기병으로 조립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45는 오토바이로 조립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46은 로봇으로 조립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47은 해적선으로 조립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48은 자전거로 조립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49는 헬리콥터로 조립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50은 풍차로 조립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51은 페리스 휠로 조립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52는 권총으로 조립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14면체 나무블록은 복수의 유닛본체(1)를 포함한다. 유닛본체(1)는 일반적으로 두 개 또는 두 개 이상이다. 복수의 유닛본체(1)의 구조, 형상 및 체적은 모두 동일하다. 유닛본체(1)는 6개의 정사각형면(8)과 8개의 정육각형면(9)를 가진 14면체이다. 6개의 정사각형면(8)은 평균 3개 그룹으로 나누어지고, 동일 그룹의 두 정사각형면(8)은 평행된다. 8개의 정육각형면(9)는 평균 4개 그룹으로 나누어지고, 동일 그룹의 두 정육각형면(9)는 평행된다. 두 개 이상의 유닛본체(1)는 서로 삽입연결 또는/와 고정 연결되어 하나의 그룹으로 이루어진다. 각 유닛본체(1)에 적어도 하나의 정사각형면(8)에 포스트(3)가 설치되어, 포스트(3)의 동일 축선에 위치한 다른 정사각형면(8)에 삽입홈(2)이 설치되어 있다. 포스트(3)와 삽입홈(2)의 축선은 하나의 선이며, 또한 포스트(3)의 축선은 그가 소재한 정사각형면(8)과 수직된다. 임의의 두 유닛본체(1)의 포스트(3)는 삽입홈(2)과 매칭되고, 또는 임의의 두 그룹의 유닛본체(1)의 포스트(3)는 삽입홈(2)과 매칭된다. 복수의 유닛본체(1)는 포스트(3)와 삽입홈(2)를 통해 순차적으로 처음과 끝이 연결되어 막대형 부품을 구성한다. 유닛본체(1)의 수량에 의해 막대형 부품의 길이가 결정된다. 복수의 막대형 부품은 동일 층에서 평행 배열 가능하고, 다른 층에서 수직 배열하는 방식으로 각종 3차원 모형으로 조립 가능하며, 또한 다른 층 사이에 인접된 부품은 서로 맞물려 로킹 되어 3차원 모형을 더욱 튼튼하고 안정하게 한다. 어린이가 탈착하기에 편리하면서도 포스트(3)과 삽입홈(2)의 삽입 결합을 튼튼하게 하기 위하여 삽입홈(2)은 사각홀 또는 원형 홀이며, 포스트(3)는 원기둥형 삽입헤드일 수 있고, 또는 사각기둥형 삽입헤드일 수 있다. 사각홀의 삽입홈(2)이 원기둥형의 포스트와 삽입 결합 또는 원형 홀의 삽입홈(2)이 사각기둥형 포스트와 삽입 결합할 경우, 삽입 결합 효과가 더욱 좋으며, 삽입 결합이 튼튼할 뿐만 아니라 어린이가 탈착하기 어려울 정도로 너무 꽉 연결하지 않는다. 동일 그룹의 두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유닛본체(1)는 정사각형면(8) 또는 정육각형면을 통해 연결 고정되어 구성된 부품은 결합체이다. 결합체의 모든 유닛본체(1)의 삽입홈(2)은 방향이 동일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유닛본체(1)가 연결되어 싱글4결합체를 구성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상기 유닛본체(1)가 연결되어 2행 2열의 결합체를 구성한다. 인접된 두 유닛본체(1)는 정사각형면(8)을 통해 연결된다. 용이하게 삽입 및 조립하기 위하여 모든 유닛본체(1)의 포스트(3)와 삽입홈(2)의 방향은 동일하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된 4개 유닛본체(1) 사이에 하나의 위치고정홈(6)이 둘러싸며, 위치고정홈(6)의 중심은 하나의 사각홀(10)이다. 조립할 때 사각홀(10)은 연결 부품의 포스트(3)에 배치 공간을 제공하며, 따라서 조립된 모형이 보다 컴팩트하도록 한다. 포스트(3)와 사각홀(10)이 매칭됨으로 두 그룹의 유닛본체(1)를 일체로 연결 고정시킬수 있다. 결합체가 크기 때문에 어린 아가들이 입에 넣어 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짧은 시간내에 조립할 수 있고 조립 사고 방식도 또렷하여 3-8세 어린이가 사용하기에 더욱 적합하다.
위치고정홈(6)은 하나의 정사각형면과 4개의 정육각형면(9)으로 둘러싼 홈이고, 위치고정홈(6)은 유닛본체(1)의 외형과 완벽하게 매칭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더블4결합체(11)와 제2더블4결합체(12)의 두 위치고정홈(6)은 상하로 매칭되어 유닛본체(1)의 외형과 똑같은 경을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싱글4결합체(13)의 유닛본체(1)가 맞물려 로킹됨으로써 싱글4결합체(13)가 제1더블4결합체(11) 및 제2더블4결합체(12)와 삽입 결합되도록 하고, 제1더블4결합체(11)와 제2더블4결합체(12)는 함께 튼튼하게 일체로 로킹될 수 있으므로 탈착하는 효율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위치고정홈(6)의 입체형상을 보다 더 상세히 보기 위하여 도 16에 점선으로 위치고정홈(6)의 윤곽을 도시하였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6개의 유닛본체(1)가 연결되어 2행3열의 결합체가 구성되고, 연결된 두 유닛본체(1)는 정사각형면(8)을 통해 연결되고, 모든 유닛본체(1)의 포스트(3)와 삽입홈(2)의 방향은 동일하며; 인접된 4개의 유닛본체(1) 사이에 하나의 위치고정홈(6)이 둘러싸여 있고, 위치고정홈(6)의 중심은 하나의 사각홀(10)이다.
4개 이상의 유닛본체(1)가 하나의 그룹으로 연결된다. 그 중, 4개의 유닛본체 (1)마다 서로 연결된 중심 부위에 하나의 위치고정홈(6)이 둘러싸여 있고, 위치고정홈(6)의 중부는 하나의 사각홀(10)이다. 사각홀(10)은 유닛본체(1)의 임의의 정사각형면(8)과 매칭되어 14면체 나무블록이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연신되도록 한다.
도 20 내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 그룹의 유닛본체(1)가 로킹 매치된다. 제 1 그룹 유닛본체(1)와 제 2 그룹 유닛본체(1)는 모두 6개의 유닛본체(1)로 구성된 더블6결합체이며, 제 3 그룹 유닛본체(1)는 두 개의 유닛본체(1)로 구성된 싱글2결합체이다. 제 1 그룹 유닛본체(1)중의 두 유닛본체(1)는 제 2 그룹 유닛본체(1)의 두 위치고정홈(6)과 매칭되며, 즉 c로 도시된 두 유닛본체(1)는 두 위치고정홈(6)과 매칭된다. b로 도시된 유닛본체(1)는 상기 위치고정홈(6)을 구성하는 부품이다. 제 3 그룹 유닛본체(1)중에 a로 도시된 유닛본체(1)는 제 2 그룹 유닛본체(1)중에 b로 도시된 유닛본체(1)와 포스트 및 삽입홈을 통해 삽입 매칭됨으로써 제 2 그룹 유닛본체(1)와 제 3 그룹 유닛본체(1)는 제 1 그룹 유닛본체(1)을 로킹시킨다. 제 1 그룹 유닛본체(1)의 포스트(3)의 방향은 제 2 그룹 유닛본체(1)의 포스트(3)의 방향과 수직되어 나무블록이 동시에 앞뒤 및 상하 4방향으로 연신할 수 있게 함으로써, 나무블록으로 구성된 모형이 다양하며, 또한 로킹 구조는 모형의 각 부품 사이에 결합이 더욱 튼튼하며 모형을 이동 또는 조립하는 과정에서 쉽게 무너지지 않음을 보장하였다.
각 그룹의 유닛본체(1) 사이에 더욱 튼튼하게 로킹시키기 위하여 제 4 그룹 유닛본체(1)을 추가할 수 있다. 제 4 그룹 유닛본체(1)는 3개의 유닛본체(1)로 구성된 싱글3결합체이이고; 제 4 그룹 유닛본체(1)와 제 3 그룹 유닛본체(1)는 각각 제 1 그룹 유닛본체(1)의 양측에 위치하며, 각각 제 2 그룹 유닛본체(1)와 삽입 매칭되며; 제 3 그룹 유닛본체(1)와 제 4 그룹 유닛본체(1)는 공동으로 제 2 그룹 유닛본체(1)와 제 1 그룹 유닛본체(1)를 로킹시킨다.
보다 다양화하고 섬세한 모형을 조립하기 위하여 상기 유닛본체(1)의 동일 그룹의 정사각형면(8) 사이의 거리는 Hl이고, Hl=8mm, 16mm、24mm 또는 32mm이다. 3가지 치수의 유닛본체(1)를 협동 사용할 수 있다.
포스트(3)와 삽입홈(2)이 튼튼하게 삽입되면서 어린이가 용이하게 탈착할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포스트(3)의 높이를 H2, H2=2mm-10mm로 한다.
도 1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닛본체(1)에 제 2 포스트(7)가 설치되어 있고, 제 2 포스트(7)가 소재한 정사각형면(8)은 포스트(3)가 소재된 정사각형면(8)과 수직된다. 제 2 포스트(7)가 설치되어 있는 유닛본체(1)는 방향전환 연결부재로 사용할 수 있으며, 모형의 여러 부품 사이에 상대적으로 회전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포스트(7)가 설치되어 있는 유닛본체(1)는 로봇의 관절로 조립할 수 있으며, 팔뚝 또는 다리 부위의 다방향 회전을 구현함으로써 모형의 이미지를 더욱 생동감 있게 한다.
또한, 삽입홈(2)과 포스트(3)의 매칭이 보다 튼튼하면서 어린이가 포스트(3)를 삽입홈(2)에 쉽게 삽입시키도록 하기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홈(2)은 외부가 넓고 내부가 좁은 점차적으로 수축되는 홀이다. 상기 방안의 삽입홈(2)은 포스트(3)에 대하여 가이드 작용을 함으로써 조립하기에 더욱 빠르고 편리하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닛본체(1)의 포스트(3)와 가까운 4개의 정육각형면(9)에 각각 오목홈(5)을 설치한다. 삽입홈(2)과 가까운 4개의 정육각형면(9)에 각각 삽입블록(4)을 설치한다. 4개의 오목홈(5)과 4개의 삽입블록(4)은 서로 대응되며, 즉 인접되는 두 정육각형면(9)에 하나의 오목(5)과 하나의 삽입블록(4)이 대응된다. 두 유닛본체(1) 사이에 삽입홈(2)와 포스트(3)를 통해 수직으로 조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또한 삽입블록(4)과 오목홈(5)을 통해 경사지게 조립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방안의 유닛본체(1)만으로 각종 투각의 3차원 모형을 조립해 낼 수 있으며, 안정성도 매우 좋다. 도 5 내지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홈(5)과 삽입블록(4)이 배치된 유닛본체는 포스트와 삽입홈을 통해 결합체와 삽입 매칭되며, 또한 오목홈(5)과 삽입블록(4)을 연결부재로 하여 모형을 경사진 방향으로 조립할 수 있으므로 모형의 형태 변화를 보다 다양하게 하였으며 모형의 견고성을 확보하였다. 두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유닛본체(1)는 정육각형면(9)을 통해 연결 고정하여 결합체를 구성할 수 있다. 삽입블록(4)은 원통형일 수 있고, 오목홈(5)은 원형 홀일 수 있다.
두 유닛본체(1) 사이의 경사진 방향의 견고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도 9 내지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닛본체(1)의 포스트(3)에 가까운 4개의 정육각형면(9)에 각각 두 개의 오목홈(5)을 설치하고, 삽입홈(2)에 가까운 4개의 정육각형면(9)에 각각 2개의 삽입블록(4)을 설치한다; 8개의 오목홈(5)과 8개의 삽입블록(4)은 서로 대응된다.
서로 다른 사이즈의 유닛본체 사이의 매칭 연결하는 것을 실현하기 위하여 종류가 보다 다양하고 근사한 모형을 조립할 수 있도록 더욱 많은 조립방법을 추가하였다.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포스트(3)는 각기둥(18), 뿔대(19)와 원기둥(20)으로 연결 구성된다. 각기둥(18)은 정사각형면(8)과 수직 연결되고, 각기둥(18)은 뿔대(19)를 통해 원기둥(20)과 연결된다. 각기둥(18)의 변의 길이는 원기둥(20)의 직경보다 크고, 원기둥(20)의 직경은 작은 유닛본체의 포스트 직경과 같다. 뿔대(19)의 외주에 작은 입자 더블4결합체(21)가 장착되고, 작은 입자 더블4결합체(21)는 4개의 작은 유닛본체가 2행 2열로 연결 구성된다; 작은 유닛본체의 형상구조는 유닛본체(1)와 동일하며 치수는 유닛본체(1)의 1/2이다. 4개의 작은 유닛본체가 둘러싼 사각홀(10)은 뿔대(19)와 매칭되어, 작은 입자 더블4결합체(21)와 유닛본체(1)가 삽입 고정되게 한다. 동시에, 각기둥(18)과 원기둥(20)은 작은 입자 더블4결합체(21)의 6과 매칭됨으로써 작은 입자 더블4결합체(21)과 유닛본체(1)가 상대적으로 흔들림이 없도록 한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닛본체(1)의 일측에 연결축(14)이 설치된다. 연결축(14)의 축선은 포스트(3)의 축선과 수직된다. 연결축(14)의 일측에 볼(15)이 설치되며, 볼(15)에 삽입홀(16)이 설치되어 있으며, 삽입홀(16)과 삽입홈(2)은 동일 측에 위치하여, 볼(15)과 유닛본체(1)가 다른 유닛본체(1)와 동시에 삽입 매치되게 한다. 연결축(14)의 축선은 각각 볼(15)과 유닛본체(1)의 중심을 거친다. 연결축(14), 볼(15)과 유닛본체(1)가 연결되어 카들러축(17)을 구성하며, 즉 카들러축(17)은 연결축(14), 볼(15)과 유닛본체(1)로 연결 구성된다. 또한 카들러축(17)은 하나의 유닛본체(1)과 적어도 두 개의 볼(15)로 연결되어 구성되며, 임의의 두 인접한 볼(15)사이는 연결축(14)을 통해 연결된다. 볼(15)의 직경은 유닛본체(1)의 14면체의 내접원의 직경과 작거나 같다.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들러축(17)에 적어도 두 개의 볼(15)과 유닛본체(1)가 있으며, 인접된 두 볼(15)사이는 연결축(14)에 의해 연결되며, 인접된 두 개의 유닛본체(1)사이는 대응되는 정사각형면(8)을 통해 연결되며, 동일 카들러축(17)의 볼(15)과 유닛본체(1)의 중심은 동일 선에 있다; 카들러축(17)에 적어도 두 개의 결합체가 장착되고, 적어도 두 개의 결합체가 연결 고정되어 조립체를 구성하며, 두 결합체 사이에 구성된 사각홀(10)은 두 볼(15) 사이의 연결축(14)과 매칭되며, 조립체는 카들러축(17)을 축으로 회전하며, 동시에 카들러축(17)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지 않는다. 카들러축(17)은 풍차, 페리스 휠, 자동차 등 모형의 윤축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33 및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더블4결합체(26)와 다른 결합체의 로킹 연결되는 단계는 다음과 같다. 우선 제3더블4결합체(26)의 위치고정홈(6)은 다른 결합체의 한 유닛본체(1)와 매칭된다; 그리고 제2싱글2결합체(24)와 제3싱글2결합체(25)는 각각 포스트 및 삽입홈을 통해 제3더블4결합체(26)와 연결되며, 제2싱글2결합체(24)와 제3싱글2결합체(25)는 제2결합체의 양측에 나란히 배열되고, 제2싱글2결합체(24), 제3싱글2결합체(25)와 제3더블4결합체(26)로 제2결합체를 끼이며; 마지막으로 제2싱글2결합체(24)와 제3싱글2결합체(25)에 제1싱글2결합체(22)를 장착하고, 제1싱글2결합체(22)는 각각 제2싱글2결합체(24)와 제3싱글2결합체(25)의 동측의 유닛본체(1)와 삽입 결합된다. 로킹 연결 방법은 각 결합체 사이의 연결이 더욱 타이트하게 하며, 동시에 결합체의 포스트 방향이 수직되게 하여, 모형이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 2 방향으로 연신하는 것을 실현할 수 있다.
도 33 및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싱글3결합체(23) 및 제3더블4결합체(26)는 제1싱글2결합체(22), 제2싱글2결합체(24)와 제3싱글2결합체(25)를 통해 로킹 연결되며, 연결 단계는 다음과 같다. 먼저 제1싱글3결합체(23)의 수직방향은 수평 상태인 제3더블4결합체(26)와 매칭되어 제1싱글3결합체(23) 하단의 유닛본체(1)와 제3더블4결합체(26)의 사각홀(10)과 매칭된다; 제2싱글2결합체(24)와 제3싱글2결합체(25)는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포스트와 삽입홈을 통해 제3더블4결합체(26)와 연결되며, 즉 제2싱글2결합체(24)의 유닛본체 g와 h가 각각 제3더블4결합체(26)의 유닛본체 g1 및 h1과 삽입 매칭되고, 제3싱글2결합체(25)의 유닛본체 e와 f는 각각 제3더블4결합체(26)의 e1 및 f1과 삽입 매칭되며, 제2싱글2결합체(24), 제3싱글2결합체(25)와 제3더블4결합체(26)는 제1싱글3결합체(23)를 끼이며, 튼튼하게 연결시키기 위하여 제1싱글2결합체(22)를 이용하여 제2싱글2결합체(24)와 제3싱글2결합체(25)를 삽입 매칭시켜 로킹을 실현하며, 즉 제1싱글2결합체(22)의 유닛본체 h2 및 f2는 각각 제2싱글2결헙체(24)의 유닛본체 h 및 제3싱글2결합체(25)의 유닛본체 f에 삽입 매칭된다.
본 발명의 기술방안은 상기 실시예에 기재된 범위 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에 상세하게 기재되지 아니한 기술 내용도 공지기술이다.
1: 유닛본체, 2: 삽입홈, 3: 포스트, 4: 삽입블록, 5: 오목홈, 6: 위치고정홈, 7: 제 2 포스트, 8: 정사각형면, 9: 정육각형면, 10: 사각홀, 11: 제1더블4결합체, 12: 제2더블4결합체, 13: 싱글4결합체, 14: 연결축, 15: 볼, 16: 삽입홀, 17: 카들러축, 18: 각기둥, 19: 뿔대, 20: 원기둥, 21: 작은 입자 더불4결합체, 22: 제1싱글2결합체, 23: 제1싱글3결합체, 24: 제2싱글2결합체, 25: 제3싱글2결합체, 26: 제3더블4결합체.

Claims (12)

  1. 복수의 유닛본체(1)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유닛본체(1)의 구조, 형상 및 체적이 모두 동일하고, 상기 유닛본체(1)는 6개의 정사각형면(8)과 8개의 정육각형면(9)을 가진 14면체이며, 상기 6개의 정사각형면(8)은 3개 그룹으로 나누어지되, 동일 그룹의 두 정사각형면(8)은 평행되고, 8개의 정육각형면(9)은 4개 그룹으로 나누어지되, 동일 그룹의 두 정육각형면(9)은 평행되며, 두 개 이상의 유닛본체(1)가 서로 삽입결합 또는/ 및 고정 연결되어 하나의 그룹을 구성하며, 각 유닛본체(1)에 적어도 하나의 정사각형면(8)에 포스트(3)가 설치되며, 포스트(3)와 동일 축선에 위치한 다른 정사각형면(8)에 삽입홈(2)이 설치되어 있으며, 임의의 두 유닛본체(1)의 포스트(3)와 삽입홈(2)은 서로 매칭되며, 또는 임의의 두 그룹의 유닛본체(1)의 포스트(3)와 삽입홈(2)이 서로 매칭되며; 동일 그룹의 두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유닛본체(1)가 연결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부품이 결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4면체 나무불록.
  2. 제 1항에 있어서,
    4개 이상의 유닛본체(1)를 하나의 그룹으로 연결하고, 4개 유닛본체(1)마다 상호 연결된 중심부위에는 하나의 위치고정홈(6)이 둘러싸고, 위치고정홈(6)의 중부는 하나의 사각홀(10)이며, 사각홀(10)은 유닛본체(1)의 임의의 정사각형면(8)과 매칭되어, 14면체 나무블록이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연신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4면체 나무블록.
  3. 제 2항에 있어서,
    한 그룹의 유닛본체(1)와 하나 또는 한 그룹의 유닛본체(1)는 제 3 그룹 또는 제 3 유닛본체(1)를 통해 로킹 매치되며; 제 1 그룹 또는 제 1 유닛본체(1)는 제 2 그룹 유닛본체(1)의 위치고정홈(6)과 매칭되고, 제1 그룹 유닛본체(1)의 포스트(3) 방향은 제 2 그룹 유닛본체(1)의 포스트(3)방향과 수직 또는 평행되며, 제 3 그룹 또는 제 3 유닛본체(1)와 제 2 그룹 유닛본체(1)는 포스트(3)와 삽입홈(2)을 통해 삽입 매칭되어, 제 2 그룹 유닛본체(1)와 제 3 그룹 또는 제 3 유닛본체(1)는 각각 제 1 그룹 또는 제 1 유닛본체(1)와 매칭되도록 하여, 제 1 그룹 또는 제 1 유닛본체(1)가 로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4면체 나무블록.
  4. 제 3항에 있어서,
    제 4 그룹 또는 제 4 유닛본체(1)는 포스트(3)와 삽입홈(2)을 통해 삽입 매칭되고, 제 4 그룹 또는 제 4 유닛본체(1)와 제 3 그룹 또는 제 3 유닛본체(1)는 각각 제 1 그룹 유닛본체(1)의 양측에 위치하며, 제 3 그룹 또는 제 3 유닛본체(1), 제 4 그룹 또는 제 4 유닛본체(1)와 제 2 그룹 유닛본체(1)는 공동으로 제 1 그룹 또는 제 1 유닛본체(1)와 매칭되어, 제 1 그룹 또는 제 1 유닛본체(1)를 로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4면체 나무블록.
  5. 제 4항에 있어서,
    제 1 그룹 유닛본체(1)와 제 2 그룹 유닛본체(1)는 모두 6개의 유닛본체(1)로 구성된 더블6결합체이고, 제 3 그룹 유닛본체(1)는 두 개의 유닛본체(1)로 구성된 싱글2결합체이며, 제 1 그룹 유닛본체(1)중의 두 유닛본체(1)는 제 2 그룹 유닛본체(1)의 두 위치고정홈(6)과 매칭되고, 제 3 그룹 유닛본체(1)는 제 2 그룹 유닛본체(1)와 삽입 매치되며, 제 2 그룹 유닛본체(1)와 제 3 그룹 유닛본체(1)는 제 1 그룹 유닛본체(1)를 로킹시키며, 제 1 그룹 유닛본체(1)의 포스트(3)방향과 제 2 그룹 유닛본체(1)의 포스트(3) 방향은 수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4면체 나무블록.
  6.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본체(1)의 동일 그룹의 정사각형면(8) 사이의 거리는 Hl이고, Hl=8mm, 16mm、24mm 또는 32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4면체 나무블록.
  7.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본체(1)에는 제 2 포스트(7)가 설치되어 있고, 제 2 포스트(7)가 구성된 정사각형면(8)과 포스트(3)가 구성된 정사각형면(8)은 수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4면체 나무블록.
  8.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2)은 외부가 넓고 내부가 좁은 점차적으로 수축되는 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4면체 나무블록.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3)는 각기둥(18), 뿔대(19)와 원기둥(20)으로 연결되어 구성되되, 각기둥(18)은 정사각형면(8)과 수직 연결되고, 각기둥(18)은 뿔대(19)를 통해 원기둥(20)과 연결되며, 각기둥(18) 변의 길이는 원기둥(20)의 직경보다 크며; 뿔대(19)의 외주에 작은 입자의 더블4결합체(21)가 장착되고, 작은 입자 더블4결합체(21)는 4개의 작은 유닛본체가 2행 2열로 연결되어 구성되며; 작은 유닛본체의 형상 구조는 유닛본체(1)와 동일하고, 치수는 유닛본체(1)의 1/2이며; 4개의 작은 유닛본체로 둘러싼 사각홀(10)은 뿔대(19)와 매치되고, 원기둥(20)의 직경은 작은 유닛본체 포스트의 직경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14면체 나무블록.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본체(1)의 일 측에 연결축(14)이 설치되고, 연결축(14)의 축선은 포스트(3)의 축선과 수직되며, 연결축(14)의 일측에 볼(15)이 설치되고, 볼(15)에 삽입홀(16)이 설치되어 있으며, 삽입홀(16)과 삽입홈(2)은 동일 측에 위치하며, 연결축(14)의 축선은 각각 볼(15)과 유닛본체(1)의 중심을 거치며, 연결축(14), 볼(15)과 유닛본체(1)가 연결되어 카들러축(17)이 구성되고, 볼(15)의 직경은 유닛본체(1)의 내접원 직경보다 작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14면체 나무블록.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카들러축(17)에 적어도 두 개의 볼(15)과 유닛본체(1)가 있으며, 인접된 두 볼(15) 사이는 연결축(14)으로 연결되고, 인접된 두 유닛본체(1) 사이는 대응되는 정사각형면(8)을 통해 연결되며, 동일 카들러축(17)의 볼(15)과 유닛본체(1)의 중심은 동일 직선에 있으며; 카들러축(17)에 적어도 두 개의 결합체가 장착되고, 적어도 두 개의 결합체가 연결 고정되어 조립체를 구성하며, 두 결합체 사이에 구성된 사각홀(10)은 두 볼(15) 사이의 연결축(14)과 매칭되며, 조립체는 카들러축(17)을 축으로 회전하며, 동시에 카들러축(17)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4면체 나무블록.
  12. 제 1항에 있어서,
    제3더블4결합체(26)와 다른 결합체의 로킹 연결하는 단계는,
    먼저 제3더블4결합체(26)의 위치고정홈(6)은 다른 결합체의 한 유닛본체(1)와 매칭되고; 제2싱글2결합체(24)와 제3싱글2결합체(25)는 각각 포스트와 삽입홈을 통해 제3더블4결합체(26)와 매칭 연결되며, 제2싱글2결합체(24)와 제3싱글2결합체(25)는 제2결합체의 양측에 나란히 배열되고, 제2싱글2결합체(24), 제3싱글2결합체(25)와 제3더블4결합(26)로 제2결합체를 끼이며; 마지막으로 제2싱글2결합체(24)와 제3싱글2결합체(25)에 제1싱글2결합체(22)를 장착하고, 제1싱글2결합체(22)는 각각 제2싱글2결합체(24)와 제3싱글2결합체(25)의 동측의 유닛본체(1)와 삽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4면체 나무블록의 로킹 연결 방법.
KR1020167009880A 2013-09-29 2014-09-25 14면체 나무블록 KR1018446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310453981.0 2013-09-29
CN2013104539810A CN103463817A (zh) 2013-09-29 2013-09-29 十四面体积木
CN201410492906.XA CN104190091B (zh) 2013-09-29 2014-09-24 十四面体积木
CN201410492906.X 2014-09-24
PCT/CN2014/087370 WO2015043477A1 (zh) 2013-09-29 2014-09-25 十四面体积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6931A true KR20160056931A (ko) 2016-05-20
KR101844696B1 KR101844696B1 (ko) 2018-04-03

Family

ID=49788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9880A KR101844696B1 (ko) 2013-09-29 2014-09-25 14면체 나무블록

Country Status (20)

Country Link
US (1) US9687749B2 (ko)
EP (1) EP3050608B1 (ko)
JP (1) JP6063578B2 (ko)
KR (1) KR101844696B1 (ko)
CN (2) CN103463817A (ko)
AU (1) AU2014327989B2 (ko)
BR (1) BR112016006884B1 (ko)
CA (1) CA2925689C (ko)
CL (1) CL2016000720A1 (ko)
DK (1) DK3050608T3 (ko)
EA (1) EA032595B1 (ko)
ES (1) ES2771573T3 (ko)
HK (1) HK1203166A1 (ko)
MX (1) MX2016004015A (ko)
MY (1) MY187594A (ko)
PE (1) PE20160694A1 (ko)
PH (1) PH12016500801A1 (ko)
SG (1) SG11201602435YA (ko)
WO (2) WO2015042988A1 (ko)
ZA (1) ZA20160286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63817A (zh) * 2013-09-29 2013-12-25 张衡 十四面体积木
CN203935621U (zh) * 2014-01-17 2014-11-12 林美足 六角型积木
KR101679366B1 (ko) * 2016-02-18 2016-11-24 황종철 다면체 블록 완구
CN105597339A (zh) * 2016-03-10 2016-05-25 张衡 多孔多面体积木
CN106390479A (zh) * 2016-10-26 2017-02-15 张衡 科教积木
CN107441734A (zh) * 2017-08-24 2017-12-08 上海葡萄纬度科技有限公司 一种可多维度搭建的积木套件
CN109745713B (zh) * 2019-03-19 2021-12-10 广州络家实业有限公司 一种四相积木连接系统的使用方法
US10507401B1 (en) * 2019-08-28 2019-12-17 Kun Yuan Tong Building piece comprising two containers and a flexible belt therebetween
WO2021226470A1 (en) * 2020-05-08 2021-11-11 WeCool Toys Inc. Modular and customizable toy systems comprising building blocks, removable non-adhesive graphics, and built-in instructions
CN112975862A (zh) * 2021-02-05 2021-06-18 四川恩巨实业有限公司 一种拼接平台
CN114904285B (zh) * 2021-02-09 2023-09-01 第拾四科文化科技(杭州)有限公司 一种玩具连接节点模块及拼装玩具
CN112999672B (zh) * 2021-04-07 2022-06-28 华山国际贸易有限公司 益智玩具
TR2022014007A2 (tr) * 2022-09-08 2022-10-21 Noftt Enduestriyel Tasarim Plastik Sanayi Ve Ticaret Ltd Sirketi Bir Oyuncak Bloğu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451779A (de) * 1966-02-08 1968-05-15 Zysset Karl Bauspiel-Elementensatz
FR2135806A5 (ko) * 1971-04-29 1972-12-22 Baudoin Jean
US4238905A (en) * 1978-08-17 1980-12-16 Macgraw Richard Ii Sculptural objects
US5302148A (en) * 1991-08-16 1994-04-12 Ted Heinz Rotatable demountable blocks of several shapes on a central elastic anchor
CN2167760Y (zh) * 1993-09-02 1994-06-08 郑达明 巧方
US6921314B2 (en) * 1998-03-13 2005-07-26 George R. Miller Intercleaving spatially dichotomized polyhedral building blocks and extensions
US6729984B2 (en) * 2001-07-28 2004-05-04 Rhino Toys, Inc. Toy ball apparatus
JP2004141591A (ja) * 2002-10-22 2004-05-20 Umeo Kondo いろんな形ができるブロック遊戯具
CN101068607A (zh) * 2004-12-03 2007-11-07 Bld东洋株式会社 多面体玩具
CN2887382Y (zh) * 2006-04-05 2007-04-11 马达飞 一种拼接智力玩具
DE102006050393B4 (de) * 2006-10-20 2012-10-18 Amir Tahric Lastaufnehmende Raumgitterstruktur, Leichtbauelement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US7507136B2 (en) * 2006-12-08 2009-03-24 Claire Jean Patton Construction set utilizing magnets
US8850683B2 (en) * 2009-03-26 2014-10-07 Tegu Magnetic blocks and method of making magnetic blocks
USD660664S1 (en) * 2010-06-14 2012-05-29 Chang Hsueh-O Hsu Socket
CN201840892U (zh) * 2010-09-19 2011-05-25 吴孝群 一种足球模型
KR101180298B1 (ko) * 2011-02-21 2012-09-06 최보윤 조립식 토이 하우스
CN103463817A (zh) * 2013-09-29 2013-12-25 张衡 十四面体积木
CN103463818B (zh) * 2013-09-29 2015-08-26 张衡 颗粒积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K3050608T3 (da) 2020-02-10
CN104190091B (zh) 2016-09-21
KR101844696B1 (ko) 2018-04-03
WO2015043477A1 (zh) 2015-04-02
PH12016500801B1 (en) 2016-06-13
AU2014327989B2 (en) 2019-12-05
WO2015042988A1 (zh) 2015-04-02
EP3050608A1 (en) 2016-08-03
MX2016004015A (es) 2016-06-02
US9687749B2 (en) 2017-06-27
JP2015531666A (ja) 2015-11-05
ZA201602869B (en) 2017-03-29
EA032595B1 (ru) 2019-06-28
ES2771573T3 (es) 2020-07-06
BR112016006884B1 (pt) 2022-05-10
US20160367907A1 (en) 2016-12-22
JP6063578B2 (ja) 2017-01-18
SG11201602435YA (en) 2016-05-30
PE20160694A1 (es) 2016-07-24
CN104190091A (zh) 2014-12-10
BR112016006884A2 (pt) 2017-08-01
AU2014327989A1 (en) 2016-05-19
PH12016500801A1 (en) 2016-06-13
EP3050608A4 (en) 2017-06-21
CA2925689A1 (en) 2015-04-02
EA201690691A1 (ru) 2016-12-30
CA2925689C (en) 2018-03-20
MY187594A (en) 2021-09-30
CN103463817A (zh) 2013-12-25
CL2016000720A1 (es) 2016-11-18
HK1203166A1 (zh) 2015-10-23
EP3050608B1 (en) 2019-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4696B1 (ko) 14면체 나무블록
US11173386B2 (en) Three-dimensional logic puzzle
US9061200B2 (en) Interconnectible building elements for intellectual challenge games
US6846216B1 (en) Magnetic construction toy
US20080160875A1 (en) Interconnectible Building Elements For Intellectual Challenge Games
US20150104992A1 (en) Plaything
US7547020B1 (en) Three dimensional toy having multi-shaped interlocking members which have a spring mechanism inside a cylindrical threaded shaft for interlocking one member to another member
US4484406A (en) Connected prism elements swivellingly
US9744473B2 (en) Densely stackable building block system
CN105597339A (zh) 多孔多面体积木
JP6005711B2 (ja) 組立構造体
JP2008212230A (ja) 組み立て玩具
US11745115B2 (en) Building block with easy disassembly and assembly
CN211798803U (zh) 磁性建筑玩具
US20220184516A1 (en) Building block
US20240042339A1 (en) Toy track set
WO2013023444A1 (zh) 便于拼接的组合件
KR20190001186A (ko) 조립식 블록완구 세트
TWI471158B (zh) Magnetic building blocks
KR100546071B1 (ko) 입체형 자석놀이완구
TWM522767U (zh) 積木改良結構
TWM536969U (zh) 積木組結構
TWM540679U (zh) 多變化組合玩具結構
KR20150004163U (ko) 지오메트리 플러그 블럭
KR20130104505A (ko) 정다면체 순환실습용 교구 및 이의 조립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