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6759A - 이미지 스캔이 가능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이미지 스캔이 가능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6759A
KR20160056759A KR1020140190692A KR20140190692A KR20160056759A KR 20160056759 A KR20160056759 A KR 20160056759A KR 1020140190692 A KR1020140190692 A KR 1020140190692A KR 20140190692 A KR20140190692 A KR 20140190692A KR 20160056759 A KR20160056759 A KR 201600567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istor
contact
selection signal
scan line
pix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0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병성
전호식
최우영
김종욱
이준석
정소현
윤주안
오상아
Original Assignee
크루셜텍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루셜텍 (주) filed Critical 크루셜텍 (주)
Priority to US14/938,316 priority Critical patent/US9679182B2/en
Publication of KR20160056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6759A/ko
Priority to US15/589,010 priority patent/US9864448B2/en
Priority to US15/693,802 priority patent/US9996179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Input devices, e.g. touch pan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Sensors therefor
    • G06V40/1306Sensors therefor non-optical, e.g. ultrasonic or capacitive sen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47Preprocessing; Feature extraction
    • G06V40/1359Extracting features related to ridge properties; Determining the fingerprint type, e.g. whorl or lo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65Matching; Classification
    • G06V40/1376Matching features related to ridge properties or fingerprint textur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92Details of a display terminals using a flat pane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48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n active matri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601Structural or functional details thereof
    • H01L27/14609Pixel-elements with integrated switching, control, storage or amplification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86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4Parallel electrical configurations of multiple OLED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3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3
    • G06F2203/0338Fingerprint track pad, i.e. fingerprint sensor used as pointing device tracking the fingertip ima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21Structural details of the set of electrodes
    • G09G2300/0426Layout of electrodes and connec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39Pixel structur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60OLEDs integrated with inorganic light-sensitive elements, e.g. with inorganic solar cells or inorganic photodiodes
    • H10K59/65OLEDs integrated with inorganic image senso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20Changing the shape of the active layer in the devices, e.g. patterning
    • H10K71/231Changing the shape of the active layer in the devices, e.g. patterning by etching of existing layers
    • H10K71/233Changing the shape of the active layer in the devices, e.g. patterning by etching of existing layers by photolithographic etc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Measurement Of Length, Angles, Or The Lik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AREA)
  • Image Input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미지 스캔이 가능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위 화소 마다 배치되는 접촉 센서를 포함하는 이미지 스캔 가능한 플렉서블 표시 장치로서, 상기 접촉 센서는, 접촉 수단과의 접촉에 의해 접촉 용량을 형성하는 화소 전극; 드레인 전극이 상기 접촉 용량이 형성되는 노드와 연결되며, 게이트 전극 및 소스 전극이 각각 선택 신호가 인가되는 제1 스캔 라인과 연결되는 센싱 트랜지스터; 게이트 전극이 상기 센싱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과 연결되며, 소스 전극이 전원 입력단과 연결되는 증폭 트랜지스터; 및 드레인 전극이 상기 증폭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과 연결되며, 게이트 전극이 선택 신호가 인가되는 제2 스캔 라인과 연결되고, 소스 전극이 상기 접촉 용량에 상응하는 전류를 검출하는 리드아웃 라인과 연결되는 검출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이미지 스캔 가능한 플렉서블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이미지 스캔이 가능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FLEXIBLE DISPLAY APPARATUS ABLE TO IMAGE SCAN AND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이미지 스캔이 가능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하 공유 방식을 대신하고 개구율을 향상시키는 이미지 스캔이 가능한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터치 스크린 패널은 영상 표시 장치의 화면에 표시된 문자나 도형을 사람의 손가락이나 다른 접촉수단으로 접촉하여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하는 장치로서, 영상 표시 장치 위에 부착되어 사용된다. 터치 스크린 패널은 사람의 손가락 등으로 접촉된 접촉 위치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전기적 신호는 입력 신호로서 이용된다.
터치 스크린 패널에서의 터치 검출 방식은 저항막 방식, 광학 방식, 정전용량 방식, 초음파 방식 등 여러가지가 있으나, 이 중 정전용량 방식은 표시 장치의 화면에 터치 발생 수단이 접촉할 때 변화하는 정전용량을 이용하여 터치 발생 여부를 검출한다.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스크린 패널은 사람의 손가락, 전도성 터치펜 등의 접촉을 탐지할 수 있다.
한편, 최근 보안관련 문제가 대두되면서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 개인휴대기기에 대한 보안이 화두가 되고 있다. 사용자들의 휴대기기 사용빈도가 증가하면서 휴대기기를 통한 전자상거래 등에 있어서의 보안이 요구되고, 이러한 요구에 따라 지문, 홍채, 안면, 음성, 혈관 등의 생체 정보를 이용하고 있다.
다양한 생채 정보 인증 기술 중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기술은 지문을 통한 인증 기술이다. 최근에는, 스마트폰 및 태블릿 PC 등에 지문 인식 및 이를 통한 인증 기술이 적용된 제품이 출시되었다.
그러나, 지문 인식을 위한 센서들이 휴대 기기에 접목되기 위해서는 영상 표시 장치 외에 지문 인식을 위한 장치를 함께 장착시켜야 하는데, 이에 따라 휴대 기기의 부피가 늘어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최근 들어 플렉서블(Flexible)한 영상표시장치가 개발되고 있는 추세이며, 이 경우 상기 플렉서블 영상표시장치에 적용되는 터치 스크린 패널 역시 플렉서블한 특성이 요구된다.
따라서, 휴대 기기에 별도 지문 인식 센서를 위한 공간을 없앨 수 있으면서도, 디스플레이 영역을 방해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플렉서블 특성을 부여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센서 내에서 검출 되는 신호의 크기를 전하 공유 방식을 사용한 회로에 비하여 급격히 증가시키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접촉 센서를 디스플레이 단위 화소 내에 들어가도록 설계하여 표시 화면 상에 접촉되는 이미지가 표시 장치의 적어도 일부에서 스캔가능한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위 화소 마다 배치되는 접촉 센서를 포함하는 이미지 스캔 가능한 플렉서블 표시 장치로서, 상기 접촉 센서는, 접촉 수단과의 접촉에 의해 접촉 용량을 형성하는 화소 전극; 드레인 전극이 상기 접촉 용량이 형성되는 노드와 연결되며, 게이트 전극 및 소스 전극이 각각 선택 신호가 인가되는 제1 스캔 라인과 연결되는 센싱 트랜지스터; 게이트 전극이 상기 센싱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과 연결되며, 소스 전극이 전원 입력단과 연결되는 증폭 트랜지스터; 및 드레인 전극이 상기 증폭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과 연결되며, 게이트 전극이 선택 신호가 인가되는 제2 스캔 라인과 연결되고, 소스 전극이 상기 접촉 용량에 상응하는 전류를 검출하는 리드아웃 라인과 연결되는 검출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이미지 스캔 가능한 플렉서블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센싱 트랜지스터, 상기 증폭 트랜지스터 및 상기 검출 트랜지스터는 컬러 필터층의 단위 컬러 화소를 덮지 않도록 배치되고, 상기 화소 전극은 상기 단위 컬러 화소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센싱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1 스캔 라인으로부터의 선택 신호에 의해 턴 온 되며, 소스 전극으로 인가되는 전원 입력단으로부터의 신호를 드레인 전극으로 전달시킬 수 있다.
상기 증폭 트랜지스터는, 상기 접촉 용량에 충전된 전압에 따라 변화되는 전류를 생성하여 상기 검출 트랜지스터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검출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2 스캔 라인으로부터의 선택 신호에 의해 턴 온 되며, 상기 증폭 트랜지스터에 의해 생성되는 전류를 상기 리드아웃 라인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센서 내에서, 상기 제2 스캔 라인으로 인가되는 선택 신호는, 상기 제1 스캔 라인에 선택 신호가 인가되고 나서 인가될 수 있다.
상기 센서 내에서, 상기 센싱 트랜지스터, 증폭 트랜지스터 및 검출 트랜지스터는 투명 박막 트랜지스터로 구성되어 컬러 필터층의 단위 컬러 화소 위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스캔 가능한 표시 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 스캔 라인에 선택 신호가 공급된 후 검출되는 상기 리드아웃 라인의 전류를 기초로 상기 접촉 센서 상부에 대한 접촉 여부, 접촉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단위 화소 마다 배치되는 접촉 센서로 이루어진 센서 어레이층 및 단위 컬러 화소로 이루어진 컬러 필터층을 포함하는 이미지 스캔 가능한 플렉서블 표시 장치로서, 상기 접촉 센서는, 접촉 수단과의 접촉에 의해 접촉 용량을 형성하고, 상기 단위 컬러 화소를 덮도록 배치되는 투명 화소 전극; 제1 스캔 라인으로부터 선택 신호를 인가 받아, 입력 전원 신호를 상기 접촉 용량에 전달하는 센싱 트랜지스터; 상기 접촉 용량에 충전된 전압에 따라 변화하는 전류를 생성하는 증폭 트랜지스터; 및 제2 스캔 라인으로부터 선택 신호를 인가 받아, 상기 전류를 검출하여 리드아웃 라인으로 전달하는 검출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센싱 트랜지스터, 상기 증폭 트랜지스터 및 상기 검출 트랜지스터는 상기 단위 컬러 화소를 덮지 않도록 배치되는, 이미지 스캔 가능한 플렉서블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선택 신호를 받아 턴 온 되는 센싱 트랜지스터를 통해, 화소 전극과 접촉 수단과의 사이에서 형성되는 접촉 용량을 충전시키는 단계; 증폭 트랜지스터를 통해 상기 접촉 용량에 충전된 전압에 따라 변화하는 전류를 발생시키는 단계; 및 제2 선택 신호를 받아 턴 온 되는 검출 트랜지스터를 통해 상기 발생된 전류를 검출하여, 접촉 센서 상부에 대한 접촉 여부 및 접촉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트랜지스터 및 주변 회로 구성에 포함되는 기생 정전용량에 의한 커플링 현상을 이용하여, 검출되는 신호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투명 전극을 이용하여 센서를 구성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시성이 증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접촉 센서를 디스플레이 단위 화소 사이즈로 설계하여, 표시 화면에 접촉되는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서 센싱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센싱 기능을 갖는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센싱 기능을 구현하는 센서 어레이 층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센서 어레이 상에 배치되는 접촉 센서에 대한 구현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적용이 가능한 정전용량식 접촉 센서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전용량식 접촉 센서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촉 센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접촉 인식”이란 표면에 대해 접촉되는 물체(object)에 대해 인식하는 기능을 의미하며, 사람의 손가락에 대한 지문 또는 터치 인식 및 이와는 다른 터치 발생 수단에 의한 터치 인식을 모두 포괄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10)는 표시 장치(DP)를 포함한다.
전자 기기(10)는 유무선 통신 기능 또는 이와는 다른 기능을 포함하는 디지털 기기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동 전화기, 네비게이션, 웹 패드, PDA, 워크스테이션, 개인용 컴퓨터(예를 들어, 노트북 컴퓨터 등) 등과 같이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디지털 기기로서, 바람직하게는 스마트폰을 예로서 상정하여 설명할 것이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표시 장치(DP)는 전자 기기(10)의 일면에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전자 기기(10)의 전면에 형성되어 입력 장치로서의 기능 또한 동시에 수행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DP)는 터치 발생 수단(예를 들면, 손가락 등)의 접촉 여부 및 접촉 위치 파악뿐만 아니라, 손가락의 지문에 대한 인식 기능을 함께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제1 애플리케이션 구동 시에는 표시 장치(DP)가 특정 기능 구동 등을 위한 터치 스크린으로서 기능할 수 있으며, 제2 애플리케이션 구동 시에는 표시 장치(DP)를 통해 표시되는 지문 입력 창(FP)의 영역 또는 표시 장치(DP) 전 영역에서 지문 인식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후술할 바와 같이, 터치 발생 수단에 의한 터치 또는 손가락 지문의 융선(ridge)과 골(valley)의 접촉은 복수개의 행과 열을 이루는 센서들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손가락 지문 인식을 위해서는 융선과 골의 접촉을 구분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표시 장치(DP)에 포함되는 센서들의 수와 관계되는 접촉 감지의 해상도는 손가락 지문의 융선과 골의 접촉을 구분할 수 있을 정도로 형성되어야만 할 것이다.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센싱 기능을 갖는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a 내지 도 2d는 액정 표시 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에 이미지 센싱 기능이 통합된 구성을 예로서 시한다.
도 2a 내지 도 2d를 참조하면, 액정 표시 장치는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제1 기판(210), 박막 트랜지스터 층(220), 액정층(230), 컬러 필터층(240), 제2 기판(250) 및 커버 윈도우(260)로 구성된다.
액정 표시 장치는 제1 기판(210)의 하부에 위치하는 백라이트유닛(BLU: Back Light Unit)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액정층(230)을 투과한 후, 화소 단위로 색을 추출하여 컬러를 구현하는 컬러 필터층(240)을 통과하면서 원하는 색과 영상이 구현되는 원리로 동작한다. 박막 트랜지스터 층(220)은 전기적 신호를 전달 또는 제어하는 기능을 하며, 액정층(230)에 존재하는 액정은 인가된 전기적 신호에 따라 분자 구조를 달리하여 빛의 투과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터치 발생 수단의 접촉 감지 또는 지문 인식 기능, 즉, 이미지 센싱 기능을 수행하는 센서 어레이 층(300)은 액정 표시 장치의 일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먼저, 도 2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어레이 층(300)은 컬러 필터층(240)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센서 어레이 층(300)은 컬러 필터층(240)의 하부 영역 또는 컬러 필터층(240)과 제2 기판(250) 사이의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어레이 층(300)은 제2 기판(250)과 커버 윈도우(260)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도 2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표시 장치 보호를 위한 커버 윈도우(260) 상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2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센서 어레이 층(300)이 커버 윈도우(260) 상부에 배치된다면, 센서 어레이 층(300)을 보호하기 위한 별도의 보호층(270)이 그 상부에 더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도 2d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어레이 층(300)은 표시 장치의 구동을 위한 회로들이 구현되어 있는 박막 트랜지스터 층(220)과 동일한 층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표시 장치가 액정 표시 장치로서 구현되는 예를 상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표시 장치 또는 전기영동 디스플레이(EPD: Electro Phoretic Display) 등의 다른 종류의 표시 장치로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는 양 면에 전극층이 형성된 유기 발광 다이오드 소자가 기판 상에 배치되는 구조로 형성되는데, 이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미지 센싱 기능을 하는 센서 어레이 층(300)은 기판 상부, 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소자의 상부 등에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에는 컬러 필터층(240)과 센서 어레이 층(300)이 도시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센서 어레이 층(300)은 컬러 필터층(240)을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상부에 형성될 수도 있고 그 하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접촉 센서들을 포함한 센서 어레이는 디스플레이 전면에 형성될 수도 있고, 다른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일부 영역에 형성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일부 영역에 형성될 경우 접촉 센서가 없는 영역은 패시베이션(미도시)을 통해 접촉 센서가 있는 영역과 단차가 발생하지 않게 구성할 수 있다.
센서 어레이 층(300)에는 다수의 접촉 센서(SN)들이 구비된다. 접촉 센서(SN)는 복수개의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정전 용량 방식의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컬러 필터층(240)은 적색 영상을 표시하는 적색 화소(R), 녹색 영상을 표시하는 녹색 화소(G), 및 청색 영상을 표시하는 청색 화소(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하나씩의 적색 화소(R), 녹색 화소(G), 청색 회소(B)가 하나의 단위 화소를 이루며, 이 단위 화소들은 복수개의 행과 열로 이루어진 매트릭스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하나의 단위 화소 당 하나씩의 접촉 센서(SN)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접촉 센서(SN)는 센서 어레이(300) 층에 형성되며, 상면(Top view)에서 볼 때 접촉 센서(SN)의 센싱 회로(예를 들면 트랜지스터 및 배선들)은 컬러 필터층(240)의 적색 화소(R), 녹색 화소(G) 및 청색 화소(B)를 덮지 않는(non-overlap) 영역에 배치되고, 접촉 센서(SN)의 화소 전극은 ITO 등의 투명 전극 물질로서 컬러 화소(R,G 또는 B)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영역 또는 컬러 화소를 덮지 않는 영역의 일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단위 화소의 하부에 접촉 센서(SN)가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접촉 센서(SN)의 상부, 측면부 등에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적색 화소(R), 녹색 화소(G), 청색 화소(B) 중 하나의 크기를 상대적으로 작게 만들어 해당 위치에 접촉 센서(SN)의 센싱 회로를 위치시킬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접촉 센서(SN)는 트랜지스터 및 배선을 위한 투명 전극 물질을 이용할 경우 센서 어레이(300) 층에서, 화소 전극 뿐 아니라 센싱 회로까지 컬러 필터층(240)의 적색 화소(R), 녹색 화소(G) 및 청색 화소(B)를 덮도록(overlap) 형성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이에 따르면, 접촉 센서(SN)가 단위 화소를 덮도록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단위 화소 당 2개 이상의 접촉 센서(SN)가 배치되어 이미지 센싱의 해상도를 증가시킬 수도 있으며, 단위 접촉 센서(SN)의 크기를 크게 형성함으로써 이미지 센싱의 감도를 향상시킬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센싱 기능을 구현하는 센서 어레이 층(3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센서 어레이 층(300)은 복수개의 스캔 라인(SL1, SL2, …, SLn) 및 복수개의 리드아웃 라인(RL1, RL2, …, RLl)을 포함한다. 복수개의 스캔 라인(SL1, SL2, …, SLn)에는 순차적으로 스캔 신호가 공급되며, 복수개의 리드아웃 라인(RL1, RL2, …, RLl)은 접촉 센서(SN)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들을 수신하여 이를 처리하는 리드아웃 회로(미도시됨)로 전달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개의 스캔라인에 공급되는 스캔 신호는 센서 어레이 층(300)에 구비되는 스캔 드라이버로부터 공급되는 것일 수 있다.
스캔 라인(SL1, SL2, …, SLn)과 리드아웃 라인(RL1, RL2, …, RLl)은 상호 교차되도록 배치되는데, 그 교차점마다 적어도 하나의 접촉 센서(SN)가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센서 어레이(300) 상에 배치되는 접촉 센서(SN)에 대한 구현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접촉 센서(SN)는 화소 전극(미도시), 스위칭 트랜지스터(T1), 센싱 트랜지스터(T2)를 포함할 수 있으며, 화소 전극에 접촉 수단이 접촉하면 접촉 용량(C1)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의 (a)에서의 스위칭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은 제1 스캔 라인(SL1)과 연결되고, 소스 전극은 접촉 용량(C1)이 형성되는 노드와 연결된다. 한편, 센싱 트랜지스터(T2)의 드레인 전극은 리드아웃 라인(RL)에 연결되고, 소스 전극은 스위칭 트랜지스터(T1)의 소스 전극과 연결되며, 게이트 전극은 제2 스캔 라인(SL2)와 연결된다.
도 5의 (b)를 도 5의 (a)와 비교하여 살펴보면, 스위칭 트랜지스터(T1)의 드레인 전극이 제1 스캔 라인 대신 데이터 라인(DL)에 연결되는 차이가 존재한다.
제1 스캔 라인(SL1)의 선택 신호가 스위칭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 전극에 공급되면, 스위칭 트랜지스터(T1)가 턴 온 되어 접촉 용량(C1)을 충전되게 한다. 제2 스캔 라인(SL2)에 선택 신호가 인가되면 이에 따라 센싱 트랜지스터(T2)가 턴 온되어 접촉 용량(C1)에 충전된 전하가, 접촉 용량(C1)과 리드아웃 라인(RL)의 기생용량에 의해 공유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접촉 수단이 접촉 센서(SN)에 가까이 접근하게 되면, 접촉 수단과 접촉 센서(SN)간에는 큰 접촉 용량(C1)이 형성되게 되고, 접촉수단이 접촉 센서(SN)와 멀어지게 되면 접촉 용량(C1)의 크기는 감소하게 된다.
이후, 리드아웃 라인(RL)의 신호 전압이 별도의 IC 칩으로 전달되어, 전달된 신호 전압을 통해, 해당 화소에 대한 화면 접촉 여부 및 접촉 면적 등이 판단될 수 있다. 환언하면, 리드아웃 라인(RL)은 접촉 센서(SN)에 충전된 전하량에 상응하는 신호를 전압으로 센싱하게 되는데, 이렇게 센싱되는 전압의 크기를 통해 접촉 여부 및 접촉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방식에서는 접촉 용량(C1)에 저장된 전하가 센싱 트랜지스터(T2)를 통해 리드아웃 라인(RL)으로 전달되는데, 접촉 센서(SN) 내에서는 접촉 용량(C1), 센싱 트랜지스터(T2) 및 리드아웃 라인(RL) 주변의 회로 구성 또는 다른 구성요소와의 관계에 의해 기생 정전용량이 존재할 수 밖에 없게 된다. 따라서, 접촉 센서(SN)는 접촉 용량(C1)과 리드아웃 라인(RL)의 기생용량 간의 전하 공유를 통해 전압을 센싱하므로, 리드아웃 라인(RL)의 기생용량이 접촉 용량(C1)보다 상대적으로 커서 센싱되는 전압이 매우 작아지는 단점이 존재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적용이 가능한 정전용량식 접촉 센서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촉 센서(SN)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센서 어레이(300) 상에 형성된 단위 화소의 적어도 일부에 구비된다.
각각의 접촉 센서(SN)는 화소 전극 및 3개의 트랜지스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3개의 트랜지스터는 각각 센싱 트랜지스터(T1), 증폭 트랜지스터(T2), 검출 트랜지스터(T3)로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트랜지스터(T1~T3)는 비정질 실리콘(Hydrogenated Amorphous Silicon, a-Si:H), 다결정 실리콘(Poly Silicon, Poly-Si), 산화물 트랜지스터 등의 실리콘 계열 트랜지스터로 구현될 수 있다.
각각의 트랜지스터(T1~T3)는 투명 박막 트랜지스터(Transparent Thin Film Transistor: TTFT)로 구성될 수 있다. 투명 박막 트랜지스터는 가시광선 영역의 파장을 통과시키는 것이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와 결합시 가시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트랜지스터(T1~T3)는 컬러 필터층(240)의 단위 컬러 화소를 덮지 않도록 배치되며, 화소 전극은 단위 컬러 화소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배치 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트랜지스터(T1~T3)가 투명 박막 트랜지스터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트랜지스터들은 컬러 화소 위를 덮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센싱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 전극은 스캔 라인(SLn)에 연결되고, 소스 전극은 전원 입력단(Vdd)에 연결되며, 드레인 전극은 증폭 트랜지스터(T2)의 게이트 전극과 연결될 수 있다.
증폭 트랜지스터(T2)는 접촉 용량(C1)에 걸리는 전압(V1)을 게이트 전극으로 입력받아, 전압의 변화량만큼을 전류 신호로 센싱 트랜지스터(T3)에 전달하는 증폭기 역할을 수행한다.
증폭 트랜지스터(T2)의 게이트 전극은 센싱 트랜지스터(T1)의 드레인 전극과 함께 접촉 수단과 화소 전극의 접촉에 의해 생성되는 접촉 용량(C1)과 연결되며, 소스 전극은 전원 입력단(Vdd)과 연결되고, 드레인 전극은 센싱 트랜지스터(T3)의 드레인 전극과 연결될 수 있다.
센싱 트랜지스터(T3)는 증폭 트랜지스터(T2)에서 흐르는 전류를 선택적으로 리드아웃 라인(RL)으로 넘겨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센싱 트랜지스터(T3)는 게이트 전극에 인가되는 스캔 라인(SLn+1)로부터 인가되는 선택 신호에 의해 증폭 트랜지스터(T2)에서 흐르는 전류를 리드아웃 라인(RL)으로 넘겨주는 동작을 수행한다.
센싱 트랜지스터(T3)의 게이트 전극은 스캔 라인(SLn+1)과 연결되며, 드레인 전극은 증폭 트랜지스터(T2)의 드레인 전극과 연결되고, 소스 전극은 리드아웃 라인(RL)과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접촉 센서(SN)에 포함되는 화소 전극들의 중심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각각의 트랜지스터(T1~T3)들은 전극 테두리에 배치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접촉 수단으로 인해 접촉 용량(C1)을 생성하기 위한 투명 소재의 화소 전극이 단위 화소의 중심부에 배치되도록 설계되며, 각각의 트랜지스터(T1~T3)는 화소 전극이 생성되는 위치의 주변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전용량식 접촉 센서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6에서 개시된 접촉 센서(SN)의 구성에서, 센싱 트랜지스터(T1)의 연결상태만이 상이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센싱 트랜지스터(T1)의 소스 전극이 전원 입력단(Vdd)이 아닌, 게이트 전극과 연결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게이트 전극에 스캔 라인(SLn)으로부터 선택 신호가 인가될 때 소스 전극에도 같은 선택 신호가 인가되어, 접촉 센서(SN)가 구동함에 있어 별도의 전원 입력단을 필요로 하지 않을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도 7에서 개시된 접촉 센서(SN)의 구성에서 센싱 트랜지스터(T1)의 연결상태가 상이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7의 회로에서는 센싱 트랜지스터(T1)의 소스 전극과 게이트 전극이 함께 묶여 스캔 라인(SLn)과 연결되었지만, 도 8의 회로에서와 같이 센싱 트랜지스터(T1)의 소스 전극과 게이트 전극은 함께 묶여 전원 입력단(Vdd)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접촉 센서(SN)의 회로를 구성함으로써, 각각의 접촉 센서(SN)를 구동하는데에 필요한 스캔 라인(SLn)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전체적으로 보면, 스캔 라인(SLn)의 수는 하나만 감소되지만, 각각의 접촉 센서(SN)가 구동되는데 필요한 스캔 라인이 두 개에서 하나로 감소되므로, 스캔 드라이버의 동작이 간소화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개시되는 접촉 센서(SN)의 회로 구성에 있어, 전원 입력단(Vdd)이 제거되고 스캔 라인(SLn)만으로 접촉 센서(SN)의 구동이 수행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증폭 트랜지스터(T2)의 소스 전극이 전원 입력단(Vdd) 대신 스캔 라인(SLn)으로부터 전압 입력을 받아 동작하게 되고, 이를 위해서는 스캔 드라이버가 증폭 트랜지스터(T2)의 동작 타이밍에 신호가 전달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원 입력단(Vdd)을 제거함으로써, 접촉 센서(SN)의 회로 구성을 보다 간소화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촉 센서(SN)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이다.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촉 센서(SN)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0에서 SLn과 SLn+1은 각각 해당하는 스캔 라인(SLn, SLn+1)에 공급되는 신호를 나태는 것으로, 하이(high) 구간 동안 선택 신호가 스캔 라인(SLn, SLn+1)에 공급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선택 신호의 인가에 의해 특정 접촉 센서(SN)가 선택되며, N번째 스캔 라인에 선택 신호가 인가될 때 N-1번째 스캔 라인에 연결된 다른 접촉 센서(SN)로부터의 신호가 출력된다. 이하에서는 'SL'을 스캔 라인 신호로 칭하기로 한다. 또한, RL Reset은 리드아웃 라인(RL)을 리셋시키기 위한 신호로서, 하이(high) 구간에 리셋 신호가 공급되어, 리드아웃 라인(RL)이 리셋된다.
한편 V1은 센싱 트랜지스터(T1)의 드레인 전극의 전위, 즉 접촉 용량(C1)에 충전되는 전하에 의한 전위를 나타내며, RL은 검출 트랜지스터(T3)의 소스 전극과 연결되는 리드아웃 라인(RL)에서 검출되는 전류량을 나타내는 것이다.
V1과 RL의 타이밍도에 있어서, 접촉 센서(SN)의 화소 전극 상에 융선이 닿았는지 또는 골이 닿았는지 여부에 따라 접촉 용량(C1)에 충전되는 전하량에 따른 전위(V1)와, 리드아웃 라인(RL)의 전류가 달라지게 된다.
먼저, 어떠한 접촉 수단도 접촉 센서(SN)에 접촉되지 않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접촉 수단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화소 전극과 접촉 수단 사이에서 형성되는 접촉 용량(C1)이 존재하지 않게 된다.
센싱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 전극과 연결되어 있는 스캔 라인 신호(SLn)가 하이 레벨로 전환되면(S2 구간), 센싱 트랜지스터(T1)가 턴 온 되며, 센싱 트랜지스터(T1)의 소스 전극과 연결되어 있는 전원 입력단(Vdd)을 통해 입력되는 전압을 통해 센싱 트랜지스터(T1)의 드레인 전극 전압(V1)이 상승하게 된다.
증폭 트랜지스터(T2)의 소스 전극 역시, 전원 입력단(Vdd)과 연결되어 입력 전압을 전달받게 된다. 이때, 증폭 트랜지스터(T2)의 게이트 전압(V1)과 소스 전극의 관계가 증폭 트랜지스터(T2)의 문턱 전압을 넘어서지 못하게 설계가 되어 있으므로, 증폭 트랜지스터(T2)의 드레인 전극에서 검출 트랜지스터(T3)로 넘어가는 전류가 존재하지 않아, 리드아웃 라인(RL)에서도 전류가 검출되지 않는다(S2 구간).
다음으로, 손가락이 접촉 센서(SN)에 접촉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손가락 지문의 골(valley)이 접촉 센서(SN)에 접촉되는 경우와, 융선(ridge)이 접촉되는 경우를 나누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손가락의 골 또는 융선이 접촉 센서(SN)에 접촉됨에 따라, 접촉 수단과 접촉 센서(SN) 내 화소 전극간에는 접촉 용량(C1)이 형성되게 되는데, 화소 전극에 골이 접촉되는 경우와 융선이 접촉되는 경우에 각각 상이한 크기의 접촉 용량(C1)이 형성되게 된다.
센싱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 전극과 연결되어 있는 스캔 라인(SLn)에 S2 구간에서 선택 신호가 인가됨에 따라, 센싱 트랜지스터(T1)이 턴 온되어 전원 입력단(Vdd)으로부터의 신호가 센싱 트랜지스터(T1)의 드레인 전극을 통해 전달되며, 이에 따라 접촉 용량(C1)이 충전되게 된다.
접촉 용량(C1)이 형성되는 크기에 따라, 접촉 용량(C1)에 충전되는 전압(V1)의 크기가 상이하게 된다. 즉, 화소 전극과 지문의 골 또는 융선 과의 간격에 기초하여 지문의 골(valley)과 접촉 센서(SN)가 접촉되었을 경우가, 지문의 융선(ridge)과 접촉 센서(SN)가 접촉된 경우보다 형성되는 접촉 용량(C1)의 크기가 작다.
손가락 지문의 골이 화소 전극에 접촉하는 경우를 먼저 설명하면, 제1 스캔 라인(SLn)에 하이 신호가 인가될 때(S2), 센싱 트랜지스터(T1)의 소스 전극에서 드레인 전극으로 흐르는 전류에 의해 접촉 용량(C1)의 전위(V1)가 상승하게 된다. 이후, 제2 스캔 라인(SLn+1)에 하이 신호가 인가되면(S4), 검출 트랜지스터(T3)가 턴 온이 됨에 따라 증폭 트랜지스터(T2)의 소스 전극의 전위가 0으로 낮아지면서, 증폭 트랜지스터(T2)의 게이트와 소스간에 형성되는 기생용량에 의한 커플링으로 인하여 접촉 용량(C1)의 전위(V1)가 감소하게 된다. 또한, 제2 스캔 라인(SLn+1)에 하이 신호가 검출 트랜지스터(T3)의 게이트 전극에 인가됨에 따라(S4) 검출 트랜지스터(T3)가 턴 온 되어, 증폭 트랜지스터(T2)의 드레인 전극으로부터 흐르는 전류가 검출 트랜지스터(T3)의 드레인 전극을 통해 소스 전극으로 흘러, 리드아웃 라인(RL)에 최종적으로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 경우, 접촉 용량(C1)의 전위(V1_Valley)가 낮은 상태이므로, 리드아웃 라인(RL)에 흐르는 전류(RL_Valley)는 융선이 접촉한 경우(RL_Ridge)보다 작을 수 있다.
손가락 지문의 융선이 접촉 센서(SN)내 화소 전극에 접촉하는 경우를 설명하면, 제1 스캔 라인(SLn)에 하이 신호가 인가될 때(S2), 접촉 용량(C1)의 전위(V1)가 상승하게 되고, 접촉 용량(C1)의 크기가 골이 접촉하였을 경우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므로, 증폭 트랜지스터(T2)의 게이트와 소스간 기생용량에 의한 커플링이 일어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 접촉 용량(C1)의 전위(V1)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후, 제2 스캔 라인(SLn+1)에 하이 신호가 인가되면(S4), 검출 트랜지스터(T3)가 턴 온되어, 증폭 트랜지스터(T2)의 드레인 전극으로부터 흐르는 전류가 검출 트랜지스터(T3)의 소스 전극을 통해 드레인 전극으로 흘러, 리드아웃 라인(RL_Ridge)에서 검출되게 되지만, 증폭 트랜지스터(T2)의 게이트 전극 전위인 V1이 일정하게 유지되기 때문에(V1_Ridge), 골이 접촉하였을 경우보다 많은 량의 전류(RL_Ridge)가 흐르게 된다.
이후, 리드아웃 라인(RL)에 의해 검출된 전류 크기의 변화 패턴을 통해, 손가락 지문의 융선과 골 중에 어느 부분이 접촉하였는지를 알 수 있고, 변화 패턴이 발생하는 각 접촉 센서의 개수에 기초하여 접촉 면적 등이 판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스캔 라인에 신호가 인가될 때 센싱 트랜지스터(T1)에 의해 회로의 리셋이 수행되므로, 별도의 리셋 라인이 필요없는 장점이 존재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스캔 라인 외의 별도의 배선이 필요 없어 회로가 간단히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검출 트랜지스터(T3)의 게이트 전극과 연결된 스캔 라인에 선택 신호가 인가되는 경우, 해당하는 스캔 라인에는 다른 접촉 센서(SN)의 센싱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 전극 또한 연결되어 있으므로, 하나의 스캔 라인이 하나의 접촉 센서(SN)에 포함된 리드아웃 라인(RL)에서의 신호 검출과, 다른 접촉 센서(SN)에 포함된 센싱 트랜지스터(T1)의 동작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접촉 용량(C1)에 충전되는 전위(V1)의 변화에 따라 증폭 트랜지스터(T2)가 동작하게 되어, 전하 공유 회로에서 검출되는 신호가 작아지는 단점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투명 박막 트랜지스터와 투명 전극들이 이용되고, 단위 화소의 중심부에 개구부를 형성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구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210: 제1 기판
220: 박막 트랜지스터 층
230: 액정층
240: 컬러 필터층
250: 제2 기판
260: 커버 윈도우
270: 보호층
300: 센서 어레이 층
SN: 접촉 센서
SL: 스캔 라인
RL: 리드아웃 라인
Vdd: 전원 입력단

Claims (10)

  1. 단위 화소 마다 배치되는 접촉 센서를 포함하는 이미지 스캔 가능한 플렉서블 표시 장치로서, 상기 접촉 센서는,
    접촉 수단과의 접촉에 의해 접촉 용량을 형성하는 화소 전극;
    드레인 전극이 상기 접촉 용량이 형성되는 노드와 연결되며, 게이트 전극 및 소스 전극이 각각 선택 신호가 인가되는 제1 스캔 라인과 연결되는 센싱 트랜지스터;
    게이트 전극이 상기 센싱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과 연결되며, 소스 전극이 전원 입력단과 연결되는 증폭 트랜지스터; 및
    드레인 전극이 상기 증폭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과 연결되며, 게이트 전극이 선택 신호가 인가되는 제2 스캔 라인과 연결되고, 소스 전극이 상기 접촉 용량에 상응하는 전류를 검출하는 리드아웃 라인과 연결되는 검출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이미지 스캔 가능한 플렉서블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트랜지스터, 상기 증폭 트랜지스터 및 상기 검출 트랜지스터는 컬러 필터층의 단위 컬러 화소를 덮지 않도록 배치되고,
    상기 화소 전극은 상기 단위 컬러 화소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배치되는, 이미지 스캔 가능한 플렉서블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1 스캔 라인으로부터의 선택 신호에 의해 턴 온 되며, 소스 전극으로 인가되는 전원 입력단으로부터의 신호를 드레인 전극으로 전달시키는, 이미지 스캔 가능한 플렉서블 표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 트랜지스터는, 상기 접촉 용량에 충전된 전압에 따라 변화되는 전류를 생성하여 상기 검출 트랜지스터에 전달하는, 이미지 스캔 가능한 플렉서블 표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2 스캔 라인으로부터의 선택 신호에 의해 턴 온 되며, 상기 증폭 트랜지스터에 의해 생성되는 전류를 상기 리드아웃 라인에 전달하는, 이미지 스캔 가능한 플렉서블 표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캔 라인으로 인가되는 선택 신호는, 상기 제1 스캔 라인에 선택 신호가 인가되고 나서 인가되는, 이미지 스캔 가능한 플렉서블 표시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트랜지스터, 증폭 트랜지스터 및 검출 트랜지스터는 투명 박막 트랜지스터로 구성되어 컬러 필터층의 단위 컬러 화소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형성되는, 이미지 스캔 가능한 플렉서블 표시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스캔 라인에 선택 신호가 공급된 후 검출되는 상기 리드아웃 라인의 전류를 기초로 상기 접촉 센서 상부에 대한 접촉 여부, 접촉 상태를 판단하는, 이미지 스캔 가능한 플렉서블 표시 장치.
  9. 단위 화소 마다 배치되는 접촉 센서로 이루어진 센서 어레이층 및 단위 컬러 화소로 이루어진 컬러 필터층을 포함하는 이미지 스캔 가능한 플렉서블 표시 장치로서, 상기 접촉 센서는,
    접촉 수단과의 접촉에 의해 접촉 용량을 형성하고, 상기 단위 컬러 화소를 덮도록 배치되는 투명 화소 전극;
    제1 스캔 라인으로부터 선택 신호를 인가 받아, 입력 전원 신호를 상기 접촉 용량에 전달하는 센싱 트랜지스터; 상기 접촉 용량에 충전된 전압에 따라 변화하는 전류를 생성하는 증폭 트랜지스터; 및
    제2 스캔 라인으로부터 선택 신호를 인가 받아, 상기 전류를 검출하여 리드아웃 라인으로 전달하는 검출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센싱 트랜지스터, 상기 증폭 트랜지스터 및 상기 검출 트랜지스터는 상기 단위 컬러 화소를 덮지 않도록 배치되는, 이미지 스캔 가능한 플렉서블 표시 장치.
  10. 제1 선택 신호를 받아 턴 온 되는 센싱 트랜지스터를 통해, 화소 전극과 접촉 수단과의 사이에서 형성되는 접촉 용량을 충전시키는 단계;
    증폭 트랜지스터를 통해 상기 접촉 용량에 충전된 전압에 따라 변화하는 전류를 발생시키는 단계; 및
    제2 선택 신호를 받아 턴 온 되는 검출 트랜지스터를 통해 상기 발생된 전류를 검출하여, 접촉 센서 상부에 대한 접촉 여부 및 접촉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1020140190692A 2014-11-12 2014-12-26 이미지 스캔이 가능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20160056759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938,316 US9679182B2 (en) 2014-11-12 2015-11-11 Display apparatus capable of image scanning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15/589,010 US9864448B2 (en) 2014-11-12 2017-05-08 Display apparatus capable of image scanning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15/693,802 US9996179B2 (en) 2014-11-12 2017-09-01 Display apparatus capable of image scanning and driv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56873 2014-11-12
KR1020140156873 2014-11-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6759A true KR20160056759A (ko) 2016-05-20

Family

ID=56103863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0692A KR20160056759A (ko) 2014-11-12 2014-12-26 이미지 스캔이 가능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1020150044067A KR20160057285A (ko) 2014-11-12 2015-03-30 이미지 스캔 가능한 표시 장치
KR1020150157052A KR101748123B1 (ko) 2014-11-12 2015-11-10 이미지 스캔이 가능한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1020170046257A KR20170042532A (ko) 2014-11-12 2017-04-10 이미지 스캔이 가능한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4067A KR20160057285A (ko) 2014-11-12 2015-03-30 이미지 스캔 가능한 표시 장치
KR1020150157052A KR101748123B1 (ko) 2014-11-12 2015-11-10 이미지 스캔이 가능한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1020170046257A KR20170042532A (ko) 2014-11-12 2017-04-10 이미지 스캔이 가능한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70351364A1 (ko)
KR (4) KR20160056759A (ko)
CN (1) CN107111395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70360A (zh) * 2017-04-27 2017-09-15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屏及其制备方法、移动终端
CN108958533A (zh) * 2017-05-24 2018-12-07 三星显示有限公司 触摸传感器和包括该触摸传感器的显示装置
CN110060651A (zh) * 2019-06-06 2019-07-26 合肥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US10572043B2 (en) 2016-06-27 2020-02-25 Samsung Display Co., Ltd. Touch senso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CN111223897A (zh) * 2018-11-27 2020-06-02 三星显示有限公司 显示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3555B1 (ko) 2016-10-07 2024-05-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지문 인식 센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80046788A (ko) * 2016-10-28 2018-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지문 센서에 입력되는 노이즈를 감소시키는 장치
KR102616793B1 (ko) * 2016-11-15 2023-12-26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화면 제공 방법
KR20180081356A (ko) * 2017-01-06 2018-07-16 삼성전자주식회사 지문 이미지의 왜곡을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80085288A (ko) 2017-01-18 2018-07-26 삼성전자주식회사 지문 인식 기능을 가지는 전자 장치
KR20180087523A (ko) 2017-01-24 2018-08-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80088542A (ko) 2017-01-26 2018-08-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보안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보안 시스템
KR20180092055A (ko) 2017-02-08 2018-08-17 삼성전자주식회사 입력 감지를 위한 디스플레이 및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06897699B (zh) * 2017-02-24 2019-12-3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指纹识别器件、oled显示装置
KR102367813B1 (ko) * 2017-03-21 2022-03-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지문 센서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8803131B (zh) * 2017-04-26 2021-10-01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屏幕、屏幕背光控制方法及装置
KR102426008B1 (ko) 2017-05-15 2022-07-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력감지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모듈
CN107220630B (zh) * 2017-06-07 2021-09-0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基板及其驱动方法、显示装置
KR102395098B1 (ko) 2017-06-30 2022-05-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502761B1 (ko) * 2017-07-05 2023-02-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센서 픽셀, 지문 센서 및 그 구동 방법
KR102503174B1 (ko) * 2017-07-27 2023-02-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지문센서,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및 상기 지문센서의 구동방법
CN107958193B (zh) * 2017-08-17 2020-07-28 深圳信炜科技有限公司 显示模组及电子设备
KR102509610B1 (ko) 2017-11-08 2023-03-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지문 센서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KR102508978B1 (ko) 2017-11-09 2023-03-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감지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108171183B (zh) * 2018-01-02 2021-01-2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基板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和指纹识别方法
CN108258024B (zh) * 2018-01-29 2022-01-07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面板和显示装置
KR102435135B1 (ko) 2018-02-05 2022-08-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지문 센싱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555997B1 (ko) * 2018-02-14 2023-07-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싱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508724B1 (ko) 2018-02-14 2023-03-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지문 센싱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576093B1 (ko) * 2018-02-14 2023-09-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생체 정보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502541B1 (ko) 2018-02-21 2023-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생체 센서의 전극들 중에서 선택된 전극을 이용하여 생체 정보를 획득하는 전자 장치 및 제어 방법
US20190346944A1 (en) * 2018-05-10 2019-11-14 Sharp Kabushiki Kaisha Integrated active matrix touch panel with amplification
US10976855B1 (en) * 2018-06-27 2021-04-13 Facebook Technologies, Llc Flexible touch sensing assembly for detecting proximity of user to a controller device
CN110739327B (zh) * 2018-07-20 2022-06-0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阵列基板及其制造方法、显示装置
KR102542606B1 (ko) * 2018-09-21 2023-06-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화소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EP3637472A1 (en) 2018-10-08 2020-04-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panels and display devices including the same
US11409430B2 (en) * 2018-11-02 2022-08-09 Benjamin Firooz Ghassabian Screen stabilizer
TWI686735B (zh) * 2018-11-20 2020-03-0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整合型觸控顯示裝置及其驅動方法
KR102539064B1 (ko) * 2018-12-12 2023-06-01 삼성전자주식회사 도전성 패턴이 실장된 지문인식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TWI757198B (zh) 2018-12-27 2022-03-01 聯詠科技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及其指紋感測控制方法與指紋掃描控制方法
GB201903093D0 (en) 2019-03-07 2019-04-24 Touch Biometrix Ltd High resolution touch sensor apparatus and method
KR20200118270A (ko) * 2019-04-03 2020-10-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지문 감지 기능을 갖는 표시 장치,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214773B1 (ko) * 2019-05-14 2021-02-10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지문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KR20210000766A (ko) * 2019-06-25 2021-01-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초음파 감지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11844236B2 (en) 2019-07-12 2023-12-12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Functional panel, display device, input/output device, and data processing device
CN110426888A (zh) * 2019-07-23 2019-11-08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US11997766B2 (en) 2019-10-11 2024-05-28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Functional panel, display device, input/output device, and data processing device
CN110867165B (zh) * 2019-11-29 2021-10-15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US11244137B2 (en) * 2019-12-03 2022-02-08 Novatek Microelectronics Corp. Fingerprint sensing control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20210082682A (ko) * 2019-12-26 2021-07-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터치 구동 방법
JP7395368B2 (ja) * 2020-01-27 2023-12-11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電子機器
CN111477105B (zh) * 2020-04-02 2022-06-0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模组以及电子设备
WO2022107905A1 (ko) * 2020-11-18 2022-05-27 주식회사 바이오로그디바이스 노이즈 감소를 위한 지문 센싱 시스템
US11610426B2 (en) 2020-11-20 2023-03-21 Image Match Design Inc. In-glass fingerprint sensor and sensing circuit thereof
US11967172B2 (en) * 2020-11-20 2024-04-23 Image Match Design Inc. Biometric sensor device with in-glass fingerprint sensor
TW202236069A (zh) 2021-02-12 2022-09-16 瑞典商指紋卡阿娜卡敦Ip有限公司 具有電流控制的指紋感測系統
CN116030707A (zh) * 2021-10-26 2023-04-28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69417B2 (en) * 2006-07-12 2015-06-30 N-Trig Ltd. Hover and touch detection for digitizer
KR100846188B1 (ko) * 2006-08-08 2008-07-14 (주)멜파스 복수의 접촉 센서를 구비한 사용자 입력 장치, 및 상기장치로부터 사용자의 접촉을 감지하여 디지털 기기를제어하는 방법
JP5491043B2 (ja) * 2009-02-25 2014-05-14 京セラ株式会社 生体認証機能付きデータ処理装置
KR101073309B1 (ko) * 2009-11-24 2011-10-12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101136153B1 (ko) * 2010-02-19 2012-04-16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지문 인식 또는 멀티 터치가 가능한 센서 그리드 방식의 투명 패널 사용자 입력 장치, 사용자 지문 인식 방법, 및 사용자 터치 인식 방법
US20110310005A1 (en) * 2010-06-17 2011-12-2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tactless gesture recognition
US8781791B2 (en) * 2010-09-30 2014-07-15 Fitbit, Inc. Touchscreen with dynamically-defined areas having different scanning modes
WO2012090405A1 (ja) * 2010-12-28 2012-07-05 Necカシオ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入力装置、入力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電子機器
US9310940B2 (en) * 2011-01-17 2016-04-12 Pixart Imaging Inc. Capacitive touchscreen or touch panel with fingerprint reader
US20130069894A1 (en) * 2011-09-16 2013-03-21 Htc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a touch sensor thereof
KR20130118032A (ko) * 2012-04-19 2013-10-2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다기능 제공 방법 및 장치
US20130342468A1 (en) * 2012-06-20 2013-12-26 Chimei Innolux Corporation Method for determining touch location on a touch panel and touch panel module
CN103513808B (zh) * 2012-06-29 2016-09-07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触摸面板、触摸显示面板、触摸检测及显示方法
KR101902929B1 (ko) * 2012-07-25 2018-10-01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패널, 터치 스크린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CN103870772B (zh) * 2012-12-17 2017-08-08 国基电子(上海)有限公司 触摸屏电子装置及其控制方法
US9261991B2 (en) * 2013-05-28 2016-02-16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ulti-layered sensing with multiple resolutions
KR101432988B1 (ko) * 2014-04-02 2014-08-29 (주)이미지스테크놀로지 지문 인식 일체형 정전용량 터치스크린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72043B2 (en) 2016-06-27 2020-02-25 Samsung Display Co., Ltd. Touch senso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EP3264239B1 (en) * 2016-06-27 2020-10-21 Samsung Display Co., Ltd. Integrated touch display device capable of detecting fingerprint and applied touch pressure
CN107170360A (zh) * 2017-04-27 2017-09-15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屏及其制备方法、移动终端
CN107170360B (zh) * 2017-04-27 2020-03-2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屏及其制备方法、移动终端
CN108958533A (zh) * 2017-05-24 2018-12-07 三星显示有限公司 触摸传感器和包括该触摸传感器的显示装置
CN108958533B (zh) * 2017-05-24 2023-03-31 三星显示有限公司 触摸传感器和包括该触摸传感器的显示装置
CN111223897A (zh) * 2018-11-27 2020-06-02 三星显示有限公司 显示装置
CN110060651A (zh) * 2019-06-06 2019-07-26 合肥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7324A (ko) 2016-05-23
US20170351364A1 (en) 2017-12-07
CN107111395A (zh) 2017-08-29
KR101748123B1 (ko) 2017-06-28
KR20160057285A (ko) 2016-05-23
KR20170042532A (ko) 2017-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56759A (ko) 이미지 스캔이 가능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US9996179B2 (en) Display apparatus capable of image scanning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9891746B2 (en) Display apparatus capable of image scanning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9823771B2 (en) Display apparatus capable of image scanning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10909916B2 (en) OLED array substrate, OLED display panel, pixel circuit, driving method and method for fingerprint recognition using OLED display panel
US9704011B2 (en) Array substrate, driv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apparatus
US10698529B2 (en) Integrating capacitive sensing with an optical sensor
US10579195B2 (en) Optical-capacitive sensor panel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101281830B1 (ko) 멀티 터치 감지기능을 갖는 액정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KR101382557B1 (ko) 표시 장치
JP4567028B2 (ja) マルチタッチ感知機能を有する液晶表示装置とその駆動方法
KR102555180B1 (ko) 터치표시장치, 표시패널 및 일체형 스위치 소자
KR20180061539A (ko) 터치표시장치, 표시패널, 터치감지방법, 터치감지회로 및 구동회로
US20090122024A1 (en) Display Device Provided With Optical Input Function
KR102458529B1 (ko) 표시장치, 표시패널, 지문 감지 방법 및 이를 위한 회로
CN110796983B (zh) 一种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US11733798B2 (en) Touch sensing system and display system including the same
JP2017174013A (ja) 表示装置
KR20160056760A (ko) 이미지 스캔이 가능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20160056758A (ko) 이미지 스캔이 가능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JP4947805B2 (ja) 表示装置
JP2008268889A (ja) 液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