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6122A - 텔레매틱스를 이용한 긴급 구조 서비스의 수행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텔레매틱스를 이용한 긴급 구조 서비스의 수행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6122A
KR20160056122A KR1020140156106A KR20140156106A KR20160056122A KR 20160056122 A KR20160056122 A KR 20160056122A KR 1020140156106 A KR1020140156106 A KR 1020140156106A KR 20140156106 A KR20140156106 A KR 20140156106A KR 20160056122 A KR20160056122 A KR 201600561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quest message
message
information
telematics
recei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6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재윤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561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56122A/ko
Publication of KR201600561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61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16Personal emergency signalling and security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08B27/001Signalling to an emergency team, e.g. fireme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2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텔레매틱스 (Telemactic)를 이용한 긴급 구조 서비스의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긴급 구조 서비스의 제공 방법은, 텔레매틱스 단말이 텔레매틱스 서버로 제 1 구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텔래매틱스 서버로 제 2 구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콜센터로 통화를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텔레매틱스를 이용한 긴급 구조 서비스의 수행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A METHOD FOR PERFORMING EMERGENCY RESCUE SERVICE USING TELEMATICS}
본 발명은 텔레매틱스에 관한 것이다. 특히, 차량의 다양한 상태 정보를 텔레매틱스 단말에 수신하여 저장하고 긴급 상황이 발생한 경우에는 긴급 구조 서비스를 요청하여 처리하는 텔레매틱스를 이용한 긴급 구조 서비스의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텔레매틱스 (Telematic) 시스템은, 차량 내에 설치된 텔레매틱스 단말을 이용하여 운전자로 하여금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차량을 원격 진단하고, 무선 통신모뎀을 장착한 오토 PC로 교통 및 생활 정보, 긴급 구난 등 각종 정보를 이용할 수 있으며, 무선 전화 메시지, 음성 이메일을 주고 받는 텔레매틱스 서비스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텔레매틱스 (Telematics) 단말기는 이동 통신 방식과 위치 추적 방식과 인터넷을 접목하여 차량 사고 발생 또는 차량 도난 발생을 검출하고, 차량 운전 경로를 안내하며, 각종 기타 정보 등을 차량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차량용 텔레매틱스 시스템은 이동 통신과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을 사용하는 GPS를 기반으로 차량을 통해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운전자가 차량을 운행중에 사고가 발생하여 운전자가 사고에 직접적으로 대응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긴급 구조 서버와의 연결을 통하여 구조 서비스를 제공받는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운전 중 에어백 전개 등의 사고가 발생한 경우에 효율적으로 긴급 구조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는 텔레 매틱스를 이용한 긴급 구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상기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텔레매틱스 (Telemactic)를 이용한 긴급 구조 서비스의 제공 방법은, 텔레매틱스 단말이 텔레매틱스 서버로 제 1 구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텔래매틱스 서버로 제 2 구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콜센터로 통화를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을 한다. 여기서, 상기 상기 제 2구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는 최대 N회 반복될 수 있다.
상기 제 2 구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텔레매틱스 서버로부터 소정 시간 이내에 상기 제 1 구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였음을 지시하는 제 1 요청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또는 상기 텔레매틱스 서버로부터 제 1 구조 요청 메시지의 수신 실패를 지시하는 제 1 요청 실패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콜센터로 통화를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구조 요청 메시지가 N 회 반복 전송된 경우, 상기 텔레매틱스 서버로부터 소정 시간 이내에 상기 제 2 구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였음을 지시하는 제 2 요청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또는 상기 텔레매틱스 서버로부터 제 2 구조 요청 메시지의 수신 실패를 지시하는 제 2 요청 실패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텔레매틱스 (Telemactic)를 이용한 긴급 구조 서비스의 제공 방법은 상기 콜센터로부터 긴급 구조를 위한 정보를 요청하는 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정보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긴급 구조를 위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으로서 텔레매틱스를 이용한 긴급 구조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 장치를 제안한다. 상기 단말 장치는, 텔레매틱스 서버로 메시지를 송수신하고, 콜센터와 통화를 수행하는 통신부; 및 텔레매틱스 단말이 텔레매틱스 서버로 제 1 구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텔레매틱스 서버로 제 2 구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며 상기 콜센터로 통화를 요청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구조 요청 메시지를 최대 N회 반복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텔레매틱스 서버로부터 소정 시간 이내에 상기 제 1 구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였음을 지시하는 제 1 요청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또는 상기 텔레매틱스 서버로부터 제 1 구조 요청 메시지의 수신 실패를 지시하는 제 1 요청 실패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제 2 구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구조 요청 메시지가 N 회 반복 전송된 경우, 상기 텔레매틱스 서버로부터 소정 시간 이내에 상기 제 2 구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였음을 지시하는 제 2 요청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또는 상기 텔레매틱스 서버로부터 제 2 구조 요청 메시지의 수신 실패를 지시하는 제 2 요청 실패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콜센터로 통화를 요청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콜센터로부터 긴급 구조를 위한 정보를 요청하는 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정보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긴급 구조를 위한 정보를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긴급 구조를 위한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언급한 내용에서는 이하의 사항이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제 1 구조 요청 메시지는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 기반의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구조 요청 메시지는 SMS (Short Message Service)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긴급 구조를 위한 정보는, 사고의 위치 정보, 차량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운전 중 긴급 상황이 발생한 경우에 운전자는 효율적으로 긴급 구조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통신 환경이 열악한 상황에서 긴급 상황이 발생한 경우, 운전자는 직접 콜센터와의 연결을 통해 긴급 구조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되는, 첨부 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텔레매틱스를 이용한 긴급 구조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텔레매틱스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텔레매틱스를 이용한 긴급 구조 서비스 제공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긴급 구조 서비스 제공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을 소정 형태로 결합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특정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텔레매틱스를 이용한 긴급 구조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의 긴급 구조 시스템은 차량에 구비된 텔레매틱스 단말(10), GPS위성(20), 통신 시스템(30), 텔레매틱스 서버(40), 콜센터(50) 및 긴급 구조부(6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차량에 구비된 텔레매틱스 단말(10)은 차량 충돌에 의해 에어백이 전개되면 에어백 전개 신호가 텔레매틱스 단말 내의 제어부(11)로 전달되고, 이에 따라 텔레매틱스 단말 내의 제어부(11)가 이 에어백 전개 신호를 감지하게 된다. 제어부(11)가 에어백 전개 신호를 감지한 경우에는, CDMA 통신 서비스 또는 LTE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 시스템(30)를 통해 텔레매틱스 서버(40) 또는 콜센터(50)로 긴급 구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긴급 구조 요청 메시지는 사고 위치 정보, 사고 발생 정보 등을 포함한다.
만약, 차량 충돌로 인해 전원을 제공하는 메인 배터리가 탈거되어 전원을 공급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에는, 제어부(11) 및 통신부(16)는 동작이 정지되어 긴급 구조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알고리즘을 수행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보조 배터리를 사용하여 통신부(16)에서 직접 그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여 긴급 구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단말기(10)는 사고 또는 고객의 SOS 요청을 감지하여 텔레매틱스 서버(40) 또는 콜센터(50)와 상기 통신 시스템(30)을 통해 데이터 등의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10)는 차량 내의 데이터 버스 표준 (예를 들어, CAN 버스)에 따라 차량 내부 기기들과의 통신이 가능하다. 이러한 단말(10)은 차량 충돌 발생 시, 차량 내의 각종 센서 등이 차량 충돌을 감지하고, 충돌이 감지되면 해당 센서로부터 충돌 감지 메시지를 전송받는다. 단말(10)은 충돌 감지 메시지에 응답하여 차량 내부의 시스템으로부터 사고 발생에 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단말(10)은 해당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받은 사고 발생 정보들을 수집하여 우선적으로 텔레매틱스 서버(40)로 전송할 수 있다.
텔레매틱스 서버(40) 및 단말기 사이의 데이터 전송에 있어서, 단말기는 컴퓨팅 리소스가 적은 차량 단말이거나 스마트 폰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는 속도가 느린 데이터 통신을 제공한다. REST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방식은 범용 표준인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와 JSON (JavaScript Object Notation) 데이터가 결합된 구조로서, 웹페이지의 URL만 알면, 텔레매틱스 서버에서 제공되는 웹 페이지에 쉽게 접근할 수 있다. 한편, HTTP 기반의 메시지를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종래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빠르게 전송될 수 있으나, HTTP 기반의 메시지를 이용하기에 열악한 통신 환경의 경우, 다른 형식의 메시지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텔레매틱스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단말기 및 텔레매틱스 서버 간의 데이터 통신이 생성된 SMS(Short Message Service) 메시지에 의해 빠르고 간편하게 실행될 수 있다. 한 네트워크 상에서 데이터 전송이 간단하게 이루어져 시스템이 보다 안정적으로 구동된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30)은 텔레매틱스 단말(10), 텔레매틱스 서버(40), 콜센터(50), 긴급 구조부 (60)간의 데이터 송수신, 통화 연결, 메시지 송수신 등에 사용된다. 여기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은 무선 접속 시스템들인 IEEE 802 시스템, 3GPP 시스템, 3GPP LTE 및 LTE-A(LTE-Advanced)시스템 및 3GPP2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에 개시된 표준 문서들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30)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접속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텔레매틱스 서버(40)는 텔레매틱스 단말(10)로부터 상기 통신 시스템(30)을 통해 통해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다. HTTP 형식의 메시지인 경우는 데이터 채널을 이용한다. 상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는 사고 위치 정보 (GPS 정보), 차량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채널을 통해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수 없는 경우에는, SMS (Short Message Servece)를 통해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 (10)에 구비된 GPS에서는 위성에서 일정 시간 간격으로 차량의 위치를 수신하고, 시간 간격과 이동 거리로 주행속도를 계산하며, 무선 통신망을 통해 차량의 인식번호, 시각, 차량 위치, 주행 속도 등을 콜센터에 전송하게 된다.
상기 콜센터 (50)에서는 각 차량에서 전송되는 정보, 즉 인식번호, 차량 위치, 주행 속도 등을 이용하여 직접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타 업체에 이러한 정보를 제공하여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긴급 구조부 (60)에 상기 정보를 제공하여 운전자가 신속히 구조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에어백 장치와 연계되어 에이백 전개에 따른 전기적인 신호를 통해 자동으로 콜센터에 전송 가능한 상태에서, 응급 구조 상황 발생시 상담원과 유선을 통해 병원이나 경찰, 기타 서비스의 안내를 받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긴급 구조부 (60)는 긴급 구난 상황에서 구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병원, 119 구조대, 경찰 등의 유관 기관을 포함한다. 긴급 구조부(60)는 콜센터 (50)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수신하여 운전자에게 즉각적인 도움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의 구조 블록도를 예시한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텔레매틱스 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차량에 구비된 텔레매틱스 단말(10)은 제어부(11), 메모리(12), 이벤트 처리부(13), 위치 측정부(14), 메시지 처리부 (15), 통신부(16), 키입력부(17), 타이머(1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는 텔레매틱스 단말(10)의 전반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메모리(12)는 텔레매틱스 단말(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롬 (ROM)과 상기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램(RAM)을 포함하며, 위치 정보 처리부로부터 수신한 사고 위치 정보, 콜센터 전화 번호, 차량 식별 번호 (VIN), 속도 이력, 소유자 정보 등을 저장하는 플래시 메모리 (Flash Memory)를 더 포함한다.
상기 이벤트 처리부(13)는 차량 충돌 발생 시, 차량 내의 각종 센서 등이 차량 충돌을 감지하고, 충돌이 감지되면 해당 센서로부터 충돌 감지 메시지를 전송받는다. 여기서, 차량 충돌을 감지하는 센서는 에어백 시스템 내에 구비되어 에어백 작동시, 그 작동 개시를 충돌 감지 메시지로서 단말(10)에 전송한다. 상기 충돌 감지 메시지를 통해, 상기 긴급 구조 요청 시스템이 트리거링 된다. 또는 상기 긴급 구조 요청 시스템은 키입력부 (17)를 통해 운전자 등으로부터 긴급 구조 요청을 수신하여 트리거링될 수도 있다. 이벤트 처리부(13)는 상기 충돌 감지 메시지로부터 충돌을 감지하거나 운전자로부터 긴급 구조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메시지 처리부(15)에 긴급 구조 요청 메시지의 생성을 요청할 수 있다.
위치 측정부(14)는 상기 제어부(11)에 연결되고, 위치 정보를 결정하는 GPS 수신기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GPS 수신기는 안테나를 통해 3개 또는 4개의 GPS위성(20)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GPS 수신기는 수신한 신호를 프로세싱하여 자신의 위치를 삼각측량하여 경도 및 위도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형태로서, GPS 수신기가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고, 자신의 위치를 삼각측량하는 대신에 GPS 의사-범위, 즉 상대적인 시간도달과 같은 위치 정보를 단순히 저장할 수도 있다. GPS 수신기가 이동 차량 내에 있는 경우, 위치 측정 시스템은 또한 이동 속력 및 방향을 계산할 수도 있다.
상기 위치 측정부(14)는 또 다른 실시 형태로서, 예를 들어, 셀룰러 기지국과 같은 기지국으로부터의 수신 신호에 기초하여 삼각 측량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관측된 시차 (OTD; Observed Time-Difference) 방법에서는, 이동 장치가, 다수의 동기화된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신호의 상대적인 수신 시간을 측정하고, 그 정보 및 기지국의 위치로부터 위치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위치 측정부(14)에서 획득한 위치 정보는 메모리(12)에 저장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형태로서, GPS 와 OTD 기술을 조합할 수도 있다.
상기 메시지 처리부 (15)는 상기 에어백 전개로 인한 이벤트가 트리거링된 경우, 상기 텔레매틱스 서버(40)로 사고 위치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메시지는 HTTP 기반의 메시지일 수 있다. 또한, 상기 HTTP 기반의 메시지를 축약하여 SMS 형태로 변환할 수도 있다. 상기 SMS 메시지는 전송되는 데이터 크기가 작아져 시스템의 부하가 줄어드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SMS 메시지를 통해 빠르게 텔레매틱스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
이하 HTTP 기반의 메시지 및 HTTP 기반의 메시지를 SMS 형태의 메시지로 전환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메시지 처리부 (15)는 HTTP 기반의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긴급 구조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기 위해 HTTP 기반의 메시지가 생성될 수도 있고, HTTP 기반의 메시지에 포함되는 정보가 바로 축약된 메시지로 생성될 수도 있다. HTTP 기반의 메시지는 사용자가 텔레매틱스 서버로 요청하는 메소드 정보, URL, 헤더 정보 및 바디를 포함한다.
HTTP 기반의 메시지는 축약된 메시지로 생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축약된 형태의 메시지는 HTTP 기반의 메시지에 포함된 메소드 정보, URL, 헤더 정보 및 바디에 대한 고유한 정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HTTP 기반의 메시지에서 GET, POST, PUT 및 DELETE로 구현되는 메소드 정보들, 축약된 메시지에서는 각각 0, 1, 2 및 3으로 정의된다. 즉, 동일한 정보라도 축약된 메시지 내에서 HTTP 기반의 메시지와 다르게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메시지 처리부(15)는 축약된 메시지를 디플레이트 압축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이진 데이터로 변환한다. 디플레이트 압축 알고리즘뿐 아니라, HTTP 에서 이용되는 모든 데이터 압축 알고리즘들이 사용될 수 있다.
메시지 처리부(15)는 압축된 이진 데이터를 분할하여 분할된 패킷을 생성한다. 분할된 패밋은 헤더 및 바이너리 청크를 포함한다. 상기 헤더는 각 분할된 패킷의 조합 순서를 나타내고, 상기 바이너리 청크는 실제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포함한다. 상기 분할된 패킷들은 SMS 메시지 형태로 텔레매틱스 서버에 전송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SMS 방식에 따라 생성된 긴급 구조 요청 메시지는 SMS채널을 통해 텔레매틱스 서버(40)로 전송될 수 있고, 상기 HTTP 에 기반한 긴급 구조 요청 메시지는 데이터 채널을 통해 텔레매틱스 서버(40)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6)는 메시지 처리부(15)에서 생성된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콜센터(50)로 통화 (Call)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6)는 상기 통신 시스템(30)과 연결되어 텔레매틱스 서버(4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긴급 구조를 위해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하고 긴급 구조 요청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전송되는 메시지는 HTTP 기반의 메시지 또는 SMS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콜센터(50)로 통화 (Call)를 요청하고, 긴급 구조를 위해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운전자는 긴급 구조가 필요한 경우에 수동으로 키입력부(17)를 조정하여 긴급 구조 요청을 할 수 있다. 상기 운전자로부터 입력된 긴급 구조 요청은 상기 이벤트 처리부(13)에서 감지하여 상기 긴급 구조 시스템을 트리거링할 수 있다.
상기 타이머(18)는 상기 통신부(16)를 통해 긴급 구조 요청을 위한 제 1 구조 요청 메시지가 전송된 경우에 트리거링될 수 있다. 상기 타이머(18)가 구동되어 일정 시간 경과시까지 상기 텔레매틱스 서버로부터 응답이 없는 경우, 상기 메시지 처리부(14)는 축약된 형태의 제 2 구조 요청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타이머(18)는 상기 통신부(16)를 통해 긴급 구조 요청을 위한 제 2 구조 요청 메시지가 전송된 경우에 트리거링될 수 있다. 상기 타이머(18)가 구동되어 일정 시간 경과시까지 상기 텔레매틱스 서버로부터 응답이 없는 경우, 상기 통신부(16)는 상기 콜센터 (50)로의 구조 요청을 위한 통화 (Call)을 요청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텔레매틱스를 이용한 긴급 구조 서비스 제공하는 순서도이다.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10)에 포함된 이벤트 처리부(13)는 차량 사고 등을 원인으로 하는 에어백의 전개를 감지하거나 고객의 긴급 구조 요청 또는 고객의 SOS 요청을 감지한다. 상기 에어백 전개는 에어백 시스템에 내장된 센서를 이용하여 감지된다. 상기 에어백 시스템으로부터 충돌 감지 메시지를 수신하거나, 고객의 SOS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이벤트 처리부(13)에서 상기 긴급 구난 요청 방법이 트리거링될 수 있다.
S301단계에서, 이벤트 처리부(13)에서 상기 충돌 감지 메시지를 통해 상기 에어백의 전개를 감지하거나 고객의 SOS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메시지 처리부(14)에서 긴급 구조 서비스를 요청하기 위한 제 1 구조 요청 메시지를 텔레매틱스 서버(40)로 전송한다. 상기 제 1 구조 요청 메시지는 사고 위치 정보, 차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 정보는 차량 식별 번호 (VIN), 속도 이력, 소유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구조 요청 메시지는 HTTP 기반의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HTTP 기반의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 종래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빠르게 전송될 수 있다.
상기 텔레매틱스 서버(40)에서 상기 제 1 구조 요청 메시지를 성공적으로 수신한 경우, 상기 텔레매틱스 서버(40)는 콜센터(50)로 차량 정보, 사고 위치 정보 등을 전송한다. 상기 차량 정보 및 사고 위치 정보 등을 콜센터로 성공적으로 전송한 경우,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10)은 콜센터(50)로 통화를 요청할 수 있다. 사용자는 콜센터(50)와의 통화를 통해 상기 차량의 위치로부터 가까운 구조대들로부터 긴급 구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텔레매틱스 서버(40)에서 상기 제 1 구조 요청 메시지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지 못한 경우에는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10)로 수신 실패를 알리는 실패 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10)은 상기 수신 실패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일정 시간 동안 상기 실패 메시지의 수신이 없는 경우, 상기 제 1 구조 요청 메시지의 전송의 실패를 감지한 경우에는, 상기 제 1 구조 요청 메시지의 전송이 실패한 것으로 간주한다.
상기 제 1 구조 요청 메시지의 전송의 실패를 감지한 경우,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10)은 상기 제 1 구조 요청 메시지를 다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 1 구조 요청 메시지의 전송은 2회 이상 반복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제 1 구조 요청 메시지의 반복 전송이 모두 실패한 경우에는, S303 단계에서, 상기 제 1 구조 요청 메시지를 제 2 구조 요청 메시지로 전환하여 전송을 시도한다. 상기 제 2 구조 요청 메시지는 SMS 메시지를 포함한다.
상기 텔레매틱스 서버(40)에서 상기 제 2 구조 요청 메시지를 성공적으로 수신한 경우, 상기 텔레매틱스 서버(40)는 콜센터(50)로 차량 정보, 사고 위치 정보 등을 전송하고, S305 단계에서,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10)은 콜센터(50)와의 통화 연결을 시도한다. 상기 통화가 연결된 경우 상기 사용자는 콜센터의 상담원과의 통화를 통해, 상기 구조대로부터 긴급 구조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텔레매틱스 서버(40)에서 상기 제 2 구조 요청 메시지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지 못한 경우에는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10)로 수신 실패를 알리는 실패 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10)은 상기 수신 실패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일정 시간 동안 상기 실패 메시지의 수신이 없는 경우, 상기 제 2 구조 요청 메시지의 전송의 실패를 감지한 경우에는, 상기 제 2 구조 요청 메시지의 전송이 실패한 것으로 간주한다.
상기 제 2 구조 요청 메시지의 전송의 실패를 감지한 경우,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10)은 상기 제 2 구조 요청 메시지를 다시 전송한다. 또는, 상기 제 2 구조 요청 메시지의 전송은 전송 실패의 감지 여부와 무관하게 상기 텔레매틱스 서버에서 SMS 메시지의 수신을 성공할 때까지 반복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제 2 구조 요청 메시지의 전송은 상기 텔레매틱스 서버로부터 상기 긴급 구조 요청 수신의 완료를 알리는 수신 확인 메시지를 수신할 때까지 반복할 수 있다.
상기 도 3에 관한 설명에 따르면, 에어백 전개가 감지되거나 고객의 SOS 요청을 수신한 경우, 텔레매틱스 단말(10)은 텔레매틱스 서버(40)로 차량 정보 및 사고 위치 정보를 우선적으로 전송한다. 만약 제 1 구조 요청 메시지의 전송 실패 시, 최소 2회 이상 요청 메시지의 전송을 반복한다. 반복 전송이 실패한 경우, 제 2 구조 요청 메시지로 전환하여 전송이 성공할 때까지 반복적으로 제 2 구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동 통신망의 환경이 좋은 지역에서는 상기 성공적으로 긴급 구조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으나 이동 통신망의 환경이 열악한 경우에는 콜센터로의 통화 연결이 지연될 수 있다. 또한, 긴급 구조 요청 메시지의 전송이 실패하는 경우에는 긴급 구조 서비스를 제공받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하 반복 전송을 제한하고, 바로 콜센터로의 통화 연결을 시도하여 통화 연결을 통한 긴급 구조 서비스를 신속하게 제공받을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텔레매틱스를 이용한 긴급 구난 서비스의 순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벤트 처리부(13)에서 상기 긴급 구난 요청 서비스가 트리거링된 경우를 전제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S401단계에서, 이벤트 처리부(13)에서 상기 충돌 감지 메시지를 통해 상기 에어백의 전개를 감지하거나 고객의 SOS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메시지 처리부(14)는 긴급 구조 서비스를 요청하기 위한 제 1 구조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고 통신부(16)를 통해 텔레매틱스 서버(40)로 전송한다. 상기 제 1 구조 요청 메시지는 사고 위치 정보, 차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 정보는 차량 식별 번호 (VIN), 속도 이력, 소유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구조 요청 메시지는 HTTP 기반의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HTTP 기반의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 종래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빠르게 전송될 수 있다.
상기 텔레매틱스 서버(40)에서 상기 제 1 구조 요청 메시지를 성공적으로 수신한 경우, 상기 텔레매틱스 서버(40)는 콜센터(50)로 차량 정보, 사고 위치 정보 등을 전송한다. 상기 차량 정보 및 사고 위치 정보 등을 콜센터로 성공적으로 전송한 경우,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10)은 콜센터(50)로 통화를 요청할 수 있다. 사용자는 콜센터(50)와의 통화를 통해 상기 차량의 위치로부터 가까운 구조대들로부터 긴급 구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텔레매틱스 서버(40)에서 상기 제 1 구조 요청 메시지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지 못한 경우에는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10)로 수신 실패를 알리는 제 1 요청 수신 실패 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10)은 상기 제 1 요청 수신 실패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일정 시간 동안 상기 실패 메시지의 수신이 없는 경우, 상기 제 1 구조 요청 메시지의 전송의 실패를 감지한 경우에는, 상기 제 1 구조 요청 메시지의 전송이 실패한 것으로 간주한다.
상기 제 1 구조 요청 메시지의 전송의 실패를 감지한 경우,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10)은 상기 제 1 구조 요청 메시지를 반복하지 않고 제 1 구조 요청 메시지를 바로 제 2 구조 요청 메시지로 전환한다. 즉, S403 단계에서, 상기 제 1 구조 요청 메시지를 제 2 구조 요청 메시지로 전환하여 전송을 시도한다. 상기 제 2 구조 요청 메시지는 SMS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10)은 상기 제 2 구조 요청 메시지를 반복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 2 구조 요청 메시지의 전송은 N (N은 1보다 큰 정수) 회 반복될 수 있다. 상기 제 2 구조 요청 메시지는, 상기 제 2 구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의 수신 여부와 무관하게 상기 제 2 구조 요청 메시지의 전송이 성공하였음을 지시하는 상기 제 2 요청 완료 메시지를 수신할 때까지 최대 N회 반복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 2 구조 요청 메시지는 상기 제 2 구조 요청 메시지의 전송의 실패를 알리는 제 2 요청 실패 메시지를 상기 텔레매틱스 서버(20)로부터 수신한 경우에 반복 전송될 수도 있다. 상기 타이머에서 설정된 소정 시간 내에 상기 제 2 요청 실패 메시지 또는 상기 제 요청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에는, 상기 제 2 구조 요청 메시지의 전송이 실패한 것으로 간주하고 상기 제 2 구조 요청 메시지를 반복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N은 도 3에 관한 설명과 달리 효율적인 구조 서비스의 제공을 위해 일정 값 (예를 들어, N=2) 이내로 제한된다.
만약 N회의 반복 전송에도 불구 상기 제 2 구조 요청 메시지의 전송이 실패한 경우, S405 단계에서, 텔레매틱스 단말(10)은 통신부(16)를 통해 메모리(12)에 저장된 콜센터로 통화 연결을 시도한다.
상기 콜센터로의 통화가 연결된 경우, S407 단계에서,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10)은 상기 콜센터 (50)로부터 긴급 구조를 위한 정보 전송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다. 상기 정보 전송 요청 메시지는 차량 정보 및 사고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정보 전송 요청 메시지에 의해 요청되는 메시지는 HTTP 메시지 또는 SMS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S409 단계에서,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10)은 상기 콜센터(50)로부터의 상기 정보 전송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긴급 구조를 위한 정보를 포함한 제 3 메시지를 상기 콜센터(50)로 전송한다. 여기서 긴급 구조를 위한 정보는 HTTP 메시지 형식 또는 SMS 메시지 형식일 수 있다.
상기 콜센터(50)의 상담원은 상기 긴급 구조를 위한 정보를 통해 차량 정보 및 사고 위치 등을 파악하고, 추후 고객과의 통화를 통한 정확한 정보를 파악하여 긴급 구조부(60)로 긴급 구조를 요청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 또는 탑승자 등의 고객은 신속히 긴급 구조 서비스를 지원받을 수 있다.
도 3에 관한 방법에 의하면 상기 긴급 구조 서비스는 상기 텔레매틱스 서버(40)로 정보가 성공적으로 전송되어야지만 콜센터(40)와의 통화 연결이 가능하게 되어, 통신 환경이 열악한 경우에는 구조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도 4에서 제안하는 방법에 의하면 상기 제 3 메시지를 수신한 상담원은 통화 연결을 통해 사고 발생 또는 SOS 요청에 대하여, 사고 전후 차량의 상태 정보 및 탑승객 정보, 탑승객 안전벨트 장착 여부, 차량 전복 여부, 차량 위치 정보 등을 수집하여 긴급 구조 서비스 제공시 정확한 탑승객과 차량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으며, 운전자는 상담원과의 통화 연결을 통해 조속히 구조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특허 범위는 상기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균등 범위에도 미침은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4)

  1. 텔레매틱스 (Telemactic)를 이용한 긴급 구조 서비스의 제공 방법에 있어서,
    텔레매틱스 단말이 텔레매틱스 서버로 제 1 구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텔래매틱스 서버로 제 2 구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콜센터로 통화를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구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는 최대 N회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구조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구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텔레매틱스 서버로부터 소정 시간 이내에 상기 제 1 구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였음을 지시하는 제 1 요청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또는 상기 텔레매틱스 서버로부터 제 1 구조 요청 메시지의 수신 실패를 지시하는 제 1 요청 실패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구조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콜센터로 통화를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구조 요청 메시지가 N 회 반복 전송된 후 상기 텔레매틱스 서버로부터 소정 시간 이내에 상기 제 2 구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였음을 지시하는 제 2 요청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또는 상기 텔레매틱스 서버로부터 제 2 구조 요청 메시지의 수신 실패를 지시하는 제 2 요청 실패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구조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조 요청 메시지는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 기반의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구조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구조 요청 메시지는 SMS (Short Message Service)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구조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콜센터로부터 긴급 구조를 위한 정보를 요청하는 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정보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긴급 구조를 위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긴급 구조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 구조를 위한 정보는,
    사고의 위치 정보, 차량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구조 서비스 제공 방법.
  8. 텔레매틱스 (Telemactic)를 이용한 긴급 구조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 장치에 있어서,
    텔레매틱스 서버로 메시지를 송수신하고, 콜센터와 통화를 수행하는 통신부; 및
    텔레매틱스 단말이 상기 텔레매틱스 서버로 제 1 구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텔레매틱스 서버로 제 2 구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며 상기 콜센터로 통화를 요청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구조 요청 메시지를 최대 N회 반복하여 전송하는,
    단말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텔레매틱스 서버로부터 소정 시간 이내에 상기 제 1 구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였음을 지시하는 제 1 요청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또는 상기 텔레매틱스 서버로부터 제 1 구조 요청 메시지의 수신 실패를 지시하는 제 1 요청 실패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제 2 구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구조 요청 메시지가 N 회 반복된 후, 상기 텔레매틱스 서버로부터 소정 시간 이내에 상기 제 2 구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였음을 지시하는 제 2 요청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또는 상기 텔레매틱스 서버로부터 제 2 구조 요청 메시지의 수신 실패를 지시하는 제 2 요청 실패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콜센터로 통화를 요청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조 요청 메시지는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 기반의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구조 요청 메시지는 SMS (Short Message Service)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콜센터로부터 긴급 구조를 위한 정보를 요청하는 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정보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긴급 구조를 위한 정보를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 구조를 위한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긴급 구조를 위한 정보는,
    사고의 위치 정보, 차량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KR1020140156106A 2014-11-11 2014-11-11 텔레매틱스를 이용한 긴급 구조 서비스의 수행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600561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6106A KR20160056122A (ko) 2014-11-11 2014-11-11 텔레매틱스를 이용한 긴급 구조 서비스의 수행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6106A KR20160056122A (ko) 2014-11-11 2014-11-11 텔레매틱스를 이용한 긴급 구조 서비스의 수행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6122A true KR20160056122A (ko) 2016-05-19

Family

ID=56103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6106A KR20160056122A (ko) 2014-11-11 2014-11-11 텔레매틱스를 이용한 긴급 구조 서비스의 수행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5612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9695B1 (ko) * 2018-12-21 2020-05-12 주식회사 이에스피 초광대역 임펄스 레이더를 이용하여 차량 내 잔류 동승자를 감지하고 알리는 알림 방법
KR20200076080A (ko) * 2018-12-19 2020-06-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커넥티드 센터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6080A (ko) * 2018-12-19 2020-06-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커넥티드 센터 및 그 제어 방법
KR102109695B1 (ko) * 2018-12-21 2020-05-12 주식회사 이에스피 초광대역 임펄스 레이더를 이용하여 차량 내 잔류 동승자를 감지하고 알리는 알림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632347B (zh) 检测车辆处的车辆碰撞的方法和车辆远程信息处理设备
CN106990415B (zh) 改进车辆定位服务
US9716758B2 (en) Network-coordinated DRx transmission reduction for a network access device of a telematics-equipped vehicle
EP2831858B1 (en) Service of an emergency event based on proximity
CN101911140A (zh) 用于发射补充或修改数据的车辆紧急呼叫系统
US8892090B2 (en) System for providing voice communication
JP5089136B2 (ja) 車載緊急通報装置
JP5016363B2 (ja) 緊急事態要員に通知する、車両の緊急事態の警告を生成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関連する方法
CA2831520A1 (e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interactions with a vehicle
WO2011047708A1 (en) Emergency message generation and transmission
US20180020332A1 (en) Vehicular communication device
US20230126088A1 (en) Vehicle wi-fi access point detection and mitigation
US10363904B1 (en) System and method to detect telematics unit disconnection
CN111193995A (zh) 使用rfid的v2x通信系统
JP5038166B2 (ja) 車両緊急通報システム
CN110858959B (zh) 一种管理车辆处的短程无线通信srwc的方法
US20130273877A1 (en) Low Cost Automotive Accident Alert System
US11626022B2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detecting a dangerous road event and/or condition
KR20160056122A (ko) 텔레매틱스를 이용한 긴급 구조 서비스의 수행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20200296546A1 (en) Transmission/reception device, mobile terminal, and communication program
JP6381608B2 (ja) 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
KR101682896B1 (ko) Obd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의 사고시 연락 방법
WO2017140201A1 (zh) 一种事故处理方法及对应装置
KR20180012208A (ko) 사고 발생 통보를 위한 차량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US11943566B2 (en) Commun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