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6120A - 고온 발열용 마이크로웨이브 발열체 - Google Patents

고온 발열용 마이크로웨이브 발열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6120A
KR20160056120A KR1020140156104A KR20140156104A KR20160056120A KR 20160056120 A KR20160056120 A KR 20160056120A KR 1020140156104 A KR1020140156104 A KR 1020140156104A KR 20140156104 A KR20140156104 A KR 20140156104A KR 20160056120 A KR20160056120 A KR 201600561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generating
heating element
microwave
heat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6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3190B1 (ko
Inventor
정강희
Original Assignee
정강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강희 filed Critical 정강희
Priority to KR10201401561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3190B1/ko
Publication of KR20160056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61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3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31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stitution Of High-Frequency Hea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온 발열용 마이크로웨이브 발열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마이크로웨이브가 탄화규소를 포함한 발열체에 조사되어 발열하는 마이크로웨이브 발열체를 다수개의 발열조각패널로 형성하고 이를 서로 연결하여 넓은 면적으로 형성하되, 결합부분이 잘 떨어지지 않고, 고온에서도 크랙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 고온발열용 마이크로웨이브 발열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고온 발열용 마이크로웨이브 발열체에 의하면 하면접착부와 상면접착부가 면접촉할 수 있도록 접착부분을 형성하여 넓은 면적이 고온용 본드로 서로 접착되므로 접착부분이 잘 떨어지지 않고, 발열패널의 각 발열조각패널에 마이크로웨이브가 누출되지 않을 정도의 직경으로 다수개의 홀을 형성하여 열팽창을 흡수할 수 있어서 고온에서도 쉽게 크랙이 발생하지 않으며, 발열패널에 형성된 홀에 인해서 열기가 밖으로 배출되므로 몸체부의 내부로 역류가 발생하지 않아 마이크로웨이브 발열체에 영향을 주지 않는 등의 효과가 발생한다.

Description

고온 발열용 마이크로웨이브 발열체{MICROWAVE HEATER FOR HIGH DEGREE}
본 발명은 고온 발열용 마이크로웨이브 발열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마이크로웨이브가 탄화규소를 포함한 발열체에 조사되어 발열하는 마이크로웨이브 발열체를 다수개의 발열조각패널로 형성하고 이를 서로 연결하여 넓은 면적으로 형성하되, 결합부분이 잘 떨어지지 않고, 고온에서도 크랙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 고온발열용 마이크로웨이브 발열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열을 이용하여 제품을 가공하거나, 보온을 위해 열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열원으로 여러가지 종류의 히터를 사용하는데, 상기 히터는 발열체가 중요하게 된다.
종래에는 발열체로 전기저항을 이용하여 발생하는 열을 전달하는 세라믹히터, 화석연료를 이용한 버너 등을 열원으로 사용하고 있다.
최근에는 마이크로웨이브에 의해서 발열되는 발열체를 이용하여 열을 이용하는 마이크로웨이브 발열체가 개발되어 제공되고 있는데, 이러한 마이크로웨이브 발열체는 주로 평판구조로 형성되어 평판 전면에 고른 열이 발생하도록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한다.
상기 평판형 마이크로웨이브 발열체에 관한 기술은 실생활에 많이 활용되고 있는데, 연속식 건조기, 연속식 구이기 또는 제품제작 등에 많이 활용되고 있다.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발열체에 관한 기술은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09-0007780호에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의 마이크로웨이브 발열체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1) 발열체의 발열패널을 넓게 형성하기 위해서 다수개의 발열조각패널을 고온용 본드로 서로 접착하여 형성하는데, 이러한 접착부분이 고온에 의해서 쉽게 떨어져서 마이크로웨이브가 유출될 수 있다.
(2) 각 발열조각패널이 열팽창에 의해서 쉽게 크랙이 발생하여 마이크로웨이브가 누설될 수 있다.
(3) 발열체에서 발생하는 열기가 역류하여 도파관을 타고 마이크로웨이브 발진기에 영향을 주어 내구성을 떨어뜨린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마이크로웨이브발진기와; 상기 마이크로웨이브발진기에 연결되는 도파관과; 상기 도파관의 끝단에 연결되고, 도파관이 연결된 반대편이 개방된 박스형상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개방된 부분으로 완전하게 막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단열부재와; 상기 몸체부의 개방된 입구를 막을 수 있도록 다수개의 발열조각패널이 조립식으로 형성된 발열패널이 형성되되,
상기 각 발열조각패널은 탄화규소를 주원료로 사각형상의 판재로 형성되고, 상기 판재의 대응되는 양 모서리에 직각으로 절단된 결합부가 각각 형성되며, 상면의 연결된 두 변을 따라서 평면에서 볼 때 'ㄱ'자 형상으로 일정폭이 파진 하면접착부가 형성되고, 하면의 하면접착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저면에서 볼 때 'ㄱ'자 형상으로 일정폭이 파진 상면접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고온 발열용 마이크로웨이브 발열체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발생한다.
(1) 하면접착부와 상면접착부가 면접촉할 수 있도록 접착부분을 형성하여 넓은 면적이 고온용 본드로 서로 접착되므로 접착부분이 잘 떨어지지 않는다.
(2) 발열패널의 각 발열조각패널에 마이크로웨이브가 누출되지 않을 정도의 직경으로 다수개의 홀을 형성하여 열팽창을 흡수할 수 있어서 고온에서도 쉽게 크랙이 발생하지 않는다.
(3) 발열패널에 형성된 홀에 인해서 열기가 밖으로 배출되므로 몸체부의 내부로 역류가 발생하지 않아 마이크로웨이브 발열체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고온 발열용 마이크로웨이브 발열체의 개념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고온 발열용 마이크로웨이브 발열체의 발열조각패널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고온 발열용 마이크로웨이브 발열체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고온 발열용 마이크로웨이브 발열체의 발열조각패널의 결합개념도.
도 5는 평판의 홀의 위치와 크기에 따른 쉴드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6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고온 발열용 마이크로웨이브 발열체의 측단면도.
본 발명은 마이크로웨이브발진기(10)와; 상기 마이크로웨이브발진기(10)에 연결되는 도파관(20)과; 상기 도파관(20)의 끝단에 연결되고, 도파관(20)이 연결된 반대편이 개방된 박스형상의 몸체부(100)와; 상기 몸체부(100)의 개방된 부분으로 완전하게 막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단열부재(200)와; 상기 몸체부(100)의 개방된 입구를 막을 수 있도록 다수개의 발열조각패널(310)이 조립식으로 형성된 발열패널(300)이 형성되되,
상기 각 발열조각패널(310)은 탄화규소를 주원료로 사각형상의 판재로 형성되고, 상기 판재의 대응되는 양 모서리에 직각으로 절단된 결합부(312)가 각각 형성되며, 상면의 연결된 두 변을 따라서 평면에서 볼 때 'ㄱ'자 형상으로 일정폭이 파진 하면접착부(314)가 형성되고, 하면의 하면접착부(314)와 대응되는 위치에 저면에서 볼 때 'ㄱ'자 형상으로 일정폭이 파진 상면접착부(316)가 형성된다.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발진기(10)는 마그네트론으로 마이크로웨이브를 발생시키는 장비로 탄화규소(SiC)를 진동시킬 수 있는 주파수를 사용하는 수 메가헤르츠(Hz)에서 수 기가헤르츠(GHz)까지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도파관(20)은 마이크로웨이브발진기(10)에서 발생된 마이크로웨이브를 원하는 곳으로 이동시키는 관형태로 형성되고, 그 끝단은 몸체부(100)와 관통되어 형성된다.
상기 단열부재(200)는 열차단 효과가 좋은 유리섬유 등으로 형성되고, 2중 3중으로 형성되어, 발열패널(300)에서 발생되는 열이 몸체부(100)를 따라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100)는 일측의 가운데에 도파관(20)이 연통되고, 타측이 개방되고, 개방된 타측에 단열부재(200)가 삽입고정된다.
상기 몸체부(100)의 개방된 입구에는 발열패널(300)이 고정되는데, 상기 발열패널(300)은 탄화규소를 주성분으로 하여 사각형 판재의 형상의 다수개의 발열조각패널(310)을 서로 결합하여 형성한다.
상기 발열조각패널(310)은 사각형상의 판재의 대응되는 양 모서리에 직각으로 절단된 결합부(312)가 각각 형성되고, 상면의 연결된 두 변을 따라서 평면에서 볼 때 'ㄱ'자 형상으로 일정폭이 파진 하면접착부(314)가 형성되며, 하면의 하면접착부(314)와 대응되는 위치에 저면에서 볼 때 'ㄱ'자 형상으로 일정폭이 파진 상면접착부(316)가 형성된다.
상기 하면접착부(314)와 상면접착부(316)는 하나의 발열조각패널(310)과 인접하는 발열조각패널(310)이 서로 접착되는 면으로, 측면에서 볼 때 'ㄴ'자, 'ㄱ'자 형상으로 각각 파져서 형성된다.
상기 하면접착부(314)와 상면접착부(316)의 각각 변에 파진 넓이는 1~20mm 가 적당하고, 오히려 폭을 넓게 하게 되면 열응력에 의해서 크랙이 발생할 수 있고, 폭이 너무 좁으면 마이크로웨이브의 누출의 우려가 발생한다.
상기 발열조각패널(310)에는 다수개의 홀(320)이 형성되는데, 상기 홀(320)의 직경은 마이크로웨이브 발진기(10)에서 방사되는 마이크로웨이브의 파장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하여 마이크로웨이브는 통과할 수 없도록 형성된다.
상기 홀(320)의 직경의 크기는 1~10mm로 형성하는 것이 적당하고, 마이크로웨이브의 파장의 크기에 따라 설정한다.
상기 홀(320)의 크기와 배치에 따른 마이크로웨이브의 쉴드효과는
Figure pat00001
로 계산할 수 있는데, 쉴드효과가 50dB 미만으로 될 수 있도록 직경을 설정하면 된다.
상기 몸체부(100)의 내부에 형성되는 단열부재(200)는 일면이 발열패널(300)과 접착되도록 형성되거나, 10~50mm 이격되어 공기층을 형성함으로써 발열패널(300)에서 발생한 열이 몸체부(100)의 내부를 통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즉, 단열효과가 발생하도록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보일러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발진기(10)를 가동시키면 마이크로웨이브가 발진되고, 발진된 마이크로웨이브는 도파관(20)을 따라서 몸체부(100)의 내부로 조사된다.
이후, 몸체부(100)의 내부로 조사된 마이크로웨이브는 단열부재(200)를 통과하여 발열패널(300)에 조사되는데, 이때, 탄화규소의 분자를 진동시켜 열을 발생시킨다.
상기 발열패널(300)에 의해서 발생되는 열은 제품을 생산하기 위한 인고트를 녹이거나, 연속 건조기 등에 공급하는 열로 활용한다.
상기와 같이 각 발열조각패널(310)을 서로 넓은 면적으로 접착할 수 있으므로 넓은 면적의 발열패널(300)을 쉽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320)에 의해서 열응력을 흡수할 수 있으므로 크랙(crack)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어서 내구성 및 열효율을 최대로 끌어올릴 수 있다.
본 발명의 고온 발열용 마이크로웨이브 발열체는 약 1200℃ ~ 1600℃ 정도의 고온을 낼 수 있는 발열체를 말하는 것으로, 낮은 온도의 발열체를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고온 발열용 마이크로웨이브 발열체에 의하면 하면접착부와 상면접착부가 면접촉할 수 있도록 접착부분을 형성하여 넓은 면적이 고온용 본드로 서로 접착되므로 접착부분이 잘 떨어지지 않고, 발열패널의 각 발열조각패널에 마이크로웨이브가 누출되지 않을 정도의 직경으로 다수개의 홀을 형성하여 열팽창을 흡수할 수 있어서 고온에서도 쉽게 크랙이 발생하지 않으며, 발열패널에 형성된 홀에 인해서 열기가 밖으로 배출되므로 몸체부의 내부로 역류가 발생하지 않아 마이크로웨이브 발열체에 영향을 주지 않는 등의 효과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괄되는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10 : 마이크로웨이브 발진기 20 : 도파관
100 : 몸체부 200 : 단열부재
300 : 발열패널 310 : 발열조각패널
312 : 결합부 314 : 하면접착부
316 : 상면접착부 320 : 홀

Claims (6)

  1. 마이크로웨이브발진기와; 상기 마이크로웨이브발진기에 연결되는 도파관과; 상기 도파관의 끝단에 연결되고, 도파관이 연결된 반대편이 개방된 박스형상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개방된 부분으로 완전하게 막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단열부재와; 상기 몸체부의 개방된 입구를 막을 수 있도록 다수개의 발열조각패널이 조립식으로 형성된 발열패널이 형성되되,
    상기 각 발열조각패널은 탄화규소를 주원료로 사각형상의 판재로 형성되고, 결합부에 의해서 결합되도록 나뉘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 발열용 마이크로웨이브 발열체.
  2. 마이크로웨이브발진기와; 상기 마이크로웨이브발진기에 연결되는 도파관과; 상기 도파관의 끝단에 연결되고, 도파관이 연결된 반대편이 개방된 박스형상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개방된 부분으로 완전하게 막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단열부재와; 상기 몸체부의 개방된 입구를 막을 수 있도록 다수개의 발열조각패널이 조립식으로 형성된 발열패널이 형성되되,
    상기 각 발열조각패널은 탄화규소를 주원료로 사각형상의 판재로 형성되고, 상기 판재의 대응되는 양 모서리에 직각으로 절단된 결합부가 각각 형성되며, 상면의 연결된 두 변을 따라서 평면에서 볼 때 'ㄱ'자 형상으로 일정폭이 파진 하면접착부가 형성되고, 하면의 하면접착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저면에서 볼 때 'ㄱ'자 형상으로 일정폭이 파진 상면접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 발열용 마이크로웨이브 발열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면접착부와 상면접착부는 하나의 발열조각패널과 인접하는 발열조각패널이 서로 접착되는 면으로, 측면에서 볼 때 'ㄴ'자, 'ㄱ'자 형상으로 각각 파져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 발열용 마이크로웨이브 발열체.
  4.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조각패널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다수개의 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 발열용 마이크로웨이브 발열체.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하면접착부와 상면접착부가 가장자리로부터 파진 폭은 1~2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 발열용 마이크로웨이브 발열체.
  6.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형성되는 단열부재는 일면이 발열패널과 10~50mm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 발열용 마이크로웨이브 발열체
KR1020140156104A 2014-11-11 2014-11-11 고온 발열용 마이크로웨이브 발열체 KR1016831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6104A KR101683190B1 (ko) 2014-11-11 2014-11-11 고온 발열용 마이크로웨이브 발열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6104A KR101683190B1 (ko) 2014-11-11 2014-11-11 고온 발열용 마이크로웨이브 발열체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0584A Division KR101609680B1 (ko) 2016-01-04 2016-01-04 고온 발열용 마이크로웨이브 발열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6120A true KR20160056120A (ko) 2016-05-19
KR101683190B1 KR101683190B1 (ko) 2016-12-07

Family

ID=56103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6104A KR101683190B1 (ko) 2014-11-11 2014-11-11 고온 발열용 마이크로웨이브 발열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31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8903A (ko) * 2018-10-31 2020-05-08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직접 가열 방식의 마이크로파 열탈착 및 분해 설비 및 이를 이용한 폐목재로부터의 저탄소 친환경 소재 제조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4036B1 (ko) * 2006-10-30 2007-11-06 이호영 온돌 패널
KR20090007780U (ko) * 2008-01-28 2009-07-31 하태근 마이크로웨이브 히터와 히터를 이용한 오븐
CN201831715U (zh) * 2010-07-26 2011-05-18 刘冬舒 微波多用炉
KR20130034696A (ko) * 2011-09-29 2013-04-08 서승현 전파(고주파나 마이크로파)를 탄화규소 또는 탄소체(흑연,석탄, 금강석)에 발사하여 발생하는 열을 응용한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4036B1 (ko) * 2006-10-30 2007-11-06 이호영 온돌 패널
KR20090007780U (ko) * 2008-01-28 2009-07-31 하태근 마이크로웨이브 히터와 히터를 이용한 오븐
CN201831715U (zh) * 2010-07-26 2011-05-18 刘冬舒 微波多用炉
KR20130034696A (ko) * 2011-09-29 2013-04-08 서승현 전파(고주파나 마이크로파)를 탄화규소 또는 탄소체(흑연,석탄, 금강석)에 발사하여 발생하는 열을 응용한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8903A (ko) * 2018-10-31 2020-05-08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직접 가열 방식의 마이크로파 열탈착 및 분해 설비 및 이를 이용한 폐목재로부터의 저탄소 친환경 소재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3190B1 (ko) 2016-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161952A1 (en) Multi-zone grill cook area with thermal isolation
JP2008522758A5 (ko)
KR101683190B1 (ko) 고온 발열용 마이크로웨이브 발열체
JP2013187195A (ja) 高周波加熱装置
KR101609680B1 (ko) 고온 발열용 마이크로웨이브 발열체
KR20150029296A (ko) 전자파발열체에 의한 열공급장치
CN105795955B (zh) 电热烹饪器具
ATE278310T1 (de) Kochgerät mit glaskeramikkochfläche mit schnellkochzone
KR101599475B1 (ko) 고온 발열용 대형 마이크로웨이브 발열체
KR101609678B1 (ko) 고온 발열용 마이크로웨이브 발열체
CN104422280A (zh) 直接加热式金属熔解炉
CN102886281A (zh) 一种基于pmma及其它聚合物材质的微流控芯片的键合装置
ATE317628T1 (de) Kochsystem mit direkt beheizter glaskeramikplatte
CN205842726U (zh) 一种炉顶密封装置
EP2109343A3 (de) Elektrischer Flächenheizkörper
CN104312478B (zh) 封框胶组合物、显示装置、加热腔室及热固化装置
JP2013187194A (ja) 高周波加熱装置
CN102690047A (zh) 玻璃钢化用加热炉
CN201239012Y (zh) 电磁炉用电压力锅
CN105246183A (zh) 一种适用于粉体/易挥发物料的微波加热装置
JP6430877B2 (ja) マイクロ波照射装置、及び、マイクロ波照射方法
CN205747025U (zh) 电磁炉
CN107238119A (zh) 烹饪器具和加热盘
KR20120099906A (ko) 유체용 연속 히터장치
JPS63239164A (ja) セラミックスの接合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