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6080A - 길이가 조절되는 버스바 - Google Patents
길이가 조절되는 버스바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56080A KR20160056080A KR1020140156020A KR20140156020A KR20160056080A KR 20160056080 A KR20160056080 A KR 20160056080A KR 1020140156020 A KR1020140156020 A KR 1020140156020A KR 20140156020 A KR20140156020 A KR 20140156020A KR 20160056080 A KR20160056080 A KR 2016005608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us bar
- wire
- connecting wire
- length
- fix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14—Rails or bus-bars constructed so that the counterparts can be connected thereto at any point along their length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Landscapes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길이가 조절되는 버스바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길이가 조절되는 버스바는, 제1 버스바와, 제2 버스바와, 제1 버스바와 제2 버스바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와이어를 포함하되, 제1 버스바와 제2 버스바 중 적어도 하나는, 몸체와, 몸체의 내측으로 만입되어 형성되며 연결와이어의 일단부가 수용되는 와이어 수용부와, 몸체의 외측으로부터 와이어 수용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고정부 삽입홈과, 고정부 삽입홈에 삽입되며 연결와이어를 가압하여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연결와이어는 와이어 수용부에 삽입되는 길이를 조절하여 제1 버스바와 제2 버스바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길이가 조절되는 버스바는, 제1 버스바와, 제2 버스바와, 제1 버스바와 제2 버스바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와이어를 포함하되, 제1 버스바와 제2 버스바 중 적어도 하나는, 몸체와, 몸체의 내측으로 만입되어 형성되며 연결와이어의 일단부가 수용되는 와이어 수용부와, 몸체의 외측으로부터 와이어 수용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고정부 삽입홈과, 고정부 삽입홈에 삽입되며 연결와이어를 가압하여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연결와이어는 와이어 수용부에 삽입되는 길이를 조절하여 제1 버스바와 제2 버스바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길이가 조절되는 버스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적으로 연결된 두 개의 버스바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버스바의 전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가 조절되는 버스바에 관한 것이다.
버스바(bus-bar)는 전기 에너지를 전달하는 매개체로서, 같은 부피의 도체로 더 많은 전기 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어 케이블(cable)의 대체품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버스바는 일반적으로 판 형상의 금속편으로 이루어지며, 접속부위에 용접 또는 기계적으로 체결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러나, 종래의 버스바는 길이가 일정하게 고정되어 있어, 접속부위 사이의 간격이 너무 넓거나 반대로 너무 좁은 경우 적용하는 데 한계가 있다. 또한, 동일 평면 상에 존재하는 접속부위의 연결에만 적용이 가능하여, 다른 평면 상에 존재하는 접속부위의 연결에는 적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기적으로 연결된 두 개의 버스바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버스바의 전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가 조절되는 버스바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길이가 조절되는 버스바는, 제1 버스바와, 제2 버스바, 및 상기 제1 버스바와 상기 제2 버스바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와이어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버스바와 상기 제2 버스바 중 적어도 하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측으로 만입되어 형성되며 상기 연결와이어의 일단부가 수용되는 와이어 수용부와, 상기 몸체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와이어 수용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고정부 삽입홈과, 상기 고정부 삽입홈에 삽입되며 상기 연결와이어를 가압하여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와이어는 상기 와이어 수용부에 삽입되는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제1 버스바와 상기 제2 버스바 사이의 간격을 조절한다.
상기 와이어 수용부는 상기 연결와이어가 삽입되는 입구 측에 형성된 통로부와, 상기 통로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통로부보다 폭이 크게 확장된 확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와이어는 상기 확장부에 위치하는 일 측이 상기 통로부의 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몸체를 관통하여 일단부가 상기 연결와이어와 접하는 고정볼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와이어와 접하는 말단부에 접촉저항이 작은 통전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전부재는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부가 상기 연결와이어를 가압하는 압력에 의해 변형될 수 있다.
상기 통전부재는, 점성을 갖는 전도성유체와, 상기 전도성유체를 수용하는 유연한 재질의 탄성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 삽입홈은 상기 와이어 수용부와 접하는 끝단부의 직경이 입구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며, 상기 연결와이어와 접하는 면이 상기 끝단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통전부재를 수용하는 통전부재 수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전부재는 상기 연결와이어와 상기 몸체 사이를 접착하는 전도성 접착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적으로 연결된 두 개의 버스바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버스바의 전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접속부위의 간격에 따라 버스바의 전체 길이를 조절하여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두 개의 버스바가 굴절 가능한 와이어에 의해 연결되므로, 동일 평면 상에 존재하는 접속부위뿐만 아니라 다른 평면 상에 존재하는 접속부위들도 서로 연결할 수 있어 다양한 사용처에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길이가 조절되는 버스바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길이가 조절되는 버스바를 A-A' 선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고정부가 연결와이어를 가압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길이가 조절되는 버스바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길이가 조절되는 버스바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길이가 조절되는 버스바를 A-A' 선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고정부가 연결와이어를 가압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길이가 조절되는 버스바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길이가 조절되는 버스바의 사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길이가 조절되는 버스바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길이가 조절되는 버스바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길이가 조절되는 버스바(1)는 전기 에너지를 전달하는 매개체로서, 대용량의 전기 에너지 전송이 요구되는 사용처에 적용될 수 있다. 길이가 조절되는 버스바(1)는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버스바(10)와 제2 버스바(20) 사이의 간격 조절이 가능하여, 접속부위의 간격에 따라 버스바 전체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1 버스바(10)와 제2 버스바(20)가 연결와이어(30)에 의해 연결되므로, 동일 평면 상에 존재하는 접속부위뿐만 아니라 다른 평면 상에 존재하는 접속부위들도 서로 연결할 수 있어 다양한 사용처에 적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길이가 조절되는 버스바(1)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길이가 조절되는 버스바를 A-A' 선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고정부가 연결와이어를 가압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길이가 조절되는 버스바(1)는 제1 버스바(10)와 제2 버스바(20), 및 적어도 하나의 연결와이어(30)를 포함한다.
제1 버스바(1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방형의 판상 부재로, 일 측이 제1 접속부위(도시되지 않음)에 용접 또는 기계적으로 체결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버스바(10)의 타 측에는 제2 버스바(20)가 위치한다.
제2 버스바(20)는 제1 버스바(10)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방형의 판상 부재로, 제1 버스바(10)와 대향되는 일 측이 제2 접속부위(도시되지 않음)에 용접 또는 기계적으로 체결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 버스바(10)와 제2 버스바(20)는 일 측이 각각 제1 접속부위와 제2 접속부위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두 접속부위 사이에 배치되며, 적어도 하나의 연결와이어(30)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연결와이어(30)는 일정한 길이를 갖는 와이어 또는 케이블 부재로, 일단부가 제1 버스바(10)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제2 버스바(20)에 연결된다. 연결와이어(30)가 제1 버스바(10)와 제2 버스바(20)를 서로 연결함으로써, 제1 버스바(10)가 연결된 제1 접속부위와 제2 버스바(20)가 연결된 제2 접속부위가 서로 통전될 수 있다. 연결와이어(30)는 복수 개로 형성되어 제1 버스바(10)와 제2 버스바(20)의 통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단부가 제1 버스바(10)와 제2 버스바(20) 중 적어도 하나의 내측으로 수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연결와이어(30)는 단부가 제1 버스바(10)와 제2 버스바(20) 중 적어도 하나의 내측으로 수용되어, 제1 버스바(10)와 제2 버스바(2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제1 버스바(10)와 제2 버스바(20) 중 적어도 하나는 몸체(11)와, 와이어 수용부(12)와, 고정부 삽입홈(13), 및 고정부(14)를 포함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연결와이어(30)가 제1 버스바(10)의 내측으로 수용되는 구조를 보다 중점적으로 설명한다.
제1 버스바(10)는 몸체(11)와, 와이어 수용부(12)와, 고정부 삽입홈(13), 및 고정부(14)를 포함한다.
몸체(11)는 제1 버스바(10)의 본체를 형성하는 것으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방형의 판상 부재로 형성된다. 몸체(11)는 전도체로 형성되며, 내부에 와이어 수용부(12)가 형성된다.
와이어 수용부(12)는 연결와이어(30)의 일단부가 수용되는 공간으로, 몸체(11)의 내측으로 만입되어 형성된다. 와이어 수용부(12)는 몸체(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만입되어 형성되며, 통로부(12a)와 확장부(12b)를 포함한다. 통로부(12a)는 연결와이어(30)가 삽입되는 입구 측에 형성되며, 확장부(12b)는 통로부(12a)로부터 연장되어 통로부(12a)보다 폭이 크게 확장 형성된다. 연결와이어(30)는 확장부(12b)에 위치하는 일 측이 통로부(12a)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므로, 확장부(12b)로부터 이탈하지 않고 통로부(12a)에 수용된 상태로 확장부(12b) 내에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즉, 연결와이어(30)는 와이어 수용부(12), 특히, 확장부(12b)에 삽입되는 길이를 조절하여 제1 버스바(10)와 제2 버스바(2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한다. 예를 들어, 확장부(12b)에 삽입되는 연결와이어(30)의 길이가 증가할수록 제1 버스바(10)와 제2 버스바(20)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며, 확장부(12b)에 삽입되는 연결와이어(30)의 길이가 감소할수록 제1 버스바(10)와 제2 버스바(20) 사이의 간격이 넓어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와이어(30)는 확장부(12b)에 위치하는 일 측이 통로부(12a)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므로, 확장부(12b)로부터 이탈하지 않고 확장부(12b)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몸체(11)의 일 측에는 고정부 삽입홈(13)이 형성된다. 고정부 삽입홈(13)은 후술할 고정부(14)가 삽입되는 공간으로, 몸체(11)의 외측으로부터 와이어 수용부(12), 특히, 통로부(12a)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부 삽입홈(13)은 몸체(11)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고정소켓(131)의 내측에 형성되어 몸체(11)의 외측과 통로부(12a)를 연통한다. 고정소켓(131)은 고정부 삽입홈(13)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된 통 형상의 부재로, 전도체로 형성되어 외측면이 몸체(11)에 고정 결합된다. 도면 상에는 고정소켓(131)이 몸체(11)의 상면 또는 하면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고정소켓(131)은 몸체(11)의 측면을 관통하여 결합될 수도 있다. 고정소켓(131)의 내부, 즉, 고정부 삽입홈(13)에는 고정부(14)가 삽입된다.
고정부(14)는 연결와이어(30)를 가압하여 고정하는 것으로, 고정볼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부(14)는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며, 몸체(11)를 관통하여 일단부가 통로부(12a)에 수용된 연결와이어(30)와 접할 수 있다. 즉, 고정부(14)에 형성된 나사산과 고정소켓(131)의 고정부 삽입홈(13)에 형성된 나사산이 서로 나사 결합함에 따라, 고정부(14)는 고정소켓(131)에 체결되어 연결와이어(30)와 접하게 된다. 고정부(14)가 연결와이어(30)를 가압함으로써, 요구되는 간격에 맞추어 길이가 조절된 연결와이어(30)를 고정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그러나, 고정부(14)가 고정소켓(131)을 통해 몸체(11)에 고정되는 것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고정부(14)는 몸체(11)에 직접 고정될 수도 있다. 고정부(14)가 몸체(11)에 직접 고정되는 경우, 고정부 삽입홈(13)은 몸체(11)를 직접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몸체(11)에 형성된 고정부 삽입홈(13)의 내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14)는 연결와이어(30)와 접하는 말단부에 접촉저항이 작은 통전부재(15)가 형성될 수 있다. 즉, 고정부(14)와 연결와이어(30) 사이에는 통전부재(15)가 개재된다. 통전부재(15)는 고정소켓(131)의 내부에 위치하며,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져 고정부(14)가 연결와이어(30)를 가압하는 압력에 의해 변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전부재(15)는 점성을 갖는 전도성유체(15b)와, 전도성유체(15b)를 수용하는 유연한 재질의 탄성막(15a)을 포함할 수 있다. 통전부재(15)가 전도성유체(15b)와 탄성막(15a)으로 형성됨으로써, 고정부(14)가 가압하는 압력에 의해 탄성막(15a)이 파열되어 내부에 수용된 전도성유체(15b)가 고정부(14)와 연결와이어(30) 사이로 침투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14)와 고정소켓(131)이 완전히 나사 결합하지 않은 경우, 통전부재(15)는 고정소켓(131)에 수용된 상태로 원래의 형상의 유지하며 고정부(14)의 말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그러나,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14)와 고정소켓(131)이 완전히 나사 결합한 경우, 통전부재(15)는 고정부(14)가 가압하는 압력에 의해 탄성막(15a)이 파열되어, 전도성유체(15b)가 고정소켓(131)과 연결와이어(30) 사이로 유출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부(14)와, 고정소켓(131)과, 몸체(11), 및 연결와이어(30)가 더욱 밀착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몸체(11)와 연결와이어(30)의 통전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고정소켓(131)의 내측에 형성된 고정부 삽입홈(13)은 와이어 수용부(12), 특히, 통로부(12a)와 접하는 끝단부의 직경이 입구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므로, 고정소켓(131)에 수용되었던 통전부재(15), 특히, 전도성유체(15b)는 고속고압으로 와이어 수용부(12)의 통로부(12a)에 유출될 수 있다. 통로부(12a)로 유출된 전도성유체(15b)는 몸체(11)와 연결와이어(30) 사이로 확산되어 몸체(11)와 연결와이어(30)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키며, 이로 인해, 통전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고정부 삽입홈(13)의 일 측에는 연결와이어(30)와 접하는 면이 와이어 수용부(12)와 접하는 끝단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통전부재 수용홈(13a)이 형성되므로, 통전부재(15)는 통전부재(15) 수용홈(13a)에 수용되어 확산 범위가 제한될 수 있다.
그러나, 통전부재(15)가 탄성막(15a)과 전도성유체(15b)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통전부재(15)는 변형 가능한 전도성 고체 또는 전도성 액체로 이루어져, 연결와이어(30)와 몸체(11) 사이를 접착하는 전도성 접착제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길이가 조절되는 버스바(1)의 동작에 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도 1의 길이가 조절되는 버스바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길이가 조절되는 버스바의 사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길이가 조절되는 버스바(1)는 연결와이어(30)가 제1 버스바(10) 또는 제2 버스바(2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길이를 조절하여, 제1 버스바(10)와 제2 버스바(2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접속부위의 간격에 맞추어 버스바 전체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1 버스바(10)와 제2 버스바(20)가 연결와이어(30)에 의해 연결되므로, 동일 평면 상에 존재하는 접속부위뿐만 아니라 다른 평면 상에 존재하는 접속부위들도 서로 연결할 수 있어 다양한 사용처에 적용할 수 있다.
먼저, 도 4의 (a)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접속부위의 간격이 좁은 경우, 제1 버스바(10)와 제2 버스바(20) 사이의 간격(A)을 좁게 배치할 수 있다.
제1 버스바(10)와 제2 버스바(20)는 일 측이 각각 접속부위에 연결되며, 몸체(11)와, 와이어 수용부(12)와, 고정부 삽입홈(13), 및 고정부(14)를 포함한다. 제1 버스바(10)와 제2 버스바(20)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와이어(30)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연결와이어(30)는 양단부가 각각 제1 버스바(10)와 제2 버스바(20)의 와이어 수용부(12)에 수용되며, 각각의 와이어 수용부(12)는 통로부(12a)와 확장부(12b)를 포함한다. 몸체(11)의 외측과 통로부(12a)를 연통하는 고정부 삽입홈(13)은 내부에 고정부(14)가 삽입되며, 고정부(14)의 말단부에는 통전부재(15)가 배치된다.
두 접속부위 사이의 간격이 좁은 경우, 와이어 수용부(12)에 삽입되는 연결와이어(30)의 길이를 증가시킨다. 즉, 제1 버스바(10)에 형성된 확장부(12b)와 제2 버스바(20)에 형성된 확장부(12b)에 삽입되는 연결와이어(30)의 길이를 각각 증가시켜, 제1 버스바(10)와 제2 버스바(20) 사이의 간격(A)을 좁게 배치할 수 있다. 요구되는 접속부위의 간격에 맞추어 제1 버스바(10)와 제2 버스바(20)의 간격(A)이 조절되면, 고정부 삽입홈(13)에 고정부(14)를 나사 결합한다. 이 때, 고정부(14)가 연결와이어(30)를 가압하는 압력에 의해 통전부재(15)의 탄성막(15a)은 파열되며, 이로 인해, 내부에 수용된 전도성유체(15b)는 고정부(14)와 고정소켓(131)과, 연결와이어(30) 사이로 침투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부(14)와, 고정소켓(131)과, 몸체(11), 및 연결와이어(30)가 더욱 밀착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몸체(11)와 연결와이어(30)의 통전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어서, 도 4의 (b)를 참조하면, 접속부위의 간격이 넓은 경우, 제1 버스바(10)와 제2 버스바(20) 사이의 간격(B)을 넓게 배치할 수 있다.
두 접속부위 사이의 간격이 넓은 경우, 와이어 수용부(12)에 삽입되는 연결와이어(30)의 길이를 감소시킨다. 즉, 제1 버스바(10)에 형성된 확장부(12b)와 제2 버스바(20)에 형성된 확장부(12b)에 삽입되는 연결와이어(30)의 길이를 각각 감소시켜, 제1 버스바(10)와 제2 버스바(20) 사이의 간격(B)을 넓게 배치할 수 있다. 연결와이어(30)는 확장부(12b)에 위치하는 양단부가 통로부(12a)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므로, 확장부(12b)로부터 이탈하지 않고 확장부(12b)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요구되는 접속부위의 간격에 맞추어 제1 버스바(10)와 제2 버스바(20)의 간격(B)이 조절되면, 고정부 삽입홈(13)에 고정부(14)를 나사 결합한다. 이 때, 고정부(14)가 가압하는 압력에 의해 탄성막(15a)이 파열되며, 이로 인해, 전도성유체(15b)가 고정부(14)와 고정소켓(131)과, 연결와이어(30) 사이로 침투되어 몸체(11)와 연결와이어(30)의 통전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제1 버스바(10)의 확장부(12b)에 삽입되는 연결와이어(30)의 길이와 제2 버스바(20)의 확장부(12b)에 삽입되는 연결와이어(30)의 길이를 서로 동일하게 하는 것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요구되는 접속부위의 간격에 따라 삽입되는 길이를 서로 다르게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길이가 조절되는 버스바(1)는 제1 버스바(10)와 제2 버스바(20)가 굴절 가능한 연결와이어(30)에 의해 연결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 평면 또는 동일 축 상에 존재하는 접속부위뿐만 아니라 다른 평면 또는 다른 축 상에 존재하는 접속부위들도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다. 즉,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접속부위가 서로 평행한 평면 또는 평행한 축 상에 존재하거나,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접속부위가 서로 수직한 평면 또는 수직한 축 상에 존재하는 경우에도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길이가 조절되는 버스바 10: 제1 버스바
11: 몸체 12: 와이어 수용부
12a: 통로부 12b: 확장부
13: 고정부 삽입홈 13a: 통전부재 수용홈
131: 고정소켓 14: 고정부
15: 통전부재 15a: 탄성막
15b: 전도성유체 20: 제2 버스바
30: 연결와이어
11: 몸체 12: 와이어 수용부
12a: 통로부 12b: 확장부
13: 고정부 삽입홈 13a: 통전부재 수용홈
131: 고정소켓 14: 고정부
15: 통전부재 15a: 탄성막
15b: 전도성유체 20: 제2 버스바
30: 연결와이어
Claims (7)
- 제1 버스바; 제2 버스바;
상기 제1 버스바와 상기 제2 버스바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와이어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버스바와 상기 제2 버스바 중 적어도 하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측으로 만입되어 형성되며 상기 연결와이어의 일단부가 수용되는 와이어 수용부와, 상기 몸체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와이어 수용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고정부 삽입홈과, 상기 고정부 삽입홈에 삽입되며 상기 연결와이어를 가압하여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와이어는 상기 와이어 수용부에 삽입되는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제1 버스바와 상기 제2 버스바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길이가 조절되는 버스바.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수용부는 상기 연결와이어가 삽입되는 입구 측에 형성된 통로부와, 상기 통로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통로부보다 폭이 크게 확장된 확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와이어는 상기 확장부에 위치하는 일 측이 상기 통로부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는 길이가 조절되는 버스바.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몸체를 관통하여 일단부가 상기 연결와이어와 접하는 고정볼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와이어와 접하는 말단부에 접촉저항이 작은 통전부재가 형성된 길이가 조절되는 버스바.
-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통전부재는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부가 상기 연결와이어를 가압하는 압력에 의해 변형되는 길이가 조절되는 버스바.
-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통전부재는,
점성을 갖는 전도성유체와, 상기 전도성유체를 수용하는 유연한 재질의 탄성막을 포함하는 길이가 조절되는 버스바. - 제4 항 또는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 삽입홈은 상기 와이어 수용부와 접하는 끝단부의 직경이 입구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며, 상기 연결와이어와 접하는 면이 상기 끝단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통전부재를 수용하는 통전부재 수용홈이 형성된 길이가 조절되는 버스바.
- 제4 항 또는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통전부재는 상기 연결와이어와 상기 몸체 사이를 접착하는 전도성 접착제인 길이가 조절되는 버스바.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56020A KR101652495B1 (ko) | 2014-11-11 | 2014-11-11 | 길이가 조절되는 버스바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56020A KR101652495B1 (ko) | 2014-11-11 | 2014-11-11 | 길이가 조절되는 버스바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56080A true KR20160056080A (ko) | 2016-05-19 |
KR101652495B1 KR101652495B1 (ko) | 2016-08-30 |
Family
ID=56103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56020A KR101652495B1 (ko) | 2014-11-11 | 2014-11-11 | 길이가 조절되는 버스바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52495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89032B1 (ko) | 2017-11-30 | 2019-06-13 | (주)뉴그린테크 | 내구성이 향상된 배전반 프레임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36689A (ko) * | 2007-10-10 | 2009-04-15 | 주식회사 포스코 | 미분탄 공급장치 |
KR100958725B1 (ko) * | 2009-08-21 | 2010-05-18 | (주)동신이에이 | 배전반용 부스바 연결클램프 |
KR20100085573A (ko) * | 2009-01-21 | 2010-07-29 | 삼성전자주식회사 | 로봇용 전원공급유닛 및 이를 갖는 로봇 |
KR20110011279U (ko) | 2010-05-31 | 2011-12-07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버스바 |
-
2014
- 2014-11-11 KR KR1020140156020A patent/KR10165249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36689A (ko) * | 2007-10-10 | 2009-04-15 | 주식회사 포스코 | 미분탄 공급장치 |
KR20100085573A (ko) * | 2009-01-21 | 2010-07-29 | 삼성전자주식회사 | 로봇용 전원공급유닛 및 이를 갖는 로봇 |
KR100958725B1 (ko) * | 2009-08-21 | 2010-05-18 | (주)동신이에이 | 배전반용 부스바 연결클램프 |
KR20110011279U (ko) | 2010-05-31 | 2011-12-07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버스바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52495B1 (ko) | 2016-08-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142238B2 (en) | Electrical connector for high temperature environments | |
US8672701B2 (en) | Cable connection device | |
US10811858B2 (en) | Dead-end shoe apparatus and methods of use thereof | |
ATE106316T1 (de) | Stromversorgungsverfahren für einen widerstand, schaltung dieser wirkung zum vorbringen und die schaltungsanwendungen. | |
US10276963B2 (en) | Two-piece electrical connector for joining foil conductors | |
KR101652495B1 (ko) | 길이가 조절되는 버스바 | |
CN107251325A (zh) | 用于电连接的插塞连接 | |
TW201133188A (en) | Power source device | |
CN207021400U (zh) | 一种导电夹 | |
JP5876514B2 (ja) | 電線接続用t形クランプ | |
US10044113B2 (en) | Two-way crimpless butt connector | |
CN109980445A (zh) | 接地电连接装置 | |
KR20150071696A (ko) | 철근 접지 결속장치 | |
CN203747053U (zh) | 一种电表导线连接装置 | |
KR20100008546A (ko) | 동축케이블 커넥터 | |
TWI579574B (zh) | 檢查用治具 | |
KR101750269B1 (ko) | 절연커버 일체형 케이블 커넥터 | |
US20190140368A1 (en) | Insulation piercing connector | |
RU206670U1 (ru) | Кабельный электрический соединитель | |
US7862386B2 (en) | Power connector and power supply cord set having such power connector | |
RU2359378C1 (ru) | Соединитель | |
CN207834590U (zh) | 连接件和具有该连接件的接线盒 | |
EP3029777A1 (en) | Electrical connection for medium and high voltage switchgears | |
US923071A (en) | Electrical connector. | |
EP3949033A1 (en) | An electrical connector for a bus ba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