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1279U - 버스바 - Google Patents

버스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1279U
KR20110011279U KR2020100005638U KR20100005638U KR20110011279U KR 20110011279 U KR20110011279 U KR 20110011279U KR 2020100005638 U KR2020100005638 U KR 2020100005638U KR 20100005638 U KR20100005638 U KR 20100005638U KR 20110011279 U KR20110011279 U KR 2011001127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bar
bar body
flow hole
width adjust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56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승현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000056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11279U/ko
Publication of KR2011001127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127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8Electrical distribution cen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5/00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6Clip-on terminal blocks for side-by-side rail- or strip-mounting
    • H01R9/2675Electrical interconnections between two blocks, e.g. by means of busba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6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support for line-connecting terminals within the box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버스바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버스바(30)는 버스바몸체(32)가 골격을 형성한다.상기 버스바몸체(32)의 일측에는 포크단자부(34), 탭단자부(36) 및 단자연결부(38) 등이 구비된다. 상기 버스바몸체(32)에는 그 폭을 조절하여 정격용량에 맞도록 할 수 있게 폭조절부(42)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버스바몸체(32)에는 또한 유동공(44)이 형성된다. 상기 유동공(44)은 공기가 유동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유동공(44)을 통해 공기가 유동됨에 의해 버스바몸체(32)에서 발생되는 열을 보다 효율적으로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폭조절부(42)를 형성하게 되면, 폭조절부(42)가 형성된 버스바몸체(32)의 부분이 정격용량에 맞도록 되어 재료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버스바{Busbar}
본 고안은 버스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정격용량에 맞춰 폭이 결정되고 열방출이 원활하게 될 수 있도록 된 버스바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차량이 고급화되고 차량 내부의 전기장치들이 복잡해짐에 따라 정션박스, 퓨즈박스 등 다양한 박스가 사용된다. 이와 같은 박스에는 전원연결을 위한 버스바가 사용된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퓨즈박스의 구성이 부분단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버스바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퓨즈박스(1)의 골격은 하우징(10)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0)은 일반적으로 합성수지를 사출성형하여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10)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버스바(20)를 비롯하여 퓨즈(미도시)나 릴레이(미도시)등 각종 부품이 장착된다.
상기 하우징(10)에는 버스바장착부(12)가 형성된다. 상기 버스바장착부(12)의 내측면에는 랜스(15)가, 상기 하우징(10)의 외측으로 돌출형성된다. 상기 랜스(15)는 상기 버스바장착부(12)에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버스바(20)의 일측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랜스(15)의 선단에는 걸이턱(15')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턱(15')은 아래에서 설명될 장착홈(23)이 삽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버스바장착부(12)의 내부에는 버스바(20)가 설치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버스바(20)의 상부에는 상기 퓨즈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부(21)가 형성된다.
상기 버스바(20)에는 장착홈(23)이 형성된다. 상기 장착홈(23)은 상기 랜스(15)의 걸이턱(15')이 삽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랜스(15)의 걸이턱(15')에 상기 장착홈(23)이 삽입됨으로써 상기 버스바(20)의 장착상태가 유지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버스바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버스바(20)는 버스바(20)의 해당부분을 통과하는 전류의 양에 상관없이 그 두께 및 폭이 설계되어 있다. 따라서, 필요없이 버스바(20)를 두껍게 하거나 폭을 넓게 하므로 인해 버스바(20)의 제조를 위한 비용이 많이 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버스바(20) 자체나 그 주변에서 발생하는 열의 방출을 위한 구성이 종래의 버스바(20)에는 형성되어 있지 않아 버스바(20) 자체 또는 그 주변의 열방출이 제대로 되지 않아 심한 경우 버스바(20)가 설치되는 버스바장착부(12)가 열에 의해 손상되는 경우도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버스바를 설계함에 있어 버스바의 정격용량을 고려하여 버스바의 폭을 달리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버스바 자체나 버스바 주변에서 발생하는 열의 방출을 보다 쉽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판상의 버스바몸체와, 상기 버스바몸체의 일측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단자부 및 단자연결부와, 상기 버스바몸체의 양측단에 각각 형성되어 해당되는 버스바몸체 부분의 정격용량을 설정하는 폭조절부와, 상기 버스바몸체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상기 버스바몸체부분에서 발생되는 열이나 그 주변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출하도록 하는 유동공이 형성된다.
상기 유동공은 블랭킹공법에 의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
상기 유동공은 피어싱공법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유동공의 가장자리에는 버어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유동공이 형성된 부분을 사이에 두고 버스바몸체의 양단에는 각각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스페이서요철이 인접하여 구비된다.
상기 폭조절부의 양측 단부는 버스바몸체를 평면도로 볼 때 경사지게 형성되어 버스바몸체에 급격한 형상변경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스페이서요철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된 것이 차례로 열을 지어 구비된다.
본 고안에 의한 버스바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먼저, 본 고안에 의한 버스바에서는 버스바의 폭을 버스바의 해당 부분의 정격용량에 맞게 설계할 수 있도록 폭조절부를 버스바의 폭방향 양단에 형성하므로 버스바를 제작함에 있어 필요없는 재료낭비를 줄일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는 버스바를 관통하여 공기가 유동될 수 있도록 유동공을 다수개 형성한다. 이와 같은 유동공은 버스바를 관통하여 공기가 유동할 수 있도록 하므로 버스바 자체의 발열이나 버스바 주변의 열을 보다 쉽게 제거할 수 있게 되어 버스바의 성능이 최적화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버스바가 채용되는 일반적인 박스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버스바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버스바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버스바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버스바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고안의 버스바(30)는 도전성 금속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버스바(30)의 골격을 버스바몸체(32)가 형성하는데, 상기 버스바몸체(32)는 판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버스바몸체(32)는 전체적으로 동일한 두께를 가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버스바몸체(32)의 일측에는 포크단자부(34)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포크단자부(34)가 있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다. 상기 포크단자부(34)가 연장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버스바몸체(32)에는 탭단자부(36)가 여러 개 형성된다. 상기 탭단자부(36)의 갯수는 설계조건에 따라 달라진다. 물론, 상기 포크단자부(34)와 탭단자부(36)의 위치 및 개수는 모두 설계조건에 따라 달라진다.
상기 버스바몸체(32)의 일측에는 또한 상기 포크단자부(34)나 탭단자부(36)의 연장방향으로 연장되게 단자연결부(38)가 연장된다. 상기 단자연결부(38)의 선단에는 볼트공(40)이 형성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단자연결부(36)의 선단이 단자(도시되지 않음)가 연결되는 방향에 따라 상기 탭단자부(36)의 연장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절곡되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버스바몸체(32)나 단자연결부(38) 등에는 버스바몸체(32)나 단자연결부(38) 등의 폭을 조절하기 위한 폭조절부(42)를 형성한다. 상기 폭조절부(42)는 상기 버스바몸체(32)(단자연결부(38)도 버스바몸체(32)의 일부분이므로 이하에서는 버스바몸체(32)로 통칭한다.)의 양단에 각각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버스바몸체(32)의 일부를 잘라내어 형성된다. 상기 폭조절부(42)의 길이와 폭은 상기 폭조절부(42)가 형성되는 버스바몸체(32) 부분의 용량에 따라 달라진다. 즉, 상기 폭조절부(42)를 형성함에 의해 만들어지는 버스바몸체(32)의 폭이 해당 부분의 정격용량에 맞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폭조절부(42)의 양단은 폭조절부(42)의 폭이 점차로 커지거나 작아지도록 평면도로 볼 때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는 폭조절부(42)에 의해 버스바몸체(32)에 급격한 치수 변화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버스바몸체(32)에는 다수개의 유동공(44)이 형성된다. 상기 유동공(44)은 상기 버스바몸체(32)를 관통하여 다수개가 인접하여 형성된다. 상기 유동공(44)은 상기 버스바몸체(32)를 관통하여 공기가 유동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유동공(44)을 통해 공기가 유동함에 의해 버스바몸체(32) 자체에서 발생하는 열이나 버스바몸체(32)의 주변에서 발생하는 열을 제거하기 위한 공기의 유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유동공(44)이 대략 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상기 유동공(44)의 형상은 다양한 형태, 즉 사각형, 마름모꼴, 오각형, 육각형 등으로 될 수 있다.
한편, 도 4에는 본 고안에 의한 버스바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은 100단위의 도면부호를 부여하였고, 편의를 위해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버스바몸체(132)에 폭조절부(142)를 형성하였고, 유동공(144)을 또한 형성하였다. 상기 유동공(144)은 본 실시예에서 피어싱공법을 사용하여 형성함에 의해 버스바몸체(132)의 일면으로 버어(146)가 돌출되게 형성한다. 상기 버어(146)는 상기 유동공(144)을 둘러 구비될 수 있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원형으로 연결되지 않고 일부분에서 분리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3의 실시예에서는 유동공(44)을 블랭킹공법을 사용하여 형성함에 의해 버어(146)의 발생을 방지하였다. 상기 버어(146)는 공기와 버스바몸체(132)의 접촉면적을 넓혀 열방출이 보다 원활하게 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버스바몸체(132)에는 스페이서요철(148)을 버스바몸체(132)의 양면으로 돌출되게 형성한다. 상기 스페이서요철(142)은 버스바장착부에서 버스바몸체(132)가 버스바장착부와의 사이에 일정한 틈새를 가질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스페이서요철(142)의 돌출정도 만큼의 틈새를 버스바몸체(132)와 버스바장착부사이에 형성하여 공기가 유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버스바몸체(132)와 버스바장착부 사이의 틈새 유지를 위해 상기 스페이서요철(148)은 인접하는 위치에 그 돌출방향이 서로 반대되는 것이 함께 있도록 되어야 하고 상기 유동공(144)이 형성된 양단에 각각 스페이서요철(148)이 다수개씩 형성되도록 한다. 이는 특히 상기 유동공(144)이 형성된 부분에서 버스바몸체(132)와 버스바장착부 사이의 틈새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돌출된 스페이서요철(148)이 교대로 열을 지어 형성되어 있고, 이와 같은 열이 상기 유동공(144)을 중간에 두고 양단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스페이서요철(148)이 반드시 열을 지어 형성될 필요는 없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형상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버스바가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의 버스바(30)는 박스 내의 버스바장착부 내에 위치된다. 상기 버스바(30)를 버스바장착부에 고정하기 위한 구성은 본 고안의 요지가 아니므로 도시 및 설명을 생략했다. 본 고안의 버스바(30)는 폭조절부(42)를 버스바몸체(32)에 형성함에 의해 버스바몸체(32)의 해당 부분을 정격용량에 맞도록 형성했다. 즉, 버스바몸체(32)의 폭을 정격용량에 상관없이 크게 함에 의해 재료를 낭비하는 것을 최소화했다.
그리고, 상기 버스바몸체(32)에 유동공(44)을 형성함에 의해 버스바몸체(32)를 관통하는 공기흐름이 형성될 수 있게 했다. 따라서, 상기 유동공(44)을 통해 공기가 유동되면서 버스바몸체(32) 자체나 그 주변에서 발생하는 열을 보다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게 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버스바몸체(132)가 버스바장착부 내에 보다 정확하게 설치될 수 있게 된다. 이는 상기 버스바몸체(132)에 스페이서요철(148)을 두었기 때문이다. 상기 스페이서요철(148)은 버스바몸체(132)의 양면과 버스바장착부 사이에서 일정한 틈새가 형성될 수 있도록 했다. 이와 같이 버스바몸체(132)의 양면과 버스바장착부 사이에 일정한 틈새가 형성되면 버스바몸체(132)의 양면 주변을 통해 공기의 유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스페이서요철(148)이 상기 유동공(144)이 형성된 양단에 각각 구비됨으로 인해 상기 유동공(144)이 형성된 부분의 버스바몸체(132)가 버스바장착부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상기 유동공(144)을 통한 공기의 유동이 보다 확실하게 일어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버스바몸체(132)를 관통하는 유동공(144)에는 버어가 구비되어 있어 상대적으로 공기와 버스바몸체(132)가 접촉하는 면적이 늘어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버스바몸체(132)에서 발생하는 열을 보다 신속하게 공기로 전달하여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면, 본 고안의 도시된 실시예에는 버스바몸체(32)에 폭조절부(42)와 유동공(44)이 형성된 것이 있고, 버스바몸체(132)에 폭조절부(142), 유동공(144), 버어(146) 및 스페이서요철(148)이 형성된 것이 있으나, 이들 구성요소의 다양한 조합이 가능하다. 즉, 폭조절부(42,142) 만이 형성되거나, 유동공(44,144)만이 형성되거나, 유동공(44)에 버어(146)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30: 버스바 32: 버스바몸체
34: 포크단자부 36: 탭단자부
38: 단자연결부 40: 볼트공
42: 폭조절부 44: 유동공
130: 버스바 132: 버스바몸체
134: 포크단자부 136: 탭단자부
138: 단자연결부 140: 볼트공
142: 폭조절부 144: 유동공
146: 버어 148: 스페이서요철

Claims (6)

  1. 판상의 버스바몸체와,
    상기 버스바몸체의 일측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단자부 및 단자연결부와,
    상기 버스바몸체의 양측단에 각각 형성되어 해당되는 버스바몸체 부분의 정격용량을 설정하는 폭조절부와,
    상기 버스바몸체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상기 버스바몸체부분에서 발생되는 열이나 그 주변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출하도록 하는 유동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공은 블랭킹공법에 의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공은 피어싱공법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유동공의 가장자리에는 버어가 돌출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공이 형성된 부분을 사이에 두고 버스바몸체의 양단에는 각각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스페이서요철이 인접하여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폭조절부의 양측 단부는 버스바몸체를 평면도로 볼 때 경사지게 형성되어 버스바몸체에 급격한 형상변경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요철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된 것이 차례로 열을 지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
KR2020100005638U 2010-05-31 2010-05-31 버스바 KR2011001127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5638U KR20110011279U (ko) 2010-05-31 2010-05-31 버스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5638U KR20110011279U (ko) 2010-05-31 2010-05-31 버스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1279U true KR20110011279U (ko) 2011-12-07

Family

ID=72886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5638U KR20110011279U (ko) 2010-05-31 2010-05-31 버스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11279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3222B1 (ko) * 2013-07-05 2014-08-25 영화테크(주) 차량용 정션박스의 버스바 장치
KR20160056080A (ko) 2014-11-11 2016-05-1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길이가 조절되는 버스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3222B1 (ko) * 2013-07-05 2014-08-25 영화테크(주) 차량용 정션박스의 버스바 장치
KR20160056080A (ko) 2014-11-11 2016-05-1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길이가 조절되는 버스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21255B2 (ja) 電気接続箱
JP5486993B2 (ja) ヒューズユニット
JP5892505B2 (ja) 板金部材、バスバ及びこのバスバを備えた電気接続箱
CN101552442B (zh) 汇流条安装组件
US10355465B2 (en) Reduced height relay block for vehicle power distribution device
US9236724B2 (en) Busbar unit
US9691580B2 (en) Fuse holder and configurable bus module for power distribution system
JP5753411B2 (ja) ヒューズユニット
US20160028195A1 (en) Fuse terminal for use with an electrical fuse assembly
KR20110011279U (ko) 버스바
US9172231B2 (en) Arrangement configuration of bus bars
JP6575767B2 (ja) 暗電流回路用ヒューズの断続構造
JP5286055B2 (ja) 電気接続箱
US20150280408A1 (en) Electrical junction box
US20160203936A1 (en) Affixed object, fusible link, and affixing structure for fusible link
JP2009165220A (ja) 電気接続箱
JP6211304B2 (ja) 電気接続箱
JP2011172394A (ja) バスバー付きプリント基板
US9142943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JP5760240B2 (ja) プラグイン分電盤
US20150102895A1 (en) Fuse, fuse box, and fuse device
KR200439684Y1 (ko) 컨덕터 베이스
JP2017097980A (ja) 配線モジュール
JP2017004874A (ja) 端子台
US20160288745A1 (en) Automotive fuse header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