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5598A - 단열재 결합이 용이한 금속기와 및 단열재와 금속 기와를 이용한 지붕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단열재 결합이 용이한 금속기와 및 단열재와 금속 기와를 이용한 지붕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5598A
KR20160055598A KR1020140155611A KR20140155611A KR20160055598A KR 20160055598 A KR20160055598 A KR 20160055598A KR 1020140155611 A KR1020140155611 A KR 1020140155611A KR 20140155611 A KR20140155611 A KR 20140155611A KR 20160055598 A KR20160055598 A KR 201600555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nding
long end
bent
longitudinal direction
ben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5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천지현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중앙강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중앙강재 filed Critical 유한회사 중앙강재
Priority to KR1020140155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55598A/ko
Publication of KR20160055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55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tiles, slates, shingles, or other small roofing elements
    • E04D1/28Roofing elements comprising two or more layers, e.g. for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tiles, slates, shingles, or other small roofing elements
    • E04D1/12Roofing elements shaped as plain tiles or shingles, i.e. with flat outer surface
    • E04D1/18Roofing elements shaped as plain tiles or shingles, i.e. with flat outer surface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tiles, slates, shingles, or other small roofing elements
    • E04D1/34Fastenings for attaching roof-covering elements to the suppor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tiles, slates, shingles, or other small roofing elements
    • E04D1/34Fastenings for attaching roof-covering elements to the supporting elements
    • E04D2001/3408Fastenings for attaching roof-covering elements to the suppor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astener type or material
    • E04D2001/3423Nails, rivets, staples or straps piercing or perforating the roof covering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of Covering Using Slabs Or Stiff She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열재 결합이 용이한 금속 기와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긴 단부; 상기 제1 긴 단부의 반대편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긴 단부; 상기 길이 방향에 교차하는 폭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 짧은 단부; 상기 제1 짧은 단부의 반대편에서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 짧은 단부; 상기 제1 긴 단부 근방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절곡부; 상기 제2 긴 단부 근방에서 하부로 돌출되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절곡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절곡부에는 제1 긴단부로부터 제2 긴 단부 방향을 향해 소정 길이만큼 절개된 제1 절개부가 형성된다.

Description

단열재 결합이 용이한 금속기와 및 단열재와 금속 기와를 이용한 지붕 시공 방법{Metal roof tile which can be easily coupled with insulator and roof installation method using insulator and the same}
본 발명은 단열재 결합이 용이한 금속기와 및 단열재와 금속 기와를 이용한 지붕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금속 기와는 내식성이 우수한 금속을 기와 모양으로 성형하여 이루어지며, 그 표면에 자연석 돌가루를 코팅하기도 한다. 돌가루가 코팅된 경우, 스톤 코티드 스틸 루프 타일(stone coated steel roof tile) 또는 스톤 코티드 스틸 루핑 타일(stone coated steel roofing tile)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사용되는 지역에 따라 금속 기와의 하부에는 방수시트 또는 단열재가 위치하기도 한다.
그런데, 금속 기와의 하부에 단열재가 설치되는 경우, 시공이 불편하고 시공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단열재 위에 금속 기와를 간단하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열재 결합이 용이한 금속 기와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긴 단부; 상기 제1 긴 단부의 반대편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긴 단부; 상기 길이 방향에 교차하는 폭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 짧은 단부; 상기 제1 짧은 단부의 반대편에서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 짧은 단부; 상기 제1 긴 단부 근방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절곡부; 상기 제2 긴 단부 근방에서 하부로 돌출되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절곡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절곡부에는 제1 긴단부로부터 제2 긴 단부 방향을 향해 소정 길이만큼 절개된 제1 절개부가 형성된다.
상기 제1 절곡부에는 상기 제1 절개부의 일측이 하방으로 구부러져 형성되는 걸림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절개부와 이격되어 제1 긴 단부로부터 제2 긴 단부 방향을 향해 소정 거리만큼 절개된 제2 절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걸림부는 상기 제1 절개부와 상기 제2 절개부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절곡부는 제1 긴 단부로부터 제2 긴 단부 쪽을 향해 상방으로 경사져 연장되는 제1 경사부와; 상기 제1 경사부의 상단에서 제1 긴 단부 쪽을 향해 하방으로 경사져 연장되는 제2 경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절개부는 제1 경사부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열재와 금속 기와를 이용한 지붕 시공 방법은, 제1항의 금속 기와와 단열재를 이용한 지붕 시공 방법으로서, 복수의 돌출부와 지붕면을 가로 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하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구획 홈을 포함하는 단열재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절개부의 일측을 하방으로 구부려 걸림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걸림부가 상기 구획 홈에 위치하도록 상기 금속 기와를 단열재의 상부에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절곡부는 제1 긴 단부로부터 제2 긴 단부 쪽을 향해 상방으로 경사져 연장되는 제1 경사부와, 상기 제1 경사부의 상단에서 제1 긴 단부 쪽을 향해 하방으로 경사져 연장되는 제2 경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절개부 및 걸림부는 제1 경사부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열재 결합이 용이한 금속 기와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긴 단부; 상기 제1 긴 단부의 반대편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긴 단부; 상기 길이 방향에 교차하는 폭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 짧은 단부; 상기 제1 짧은 단부의 반대편에서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 짧은 단부; 상기 제1 긴 단부 근방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절곡부; 상기 제2 긴 단부 근방에서 하부로 돌출되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절곡부; 상기 제1 절곡부와 상기 제2 절곡부 사이에 위치하는 주 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절곡부에는 제1 긴단부로부터 제2 긴 단부 방향을 향해 소정 길이만큼 절개된 절개부와, 상기 절개부에 인접하여 하방을 향해 구부러진 걸림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간단하고 용이하게 단열재 및 금속 기와를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금속 기와의 시공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금속 기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금속 기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4는 도1을 AA선을 중심으로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5는 걸림부가 구부러지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6은 도1을 BB선을 중심으로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7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금속 기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8은 도5의 금속 기와가 시공된 모습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9는 걸림부가 구부러져 형성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열재 결합이 용이한 금속기와 및 단열재와 금속 기와를 이용한 지붕 시공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금속 기와의 시공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목재나 콘크리트 또는 기타 재료를 이용하여, 단열재 및 금속 기와가 설치될 수 있는 지지부(400, 도6 참조)를 만든 다음, 그 위에 단열재(200)와 금속 기와(100)를 설치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지지부는 단열재 및 금속 기와를 하부에서 지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그 소재 및 구조에 따로 제한을 두지 않는다.
단열재(200)는 단열 성능이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예컨대, 스티로폼 또는 우레탄 폼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단열재는 상부를 향해 돌출되는 복수의 돌출부(211)를 포함할 수 있다. 어느 하나의 돌출부(211)와 인접한 돌출부(211) 사이에는 상부로부터 하부로 소정 깊이 만큼 오목하게 파여 형성되는 돌출부 구획 홈(212)이 형성된다. 따라서, 복수의 돌출부(211)는 가로 및 세로로 연장되는 복수의 돌출부 구획 홈(212)에 의해 구획된다.
돌출 블록(210)은 복수의 돌출부(21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어느 하나의 돌출 블록(210)과 인접한 돌출 블록(210)은 상부로부터 하부로 소정 깊이 만큼 파여 형성되는 블록 구획 홈(220)에 의해 구획된다.
돌출 블록 구획 홈(220)의 폭은 돌출부 구획 홈(212)의 폭 보다 더 클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단열재(220)는 못, 스크류, 접착제 등의 다양한 수단에 의해 지지부(도6의 400)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단열재(200)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300)를 이용하여 지지부에 고정될 수도 있다.
고정부재(300)는 돌출부 구획 홈(220)에 삽입되어, 단열재(200)를 그 하부의 지지부(400)에 고정할 수 있다. 도6을 참조하면, 예컨대, 못이나 스크류 등의 체결 부재가 고정 부재(300)와 단열재(200)를 모두 관통하여, 지지부(400)의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에 까지 도달하는 경우, 고정부재(300) 및 단열재(200)가 지지부(400)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금속 기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3은 그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금속 기와는, 후술하는 제1 절곡부(120)가 조금 짧게 연장되는 것을 제외하면, 위에서 볼 때 대략 직 사각형의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길이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긴 단부(101)와, 상기 제1 긴 단부(101)의 반대편에서 상기 제1 긴 단부(101)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2 긴 단부(102)를 포함한다. 또한, 폭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짧은 단부(103)와, 상기 제1 짧은 단부(103)와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2 짧은 단부(104)를 갖는다.
여기서 길이 방향(x축 방향)이란 금속 기와가 더 길게 연장되는 방향을 의미하며, 대부분 지붕면을 좌우로 가로지르는 방향이 된다. 한편, 폭 방향(y축 방향)이란 상기 길이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수직으로 교차하는 방향으로서, 지붕면에서 상하로 경사져 세로로 연장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을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지붕면의 횡 방향 또는 가로 방향은 금속 기와의 길이 방향(x축 방향)과 같은 방향이다.
따라서, 상기 제1 긴 단부(101)와 상기 제2 긴 단부(102)는, 폭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편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짧은 단부(103)와 상기 제2 짧은 단부(104)는 길이 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편에 위치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금속 기와는 상기 제1 긴 단부(101) 근방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 절곡부(120)와, 상기 제2 긴 단부(102) 근방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 절곡부(130)와, 상기 제1 짧은 단부(103) 근방에서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 중첩부(140)와, 상기 제2 짧은 단부(104) 근방에서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 중첩부(15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절곡부(120), 제2 절곡부(130), 제1 중첩부(140) 및 제2 중첩부(150)로 둘러싸이는 내부 영역은 주 커버부(101)가 된다.
주 커버부(101)는 금속 기와의 평면도를 기준으로 할 때, 중앙에서 대부분의 면적을 차지하는 부분이다. 주 커버부(101)는 단차진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일부 영역이 다각형 형상으로 상부로 돌출되거나, 아니면 직선 형태로 돌출되어, 다양한 심미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금속 기와는 주 커버부(101)에 형성되는 패턴의 모양 및 코팅되는 돌가루의 색깔을 조절함으로써, 클레이 타일(clay tile) 처럼 보이게 제조될 수도 있으며, 나무(wood)처럼 보이게 제조될 수도 있다. 또한 석재(stone or rock)로 이루어진 것처럼 보이게 제조될 수도 있다.
제1 절곡부(120)는 상부로 돌출되며, 경사진 지붕에서 주로 상부쪽을 향해 배치된다. 제1 절곡부(120)는 반대편 단부, 즉, 제2 긴 단부(102) 쪽을 향해 상부로 비스듬하게 경사져 연장되는 제1 경사부(121)와, 상기 제1 경사부(121)의 상단에서 방향을 바꾸어 제1 긴 단부(101) 쪽을 향해 하부로 비스듬하게 경사져 연장되는 제2 경사부(122)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경사부(121)와 상기 제2 경사부(122)가 접하는 지점은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경사부(122)는 제1 경사부(121)보다 제1 긴 단부(101) 쪽으로 더 길게 연장된다. 즉, 상부에서 볼 때 제2 경사부(122)의 폭방향(y축 방향) 길이가, 제1 경사부(121)의 폭 방향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된다. 따라서, 제2 경사부(122)는 제1 경사부(121)의 상부를 완전히 덮은 채 제1 경사부(121)보다 더 외측(제1 긴 단부(101) 쪽)으로 연장된다.
한편, 제2 경사부(122)에는 길이 방향(x축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1 라인부(122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라인부(122a)는 상부로 볼록한 형태 또는 하방으로 오목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홈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제1 라인부(122a)는 제2 경사부(122)의 단부 근방에 형성된다. 즉, 제1 긴 단부(101)에 가깝게 형성된다. 제1 라인부(122a)는 제2 경사부(122)가 울어 쭈글쭈글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제1 라인부(122a)는 시공시 못을 박는 위치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 라인 역할도 할 수 있다. 제1 라인부(122a)가 단부 근방에 위치하므로, 그 안쪽에 못을 박도록 하는 경우, 못을 박는 위치를 길이 방향(x축 방향)으로 일렬로 정렬하기 용이하다. 제1 라인부(122a)가 폭 방향(y축 방향) 중앙 쪽으로 더 이동하는 경우, 제1 라인부(122a) 위에 못을 박도록 하여, 못 박는 위치를 보다 정확히 가이드할 수도 있다.
한편, 제2 경사부(122)는 방향 전환부(122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방향 전환부(122b)는 제2 경사부(122)의 제1 라인부(122a) 외곽 영역,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1 긴 단부(101) 쪽 외곽 영역이 상부로 꺽여져 올라가 형성된다. 방향 전환부(122b)의 꺽인 경사가 클 경우, 지붕면과 접하는 부분은, 제1 긴 단부(101)가 아니라, 제1 라인부(122a)가 될 수도 있다.
따라서, 방향 전환부(122b)가 형성되지 않거나, 방향 전환부(122b)가 꺽인 각도가 작은 경우, 지붕면과 접촉하는 것은 제1 긴 단부(101)일 수 있으며, 방향 전환부(122b)가 꺽인 각도가 큰 경우, 지붕면과 접촉하는 것은 하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제1 라인부(122a)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절곡부(120)는 제1 라인부(122a)를 통해 지붕면과 대략 선 접촉할 수 있으며, 제1 라인부(122a)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라면, 제1 긴 단부(101)가 지붕면과 대략 선 접촉할 수 있다.
한편, 지붕에 못이나 스크류 등의 체결 부재를 사용해 금속 기와를 고정하는 경우, 못 또는 스크류 등의 체결 부재는 제2 경사부(122)를 뚫고 고정부재(300), 단열재(200), 및 지지부(4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고정된다.
한편, 제1 절곡부(120)는 후술하는 제2 절곡부(130) 보다 길이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가 짧다. 제1 절곡부(120)는 후술하는 제1 중첩부(140)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형성되지 않으므로, 제1 중첩부(140)의 길이 방향 길이 만큼, 제1 절곡부(120)의 길이방향 길이가 제2 절곡부(130)의 길이방향 길이 보다 더 짧다. 이는 다시 말하면, 제1 절곡부(120)가 제1 중첩부(140)에 대응되는 부분에서는 제거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제1 절곡부(120)의 제거된 길이가 반드시 제1 중첩부(140)의 길이와 동일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다소 간의 차이가 있을 수도 있다.
제2 절곡부(130)는 제1 절곡부(120)의 폭 방향(y축 방향)반대편 단부에 구비된다. 제2 절곡부(130)는 주 커버부(101)로부터 하방을 향해 연장되는 상하 연장부(131)와, 상기 상하 연장부(131)의 단부에서 제1 긴 단부(101) 쪽으로 꺽여져 올라가는 수평 연장부(132)를 포함한다. 주 커버부(101), 상하 연장부(131), 수평 연장부(132)는 대략 90도 각도로 꺾여, ㄷ자 모양의 측단면을 가질 수도 있으며, 주 커버부(110)와 상하 연장부(131)가 접하는 지점이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상하 연장부(131)와 수평 연장부(132)가 접하는 지점 역시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대략 U자형 또는 원호 모양의 측단면을 가질 수도 있다.
제2 절곡부(130)의 “ㄷ”자 또는 “U”자 형상 내측에는 제1 절곡부(120)의 일부가 끼워진다. 특, 제1 경사부(121) 및 제2 경사부(122) 일부가 끼워진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수평 연장부(132)와 주 커버부(101) 사이의 틈으로, 제1 절곡부(120)의 제1 경사부(121)와 제2 경사부(122)가 만나는 부분이 끼워진다.
제1 중첩부(140)는 금속 기와의 길이 방향(x축 방향) 일측 단부에 형성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1 짧은 단부(103) 근방에서 폭 방향(y축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다. 제1 중첩부(140)는 금속 기와의 길이 방향(x축 방향)으로 소정 폭을 갖고 연장되는데, 이 제1 중첩부(140)의 폭은 후술하는 제2 중첩부(150)의 폭과 대략 동일하다. 제1 중첩부(140)에는 폭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제1 돌기(141)가 형성된다. 상기 제1 돌기(141)는 상부로 돌출된다. 상기 제1 돌기(141)는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중첩부(150)는 상기 제1 중첩부(140)의 반대쪽에 위치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1 중첩부(140)의 길이 방향(x축 방향) 반대쪽에 위치한다. 상기 제2 중첩부(150)는 상기 제1 중첩부(140)가 올려져 중첩(overlap)되는 부분으로, 상기 제1 중첩부(140)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제2 중첩부(150)는 상기 제1 중첩부(140)와 대략 동일한 폭을 갖고 연장되며, 제2 중첩부(150)에는 상기 제1 돌기(141)에 대응되는 형상 및 개수의 제2 돌기(151)가 형성된다. 상기 제2 돌기(151)는 상부로 돌출되어, 금속기와의 폭방향(y축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다. 어느 하나의 금속기와의 제2 중첩부(150)가, 인접 배치되는 다른 하나의 금속기와의 제1 중첩부(140) 위에 올려져 중첩될 때, 제1 돌기(141)는 제2 돌기(151)의 하부에 형성되는 공간에 삽입된다.
한편, 제1 중첩부(140)가 형성되는 부분에서는 제2 절곡부(130)의 상하 높이가 주 커버부(101) 및 제2 커버부에서보다 더 낮아진다. 이는 어느 하나의 금속기와와 인접한 금속기와의 결합시, 어느 하나의 제1 중첩부(140)에 형성된 제2 절곡부(130) 외측에, 인접한 금속 기와의 제2 중첩부(150)에 형성된 절곡부가 끼워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금속 기와(100)는 제3 경사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경사부(160)는 주 커버부(101), 제1 중첩부(140), 및 제2 중첩부(150)의 제1 긴 단부(101)쪽 외측에 형성된다. 따라서, 제2 중첩부(150) 및 주 커버부(110)와 제1 절곡부(120)의 사이에서 길이 방향(x축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제1 절곡부(120) 보다 더 길게 제1 중첩부(140)의 외측까지 연장된다.
제3 경사부(160)는 제1 긴 단부(101)쪽 외측으로 갈수록 상부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된다.
제1 절곡부(120)가 연장되는 범위에서는, 제1 경사부(121)의 하단과 제3 경사부(160)의 상단이 접하게 된다. 이는 곧, 제1 경사부(121)의 제1 긴 단부(101)쪽 단부와, 제3 경사부의 제1 긴 단부(101)쪽 단부가 서로 접하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2 경사부(122)와 제3 경사부(160)가 접하는 부분은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절곡부(120)가 제거된 부분에서도, 상기 제3 경사부(160)는 제1 중첩부(140)의 폭 방향(y축 방향) 외측에서 형성되며, 금속 기와의 길이 방향(x축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이 때, 제1 중첩부(140)와 제3 경사부(160)가 만나는 지점은 라운드 지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3 경사부(160)는 제2 라인부(16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라인부(161)는 금속 기와의 길이 방향(x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제3 경사부(160)의 하단에 형성된다. 상기 제3 경사부(160)는 하방을 향해 오목한 홈 형상을 갖는다.
제3 경사부(160) 및 제2 라인부(161)가 형성됨으로 인해, 지붕 시공시 제1 중첩부(140) 위로 물이 타고 넘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지붕의 방수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금속 기와는 걸림부(190)를 더 포함한다.
걸림부(190)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절곡부(120)의 일부가 하방을 향해 구부러져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절곡부(120)의 제2 경사부(122)의 일부가 하방을 향해 구부러져 형성된다. 참고로, 도4는 도1을 AA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걸림부(190)는 단열재의 구획 홈(212, 220)에 걸려, 시공시 금속기와가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블록 구획 홈(220)에 걸쳐지는 예를 설명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돌출부 구획 홈(192)에 걸쳐질 수도 있다.
걸림부(190)가 없다면, 지붕면의 경사가 급한 경우, 못, 스크류, 또는 접착제 등의 체결 수단에 의해 금속 기와를 단열재 위에 고정하기 전에, 금속 기와를 단열재 위에 올려 놓는 경우, 금속 기와가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미끄러져 내려갈 수 있다. 그러나, 걸림부(190)가 구획홈(212, 220)에 걸려 있는 경우, 금속 기와가 하방으로 미끄러지지 않고 제 위치에 있을 수 있게 되며, 금속 기와의 고정 및 설치가 용이해 진다.
도5를 참조하여, 걸림부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5는 걸림부가 구부러지는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금속 기와 제조시 걸림부는 도5(c)와 같은 형태로 생산될 수도 있다. 그러나, 도5(a)와 같은 형태로 절개부만이 형성되도록 생산되어, 지붕 시공 현장에서, 필요에 따라 도5(c)와 같은 형태로 구부려 사용할 수도 있다.
도5(a)를 참조하면, 제1 절곡부(120)의 제2 경사부(122)에는 제1긴 단부(101)로부터 내측을 향해 소정 깊이 만큼 절개부(191, 192)가 형성된다. 상기 절개부(191, 192)는 제1 절곡부(120)의 길이방향 일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된 지점에 형성된다. 상기 절개부는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절개부(191)와 제2 절개부(19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절개부(191)와 제2 절개부(192)는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이 경우, 걸림부(190)는 제1 절개부(191)와 제2 절개부(192) 사이의 부분이 된다.
금속 기와에 도5(a)의 절개부(191, 192) 만이 형성되어 제조된 경우, 시공 현장에서 제1 절개부(191) 및 제2 절개부(192) 사이의 부분, 즉 걸림부(190)를 하방으로 구부려 걸림부(190) 선단의 일부가 구획 홈(220) 사이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도1 및 도6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금속 기와의 설치 방법을 설명한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금속 기와가 설치된 지붕의 측단면도로서, 도1을 BB선으로 절단한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먼저, 단열재(200)를 지붕의 지지부(400) 위에 설치한다.
지지부(200)는 목재, 철재, 콘크리트 등 다양한 재료를 이용하여, 금속 기와(100) 등의 외장재를 지탱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단열재(200)는, 못, 스크류, 접착제 등 다양한 종류의 체결 수단을 이용하여, 지지부(40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단열재(200)는 도1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부재(300)를 이용하여 고정될 수도 있다. 단열재(200)의 상부에 형성된 돌출 블록 구획 홈(220)을 따라 연장되도록 목재 또는 금속재의 지지 부재(300)를, 돌출 블록 구획 홈(220)에 삽입한 다음, 못, 스크류 등의 체결 수단이 고정 부재(300), 단열재(200)를 관통하여 지지부(400)의 일부 또는 전부에 까지 도달하도록 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단열재(200)가 지지부(400)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5(a)와 같은 형상의 걸림부(190)를 하방으로 구부려, 도5(c)와 같은 형상으로 만든다.
즉, 걸림부(190)가 단열재 표면과 대략 수직으로 연장 되도록 하방으로 구부린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1 절개부(191)와 제2 절개부(192) 사이의 부분을, 하방으로 가압하여 구부러지도록 한다. 걸림부(190)를 하방으로 구부리는 과정은, 펜치(pinchers)나 플라이어(pliers)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절개부의 일측을 하방으로 구부려 걸림부(190)를 형성하는 과정은, 금속 기와가 도5(a)와 같은 형태로 제조되는 경우에 필요한 것으로, 금속 기와의 제조 공정에서 걸림부(190)가 하방으로 구부러져 도5(c)와 같은 형태로 생산된 다면, 시공 현장에서 걸림부(190)를 구부려 형성하는 과정은 생략될 수 있다.
다음으로, 금속 기와(100)의 걸림부(190)의 적어도 일부가 단열재의 구획 홈(212, 220), 예컨대 블록 구획 홈(220)에 삽입되도록 금속 기와(100)를 배치한다.
금속 기와의 걸림부(190)가 블록 구획 홈(220)에 삽입되면, 체결 부재에 의해 고정되기 이전이라 할 지라도 금속 기와가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미끄러지는 일이 없게 된다.
그런 다음, 못, 스크류 또는 접착제 등의 체결 수단을 하나 또는 둘 이상 사용하여, 금속 기와가 단열재의 상부 쪽에서 견고히 고정되도록 한다.
못, 스크류 또는 접착제 등의 체결 수단을 이용해, 단열재와 금속 기와 사이가 견고히 고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부재(300)에 못, 스크류 또는 접착제 등의 체결 수단을 이용하여 고정될 수도 있다.
또한, 금속 기와(100)는 단열재(200)와 고정 부재(300) 모두에 고정될 수도 있다. 예컨대, 접착제를 이용하여 단열재(200)의 상면과 금속 기와의 저면 일부가 고정되도록 함과 동시에, 못 이나 스크류를 이용하여 금속 기와(100)가 고정 부재(300)에 고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보다 긴 못이나 스크류를 이용하는 경우, 못 또는 스크류 등의 체결 수단이 금속기와(100), 고정 부재(300), 단열재(200)를 차례로 관통하여 지지부(400)에까지 도달하도록 함으로써, 금속 기와(100)와 고정 부재(300), 및 단열재(200)를 모두 지지부(400)에 고정시킬 수도 있다. 그러나, 금속 기와(100)를 관통하는 못 또는 스크류 등의 체결 수단은 고정 부재(300), 또는 단열재(200) 까지만 도달할 수도 있다.
한편, 복수의 금속 기와를 배치할 때에는, 먼저 제1 금속 기와(100)를 지붕면 고정시킨다. 제1 금속 기와는 임의의 어느 하나의 금속 기와를 칭한다. 제1 금속 기와를 배치할 때에는, 지붕 경사면의 상부쪽에 제1 긴 단부(101)가 위치하고, 지붕 경사면의 하부쪽에 제2 긴 단부(102)가 위치하도록 한다. 이때, 제1 금속 기와(100)의 길이 방향은 지붕면을 좌우 횡방향으로 가로지르며, 폭 방향은 지붕 경사면을 따라 상하로 경사져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걸림부(190)는 단열재(200)의 구획 홈(212, 220)에 삽입된다. 이때 구획 홈은 블록 구획 홈(220)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돌출부 구획 홈(212)일 수도 있다.
제1 금속 기와(100)를 적정한 위치에 배치 시킨 후에는 제2 경사부(122)에 못, 스크류, 접착제 등의 체결부재를 사용하여, 제2 경사부(122)가 지붕면에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제2 경사부(122)는 탄성변형하며 찌그러지고, 탄성 복원력에 의해 못 또는 스크류를 상방으로 밀어내려 하므로, 체결 부재에 의한 체결력이 더욱 견고해 진다. 그리고 제1 라인부(122a)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1 라인부(122a)의 안쪽에 못을 박도록 하여, 제1 라인부(122a)가 못을 밖는 기준 위치를 제공할 수도 있게 된다.
제1 금속 기와(100)를 고정한 다음에는 폭방향으로 인접하게 제2 금속 기와(100a)를 배치시킨다. 이때, 제2 금속 기와의 걸림부 역시 앞선 제1 금속 기와와 같은 방법으로 구획 홈 내에 삽입된다. 한편, 제2 금속기와(100a)의 제2 중첩부(150)가 제1 금속기와(100)의 제1 중첩부(140) 상부에 포개어지며, 제1 돌기(141)는 제2 돌기(151) 하부에 형성된 공간에 삽입된다. 그리고 이때, 제2 금속 기와의 제2 중첩부(150)에 형성되는 제2 절곡부(130)가, 제1 금속기와의 제1 중첩부(140)에 형성되는 제2 절곡부(130)의 외측에 끼워진다. 따라서, 제1 금속 기와(100)와 제2 금속 기와(100a) 사이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그런 다음, 제2 금속 기와(100a)의 제2 경사부(122)를 체결 부재를 이용하여 고정한다. 따라서, 제2 금속 기와도 지붕면에 고정된다.
한편, 제1 금속 기와(100)와 제2 금속 기와(100a)의 상부에는 제3 금속 기와(100b)가 결합된다. 제3 금속 기와(100b)를 결합할 때에에는, 제1 금속 기와(100) 및 제2 금속 기와(100a)의 제1 절곡부(120)가 제3 금속 기와(100b)의 제2 절곡부(130)에 끼워지도록 한다. 따라서, 제1 금속 기와(100) 및 제2 금속 기와(100a) 각각의 제1 경사부(121) 및 제2 경사부(122)의 일부가 제3 금속 기와(100b)의 제2 절곡부(130) 내측에 끼워진다.
제3 금속 기와(100b)를 제 위치에 배치한 다음에는, 제2 경사부(122)를 체결 부재를 이용하여 단열재의 상부에 고정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제1 금속 기와(100) 및 제2 금속 기와(100a)를 고정한 후, 바로 제3 금속 기와(100b)를 고정하는 것으로 간단히 설명되어 있으나, 실제 시공시에는, 다수의 금속 기와를 길이 방향(x축 방향)으로 고정 한 후, 그 다음 열을, 지붕면의 상부에 고정하는 방법이 채택된다.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금속 기와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8은 도7의 금속 기와가 단열재 위에 설치된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9는 걸림부가 구부러져 형성되기 이전의 제1 절곡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금속 기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금속 기와(500)는, 따라서, 길이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긴 단부(501)와, 상기 제1 긴 단부(501)의 반대편에서 상기 제1 긴 단부(501)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2 긴 단부(502)를 포함한다. 또한, 폭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짧은 단부(503)와, 상기 제1 짧은 단부(103)와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2 짧은 단부(504)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제1 긴 단부(501)와 상기 제2 긴 단부(502)는, 폭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편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짧은 단부(503)와 상기 제2 짧은 단부(504)는 길이 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편에 위치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금속 기와는 상기 제1 긴 단부(501) 근방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 절곡부(520)와, 상기 제2 긴 단부(502) 근방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 절곡부(53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절곡부(520), 제2 절곡부(530) 사이의 내부 영역은 주 커버부(510)가 된다.
주 커버부(510)는 금속 기와의 평면도를 기준으로 할 때, 중앙에서 대부분의 면적을 차지하는 부분이다.
제1 절곡부(520)는 상부로 돌출되며, 경사진 지붕에서 주로 상부쪽을 향해 배치된다. 제1 절곡부(520)는 주 커버부(510)로부터 상방을 향해 연장되는 상하 연장부(521)와, 상기 상하 연장부(521)의 상단에서 상기 상하 연장부의 연장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구부러져 연장되는 수평 연장부(522)를 포함한다. 따라서, 수평 연장부(522)의 일 단부가 제1 긴 단부(501)가 된다.
제2 절곡부(520)는 상기 주 커버부(510)의 일측에서 하방을 향해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제2 절곡부(520)의 하단이 제2 긴 단부(502)가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금속 기와는 걸림부(590)를 더 포함한다.
걸림부(590)는, 도7 및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절곡부(520)의 일부가 하방을 향해 구부러져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절곡부(520)의 수평 연장부(522)의 일부가 하방을 향해 구부러져 형성된다.
걸림부(590)는 단열재의 구획 홈(212, 220)에 걸려, 시공시 금속기와(500)가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블록 구획 홈(220)에 걸쳐지는 예를 설명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돌출부 구획 홈(192)에 걸쳐질 수도 있다.
한편, 도9는 걸림부(590)가 구부러져 형성되기 이전의 제1 절곡부(520)를 도시한 도면이다.
걸림부(590)는 금속 기와 제조시 하방으로 구부러져 제조될 수도 있으나,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절개부(591, 592)가 형성되고, 시공 현장에서 작업자가 절개부(591, 592)의 일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하방으로 구부려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절개부(591, 592)는 제1 절곡부(520)의 수평 연장부(522)의 일부가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소정 거리만큼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긴단부(501)로부터 제2 긴 단부(502) 쪽을 향해 소정 거리만큼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절개부(591, 592)는 제1 짧은 단부(503) 또는 제2 짧은 단부(504)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내측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금속 기와의 시공시에도, 앞선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걸림부(190)가 구획홈(212, 220)에 걸리도록 배치하는 경우, 지붕면의 경사가 급하더라도, 금속 기와가 하방으로 미끄러지지 않고 제 위치에 있을 수 있게 되며, 금속 기와의 고정 및 설치가 용이해 진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금속 기와 101: 제1 긴 단부 102: 제2 긴 단부
103: 제1 짧은 단부 104: 제2 짧은 단부 110: 주 커버부
120: 제1 절곡부 121: 제1 경사부 122: 제2 경사부
122a: 방향 전환부 130: 제2 절곡부 131: 상하 연장부
132: 수평 연장부 140: 제1 중첩부 141: 제1 돌기
150: 제2 중첩부 151: 제2 돌기 160: 제3 경사부
161: 제2 라인부 190: 걸림부 191: 제1 절개부
192: 제2 절개부 200: 단열재 210: 돌출 블록
211: 돌출부 212: 돌출부 구획 홈 220: 블록 구획 홈
300: 고정 부재 400: 지지부 500: 금속 기와
501: 제1 긴 단부 502: 제2 긴 단부 503: 제1 짧은 단부
504: 제2 짧은 단부 510: 주 커버부 520: 제1 절곡부
521: 상하 연장부 522: 수평 연장부 590: 걸림부
591: 제1 절개부 592: 제2 절개부

Claims (7)

  1.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긴 단부;
    상기 제1 긴 단부의 반대편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긴 단부;
    상기 길이 방향에 교차하는 폭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 짧은 단부;
    상기 제1 짧은 단부의 반대편에서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 짧은 단부;
    상기 제1 긴 단부 근방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절곡부;
    상기 제2 긴 단부 근방에서 하부로 돌출되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절곡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절곡부에는 제1 긴단부로부터 제2 긴 단부 방향을 향해 소정 길이만큼 절개된 제1 절개부가 형성되는 단열재 결합이 용이한 금속 기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곡부에는 상기 제1 절개부의 일측이 하방으로 구부러져 형성되는 걸림부가 형성되는 단열재 결합이 용이한 금속 기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개부와 이격되어 제1 긴 단부로부터 제2 긴 단부 방향을 향해 소정 거리만큼 절개된 제2 절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걸림부는 상기 제1 절개부와 상기 제2 절개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단열재 결합이 용이한 금속 기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곡부는
    제1 긴 단부로부터 제2 긴 단부 쪽을 향해 상방으로 경사져 연장되는 제1 경사부와;
    상기 제1 경사부의 상단에서 제1 긴 단부 쪽을 향해 하방으로 경사져 연장되는 제2 경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절개부는 제1 경사부에 형성되는 단열재 결합이 용이한 금속 기와.
  5. 제1항의 금속 기와와 단열재를 이용한 지붕 시공 방법으로서,
    복수의 돌출부와 지붕면을 가로 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하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구획 홈을 포함하는 단열재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절개부의 일측을 하방으로 구부려 걸림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걸림부가 상기 구획 홈에 위치하도록 상기 금속 기와를 단열재의 상부에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열재와 금속기와를 이용한 지붕 시공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곡부는 제1 긴 단부로부터 제2 긴 단부 쪽을 향해 상방으로 경사져 연장되는 제1 경사부와, 상기 제1 경사부의 상단에서 제1 긴 단부 쪽을 향해 하방으로 경사져 연장되는 제2 경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절개부 및 걸림부는 제1 경사부에 형성되는
    단열재와 금속기와를 이용한 지붕 시공 방법.
  7.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긴 단부;
    상기 제1 긴 단부의 반대편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긴 단부;
    상기 길이 방향에 교차하는 폭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 짧은 단부;
    상기 제1 짧은 단부의 반대편에서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 짧은 단부;
    상기 제1 긴 단부 근방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절곡부;
    상기 제2 긴 단부 근방에서 하부로 돌출되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절곡부;
    상기 제1 절곡부와 상기 제2 절곡부 사이에 위치하는 주 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절곡부에는 제1 긴단부로부터 제2 긴 단부 방향을 향해 소정 길이만큼 절개된 절개부와, 상기 절개부에 인접하여 하방을 향해 구부러진 걸림부가 형성되는 단열재 결합이 용이한 금속 기와.

KR1020140155611A 2014-11-10 2014-11-10 단열재 결합이 용이한 금속기와 및 단열재와 금속 기와를 이용한 지붕 시공 방법 KR201600555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5611A KR20160055598A (ko) 2014-11-10 2014-11-10 단열재 결합이 용이한 금속기와 및 단열재와 금속 기와를 이용한 지붕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5611A KR20160055598A (ko) 2014-11-10 2014-11-10 단열재 결합이 용이한 금속기와 및 단열재와 금속 기와를 이용한 지붕 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5598A true KR20160055598A (ko) 2016-05-18

Family

ID=56113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5611A KR20160055598A (ko) 2014-11-10 2014-11-10 단열재 결합이 용이한 금속기와 및 단열재와 금속 기와를 이용한 지붕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5559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49651B2 (en) Wall materials bracket and insulating wall structure
US9010068B2 (en) Tile kit and method
JP4490340B2 (ja) 断熱壁
JP5898461B2 (ja) 屋根材
KR101280611B1 (ko) 목조주택 및 목조주택의 제조방법
KR20160055598A (ko) 단열재 결합이 용이한 금속기와 및 단열재와 금속 기와를 이용한 지붕 시공 방법
JP2007321532A (ja) 床断熱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101529284B1 (ko) 후크 결합이 가능한 금속 기와
JP7150307B2 (ja) 断熱防水構造体及び断熱防水工法
KR101571997B1 (ko) 건축물 지붕의 조립 장치
KR101458605B1 (ko) 루프패널과 루프패널 시공방법
EP0357279B1 (en) Plasterboard and roof insulation support
JP6523616B2 (ja) 断熱屋根構造
JP3421554B2 (ja) 小屋梁等の上に施工する断熱材及び該断熱材を用いた断熱構造
JP4181608B2 (ja) 通気断熱材及び断熱パネル並びに断熱屋根
JP2015059367A (ja) 屋根の棟構造
RU2608369C2 (ru) Стыковоч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внешних стеновых материалов
KR101334122B1 (ko) 담장용 패널 및 이를 이용한 한옥형 담장
JP3769205B2 (ja) 断熱下地材
JP2015121081A (ja) 断熱屋根構造
JP6134949B2 (ja) 板張り壁構造及びこれを備えた建物外部構築物
JP4037323B2 (ja) 働き寸法調整用金属瓦及びこれを施工した屋根構造
CN203669218U (zh) 一种连接件
JP5934944B2 (ja) 屋根構造
KR200482097Y1 (ko) 바닥 배수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