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4801A - 천공장치 - Google Patents

천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4801A
KR20160054801A KR1020140154274A KR20140154274A KR20160054801A KR 20160054801 A KR20160054801 A KR 20160054801A KR 1020140154274 A KR1020140154274 A KR 1020140154274A KR 20140154274 A KR20140154274 A KR 20140154274A KR 20160054801 A KR20160054801 A KR 201600548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or
pipe
connection plate
pil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4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두호
이재옥
황은아
송해식
Original Assignee
(주)미래지반연구소
황은아
이두호
이재옥
송해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미래지반연구소, 황은아, 이두호, 이재옥, 송해식 filed Critical (주)미래지반연구소
Priority to KR1020140154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54801A/ko
Publication of KR201600548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48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7/00Methods or apparatus for placing sheet pile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 E02D7/18Placing by vibr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lacing Or Removing Of Piles Or Sheet Piles, Or Accessori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는 진동을 제공하는 진동기; 이 진동기의 일측에 장착되어 파일 또는 파이프를 파지하는 클램프; 및 진동기의 타측에 설치되어, 주행체에 연결되는 연결구를 포함하여서, 단단한 지층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원활하게 천공할 수 있고, 특히 파일 또는 파이프 등을 사용할 때 그 길이에 영향을 받지 않고 천공할 수 있어, 신속하고 경제적인 연약지반 개량공사가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Description

천공장치 {Apparatus for boring}
본 발명은 천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약지반 중에 인공적으로 또는 자연적으로 단단한 지층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원활하게 천공할 수 있고, 특히 케이싱 파이프나 파일(pile) 등의 길이에 영향을 받지 않고 천공할 수 있는 천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높은 함수비의 연약지반을 개량하여 도로, 철도, 공항, 항만, 산업단지 등과 같은 각종 구조물의 기초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지중에 함유되어 있는 간극수를 조기에 지상으로 배출시켜서 간극수의 배출로 인한 지반의 침하를 조기에 완료시키고 지지력을 증대시키는 연약지반 개량공사가 필요하다.
연약지반을 개량하는 대표적인 공법으로 샌드 드레인(sand drain)과 샌드 콤팩션 파일(sand compaction pile) 공법, 그라벨 드레인(gravel drain)과 그라벨 콤펙션(gravel compaction) 공법, 팩 드레인(pack drain) 공법, 플라스틱 보드 드레인(plastic board drain) 공법 등이 활용되고 있으나, 플라스틱 보드 드레인(이하 PBD라 함) 공법이 가장 일반적으로 쓰이고 있다.
PBD 공법은 하모니카 또는 벌집 등과 같은 모양의 플라스틱 코어재를 다공성 필터재로 감싸서 만든 드레인 보드(drain board)를 지중의 소정 심도까지 타설한다. 설치된 드레인 보드를 통하여, 그 주변의 간극수를 지상으로 신속하게 배출시킴으로써 연약한 지반층을 단단하게 개량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PBD 공법은 장비가 간편하고, 시공속도가 비교적 빠르며, 드레인 보드의 자재비가 비교적 저렴할 뿐만 아니라 케이싱 파이프의 지중 관입으로 인한 지반 교란의 최소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점차 그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PBD 공법이 적용되는 대상지반은 토질의 함수비가 높은 연약한 지반이다. 이에 드레인 보드를 다이아몬드형 또는 원형 단면의 가늘고 긴 케이싱 파이프 속에 끼워 넣어서 바이브로 해머의 진동이나 유압모터의 회전력 또는 유압실린더의 압축력 등에 의하여 지중으로 관입시킨 후 케이싱 파이프만 뽑아 올리면 지중에 배수재, 즉 드레인 보드가 남아있게 되고 이 배수재가 물이 빠질 수 있게 하는 배수통로가 되어 지중의 간극수가 신속하게 지상으로 올라오게 된다.
PBD 공법에 사용되는 타입장비는 연약한 지반에 사용되기 때문에, 바이브로 해머나 유압모터 또는 유압실린더 등과 같은 유압장치에 의하여 길고 가느다란 단일의 케이싱 파이프 속에 드레인 보드를 넣어서 지중에 관입해도 아무런 문제 없이 쉽게 타입할 수 있다. 그러나 관입 도중에 단단한 층을 만나게 되면 케이싱 파이프가 휘어지는 등 손상되어 배수재의 지중 관입이 곤란하게 된다.
이를 해결하고자,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374149호에서는 하단에 천공날이 형성되고 충격에 강하여 휘거나 부러지지 않는 천공구를 제안하였는바, 이러한 천공구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천공구(D)는 크레인(A)으로 들어 올려진 다음, 바이브로 해머(B)에 의해 이를 지중에 타입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천공구(D)는 유압집게(C)가 그 상단을 파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천공구(D)를 사용해서 미리 천공시켜 놓은 구멍에다 케이싱 파이프를 집어넣기만 하면 되도록 구성되어, 직접 케이싱 파이프를 지중에 타입시키는 방법에 비해 케이싱 파이프의 파손 우려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천공구를 사용하더라도 천공구의 길이가 매우 긴 경우(예컨대 길이가 3M 이상인 경우)에는 여전히 천공구가 휘어지는 등 손상되어 천공이 곤란하게 되었다.
이에 본 발명은 연약지반 중에 인공적으로 또는 자연적으로 단단한 지층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원활하게 천공할 수 있고, 특히 파일 또는 파이프 등을 사용할 때 그 길이에 영향을 받지 않고 천공할 수 있어, 신속하고 경제적인 연약지반 개량공사가 가능하게 되는 천공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공장치는, 진동을 제공하는 진동기; 상기 진동기의 일측에 장착되어 파일 또는 파이프를 파지하는 클램프; 및 상기 진동기의 타측에 설치되어, 주행체에 연결되는 연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공장치에서, 상기 클램프는 상기 파일 또는 상기 파이프의 길이방향 중간부를 파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진동기의 일측에 클래프를 장착하고, 이 클램프가 파일 또는 파이프의 길이방향 중간부를 파지하여 천공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연약지반 중에 인공적으로 또는 자연적으로 단단한 지층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원활하게 천공이 이루어져 신속하고 경제적인 연약지반 개량공사가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더구나, 본 발명에 의하면, 클램프가 파일 또는 파이프의 길이방향 중간부를 파지하게 됨으로써, 파일 또는 파이프 등의 길이에 영향을 받지 않고 천공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천공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공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클램프를 도시한 일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연결구를 도시한 타측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공장치를 사용하는 상태 중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 본 발명이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공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클램프를 도시한 일측면도이며,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연결구를 도시한 타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공장치는, 진동을 제공하는 진동기(20); 이 진동기(20)의 일측에 장착되어 파일(10) 또는 파이프를 파지하는 클램프(30); 및 진동기(20)의 타측에 설치되어, 주행체(50)에 연결되는 연결구(40)를 포함하고 있다.
진동기(20)의 본체 내에는 한 쌍의 회전축이 마련되고, 이들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축을 회전구동시키기 위한 모터(22)가 본체에 설치된다. 각 회전축에는 서로 맞물려 돌아가는 한 쌍의 구동기어와 더불어, 편심 웨이트가 결합한다. 이로써, 모터(22)가 구동되면 어느 한쪽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양쪽의 구동기어가 맞물려 돌아가게 되고, 이때 편심 웨이트가 발휘하는 편심 회전력에 의해 진동이 발생하게 되면서 이 진동을 파일 또는 파이프에 부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진동기(20)의 구성과 작동은 바이브로 해머(vibro hammer)와 동일한 것이고, 바이브로 해머는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과 도해는 생략한다. 또한, 진동기의 구성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하로 진동을 부여할 수 있는 장비라면 다른 임의의 진동기가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클램프(30)는 진동기(20)의 본체에서 측방 일측에 장착되어, 파일(10) 또는 파이프를 파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클램프(30)는 진동기(20)의 본체에 직립하여 고정되는 결합판(31), 이 결합판(31)의 일측면에 서로 이격되면서 평행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회전축(32), 이들 회전축(32)에 각각의 일측이 결합하여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한 쌍의 핑거부(34), 결합판(31)에 설치되어 각 핑거부(34)의 타측에 연결되는 한 쌍의 제1액츄에이터(35)를 포함하고 있다.
결합판(31)은 진동기(20)의 본체에 볼팅 등으로 분리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 결합판(31)은 진동기(20)의 본체에 직립하여 고정되며, 결합판(31) 상에 설치되는 핑거부(34)는 이 결합판(31)의 일측면에서 서로 떨어져 배치되게 된다.
핑거부(34)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한 쌍의 회전축(32)이, 결합판(31)에 상하로 배치된 축받이(33)를 매개로 하여 설치되며, 각각의 회전축(32)에 해당 핑거부(34)의 일측이 결합하게 된다.
핑거부(34)는 소정 두께를 갖고서 만곡되거나 절곡된 형상을 가진 적어도 하나의 핑거부재(36)를 구비한다. 파지하게 될 파일 또는 파이프의 단면형상에 따라 핑거부재(36)의 형상도 결정될 수 있으며, 특히 파일 또는 파이프의 단면크기에 따라 핑거부재(36)의 길이 또는 만곡부의 곡률 등이 결정되게 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일 또는 파이프를 파지할 때 더욱 안정적으로 파지하기 위해 상하로 배치된 한 쌍의 핑거부재(36)가 연결축(37)을 매개로 연결되어 하나의 핑거부(34)를 구성할 수 있다.
제1액츄에이터(35)는 그 일단이 핑거부재(36)에 직접 또는 연결축(37)에 의해 연결될 수 있으며, 타단은 결합판(31)에서 그 작동에 따라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된다. 이러한 제1액츄에이터(35)로는 유압실린더가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클램프(30)는 제1액츄에이터(35)의 작동에 따라 핑거부(34)가 회전축(32)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게 된다. 대칭되는 배치로 인해 서로 마주보며 위치되는 양쪽의 핑거부(34)가 회전축(32)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서로에 대해 벌어지거나 오므라들게 되고, 이에 따라 파일(10) 또는 파이프를 파지하거나 파지를 해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핑거부재(36)에서 파일 또는 파이프와 직접 접촉하게 되는 파지면에는 예컨대 엠보싱과 같은 복수의 돌기(38)가 형성되어 있어, 파일 또는 파이프를 파지할 때 미끄러짐 없이 견고하게 파일 또는 파이프를 잡고 있을 수 있게 된다.
연결구(40)는 진동기(20)의 본체에서 측방 타측에 장착되어, 주행체(50)에 진동기 및 천공장치가 설치되게 한다. 연결구(40)는 진동기(20)의 본체에 직립하여 고정되는 제1연결판(41), 주행체(50)에 연결되는 제2연결판(42), 제1연결판(41)과 제2연결판(42)의 사이에 개재되어 이들 제1연결판(41)과 제2연결판(42)이 상대회전가능하게 하는 회전핀(43), 및 이 회전핀(43)으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하고 일단이 제1연결판(41)에 연결되면서 타단이 제2연결판(42)에 연결되는 제2액츄에이터(45)를 포함하고 있다.
제1연결판(41)은 진동기(20)의 본체에 볼팅 등으로 분리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제1연결판(41)은 진동기(20)의 본체에 직립하여 고정되며, 제1연결판(41)에 설치되는 제2연결판(42)은 이 제1연결판(41)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면접촉할 수 있다.
제2연결판(42)은 주행체(50)에 연결되는데, 이하에서는 주행체(50)가 유압 셔블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주행체(50)는 무한궤도 또는 복수의 휠을 가진 차체(51) 상에 설치된 상부 선회체(52)에서 복수의 붐(53)이 서로 및 차체에 대해 회동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맨 끝에 있는 붐(53)에 본 발명의 천공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제2연결판(42)이 장착되게 된다.
제2연결판(42)에서 제1연결판(41)의 반대측 면에는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연결편(46)이 구비되어 있고, 이들 연결편(46)의 길이방향 양측에는 연결핀(47)이 체결되는 핀공(48)이 형성되어 있다.
맨 끝에 있는 붐(53)의 일단에 장착공이 형성되어 있어, 이 장착공과 제2연결판(43)의 일측 핀공(48)을 연통시켜 연결핀(47)으로 체결한다. 또, 맨 끝에 있는 붐(53)에 설치된 유압 실린더(54)의 로드가 타측 핀공(48)에 끼워지는 연결핀(47)에 체결된다. 이로써, 연결구(40)의 제2연결판(42)이 주행체(50)에 연결될 수 있게 되어, 붐(53)의 상하이동 및 선회체(52)의 좌우선회, 그리고 차체(51)의 전후진에 따라 본 발명의 천공장치도 이동할 수 있게 된다.
회전핀(43)이 제1연결판(41)과 제2연결판(42)을 연결함으로써, 이 회전핀(43)을 중심으로 하여 제1연결판(41)과 제2연결판(42)이 상대회전할 수 있게 된다. 회전핀(43)과의 연결을 위해 제1연결판(41)과 제2연결판(42)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는 관통공(44)이 형성될 수 있다. 어느 한쪽에만 관통공(44)이 형성된 경우에는 다른 한쪽에는 관통공과 상응한 위치에 회전핀(43)이 일체로 고정되어, 관통공에 삽입 및 결합할 수 있다.
제1연결판(41)의 일측(회전핀(43)의 반대측)에는 돌출부(49)가 연장하여 형성되어 있고 이 돌출부(49) 상에 제2액츄에이터(45)의 일측이 연결된다. 예를 들어, 제2액츄에이터(45)로는 유압 실린더가 바람직하지만, 동일한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면 다른 임의의 작동기구가 적용될 수 있다. 유압 실린더인 경우에 제1연결판(41)의 돌출부(49) 상에는 실린더 본체가 위치하는 것이 좋다.
제2연결판(42)의 일측(회전핀(43)의 반대측)에는 제2액츄에이터(45)의 타측이 연결된다. 유압 실린더인 경우에 제2연결판(42)에는 실린더 로드가 연결되는 것이 좋다. 하지만, 유압 실린더의 연결관계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반대로 즉 제2연결판에 실린더 본체가 위치하고 제1연결판에 실린더 로드가 연결되어도 된다.
결국, 제2액츄에이터(45)의 신축에 따라 제1연결판(41)과 제2연결판(42)이 회전핀(43)을 중심으로 해서 서로에 대해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제1연결판(41)과 제2연결판(42)이 상대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구(40)가 구성됨으로써, 지반의 천공시 사용되는 파일(10) 또는 파이프의 수직도를 맞출 수 있게 된다. 즉, 대상지반이 평탄하지 못하여 주행체가 수평하게 또는 천공장치가 수직하게 놓이지 못하더라도, 제2액츄에이터(45)를 작동시켜 제1연결판(41)과 제2연결판(42) 사이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천공에 사용되는 파일(10) 또는 파이프의 수직도를 맞출 수 있다.
여기서, 연결구(40) 또는 천공장치 상의 임의의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수직도 센서(미도시)를 장착하여 천공장치 및 파일 또는 파이프의 수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수직도 센서로는 레이저 센서,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것이 채용될 수 있다. 또, 이러한 센서에 의해 측정된 수직도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공장치의 사용방법을 살펴보기로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모든 작동들은 주행체를 운전하고 있는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지면에 길게 눕혀져 있는 파일(10) 또는 파이프를 파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천공장치는 수평자세를 유지한다. 주행체(50)의 맨 끝에 있는 붐(53)의 일단을 지면으로 향하게 하고 맨 끝에 있는 붐에 설치된 유압 실린더(54)의 로드를 적절히 신장시켜 본 발명의 천공장치가 수평자세를 취하게 된다. 이때, 클램프(30)가 지면을 향한 상태가 되므로, 이 상태에서 파일(10) 또는 파이프의 중간부를 파지할 수 있다.
제1액츄에이터(35)가 작동, 즉 신장하게 되면 한 쌍의 핑거부(34)가 해당 회전축(32)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서로 오므라들게 되어 파일(10) 또는 파이프를 파지한다.
이렇게 파일 또는 파이프가 지면에 눕혀져 있는 상태에서 파일 또는 파이프를 파지하게 되므로, 크레인 등을 사용하여 파일 또는 파이프를 세우는 별도의 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클램프(30)에 의해 파일 또는 파이프를 파지한 상태에서 주행체(50)의 붐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천공장치를 위로 들어올리고, 파일(10) 또는 파이프를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세운다(도 5a 참조).
적어도 하나의 수직도 센서로부터 측정되는 디스플레이 상의 수직도를 살펴보면서, 예를 들어 붐의 각도 또는 유압 실린더의 로드의 신장 길이를 조절하거나, 연결구(40)에 있는 제2액츄에이터(45)를 작동시켜 제2연결판(42)에 대한 제1연결판(41) 사이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본 발명의 천공장치 및 파일 또는 파이프가 수직자세를 취하게 한다.
이제 진동기(20)를 작동시켜 천공작업을 실시한다. 진동기(20)의 모터(22)를 회전구동시켜 파일(10) 또는 파이프에다 진동기의 진동을 전달함으로써, 파일 또는 파이프가 지중으로 관입되게 한다(도 5b 참조).
파일 또는 파이프가 소정 깊이로 관입되면, 진동기(20)의 작동을 멈춘 후 파일 또는 파이프를 측방에서 잡고 있는 클램프(30)의 파지를 해제시킨다. 제1액츄에이터(35)가 작동, 즉 수축하게 되면 한 쌍의 핑거부(34)가 해당 회전축(32)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서로 벌어지게 된다. 이어서, 본 발명의 천공장치를 파일 또는 파이프의 상단부로 이동시켜 다시 클램프(30)가 파일(10) 또는 파이프를 파지한다(도 5c 참조).
그 후에 전술한 바와 같이 진동기를 재작동시켜 파일 또는 파이프가 지중으로 더 깊이 관입되게 한다(도 5d 참조). 이와 같이 해서 파일 또는 파이프가 원하는 깊이까지 관입되면, 하나의 파일 또는 파이프에 대한 천공작업이 완료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천공장치는 클램프가 파일 또는 파이프의 길이방향 중간부를 파지하게 됨으로써, 파일 또는 파이프 등의 길이에 영향을 받지 않고 천공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천공장치는 천공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게 됨으로써, 전체 공정을 신속하고 경제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파일 또는 파이프 20: 진동기
30: 클램프 40: 연결구
50: 주행체

Claims (11)

  1. 진동을 제공하는 진동기;
    상기 진동기의 일측에 장착되어 파일 또는 파이프를 파지하는 클램프; 및
    상기 진동기의 타측에 설치되어, 주행체에 연결되는 연결구
    를 포함하는 천공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상기 파일 또는 상기 파이프의 길이방향 중간부를 파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기는 상기 파일 또는 상기 파이프에 상하로 진동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상기 진동기에 고정되는 결합판,
    상기 결합판의 일측면에 서로 이격되면서 평행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각각의 일측이 결합하여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한 쌍의 핑거부, 및
    상기 결합판에 설치되어 각 핑거부의 타측에 연결되는 한 쌍의 제1액츄에이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부는 만곡되거나 절곡된 형상을 가진 적어도 하나의 핑거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부는 한 쌍의 상기 핑거부재가 연결축을 매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부재의 파지면에는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상기 진동기에 고정되는 제1연결판,
    상기 주행체에 연결되는 제2연결판,
    상기 제1연결판과 상기 제2연결판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연결판과 상기 제2연결판이 상대회전가능하게 하는 회전핀, 및
    상기 회전핀으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하고, 일단이 상기 제1연결판에 연결되면서 타단이 상기 제2연결판에 연결되는 제2액츄에이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판과 상기 제2연결판은 서로 회전가능하게 면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체는 유압셔블이고,
    상기 제2연결판은 상기 주행체의 맨 끝에 있는 붐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 또는 상기 천공장치 상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수직도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장치.
KR1020140154274A 2014-11-07 2014-11-07 천공장치 KR201600548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4274A KR20160054801A (ko) 2014-11-07 2014-11-07 천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4274A KR20160054801A (ko) 2014-11-07 2014-11-07 천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4801A true KR20160054801A (ko) 2016-05-17

Family

ID=56109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4274A KR20160054801A (ko) 2014-11-07 2014-11-07 천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54801A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7788B1 (ko) 2018-01-23 2018-09-12 (주)미래지반연구소 해상용 리더 이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피비디 시공방법
WO2018203587A1 (ko) * 2017-05-02 2018-11-08 (주)미래지반연구소 리더용 이동장치
CN110144893A (zh) * 2017-12-22 2019-08-20 青岛理工大学 一种新型振动沉桩装置
CN110206032A (zh) * 2017-12-22 2019-09-06 青岛理工大学 一种新型振动沉桩方法
KR20190110076A (ko) * 2019-09-09 2019-09-27 (주) 대동이엔지 항타기용 슬라이딩 보조붐유닛과 이를 이용한 인발 및 항타공법
KR102193498B1 (ko) 2020-01-20 2020-12-21 (주)미래지반연구소 모래 및/또는 자갈 파일 시공 장비
KR102222473B1 (ko) 2020-01-20 2021-03-03 황은아 케이싱 에어공급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모래 및/또는 자갈 파일 시공 장비
KR102255232B1 (ko) 2020-01-20 2021-05-24 이재옥 모래 및/또는 자갈 파일 시공 장비
WO2021049878A3 (ko) * 2019-09-09 2021-06-03 (주)대동이엔지 항타기용 보조붐유닛과 이를 이용한 인발 및 항타공법
KR102275788B1 (ko) 2021-01-13 2021-07-09 (주)미래지반연구소 스틸슬래그 파일 시공 장비
KR102329569B1 (ko) 2021-03-19 2021-11-22 박현민 지반 천공장치
KR102522014B1 (ko) 2022-07-19 2023-04-17 (주)유현건설 해상용 연직배수재 시공장치 및 시공방법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03587A1 (ko) * 2017-05-02 2018-11-08 (주)미래지반연구소 리더용 이동장치
CN110144893A (zh) * 2017-12-22 2019-08-20 青岛理工大学 一种新型振动沉桩装置
CN110206032A (zh) * 2017-12-22 2019-09-06 青岛理工大学 一种新型振动沉桩方法
KR101897788B1 (ko) 2018-01-23 2018-09-12 (주)미래지반연구소 해상용 리더 이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피비디 시공방법
KR20190110076A (ko) * 2019-09-09 2019-09-27 (주) 대동이엔지 항타기용 슬라이딩 보조붐유닛과 이를 이용한 인발 및 항타공법
WO2021049878A3 (ko) * 2019-09-09 2021-06-03 (주)대동이엔지 항타기용 보조붐유닛과 이를 이용한 인발 및 항타공법
KR102193498B1 (ko) 2020-01-20 2020-12-21 (주)미래지반연구소 모래 및/또는 자갈 파일 시공 장비
KR102222473B1 (ko) 2020-01-20 2021-03-03 황은아 케이싱 에어공급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모래 및/또는 자갈 파일 시공 장비
KR102255232B1 (ko) 2020-01-20 2021-05-24 이재옥 모래 및/또는 자갈 파일 시공 장비
KR102275788B1 (ko) 2021-01-13 2021-07-09 (주)미래지반연구소 스틸슬래그 파일 시공 장비
KR102329569B1 (ko) 2021-03-19 2021-11-22 박현민 지반 천공장치
KR102522014B1 (ko) 2022-07-19 2023-04-17 (주)유현건설 해상용 연직배수재 시공장치 및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54801A (ko) 천공장치
KR101210589B1 (ko) 천공기용 로드 장착장치
CN104863496B (zh) 旋挖桩机孔底液压高频潜孔破岩钻
KR102525965B1 (ko) 천공 및 항타 작업의 동시수행이 가능한 파일 시공장치
KR101615810B1 (ko) 천공 및 항타 작업이 동시에 가능한 시트파일 시공장치
KR20180033649A (ko) 천공효율을 향상시킨 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JP3544971B2 (ja) 穿孔機
KR20170142353A (ko) 암반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암반제거방법
KR20220000803A (ko) 천공 및 항타 작업의 동시수행이 가능한 파일 시공장치
KR101696169B1 (ko) 진동항타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굴착방법
JP6195376B2 (ja) 鋼管矢板の打設用の定規、鋼管矢板の打設方法及び該鋼管矢板の打設方法に用いる旋回掘削装置
KR20180049548A (ko) 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JP3103341B2 (ja) 掘削装置
KR102486334B1 (ko) 저진동 브리오 리퍼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암파쇄공법
KR102080179B1 (ko) 천공장치
KR101551202B1 (ko) 천공기와 바스터를 이용한 강관 추진장치 및 그 방법
CN109024544A (zh) 湿陷性黄土隧道基底液压高频挤密处理方法
CN214460308U (zh) 一种振冲碎石桩机
KR20140064467A (ko) 심발부 코어 라인형 천공장치
KR101719746B1 (ko) 현가압식 레코딩 천공장치
KR102377517B1 (ko) 굴삭기용 파일 천공장치
CN106337433A (zh) 基于震动液化砂质地层的施工方法和装置
JPS59199913A (ja) 杭打工法及び自走式杭打機
JP4197385B2 (ja) ドライブヘッド装置
KR101495293B1 (ko) 회전식 대구경 파일 시공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