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3498B1 - 모래 및/또는 자갈 파일 시공 장비 - Google Patents

모래 및/또는 자갈 파일 시공 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3498B1
KR102193498B1 KR1020200007339A KR20200007339A KR102193498B1 KR 102193498 B1 KR102193498 B1 KR 102193498B1 KR 1020200007339 A KR1020200007339 A KR 1020200007339A KR 20200007339 A KR20200007339 A KR 20200007339A KR 102193498 B1 KR102193498 B1 KR 1021934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module
coupled
ai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7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은아
Original Assignee
(주)미래지반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미래지반연구소 filed Critical (주)미래지반연구소
Priority to KR10202000073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34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3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34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12Consolidating by placing solidifying or pore-filling substances in the soi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7/00Methods or apparatus for placing sheet pile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And Reinforcement Of Foundation Soil By Compacting Or Drain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래 및/또는 자갈 파일 시공 장비에 관한 것으로, 모래 및/또는 자갈 파일 시공 장비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하단을 개폐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역 원뿔 형상을 가지는 개폐부재;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케이싱의 하단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게이트의 형상을 원뿔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연약지반의 천공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은 물론, 케이싱의 하단을 개폐하므로 케이싱의 하부로 보강재를 투입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모래 및/또는 자갈 파일 시공 장비{SAND/GRAVEL COMPACTION PILE EQUIPMENT }
본 발명은 모래 및/또는 자갈 파일 시공(Sand/Gravel Compaction Pile, SCP/GCP) 장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약지반에 천공 및 보강재 투입을 위해 사용되는 모래 및/또는 자갈 파일 시공 장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약지반을 개량하기 위한 시공장비는, 광폭 트랙을 장착한 무한궤도식 차량과, 이 무한궤도식 차량의 일측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 리더와, 이 리더의 길이 방향으로 승강되며 선단에는 연약지반을 천공하기 위한 슈 및 프로브와, 이 슈 및 프로브의 상부에 설치되어 진동을 통해 슈 및 프로브를 연약지반의 지중에 관입 및 다짐 작용을 발생시키는 진동 헤머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연약지반을 개량하기 위한 종래의 시공장비는, 진동 헤머를 기동함에 따라 발생하는 진동 및 다짐작용으로 인해 슈 및 프로브를 지중으로 관입 또는 인발을 반복함으로써, 자갈 등에 의한 보강부재 파일을 시공하여 연약지반을 개량하게 된다.
종래의 시공장비를 이용하여 연약지반 상에 보강부재 파일을 시공하는 과정은 연약지반 상에 시공장비 즉, 슈와 프로브를 관입시켜서 천공 홀을 형성하고, 천공 홀의 선단을 통해 자갈 등의 보강부재를 인입시킨 다음 진동 해머를 기동시키면서 서서히 인출하게 되면, 자갈 등의 보강부재가 천공 홀 내에서 진동에 의해 확장되면서 보강부재 파일을 형성하게 됨으로써, 연약지반을 보강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시공장비는, 천공 홀의 선단에서 자갈 등의 보강부재가 하향으로 인입이 이루어지게 되는바, 그 인입 과정에서 시공장비의 슈 및 프로브와의 간섭을 일으키게 되어 원활한 인입이 이루어지지 않게 됨은 물론, 하향으로 인입되는 보강부재들에 의해 시공장비의 인출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그 시공성이 좋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시공장비의 슈와 프로브가 낙하되는 보강부재들과의 충돌을 일으킴에 따라 시공장비가 손상되는 등의 문제도 발생되었다.
또한, 종래의 시공장비는, 진동회전 장비의 슈와 프로브를 연약지반 상에 관입시키거나 인발시킬 때, 유압에 의해 진동회전 장비가 승강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별도의 유압발생 장치 및 유압 탱크 등을 구비하여야 함으로써, 그 전체적인 설비가 복잡하고, 유압계통 라인의 이상 발생 시, 그 시공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대한민국특허청 등록번호 제20-0236182호 대한민국특허청 등록번호 제20-0235092호 대한민국특허청 등록번호 제10-1274671호 대한민국특허청 공개번호 제10-2016-005480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연약지반에 천공이 원활하게 되도록 하는 것은 물론, 천공된 홀에 보강재가 신속하고 원활하게 공급 및 충전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래 및/또는 자갈 파일 시공 장비는, 주행운전장비; 상기 주행운전장비에 종 방향으로 설치된 리더; 상기 리더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모듈; 상기 이동모듈에 전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이동모듈에 의해 일체로 이동되는 회전모듈; 및 상기 회전모듈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케이싱;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모듈의 상단에는 상기 케이싱과 리더가 서로 평행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모듈을 상기 이동모듈에 고정시키는 고정모듈이 구비되며, 상기 고정모듈은, 양측으로 인입출되는 고정실린더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실린더의 인출에 따라 상기 이동모듈의 하방으로 형성된 고정편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모듈을 고정시키며, 상기 고정편은 일측에 제1 홀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실린더의 단부와 마주보는 위치에 상기 제1 홀과 직교되도록 연통된 제2 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홀에는 제1 회전핀이 결합되며, 상기 제1 회전핀의 일단부에는 상기 제2 홀과 연통되는 부분에 제1 베벨기어가 형성되고, 타단부가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제2 홀에는 제2 회전핀이 결합되고, 상기 제2 회전핀의 일단부는 상기 제1 베벨기어와 맞물리는 제2 베벨기어가 형성되며, 타단부가 외부로 돌출되고 돌출된 부분에 수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실린더의 단부에는 상기 제2 회전핀과 마주보는 위치에 이동홈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홈에는 이동 가능하도록 이동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이동부재에는 수나나산과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홈의 내측에는 상기 이동부재와 연결된 스프링이 결합되며, 상기 케이싱의 하단을 개폐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역 원뿔 형상을 가지는 개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케이싱의 하단에 등간격으로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각각이 회동됨에 따라 상기 케이싱의 하단을 개폐하며, 상기 케이싱 폐쇄 시 원뿔 형상을 가지며, 상기 개폐부재의 외주면에는 제1 나선형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싱은, 하부의 직경이 상부보다 더 크게 형성되며, 상기 케이싱은, 하부와 상부 사이의 경계에는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싱의 하부 외주면에는 제2 나선형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케이싱의 외주면 둘레에는 에어홀(172,173)이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모듈의 하방에 일체로 결합되며, 상기 케이싱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장착되고 내주면에 둘레를 따라 상기 에어홀과 동일선상에 위치되도록 둘레홈(151c,151d)이 형성된 에어공급몸체(151)가 구비되며, 상기 에어공급몸체의 일측을 통해 상기 둘레홈으로 공기압을 공급하는 에어탱크(112)가 구비된 에어공급부재(150);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에어홀과 연결된 에어관(174,175)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에어관은 상기 케이싱 하단의 내측 및 외측으로 각각 연장되고, 상기 회전모듈은 상기 이동모듈에 결합되는 회전몸체(141)가구비되며, 상기 회전몸체의 중앙에는 상기 케이싱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회전몸체의 일측에는 회전모터(143)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기어(143a)가 구비되며, 상기 회전기어는 상기 회전몸체의 내주면에 노출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케이싱의 상부에는 상기 회전기어와 맞물려 회전되는 스프라켓(171)이 형성되며, 상기 리더는 경량화를 위해 길이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통공(12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의한 모래 및/또는 자갈 파일 시공 장비에 따르면, 케이싱의 하단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게이트의 형상을 원뿔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연약지반의 천공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은 물론, 케이싱의 하단을 개폐하므로 케이싱의 하부로 보강재를 투입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상기 케이싱의 하단부의 직경이 상부보다 더 크게 형성함으로써, 케이싱의 관입이 원활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래 및/또는 자갈 파일 시공 장비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래 및/또는 자갈 파일 시공 장비의 정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의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회전모듈의 동작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회전모듈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회전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에어공급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케이싱의 단면도이다.
도 15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호퍼의 동작도이다.
도 17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정실린더의 동작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모래 및/또는 자갈 파일 시공 장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래 및/또는 자갈 파일 시공 장비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래 및/또는 자갈 파일 시공 장비의 정면도,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의 단면도,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회전모듈의 동작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회전모듈의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회전모듈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에어공급부재의 단면도, 도 10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케이싱의 단면도, 도 15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호퍼의 동작도, 도 17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정실린더의 동작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모래 및/또는 자갈 파일 시공 장비는 연약지반의 천공 및 보강재의 투입이 용이한 특징이 있다.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모래 및/또는 자갈 파일 시공 장비(170)는 주행운전장비(110), 리더(120), 이동모듈(130), 회전모듈(140) 및 호퍼(190)을 포함하는 모래 및/또는 자갈 파일 시공 장비(100)의 케이싱 게이트에 있어서, 케이싱(170) 및 게이트(180)를 포함한다.
상기 주행운전장비(110)는 이동 및 전체적인 작동을 운전 및 조작하는 역학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비된 것으로, 작업자가 탑승하여 이동 주행과 전체적인 작동을 운전 및 조작할 수 있도록 모니터 및 조작기기들이 탑재된 탑승실이 구비되고, 실제로 이동 가능하도록 이동수단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주행운전장비(110)에는 후술될 리더(120)가 결합 및 각도 조절하여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하는 크랭크 암(111)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주행운전장비(110)에는 후술될 회전모듈(140)에 결합된 케이싱(170)에 공기압을 공급하는 에어탱크(112)가 설치된다.
나아가, 상기 주행운전장비(110)에는 후술될 리더(120)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조절모듈(113)이 구비된다.
상기 조절모듈(113)은 리더(120)의 후면 양측에 각각 결합되어 좌우 기울기를 조절하는 좌우 조절실린더(113a)가 구비되고, 후면 중앙에 결합되어 전후 기울기를 조절하는 전후 조절실린더(113b)가 구비된다.
상기 리더(120)는 상기 주행운전장비(110)에 설치된 크랭크 암(111)에 결합되어 지면과 직교되도록 종 방향으로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리더(120)는 경량화를 위해 길이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통공(121)이 형성된다.
상기 이동모듈(130)은 상기 리더(120)의 전방에 결합되고, 상기 리더(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된다.
상기 이동모듈(130)의 하단에는 양측으로 고정편(131)이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회전모듈(140)은 관통 결합된 후술될 케이싱(170)을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이동모듈(130)의 하방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모듈(140)은 상기 이동모듈(130)에 결합되는 회전몸체(141)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몸체(141)의 중앙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회전몸체(141)의 일측에는 회전모터(143) 및 상기 회전모터(143)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기어(143a)가 결합된다.
이때, 상기 회전몸체(141)의 내주면은 상기 회전기어(143a)가 노출될 수 있도록 개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어공급부재(150)는 상기 회전모듈(140)의 하방에 일체로 결합되는 것으로, 후술될 케이싱(170)의 외주면을 감싸듯이 장착되는 에어공급몸체(151)가 구비된다.
상기 에어공급몸체(151)의 일측에는 상기 주행운전장비(110)의 에어탱크(112)로부터 공기압이 각각 공급되는 제1 공급관(151a) 및 제2 공급관(151b)이 형성된다.
상기 제1 공급관(151a) 및 제2 공급관(151b)은 서로 상하 배치되고, 상기 에어공급몸체(151)의 내주면까지 관통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에어공급몸체(151)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1 공급관(151a) 및 제2 공급관(151b)과 각각 동일한 위치의 둘레를 따라 제1 둘레홈(151c) 및 제2 둘레홈(151d)이 형성된다.
상기 제1 둘레홈(151c) 및 제2 둘레홈(151d)은 각각 상기 제1 공급관(151a) 및 제2 공급관(151b)과 연결된다.
이때, 상기 에어공급몸체(151)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1 둘레홈(151c) 및 제2 둘레홈(151d)의 각 상하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의 둘레를 따라 각각 패킹부재(152)가 결합된다.
상기 케이싱(170)은 연약지반을 천공하거나 천공 홀에 보강재를 충전시키는 것으로, 상기 리더(120)와 평행하게 나란히 배치되고, 파이프 형태로 내부가 길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케이싱(170)의 상부는 상기 회전몸체(141)에 관통 결합되고, 상기 회전기어(143a)와 동일한 위치의 외주면에 스프라켓(171)이 형성된다.
상기 스프라켓(171)은 상기 회전모터(143)의 구동에 따라 상기 회전기어(143a)와 맞물려 일체로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스프라켓(171)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1 둘레홈(151c) 및 제2 둘레홈(151d)과 동일한 위치에 제1 에어홀(172) 및 제2 에어홀(173)이 형성된다.
상기 제1 에어홀(172) 및 제2 에어홀(173)은 인접하는 상기 제1 둘레홈(151c) 및 제2 둘레홈(151d)과 동일선상에 위치될 수 있도록 서로 상하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에어홀(172)은 상기 제1 둘레홈(151c)과 동일선상에 배치되도록 상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에어홀(173)은 상기 제2 둘레홈(151d)과 동일선상에 배치되도록 하측에 형성된다.
상기 제1 에어홀(172) 및 제2 에어홀(173)에는 상기 제1 공급관(151a) 및 제2 공급관(151b)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압이 상기 제1 둘레홈(151c) 및 제2 둘레홈(151d)을 따라 이동되며 전달된다.
이때, 상기 제1 에어홀(172) 및 제2 에어홀(173)은 상기 케이싱(170)의 원심을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서로 상하 배치됨에 따라 서로 교차간격으로 상하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케이싱(170)은 상기 에어공급부재(150)의 패킹부재(152)에 의해 외주면이 상기 에어공급몸체(151)과 기밀하게 밀착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170)의 내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1 에어홀(172)과 연결된 제1 에어관(174) 및 상기 제2 에어홀(173)과 연결된 제2 에어관(175)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에어관(174)은 상기 케이싱(170)의 하단부 내부로 연장되고, 상기 제2 에어관(175)은 상기 케이싱(170)의 하단부 외부로 연장된다.
이때, 상기 제1 에어관(174) 및 제2 에어관(175)의 각 하단은 하방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공급관(151a) 및 제2 공급관(151b)으로 공급되는 공기압이 상기 제1 둘레홈(151c) 및 제2 둘레홈(151d)을 따라 이동되고, 공기압이 상기 제1 둘레홈(151c) 및 제2 둘레홈(151d)에 의해 상기 케이싱(170)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되며 상기 제1 에어홀(172) 및 제2 에어홀(173)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에어홀(172) 및 제2 에어홀(173)에 전달됨에 따라 상기 제1 공급관(151a) 및 제2 공급관(151b)을 통해 상기 케이싱(170)의 내외측으로 각각 토출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상기 케이싱(170)을 통해 연약지반 천공 시 상기 제2 공급관(151b)을 통해 공기압을 토출하여 천공에 의해 형성된 토사들을 흩트려 보다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상기 제1 공급관(151a)을 통해 공기압을 토출하여 상기 케이싱(170)으로부터 공급되는 보강재를 하방으로 밀어냄에 따라 보강재를 보다 원활하게 토출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싱(170)은 내부가 길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고, 내부를 통해 보강재를 공급하는 것으로, 상기 이동모듈(130)의 하방에 구비되어, 전후 방향으로 회동되거나 상기 이동모듈(130)과 일체로 상기 리더(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모듈(140)은 상기 이동모듈(130)의 하방에 전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회전모듈(140)의 상단 양측에는 상방으로 회동 암(142)이 연장 형성되고, 상기 회동 암(142)은 상기 이동모듈(130)의 양측으로 회동축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회전모듈(140)의 상단에는 상기 케이싱(170)이 상기 리더(120)와 평행한 위치에 배치되었을 때 상기 고정편(131)과 동일한 위치에 형성된 고정모듈(160)이 설치된다.
상기 고정모듈(160)은 양측으로 인입출되는 고정실린더(161)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실린더(161)의 인입출에 따라 상기 고정편(131)에 결합 고정되거나, 결합 분리된다.
여기서, 상기 실린더는 상기 케이싱(170)이 상기 리더(120)와 평행한 위치에 배치 시 인출되어 상기 케이싱(170)을 고정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케이싱(170)은 상기 고정모듈(160)에 의해 상기 이동모듈(130)에 고정되거나 회동 가능하게 되며, 회동 가능 시 상기 이동모듈(130)이 하방에 위치된 상태에서 전후 방향으로 상기 케이싱(170)이 탈착되고, 상기 케이싱(170)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모듈(130)이 상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케이싱(170)이 서서히 기립되며 상기 리더(120)와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회동된다.
여기서, 상기 케이싱(170)은 하단부의 직경이 상부보다 더 크도록 외주면을 따라 단턱(176)이 형성된다.
상기 케이싱의 외주면 중 상기 단턱 하방에는 제2 나선형 돌기(176a)가 형성된다.
상기 게이트(180)는 상기 케이싱(170)의 하단에 설치되고, 상기 케이싱(170)의 하단을 개폐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게이트(180)는 역으로 형성된 원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케이싱(170)의 하단부에 결합된다.
상기 게이트(180)는 등간격으로 각 외측으로 벌어지거나 중앙으로 모여 원뿔 형상을 이루는 개폐부재(181)가 구비된다.
상기 개폐부재(181)는 서로 모여 원뿔 형상을 이룬상태에서 외측면에 제1 나선형 돌기(182)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게이트(180)는 연약지반이 천공될 수 있도록 폐쇄되어 원뿔 형상을 이루며, 천공된 홀에 상기 케이싱(170)을 통해 공급되는 보강재가 토출될 수 있도록 개방된다.
상기 호퍼(190)는 상기 케이싱(170)의 내부로 모래나 자갈과 같은 보강재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케이싱(170)의 상부에 설치된다.
상기 호퍼(190)의 하단에는 상기 호퍼(190)의 하단을 개폐하도록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개폐구(191)가 구비된다.
상기 개폐구(191)는 상기 호퍼(190)에 설치된 개폐실린더(192)를 통해 구동되고, 구동됨에 따라 상기 호퍼(190)의 하단부를 개폐한다.
여기서, 상기 호퍼(190)의 내부에는 보강재가 적재되고, 상기 개폐구(191)의 개폐 여부에 따라 보강재를 상기 케이싱(170)의 내부로 공급한다.
예컨대, 보강재는 모래나 자갈뿐만 아니라, 스틸슬래그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실린더(161)는 상기 고정편(131)에 나사 결합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편(131)에는 일측에 제1 홀(131a)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실린더(161)의 단부와 마주보는 위치에서 상기 제1 홀(131a)까지 직교되도록 연통된 제2 홀(131b)이 형성된다.
상기 제1 홀(131a)에는 제1 회전핀(131c)이 결합되고, 상기 제1 회전핀(131c)의 일단부는 상기 제2 홀(131b)과 연통되는 부분에 제1 베벨기어(131d)가 형성되며, 타단부는 외부로 돌출된다.
상기 제2 홀(131b)에는 제2 회전핀(131e)이 결합되고, 상기 제2 회전핀(131e)의 일단부는 상기 제1 베벨기어(131d)와 맞물리는 제2 베벨기어(131f)가 형성되며, 타단부가 외부로 돌출되고 돌출된 부분에 수나사산(131g)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실린더(161)의 단부에는 상기 제2 회전핀(131e)과 마주보는 위치에 이동홈(161a)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홈(161a)에는 이동부재(161b)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이동부재(161b)는 상기 이동홈(161a)의 내측에 결합된 스프링(161d)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이동부재(161b)의 단부에는 상기 수나사산(131g)과 나사결합되는 암나사산(161c)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실린더(161)가 상기 고정편(131)에 결합 시 상기 제2 회전핀(131e)에 의해 밀려 상기 스프링(161d)이 수축되면서 내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1 회전핀(131c)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2 회전핀(131e)이 연동되며 상기 수나사산(131g)이 상기 암나사산(161c)과 나사 결합된다.
이때, 상기 이동부재(161b)는 상기 스프링(161d)에 의해 외측으로 밀려 나사 결합된다.
본 발명에 의한 모래 및/또는 자갈 파일 시공 장비에 따르면, 케이싱의 하단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게이트의 형상을 원뿔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연약지반의 천공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은 물론, 케이싱의 하단을 개폐하므로 케이싱의 하부로 보강재를 투입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상기 케이싱의 하단부의 직경이 상부보다 더 크게 형성함으로써, 케이싱의 관입이 원활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시공장비 110: 주행운전장비
111: 크랭크 암 112: 에어탱크
113: 조절모듈 113a: 좌우 조절실린더
113b: 전후 조절실린더 120: 리더
121: 통공 130: 이동모듈
131: 고정편 140: 회전모듈
141: 회전몸체 142: 회동 암
143: 회전모터 143a: 회전기어
150: 에어공급부재 151 에어공급몸체
151a: 제1 공급관 151b: 제2 공급관
151c: 제1 둘레홈 151d: 제2 둘레홈
152: 패킹부재 160: 고정모듈
161: 고정실린더 170: 케이싱
171: 스프라켓 172: 제1 에어홀
173: 제2 에어홀 174: 제1 에어관
175: 제2 에어관 176: 단턱
180: 게이트 181: 개폐부재
182: 제1 나선형돌기 190: 호퍼
191: 개폐구 192: 개폐실린더

Claims (6)

  1. 주행운전장비;
    상기 주행운전장비에 종 방향으로 설치된 리더;
    상기 리더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모듈;
    상기 이동모듈에 전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이동모듈에 의해 일체로 이동되는 회전모듈; 및
    상기 회전모듈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케이싱;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모듈의 상단에는 상기 케이싱과 리더가 서로 평행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모듈을 상기 이동모듈에 고정시키는 고정모듈이 구비되며,
    상기 고정모듈은, 양측으로 인입출되는 고정실린더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실린더의 인출에 따라 상기 이동모듈의 하방으로 형성된 고정편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모듈을 고정시키며,
    상기 고정편은 일측에 제1 홀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실린더의 단부와 마주보는 위치에 상기 제1 홀과 직교되도록 연통된 제2 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홀에는 제1 회전핀이 결합되며, 상기 제1 회전핀의 일단부에는 상기 제2 홀과 연통되는 부분에 제1 베벨기어가 형성되고, 타단부가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제2 홀에는 제2 회전핀이 결합되고, 상기 제2 회전핀의 일단부는 상기 제1 베벨기어와 맞물리는 제2 베벨기어가 형성되며, 타단부가 외부로 돌출되고 돌출된 부분에 수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실린더의 단부에는 상기 제2 회전핀과 마주보는 위치에 이동홈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홈에는 이동 가능하도록 이동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이동부재에는 수나나산과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홈의 내측에는 상기 이동부재와 연결된 스프링이 결합되며,
    상기 케이싱의 하단을 개폐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역 원뿔 형상을 가지는 개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케이싱의 하단에 등간격으로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각각이 회동됨에 따라 상기 케이싱의 하단을 개폐하며,
    상기 케이싱 폐쇄 시 원뿔 형상을 가지며,
    상기 개폐부재의 외주면에는 제1 나선형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싱은, 하부의 직경이 상부보다 더 크게 형성되며,
    상기 케이싱은, 하부와 상부 사이의 경계에는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싱의 하부 외주면에는 제2 나선형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케이싱의 외주면 둘레에는 에어홀(172,173)이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모듈의 하방에 일체로 결합되며, 상기 케이싱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장착되고 내주면에 둘레를 따라 상기 에어홀과 동일선상에 위치되도록 둘레홈(151c,151d)이 형성된 에어공급몸체(151)가 구비되며, 상기 에어공급몸체의 일측을 통해 상기 둘레홈으로 공기압을 공급하는 에어탱크(112)가 구비된 에어공급부재(150);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에어홀과 연결된 에어관(174,175)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에어관은 상기 케이싱 하단의 내측 및 외측으로 각각 연장되고,
    상기 회전모듈은 상기 이동모듈에 결합되는 회전몸체(141)가구비되며,
    상기 회전몸체의 중앙에는 상기 케이싱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회전몸체의 일측에는 회전모터(143)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기어(143a)가 구비되며,
    상기 회전기어는 상기 회전몸체의 내주면에 노출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케이싱의 상부에는 상기 회전기어와 맞물려 회전되는 스프라켓(171)이 형성되며,
    상기 리더는 경량화를 위해 길이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통공(12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래 및/또는 자갈 파일 시공 장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200007339A 2020-01-20 2020-01-20 모래 및/또는 자갈 파일 시공 장비 KR1021934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7339A KR102193498B1 (ko) 2020-01-20 2020-01-20 모래 및/또는 자갈 파일 시공 장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7339A KR102193498B1 (ko) 2020-01-20 2020-01-20 모래 및/또는 자갈 파일 시공 장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3498B1 true KR102193498B1 (ko) 2020-12-21

Family

ID=74090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7339A KR102193498B1 (ko) 2020-01-20 2020-01-20 모래 및/또는 자갈 파일 시공 장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34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5788B1 (ko) * 2021-01-13 2021-07-09 (주)미래지반연구소 스틸슬래그 파일 시공 장비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77679A (ja) * 1994-04-01 1995-10-24 Chubu Electric Power Co Inc 高所における重量物ハンドリング装置
KR200236182Y1 (ko) 1999-03-03 2001-09-29 서정구 연약지반 처리용 배수관 압설장치
KR200235092Y1 (ko) 2001-03-23 2001-10-08 김용현 연역지반 개량장치
KR100380798B1 (ko) * 2001-03-14 2003-04-18 석정건설주식회사 연약지반을 개량하기 위한 저진동 저소음 그래뉼러 파일시공장치
KR100668504B1 (ko) * 2006-03-15 2007-01-12 (주)수림건설 연약지반을 개량하기 위한 내부스크루와 유압실린더 다짐식 무진동 무소음 시공장비 및 그의 공법
KR101274671B1 (ko) 2010-12-24 2013-06-13 김맹호 연약지반 강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약지반 강화 공법
KR20160054801A (ko) 2014-11-07 2016-05-17 (주)미래지반연구소 천공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77679A (ja) * 1994-04-01 1995-10-24 Chubu Electric Power Co Inc 高所における重量物ハンドリング装置
KR200236182Y1 (ko) 1999-03-03 2001-09-29 서정구 연약지반 처리용 배수관 압설장치
KR100380798B1 (ko) * 2001-03-14 2003-04-18 석정건설주식회사 연약지반을 개량하기 위한 저진동 저소음 그래뉼러 파일시공장치
KR200235092Y1 (ko) 2001-03-23 2001-10-08 김용현 연역지반 개량장치
KR100668504B1 (ko) * 2006-03-15 2007-01-12 (주)수림건설 연약지반을 개량하기 위한 내부스크루와 유압실린더 다짐식 무진동 무소음 시공장비 및 그의 공법
KR101274671B1 (ko) 2010-12-24 2013-06-13 김맹호 연약지반 강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약지반 강화 공법
KR20160054801A (ko) 2014-11-07 2016-05-17 (주)미래지반연구소 천공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5788B1 (ko) * 2021-01-13 2021-07-09 (주)미래지반연구소 스틸슬래그 파일 시공 장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2473B1 (ko) 케이싱 에어공급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모래 및/또는 자갈 파일 시공 장비
KR102193498B1 (ko) 모래 및/또는 자갈 파일 시공 장비
KR102255232B1 (ko) 모래 및/또는 자갈 파일 시공 장비
DE102014104552A1 (de) Bohrkopf und Vorrichtung zum Herstellen einer Bohrung im Erdreich
DE112017008263T5 (de) Hohlladung mit begrenzter Penetration
JP5743759B2 (ja) 土壌処理装置
CN111335810A (zh) 一种连续成桩的施工方法
JP2016151170A (ja) トンネル掘削機及びトンネル施工方法
JP2018076663A (ja) 変位低減型締固め砂杭造成用中空管及び締固め砂杭造成方法
KR102275788B1 (ko) 스틸슬래그 파일 시공 장비
KR101150239B1 (ko) 지반개량장치의 굴착교반로드
JP2013112937A (ja) 不飽和化機能付き圧入杭工法及び該工法に用いる施工装置
DE602004005311T2 (de) Grundsteinbohr- und -aushubgerät
KR102094999B1 (ko) 연약지반 개량용 진동회전 장비
JP2004344117A (ja) 局所施肥装置
JP2017186752A (ja) 締固め地盤改良杭の造成装置
JP6404760B2 (ja) 地盤改良装置、地盤改良工法
KR100706130B1 (ko) 집수정의 취수공법
EP3663504B1 (de) Erdbauverfahren, erdbauvorrichtung und erdbauinstallation
DE102012218285A1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Erstellen einer Gründung und Gründung
KR102659710B1 (ko) 사석층 연약지반 개량 장치를 이용한 시공 방법
DE19608815C1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Dichtsohle im Boden
DE4234419C2 (de) Verfahren zum Einbringen von Spundwänden in hindernisreichen Grund
JP2017106265A (ja) 高圧噴射撹拌工法及びこれに用いる地盤改良装置
JPS6220328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