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4327A - 부식 방지층을 포함하는 전지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 Google Patents

부식 방지층을 포함하는 전지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4327A
KR20160054327A KR1020140153803A KR20140153803A KR20160054327A KR 20160054327 A KR20160054327 A KR 20160054327A KR 1020140153803 A KR1020140153803 A KR 1020140153803A KR 20140153803 A KR20140153803 A KR 20140153803A KR 20160054327 A KR20160054327 A KR 201600543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battery
lithium
graphit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3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비
홍연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40153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54327A/ko
Publication of KR201600543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43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4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485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mixed oxides or hydroxides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e.g. LiTi2O4 or LiTi2OxF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5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of polyanionic structures, e.g. phosphates, silicates or borates
    • H01M4/583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 H01M4/587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9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of button or coin 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31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e.g. gas permeability, size or heat resistance
    • H01M50/133Thickne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48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152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66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f assembling casings with li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전해액에 의한 전지 케이스 표면의 부식 발생이 억제된 전지 케이스 및 상기 전지 케이스를 구비하는 이차 전지에 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코인형 이차 전지에서 양극이 대면하는 전지 케이스의 표면의 부식 발생이 억제된 전지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코인형 이차 전지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코인형 전지는 하부 케이스의 내부면이 부식 방지층으로 피복되어 있어 전해액에 의한 부식의 진행이 방지 및/또는 억제된다. 이에 따라 전지의 내부 저항 증가 및 전지의 용량 저하가 방지되어 수명 특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부식 방지층을 포함하는 전지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A battery case with an anti-corrosion coating layer and a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본원 발명은 전해액에 의한 전지 케이스 표면의 부식 발생이 억제된 전지 케이스 및 상기 전지 케이스를 구비하는 이차 전지에 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코인형 이차 전지에서 양극이 대면하는 전지 케이스의 표면의 부식 발생이 억제된 전지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코인형 이차 전지에 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이차 전지(secondary battery)는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전지를 말하는 것으로서, 휴대폰, 노트북 컴퓨터, 캠코더 등의 첨단 전자 기기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리튬 이차 전지는 타 소재에 비해 단위 중량당 에너지 밀도가 높아 다양한 방면에서 사용량이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리튬 이차 전지는 일반적으로 제2극활물질로 리튬계 산화물, 제1극활물질로는 탄소재를 사용하고 있다. 또한 전해액의 종류에 따라 액체 전해질 전지와, 고분자 전해질 전지로 분류되며, 액체 전해질을 사용하는 전지를 리튬 이온 전지라하고, 고분자 전해질을 사용하는 전지를 리튬 폴리머 전지라고 한다. 또한, 리튬 이차 전지는 여러 가지 형상으로 제조되고 있는데, 대표적인 형상으로는 원통형, 캔형, 파우치형 및 코인형을 들 수 있다.
코인형 이차 전지는 하기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리드(lead, 1), 캡(cap, 2), 음극(3), 양극(5), 분리막(4), 가스켓(gasket, 7) 및 하부 케이스(case, 8)로 구성된다. 즉,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상부의 캡(2) 및 하부의 케이스(8)가 필요하고, 캡(2)과 케이스(8)의 조립시 실링의 목적으로 사용하는 가스켓(7)이 필요하다.
이러한 코인형 전지에서 전극, 특히 양극은 하부 케이스에 수납되며 하부 케이스 내부의 하면은 양극 및/또는 양극의 집전체와 접촉하게 되는데 전지의 충/방전 과정에서 상기 양극과 대면한 케이스의 내부 하면은 양극의 산화 및/또는 환원에 의한 영향으로 표면에서 산화가 발생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표면 부식이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의 경우 고전압에서 FSI 음이온을 포함한 리튬염에 의해 표면이 부식되며, 이로인해 스테인레스 스틸에 포함된 니켈이나 크롬 등의 금속이 용출되어 부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전지 케이스의 내부 부식을 방지하고 고성능 전지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해액이나 전극의 산화 및/또는 환원에 의한 부식이 억제되는 등 안정적인 전지 케이스를 구비하는 코인형 타입 전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재되는 수단 또는 방법, 및 이의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코인형 전지를 제공한다. 상기 코인형 전지는 전극 조립체,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는 하부 케이스부
상기 케이스의 개방 상부를 덮는 캡부 및 상기 하부 케이스부와 상기 캡부를 실링하는 가스켓을 포함하며, 상기 전극 조립체는 양극, 음극 및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개재되는 분리막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케이스의 표면은 부식 방지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음극은 리튬 금속, 천연 흑연, 인조 흑연, 팽창 흑연, 탄소섬유, 난흑연화성 탄소, 카본블랙, 카본나노튜브, 플러렌, 활성탄 등의 탄소 및 흑연재료; 리튬과 합금이 가능한 Al, Si, Sn, Ag, Bi, Mg, Zn, In, Ge, Pb, Pd, Pt, Ti 등의 금속 및 이러한 원소를 포함하는 화합물; 금속 및 그 화합물과 탄소 및 흑연재료의 복합물; 리튬 함유 질화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양극은 리튬 니켈-망간 코발트 산화물, 리튬 코발트 산화물(LiCoO2), 리튬 니켈 산화물(LiNiO2); LiMnO3, LiMn2O3, LiMnO2 ; 리튬 동 산화물(Li2CuO2); LiV3O8, LiFe3O4, V2O5, Cu2V2O7; 화학식 LiNi1-yMyO2 (여기서, M = Co, Mn, Al, Cu, Fe, Mg, B 또는 Ga 이고, y = 0.01 ~ 0.3 임)으로 표현되는 Ni 사이트형 리튬 니켈 산화물; 화학식 LiMn2-yMyO2 (여기서, M = Co, Ni, Fe, Cr, Zn 또는 Ta 이고, y = 0.01 ~ 0.1 임) 또는 Li2Mn3MO8 (여기서, M = Fe, Co, Ni, Cu 또는 Zn 임)으로 표현되는 리튬 망간 복합 산화물; 화학식의 Li 일부가 알칼리토금속 이온으로 치환된 LiMn2O4; 디설파이드 화합물; Fe2(MoO4)3 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부식 방지층은 탄소재를 포함하는 탄소층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탄소재는 연화탄소(soft carbon) 및 경화탄소(hard carbon)인 저결정성 탄소, 천연 흑연, 키시흑연(Kish graphite), 그라파이트, 열분해 탄소(pyrolytic carbon), 액정 피치계 탄소섬유(mesophase pitch based carbon fiber), 탄소 미소구체(meso-carbon microbeads), 액정피치(Mesophase pitches) 및 석유와 석탄계 코크스(petroleum or coal tar pitch derived cokes)인 고결정성 탄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부식 방지층은 절연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부식 방지층의 두께는 1㎛ 내지 1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코인형 전지는 하부 케이스의 내부면이 부식 방지층으로 피복되어 있어 전해액에 의한 부식의 진행이 방지 및/또는 억제된다. 이에 따라 전지의 내부 저항 증가 및 전지의 용량 저하가 방지되어 수명 특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 것으로, 발명의 범위가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명세서에 수록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크기, 축척 또는 비율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코인형 전지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원 발명에 따른 코인형 전지의 케이스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원 발명에 따른 코인형 전지의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공정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 또는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원 발명은 금속 재질로 된 전지 케이스를 구비하는 이차 전지에 대한 것으로서 상기 전지 케이스의 내부 표면에 부식 방지층이 형성되어 전지 케이스의 금속 재질이 전극 및/또는 전극 집전체와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하며, 전해액에 의한 금속 재질의 전지 케이스 표면이 부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차 전지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전지 케이스를 구비하는 것이면 종류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코인형 이차 전지인 것이다.
도 1은 코인형 전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이며 도 2 및 도 3은 본원 발명에 따른 코인형 전지의 하부 케이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 발명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 따르면, 본원 발명은 전극 조립체(9), 상기 전극 조립체(9)를 수용하는 하부 케이스(8), 상기 하부 케이스(8)의 개방 상부에 조립되는 캡(2) 및 상기 하부 케이스(8)와 상기 캡(2)을 실링하는 가스켓(7)을 포함한다. 상기 전극 조립체(9)는 양극(5), 음극(3) 및 상기 양극(5)과 음극(3) 사이에 개재되는 분리막(4)을 포함한다. 또한, 본원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스(8)의 내부 표면은 부식 방지층(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 및 도 3은 부식 방지층(6)이 형성된 하부 케이스(8)의 내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부식 방지층(6)은 하부 케이스(8)의 내면 표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1층 또는 2층 이상의 층상구조를 갖는 것일 수 있다.
본원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부식 방지층은 탄소재를 포함하는 탄소층(6a)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탄소재로는 저결정 탄소 및 고결정성 탄소 등이 모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저결정성 탄소로는 연화탄소(soft carbon) 및 경화탄소(hard carbon) 등이 사용가능하며, 고결정성 탄소로는 천연 흑연, 키시흑연(Kish graphite), 그라파이트, 열분해 탄소(pyrolytic carbon), 액정 피치계 탄소섬유(mesophase pitch based carbon fiber), 탄소 미소구체(meso-carbon microbeads), 액정피치(Mesophase pitches) 및 석유와 석탄계 코크스(petroleum or coal tar pitch derived cokes) 등의 고온 소성탄소 등이 사용가능 하다. 이 외에도 아세틸렌 블랙, 케첸블랙, 카본 나노 섬유 등의 사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탄소재는 비표면적이 10 m2/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탄소재의 비표면적이 10 m2/g 초과이면 음극의 초기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탄소재의 비표면적의 하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한 하한으로 2 m2/g을 들 수는 있으나, 이는 단순한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탄소층(6a)은 1㎛ 내지 10㎛, 또는 1㎛ 내지 10㎛의 두께를 갖는다. 상기 탄소층(6a)의 두께가 상기 범위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에는 표면 부식 방지 효과가 미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부식 방지층은 점착력을 보유하기 위해 상기 탄소재 이외에 바인더 수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인더 수지는 PVdF 과 같이 전기 전도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부식 방지층은 탄소재와 바인더 수지를 혼합하여 슬러리를 제조한 후 이를 전지 케이스의 내면 표면에 도포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원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부식 방지층(6)은 상기 탄소층(6a)과 함께 절연층(6b)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절연층(6b)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케이스(8)의 내부 표면과 상기 탄소층(6a)의 사이에 형성된다. 도 3은 절연층(6b)이 더 포함된 부식 방지층(6)이 형성된 하부 케이스(8)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본원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6b)은 절연 특성을 갖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절연층(6)은 전지의 작동 전압 범위에서 산화 및/또는 환원 반응이 일어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절연층(6b)은 전해액의 산화 및/또는 환원 반응에 영향을 받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지의 작동 전압 범위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0V 내지 5V(vs. Li/Li+)인 것이다.
본원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특성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절연층은 Ba0.33Sr0.66TiO3(BST), Al2O3, Ta2O5, La2O5, Y2O3 및 TiO2 등과 같은 강유전성 절연체; PdZr0.33Ti0.66O3(PZT), Bi4Ti3O12, BaMgF4, SrBi2(TaNb)2O9, Ba(ZrTi)O3(BZT), BaTiO3, SrTiO3, Bi4Ti3O12, SiO2, SiNx , SiC 및 AlON 등과 같은 무기 절연체; 폴리이미드, BCB, 파릴렌,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비닐알콜 및 폴리비닐페놀,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수지, 폴리비닐리덴-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 등 비닐리덴 단량체를 포함하는 폴리비닐리덴계 공중합체 등과 같은 고분자 수지, 금속산화물, 금속 질화물 및 금속 불화물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속 산화물은, 예를 들어, SnO2, CeO2, MgO, NiO, CaO, ZnO, ZrO2, Y2O3, Al2O3, TiO2, 하프니아(HfO2), BaTiO3, TiO2, SiO2,, MnO2, MgO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질화물은 Si3N4, BN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불화물은 예를 들어 AlF3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전술한 특성을 갖는 절연층을 형성할 수 있는 재료를 예시한 것에 불과하며 특별히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절연층(6b)은 0.1㎛ 내지 2㎛, 또는 0.5㎛ 내지 1㎛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본원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음극(3)은 음극 집전체(3b)와 상기 음극 집전체(3b)의 일면에 형성된 음극 활물질층(3a)을 포함한다. 상기 음극 집전체(3b)는 니켈, 구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음극 활물질층(3a)은 리튬이 삽입 및/또는 탈리되는 음극 활물질을 포함한다. 상기 음극 활물질로는 예를 들어 리튬 금속, 천연 흑연, 인조 흑연, 팽창 흑연, 탄소섬유, 난흑연화성 탄소, 카본블랙, 카본나노튜브, 플러렌, 활성탄 등의 탄소 및 흑연재료; 리튬과 합금이 가능한 Al, Si, Sn, Ag, Bi, Mg, Zn, In, Ge, Pb, Pd, Pt, Ti 등의 금속 및 이러한 원소를 포함하는 화합물; 금속 및 그 화합물과 탄소 및 흑연재료의 복합물; 리튬 함유 질화물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리튬 금속 또는 탄소계 물질이 더욱 바람직하며, 상기 탄소계 물질의 비제한적인 예로, 상기 탄소계 물질은 흑연계 탄소, 코크스계 탄소 및 하드 카본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양극(5)은 양극 집전체(5b)와 상기 양극 집전체의 일면에 형성된 양극 활물질층(5a)을 포함한다. 상기 양극 집전체(5a)는 알루미늄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양극 활물질층은 양극 활물질로서 상기 리튬 니켈-망간 코발트 산화물, 리튬 코발트 산화물(LiCoO2), 리튬 니켈 산화물(LiNiO2) 등의 층상 화합물이나 1 또는 그 이상의 전이금속으로 치환된 화합물; 화학식 Li1+yMn2-yO4  (여기서, y는 0 ~ 0.33 임), LiMnO3, LiMn2O3, LiMnO2 등의 리튬 망간 산화물; 리튬 동 산화물(Li2CuO2); LiV3O8, LiFe3O4, V2O5, Cu2V2O7 등의 바나듐 산화물; 화학식 LiNi1-yMyO2 (여기서, M = Co, Mn, Al, Cu, Fe, Mg, B 또는 Ga 이고, y = 0.01 ~ 0.3 임)으로 표현되는 Ni 사이트형 리튬 니켈 산화물; 화학식 LiMn2-yMyO2 (여기서, M = Co, Ni, Fe, Cr, Zn 또는 Ta 이고, y = 0.01 ~ 0.1 임) 또는 Li2Mn3MO8 (여기서, M = Fe, Co, Ni, Cu 또는 Zn 임)으로 표현되는 리튬 망간 복합 산화물; 화학식의 Li 일부가 알칼리토금속 이온으로 치환된 LiMn2O4; 디설파이드 화합물; Fe2(MoO4)3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분리막(4)은 폴리올레핀계 소재의 다공성 필름, 폴리올레핀계 소재의 다공성 부직포웹일 수 있다. 또는 젤 타입의 고분자 전해질층이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전해질층이 분리막을 대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스(8)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기 금속 재질은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스틸 등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인형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각각의 음극 집전체(3b) 및 양극 집전체(5b)에 각각 음극 활물질층(3a) 및 양극 활물질층(5a)을 접합시켜 전극층을 제조한다.
다음으로 겔 상의 고분자 전해질층을 활물질층에 도포하여 활물질층과 고분자 전해질층을 접합시켜 전극 조립체(9)를 조립한다. 본원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극 조립체(9)는 조립 후 가열 압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전극 조립체를 하부 케이스(8)에 수납한다. 상기 하부 케이스(8)는 내부의 표면에 전술한 부식 방지층(6)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 부식 방지층은 하부 케이스(8)를 형성한 후 하부 케이스(8)의 내부 표면에 코팅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 따르면 하부 케이스(8)를 형성하기 전 하부 케이스(8) 제조용 금속판 표면에 부식 방지층(6)을 형성한 후 상기 부식 방지층(6)이 형성된 금속판을 이용하여 하부 케이스(8)를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전극 조립체를 하부 케이스(8)에 수납한 후 전해액을 주액하고 캡(2)을 준비하여 하부 케이스(8)의 개방 상단에 상기 캡(2)을 조립한다. 이후, 가스켓을 이용하여 하부 케이스(8)와 캡(2)을 맞물려 실링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코인형 전지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이것은 단지 코인형 전지에 국한되지 않으며, 본 실시예와 같은 금속 재질의 전지 케이스를 사용할 수 있는 전지는 어떠한 형태의 것도 적용 가능하다 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특허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 리드, 2… 캡
3… 음극, 3a… 음극 활물질층, 3b… 음극 집전체
4… 분리막
5… 양극, 5a… 양극 활물질층, 5b… 양극 집전체
6… 부식 방지층 6a… 탄소층 6b… 절연층
7… 가스켓, 8… 하부 케이스

Claims (7)

  1. 전극 조립체;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는 하부 케이스부;
    상기 케이스의 개방 상부를 덮는 캡부; 및
    상기 하부 케이스부와 상기 캡부를 실링하는 가스켓;을 포함하며,
    상기 전극 조립체는 양극, 음극 및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개재되는 분리막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케이스의 표면은 부식 방지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인, 코인형 전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은 리튬 금속, 천연 흑연, 인조 흑연, 팽창 흑연, 탄소섬유, 난흑연화성 탄소, 카본블랙, 카본나노튜브, 플러렌, 활성탄 등의 탄소 및 흑연재료; 리튬과 합금이 가능한 Al, Si, Sn, Ag, Bi, Mg, Zn, In, Ge, Pb, Pd, Pt, Ti 등의 금속 및 이러한 원소를 포함하는 화합물; 금속 및 그 화합물과 탄소 및 흑연재료의 복합물; 리튬 함유 질화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인, 코인형 전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은 리튬 니켈-망간 코발트 산화물, 리튬 코발트 산화물(LiCoO2), 리튬 니켈 산화물(LiNiO2); LiMnO3, LiMn2O3, LiMnO2 ; 리튬 동 산화물(Li2CuO2); LiV3O8, LiFe3O4, V2O5, Cu2V2O7; 화학식 LiNi1-yMyO2 (여기서, M = Co, Mn, Al, Cu, Fe, Mg, B 또는 Ga 이고, y = 0.01 ~ 0.3 임)으로 표현되는 Ni 사이트형 리튬 니켈 산화물; 화학식 LiMn2-yMyO2 (여기서, M = Co, Ni, Fe, Cr, Zn 또는 Ta 이고, y = 0.01 ~ 0.1 임) 또는 Li2Mn3MO8 (여기서, M = Fe, Co, Ni, Cu 또는 Zn 임)으로 표현되는 리튬 망간 복합 산화물; 화학식의 Li 일부가 알칼리토금속 이온으로 치환된 LiMn2O4; 디설파이드 화합물; Fe2(MoO4)3 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인, 코인형 전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식 방지층은 탄소재를 포함하는 탄소층인 것인, 코인형 전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재는 연화탄소(soft carbon) 및 경화탄소(hard carbon)인 저결정성 탄소, 천연 흑연, 키시흑연(Kish graphite), 그라파이트, 열분해 탄소(pyrolytic carbon), 액정 피치계 탄소섬유(mesophase pitch based carbon fiber), 탄소 미소구체(meso-carbon microbeads), 액정피치(Mesophase pitches) 및 석유와 석탄계 코크스(petroleum or coal tar pitch derived cokes)인 고결정성 탄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인, 코인형 전지.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부식 방지층은 절연층을 더 포함하는 것인, 코인형 전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식 방지층의 두께는 1㎛ 내지 10㎛인 것인, 코인형 전지.

KR1020140153803A 2014-11-06 2014-11-06 부식 방지층을 포함하는 전지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KR201600543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3803A KR20160054327A (ko) 2014-11-06 2014-11-06 부식 방지층을 포함하는 전지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3803A KR20160054327A (ko) 2014-11-06 2014-11-06 부식 방지층을 포함하는 전지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4327A true KR20160054327A (ko) 2016-05-16

Family

ID=56109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3803A KR20160054327A (ko) 2014-11-06 2014-11-06 부식 방지층을 포함하는 전지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5432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46627A (zh) * 2018-11-28 2019-02-15 东莞市电的电子有限公司 扣式锂离子电池
KR20210049327A (ko) 2019-10-25 2021-05-06 주식회사 엘지화학 방식 부재가 구비된 버스 바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CN112791730A (zh) * 2021-01-11 2021-05-14 中南大学 一种z型纳米钒酸铜基复合光催化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WO2022092615A1 (ko) * 2020-10-27 2022-05-0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도성층이 전지케이스의 내면에 형성되어 있는 이차전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46627A (zh) * 2018-11-28 2019-02-15 东莞市电的电子有限公司 扣式锂离子电池
KR20210049327A (ko) 2019-10-25 2021-05-06 주식회사 엘지화학 방식 부재가 구비된 버스 바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WO2022092615A1 (ko) * 2020-10-27 2022-05-0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도성층이 전지케이스의 내면에 형성되어 있는 이차전지
CN112791730A (zh) * 2021-01-11 2021-05-14 中南大学 一种z型纳米钒酸铜基复合光催化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62422B2 (en)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cell
JP5059643B2 (ja) 非水電解質電池
US7255963B2 (en) Non-aqueous electrolyte rechargeable battery
JP4986009B2 (ja) 二次電池
JP4626568B2 (ja)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CN111226330A (zh) 二次电池用正极材料和包含该正极材料的锂二次电池
US10476100B2 (en) Lithium-containing electrode material for electrochemical cell systems
US11430994B2 (en) Protective coatings for lithium metal electrodes
JP5066798B2 (ja) 二次電池
KR20110127209A (ko) 비수 전해질 이차전지용 전극 및 이것을 포함한 비수 전해질 이차전지
JP2004319129A (ja) 正極活物質及びそれを用いた非水電解質二次電池
KR101289974B1 (ko) 비수 전해액 2차 전지
WO2006054604A1 (ja) 非水電解質二次電池
KR20070058484A (ko) 향상된 리튬 전지 및 이를 형성하는 방법
US8808884B2 (en)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KR101017305B1 (ko) 비수계 전해질 전지
KR20070081775A (ko) 정극 활물질 및 비수 전해질 2차 전지
KR20140001114A (ko) 비수 전해질 이차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JP5127386B2 (ja) 角形非水電解質電池
KR20160054327A (ko) 부식 방지층을 포함하는 전지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JP6362440B2 (ja) 二次電池
KR20110100301A (ko) 비수전해질 이차전지 및 그 충전 방법
WO2020202661A1 (ja)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KR20100015284A (ko) 정극 활물질 및 그것을 이용한 정극과 비수 전해질 2차 전지
US20220109186A1 (en)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cell and electrolytic solution used in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