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4237A - 조리개 기능을 갖는 제습기용 물통 및 이를 이용한 제습기 - Google Patents

조리개 기능을 갖는 제습기용 물통 및 이를 이용한 제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4237A
KR20160054237A KR1020140153560A KR20140153560A KR20160054237A KR 20160054237 A KR20160054237 A KR 20160054237A KR 1020140153560 A KR1020140153560 A KR 1020140153560A KR 20140153560 A KR20140153560 A KR 20140153560A KR 20160054237 A KR20160054237 A KR 201600542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water
dehumidifier
accommodation
tubula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3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상민
양하원
홍지원
Original Assignee
임상민
홍지원
양하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상민, 홍지원, 양하원 filed Critical 임상민
Priority to KR10201401535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54237A/ko
Publication of KR20160054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4237A/ko

Links

Images

Landscapes

  • Drying Of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구비하는 수용 탱크; 및 상기 수용 공간과 연통되며 상기 수용 탱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에서 절곡 연장되고 상기 수용 탱크에서 돌출되어 위치하는 안내관을 구비하는 토출 유닛을 포함하는, 조리개 기능을 갖는 제습기용 물통 및 이를 이용한 제습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조리개 기능을 갖는 제습기용 물통 및 이를 이용한 제습기{DEHMIDIFIER WATER TANK HANING WATER SPRAY FUNCTUON AND DEHMIDIFIE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조리개 기능을 갖는 제습기용 물통 및 이를 이용한 제습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습기는 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함으로써 습한 실내 환경을 쾌적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이 때, 제거되는 수분은 제습기에 구비된 물통에 포집되어 소정량이 물로 형성된다. 대체로 물통은 제습기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소정량의 물을 저장할 수 있는 수용부 및 저장된 물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개폐구를 갖는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습기의 물통에 다량의 물이 포집되면 물통을 분리하여 해당 개폐구를 통해 물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렇게, 외부로 배출되는 물은 특별한 오염물을 포함하고 있지 않아 식용수를 제외한 다른 용도로 충분히 재이용할 수 있다. 특히, 식물의 재배를 위한 용수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습기의 물통에 포집되는 물을 식물에게 제공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물통의 개폐구를 식물 방향으로 향하게되는 동작이 요구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물이 수용된 물통의 무게를 지지한 상태에서 개폐구의 위치를 조정하게 되는 불편함이 발생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물통의 자세 변경없이 급수를 실시할 수 있는 조리개 기능을 갖는 제습기용 물통 및 이를 이용한 제습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측면과 관련된 조리개 기능을 갖는 제습기용 물통은, 물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구비하는 수용 탱크; 및 상기 수용 공간과 연통되며 상기 수용 탱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에서 절곡 연장되고 상기 수용 탱크에서 돌출되어 위치하는 안내관을 구비하는 토출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안내관은, 상기 수용 탱크의 외면과 평행한 평면 내에서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안내관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관체; 및 상기 관체의 자유단에 설치되어, 상기 관체의 자유단을 개폐하는 마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안내관이 상기 수용 탱크에 대해 회전 중에 설정된 각도에서 정지되게 하는 정지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정지 모듈은, 상기 안내관에 형성되는 정지 돌기; 및 상기 수용 탱크에 상기 정지 돌기의 회전 궤적을 따라 설치되고, 상기 정지 돌기가 타고 넘어 수용되는 정지 요철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안내관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관체; 상기 관체에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분사공; 및 상기 관체에 결합되어, 상기 분사공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커버는, 상기 관체에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토출 유닛은, 상기 수용 탱크의 외면에 설치되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토출 유닛은, 각각의 안내관의 자유단들이 서로 연결되게 하는 연결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관은, 상기 안내관에서 상기 수용 탱크의 외면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수용 공간 내로 연장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에서 방사상으로 확대되어, 상기 수용 탱크에 걸리는 플랜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용 탱크는, 상기 수용 공간을 한정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에 오목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가락을 넣어 잡을 수 있게 구성되는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손잡이는, 서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오목부; 및 상기 한 쌍의 오목부를 감싸는 영역을 가지며, 상기 케이스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는, 하우징의 일 측면에 소정 영역만큼 개방된 결합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 공간부 내에 장착부가 설치되는 제습기 본체; 및 일 측면이 상기 결합 공간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장착부에 끼움되도록 결합되는 상기 제1항 내지 제11항에 따른 물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조리개 기능을 갖는 제습기용 물통 및 이를 이용한 제습기에 의하면, 물통 내에 저장된 물을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 시킬 수 있다.
또한, 물통은 복수의 안내관이 서로 결합되는 경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분사공이 형성되어 확장된 급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개 기능을 갖는 제습기용 물통(200)과 이를 이용한 제습기(1000)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개 기능을 갖는 제습기용 물통(20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개 기능을 갖는 제습기용 물통(200)의 정지 모듈(250)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토출 유닛(330, 350)을 구비한 제습기용 물통(30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리개 기능을 갖는 제습기용 물통 및 이를 이용한 제습기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개 기능을 갖는 제습기용 물통(200)과 이를 이용한 제습기(1000)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습기(1000)는 본체(100)와 물통(200)을 포함한다.
본체(100)는,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일 측면에는 장착부(130)가 설치된 개방 공간인 결합 공간부(111)가 형성된다.
물통은(200)은, 본체(100)에서 발생되는 물을 저장하거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수단이다. 따라서, 물통(200)은 장착부(130)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러한 물통(200)은, 수용 탱크(210)와 토출 유닛(230)을 포함한다.
수용 탱크(210)는, 물을 저장할 수 있는 중공부인 수용 공간(S)을 포함한다.
토출 유닛(230)은, 수용 공간(S)에 저장된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형성된다. 이 때, 토출 유닛(230)은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따라서, 물의 배출 방향은 토출 유닛(230)의 회전 동작에 따라 변경된다.
이상은, 제습기(1000)의 전체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도2 및 도 3을 참조하여 물통(200)의 세부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개 기능을 갖는 제습기용 물통(20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개 기능을 갖는 제습기용 물통(200)의 정지 모듈(250)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물통(200)은 수용 탱크(210), 토출 유닛(230), 및 정지 모듈(250)을 포함한다.
수용 탱크(210)는, 케이스(211)와 손잡이(221)를 포함한다.
케이스(211)는, 수용 공간(S)을 한정하도록 그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이를 통해 물을 수용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도시하지 않으나, 케이스(211)의 외면에는 물의 수위에 대응되는 수위 표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211)의 일 면은, 도 1에서의 결합 공간부(도1, 111)에 대응되는 오목한 형상의 장착 홈(201)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케이스(211)는 장착 홈(201)을 통해 본체(도1, 100)와 결합될 수 있다.
손잡이(221)는, 오목부(223) 및 베이스(225)를 포함한다.
오목부(223)는, 서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서로 이격되는 한 쌍의 오목부(223)는, 오목하게 형성되는 영역에서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목부(223)는 사용자가 손가락을 넣어 잡을 수 있게 구성된다. 이 때, 사용자에 의해 잡혀지는 오목부(223)의 영역은 사용자의 손 마디에 대응되는 굴곡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225)는, 상술한 한 쌍의 오목부(223)를 감싸는 영역을 가지며, 케이스(211)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베이스(225)의 회전에 따라 오목부(223)도 동일하게 회전된다.
토출 유닛(230)은, 연결관(231) 및 안내관(241)을 포함한다.
연결관(231)은, 수용 탱크(210)의 수용 공간(S)과 연통되며, 수용 탱크(2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러한 연결관(231)은, 연장부(233), 플랜지부(235), 및 실링부(237)를 포함한다.
연장부(233)는, 안내관(241)에서 수용 탱크(210)의 외면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수용 공간(S) 내로 연장된다. 다시말해, 연장부(233)의 일측은 안내관(241)과 결합되고, 타측은 수용 공간(S) 내에 위치하여 수용 공간(S)과 안내관(241)을 서로 연통시킬 수 있다. 따라서, 수용 탱크(210)의 물은 연장부(233)를 따라 안내관(241)으로 이동된다.
플랜지부(235)는, 수용 공간(S)에 위치한 연장부(233)의 끝단에서 방사상으로 확대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플랜지부(235)는 수용 탱크(210)을 관통하는 연결관(231)의 직경 보다 더 넓은 면적을 가지므로, 수용 탱크(210) 내부에서 걸림된다.
실링부(237)는, 수용 탱크(210)의 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O-링과 같은 탄성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링부(237)는 플랜지부(235)와 수용 탱크(210) 사이의 연장부(233) 둘레를 따라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안내관(241)과 수용 탱크(210) 사이의 연장부(233) 둘레를 따라 설치될 수 있다.
안내관(241)은, 수용 탱크(210)에 수용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수단으로, 수용 탱크(210)의 외면과 평행한 평면 내에서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안내관(241)은 관체(242), 분사공(243), 및 마개(245)를 포함할 수 있다.
관체(242)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관체(242)의 일단은 상술한 연결관(231)과 결합된다. 따라서, 관체(242)는 연결관(231)과 결합된 부위를 중심축으로하여 회전될 수 있다.
분사공(243)은, 회전되는 관체(242)의 끝단인 자유단에 복수의 관통홀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수용 탱크(210)의 물은 분사공(24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마개(245)는, 관체(242)의 자유단에 설치되어, 자유단을 개폐한다. 이에 따라, 자유단에 형성되는 분사공(243) 역시 마개(245)에 의해 개폐된다.
정지 모듈(250)은, 안내관(241)이 수용 탱크(210)에 대해 회전되는 경우, 이를 설정된 각도에서 정지시키는 수단이다. 이를 위해, 정지 모듈(250)은 정지 돌기(251) 및 정지 요철(253)을 포함할 수 있다.
정지 돌기(251)는, 수용 탱크(210)와 대면하는 안내관(241)의 일 면에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정지 돌기(251)는 안내관(241)의 회전에 따라 원형의 회전 궤적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회전 궤적은 안내관(241)과 대면하는 수용 탱크(210)의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회전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지 요철(253)은, 수용 탱크(210)에 정지 돌기(251)의 회전 궤적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돌출 형상이 연속되도록 설치된다. 다시말해, 정지 요철(253)은 정지 돌기(251)와 대면하는 수용 탱크(210)의 일면에서, 정지 돌기(251)의 회전 궤적에 대응되는 궤적으로 설치된다. 이 때, 정지 요철(253)은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는 복수의 돌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정지 요철(253)은 원 형상의 연속된 굴곡 구조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정지 돌기(251)는 안내관(241)의 회전 동작 시, 정지 요철(253)의 굴곡 구조를 따라 순차적으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안내관(241)은 정지 돌기(251)와 정지 요철(253)의 걸림 동작으로 인한 회전이 단계별로 구분되도록 제한될 수 있다.
이상은, 토출 유닛(230)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서로 결합되는 한 쌍의 토출 유닛(330, 350)을 구비하는 물통(2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토출 유닛(330, 350)을 구비한 제습기용 물통(30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 4에서의 물통(300)은 도 2 및 도 3의 물통(200)과 대체로 동일하나 서로 결합 가능한 한쌍의 토출 유닛(330, 350)을 구비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물통(300)은, 제1 토출 유닛(330) 및 제2 토출 유닛(350)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토출 유닛(330, 350)을 포함한다. 이 때, 제1 토출 유닛(330) 및 제2 토출 유닛(350)은 설치 위치 및 각 자유단에 설치되는 연결 모듈(360)을 제외한 모든 구성이 서로 동일하다.
제1 토출 유닛(330)은, 수용 탱크(210)의 일측에 설치되며 제1 안내관(331), 제1 관체(332), 제1 분사공(333), 제1 레일(334), 및 제1 커버(335)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토출 유닛(350)은, 수용 탱크(210)의 타측에 설치되며, 제2 안내관(351), 제2 관체(352), 제2 분사공(353), 제2 레일(354), 및 제2 커버(35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토출 유닛(330) 및 제2 토출 유닛(350)의 제1,2 안내관(331, 351), 및 제1,2 관체(332, 352)는 도 2 및 도 3의 안내관(241) 및 관체(242)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추가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1 분사공(333)은, 제1 관체(33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관통홀로 형성된다. 따라서, 안내관(241) 내에 물이 수용된 경우, 상기 물은 제1 관체(33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제1 레일(334)은, 제1 분사공(333)이 형성되는 제1 관체(332) 일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된다.
제1 커버(335)는, 제1 레일(334)을 따라 제1 관체(33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제1 커버(335)의 슬라이딩에 따라 제1 분사공(333)은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제2 토출 유닛(350)의 제2 레일(354) 및 제2 커버(355)는 상기한 제1 레일(334) 및 제2 커버(355)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추가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연결 모듈(360)은, 제1 토출 유닛(330)과 제2 토출 유닛(350)을 서로 연결되게 하는 수단으로, 결합 홈(361) 및 결합 돌기(363)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 홈(361)은, 제1 안내관(331)의 자유단에 형성되는 홈이다. 결합 홈(361)은 제1 안내관(331)의 자유단에 소정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결합 돌기(363)는, 제2 안내관(351)의 자유단에 형성되는 돌기이다. 결합 돌기(363)는 결합 홈(36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1 안내관(331) 및 제2 안내관(351)은, 각각의 자유단이 서로 접촉되도록 회전되는 경우, 결합 돌기(363)는 결합 홈(361)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렇게, 결합 홈(361) 및 결합 돌기(363)가 서로 결합되는 경우, 이를 구비하는 제1 토출 유닛(330) 및 제2 토출 유닛(350)은 수평상태로 결합된다. 이 때,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1 토출 유닛(330) 및 제2 토출 유닛(350)은 각각의 정지 모듈(도3, 250)에 의해 결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제1 토출 유닛(330) 및 제2 토출 유닛(350)이 서로 수평되도록 결합되는 경우, 각각의 분사공(243)을 통해 물이 배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물통(200)은 제1 토출 유닛(330) 및 제2 토출 유닛(350)의 길이를 서로 합친만큼의 물 배출 범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물의 배출 범위는 각 커버(335, 355)의 개폐 조작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 토출 유닛(330) 및 제2 토출 유닛(350)을 통해 수용 탱크(210)와 수평방향으로 물이 배출되는 경우, 사용자는 손잡이(221)의 방향을 조작하여 이용성을 향상할 수 있다. 다시말해, 사용자는 물의 배출 방향을 향해 오목부(223)를 잡은 상태로 베이스(225)를 회전시켜 손잡이(221)의 방향을 최적화시킬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조리개 기능을 갖는 제습기용 물통 및 이를 이용한 제습기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00: 제습기 245: 마개
100: 본체 250: 정지 모듈
110: 하우징 251: 정지 돌기
111: 결합 공간부 253: 정지 요철
130: 장착부 330: 제1 토출 유닛
200, 300: 물통 331: 제1 안내관
201: 장착 홈 332: 제1 관체
210: 수용 탱크 333: 제1 분사공
211: 케이스 334: 제1 레일
221: 손잡이 335: 제1 커버
223: 오목부 350: 제2 토출 유닛
225: 베이스 351: 제2 안내관
230: 토출 유닛 352: 제2 관체
231: 연결관 353: 제2 분사공
233: 연장부 354: 제2 레일
235: 플랜지부 355: 제2 커버
237: 실링부 360: 연결 모듈
241: 안내관 361: 결합 홈
242: 관체 363: 결합 돌기
243: 분사공 S: 수용 공간

Claims (12)

  1. 물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구비하는 수용 탱크; 및
    상기 수용 공간과 연통되며 상기 수용 탱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에서 절곡 연장되고 상기 수용 탱크에서 돌출되어 위치하는 안내관을 구비하는 토출 유닛을 포함하는, 조리개 기능을 갖는 제습기용 물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관은,
    상기 수용 탱크의 외면과 평행한 평면 내에서 회전되도록 구성되는, 조리개 기능을 갖는 제습기용 물통.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관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관체; 및
    상기 관체의 자유단에 설치되어, 상기 관체의 자유단을 개폐하는 마개를 포함하는, 조리개 기능을 갖는 제습기용 물통.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관이 상기 수용 탱크에 대해 회전 중에 설정된 각도에서 정지되게 하는 정지 모듈을 더 포함하는, 조리개 기능을 갖는 제습기용 물통.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 모듈은,
    상기 안내관에 형성되는 정지 돌기; 및
    상기 수용 탱크에 상기 정지 돌기의 회전 궤적을 따라 설치되고, 상기 정지 돌기가 타고 넘어 수용되는 정지 요철을 포함하는, 조리개 기능을 갖는 제습기용 물통.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관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관체;
    상기 관체에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분사공; 및
    상기 관체에 결합되어, 상기 분사공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커버를 포함하는, 조리개 기능을 갖는 제습기용 물통.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관체에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리개 기능을 갖는 제습기용 물통.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유닛은,
    상기 수용 탱크의 외면에 설치되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토출 유닛은,
    각각의 안내관의 자유단들이 서로 연결되게 하는 연결 모듈을 포함하는, 조리개 기능을 갖는 제습기용 물통.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은,
    상기 안내관에서 상기 수용 탱크의 외면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수용 공간 내로 연장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에서 방사상으로 확대되어, 상기 수용 탱크에 걸리는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조리개 기능을 갖는 제습기용 물통.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탱크는,
    상기 수용 공간을 한정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에 오목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가락을 넣어 잡을 수 있게 구성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조리개 기능을 갖는 제습기용 물통.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서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오목부; 및
    상기 한 쌍의 오목부를 감싸는 영역을 가지며, 상기 케이스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베이스를 포함하는, 조리개 기능을 갖는 제습기용 물통.
  12. 하우징의 일 측면에 소정 영역만큼 개방된 결합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 공간부 내에 장착부가 설치되는 제습기 본체; 및
    일 측면이 상기 결합 공간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장착부에 끼움되도록 결합되는 상기 제1항 내지 제11항에 따른 물통;을 포함하는, 제습기.


KR1020140153560A 2014-11-06 2014-11-06 조리개 기능을 갖는 제습기용 물통 및 이를 이용한 제습기 KR201600542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3560A KR20160054237A (ko) 2014-11-06 2014-11-06 조리개 기능을 갖는 제습기용 물통 및 이를 이용한 제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3560A KR20160054237A (ko) 2014-11-06 2014-11-06 조리개 기능을 갖는 제습기용 물통 및 이를 이용한 제습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4237A true KR20160054237A (ko) 2016-05-16

Family

ID=56109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3560A KR20160054237A (ko) 2014-11-06 2014-11-06 조리개 기능을 갖는 제습기용 물통 및 이를 이용한 제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5423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03386A1 (zh) * 2019-11-29 2021-06-03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除湿机
WO2021103385A1 (zh) * 2019-11-29 2021-06-03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除湿机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03386A1 (zh) * 2019-11-29 2021-06-03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除湿机
WO2021103385A1 (zh) * 2019-11-29 2021-06-03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除湿机
US11874016B2 (en) 2019-11-29 2024-01-16 Gd Midea Air-Conditioning Equipment Co., Ltd. Dehumidifier with extendable body
US11988407B2 (en) 2019-11-29 2024-05-21 Gd Midea Air-Conditioning Equipment Co., Ltd. Dehumidifi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56836B2 (en) Swinging switching structure of outlet device
US8490948B2 (en) Apparatus for flow control and shutoff
RU2014125724A (ru) Переходник для емкостей
RU2021113842A (ru) Резервуар для подачи проявителя и система подачи проявителя
PT1658143E (pt) Pistola de pintura para preparar, aplicar a tinta e para conservar a tinta
ES2787298T3 (es) Dispositivo de control de nivel de líquido
KR101379468B1 (ko) 토양 함수율 변화에 대응하는 무동력 자동급수장치
KR20160054237A (ko) 조리개 기능을 갖는 제습기용 물통 및 이를 이용한 제습기
RU2016114095A (ru) Пистолет для шланга
KR102209374B1 (ko) 분기구가 위치가 회전 가능한 주방용 수전
JP2015161337A (ja) 開閉操作弁の操作部固定具
US20130320038A1 (en) Rapid Refill System for a Toy Water Gun
RU2015148269A (ru) Резервуар
RU2008120649A (ru) Сосуд к крышкой
JP2006342958A (ja) 流体注入/排出バルブ装置
US8839810B1 (en) Manway cover with integrated cleaning system
RU2014145431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дозированного розлива жидкостей
KR101399122B1 (ko) 게임기용 조이스틱
KR20140140853A (ko) 화장용 튜브용기
EP2801415A1 (en) Venting of a paint container assembly for a paint sprayer
KR20090077573A (ko) 가습기
JP4191691B2 (ja) 液体供給機構
CN104719036A (zh) 集浇水、施肥、防沙、防寒功能于一体的菜园用装置
RU97063U1 (ru) Одноразовый стакан, надеваемый на пистолет-краскораспылитель,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несения и сохранения краски
KR102416840B1 (ko) 가습필터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습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SUBM Surrender of laid-open application requ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