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3975A - 흡인보틀 - Google Patents

흡인보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3975A
KR20160053975A KR1020167008967A KR20167008967A KR20160053975A KR 20160053975 A KR20160053975 A KR 20160053975A KR 1020167008967 A KR1020167008967 A KR 1020167008967A KR 20167008967 A KR20167008967 A KR 20167008967A KR 20160053975 A KR20160053975 A KR 201600539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tube
suction tube
lid
contain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89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57615B1 (ko
Inventor
쥰 마스다
요시하루 타카쿠라
카즈야 타나카
아야 하나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센트럴유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센트럴유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센트럴유니
Publication of KR201600539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39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7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76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60Containers for suction drainage, adapted to be used with an external suction source
    • A61M1/604Bag or liner in a rigid container, with suction applied to both
    • A61M1/0001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0019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69Drainage containers not being adapted for subjection to vacuum, e.g. ba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88Draining devices having means for processing the drained fluid, e.g. an absorb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014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removed from the bod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보관 장소를 작게 할 수 있고, 리유저블형과 디스포저블형의 교환 작업을 생력화할 수 있는 흡인보틀을 제공한다. 용기본체와, 용기본체에 탈착 가능한 뚜껑체와, 뚜껑체에 관통 형성되어 용기본체 내부의 에어를 흡인하는 에어흡인튜브가 접속되는 에어흡인구를 구비하고, 뚜껑체로서, 폐기물 흡인튜브를 접속하는 폐기물 흡인구, 및 에어흡인구가 관통 형성된 액상 폐기물을 용기본체 내에 직접 수용할 때에 사용되는 리유저블형의 뚜껑체와, 폐기물 흡인튜브 접속단부가 설치된 기밀한 봉투형상의 폐기물 수용백이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폐기물 흡인튜브 접속단부가 삽입 통과하는 폐기물 흡인튜브 접속단부 삽입통과부가 형성되고, 또한 에어흡인구가 관통 형성된 액상 폐기물을 폐기물 수용백 내에 수용할 때에 사용되는 디스포저블형의 뚜껑체와의 교환이 가능한 2종의 뚜껑체를 구비하며, 각 뚜껑체는, 용기본체에 고정이 가능한 공통의 고정구조를 구비하였다.

Description

흡인보틀{Suction Bottle}
본 발명은 의료용 흡인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되는 흡인된 가래 등의 액상 폐기물을 포획하여 저장하기 위한 흡인보틀에 관한 것이다.
의료 현장에 있어서는, 환자의 가래가 쌓인 경우 등에 그것을 흡인 제거하기 위한 흡인 시스템이 구비되어져 있다. 흡인 시스템에 있어서는, 진공펌프 등에 의하여 부압으로 유지된 부압관의 말단에 레귤레이터가 구비되어져 있고, 레귤레이터는, 병상의 머리맡 부근의 벽에 배치된다. 그리고, 이 레귤레이터(흡인 압력 조정기)에 흡인튜브를 접속하여, 흡인튜브의 선단으로부터 가래 등의 액상 폐기물을 흡인한다. 흡인튜브의 도중에는, 흡인보틀이 배치되어, 흡인튜브에 흡인된 액상 폐기물은 이 흡인보틀로 포획되어 저장된다.
종래의 흡인보틀로서는, 예를 들어 특허문헌 1~8, 비특허문헌 1~4에 기재된 것이 공지이다. 이들 종래의 흡인보틀은, 크게 나누면, 흡인보틀의 원통 형상 용기 내에 직접 액상 폐기물을 저장하는 리유저블형(특허문헌 1~4, 비특허문헌 1~2)과, 흡인보틀의 원통 형상 용기 내에 1회용 백(이하, '폐기물 수용백')을 수용하고, 폐기물 수용백 내에 액상 폐기물을 저장하는 디스포저블형(특허문헌 5~8, 비특허문헌 3~4)으로 분류된다.
리유저블형(특허문헌 1~4, 비특허문헌 1~2)은, 하단이 막혀 있는 원통형의 저장용기의 상부개구단에, 에어흡기포트 및 폐기물 흡인포트를 구비한 뚜껑체가 기밀하게 끼워져 있고, 에어흡인포트는 레귤레이터에 에어튜브로 접속되며, 폐기물 흡인포트에는 폐기물 흡인튜브가 접속된다. 폐기물 흡인포트의 저장용기 내측출구에는, 플로트 밸브가 구비되어져 있고, 저장용기 내에 일정량의 액상 폐기물이 쌓이면, 그 이상 흡인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저장용기 내에 액상 폐기물이 쌓이면, 뚜껑체를 떼어내서 저장용기 내의 액상 폐기물을 버리고 내부를 세정한 후, 다시 뚜껑체를 부착하여 재사용한다.
한편, 디스포저블형(특허문헌 5~8, 비특허문헌 3~4)은, 바닥이 있는 통형상의 진공용기 내에, 폐기물 흡인포트와 에어배출밸브를 구비한 폐기물 수용백을 수용하고, 폐기물 흡인포트 선단의 관이음매(폐기물 흡인튜브 접속단부) 부분이 진공용기 밖으로 나오도록 하여, 진공용기의 상부개구단에, 에어흡인포트를 구비한 뚜껑체가 기밀하게 끼워진다. 이때, 폐기물 수용백의 에어배출밸브는, 진공용기 내에 연통하도록 설치된다. 에어흡인포트는 레귤레이터에 에어튜브로 접속되며, 폐기물 흡인포트에는 폐기물 흡인튜브가 접속된다. 에어튜브로부터 진공용기 내의 공기를 진공흡인하면, 진공용기 내가 부압이 되어, 에어배출밸브를 통하여 폐기물 용기백 내의 공기가 배출된다. 이에 따라, 폐기물 흡인튜브의 선단으로부터 액상 폐기물이 흡인되어 폐기물 수용백 내에 저장된다. 폐기물 수용백 내가 액상 폐기물로 가득차면, 폐기물 수용백을 새로운 것으로 교환하고, 사용이 끝난 폐기물 수용백은 그대로 폐기한다.
특허문헌 1: 일본공개특허공보 소57-86357호 특허문헌 2: 일본공개특허공보 소58-1458호 특허문헌 3: 일본공개특허공보 2011-147477호 특허문헌 4: 일본실용신안등록공보 제3067905호 명세서 특허문헌 5: 국제공개공보 WO2004/110522호 팸플릿 특허문헌 6: 일본공개특허공보 평8-112344호 특허문헌 7: 일본공개특허공보 소58-109061호 특허문헌 8: 일본의장등록공보 제1212706호
비특허문헌 1: '벽걸이식 흡인기 FA형'(JMDM코드: 36778000), [online], 2009년 8월 1일, 독립행정법인 의약품 의료기기 종합기구, 의약품 의료기기 정보제공 HP, [2014년 5월 1일 검색], 인터넷, <URL:http://www.info.pmda.go.jp/ygo/pack/40B2X00001000010_A_01_06/> 비특허문헌 2: 주식회사 AMC, '감압기 부착 흡인기(AV-5)', [online], [2014년 3월 10일 검색], 인터넷, <URL:http://www.amc-svc.jp/product/product23.html> 비특허문헌 3: 에어·워터 방재 주식회사, '디스포저블 벽걸이식 흡인기'(일본의료기기 신고번호: 27B1X00056014002), [online], [2014년 3월 10일 검색], 인터넷, <URL:http://www.awb.co.jp/medical/machine/index.html> 비특허문헌 4: 다이켄이키 주식회사, '쿠데크큐인폿'(JMDN코드: 36778000)[online], 2011년 12월 19일, 독립행정법인 의약품 의료기기 종합기구, 의약품 의료기기 정보제공 HP, [2014년 5월 1일 검색], 인터넷, <URL:http://www.daiken-iki.co.jp/iryo/trs/20130306_KYUIN.pdf>
상기 종래의 흡인보틀은, 리유저블형과 디스포저블형이 각각의 제품으로서 제조되어 제공되어 왔다. 그 때문에, 의료 현장에 있어서, 환자에 따라서 리유저블형과 디스포저블형을 구분해서 사용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리유저블형과 디스포저블형의 양쪽의 흡인보틀을, 필요하게 될 가능성이 있는 수만큼 구입하여 비축해 둘 필요가 있어, 보관에 필요한 장소가 커져 불편하였다.
또한, 리유저블형에서 디스포저블형으로 전환하는 경우, 또는 그 반대의 경우에는, 흡인보틀 전체를 교환할 필요가 있으므로, 교환작업에 수고가 들어 불편하였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보다 보관에 필요한 장소를 작게 할 수 있고, 또한 종래와 비교하여 리유저블형에서 디스포저블형으로의 교환 및 그 반대의 교환에 필요한 작업과 비용을 삭감할 수 있는 흡인보틀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흡인보틀의 제1 구성은, 상단부가 개구된 바닥이 있는 통형상으로 형성된 액상 폐기물을 수용하는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상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용기본체의 상단부 개구를 밀폐하는 것이 가능한 뚜껑체와,
상기 뚜껑체에 관통 형성되어 있고, 용기본체 내부의 에어를 흡인하는 에어흡인튜브가 접속되는 에어흡인구를 구비한 액상 폐기물을 흡인하여 수용하기 위한 의료용 흡인보틀로서,
상기 뚜껑체로서,
폐기물 흡인튜브를 접속하는 폐기물 흡인구, 및 상기 에어흡인구가 관통 형성된 액상 폐기물을 상기 용기본체 내에 직접 수용할 때에 사용되는 리유저블형 뚜껑체와,
폐기물 흡인구를 가지는 폐기물 흡인튜브 접속단부가 설치된 기밀한 봉투형상의 폐기물 수용백이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폐기물 흡인튜브 접속단부가 삽입 통과하는 폐기물 흡인튜브 접속단부 삽입통과부가 형성되며, 또한 상기 에어흡인구가 관통 형성된 액상 폐기물을 상기 페기물 수용백 내에 수용할 때에 사용되는 디스포저블형 뚜껑체와의 교환이 가능한 2종의 뚜껑체를 구비하고,
상기 각 뚜껑체는, 상기 용기본체에 고정이 가능한 공통의 고정구조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리유저블형과 디스유저블형으로 용기본체는 공통화되어 있기 때문에, 용기본체에 리유저블형 뚜껑체를 장착한 경우에는, 리유저블형 흡인보틀로서 사용할 수 있고, 한편, 용기본체에 디스포저블형 뚜껑체를 장착한 경우에는, 디스포저블형 흡인보틀로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리유저블형과 디스포저블형의 양쪽의 뚜껑체만을 필요해질 가능성이 있는 수만큼 구입·비축하고, 용기본체는 그 절반만큼 구입·비축해 두면 된다. 흡인보틀에 있어서, 용기본체가 가장 부피가 커서 보관 장소의 대부분을 차지하므로, 용기본체의 비축수를 절반으로 할 수 있음으로써, 전체의 보관 장소의 용적을 대폭 삭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리유저블형과 디스포저블형으로 용기본체는 공통화되어 있으므로, 디스포저블형으로의 교환 및 그 반대의 교환을 하는 경우에는, 뚜껑체만 교환하면 되어, 교환에 필요한 작업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흡인보틀의 제2 구성은, 상기 제1 구성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조는, 상기 뚜껑체가 상기 용기본체에 대하여 특정 방향을 향한 상태에서만 끼워맞춤 고정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여, 용기본체에 뚜껑체를 장착할 때에, 잘못해서 반대 방향으로 장착하는 등의 작업실수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흡인보틀의 제3 구성은, 상기 제1 또는 제2 구성에 있어서, 상기 폐기물 흡인튜브 접속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 가요성의 페기물 흡인튜브와,
상기 폐기물 흡인튜브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폐기물 흡인튜브를 협지(挾持)하는 굴곡진 탄성부재로 이루어지는 제1 및 제2 협지 부분이 접합되어 이루어지는 튜브 클립을 구비하고,
리유저블형 뚜껑체는,
상기 용기본체에 끼워맞춤 고정되는 관장착부와,
상기 천판에 개구된 장착부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폐기물 흡인구 및 상기 에어흡인구가 관통 형성된 리유저블 어댑터와,
상기 리유저블 어댑터의 이면에 돌출 설치된 리유저블 어댑터 벽걸이용 후크부재와,
상기 리유저블 어댑터의 표면에 돌출 설치된 튜브 감아걸기용 후크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리유저블형의 흡인보틀로서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용기본체 내의 액상 폐기물을 버리고 내부를 세정하는 작업을 행할 때, 폐기물 흡인튜브를 리유저블형의 뚜껑체의 폐기물 흡인구로부터 떼어낼 필요가 있는데, 폐기물 흡인구로부터 떼어낸 폐기물 흡인튜브의 단부를 튜브 클립에 의하여 폐기물 흡인튜브의 다른 부분에 고정하고, 느슨하게 감긴 상태로 벽의 후크 등에 걸어 둘 수 있다. 이때, 폐기물 흡인튜브의 끝단이 상향이 되도록 튜브 클립에 의하여 고정해 두면, 폐기물 흡인튜브의 끝단으로부터 액상 폐기물이 바닥에 흘러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튜브 클립'은, 제1 협지부분 및 제2 협지부분이 개방부를 서로 역방향으로 하여 뒤가 맞닿게 접합된 것, 제1 협지부분 및 제2 협지부분이 개방부를 서로 같은 방향으로 하여 나란히 접합된 것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흡인보틀의 제4 구성은, 상기 제1 또는 제2 구성에 있어서, 상기 디스포저블형의 뚜껑체의 측면에, 상기 페기물 흡인튜브를 수직 방향으로 고정해 두는 튜브 클립을 적어도 2개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디스포저블형의 흡인보틀로서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용기본체 내의 폐기물 수용백을 교환하는 작업을 할 때, 폐기물 흡인튜브를 폐기물 수용백의 폐기물 흡인튜브 접속단부로부터 떼어낼 필요가 있는데, 폐기물 흡인튜브 접속단부로부터 떼어낸 폐기물 흡인튜브의 단부를 한쪽 튜브 클립에 의하여 디스포저블형의 뚜껑체의 측면에 고정하고, 또 다른 한쪽 폐기물 흡인튜브의 단부를 다른쪽 튜브 클립에 의하여 디스포저블형의 뚜껑체의 측면에 고정하여 작업을 할 수 있다. 이때, 폐기물 흡인튜브의 끝단이 상향이 되도록 튜브 클립에 의하여 고정해 두면, 폐기물 흡인튜브의 끝단으로부터 액상 폐기물이 바닥에 흘러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흡인보틀의 제5 구성은, 상기 제1 내지 제4 중 어느 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의 배면에 돌출 설치된 용기 벽걸이용 후크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본체는, 상부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간부에서 하부에 걸쳐서는, 좌우 측면이 평면 형상 및 전후 측면이 원호면 형상의 양쪽 활꼴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흡인보틀의 용기본체를 벽에서 떼어내거나 운반하거나 할 때에 잡기 쉬워, 작업 중에 떨어뜨리는 사고를 억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리유저블형과 디스포저블형으로 용기본체는 공통화함으로써, 리유저블형과 디스포저블형의 양쪽의 뚜껑체만을 필요해질 가능성이 있는 수만큼 구입·비축하고, 용기본체는 그 절반만큼 구입·비축해 두면 좋다. 흡인보틀에 있어서, 용기본체가 가장 부피가 커서 보관 장소의 대부분을 차지하므로, 용기본체의 비축수를 절반으로 할 수 있음으로써, 전체의 보관 장소의 용적을 대폭 삭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뚜껑체를 용기본체에 고정하는 고정구조를, 뚜껑체가 용기본체에 대하여 특정 방향을 향한 상태에서만 끼워맞춤 고정되는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용기본체에 뚜껑체를 장착할 때에, 잘못해서 반대방향으로 장착하는 등의 작업실수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튜브 클립을 설치함으로써, 용기본체 내의 폐기물을 버리고 세정하는 작업이나, 폐기물 수용백을 교환하는 작업 시에, 폐기물 흡인튜브의 끝단을 튜브 클립으로 고정하여, 폐기물 흡인튜브의 끝단으로부터 액상 폐기물이 바닥에 흘러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디스포저블형의 뚜껑체를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흡인보틀의 외관사시도이고, 도 1의 (a)는 배면측, 도 1의 (b)는 정면측의 외관사시도이다.
도 2의 (a)는 도 1의 흡인보틀의 정면도, 도 2의 (b)는 그 배면도이다.
도 3의 (a)는 도 1의 흡인보틀의 좌측면도, 도 3의 (b)는 그 우측면도이다.
도 4의 (a)는 도 1의 흡인보틀의 평면도, 도 4의 (b)는 그 바닥면도이다.
도 5는 리유저블형의 뚜껑체를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흡인보틀의 외관사시도이고, 도 5의 (a)는 배면측, 도 5의 (b)는 정면측의 외관사시도이다.
도 6의 (a)는 도 5의 흡인보틀의 정면도, 도 6의 (b)는 그 배면도이다.
도 7의 (a)는 도 5의 흡인보틀의 좌측면도, 도 7의 (b)는 그 우측면도이다.
도 8의 (a)는 도 5의 흡인보틀의 평면도, 도 8의 (b)는 그 바닥면도이다.
도 9는 용기본체(2) 단체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의 (a)는 배면측 사시도, 도 9의 (b)는 정면측 사시도, 도 9의 (c)는 평면도이다.
도 10의 (a)는 도 1의 디스포저블형의 뚜껑체(3a)의 사시도이고, 도 10의 (b)는 그 바닥면도이다.
도 11은 도 1의 디스포저블형의 뚜껑체(3a)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2는 폐기물 수용백(30)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폐기물 수용백(30)의 백포트부(31)를 뚜껑체(3a)에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폐기물 수용백(30)을 뚜껑체(3a)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의 (a)는 도 5의 뚜껑체(3b)의 배면측 사시도, 도 15의 (b)는 그 정면측 사시도, 도 15의 (c)는 그 바닥면 사시도이다.
도 16의 (a)는 도 5의 뚜껑체(3b)의 분해사시도, 도 16의 (b)는 리유저블 어댑터(41)의 바닥면 사시도이다.
도 17은 용기본체(2)에 디스포저블형의 뚜껑체(3a)를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 에어흡인튜브 및 폐기물 흡인튜브를 접속한 상태의 흡인보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의 (a)는 전체도, 도 17의 (b)는 용기본체(2) 부근의 확대도이다.
도 18은 용기본체(2)에 리유저블형의 뚜껑체(3b)를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 에어흡인튜브 및 폐기물 흡인튜브를 접속한 상태의 흡인보틀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8의 (a)는 전체도, 도 18의 (b)는 용기본체(2) 부근의 확대도이다.
도 19는 리유저블 어댑터(41)의 튜브 감아걸기용 후크부재(41e) 및 벽걸이용 후크부재(41f)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19의 (a)는 벽면에 설치된 벽측 슬라이드 걸이구(70), 도 19의 (b)는 벽측 슬라이드 걸이구(70)에 용기본체(2)의 슬라이드 걸이구(4)를 끼워맞춘 상태, 도 19의 (c)는 벽측 슬라이드 걸이구(70)에 리유저블 어댑터(41)의 벽걸이용 후크부재(41f)를 끼워맞춘 상태, 도 19의 (d)는 벽면에 고정한 리유저블 어댑터(41)에 폐기물 흡인튜브(61)를 감아 건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은 디스포저블형의 뚜껑체를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흡인보틀의 외관사시도이다. 도 1의 (a)는 배면측, 도 1의 (b)는 정면측이다. 도 2는 도 1의 흡인보틀의 (a)는 정면도, 도 2의 (b)는 배면도이다. 도 3의 (a)는 도 1의 흡인보틀의 좌측면도, 도 3의 (b)는 우측면도이다. 도 4의 (a)는 도 1의 흡인보틀의 평면도, 도 4의 (b)는 바닥면도이다.
도 5는 리유저블형의 뚜껑체를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흡인보틀의 외관사시도이다. 도 5의 (a)는 배면측, 도 5의 (b)는 정면측이다. 도 6의 (a)는 도 5의 흡인보틀의 정면도, 도 6의 (b)은 그 배면도이다. 도 7의 (a)는 도 5의 흡인보틀의 좌측면도, 도 7의 (b)는 그 우측면도이다. 도 8의 (a)는 도 5의 흡인보틀의 평면도, 도 8의 (b)는 그 바닥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8에 있어서, 실시예 1의 흡인보틀(1)은, 상단부가 개구된 바닥이 있는 통형상으로 형성된 용기본체(2)와, 용기본체(2)의 상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용기본체(2)의 상단부 개구를 밀폐하는 것이 가능한 뚜껑체(3a, 3b)를 구비하고 있다. 뚜껑체(3a)(도 1 내지 도 4를 참조)가 디스포저블형의 뚜껑체, 뚜껑체(3b)(도 5 내지 도 8을 참조)가 리유저블형의 뚜껑체이고, 양자는 용기본체에 고정이 가능한 공통의 고정구조(후술)를 구비하고 있으며, 용기본체(2)에 대하여 양자를 자유롭게 교환할 수 있다.
용기본체(2) 단체를 도 9에 나타낸다. 용기본체(2)는 내부에 저장되는 액상 폐기물의 양을 눈으로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반투명의 플라스틱으로 형성되어 있다. 용기본체(2)는 상단부 부근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단부 부근은 단면이 평행 활꼴(양쪽 활꼴)의 통형상(양쪽 활꼴 통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중앙 부근에 있어서 단면이 양쪽 활꼴에서 원으로 매끄럽게 변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현재 시판의 흡인보틀은, 의료종사자가 흡인물의 양이나 색깔이나 상태를 확인하기 쉽게 하기 위하여, 용기본체를 투명하게 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하지만, 투명해서는 용기본체 내부의 흡인물이 있는 그대로 보이기 때문에, 환자 본인뿐만 아니라 병문안 온 가족이나 같은 병실의 다른 입원환자에게도 불쾌감을 주는 것이 문제였다. 그래서, 본 실시예의 흡인보틀(1)에서는, 용기본체(2)를 반투명하게 하여 내용물을 보이기 어렵게 하는 동시에, 의료종사자가 흡인물의 양이나 색깔이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용기본체(2)의 상부의 배면측의 외측면에는, 용기본체(2)를 실내의 벽면 등에 고정하기 위한 슬라이드 걸이구(4)(용기 벽걸이용 후크부재)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슬라이드 걸이구(4)는, 용기본체(2)의 상부의 배면측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 설치하는 2개의 평행한 돌출판(4a, 4a)과, 좌우의 돌출판(4a, 4a)의 외측 옆변에 걸쳐져 설치된 수직 평판 형상의 걸이 평면판(4b)을 구비하고 있다. 좌우의 돌출판(4a, 4a)과 걸이 평면판(4b) 사이에는, 좌우 외측을 향하여 개구하는 コ형상의 슬라이드홈(4c)이 수직으로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걸이 평면판(4b)을 벽에 설치되는 벽측 슬라이드 걸이구(70)(도 19를 참조)에 슬라이드 끼워맞춤으로써, 용기본체(2)를 벽면에 걸 수 있다. 또한, 걸이 평면판(4b)의 중앙부보다 약간 상부에, 벽에 설치된 걸이핀에도 걸 수 있도록 걸이 구멍(4d)이 형성되어 있다.
용기본체(2)의 윗가장자리부에는, 뚜껑체(3a, 3b)를 끼워맞춤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조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고정구조는, 용기본체(2)의 상단부에 형성된 외측면이 단차 형상으로 직경 축소된 축소직경 둘레부(5)와, 축소직경 둘레부(5)의 좌우의 서로를 향한 위치의 외측면에 형성된 후크 고정홈(6a, 6b)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후크 고정홈(6a, 6b)은, 용기본체(2)의 중심축에 대하여 완전히 대칭인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약간 축대칭 위치에서 어긋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뚜껑체(3a, 3b)는 한방향(특정한 방향을 향한 상태)에서 밖에 이 후크 고정홈(6a, 6b)과 끼워맞출 수 없어, 이에 따라 용기본체(2)에 뚜껑체(3a, 3b)를 설치할 때, 잘못해서 뚜껑체(3a, 3b)를 반대방향으로 설치하는 등의 작업실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용기본체(2)의 하부는, 좌우면이 평행한 평판이고 전후면이 원호 판형상의 양쪽 활꼴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단순한 원통형상의 경우에 비하여, 이 양쪽 활꼴 통형상 부분은 감싸 쥐는 것이 쉬워, 흡인보틀(1)의 용기본체(2)를 벽에서 떼어내거나 운반하는 작업 중에, 용기본체(2)를 잘못해서 떨어뜨리는 사고를 억제할 수 있다. 특히, 좌우의 평판 사이의 간격을 60~80mm로 하는 것이 적합하다. 평균적인 성인 손의 크기인 경우에, 가장 잡기 쉽기 때문이다.
도 10, 도 11에 디스포저블형의 뚜껑체(3a) 단체를 나타낸다. 도 10은 도 1의 뚜껑체(3a)의 (a)는 사시도 및 (b)는 바닥면도이다. 도 11은 도 1의 뚜껑체(3a)의 분해사시도이다.
디스포저블형의 뚜껑체(3a)는, 중공 원통형상의 관장착부(10)와, 힌지식으로 요동 가능하게 왕복 운동하여 관장착부(10)의 상단을 개폐하는 힌지 뚜껑부(11)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힌지 뚜껑부(11)에는, 폐기물 수용백(30)의 백포트부(31)가 탈착 가능하게 끼워져 있다(도 1, 도 13).
관장착부(10)의 외측면에는, 상반부(10b)가 하반부(10a)에 대하여 단차형상으로 직경 축소된 2단의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관장착부(10)의 우측 외측면에는, 힌지 뚜껑부(11)를 피봇하기 위한 힌지베이스(12)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힌지 베이스(12)는 좌우 평행한 2개의 평판형상 부재로 구성되어 있고, 좌우 외향의 측면에는, 짧은 원기둥 형상의 힌지축(12a)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도 11을 참조).
한편, 힌지 뚜껑부(11)는, 우측 측면에 힌지 받이부(13)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힌지 받이부(13)는 힌지 뚜껑부(11)의 상면 원판(11a)과 단차 없이 외측으로 돌출하여 연장 설치된 직사각형 판형상의 상판부(13a)와, 상판부(13a)의 양측변으로부터 하향 수직으로 연장 설치된 평판형상의 측판부(13b, 13b)(도 10의 (b))와, 상판부(13a)의 외단변으로부터 하향 수직으로 연장 설치된 평판형상의 스토퍼판(13c)(도 10의 (b))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양측의 측판부(13b, 13b)에는, 힌지축(12a, 12a)이 끼워 맞추어지는 축받이 구멍(13d, 13d)이 관통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힌지 뚜껑부(11)는 축받이 구멍(13d, 13d)를 중심으로 회전운동하여 관장착부(10)의 상단을 개폐한다. 또한, 힌지 뚜껑부(11)가 일정한 각도만큼 열리면, 스토퍼판(13c)의 하단변이 관장착부(10)의 측면에 돌출 설치된 스토퍼부분(14)(도 1의 (a), 도 3의 (b)를 참조)에 닿아, 이에 따라 힌지 뚜껑부(11)의 회전운동 범위가 규제된다.
관장착부(10)의 정면측에는, 폐기물 수용백(30)의 백포트부(31)를 사이에 끼우기 위한 포트 끼워맞춤부(15)가 형성되어 있다. 포트 끼워맞춤부(15)는 관장착부(10)의 상단 가장자리에 형성된 반원형상의 오목부(폐기물 흡인튜브 접속단부 삽입통과부)와, 그 오목부 주위의 관장착부(10) 측면에, 백포트부(31)와 끼워맞춤 가능한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 소켓부(15b)로 구성되어 있다.
포트 끼워맞춤부(15)의 소켓부(15b) 하측의 관장착부(10)의 하반부(10a)의 외측면에는, 뚜껑체(3a)의 용기본체(2)로의 설치 방향을 나타내는 마커(16)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마커(16)는 관장착부(10) 외측면을 따라서 수직 방향으로 반원기둥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9에서는 도시를 생략하고 있는데, 용기본체(2)의 외측면에는, 용기본체(2) 내의 내용물의 양쪽 기준이 되는 눈금과, 마커(16)의 위치 맞춤을 위한 마크(도 17의 (b), 도 18의 (b)에 있어서의 눈금의 윗쪽(용기본체(2)의 상부 가장자리 부근)에 인쇄된 검정색점)이 인쇄되어 있다(도 17, 도 18을 참조).
관장착부(10)의 중심축에 대하여 마커(16)로부터 약 45도 떨어진 위치의 마커(16)의 좌우측에는, 폐기물 흡인튜브를 수직 방향으로 고정하기 위한 튜브 클립(17a, 17b)이 돌출 설치되어 있다. 튜브 클립(17a, 17b)은, U자 형상으로 구부러진 홈판형상 부재를 구비하고, 이 홈판형상 부재는 홈축이 수직 방향이 되도록, 관장착부(10)의 하반부(10a) 외측면에 장착되어 있다.
관장착부(10)의 배면측에는, 용기본체(2)의 내부의 에어를 흡인하는 에어흡인튜브를 접속하기 위한 에어흡인구(18)가 관통 형성되어 있다. 에어흡인구(18)는 관장착부(10)의 상반부(10b)의 옆판을 관통하고, 더욱이 관장착부(10)의 상반부(10b)의 외측면에서 원통형상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에어흡인구(18)에는 바깥단으로부터 에어흡인튜브 접속 이음매(19)가 삽입 장착되어 있다. 에어흡인튜브 접속 이음매(19)는 에어흡인튜브와 에어흡인구(18)를 접속하기 위한 관이음매이다. 에어흡인튜브 접속 이음매(19)는 수직으로 굴곡진 꺾인 관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도 1의 (b), 도 3, 도 11), 에어흡인튜브에 삽입하는 측의 끝단의 에어흡인튜브 접속단부(19a)는, 끝이 가는 관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외측면에 에어흡인튜브가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바브(barb)로서 기능하는 우산형상의 돌기가 3단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에어흡인구(18)에 삽입하는 측의 끝단의 끼워넣음부(19b)에는, 에어누출방지를 위하여, 외측면에 2개의 O링(20a, 20b)이 고리 장착되고(도 11), 끼워넣음부(19b)의 기단에는, 에어흡인구(18)로의 삽입 깊이를 규제하기 위한 플랜지(19c)가 형성되어 있다.
관장착부(10)의 좌측면의 상반부(10b) 외측면에는, 힌지 뚜껑부(11)의 계류 고리부(22)를 걸기위한 고정부분(21)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도 11).
또한, 힌지 뚜껑부(11)의 좌측면에는, 상기 고정부분(21)에 계합하는 계류 고리부(22)가 배치되어 있다(도 10), 계류 고리부(22)는 스프링에 의하여 부세된 후크이고(도 11을 참조), 중앙부 부근이 힌지 뚜껑부(11)의 좌측면에 축 장착되어, 상부가 스프링(22a)에 의하여 힌지 뚜껑부(11) 좌측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부세되어 있다. 따라서, 계류 고리부(22)는 중앙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하단측이 힌지 뚜껑부(11)의 내측 방향으로 부세되어 있다. 계류 고리부(22)의 하단측이 고정부분(21)과 계합하여, 힌지 뚜껑부(11)의 좌단을 관장착부(10)의 왼쪽 상단에 고정한다.
관장착부(10)의 내측면은, 중앙부에 단차 형상으로 직경 축소한 단차부(23)가 형성되어 있다(도 11). 이 단차부(23)의 하향 바닥면에는, 원환형상의 패킹홈(23a)(도 14를 참조)이 형성되어 있고, 이 패킹홈에 패킹(24)이 끼워 장착되어 있다(도 10의 (b), 도 11). 용기본체(2)의 상단개구부에 뚜껑체(3a)를 끼워넣을 때, 용기본체(2)의 상단 가장자리가 이 패킹(24)에 밀착하여, 이에 따라 기밀성이 유지된다. 패킹(24)의 하단 내주면에는, 3곳에 역부착 방지용 돌기(24a, 24b, 24c)(도 10의 (b)를 참조)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패킹홈(23a)의 이들 역부착 방지용 돌기(24a, 24b, 24c)에 대응하는 위치에 노치가 형성되어 있다. 이 역부착 방지용 돌기(24a, 24b, 24c)를 설치함으로써, 패킹(24)을 잘못해서 상하 반대방향으로 설치하여 기밀성이 저하하는 등의 제조상의 실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힌지 뚜껑부(11)의 상면원판(11a)의 이면에도 같은 패킹홈(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고, 이 패킹홈에 패킹(26)(도 11을 참조)이 끼워맞춤 장착되어 있다. 힌지 뚜껑부(11)로 관장착부(10) 상단개구를 밀폐하였을 때, 패킹(26)이 힌지 뚜껑부(11)의 상단 가장자리에 밀착하여, 이에 따라 기밀성이 유지된다. 또한, 높은 기밀성을 얻기 위하여, 관장착부(10)의 상단 가장자리에는, 원주 중앙선을 따라서 단면 삼각형상의 돌조(10c)(도 11을 참조)가 설치되어 있다. 힌지 뚜껑부(11)로 관장착부(10) 상단개구를 밀폐하였을 때, 이 돌조(10c)가 패킹(26)에 삽입되어 기밀성이 높아진다.
관장착부(10)의 내측면의 하단에는, 상술한 용기본체(2) 상부 가장자리의 후크 고정홈(6a, 6b)에 끼워맞추는 후크 돌기부분(25a, 25b)(도 10의 (b)를 참조)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2개의 후크 돌기부분(25a, 25b)은, 뚜껑체(3a)의 원통 중심축에 대하여 축대칭 위치로부터 어긋난 곳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술한 후크 고정홈(6a, 6b)에 대응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뚜껑체(3a)는 특정 방향을 향한 상태에서만 후크 고정홈(6a, 6b)과 끼워맞출 수 있고, 이에 따라 용기본체(2)에 뚜껑체(3a)를 설치할 때, 잘못하여 뚜껑체(3a)를 전후 반대방향으로 설치하는 등의 작업실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2는 폐기물 수용백(30)의 사시도이다. 폐기물 수용백(30)은, 백포트부(31)와 봉투체부(32)로 이루어진다. 폐기물 수용백(30)은 경질수지제이고, 봉투체부(32)는 휘어질 수 있는 반투명의 연질수지제이다. 반투명으로 한 것은, 봉투체부(32) 내에 어느 정도 액상 폐기물이 쌓였는지를 외부로부터 쉽게 시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백포트부(31)는, 봉투체부(32)의 상단에 설치되어 있고, 백포트부(31)를 통하여 봉투체부(32)로 액상 폐기물이 유입된다. 봉투체부(32)는 백포트부(31) 이외에 있어서는 외부와 연통하지 않는다.
백포트부(31)는 베이스부(33), 손잡이부(34), 폐기물 흡인관부(35), 및 캡부(36)를 구비하고 있다.
베이스부(33)는 상부에 수평천판(33a)을 가지고, 수평천판(33a)의 중앙부에 에어배출구멍(33b)이 관통 설치되어 있다. 수평천판(33a)은, 평면에서 볼 때 좌우로 가늘고 긴 눈형상(마름모꼴의 상하 정점을 원호 형상으로 모따기한 형상)을 이루고, 그 장축방향의 일단에 띠형상 판이 연장 설치되며, 그 띠형상 판의 단부가 수직상방으로 기립하여 굴곡져, 기립한 띠형상 판의 상단부가 반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띠형상 판의 기립한 부분이 내플랜지(33c)로 되어 있다. 또한, 수평천판(33a)의 중앙부 하면에는, 눈형상의 짧은 기둥형상의 접착부(33d)(도 13을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봉투체부(32)의 상단은, 이 접착부(33d)에 기밀하게 접착되어 있다. 에어배출구멍(33b)은 접착부(33d) 중앙을 수직으로 관통하여 봉투체부(
32)의 봉투 내에 연통하고 있고, 에어배출구멍(33b)의 봉투체부(32)의 봉투 내측 출구에는, 공기만을 통과시키고 액상 폐기물을 통과시키지 않는 필터(33e)(도 13 참조)가 설치되어 있다.
손잡이부(34)는 베이스부(33)의 수평천판(33a)의 상면에 돌출 형성되어 있다. 손잡이부(34)는 수직으로 세워진 판형상 부재로 형성되어 있고, 중앙에 손잡이부가 되는 개구부가 관통 형성되어 있다.
폐기물 흡인관부(35)는 L자 형상으로 굴곡진 관형상 부재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단측은 수평천판(33a)의 상면에 수직으로 연결되고, L자 형상으로 수평으로 휘어진 선단측 관은 내플랜지(33c)를 연결 관통하며, 더욱이 그 선단측은 끝이 가늘게 형성되어 있다. 이 선단측의 끝이 가는 부분이, 폐기물 흡인튜브를 접속하는 폐기물 흡인튜브 접속단부(35a)로 되어 있다. 폐기물 흡인튜브 접속단부(35a)의 선단에는 폐기물 흡인구가 개구하고 있다. 또한, 내플랜지(33c)보다 선단측이고 폐기물 흡인튜브 접속단부(35a)의 기단측에는, 수직 판형상의 외플랜지(35b)가 형성되어 있다. 외플랜지(35b)와 내플랜지(33c)의 간극의 간격은, 관장착부(10)의 상반부(10b)의 벽두께와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간극 부분에 실리콘 고무제의 패킹(37)이 관장착되어 있다. 폐기물 수용백(30)을 뚜껑체(3a)에 삽입 장착할 때, 이 외플랜지(35b)를 포트 끼워맞춤부(15)(도 10을 참조)에 끼워넣고, 외플랜지(35b)와 내플랜지(33c)에서 관장착부(10)의 상부 가장자리벽을 사이에 끼움으로써, 폐기물 수용백(30)이 뚜껑체(3a)에 위치결정되어 고정된다. 또한, 패킹(37)에 의하여 기밀성이 유지된다. 그리고, 폐기물 흡인관부(35)의 기단측은, 수평천판(33a) 및 그 하부의 접착부(33d)를 관통하여 봉투체부(32)의 봉투 내로 연통하고 있다.
한편, 사용자가 에어흡인튜브 접속 이음매(19)와 폐기물 흡인튜브 접속단부(35a)를 잘못하여 튜브를 접속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폐기물 흡인튜브 접속단부(35a)의 색은, 에어흡인튜브 접속 이음매(19)와는 다른 색으로 되어 있다. 또한, 디스포저블형과 리유저블형(후술)에서, 폐기물 흡인튜브 접속단부의 색은 통일되어 있다.
폐기물 흡인관부(35)의 기단은, 수평천판(33a)의 바닥면으로부터 아래쪽을 향하여 돌출되어 개구하고 있다. 그 기단개구부에는, 역류방지밸브(35c)가 설치되어 있어, 봉투체부(32) 내에 흡인된 액상 폐기물이 폐기물 흡인관부(35)로 역류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캡부(36)는 폐기물 흡인튜브 접속단부(35a)에 끼워맞춤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된 캡이다. 캡부(36)는 굴곡 가능한 캡암(36a)에 의하여, 외플랜지(35b)의 상단에 연결되어 있다. 미사용시나 운반시에는 이 캡부(36)를 폐기물 흡인튜브 접속단부(35a)에 끼워둠으로써, 백 내의 내용물이 폐기물 흡인튜브 접속단부(35a)로부터 튀는 것이 방지된다.
도 13은 폐기물 수용백(30)의 백포트부(31)를 뚜껑체(3a)에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 14는 폐기물 수용백(30)을 뚜껑체(3a)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한편, 도 13은 뚜껑체(3a)의 힌지 뚜껑부(11)를 밀폐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도 14는 힌지 뚜껑부(11)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3 및 도 14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12의 각 부분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폐기물 수용백(30)을 탈착할 때에는,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뚜껑체(3a)의 계류 고리부(22)를 떼어 힌지 뚜껑부(11)를 개방한다. 장착시에는, 폐기물 수용백(30)의 외플랜지(35b)를 포트 끼워맞춤부(15)에 끼워넣고, 그 후, 힌지 뚜껑부(11)를 폐쇄하여, 계류 고리부(22)를 관장착부(10)의 고정부분(21)에 계합시킨다. 이에 따라, 용기본체(2) 내는 밀폐된 상태가 된다. 그후, 에어흡인튜브 접속 이음매(19)를 에어흡인튜브(60)(도 17을 참조)에 의하여, 실내에 구비된 아웃렛(62)이나 진공펌프와 접속한다. 또한, 폐기물 흡인튜브 접속단부(35a)에 폐기물 흡인튜브(61)(도 17을 참조)를 접속한다. 에어흡인튜브로부터 용기본체(2) 내의 에어를 흡인하면, 용기본체(2) 내는 부압이 된다. 용기본체(2) 내와 폐기물 수용백(30) 내는, 에어배출구멍(33b) 및 필터(33e)를 통하여 연통하고 있으므로, 폐기물 수용백(30) 내도 부압이 되어, 이에 따라 에어흡인튜브(60)로부터 액상 폐기물을 흡인할 수 있다.
도 15, 도 16에 리유저블형의 뚜껑체(3b) 단체를 나타낸다. 도 15의 (a)는 도 5의 뚜껑체(3b)의 배면측 사시도, 도 15의 (b)는 그 정면측 사시도, 및 도 15의 (c)는 그 바닥면 사시도이다. 도 16의 (a)는 도 5의 뚜껑체(3b)의 분해사시도, 도 16의 (b)는 리유저블 어탭터(41)의 바닥면 사시도이다.
뚜껑체(3b)는 관장착부(40), 리유저블 어탭터(41), 폐기물 흡인튜브 접속 이음매(42), 패킹부착 폐기물 배출구부(43), 및 플로트 밸브부(44)를 구비하고 있다.
관장착부(40)는 뚜껑본체가 되는 부품이며, 상단부가 천판으로 폐쇄된 짧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원통부의 직경은, 용기본체(2)의 상단 개구부에 외측으로부터 끼워맞춤 가능한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관장착부(40)의 천판의 중심에는, 원형의 에어흡인포트 장착구멍(40a)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도 16의 (a)). 또한, 관장착부(40)의 천판의 중심보다 정면측으로 치우친 위치에는, 원형의 폐기물 흡인포트 장착구멍(40b)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도 16의 (a)). 에어흡인포트 장착구멍(40a) 및 폐기물 흡인포트 장착구멍(40b)에 의하여, 리유저블 어댑터(41)의 장착부가 구성되어 있다.
관장착부(40)의 천판은, 중앙부에 원형의 쟁반 형상의 오목부(쟁반오목부(40c))가 형성되어 있고, 에어흡인포트 장착구멍(40a) 주위로부터 폐기물 흡인포트 장착구멍(40b) 주위에 걸친 부분에 대지 형상으로 융기한 대좌부(40d)가 형성되어 있다. 대좌부(40d)의 상면은 수평으로 되고, 관장착부(40)의 천판 주위의 높이보다 리유저블 어댑터(41)의 베이스 기판(41a)(후술)의 두께 정도만큼 낮은 높이로 되어 있다.
관장착부(40)의 외측면에는, 뚜껑체(3b)의 용기본체(2)로의 설치방향을 나타내는 마커(45)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도 15의 (b)). 마커(45)는 관장착부(40) 외측면을 따라서 수직 방향의 반원주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관장착부(40)의 내측면의 하단에는, 뚜껑체(3a)의 후크 돌기부분(25a, 25b)과 같은 후크 돌기부분(46a, 46b)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도 15의 (c)). 2개의 후크 돌기부분(46a, 46b)은, 뚜껑체(3b)의 원통 중심축에 대하여 축대칭 위치로부터 어긋난 곳에 위치하고 있어, 상술한 후크 고정홈(6a, 6b)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뚜껑체(3b)는 특정 방향을 향한 상태에서만 후크 고정홈(6a, 6b)과 계합할 수 있어, 이에 따라 용기본체(2)에 뚜껑체(3b)를 설치할 때, 잘못하여 뚜껑체(3b)를 반대 방향으로 설치하는 등의 작업실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관장착부(40)의 천판 바닥면에는, 그 주변을 따라서, 패킹 부착 폐기물 배출구부(43)를 끼워맞추는 패킹홈이 원환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패킹 부착 폐기물 배출구부(43)는 이 패킹홈에 끼워맞춤으로써 천판 바닥면에 장착 고정된다(도 15의 (c)).
리유저블 어댑터(41)는, 에어흡인포트 및 폐기물 흡인포트를 구성하는 부품으로, 관장착부(40)의 천판 상에 장착된다. 리유저블 어댑터(41)는 세로로 긴 평판형상의 베이스 기판(14a)을 구비하고, 이 베이스 기판(41a)의 중앙부에 에어흡인포트부(41b)가 기판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다.
에어흡인포트부(41b)는, 상단이 폐쇄되고 하단이 개구되는 수직 원통형상의 수직관부가 베이스 기판(41a)의 상하로 돌출하도록 형성되고, 베이스 기판(41a)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수직관부의 배면측의 측면에, 비스듬하게 상방을 향하여 돌출하여 에어흡인튜브 접속단부(41c)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 에어흡인튜브 접속단부(41c)는, 에어흡인튜브를 접속하기 위한 호스·튜브접속단부(관이음매)이고, 선단에 에어흡인구가 개구되어 있다. 에어흡인튜브 접속단부(41c)는 끝이 가는 중공관 형상으로, 수직관부의 관 내에 연통하고 있다. 또한, 에어흡인튜브 접속단부(41c)는, 끝이 가는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외측면에는 에어흡인튜브가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바브로서 기능하는 우산 형상의 돌조가 3단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에어흡인포트부(41b)의 수직관부의 하반부는, 베이스 기판(41a)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그 하단 부근의 외측면에 고리형상의 O링홈이 설치되어 있으며, 그 O링홈에 O링(47)이 끼워져 장착되어 있다(도 16의 (b)). 이 수직관부의 하반부는, 베이스 기판(41a) 중앙의 에어흡인포트 장착구멍(40a)에 삽입되어, 에어흡인튜브 접속단부(41c)와 용기본체(2) 내부가 연통된다.
베이스 기판(41a)의 중앙부로부터 정면측으로 치우친 위치에는, 폐기물 흡인관 소켓(41d)이 기판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다. 폐기물 흡인관 소켓(41d)은, 상하로 관통한 수직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선단에 폐기물 흡인구가 개구되어 있다. 폐기물 흡인관 소켓(41d)의 상부는 베이스 기판(41a)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고, 폐기물 흡인관 소켓(41d)의 하부는 베이스 기판(41a)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이 폐기물 흡인관 소켓(41d)의 하부의 하단부 부근의 외측면에는, 고리형상의 O링홈이 설치되고, 그 O링홈에 O링(46)이 끼워져 장착되어 있다(도 16의 (b)). 이 폐기물 흡인관 소켓(41d)의 하부는, 베이스 기판(41a)의 폐기물 흡인포트 장착구멍(40b)에 삽입된다.
베이스 기판(41a) 상면의 에어흡인포트부(41b)와 폐기물 흡인관 소켓(41d) 사이에는, 튜브 감아걸기용 후크부재(41e)가 설치되어 있다. 튜브 감아걸기용 후크부재(41e)는, 에어흡인포트부(41b)의 중심축과 폐기물 흡인관 소켓(41d)의 중심축을 연결하는 평면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배치된 판형상 부재로 구성되며, 베이스 기판(41a) 상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세워 설치되어 있다. 튜브 감아걸기용 후크부재(41e)의 상단부는, 중앙을 향하여 45도 정도 굴곡져 있어, 원호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 기판(41a) 하면의 배후측으로 치우친 위치에는, L자판 형상의 벽걸이용 후크부재(41f)(리유저블 어댑터 벽걸이용 후크부재)가 하방을 향하여 돌출 설치되어 있다(도 16의 (a)). 벽걸이용 후크부재(41f)는, 관장착부(40) 천판의 쟁반오목부(40c)에 끼워져 있다. 이 벽걸이용 후크부재(41f)에 의하여, 베이스 기판(41a)에 대한 리유저블 어댑터(41)의 위치를 결정하기 쉬워진다.
한편, 실제로 흡인보틀(1)을 사용할 때, 용기본체(2) 내에 액상 폐기물이 쌓이면, 용기본체(2)의 내용물을 버리고 용기본체(2)나 뚜껑체(3b)를 세정할 필요가 발생한다. 튜브 감아걸기용 후크부재(41e) 및 벽걸이용 후크부재(41f)는, 그때 리유저블 어댑터(41)를 뚜껑체(3b)의 본체(관장착부(40))로부터 떼어내서, 리유저블 어댑터(41)를 벽에 걸고, 다시 폐기물 흡인구에 접속된 폐기물 흡인튜브(61)를 감아 걸어 두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인 튜브 감아걸기용 후크부재(41e) 및 벽걸이용 후크부재(41f)의 사용방법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폐기물 흡인튜브 접속 이음매(42)는, 폐기물 흡인튜브를 접속하기 위한 관이음매이다. 폐기물 흡인튜브 접속 이음매(42)는, 상단부가 막혀있고, 하단부가 개구하는 수직관부(42a)와, 수직관부(42a)의 상단 부근의 측면에 수평으로 돌출 형성된 폐기물 흡인튜브 접속단부(42b)를 구비하고 있다. 수직관부(42a)는 리유저블 어댑터(41)의 폐기물 흡인관 소켓(41d)에 삽입되는 부분이다. 수직관부(42a)의 중앙부에는, 삽입 깊이를 규제하는 플랜지(42c)가 형성되어 있고, 이 플랜지(42c)보다 아래쪽의 수직관부(42a)의 외측면에는, 2개의 O링홈이 형성되며, 각 O링홈에 O링(49, 50)이 고리 장착되어 있다(도 16의 (a)). 이에 따라, 수직관부(42a)를 폐기물 흡인관 소켓(41d)에 삽입하였을 때에 기밀성이 유지된다. 폐기물 흡인튜브 접속단부(42b)는, 폐기물 흡인튜브(61)가 접속되는 부분이다(도 18을 참조). 폐기물 흡인튜브 접속단부(42b)는, 끝이 가는 중공관 형상이고, 수직관부(42a)의 관 내에 연통하고 있다. 또한, 폐기물 흡인튜브 접속단부(42b)는, 끝이 가는 통형상으로 형성되는 있는 동시에, 외측면에는 폐기물 흡인튜브(61)가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바브로서 기능하는 우산 형상의 돌조가 3단으로 형성되어 있다.
패킹 부착 폐기물 배출구부(43)는, 전체가 고무에 의하여 일체 성형되어 있고, 원환형상의 패킹부(43a)와, 패킹부(43a)의 관 내에 연통 설치된 바닥이 있는 짧은 원통형상의 캡부(43b)와, 캡부(43b)의 바닥면에 연통 설치된 엘보관 형상의 배출튜브부(43c)로 구성되어 있다(도 16의 (a), 도 15의 (c)). 패킹부(43a)는, 상술한 바와 같이, 관장착부(40)의 천판 바닥면의 패킹홈에 끼워맞춤 고정되고, 관장착부(40)를 용기본체(2)의 상단 개구에 끼워 장착하였을 때, 패킹부(43a)가 용기본체(2)의 상단 가장자리에 밀착하여, 이에 따라 기밀성이 유지된다. 캡부(43b)는, 정확히 관장착부(40)의 천판 하면의 폐기물 흡인포트 장착구멍(40b)의 바로 밑에 위치한다. 이 캡부(43b)는 폐기물 흡인포트 장착구멍(40b)의 하측 출구에 기밀하게 끼워져, 폐기물 흡인튜브 접속 이음매(42)로부터 유입되는 액상 폐기물을 배출튜브부(43c)로 누출없이 안내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배출튜브부(43c)는 90도 정도로 엘보 형상으로 굴곡진 관이고, 상단이 캡부(43b)의 통 내로 연통하고 하단이 가로방향을 향하여 개구하고 있다. 뚜껑체(3b)를 용기본체(2)에 장착한 상태에서는, 배출튜브부(43c)의 하단출구는, 용기본체(2)의 내벽을 향한 상태가 된다. 이것은, 흡입되는 액상 폐기물이 직접 플로트 밸브부(44)(후술)에 닿아, 에어흡인튜브로 액상 폐기물이 흡인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패킹부(43a)와 캡부(43b) 및 배출튜브부(43c)가 일체 성형되어 있다. 실제로 흡인보틀(1)을 사용하는 경우, 이들 부분을 관장착부(40)로부터 떼어내 세정할 필요가 발생하는데, 그때, 이들 부분이 일체 성형되어 있으면 탈착이나 세정작업이 간단해진다. 또한, 패킹부(43a)와 캡부(43b) 및 배출튜브부(43c)가 개별로 성형되어 있었던 경우에는, 탈착시에 어떤 한 부품(특히, 캡부(43b) 및 배출튜브부(43c))을 분실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일체 성형함으로써 분실 방지의 효과도 기대된다.
플로트 밸브부(44)는 장착 소켓(51), 플로트 커버(52), 플로트(53), 및 플로트 받이(54)로 구성되어 있다(도 16의 (a)를 참조). 장착 소켓(51)은, 관장착부(40)의 천판 하면의 에어흡인포트 장착구멍(40a) 내에 인서트 성형되어 있다(한편, 도 16의 (a)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장착 소켓(51)을 에어흡인포트 장착구멍(40a) 내로부터 분리하여 표시하고 있음). 장착 소켓(51)은 플로트 커버(52)를 관장착부(40)의 천판 하면에 장착하는 소켓이다. 또한, 장착 소켓(51)의 관 내에는, 상기 에어흡인포트부(41b)가 삽입되고, O링(47)에 의하여 기밀성이 유지된다. 플로트 커버(52)는 장착 소켓(51)의 하단에 장착된다. 장착 소켓(51)은 바닥이 있는 통형상으로 형성되고, 통 측면의 중심축에 대하여 3회 대칭인 위치에, 세로로 긴 대직원(帶直圓, 직사각형의 양끝에 반원이 붙은 도형) 형상의 개구부가 형성되며, 통 바닥면에도 대직원 형상의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개구부를 통하여, 용기본체(2) 내의 공기가 에어흡인튜브로 흡인된다. 플로트(53)는 플로트 커버(52)의 통 내에 표유(漂遊) 가능하게 설치된 중공 부유체이다. 플로트(53)의 외각은 회전 대직원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직경은 플로트 커버(52)의 통 내경보다 작게 되어 있다. 플로트 받이(54)는, 장착 소켓(51)의 하단출구에 기밀하게 끼워진 고무제의 부재이다. 플로트 받이(54)는 중앙에 상하로 관통하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플로트 받이(54)의 하단측은, 하향 굴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플로트(53)가 이 굴곡면에 끼워지면 중앙의 개구가 폐쇄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용기본체(2) 내에 액상 폐기물이 가득 쌓이면, 부력에 의하여 플로트(53)가 부상하여 플로트 받이(54)의 하단의 굴곡면에 끼워져 중앙의 개구가 폐쇄된다. 이에 따라, 흡인이 정지되고, 액상 폐기물이 에어흡인튜브에 흡인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상과 같이, 뚜껑체(3a)의 후크 돌기부분(25a, 25b)과, 뚜껑체(3b)의 후크 돌기부분(46a, 46b)은 모두 용기본체(2)의 후크 고정홈(6a, 6b)에 계합하는 것이 가능하여, 공통의 용기본체(2)에 대하여 디스포저블형의 뚜껑체(3a)와 리유저블형의 뚜껑체(3b)를 자유롭게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뚜껑체(3a, 3b)에 에어흡인튜브 및 폐기물 흡인튜브를 접속한 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7은 용기본체(2)에 디스포저블형의 뚜껑체(3a)를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 에어흡인튜브 및 폐기물 흡인튜브를 접속한 상태의 흡인보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의 (a)는 전체도, 도 17의 (b)는 용기본체(2) 부근의 확대도이다.
용기본체(2)는 슬라이드 걸이구(4)에 의하여 벽면에 설치한 벽측 슬라이드 걸이구(70)(도 19의 (b)를 참조)에 걸려 있다. 뚜껑체(3a)의 배면의 에어흡인튜브 접속 이음매(19)에는 에어흡인튜브(60)의 선단을 접속하고, 에어흡인튜브(60)의 기단은 흡인압력 조정기(63)(레귤레이터)를 통하여 벽면에 설치된 아웃렛(62)(배관말단 접속구)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흡인압력 조정기(63)는 아웃렛(62)으로부터의 흡인압을 적절히 조절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뚜껑체(3a)에 장착된 폐기물 수용백(30)의 폐기물 흡인튜브 접속단부(35a)에는, 폐기물 흡인튜브(61)의 기단을 접속한다. 그리고, 폐기물 흡인튜브(61)의 선단은, 미사용 상태에서는 튜브 클립(17a, 17b)의 어느 한쪽에 고정해 둔다. 이때,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폐기물 흡인튜브(61)의 선단부가 상향이 되도록 고정한다. 이에 따라, 폐기물 흡인튜브(61) 내에 잔류하고 있는 액상 폐기물이 바닥면에 흘러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폐기물 수용백(30)을 교환할 때에는, 폐기물 흡인튜브(61)의 기단을 폐기물 수용백(30)의 폐기물 흡인튜브 접속단부(35a)로부터 떼어낼 필요가 있는데, 그때에는 떼어낸 폐기물 흡인튜브(61)의 기단을 튜브 클립(17a, 17b)의 비어 있는 쪽에 고정해 둔다. 이때, 선단과 마찬가지로, 폐기물 흡인튜브(61)의 기단부가 상향이 되도록 고정한다. 이에 따라, 폐기물 흡인튜브(61) 내에 잔류하고 있는 액상 폐기물이 바닥면에 흘러 떠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폐기물 수용백(30)의 uj교환작업이 쉬워진다.
도 18은 용기본체(2)에 리유저블형의 뚜껑체(3b)를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 에어흡인튜브 및 폐기물 흡인튜브를 접속한 상태의 흡인보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의 (a)는 전체도, 도 18의 (b)는 용기본체(2) 부근의 확대도이다.
용기본체(2)는 슬라이드 걸이구(4)에 의하여 벽면에 설치한 벽측 슬라이드 걸이구(70)(도 19의 (b)를 참조)에 걸려 있다. 뚜껑체(3b)의 상면 중앙부의 에어흡인튜브 접속단부(41c)에는 에어흡인튜브(60)의 선단을 접속하고, 에어흡인튜브(60)의 기단은 흡인압력 조정기(63)를 통하여 벽면에 설치된 아웃렛(62)에 접속되어 있다.
뚜껑체(3b)의 폐기물 흡인튜브 접속단부(42b)에, 폐기물 흡인튜브(61)의 기단을 접속한다. 그리고, 폐기물 흡인튜브(61)의 선단은, 미사용 상태에 있어서는,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폐기물 흡인튜브(61)를 느슨하게 2번 감은 상태로 하고, 튜브 클립(64)에 의하여 폐기물 흡인튜브(61)의 선단 부근을 폐기물 흡인튜브(61)의 중앙 부근에 고정하며, 이 감은 폐기물 흡인튜브(61)를 흡인보틀(1)에 걸어 둔다. 이때,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폐기물 흡인튜브(61)의 선단부가 상향이 되도록 고정한다. 이에 따라, 폐기물 흡인튜브(61) 내에 잔류하고 있는 액상 폐기물이 바닥면에 흘러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튜브 클립(64)은, 폐기물 흡인튜브(61)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폐기물 흡인튜브(16)를 사이에 끼우는 굴곡진 탄성부재로 이루어지는 제1 및 제2 협지부분이 등을 맞대고 접합되는 구성을 가진다.
마지막으로, 상술한 리유저블 어댑터(41)의 튜브 감아걸기용 후크부재(41e) 및 벽걸이용 후크부재(41f)의 사용방법과 기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9는 리유저블 어댑터(41)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9의 (a)는 벽면에 설치된 벽측 슬라이드 걸이구(70)를 나타내는 도면, 도 19의 (b)는 벽측 슬라이드 걸이구(70)에 용기본체(2)의 슬라이드 걸이구(4)를 끼워맞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9의 (c)는 벽측 슬라이드 걸이구(70)에 리유저블 어댑터(41)의 벽걸이용 후크부재(41f)를 끼워맞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9의 (d)는 벽면에 고정한 리유저블 어댑터(41)에 폐기물 흡인튜브(61)를 감아 건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벽측 슬라이드 고리구(70)는, 도 19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내의 벽면에 나사 등에 의하여 고정 설치되어 있다. 흡인보틀(1)을 사용할 때에는, 도 19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본체(2)의 배면에 설치된 슬라이드 걸이구(4)를 벽면에 설치된 벽측 슬라이드 걸이구(70)에 끼워맞춤으로써, 흡인보틀(1)을 벽면에 고정한다.
용기본체(2)에 리유저블형의 뚜껑체(3b)를 설치하여 흡인보틀(1)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용기본체(2) 내에 액상 폐기물을 쌓이면, 용기본체(2)의 내용물을 버리고 용기본체(2)나 뚜껑체(3b)를 세정할 필요가 발생한다.
이러한 경우, 우선 리유저블 어댑터(41)를 뚜껑체(3b)의 본체(관장착부(40))로부터 빼내어 떼어낸다. 리유저블 어댑터(41)는,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어흡인포트부(41b)의 하단부(O링(47)이 끼워져 장착된 부분)가 뚜껑체(3b)의 본체(관장착부(40))의 에어흡인포트 장착구멍(40a)에 기밀하게 끼워져 있고, 리유저블 어댑터(41)를 상방으로 빼내어 떼어낼 수 있다.
다음으로, 용기본체(2)를 벽측 슬라이드 걸이구(70)로부터 떼어낸 후, 먼저 떼어낸 리유저블 어댑터(41)를, 도 19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벽걸이용 후크부재(41f)를 벽측 슬라이드 걸이구(70)에 끼워맞춤으로써, 벽면에 고정한다. 이때, 튜브 감아걸기용 후크부재(41e)는, 기부의 평판형상 부분이 수평이고, 선단의 굴곡진 원호판 형상의 부분이 상방을 향하여 경사진 상태가 된다.
그리고, 도 19의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벽면에 고정한 리유저블 어댑터(41)의 튜브 감아걸기용 후크부재(41e)에, 폐기물 흡인튜브(61)를 감아걸고, 폐기물 흡인튜브(61)의 선단은, 튜브 클립(64)에 의하여 폐기물 흡인튜브(61)의 중앙 부근의 어느 위치에 고정한다. 이때, 도 19의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폐기물 흡인튜브(61)의 선단부가 상향이 되도록 고정한다. 이에 따라, 폐기물 흡인튜브(61) 내에 잔류하고 있는 액상 폐기물이 바닥면에 흘러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서, 리유저블 어댑터(41)를 벽측 슬라이드 걸이구(70)에 걸고, 폐기물 흡인튜브(61)를 리유저블 어댑터(41)에 감아 걸어 둠으로써, 떼어낸 리유저블 어댑터(41)나 폐기물 흡인 튜브(61)를 둘 곳에 대한 어려움이 없고, 떼어낸 용기본체(2)를 빠르게 운반하여, 내용물의 폐기, 용기의 세정 등의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1: 흡인보틀
2: 용기본체
3a, 3b: 뚜껑체
4: 슬라이드 걸이구(용기 벽걸이용 후크부재)
4a: 돌출판
4b: 걸이 평면판
4c: 슬라이드 홈
4d: 걸이 구멍
5: 축소직경 둘레부
6a, 6b: 후크 고정홈
10: 관장착부
10a: 하반부
10b: 상반부
10c: 돌조
11: 힌지 뚜껑부
11a: 상면원판
12: 힌지 베이스
12a: 힌지축
13: 힌지 받이부
13a: 상판부
13c: 스토퍼판
14: 스토퍼부분
15: 포트 끼워맞춤부
15a: 오목부(폐기물 흡인튜브 접속단부 삽입통과부)
15b: 소켓부
16: 마커
17a, 17b: 튜브 클립
18: 에어흡인구
19: 에어흡인튜브 접속 이음매
19a: 에어흡인튜브 접속단부
19b: 끼워넣음부
19c: 플랜지
20a, 20b: O링
21: 고정부분
22: 계류 고리부
22a: 스프링
22b: 피벗핀
22c: 비스
22d: 내부 블록
22e: 외각 블록
23: 단차부
23a: 패킹홈
24: 패킹
24a, 24b, 24c: 역부착 방지용 돌기
25a, 25b: 후크 돌기부분
26: 패킹
30: 폐기물 수용백
31: 백포트부
32: 봉투체부
33: 베이스부
33a: 수평천판
33b: 에어배출구멍
33c: 내플랜지
33d: 접착부
33e: 필터
34: 손잡이부
35: 폐기물 흡인관부
35a: 폐기물 흡인튜브 접속단부
35b: 외플랜지
35c: 역류방지밸브
36: 캡부
36a: 캡암
37: 패킹
40: 관장착부
40a: 에어흡인포트 장착구멍
40b: 폐기물 흡인포트 장착구멍
40c: 쟁반오목부
40d: 대좌부
41: 리유저블 어댑터
41a: 베이스 기판
41b: 에어흡인포트부
41c: 에어흡인튜브 접속단부
41d: 폐기물 흡인관 소켓
41e: 튜브 감아걸기용 후크부재
41f: 벽걸이용 후크부재
42: 폐기물 흡인튜브 접속 이음매
42a: 수직관부
42b: 폐기물 흡인튜브 접속단부
42c: 플랜지
43: 패킹 부착 폐기물 배출구부
43a: 패킹부
43b: 캡부
43c: 배출튜브부
44: 플로트 밸브부
45: 마커
46a, 46b: 후크 돌기부분
47, 48, 49, 50: O링
51: 장착소켓
52: 플로트 커버
53: 플로트
54: 플로트 받이
60: 에어흡인튜브
61: 폐기물 흡인튜브
62: 아웃렛(배관말단 접속구)
63: 흡인압력 조정기(레귤레이터)
64: 튜브 클립
70: 슬라이드 걸이구

Claims (5)

  1. 상단부가 개구된 바닥이 있는 통형상으로 형성된, 액상 폐기물을 수용하는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상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용기본체의 상단부 개구를 밀폐하는 것이 가능한 뚜껑체와,
    상기 뚜껑체에 관통 형성되어 있고, 용기본체 내부의 에어를 흡인하는 에어흡인튜브가 접속되는 에어흡인구를 구비한, 액상 폐기물을 흡인하여 수용하기 위한 의료용 흡인보틀로서,
    상기 뚜껑체로서,
    폐기물 흡인튜브를 접속하는 폐기물 흡인구, 및 상기 에어흡인구가 관통 형성된, 액상 폐기물을 상기 용기본체 내에 직접 수용할 때에 사용되는 리유저블형 뚜껑체와,
    폐기물 흡인구를 가지는 폐기물 흡인튜브 접속단부가 설치된 기밀한 봉투형상의 폐기물 수용백이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폐기물 흡인튜브 접속단부가 삽입 통과하는 폐기물 흡인튜브 접속단부 삽입통과부가 형성되며, 또한 상기 에어흡인구가 관통 형성된, 액상 폐기물을 상기 폐기물 수용백 내에 수용할 때에 사용되는 디스포저블형 뚜껑체와의 교환이 가능한 2종의 뚜껑체를 구비하고,
    상기 각 뚜껑체는, 상기 용기본체에 고정이 가능한 공통의 고정 구조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인보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조는, 상기 뚜껑체가 상기 용기본체에 대하여 특정 방향을 향한 상태에서만 끼워맞춤 고정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흡인보틀.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폐기물 흡인튜브 접속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 가요성의 폐기물 흡인튜브와,
    상기 폐기물 흡인튜브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폐기물 흡인튜브를 사이에 끼우는 굴곡진 탄성부재로 이루어지는 제1 및 제2 협지부분이 접합되어 이루어지는 튜브 클립을 구비하고,
    리유저블형 뚜껑체는,
    상기 용기본체에 끼워맞춤 고정되는 관장착부와,
    상기 관장착부의 천판에 개구된 장착부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폐기물 흡인구 및 상기 에어흡인구가 관통 형성된 리유저블 어댑터와,
    상기 리유저블 어댑터의 이면에 돌출 설치된 리유저블 어댑터 벽걸이용 후크부재와,
    상기 리유저블 어댑터의 표면에 돌출 설치된 튜브 감아걸기용 후크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흡인보틀.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포저블형 뚜껑체의 측면에, 상기 폐기물 흡인튜브를 수직 방향으로 고정하는 튜브 클립을, 적어도 2개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흡인보틀.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의 배면에 돌출 설치된 용기 벽걸이용 후크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본체는, 상부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간부에서 하부에 걸쳐서는, 좌우 측면이 평면 형상 및 전후 측면이 원호면 형상의 양쪽 활꼴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흡인보틀.
KR1020167008967A 2014-05-15 2014-10-15 흡인보틀 KR1018576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101003 2014-05-15
JP2014101003A JP5800440B1 (ja) 2014-05-15 2014-05-15 吸引ボトル
PCT/JP2014/077414 WO2015173980A1 (ja) 2014-05-15 2014-10-15 吸引ボト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3975A true KR20160053975A (ko) 2016-05-13
KR101857615B1 KR101857615B1 (ko) 2018-05-14

Family

ID=54477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8967A KR101857615B1 (ko) 2014-05-15 2014-10-15 흡인보틀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800440B1 (ko)
KR (1) KR101857615B1 (ko)
WO (1) WO201517398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369943A1 (en) * 2018-10-17 2021-12-02 Stemcis Vessel and device for recovering and preparing adipose tissu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87544A1 (ja) * 2016-04-27 2017-11-02 悠一 佐紺 Ptfeフィルムを用いた成形体フィルター、及びそれを用いた医療吸引器用ディスポーザブルバッグまたは容器
FI20165567A (fi) * 2016-07-06 2018-01-07 Serres Oy Laite nesteen keräämiseksi potilaasta ja jakotukki
KR200493159Y1 (ko) * 2018-09-03 2021-02-05 정인화 의료용 흡인 용기
JP2020083785A (ja) * 2018-11-19 2020-06-04 株式会社Screenホールディングス 臓器保存装置および臓器保存方法
KR102075304B1 (ko) * 2019-07-26 2020-02-07 재단법인 한국환경수도연구원 피측정수 채취용 휴대용 필터
JP7421197B2 (ja) * 2020-07-27 2024-01-24 丹平製薬株式会社 鼻汁吸引器
WO2023021570A1 (ja) * 2021-08-16 2023-02-23 株式会社三幸製作所 医療用の壁掛式吸引器及びそれに用いるキャニスタ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46711A (en) * 1981-01-16 1982-08-31 Sherwood Medical Industries Inc. Body fluid collection device with disposable liner
US4435170A (en) * 1981-06-15 1984-03-06 Solco Basel Ag Assembly for receiving and discharging a collection of blood
US5124127A (en) * 1989-01-26 1992-06-23 Shiley, Incorporated Hollow fiber blood oxygenator
JP3067905U (ja) * 1999-10-04 2000-04-21 株式会社セントラルユニ 医療用吸引器
US7806879B2 (en) * 2008-03-28 2010-10-05 Deroyal Industries, Inc. Medical suction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369943A1 (en) * 2018-10-17 2021-12-02 Stemcis Vessel and device for recovering and preparing adipose tissu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5216994A (ja) 2015-12-07
WO2015173980A1 (ja) 2015-11-19
KR101857615B1 (ko) 2018-05-14
JP5800440B1 (ja) 2015-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7615B1 (ko) 흡인보틀
JP5174054B2 (ja) 哺乳並びに保管システム
US813732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orming a delivery container into a waste disposal system
US8715255B2 (en) Fastening device for a drainage container
KR102411978B1 (ko) 유체 수집 시스템 및 사용 방법
AU2006277515C1 (en) Milking device
US20080015526A1 (en) Suction canister
JP2006347580A (ja) 飲料容器及び飲み口付蓋体
US11583622B2 (en) Suction canister and corresponding systems and methods
CA2341593C (en) Device for emptying containers filled with liquids
CN101253102B (zh) 用于医院和实验室环境的墙壁内的垃圾容器及垃圾的清洁方法
CN103781706A (zh) 一次性奶瓶套件
KR20160044075A (ko) 빨대컵
JP2013233954A (ja) 袋収容容器
US11485556B1 (en) Vessel connector
JP6378623B2 (ja) 廃液回収器
JP2004226314A (ja) 試薬容器
US20130020238A1 (en) Percolating filter device
US20200237203A1 (en) Lumened device flushing assembly and method of use
JP6580386B2 (ja) 飲料水ディスペンサおよびそれに用いるボトル位置決め部材
CN214427443U (zh) 加样槽更换套及医疗耗材
KR20140053936A (ko) 일체식 일회용 종이 젖병 본체 및 이를 젖꼭지와 체결한 젖병
JP2016199276A (ja) 液体吐出器及び液体吐出器付き容器
KR20150091688A (ko) 시료 채취 방법
JP2004016736A (ja) 液体吸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