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3505A - 파워도어 래치 액추에이터용 댐퍼 - Google Patents

파워도어 래치 액추에이터용 댐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3505A
KR20160053505A KR1020140152623A KR20140152623A KR20160053505A KR 20160053505 A KR20160053505 A KR 20160053505A KR 1020140152623 A KR1020140152623 A KR 1020140152623A KR 20140152623 A KR20140152623 A KR 20140152623A KR 20160053505 A KR20160053505 A KR 201600535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er
actuator housing
actuator
module panel
vib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2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상훈
성도원
강보람
김창동
김완현
이준학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평화정공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평화정공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526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53505A/ko
Publication of KR201600535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35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36Noise prevention; Anti-rattling means
    • E05B77/38Cushion elements, elastic guiding elements or holding elements, e.g. for cushioning or damping the impact of the bolt against the striker during closing of the 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추에이터 하우징의 진동이 모듈 판넬에 전달되는 것을 막아주는 댐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액추에이터 하우징과 모듈 판넬 간의 볼트 체결부위에 장착되는 댐퍼의 형상을 이중 마운팅 형상 및 자바라 형상으로 개선하여, 액추에이터 하우징 진동 시 상하 유동을 허용하면서 에너지를 분산시킬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댐퍼 마운팅 방식을 구현함으로써, 액추에이터 하우징에서 모듈 판넬로 전달되는 진동 경로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파워도어 래치 액추에이터용 댐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파워도어 래치 액추에이터용 댐퍼{POWER DOOR LATCH ACTUATOR FOR DAMPER}
본 발명은 파워도어 래치 액추에이터용 댐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액추에이터 하우징의 진동이 모듈 판넬에 전달되는 것을 막아주는 댐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차실내와 실외를 구분지어 외부로부터 승객을 보호하며 차량의 도난 등을 방지하도록 개폐되는 도어가 장착된다.
이러한 도어는 차체 측면을 형성하는 필라부위에 도어체커를 매개로 가해진 조작력에 의해 개폐된다.
또한, 이와 같은 도어는 체커로 결합된 도어의 타측에는 차체에 설치된 도어 스트라이커와 결합 및 제되면서 도어를 개폐시킴과 동시에 도어가 완전히 닫혀지지 않을 경우에는 도어가 완전히 닫혀지도록 하는 파워도어 래치 시스템이 설치되어 있다.
보통 파워도어 래치 시스템은 테일 게이트 등의 도어에 적용되어 전동으로 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모터 등과 같은 액추에이터, 액추에이터에 의해 작동되는 케이블과 연동하여 스트라이커와 잠금 유지 또는 잠금 해제되는 래치 등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파워도어 래치 시스템은 한국공개특허 10-2005-0071479호, 한국공개특허 10-2008-0009920호, 한국공개특허 10-2009-0064216 등에 다양한 형태의 것들이 개시되어 있다.
도 4와 도 4는 종래의 파워도어 래치 액추에이터용 댐퍼를 나타내는 사시도와 단면도이다.
도 4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듈 판넬(100)의 일측에 액추에이터(미도시)가 내장되어 있는 액추에이터 하우징(110)이 배치되고, 이렇게 배치되는 액추에이터 하우징(110)은 다수 곳이 볼트(120)에 의해 체결되어 모듈 판넬(100)측에 조립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액추에이터 하우징(110)의 볼트 체결부위에는 진동 저감을 위한 댐퍼(130)가 장착된다.
그러나, 종래의 댐퍼는 액추에이터 하우징과 모듈 판넬 사이에 단순히 개재되어 있는 구조로 장착되는 관계로 진동음 전달를 차단하는 기능을 전혀 발휘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즉, 액추에이터 작동 시의 진동이 액추에이터 하우징→볼트→모듈 판넬로 이어지는 경로를 따라 진행되기 때문에 액추에이터의 작동 진동이 모듈 판넬로 전달 및 공진되어 작동음이 커지게 되고, 결국 고급감 저하 및 상품성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액추에이터 하우징과 모듈 판넬 간의 볼트 체결부위에 장착되는 댐퍼의 형상을 이중 마운팅 형상 및 자바라 형상으로 개선하여, 액추에이터 하우징 진동 시 상하 유동을 허용하면서 에너지를 분산시킬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댐퍼 마운팅 방식을 구현함으로써, 액추에이터 하우징에서 모듈 판넬로 전달되는 진동 경로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파워도어 래치 액추에이터용 댐퍼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파워도어 래치 액추에이터용 댐퍼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상기 파워도어 래치 액추에이터용 댐퍼는 모듈 판넬과 액추에이터 하우징의 볼트 체결부위에 장착되어 진동음 전달을 차단하는 기능을 하는 댐퍼를 포함하는 한편, 특히 상기 댐퍼는 볼트의 헤드부 저면과 액추에이터 하우징의 상면 사이에 개재되는 상부 댐퍼와, 액추에이터 하우징의 저면과 모듈 판넬의 상면 사이에 개재되는 하부 댐퍼를 포함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상부 댐퍼와 하부 댐퍼는 상하 신축 가능한 자바라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댐퍼와 하부 댐퍼는 연결띠에 의해 일체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파워도어 래치 액추에이터용 댐퍼는 액추에이터 하우징의 상면과 하면에 걸쳐 이중 마운팅 구조를 형성하면서 자체적으로 자바라 형상을 가짐으로써, 액추에이터 하우징에서 모듈 판넬로 전달되는 진동 경로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등 작동음 저감 및 고급감 구현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워도어 래치 액추에이터용 댐퍼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워도어 래치 액추에이터용 댐퍼의 장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워도어 래치 액추에이터용 댐퍼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종래의 파워도어 래치 액추에이터용 댐퍼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종래의 파워도어 래치 액추에이터용 댐퍼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워도어 래치 액추에이터용 댐퍼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워도어 래치 액추에이터용 댐퍼의 장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파워도어 래치 액추에이터용 댐퍼는 액추에이터 마운팅부의 위아래에 댐핑수단을 배치하여 모듈 판넬과 접촉이 없이 모듈 판넬로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하여, 상기 댐퍼(13)는 모듈 판넬(10)과 액추에이터 하우징(11)의 볼트 체결부위에 장착되어 진동음 전달을 차단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상부 댐퍼(13a)와 하부 댐퍼(13b)의 조합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상부 댐퍼(13a)와 하부 댐퍼(13b)는 볼트 관통을 위한 축선상의 홀을 가지는 원통형의 형태로 이루어진 고무 소재 등의 댐퍼로서, 이때의 상부 댐퍼(13a)는 볼트(12)의 헤드부 저면과 액추에이터 하우징(11)의 상면, 즉 하우징 마운팅부(17)의 상면 사이에 개재되어 장착되고, 상기 하부 댐퍼(14b)는 액추에이터 하우징(11)의 저면과 모듈 판넬(10)의 상면, 즉 판넬 마운팅부(16)의 상면 사이에 개재되어 장착된다.
특히, 상기 상부 댐퍼(13a)와 하부 댐퍼(13b)는 상하 신축 가능한 자바라 형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 상하부 댐퍼(13a,13b)의 원통형 외주면에서 축선방향을 따라 요부(15a)와 철부(15b)가 반복됨과 더불어 원주방향을 따라 전체 둘레에 걸쳐 각 요부(15a)와 철부(15b)가 연속해서 이어진 형태의 자바라 형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렇게 댐퍼(13)가 자바라 형상을 이룸에 따라 액추에이터 하우징(11)의 진동 시 상하 유동을 허용하여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게 되고, 결국 진동 축소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하부 댐퍼(13b)는 상부 댐퍼(13a)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두께(길이)를 갖도록 하여, 액추에이터 하우징(11)의 하중이 가해지는 조건에서도 댐핑작용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상부 댐퍼(13a)와 하부 댐퍼(13b)는 각 댐퍼 외주면 일측으로 연결되는 연결띠(14)에 의해 일체 연결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모듈 조립 운송 시 댐퍼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액추에이터 하우징(11)의 하우징 마운팅부(17)가 댐퍼로 상하 눌려 있는 구조를 구현함으로써, 모듈 판넬과 접촉이 없이 모듈 판넬로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되고, 결국 작동음 공진 저감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워도어 래치 액추에이터용 댐퍼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댐퍼(13)는 모듈 판넬(10)에서 돌출되어 있는 리브, 즉 판넬 마운팅부(16)에 볼트 체결과 함께 장착된다.
이러한 댐퍼(13)는 자바라 형상을 이용하여 액추에이터 하우징(11)의 진동 시 상하 유동을 허용하여 에너지를 분산시켜줄 수 있게 된다(진동 축소).
즉, 기존 댐퍼는 볼트가 액추에이터 하우징을 누르고 댐퍼는 변형되면서 눌리기 때문에 마운팅 시 댐퍼가 많이 눌리게 되면서 진동 절연이 아니라 오히려 진동을 전달하는 통로가 된다.
하지만, 본 발명의 댐퍼는 액추에이터 하우징(11)의 하우징 마운팅부 위아래에 배치됨과 더불어 자바라 형상이 적용되어 하우징 진동 시의 상하 유동을 허용하면서 에너지를 분산시켜주게 되고, 따라서 진동을 축소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모듈 판넬(10)에 있는 판넬 마운팅부(16)의 상단부가 볼트(12)의 헤드부분 저면을 맞닿은 상태로 지지하여 스톱퍼 역할을 하게 되므로, 댐퍼 공간이 확보될 수 있게 되고, 따라서 댐퍼(13)의 상하 유동성이 확보되어 하우징 에너지를 분산시킬 수 있게 되고, 결국 진동 전달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액추에이터 하우징의 진동이 모듈 판넬에 전달되지 않도록 2중 댐퍼 구조 및 진동 저감 구조를 적용하여 공진음을 차단함으로써, 파워도어 래치 액추에이터 진동음이 모듈 판넬로 전이되어 증폭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따라서 작동음을 저감할 수 있고 고급감을 구현할 수 있다.
10 : 모듈 판넬
11 : 액추에이터 하우징
12 : 볼트
13 : 댐퍼
13a : 상부 댐퍼
13b : 하부 댐퍼
14 : 연결띠
15a,15b : 요철부
16 : 판넬 마운팅부
17 : 하우징 마운팅부

Claims (4)

  1. 모듈 판넬(10)과 액추에이터 하우징(11)의 볼트 체결부위에 장착되어 진동음 전달을 차단하는 기능을 하는 댐퍼(13)를 포함하며,
    상기 댐퍼(13)는 볼트(12)의 헤드부 저면과 액추에이터 하우징(11)의 상면 사이에 개재되는 상부 댐퍼(13a)와, 액추에이터 하우징(11)의 저면과 모듈 판넬(10)의 상면 사이에 개재되는 하부 댐퍼(13b)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도어 래치 액추에이터용 댐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댐퍼(13a)와 하부 댐퍼(13b)는 상하 신축 가능한 자바라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도어 래치 액추에이터용 댐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상부 댐퍼(13a)와 하부 댐퍼(13b)의 외주면에는 축선방향을 따라 반복됨과 더불어 원주방향을 따라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는 요부(15a)와 철부(15b)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도어 래치 액추에이터용 댐퍼.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상부 댐퍼(13a)와 하부 댐퍼(13b)는 연결띠(14)에 의해 일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도어 래치 액추에이터용 댐퍼.
KR1020140152623A 2014-11-05 2014-11-05 파워도어 래치 액추에이터용 댐퍼 KR201600535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2623A KR20160053505A (ko) 2014-11-05 2014-11-05 파워도어 래치 액추에이터용 댐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2623A KR20160053505A (ko) 2014-11-05 2014-11-05 파워도어 래치 액추에이터용 댐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3505A true KR20160053505A (ko) 2016-05-13

Family

ID=56023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2623A KR20160053505A (ko) 2014-11-05 2014-11-05 파워도어 래치 액추에이터용 댐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5350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83239B2 (en) Structure for side part of body of vehicle
US9106114B2 (en) Drive component for a motor vehicle unit
JP4661515B2 (ja) 車両用ドア構造
DE10326154A1 (de) Türmodul für Fahrzeugtür
JP3864154B2 (ja) 車両のマウンティング構造
JP2009108539A (ja) ドア装置
JP4985305B2 (ja) 車体前部構造
KR20130131474A (ko) 차량용 러기지 도어 구조
KR20160053505A (ko) 파워도어 래치 액추에이터용 댐퍼
JP4665702B2 (ja) 車両用ドア構造
DE202008010052U1 (de) Antriebseinheit für ein Kraftfahrzeug-Aggregat
JP2017149369A (ja) 車両用ドア構造
JP5131749B2 (ja) 作業機械用ドア装置
JP6765351B2 (ja) 車両用ドア構造
KR102407683B1 (ko) 바디사이드범퍼의 구조
JP6884463B2 (ja) バックドア
JP5146818B2 (ja) 車両用ドア構造
JP2018135924A (ja) 車両用開閉扉の防振装置
KR100578056B1 (ko) 자동차용 발포 조립체
PH12018000281A1 (en) Mounting structure of latch mechanism in vehicle
JP2009150059A (ja) ドア装置
KR100361917B1 (ko) 자동차용 후드 잠금 장치
JP4627545B2 (ja) ハーネスグロメット
KR20220041616A (ko) 자동차용 오버슬램범퍼
WO2013047578A1 (ja) 車両の側部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