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0785A - 전기 감전을 이용한 해충 방제 장치 - Google Patents

전기 감전을 이용한 해충 방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0785A
KR20160050785A KR1020140149797A KR20140149797A KR20160050785A KR 20160050785 A KR20160050785 A KR 20160050785A KR 1020140149797 A KR1020140149797 A KR 1020140149797A KR 20140149797 A KR20140149797 A KR 20140149797A KR 20160050785 A KR20160050785 A KR 201600507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voltage
current
high voltage
oscil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9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상숙
임창순
Original Assignee
심상숙
임창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상숙, 임창순 filed Critical 심상숙
Priority to KR10201401497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50785A/ko
Publication of KR20160050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07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2Killing insects by electr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0Catching insects by using Tra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0Poisoning, narcotising, or burning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2Killing insects by electric means
    • A01M1/223Killing insects by electric means by using electrocu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9/00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ther than insects, by hot water, steam, hot air, or electricit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CELECTRIC CIRCUITS OR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USE IN EQUIPMENT FOR KILLING, STUNNING, OR GUIDING LIVING BEINGS
    • H05C1/00Circuit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electric shock effec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CELECTRIC CIRCUITS OR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USE IN EQUIPMENT FOR KILLING, STUNNING, OR GUIDING LIVING BEINGS
    • H05C3/00Other circuits or apparat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감전방법을 이용한 해충 방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해충 방제 장치는, 사전 설정된 직류 전압을 제공하는 전원공급부; 물을 감지하여 물 감지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물 감지 센서;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제공되는 전압을 사전 설정된 고압의 전압으로 승압하는 발진고압승압부; 상기 발진고압승압부로부터 제공된 고압 전류를 방전하는 고압 출력부; 상기 물 감지 센서로부터 물 감지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발진고압승압부를 구동시켜 고압 출력부로 고압 전류를 출력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상기 해충 방제 장치는 사전 설정된 고압 전류를 방전하여 모기 유충이나 해충등을 전기 감전시켜 박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기 감전을 이용한 해충 방제 장치{Apparatus for controlling insect pests by using electric shock}
본 발명은 해충 방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전기 감전을 이용하여 수조나 저수조,집수정, 정화조 등과 같이 물이 있는 장소에 서식하는 모기, 모기 유충, 그 외의 해충 등을 제거할 수 있는 해충 방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모기는 다양한 종류의 병이나 바이러스를 매개하는 해충으로서, 이를 방제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 들어, 난방 시설이 발달된 대형 아파트나 빌딩 중심의 도시 생활로 변환됨에 따라, 계절에 상관없이 모기가 서식할 수 있는 환경이 제공되고 있는 실정이다.
모기의 성충의 서식지는 여러 곳에 다양하게 분산되어 있기 때문에 집중적인 방제가 쉽지 않다. 하지만, 모기의 유충은 반드시 물 속에서 서식하므로, 성충이 되기전의 유충 단계에서 이들을 박멸하는 경우 해충 구제의 효율성을 상당히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즉, 모기 유충은 물이 있는 곳에만 서식하므로 집중적인 방제가 가능하므로, 성충 방제와는 달리 방제시 비용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모기 유충 한마리는 평균적으로 약 750 개의 알을 산란하게 되므로, 유충 한마리를 구제하면 성충 모기 750 마리를 방제하는 것과 동등한 효과를 기대하게 된다. 따라서, 유충 단계에서의 방제는 성충 단계에서의 방제에 비해 보다 근본적인 해결책이기도 하다.
이와 같이 모기 등의 유충을 박멸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들이 제안되고 있다.
모기 등의 유충을 박멸하기 위하여 제안된 방법은 주로 유충이 서식하는 물이 고인 곳들에 대해 계면 활성제나 석유 성분 등을 포함하는 조성물이나 화학 약품을 포함하는 살충제 등을 살포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들은 공기오염, 수질 오염 등의 환경 오염의 문제를 야기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환경 오염없이 저렴한 비용으로 모기를 박멸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 10-2000-53821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 10-2005-35838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 10-1224900호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질 오염이나 공기 오염과 같은 환경 오염을 야기하지 않는 전기 감전 방식으로 낮은 설치 비용으로 해충이나 모기 유충 등을 박멸할 수 있는 해충 방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기 감전 방식으로 해충이나 모기 유충 등을 박멸하되 사람이나 동물 등이 감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해충 방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해충 방제 장치는, 사전 설정된 직류 전압을 제공하는 전원공급부; 물을 감지하여 물 감지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물 감지 센서;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제공되는 전압을 사전 설정된 고압의 전압으로 승압하는 발진고압승압부; 상기 발진고압승압부로부터 제공된 고압 전류를 방전하는 고압 출력부; 상기 물 감지 센서로부터 물 감지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발진고압승압부를 구동시켜 고압 출력부로 고압 전류를 출력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하여, 사전 설정된 고압 전류를 방전한다.
전술한 특징에 따른 해충 방제 장치에 있어서, 사람 또는 동물을 감지하여 인체 감지 신호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인체 감지 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인체 감지 센서로부터 인체 감지 신호가 수신되면, 발진고압승압부로 제공되는 전원을 차단시켜 고압 전류가 방전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특징에 따른 해충 방제 장치에 있어서, 전류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회로 보호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회로 보호부는 상기 전류 감지 센서를 통해 과전류가 감지되면 상기 발진고압승압부로 제공되는 전원을 차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특징에 따른 해충 방제 장치에 있어서, 타이머 설정 버튼 및 키입력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타이머 설정 버튼이 눌려지면, 상기 제어부는 키입력부를 통해 1일 방전 회수와 1회 방전 시간을 포함하는 방전 시간 정보를 입력받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전 시간 정보에 따라 상기 발진고압승압부를 구동시켜 고압 전류를 방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특징에 따른 해충 방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진고압승압부는, 발진 주파수를 생성하고, 상기 발진 주파수에 따라 고속 스위칭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발진 회로부; 상기 발진회로부로부터 제공되는 고속 스위칭 신호에 따라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제공된 DC 전압을 AC 고압으로 승압시키는 고압 트랜스부; 및 상기 고압 트랜스부로부터 제공된 AC 고압을 DC 고압으로 승압시켜 출력하는 승압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특징에 따른 해충 방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해충 방제 장치는 온도 설정 버튼, 키입력부 및 온도 감지 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온도 설정 버튼이 눌려지면, 상기 제어부는 키입력부를 통해 온도의 상한값과 하한값을 입력받아 구동 온도 범위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 감지 센서로부터 현재 온도값을 입력받고, 현재 온도값이 상기 구동 온도 범위내인 경우에만 상기 발진고압승압부를 구동시켜 고압 전류를 방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해충 방제 장치는 빌딩이나 아파트 등의 집수정이나 정화조 등으로 고압 전류를 방전시켜, 그곳에 서식하는 해충이나 모기, 모기 유충 등을 전기 감전시켜 박멸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해충 방제 장치는 인체 감지 센서를 통해, 주변에서 사람이나 동물 등이 감지되면 고압 전류의 방전이 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사람이나 동물이 감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해충 방제 장치는 물 감지 센서를 구비하여 물 속에서만 고압 전류를 방전하도록 하고, 공기 중에서는 고압 전류를 방전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해충 방제 장치는 온도 감지 센서를 구비하고, 사전 설정된 온도 범위내에서만 고압 전류가 방전되도록 함으로써, 소비 전력을 최소화시키면서 안전하게 해충이나 모기 유충 등을 박멸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해충 방제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해충 방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진고압승압부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회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해충 방제 장치에 있어서, 제어부의 동작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해충 방제 장치에 있어서, 동작 모드가 방전 모드인 경우의 상기 제어부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해충 방제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170) 및 키입력부(150)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한 구조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해충 방제 장치에 있어서, 고압 출력부(140)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해충 방제 장치는 해충, 특히 모기 또는 모기의 유충이 서식하는 수조나 저수조 등에 고압 전류를 방전시켜, 수조 등에 서식하는 해충 또는 그 유충을 전기 감전에 의해 박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해충 방제 장치의 구조 및 동작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해충 방제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해충 방제 장치(1)는 전원 공급부(100), 물 감지 센서(110), 인체 감지 센서(112), 온도 감지 센서(114), 제어부(120), 발진고압승압부(130), 고압 출력부(140), 키 입력부(150) 및 회로 보호부(160) 및 디스플레이부(170)를 구비한다.
상기 전원 공급부(100)는 상용 전원을 입력받아 정전압으로 정류하여 각 소자로 필요한 DC 전압을 제공한다. 상기 상용 전원은 AC 220V ~ AC 440 V의 범위내에서 결정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용 전원이 입력되고, 브릿지 다이오드를 통해 직류로 변환된 후 레귤레이터 IC를 사용하여 DC 12V ~ 48V 내의 전압으로 정류 다운되어 출력된다.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출력된 DC 12V ~ 48V는 고압 승압용으로 스위칭 회로 전원으로 사용되고, DC 5V로 다시 다운되어 제어부 및 각 센서들의 전원으로 사용된다.
상기 물 감지 센서(110)는 본 장치의 주변에서 물을 감지하여 물 감지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로 제공한다.
상기 인체 감지 센서(112)는 본 장치의 주변에서 사람이나 동물에서 나오는 적외선을 감지하여 인체 감지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로 제공한다. 사람의 몸이나 동물에서 나오는 적외선은 약 10㎛ 파장을 갖는데, 상기 인체 감지 센서는 이러한 파장의 적외선을 감지하고 이에 따라 인체 감지 신호를 생성하여 제공하게 된다. 상기 인체 감지 센서는 적외선 노출 부위에 열이 가해지면 그 표면에 전하가 발생하고, 발생된 전하에 의해 내부의 FET 를 구동하여 전압을 출력하게 된다. 이 때, 출력전압은 약 300mV 정도로 미세한 전압이므로 OP-AMP를 사용하여 증폭시키고 비교기에서 비교한 후 제어부로 제공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OP-AMP는 입력된 미세한 신호를 1차 증폭시킨 후 딜레이(delay)시켜 출력 파형을 안정화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비교기는 히스테리시스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HI/LOW 를 선택하여 제어부로 제공하게 된다.
상기 온도 감지 센서(114)는 주변의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제공한다.
키 입력부(150)는 다수 개의 키들과 다수 개의 모드 선택 버튼들로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키입력부 및 디스플레이부의 일실시형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 및 온도의 설정 및 저장 버튼들과, 전원과 고압 방전에 대한 ON/OFF 버튼들을 구비한다.
상기 제어부(120)는 다수 개의 동작 모드를 구비하며, 상기 키 입력부를 통해 선택된 동작 모드로 구동된다. 상기 동작 모드는 타이머 설정 모드, 온도 설정 모드 및 방전 모드를 적어도 구비한다.
상기 타이머 설정 모드에서는, 상기 제어부는 운용자가 키 입력부를 통해 본 장치의 1일 방전 회수와 1회 방전 시간을 포함하는 방전 시간 정보가 설정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설정된 방전 시간 정보는 메모리에 저장한다.
상기 온도 설정 모드에서는, 상기 제어부는 운용자가 키 입력부를 통해 본 장치의 구동 온도 범위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설정된 구동 온도 범위는 메모리에 저장한다. 일반적으로 저온이나 고온에서는 해충이나 모기 등이 생존할 수 없기 때문에, 저온이나 고온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구동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예를 들면, 구동 온도 범위는 해충이나 모기 등이 생존가능한 20 ~ 30 ℃ 로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방전 모드에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방전 시간 정보에 따라 발진고압승압부를 구동하여 고압출력부를 통해 고압 전류를 본 장치의 주변으로 방전하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 타이머 설정에 의해 1일 3회 5초 간격으로 방전되도록 방전 시간 정보가 설정된 경우, 해당 구동 시간 조건에 따라 고압 전류를 방전하여 물속의 모기 유충이나 성충, 기타의 해충을 박멸하게 된다. 한편, 고압 전류의 방전에 따른 위험을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어부는 고압 전류를 방전하기 전에, 물 감지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만 고압 전류가 방전되도록 하고, 온도가 사전 설정된 구동 온도 범위를 벗어나거나 주변에서 인체 감지 신호가 감지되면 발진고압승압부로의 전원을 차단하여 고압 전류가 방전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의 보다 구체적인 동작은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70)는 LCD, OLED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패널 및 다수 개의 LED 또는 램프들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들을 출력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부 및 키입력부에 대한 일 실시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는 디스플레이부(170)를 통해 현재 설정된 방전 시간 정보, 동작 모드 정보, 각종 진행 상태, 또는 전원/고압의 ON/OFF 여부를 표시해 줄 수 있다.
상기 발진고압승압부(130)는 발진 회로부(132), 고압 트랜스부(134) 및 승압부(136)을 구비하여, 전원 공급부로부터 제공되는 DC 12V-48V의 전압을 DC 20000 V-60000V로 승압하여 상기 고압 출력부로 제공한다. 출력되는 고압 전류의 세기는 저수조 등의 물의 양 및 공간의 크기에 따라 결정되며, 요구되는 고압 전류의 세기에 따라 입력되는 전원 공급이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해충 방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진고압승압부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회로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발진 회로부(132)는 발진 타이머 IC(U16) 및 스위칭 FET(Q12)를 포함하며, 상기 발진 타이머 IC(U16)는 주변 시정수값에 의해 결정되는 발진 주파수를 출력하여 상기 스위칭 FET(Q12)의 게이트로 제공한다. 상기 발진 주파수는 RA, RB, CA에 의해 결정되며, 1.49/(RA+2RB)CA 의 값으로 결정된다.
상기 고압 트랜스부(134)는 1차측에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제공되는 DC 전압이 공급되며, 발진 주파수에 따라 고속 스위칭되는 상기 스위칭 FET의 출력신호가 상기 1차측으로 제공됨에 따라, 2차측에 고압 AC 전압이 유도된다. 상기 고압 트랜스부는 2차측에 승압 유도된 전압이 1차측의 약 166 배 정도가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1차측에 약 DC 12V-48V가 인가되는 경우, 2차측에는 약 AC 2000V-6000V가 출력된다.
상기 승압부(136)는 다수 개의 다이오드들과 커패시터들로 구성된 반파 배전압 회로로서, 상기 고압 트랜스부로부터 출력되어 입력된 AC 2000V-6000V 전압을 승압 정류하여 출력한다. 상기 고압 트랜스부로부터 출력된 AC 2000V-6000V는 D47에 의해 1.414배 증폭 및 정류되어 C106에 반파 충전된다. D49를 거친 전압은 C100에 충전된다. C107은 D47, D49, D50을 모두 거친 전압이 충전된다. 상기 승압부는 단수가 길어질수록 다이오드들의 전압 강하로 인하여 커패시터의 충전 전압이 감소하기는 하나, 커패시터들이 직렬 연결되어 있어 승압을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승압부의 출력전압은 입력 전압에 √2를 곱한 값에 배전압 단수의 값에 비례한다.
상기 고압 출력부(140)는 상기 승압부로부터 출력된 약 DC 20kV-60kV의 고압 전류를 방전시키게 된다. 이때, 출력되는 고압 전류의 세기는 저수조 등의 물의 양 및 공간의 크기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압 출력부(140)는 승압부의 출력 단자와 연결된 2개의 입력 단자들 및 상기 입력 단자들과 각각 연결된 2개의 출력 단자를 구비하고, 2개의 출력 단자를 통해 상기 승압부로부터 제공된 고압 전류를 방전시킬 수 있다. 상기 출력 단자들은 수십 cm 정도의 일정 길이를 갖는 출력봉의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출력봉의 길이만큼 방전 범위를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고압 출력부의 입력 단자와 출력 단자들의 사이에 길이 연장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길이 연장부를 통해 입력 단자와 출력 단자들을 연결하는 전선들의 길이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고압 출력부의 입력 단자와 출력 단자 사이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고압 출력부의 출력 단자들 사이의 이격 거리도 조절하게 되어, 고압 전류의 방전 범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압 출력부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과 같이, 고압 출력부로부터 방전되는 범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고압 출력부는 상기 승압부의 출력단자와 연결된 2개의 입력 단자, 3 개의 출력 단자 및 상기 2개의 입력단자와 3개의 출력 단자의 사이에 위치한 스위칭부(14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칭부(142)는 입력 단자가 3개의 출력 단자들 중 하나에 연결되도록 스위칭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릴레이(Relay)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3개의 출력 단자들을 일정 길이를 갖는 출력봉의 형태로 구성하고, 이들을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한 후, 상기 스위칭부를 이용하여 고압 전류를 방전시키는 2개의 출력 단자들을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구동시킴에 따라, 보다 넓은 범위로 고압 전류를 방전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해충 방제 장치는 회로 보호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회로 보호부(160)는 전류 감지 센서를 구비하며, 상기 전류 감지 센서에 의해 과전류가 감지되면 전원 공급을 차단하여 본 장치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해충 방제 장치의 제어부의 동작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상기 제어부의 동작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는 먼저 키 입력부를 통해 선택된 동작 모드를 판단한다(단계 310).
선택된 동작 모드가 "타이머 설정 모드"이면, 상기 제어부는 키 입력부를 통해 1일 방전 회수와 1회 방전 시간을 포함하는 방전 시간 정보를 입력받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방전 시간 정보는 메모리에 저장한다(단계 320).
선택된 동작 모드가 "온도 설정 모드"이면, 상기 제어부는 키 입력부를 통해 본 장치의 구동 온도 범위인 상한값과 하한값을 입력받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구동 온도 범위는 메모리에 저장한다(단계 330).
선택된 동작 모드가 "방전 모드"이면, 상기 제어부는 고압 출력부로 고압 전류를 방전한다(단계 340).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해충 방제 장치에 있어서, 동작 모드가 방전 모드인 경우의 상기 제어부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제어부가 방전 모드인 경우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방전 모드인 경우, 먼저 상기 제어부는 물 감지 센서, 온도 감지 센서 및 인체 감지 센서의 센싱값을 확인한다(단계400). 상기 온도 감지 센서로부터 입력된 온도가 사전 설정된 구동 온도 범위내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구동 온도 범위를 벗어난 경우 현재 온도를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 출력하여 운용자에게 이를 안내하고, 전원 공급부를 제어하여 발진고압승압부로 제공되는 전원을 차단시키고 방전 모드를 종료한다(단계 410).
다음, 상기 인체 감지 센서로부터 인체 감지 신호가 입력되면,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 "주변에 사람이 있음"을 알리는 메시지 등을 출력하여 운용자에게 이를 안내하고, 전원 공급부를 제어하여 발진고압승압부로 제공되는 전원을 차단시키고 방전 모드를 종료한다(단계 420). 이로써, 주변에 사람이나 동물등이 근접하는 경우 해충 방제 장치가 고압 전류를 방전하지 않도록 하여, 사람이나 동물이 감전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 물 감지 센서로부터 물 감지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 "물속이 아님"을 알리는 메시지 등을 출력하여 운용자에게 이를 안내하고, 전원 공급부를 제어하여 발진고압승압부로 제공되는 전원을 차단시키고 방전 모드를 종료한다(단계 430).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공기중에 위치하는 경우 고압 전류를 방전하지 않도록 하고, 물 속에서만이 동작되도록 하게 된다.
물 감지 센서로부터 물 감지 신호가 입력되면, 사전 설정된 방전 시간 정보중 1일 방전 회수에 따라 방전 시각을 계산하고(단계 440), 방전 시각이 도래하면 사전 설정된 1회 방전 시간 동안 발진고압승압부를 구동시켜 고압 출력부로 고압 전류를 방전한다(단계 450).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해충 방제 장치는 주변에 사람이나 동물이 없는 경우 물속에서만 고압 전류가 방전되도록 하여, 저수조 등에 서식하는 해충, 모기, 모기 유충 등을 감전시켜 박멸할 수 있으며, 사람이나 동물 등이 감전되는 것은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해충 방제 장치는 모기, 모기의 유충, 해충 등이 서식할 수 있는 빌딩이나 아파트의 집수정, 저수조 등에 널리 사용되어 해충 등을 박멸할 수 있다.
1 : 해충 방제 장치
100 : 전원 공급부
110 : 물 감지 센서
112 : 인체 감지 센서
114 : 온도 감지 센서
120 : 제어부
130 : 발진고압승압부
140 : 고압 출력부
142 : 스위칭부
150 : 키 입력부
160 : 회로 보호부
170 : 디스플레이부

Claims (7)

  1. 사전 설정된 직류 전압을 제공하는 전원공급부;
    물을 감지하여 물 감지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물 감지 센서;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제공되는 전압을 사전 설정된 고압의 전압으로 승압하는 발진고압승압부;
    상기 발진고압승압부로부터 제공된 고압 전류를 방전하는 고압 출력부;
    상기 물 감지 센서로부터 물 감지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발진고압승압부를 구동시켜 고압 출력부로 고압 전류를 출력시키는 제어부;
    를 구비하여, 사전 설정된 고압 전류를 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방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충 방제 장치는 사람 또는 동물을 감지하여 인체 감지 신호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인체 감지 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인체 감지 센서로부터 인체 감지 신호가 수신되면, 발진고압승압부로 제공되는 전원을 차단시켜 고압 전류가 방전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방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충 방제 장치는 전류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회로 보호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회로 보호부는 상기 전류 감지 센서를 통해 과전류가 감지되면 상기 발진고압승압부로 제공되는 전원을 차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방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충 방제 장치는 타이머 설정 버튼 및 키입력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타이머 설정 버튼이 눌려지면, 상기 제어부는 키입력부를 통해 1일 방전 회수와 1회 방전 시간을 포함하는 방전 시간 정보를 입력받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전 시간 정보에 따라 상기 발진고압승압부를 구동시켜 고압 전류를 방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방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진고압승압부는
    발진 주파수를 생성하고, 상기 발진 주파수에 따라 고속 스위칭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발진 회로부;
    상기 발진회로부로부터 제공되는 고속 스위칭 신호에 따라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제공된 DC 전압을 AC 고압으로 승압시키는 고압 트랜스부; 및
    상기 고압 트랜스부로부터 제공된 AC 고압을 DC 고압으로 승압시켜 출력하는 승압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방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충 방제 장치는 온도 설정 버튼, 키입력부 및 온도 감지 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온도 설정 버튼이 눌려지면, 상기 제어부는 키입력부를 통해 온도의 상한값과 하한값을 입력받아 구동 온도 범위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 감지 센서로부터 현재 온도값을 입력받고, 현재 온도값이 상기 구동 온도 범위내인 경우에만 상기 발진고압승압부를 구동시켜 고압 전류를 방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방제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 출력부는
    발진고압승압의 출력 단자들과 연결된 입력 단자들;
    적어도 3개 이상의 출력 단자들; 및
    일단은 상기 입력 단자들과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출력 단자들 중 2개의 출력 단자를 선택하기 위한 스위칭부;
    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칭부를 구동시켜 2개의 출력 단자를 통해 고압 전류를 방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방제 장치.


KR1020140149797A 2014-10-31 2014-10-31 전기 감전을 이용한 해충 방제 장치 KR201600507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9797A KR20160050785A (ko) 2014-10-31 2014-10-31 전기 감전을 이용한 해충 방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9797A KR20160050785A (ko) 2014-10-31 2014-10-31 전기 감전을 이용한 해충 방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0785A true KR20160050785A (ko) 2016-05-11

Family

ID=56025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9797A KR20160050785A (ko) 2014-10-31 2014-10-31 전기 감전을 이용한 해충 방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5078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62312A (zh) * 2017-05-27 2017-07-21 贵州花果山现代农业开发有限责任公司 猕猴桃幼苗杀虫装置
KR20220131111A (ko) 2021-03-19 2022-09-27 홍사정 세척용 수조의 워터쉴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62312A (zh) * 2017-05-27 2017-07-21 贵州花果山现代农业开发有限责任公司 猕猴桃幼苗杀虫装置
KR20220131111A (ko) 2021-03-19 2022-09-27 홍사정 세척용 수조의 워터쉴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20963B2 (ja) 蚊の誘殺器又は捕獲器
KR100929245B1 (ko) 전기를 이용한 휴대용 해충퇴치기
US20070056207A1 (en) Electric insect trap
US20160339133A1 (en) Battery powered uv sanitation system
KR20140086266A (ko) 전기 해충 퇴치기
KR20160050785A (ko) 전기 감전을 이용한 해충 방제 장치
JP2011139688A (ja) 鳥類退治装置
US2014011595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afe insect extermination
KR101573714B1 (ko) 해충제거용 전격 살충기
WO2016066847A1 (en) Insect trap
CN103735005A (zh) 一种户外多功能手杖
KR102504684B1 (ko) 실내와 실외 겸용 해충퇴치기
KR101415958B1 (ko) 전기 해충퇴치장치
KR101815114B1 (ko) 휴대용 엘이디 유인 전격 해충 살충기
US20210290976A1 (en) Portal apparatus for uv deactivation of pathogens
KR20140051647A (ko) 모기 유인과 살충 기능을 갖는 모기채
KR930017489A (ko) 전자식 살충 장치 및 제어방법
Vyas et al. Development of Electrical Fence Energizet for a Farm Fencing System
KR20180059026A (ko) 포충 기능을 구비한 랜턴
JP3117670U (ja) 電撃殺虫器
KR101175480B1 (ko) 해충박멸수를 표시하는 전자살충기
US20210259233A1 (en) Fogger machine
KR101574697B1 (ko) 에어크락션을 이용한 전자동 유해조수퇴치장치
US20220163194A1 (en) Multi-lamp lighting system
JP2001045958A (ja) 害虫防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