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0390A - 분기형 집합 배관 - Google Patents

분기형 집합 배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0390A
KR20160050390A KR1020140148435A KR20140148435A KR20160050390A KR 20160050390 A KR20160050390 A KR 20160050390A KR 1020140148435 A KR1020140148435 A KR 1020140148435A KR 20140148435 A KR20140148435 A KR 20140148435A KR 20160050390 A KR20160050390 A KR 201600503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or
branch
tubes
optical cable
branch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8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근식
Original Assignee
대한광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광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한광통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48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50390A/ko
Publication of KR20160050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03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01Optical cables
    • G02B6/4429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rengthening or protecting the cables
    • G02B6/443Protective covering
    • G02B6/4431Protective covering with provision in the protective covering, e.g. weak line, for gaining access to one or more fibres, e.g. for branching or tapp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1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 G02B6/381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containing optical and electrical condu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1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 G02B6/3825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with an intermediate part, e.g. adapter, receptacle, linking two plu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73Connectors using guide surfaces for aligning ferrule ends, e.g. tubes, sleeves, V-grooves, rods, pins, balls
    • G02B6/3874Connectors using guide surfaces for aligning ferrule ends, e.g. tubes, sleeves, V-grooves, rods, pins, balls using tubes, sleeves to align ferrules
    • G02B6/3878Connectors using guide surfaces for aligning ferrule ends, e.g. tubes, sleeves, V-grooves, rods, pins, balls using tubes, sleeves to align ferrules comprising a plurality of ferrules, branching and break-out means
    • G02B6/3879Linking of individual connector plugs to an overconnector, e.g. using clamps, clips, common housings comprising several individual connector plu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71Terminating devices ; Cable clamp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71Terminating devices ; Cable clamps
    • G02B6/4472Manifold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71Terminating devices ; Cable clamps
    • G02B6/4472Manifolds
    • G02B6/4473Three-way syste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71Terminating devices ; Cable clamps
    • G02B6/4472Manifolds
    • G02B6/4475Manifolds with provision for lateral branch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71Terminating devices ; Cable clamps
    • G02B6/4476Terminating devices ; Cable clamps with heat-shrinkable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71Terminating devices ; Cable clamps
    • G02B6/4477Terminating devices ; Cable clamps with means for strain-relieving to interior strengths elemen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71Terminating devices ; Cable clamps
    • G02B6/4478Bending relief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분기형 집합 배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분기형 집합 배관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 케이블이 삽입될 수 있는 분기형 집합 배관으로서, 인장선; 상기 인장선을 둘러싸고, 상기 광 케이블이 삽입되는 복수의 튜브들; 상기 복수의 튜브들을 둘러싸는 절연체; 및 상기 절연체의 일 부분에 결합되고, 상기 복수의 튜브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튜브를 상기 절연체 밖으로 분기시키는 분기형 커넥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분기형 집합 배관{COLLECTIVE PIPE OF BRANCH-TYPE}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분기형 집합 배관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건물이나 아파트 등에는 여러 통신사업자들에 의한 수많은 광 케이블이 설치되어 있다.
설치된 광 케이블들은 깨끗이 정리되지 않아 미관상 보기 좋지 않고, 설사 이들을 정리한다하더라도 테이프나 철사 등으로 이들을 묶는 정도에 불과하여 이 역시 미관상 보기 좋지 않은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광 케이블에서 분기가 필요한 중간 지점을 현장에서 작업자가 광 케이블의 외부 피복의 일 부분을 탈피한 후 연결 작업을 수행하고, 연결 작업 후에는 탈피된 일 부분을 수축 튜브 또는 보호 테이프를 이용하여 마감 처리 작업를 하였다. 이러한 연결 작업 및 마감 처리 작업은 불편하고, 적지 않은 시간이 든다는 문제가 있었다.
한국 공개 특허 제2014-0084539호 (공개일 2014.07.07)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광 케이블의 추후 삽입이 가능한 분기형 집합 배관을 제공한다.
또한, 깔끔한 미관을 갖는 분기형 집합 배관을 제공한다.
또한, 연결 작업이 용이하게 마감 처리 작업이 필요없는 분기형 집합 배관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분기형 집합 배관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 케이블이 삽입될 수 있는 분기형 집합 배관으로서, 인장선; 상기 인장선을 둘러싸고, 상기 광 케이블이 삽입되는 복수의 튜브들; 상기 복수의 튜브들을 둘러싸는 절연체; 및 상기 절연체의 일 부분에 결합되고, 상기 복수의 튜브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튜브를 상기 절연체 밖으로 분기시키는 분기형 커넥터;를 포함한다. 이러한 분기형 집합 배관에 따르면, 광 케이블의 추후 삽입이 가능하기 때문에, 광 케이블의 포설, 취급 및 식별이 용이하며, 깔끔한 외관을 갖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분기형 집합 배관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 케이블이 삽입될 수 있는 분기형 집합 배관으로서, 상기 광 케이블이 삽입되는 복수의 튜브들; 상기 복수의 튜브들의 일 측에 배치된 인장선; 상기 복수의 튜브들과 상기 인장선을 둘러싸는 절연체; 및 상기 절연체의 일 부분에 결합되고, 상기 복수의 튜브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튜브를 상기 절연체 밖으로 분기시키는 분기형 커넥터;를 포함한다. 이러한 분기형 집합 배관에 따르면, 광 케이블의 추후 삽입이 가능하기 때문에, 광 케이블의 포설, 취급 및 식별이 용이하며, 깔끔한 외관을 갖는 이점이 있다.
상기 분기형 집합 배관에 있어서, 상기 분기형 커넥터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제1 분기형 커넥터와 제2 분기형 커넥터를 포함한다. 이러한 분기형 집합 배관에 따르면, 하나의 분기형 집합 배관을 여러 통신사업자가 이용할 수 있어 설비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다.
상기 분기형 집합 배관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튜브들과 상기 절연체 사이에 배치된 방수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분기형 집합 배관에 따르면, 수분에 의한 분기형 집합 배관의 손상이나 파손을 막을 수 있다.
상기 분기형 집합 배관에 있어서, 상기 튜브는 상기 광 케이블을 견인할 수 있는 견인선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분기형 집합 배관에 따르면, 광 케이블을 튜브의 통로에 삽입할 때 광 케이블과 튜브 사이의 마찰력을 최소화하여 튜브에 광 케이블을 설치하는 작업이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분기형 집합 배관을 사용하면, 광 케이블의 추후 삽입이 가능하기 때문에, 광 케이블의 포설, 취급 및 식별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광 케이블의 추후 삽입이 가능하기 때문에, 현장에서의 작업성이 개선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광 케이블을 필요한 길이만큼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광 케이블의 과도한 사용을 막아 경제적인 이점이 있다.
또한, 여러 광 케이블들이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다른 분기형 집합 배관 안에 배치되므로, 깔끔한 미관을 갖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다른 분기형 집합 배관 하나로 여러 통신사업자들이 개별적으로 자신들 전용의 광 케이블을 설치할 수 있으므로, 여러 통신사업자들의 설비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고장난 광 케이블의 제거 및 교체가 용이한 이점이 있으며, 사용되지 않는 광 케이블의 개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분기형 집합 배관의 측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분기형 집합 배관의 A-A’으로의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분기형 커넥터의 일 부분을 제거한 경우의 측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분기형 커넥터의 변형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 내지 도 6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분기형 집합 배관에 광 케이블이 설치된 경우의 도면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분기형 집합 배관의 A-A’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면들 중 인용부호들 및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인용부호들로 표시됨을 유의해야 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분기형 집합 배관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분기형 집합 배관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분기형 집합 배관의 A-A’으로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분기형 집합 배관은, 절연체(100), 튜브(300), 인장선(500) 및 분기형 커넥터(700)를 포함할 수 있다.
절연체(100)은, 내부에 튜브(300) 및 인장선(5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절연체(100)의 내부는 튜브(300) 및 인장선(500)이 배치되기 위한 소정의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절연체(100)는 복수의 튜브(300)들을 둘러쌀 수 있다. 여기서, 절연체(100)는 복수의 튜브(300)들로부터 소정 간격 떨어져 복수의 튜브(300)들을 감쌀 수 있다.
절연체(100)의 일 부분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기형 커넥터(700)가 결합될 수 있다.
절연체(100)은, 외피와 내피를 포함할 수 있다. 외피는 외부에 노출되며, 내피는 튜브(300)를 둘러싼다. 외피와 내피 사이의 간격은 일정할 수 있다.
절연체(100)의 내피에는 라미네이트 알루미늄 테이프, 플라스틱 테이프, 및 부직표 테이프 중 어느 하나가 배치될 수 있다.
절연체(100)의 재질은 폴리에틸렌, 폴리염화비닐 및 폴리우레탄 수지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튜브(300)는 절연체(100) 내부에 배치된다.
튜브(300)는 속이 빈 통로(310)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통로(310)에는 광 케이블이 삽입될 수 있다.
튜브(300)는 외피와 내피를 포함할 수 있다. 외피는 방수층(400) 또는 인장선(500)과 접촉하고, 내피는 상기 통로(310)를 정의할 수 있다.
튜브(300)는 인장선(500)의 외면에 붙어서 배치되며, 튜브(300)는 인접하는 다른 튜브들과 서로 붙어서 배치될 수 있다.
튜브(300)는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 복수의 튜브(300)들은 인장선(500)을 둘러쌀 수 있다.
튜브(300)의 재질은 열가소성 플라스틱(PBT)일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폴리에틸렌, 폴리염화비닐 및 폴리우레탄 수지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튜브(300)의 내부에는 견인선(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견인선(미도시)을 사용하면, 튜브(300) 내부에 설치되는 광 케이블과 튜브(300)의 내피 사이의 마찰력을 최소화하여 광 케이블을 튜브(300) 내부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인장선(500)은, 절연체(100) 내부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인장선(500)은 절연체(100) 내부의 중앙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인장선(50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분기형 집합 배관이 장거리로 포설되거나 건물의 외벽이나 내벽에 설치될 경우에 강력하고 안정적인 장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인장선(500)은 아연도금 강선 또는 강연선일 수 있고, 섬유 강화 플라스틱(Fiber Reinforced Plastics, FRP)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분기형 집합 배관은, 방수층(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방수층(400)은 절연체(10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방수층(400)는 복수의 튜브(300)들과 절연체(100) 사이의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방수층(400)은 절연체(100)과 복수의 튜브(300)들의 사이의 공간과, 복수의 튜브(300)들과 인장선(500) 사이의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방수층(400)은 젤리 콤파운드(jelly compound )일 수 있다. 젤리 콤파운드는 절연체(100)과 복수의 튜브(300)들의 사이의 공간과, 복수의 튜브(300)들과 인장선(500) 사이의 공간에 존재하는 수분을 흡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분기형 집합 배관에 있어서, 방수층(400)이 존재하는 공간에는 방수층(400)이 배치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절연체(100)과 복수의 튜브(300)들의 사이의 공간과, 복수의 튜브(300)들과 인장선(500) 사이의 공간은 비어있을 수도 있다.
분기형 커넥터(700)는 절연체(100)의 일 부분에 결합될 수 있다. 분기형 커넥터(700)는 하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분기형 커넥터(700)가 복수인 경우, 복수의 분기형 커넥터(700)들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분기형 커넥터(700)가 복수일 경우, 각 분기형 커넥터(700)마다 서로 다른 통신사업자를 지정할 수 있다. 따라서, 여러 통신사업자들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분기형 집합 배관을 사용하여 가입자들에게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어 설비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분기형 커넥터(700)는 복수의 튜브(300)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튜브(300)를 절연체(100) 밖으로 분기시킬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분기형 커넥터(700)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분기형 커넥터의 일 부분을 제거한 경우의 측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분기형 커넥터(700)는 절연체(100)의 일 부분을 커버하도록 배치된다.
분기형 커넥터(700)에 의해 커버되는 절연체(100)의 일 부분은, 소정의 작업을 통해 제거되어 복수의 튜브(300)들 중 일부가 노출된다.
분기형 커넥터(700)는 절연체(100)의 일 부분에서 절연체(100)의 밖으로 빠져나온 튜브(300)의 끝단을 고정하는 고정 부재(710)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부재(710)를 통해, 추후 설명할 광 케이블이 튜브(300)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고정 부재(710)는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분기형 커넥터의 변형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분기형 커넥터(700’)는 두 개의 고정 부재(710, 71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 부재(710)는 제1 튜브(300)와 연결되고, 제2 고정 부재(710’)는 제2 튜브(3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분기형 커넥터(700’)는 두 개의 광 케이블이 제1 튜브(300)와 제2 튜브(300’) 각각에 삽입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분기형 커넥터(700’)가 두 개의 고정 부재(710, 710’)를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고정 부재의 개수는 셋 이상일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분기형 집합 배관의 사용 방법을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5 내지 도 6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분기형 집합 배관에 광 케이블이 설치된 경우의 도면들이다.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분기형 집합 배관이 건물이나 아파트 등에 미리 설치된 상태에서, 제1 통신사업자에 의한 제1 광 케이블(C1)이 제1 분기형 커넥터(700a)의 고정 부재(미도시)를 통해 절연체(100) 내부에 배치된 제1 튜브(300)에 삽입되고, 제2 통신사업자에 의한 제2 광 케이블(C2)이 제2 분기형 커넥터(700b)의 고정 부재(미도시)를 통해 절연체(100) 내부에 배치된 제2 튜브(300’)에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분기형 집합 배관을 사용하면, 광 케이블의 추후 설치가 가능하기 때문에, 광 케이블의 포설, 취급 및 식별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현장에서의 작업성이 개선될 수 있고, 광 케이블을 필요한 길이만큼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광 케이블의 과도한 사용을 막을 수 있으며, 여러 광 케이블들이 분기형 집합 배관 안에 배치되므로 깔끔한 미관을 갖는다. 또한, 분기형 집합 배관 하나로 여러 통신사업자들이 개별적으로 자신들 전용의 광 케이블을 설치할 수 있으므로, 여러 통신사업자들의 설비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고장난 광 케이블의 제거 및 교체가 용이하며, 사용되지 않는 광 케이블의 개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분기형 집합 배관의 A-A’의 단면도로서, 도 2에 도시된 분기형 집합 배관과 다른 변형 예이다.
도 7에 도시된 분기형 집합 배관은, 도 2에 도시된 분기형 집합 배관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상의 차이점이 있다.
도 7에 도시된 분기형 집합 배관은, 인장선(500)이 복수의 튜브(300)들의 일 측에 배치된다. 그리고, 절연체(100, 200)가 복수의 튜브(300)들과 인장선(500)을 둘러싼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절연체를 제1 절연체(100)와 제2 절연체(200)로 구분하도록 한다.
제1 절연체(100)의 내부에는 복수의 튜브(300)들이 배치되고, 제2 절연체(200) 내부에는 인장선(500)이 배치된다. 그리고, 제1 절연체(100)과 제2 절연체(200)은 서로 연결된다.
제1 절연체(100)과 복수의 튜브(300)들 사이에 방수층(400)이 배치될 수 있으며, 도면과 달리, 방수층(400)이 없을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분기형 커넥터(700)는 도 7에 도시된 분기형 집합 배관에도 결합될 수 있는데, 이때의 분기형 커넥터는 제1 절연체(100)과 제2 절연체(200)의 일 부분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절연체(100, 200), 튜브(300) 및 인장선(500)의 기능과 재질은 도 2에 도시된 절연체(100), 튜브(300) 및 인장선(500)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7에 도시된 분기형 집합 배관도,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분기형 집합 배관과 마찬가지로, 광 케이블의 추후 설치가 가능하기 때문에, 광 케이블의 포설, 취급 및 식별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현장에서의 작업성이 개선될 수 있고, 광 케이블을 필요한 길이만큼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광 케이블의 과도한 사용을 막을 수 있으며, 여러 광 케이블들이 분기형 집합 배관 안에 배치되므로 깔끔한 미관을 갖는다. 또한, 분기형 집합 배관 하나로 여러 통신사업자들이 개별적으로 자신들 전용의 광 케이블을 설치할 수 있으므로, 여러 통신사업자들의 설비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고장난 광 케이블의 제거 및 교체가 용이하며, 사용되지 않는 광 케이블의 개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 형태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 형태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절연체
300: 튜브
400: 방수층
500: 인장선
700: 분기형 커넥터

Claims (5)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 케이블이 삽입될 수 있는 분기형 집합 배관에 있어서,
    인장선;
    상기 인장선을 둘러싸고, 상기 광 케이블이 삽입되는 복수의 튜브들;
    상기 복수의 튜브들을 둘러싸는 절연체; 및
    상기 절연체의 일 부분에 결합되고, 상기 복수의 튜브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튜브를 상기 절연체 밖으로 분기시키는 분기형 커넥터;
    를 포함하는, 분기형 집합 배관.
  2.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 케이블이 삽입될 수 있는 분기형 집합 배관에 있어서,
    상기 광 케이블이 삽입되는 복수의 튜브들;
    상기 복수의 튜브들의 일 측에 배치된 인장선;
    상기 복수의 튜브들과 상기 인장선을 둘러싸는 절연체; 및
    상기 절연체의 일 부분에 결합되고, 상기 복수의 튜브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튜브를 상기 절연체 밖으로 분기시키는 분기형 커넥터;
    를 포함하는, 분기형 집합 배관.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형 커넥터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제1 분기형 커넥터와 제2 분기형 커넥터를 포함하는, 분기형 집합 배관.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튜브들과 상기 절연체 사이에 배치된 방수층을 더 포함하는, 분기형 집합 배관.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는 상기 광 케이블을 견인하기 위한 견인선을 더 포함하는, 분기형 집합 배관.
KR1020140148435A 2014-10-29 2014-10-29 분기형 집합 배관 KR201600503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8435A KR20160050390A (ko) 2014-10-29 2014-10-29 분기형 집합 배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8435A KR20160050390A (ko) 2014-10-29 2014-10-29 분기형 집합 배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0390A true KR20160050390A (ko) 2016-05-11

Family

ID=56025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8435A KR20160050390A (ko) 2014-10-29 2014-10-29 분기형 집합 배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5039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6058892A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
EP2589995B1 (en) Optical cable connection box with auxiliary device for gap filling and waterproofing
CN205826927U (zh) 室内外综合布线ftth光纤接续盒
KR101471018B1 (ko) 중간 브랜칭을 위한 광 케이블의 안내 및 접속 작업에 적합한 광 케이블 접속 케이싱
US11194108B2 (en) Slot-type optical cable
US6184474B1 (en) Device for managing wire and cable for electronic systems
KR100779155B1 (ko) 여분의 광케이블 수납이 가능한 전신주용 광접속함체
KR20160050390A (ko) 분기형 집합 배관
JP2013228567A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
JP2011059607A (ja) 光配線方法および光配線システム
JP2011113011A (ja) 光ドロップケーブル
KR102015616B1 (ko) 광 신호 전송장치 및 그 설치방법
KR20190088890A (ko) 광케이블
KR101792666B1 (ko) 요비선용 전선 고정유닛과 이를 구비한 요비선
JP2010008771A (ja) ケーブル引込部の構造
JP4388006B2 (ja) 光ケーブル
KR200367181Y1 (ko) 가공 및 광가입자 분기 겸용 광케이블
US20100046904A1 (en) Adapter for sleeves with elastomer cable seals and method for introducing a fiber-optic cable into a sleeve
JP2014153521A (ja) 光ケーブル
US9160152B2 (en) Transmission cable installation device
JP7110866B2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および光ファイバケーブルの接続構造。
JP4714302B2 (ja) 光ドロップケーブル
JP2002090593A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
JP5480759B2 (ja) 光ファイバーケーブルの光ファイバ再接続方法
JP2004070230A (ja) 光ケーブ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