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0354A - 기저귀 용변 감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기저귀 용변 감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0354A
KR20160050354A KR1020140148332A KR20140148332A KR20160050354A KR 20160050354 A KR20160050354 A KR 20160050354A KR 1020140148332 A KR1020140148332 A KR 1020140148332A KR 20140148332 A KR20140148332 A KR 20140148332A KR 20160050354 A KR20160050354 A KR 201600503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per
sensor
collector
communication module
pat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83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56510B1 (ko
Inventor
윤면기
Original Assignee
윤면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면기 filed Critical 윤면기
Priority to KR10201401483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6510B1/ko
Priority to PCT/KR2015/004854 priority patent/WO2016068429A1/ko
Publication of KR20160050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03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6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65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with wetness indicator or alarm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0Status alarms responsive to moisture

Abstract

본 발명은 기저귀 용변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환자의 용변 상태를 감지하여 간병인에게 실시간으로 알려주어, 신속한 대처를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각 환자의 돌봄 상태를 원격지에 있는 보호자가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환자별 용변 주기에 따라 감지하는 주기를 조절함으로써 배터리 소모량을 줄일 수 있는 기저귀 용변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기저귀 용변 감지 시스템에 있어서, 기저귀의 용변 상태를 감지하여 전송하는 다수의 감지기와, 상기 감지기에서 전송한 신호를 수신하는 수집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감지기는 온도 및 습도 센서로 이루어지고 기저귀에 부착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한 온도 및 습도 값을 통하여 용변 여부를 판단하여 전송하는 감지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기저귀 용변 감지 시스템{detecting system of defecation for diaper}
본 발명은 기저귀 용변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환자의 용변 상태를 감지하여 간병인에게 실시간으로 알려주어, 신속한 대처를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각 환자의 돌봄 상태를 원격지에 있는 보호자가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환자별 용변 주기에 따라 감지하는 주기를 조절함으로써 배터리 소모량을 줄일 수 있는 기저귀 용변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근자에 들어서는 생활환경의 개선과 더불어 의료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인간의 수명은 점차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며, 이에 따라 노령인구는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는데, 이와 같이 노령인구는 증가하고 있는 반면, 가족의 구성단위는 핵가족화 되면서 노령자를 돌봐줄 가족이 없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으며, 이런 결과로 인하여 개인이나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에서 운영하는 요양시설에 위탁하여 보살핌을 받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이러한 노령자의 경우에는 거동이 불편한 것은 물론, 신체상의 기능 저하에 따른 각종 질병과 질환으로 인하여 자신을 정상적으로 관리하거나 통제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일상생활이 어려워지고 감지능력 등이 저하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로 인하여 보호자 또는 간병인의 도움을 받는 처지에 있는 노약자의 경우에는 음식물의 섭취불능과 언어불능, 거동불능과 같은 중증상태의 노약자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본인 스스로 대,소변의 처리가 불가하게 되는 것은 물론, 심할 경우에는 대,소변 상태를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다.
따라서, 배뇨의 처리를 스스로 처리할 수 없는 사람은 간병인 등의 도움이 필요하지만, 간병인이 기저귀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배설 유무를 파악하는 것은 대단히 어려운 일이며, 더구나 이를 제때 확인하지 못하면 피보호자가 대소변을 배설한 상태로 있게 되어 비위생적이고 건강을 해칠 우려가 있다.
그래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한국등록특허 제10-1260997호에 기재된 기술이 제안되었는데, 그 기술적 특징은 대소변 감지장치(40)에 있어서, 정전용량형 대소변 감지기(41)는 다수의 전극(11 내지 16) 및 외부장치와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부(17)를 가지되, 상기 전극(11 내지 16)이 생식기 위치부터 항문 위치를 지나 엉덩이 위치까지 연결되어 위치될 수 있도록 배열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감지기(41)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이를 표시하고 송신하는 송신부(42) 및 상기 송신부(42)로부터 상기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표시하는 수신부(4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한국등록특허 제10-1260997호에 기재된 기술은 용변의 배설 유무를 판단하여 간병인에게 알려주어 신속한 대처를 가능하게 하는 장점은 있으나, 단순한 용변의 유무만을 판단할 뿐, 용변의 주기나 횟수, 용변을 처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등의 정보를 별도로 저장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사항을 알기 위해서는 간병인이 일일이 직접 작성하여야 하며, 이러한 작성과정에서 정보가 누락되거나 왜곡되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고, 환자의 보호자가 환자의 돌봄 상태를 원거리에서 알 수 없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지속적으로 용변 여부를 감지하여야 하므로 배터리의 소모가 빨라 오랜시간 사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저귀에 착탈가능한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와 연결되어 용변의 여부를 감지하여 원격지로 정보를 전송하는 감지기와 상기 다수의 감지기에서 수신된 정보를 수집하여 화면으로 출력하는 수집기로 이루어져 기저귀의 상태를 전송하여 간병인이 환자의 용변 상태를 신속하게 알 수 있게 하여 신속한 대처를 가능하게 하며, 요양병원과 같은 대규모 시설에서 전체 환자의 상태를 한번에 감지할 수 있게 하는 기저귀 용변 감지 시스템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감지기에서 감지한 정보를 수집기에 구비된 데이터 베이스에 각 감지기 별로 구별하여 저장하게 되는데, 감지기에서는 기저귀의 습도와 온도, 용변의 발생 시간, 용변 처리 완료 시간, 배터리 잔량의 정보를 전송하며, 수집기에서는 각 환자별로 용변 발생시간을 통하여 용변 발생 주기를 감지하고, 그에 따라 감지 주기를 설정하여 감지기로 전송함으로써, 감지기의 작동시간을 줄여주어 배터리 소모량을 줄일 수 있는 기저귀 용변감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집기에는 별도로 통신망을 통하여 서버에 연결되어 서버에 구비된 데이터 베이스에는 각 수집기에서 수집한 정보를 저장하게 되므로, 환자의 보호자가 통신망을 통하여 서버에 접속하여 해당 환자의 용변 주기, 용변 처리 시간 등을 실시간으로 열람할 수 있어 환자의 돌봄 상태를 원격지에서도 알 수 있는 기저귀 용변 감지 시스템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기저귀 용변 감지 시스템에 있어서, 기저귀의 용변 상태를 감지하여 전송하는 다수의 감지기와, 상기 감지기에서 전송한 신호를 수신하는 수집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감지기는 온도 및 습도 센서로 이루어지고 기저귀에 부착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한 온도 및 습도 값을 통하여 용변 여부를 판단하여 전송하는 감지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감지부는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한 온도 및 습도 값과 기준값을 비교하여 용변 여부를 판단하는 제1제어부와, 정보를 수집기로 전송하는 제1통신모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감지부는 기저귀의 온도, 습도, 용변 여부, 용변 발생 시간, 배터리 잔량의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감지부에는 용변 처리 완료 신호를 송출하는 완료 버튼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수집기는 제1통신모듈에서 전송한 정보를 수신하는 제2통신모듈과, 상기 제2통신모듈을 통하여 수신한 정보를 각 감지기 별로 구별하여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와, 상기 제2통신모듈을 통하여 수신한 정보를 화면으로 출력하는 표시기와, 상기 제2통신모듈, 데이터 베이스, 표시기를 제어하는 제2제어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2제어부는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각 환자의 용변 발생 시간을 통하여 용변 발생 주기를 감지하고, 감지된 용변 발생 주기에 따라 감지기의 감지 주기를 설정하여 감지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수집기와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되는 서버가 더 구비되고, 상기 서버에는 수집기에서 수집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서버는 보호자가 통신망을 통하여 접속하여 각 환자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기저귀에 착탈가능한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와 연결되어 용변의 여부를 감지하여 원격지로 정보를 전송하는 감지기와 상기 다수의 감지기에서 수신된 정보를 수집하여 화면으로 출력하는 수집기로 이루어져 기저귀의 상태를 전송하여 간병인이 환자의 용변 상태를 신속하게 알 수 있게 하여 신속한 대처를 가능하게 하며, 요양병원과 같은 대규모 시설에서 전체 환자의 상태를 한번에 감지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감지기에서 감지한 정보를 수집기에 구비된 데이터 베이스에 각 감지기 별로 구별하여 저장하게 되는데, 감지기에서는 기저귀의 습도와 온도, 용변의 발생 시간, 용변 처리 완료 시간, 배터리 잔량의 정보를 전송하며, 수집기에서는 각 환자별로 용변 발생시간을 통하여 용변 발생 주기를 감지하고, 그에 따라 감지 주기를 설정하여 감지기로 전송함으로써, 감지기의 작동시간을 줄여주어 배터리 소모량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집기에는 별도로 통신망을 통하여 서버에 연결되어 서버에 구비된 데이터 베이스에는 각 수집기에서 수집한 정보를 저장하게 되므로, 환자의 보호자가 통신망을 통하여 서버에 접속하여 해당 환자의 용변 주기, 용변 처리 시간 등을 실시간으로 열람할 수 있어 환자의 돌봄 상태를 원격지에서도 알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대소변 감지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대소변 감지 장치의 감지기의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저귀 용변 감지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저귀 용변 감지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기저귀 용변 감지 시스템의 표시장치의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기저귀 용변 감지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저귀 용변 감지 시스템의 개념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저귀 용변 감지 시스템의 블럭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기저귀 용변 감지 시스템의 표시장치의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기저귀 용변 감지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노약자들이나 환자들을 간병하는 간병인이 용변 여부를 신속하게 감지할 수 있게 하는 기저귀 용변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은 기저귀의 용변 상태를 감지하여 전송하는 다수의 감지기(100)와 상기 감지기(100)에서 전송한 신호를 수신하는 수집기(20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감지기(100)는 기저귀에 착탈가능하게 형성되는 센서부(110)와 상기 센서부(110)에서 감지한 정보를 통하여 용변 여부를 판단하는 감지부(120)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센서부(110)는 저항성 또는 용량성 온도센서와 습도 센서로 이루어지며, 상기 감지부(120)는 케이블(미도시)을 통하여 상기 센서부(110)와 연결되어 센서부(110)에서 전송하는 정보를 통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용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이때, 상기 센서부(110)와 감지부(120)를 연결하는 케이블에는 클립이 구비되어 상기 센서부(110)를 기저귀에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감지부(120)는 감지부(120)와 센서부(11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24)와 센서부(110)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통하여 기준값과 비교하여 용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1제어부(110)와 상기 센서부(110)에서 수신한 온도 및 습도 정보와 이를 토대로 판단한 용변 여부, 배터리(124)의 잔량, 용변으로 판단될 경우 용변이 발생한 시간의 정보를 원격지에 있는 수집기(200)로 전송하는 제1통신모듈(126)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수집기(200)는 상기 감지부(120)에 각각 구비되는 제1통신모듈(126)을 통하여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송되는 정보를 수신하는 제2통신모듈(220)과 다수의 감지기(100)로부터 수신받은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베이스(210)와 각각의 감지기(100)에서 수신받은 정보를 화면으로 출력하기 위한 표시장치(240)와 제2통신모듈(220), 데이터 베이스(120), 표시장치(240)를 제어하는 제2제어부(230)로 이루어지며, 상기 데이터 베이스(210)에는 수신받은 정보를 각 감지기(100) 별로 구별하여 시간순서로 저장하기 때문에 필요시에 신속하게 해당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다수의 감지기(100)는 각각의 감지기(100)를 특정할 수 있도록 고유코드가 구비되며 정보를 전송할 때, 해당 고유코드를 같이 전송하도록 하여, 수집기(200)에서는 수신된 정보를 전송한 감지기(100)를 특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수집기(200)에는 제2통신모듈(220)을 통하여 수신한 정보를 화면으로 출력하는 표시장치(240)가 구비되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기(100)에서 전송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며, 감지기(100)에서 수신한 정보에 환자가 용변 발생한 경우, 해당 환자의 식별코드와 함께 용변 상태를 알리는 알림창이 생성되어 간병인이 신속하게 환자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감지기(100)를 형성하는 감지부(120)에는 완료 버튼(미도시)이 구비되어, 간병인이 환자의 기저귀를 간 후, 상기 완료 버튼을 클릭하게 되면 용변 처리 완료 신호를 송출하게 되어, 감지기(100)에서 수집기(200)로 용변 처리 완료 신호와 함께 용변 처리 완료 시간을 전송하게 됨으로써, 수집기(200)에서는 용변 처리 완료 시간을 데이터 베이스(210)에 저장하게 된다.
또한, 용변의 상태와 함께, 감지기(100)에 구비되는 배터리의 잔량에 대한 정보도 같이 전송하게 되므로 별도로 배터리의 잔량을 확인하지 않더라도 적절한 시기에 배터리를 교환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상기 감지기(100)에서 감지된 기저귀의 온도, 습도, 용변 여부, 용변 발생 시간, 용변 처리 완료 시간, 배터리 잔량의 정보는 실시간으로 수집기(200)로 전송되어 수집기(200)의 데이터 베이스(210)에 순차적으로 저장됨으로써, 필요시에 신속하게 열람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집기(200)의 제2제어부(230)는 데이터 베이스(210)에 저장된 각 환자의 용변 발생 시간을 통하여 용변 발생 주기를 감지하게 되고, 이렇게 감지된 용변 발생 주기에 따라 각각의 감지기(100)에서 용변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 주기를 설정하여 각각의 감지기(100)로 전송하게 된다.
따라서, 해당 감지기(100)는 수집기(200)에서 전송한 감지 주기에 따라 용변 여부를 감지하게 되므로, 감지기(100)의 감지 횟수가 감소됨으로써 배터리(124)의 소모량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감지기(100)는 각 노약자나 환자에게 직접 설치되고, 수집기(200)는 별도로 구비되는 간병인실에 구비되어 실시간으로 감지되는 기저귀의 상태를 수집기(200)의 표시장치(240)를 통하여 알 수 있게 되므로, 신속한 대처를 가능하게 한다.
물론, 본 발명의 기저귀 용변 감지 시스템을 개인적인 용도로 사용할 경우에는 하나의 감지기(100)와 하나의 수집기(200)만을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수집기(200)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망을 통하여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서버(400)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서버(400)에는 수집기(200)의 데이터 베이스(210)에 저장된 정보를 통신망을 통하여 수신받아 저장하는 저장부(410)가 구비되며, 상기 서버(400)는 인터넷망과 같은 일반적인 통신망을 통하여 외부에서도 접속이 가능하게 된다.
그래서, 환자나 노약자의 보호자들은 개인 컴퓨터나 스마트폰 등을 사용하여 통신망을 통하여 접속하게 되며, 서버(400)의 저장부(410)에 저장된 환자나 노약자의 돌봄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기저귀 용변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환자의 용변 상태를 감지하여 간병인에게 실시간으로 알려주어, 신속한 대처를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각 환자의 돌봄 상태를 원격지에 있는 보호자가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환자별 용변 주기에 따라 감지하는 주기를 조절함으로써 배터리 소모량을 줄일 수 있는 기저귀 용변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100 : 감지기 110 : 센서부
120 : 감지부 122 : 제1제어부
124 : 배터리 126 : 제1통신모듈
200 : 수집기 210 : 데이터 베이스
220 : 제2통신모듈 230 : 제2제어부
240 : 표시장치 400 : 서버
410 : 데이터 베이스

Claims (9)

  1. 기저귀 용변 감지 시스템에 있어서,
    기저귀의 용변 상태를 감지하여 전송하는 다수의 감지기와,
    상기 감지기에서 전송한 신호를 수신하는 수집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저귀 용변 감지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기는 온도 및 습도 센서로 이루어지고 기저귀에 부착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한 온도 및 습도 값을 통하여 용변 여부를 판단하여 전송하는 감지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저귀 용변 감지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한 온도 및 습도 값과 기준값을 비교하여 용변 여부를 판단하는 제1제어부와,
    정보를 수집기로 전송하는 제1통신모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저귀 용변 감지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기저귀의 온도, 습도, 용변 여부, 용변 발생 시간, 배터리 잔량의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저귀 용변 감지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에는 용변 처리 완료 신호를 송출하는 완료 버튼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저귀 용변 감지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기는 제1통신모듈에서 전송한 정보를 수신하는 제2통신모듈과,
    상기 제2통신모듈을 통하여 수신한 정보를 각 감지기 별로 구별하여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와,
    상기 제2통신모듈을 통하여 수신한 정보를 화면으로 출력하는 표시기와,
    상기 제2통신모듈, 데이터 베이스, 표시기를 제어하는 제2제어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저귀 용변 감지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제어부는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각 환자의 용변 발생 시간을 통하여 용변 발생 주기를 감지하고,
    감지된 용변 발생 주기에 따라 감지기의 감지 주기를 설정하여 감지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저귀 용변 감지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기와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되는 서버가 더 구비되고,
    상기 서버에는 수집기에서 수집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저귀 용변 감지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보호자가 통신망을 통하여 접속하여 각 환자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저귀 용변 감지 시스템.
KR1020140148332A 2014-10-29 2014-10-29 기저귀 용변 감지 시스템 KR1016565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8332A KR101656510B1 (ko) 2014-10-29 2014-10-29 기저귀 용변 감지 시스템
PCT/KR2015/004854 WO2016068429A1 (ko) 2014-10-29 2015-05-14 기저귀 용변 감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8332A KR101656510B1 (ko) 2014-10-29 2014-10-29 기저귀 용변 감지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0354A true KR20160050354A (ko) 2016-05-11
KR101656510B1 KR101656510B1 (ko) 2016-09-30

Family

ID=55857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8332A KR101656510B1 (ko) 2014-10-29 2014-10-29 기저귀 용변 감지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56510B1 (ko)
WO (1) WO201606842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0630A (ko) * 2019-06-25 2021-01-05 최형락 소변 배출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68620A (ja) * 1989-10-31 1991-07-22 Philips Gloeilampenfab:Nv 光増幅器
WO2014054823A1 (ko) * 2012-10-04 2014-04-10 Kim Donggyu 유아 및 중증환자를 위한 대소변 자동알림 모니터링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8620B2 (ja) * 1991-07-03 2001-05-21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ジタル/アナログ変換装置
KR20100089445A (ko) * 2009-02-04 2010-08-12 김종명 용변 감지장치
EP2496197B1 (en) * 2009-11-06 2015-08-26 Fred Bergman Healthcare Pty Ltd System for incontinence monitoring and assessment
KR101260997B1 (ko) * 2010-03-25 2013-05-29 (주)아이티헬스 다수의 전극을 가진 정전용량형 대소변 감지기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대소변 감지장치
KR100995966B1 (ko) * 2010-05-19 2010-11-22 김동규 재사용할 수 있는 자동 대소변 감지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68620A (ja) * 1989-10-31 1991-07-22 Philips Gloeilampenfab:Nv 光増幅器
WO2014054823A1 (ko) * 2012-10-04 2014-04-10 Kim Donggyu 유아 및 중증환자를 위한 대소변 자동알림 모니터링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0630A (ko) * 2019-06-25 2021-01-05 최형락 소변 배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6510B1 (ko) 2016-09-30
WO2016068429A1 (ko) 2016-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45342B2 (en) Multifunctional medical monitoring system
CN108283542B (zh) 用于监测吸收剂产品的使用情况的方法和移动装置
Demir et al. Smart home assistant for ambient assisted living of elderly people with dementia
KR102592841B1 (ko) 정보 처리 시스템,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JP7107338B2 (ja) 排便記録システム、排便記録方法および排便記録プログラム
JP2005124858A (ja) 活動状態判断装置、見守り支援システム、及び活動状態判断方法
KR20190086112A (ko) 환자의 상태 정보와 용변량에 따라 실시간 진단 기능을 갖는 스마트 케어 시스템
WO2015172246A1 (en) Multifunctional monitoring system comprising sensors attached to an absorbent article
JP2022136106A (ja) 排便記録システム、排便記録方法および排便記録プログラム
McCullagh et al. Nocturnal sensing and intervention for assisted living of people with dementia
KR20100089445A (ko) 용변 감지장치
JP6880811B2 (ja) 被監視者監視装置、該方法および該システム
KR101656510B1 (ko) 기저귀 용변 감지 시스템
WO2017069423A1 (ko) 거리별로 차별화된 정보를 제공하는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 및 방법
JP7044073B2 (ja) 支援制御方法及び支援システム
KR20150072191A (ko) 기저귀 용변 처리 시스템
JPH09327442A (ja) 高齢者介護補助システム
JP2006012057A (ja) 自立活動度測定システム
JP5249792B2 (ja) 健康管理装置及び健康管理プログラム
KR101696770B1 (ko) 환우의 배변을 감지하기 위한 장치
KR20180063533A (ko) 물질대사 관리를 위한 배변량 모니터링 시스템
JP6601881B2 (ja) 活動量算出システム、活動量算出装置、活動量算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50116578A (ko) 기저귀 상태변화 감시시스템
KR20150069407A (ko) 기저귀 변화 감시시스템
JP2022123410A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