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0137A - Carries a car for carrying high ladder - Google Patents

Carries a car for carrying high ladd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0137A
KR20160050137A KR1020140147235A KR20140147235A KR20160050137A KR 20160050137 A KR20160050137 A KR 20160050137A KR 1020140147235 A KR1020140147235 A KR 1020140147235A KR 20140147235 A KR20140147235 A KR 20140147235A KR 20160050137 A KR20160050137 A KR 201600501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plate
snap
hole
side pl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72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44352B1 (en
Inventor
홍용
김영길
황승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호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호룡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호룡
Priority to KR10201401472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4352B1/en
Publication of KR20160050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013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43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435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66F11/044Working platforms suspended from booms
    • B66F11/046Working platforms suspended from booms of the telescoping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64Jibs
    • B66C23/68Jibs foldable or otherwise adjustable in configu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Ladde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port container of a transport vehicle for an aerial ladder vehicle, comprising: a hinge unit that enables both side plates, a rear plate, and a front plate, which contact with a bottom plate of a transport container, to stably maintain folded and unfolded states when the transport container of a transport vehicle is folded or unfolded; and a level maintaining unit that is able to be adjusted to maintain a horizontal state with the bottom surface in the unfolded state. More specifically, the transport container of a transport vehicle for an aerial ladder vehicl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ottom plate, both the side plates, and the rear plate are integrally formed to be able to rotate by a plurality of hinge means arranged at equal intervals; the both side plates, a front auxiliary plate, and a rear auxiliary plate are integrally formed to be able to rotate by variable hinge means; the bottom plate, the front plate are integrally formed to be able to rotate by snap hinge means arranged at equal intervals; the both side plates, the rear plate, and the front plate maintain a horizontal state with the bottom surface by level adjusting means; and both sides of the front surface and the rear surface are equipped with supporting pieces to support unfolded front and rear auxiliary plates; and outer bottom parts of both the side plates are equipped with holding pieces to support a folded rear auxiliary plate.

Description

고가사다리차용 운반카의 운반함{Carries a car for carrying high ladder}{Carries a car for carrying high ladder}

본 발명은 고가사다리차용 운반카의 운반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운반카의 운반함을 접거나 펼칠 경우에 운반함의 밑면판과 접해 있는 양 측면판과 후면판 및 전면판을 접거나 펼치는 상태 그 자체로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힌지장치와, 상기 펼친 상태에서 밑판과 수평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조정할 수 있는 수평조정장치를 갖춘 고가사다리차용 운반카의 운반함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rier for a high-straddle ladder carriag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se for folding or unfolding a carrier of a carrier, A hinge device capable of maintaining a stable state by itself, and a horizontal adjusting device capable of adjusting a horizontal state with the bottom plate in the unfolded state.

일반적으로 주거방식이 단독주택에서 다가구 공동주택으로 전환되면서 이사 과정에서 발생되는 화물(이삿짐)을 운반하는데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했으며,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사다리가 안테나식으로 중첩되어 필요에 따라 신축가능한 방식의 고가사다리차가 개발되어 폭넓게 활용되고 있다.In general, the housing system has been converted from a single-family house to a multi-family apartment house, and various problems have arisen in carrying the cargo (moving) generated during the moving proces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ladder is overlapped with the antenna, A high-priced ladder car that can be used has been developed and widely used.

상기와 같은 고가사다리차는 용도에 따라 크게 두 가지로 개발되어 있는데, 그 중 하나는 고층건물에 화재가 발생했을 경우, 이를 진화하면서 건물 내의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소방용/인명구조용 고가사다리차와 다른 하나는 화물운송용 고가사다리차가 있다.One such high-cost ladder car has been developed as a fire-fighting / life-saving ladder car to rescue people in the building while evolving a fire in a high-rise building. There is an elevated ladder for cargo transportation.

여기서, 상기 소방용/인명구조용 사다리차는 사다리가 안테나식으로 중첩되어 필요에 따라 그 길이를 늘이거나 줄일 수 있도록 하면서, 상기 사다리를 따라 이동하는 탑승함을 설치하여 사람을 안정감 있게 탑승시키면서 이동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추고 있다.In this case, the ladder for fire / rescue structure is constructed such that a ladder is overlapped with an antenna type so that its length can be increased or decreased as needed, and a cabin moving along the ladder is installed, .

또한, 상기 화물운송용 고가사다리차는 화물운송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신축가능한 사다리에 이동대차와 운반함으로 이루어진 운반카를 설치하되, 상기 운반함은 평판형으로 펼쳤다가 박스형으로 접을 수 있는 구조를 갖추고 있다.In order to maximize the efficiency of the cargo transportation, the elevator ladder for the freight transportation is provided with a ladder which can be expanded and retracted, and a transportation car comprising a moving lorry and a transportation lorry. The lorry has a flat structure and a box-like structure.

여기서, 본 발명은 화물운송을 목적으로 하는 사다리차용 운반카의 운반함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사다리차용 운반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대차와 운반함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이동대차의 상부에는 운반함이 안정된 상태로 일체를 이루고 있으며, 상기 운반함을 포함한 이동대차는 차체의 동력을 이용한 윈치에 의해 사다리의 상면을 따라 상승 이동하게 되고, 상승된 운반함을 포함한 이동대차가 사다리의 하부로 이동하는 것은 자중에 의해 하강 이동하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rier for a ladder car for the purpose of cargo transportation, wherein the ladder car carrier car comprises a moving car and a carrier, as described above, The moving truck including the carrier is moved upward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ladder by the winch using the power of the vehicle body and the moving truck including the raised carrier is moved to the lower side of the ladder, .

즉, 이동대차와 운반함으로 이루어진 운반카를 상승시키는 윈치의 와이어는 신축되는 사다리의 상단을 거쳐 와이어의 단부가 운반카에 설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운반카는 사다리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고정와이어에 걸려 있으므로, 사다리를 신장시키면 윈치의 와이어가 풀리게 되고, 신장된 사다리의 상단을 일정위치(화물을 이송시키고자 하는 높이의 위치)에 걸쳐 놓고 운반카를 잡아주고 있는 고정와이어를 해지한 후, 윈치를 작동시켜 와이어를 감으면, 운반카는 사다리를 따라 상승하게 되고, 이와 반대로 윈치의 와이어를 풀어주면, 풀어지는 와이어는 상승된 운반카가 자중에 의해 하강하면서 풀어지는 와이어를 당기게 되므로 어느 정도 긴장력을 갖춘 상태로 풀리게 된다.That is, the wire of the winch for lifting the transportation car comprising the moving car and the carrier is caught by the fixed wire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ladder, with the end of the wire being installed on the transportation car via the upper end of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ladder Therefore, when the ladder is extended, the wire of the winch is released, and the upper end of the elongated ladder is placed over a predetermined position (the height position where the cargo is to be transported), the fixed wire holding the car is released, If the wire is lifted along the ladder, on the contrary, if the wire of the winch is loosened, the loosened wire pulls the loosened wire while the lifted hoist car descends by its own weight, .

상기와 같은 구조는 공지된 기술이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본 발명은 고가사다리차의 운반카를 이루고 있는 운반함에 관한 것이므로 이하 상세한 설명은 운반함에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Since the above structure is a known techniqu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nd sin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rier which forms a carrier of an elevated ladder car,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limited to a carrier.

상기 운반함은 화물 운송시에는 평판형으로 펼쳐 보다 많은 화물을 싣고 운송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차체 이동시에는 박스형으로 접어 그 부피를 최소화하여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The cargo box is folded into a box shape when the car body is moved so as to minimize the volume of the cargo and move stably.

본 발명은 이삿짐 등의 화물을 운송하는 운반카의 구성요소인 운반함을 개량한 것으로, 먼저, 종래의 화물 운송용 운반함을 갖춘 고가 사다리차(이하, ‘사다리차’라 한다.)를 살펴보면,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444904호의 “사다리차에 구비되는 운반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provement of a carrying case which is a component of a carrying car that carries a cargo such as a moving car. First of all, considering a conventional ladder car having a freight carrying cas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ladder car" The "carriage provided on the ladder" of the new registration No. 0444904 is as follows.

도 13은 종래의 운반대가 장착되는 사다리차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14는 종래의 사다리차용 운반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5은 종래 사다리차의 운반대가 펼쳐진 상태의 편면도이다.FIG. 13 is a side view showing a ladder carriage on which a conventional carriage is mounted,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rriage carriage for a conventional ladder carriage, and FIG. 15 is a side view showing a carriage carriage of a conventional ladder carriage.

도 13 내지 도 15에 표현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다리차는 차체의 적재대 상에 화물운송용 사다리장치가 설치되는데, 상기 사다리장치는 사다리가 다단으로 내장되고 일단부가 차체에 축결합을 이루는 사다리붐대(1)와, 사다리붐대(1)의 각도를 조정하는 각도조정유압실린더(2)와, 사다리붐대(1)의 내부에 갖춰지고 내장된 사다리를 신축시킬 때 다단의 사다리가 서로 연동되도록 하는 신축장치(도면상 사다리붐대의 내부에 갖춰져 있음)와, 신축가능한 사다리붐대(1)의 상면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대차(3)와 운반함(4)으로 이루어진 운반카(5)와, 상기 운반카(5)를 사다리붐대(1)의 상면을 따라 이동시키는 와이어를 포함한 윈치장치(6)로 구성되어 있다. As shown in FIGS. 13 to 15, generally, a ladder device for a cargo transportation is installed on a loading table of a car body. The ladder device includes a ladder boom table 1), an angle adjusting hydraulic cylinder (2) for adjusting the angle of the ladder boom base (1), and a telescopic device (5) comprising a moving carriage (3) and a conveying carriage (4) moving along the upper surface of a stretchable ladder boom frame (1) 5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adder boom tower 1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ladder boom tower 1.

상기 운반카(5)의 이동대차(3)와 운반함(4)은 도면상 선단부가 힌지축(7)에 의해 결합을 이루고, 운반함(4)의 후하단과 이동대차(3)의 선단부사이에 유압실린더(8)가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유압실린더(8)는 사다리붐대(1)의 각도를 조정하는 각도조정유압실린더(2)의 신축정도에 따라 연동된다.The moving carriage 3 and the carriage 4 of the carriage 5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hinge shaft 7 at the front end in the figure and the rear end of the carriage 4 and the front end of the carriage 3, The hydraulic cylinder 8 is interlocked with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degree of the angle adjusting hydraulic cylinder 2 for adjusting the angle of the ladder boom frame 1. [

즉, 각도조정유압실린더(2)의 길이가 신장되는 만큼, 사다리붐대(1)는 수직으로 세워지게 되는데, 이때, 운반함(4)을 받쳐주고 있는 유압실린더(8)의 길이도 신장되어 운반함(4)은 수평상태를 이루어 적재되는 화물은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That is, as the length of the angle-regulating hydraulic cylinder 2 is increased, the ladder boom frame 1 is vertically erected. At this time, the length of the hydraulic cylinder 8 supporting the transport box 4 is extended, The vessel (4) is in a horizontal state and the loaded cargo is maintained in a stable state.

상기 운반함(4)은 이동대차(3)와 힌지축(7) 결합과 유압실린더(8)에 의해 일체를 이루게 되는 밑판(이하 용어의 동일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밑면판” 이라고 함)과, 상기 밑면판(41)과 힌지결합부(10)에 의해 일체를 이루는 양 측면판(42) 및 전·후면판(43)(44)과, 양 측면판(42)과 후면판(44) 사이의 후면보조판(45)으로 이루어 지되, 도면상 미 도시되었으나 경우에 따라 양 측면판(42)과 전면판(43) 사이에 일반적으로 전면보조판이 장착되어 펼쳤을 때 전체적으로 사각 평판형을 이루고 있다.The carrying case 4 is provided with a base plate integrally formed by the combination of the moving carriage 3 and the hinge shaft 7 and the hydraulic cylinder 8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bottom plate" The side plates 42 and the front and rear plates 43 and 44 integrally formed by the bottom plate 41 and the hinge engaging portion 10 and between the side plates 42 and 44 And a rear auxiliary plate 45. The front auxiliary plate 45 is generally formed as a rectangular flat plate when the front auxiliary plate is mounted between the both side plates 42 and 43 as shown in FIG.

상기 후면보조판(45)과 전면보조판(도면상 미도시)은 상기 후면판(44)과 양 측면판(42)을 평탄하게 펼쳐졌을 때와 전면판(43)과 양 측면판(42)을 펼쳐졌을 때 사이 공간을 평탄하게 커버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며, 상기 후면보조판(45)는 양 측면판(42)과 힌지부(11)에 의해 절첩 가능하도록 일체를 이루고 있다.The rear auxiliary plate 45 and the front auxiliary plate (not shown in the drawing) are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when the rear plate 44 and the both side plates 42 are spread out flat and the front plate 43 and both side plates 42 are opened And the rear auxiliary plate 45 is integrally formed so as to be foldable by both the side plates 42 and the hinge portions 11. [

상기 측면판(42)의 후방단부와 후면판(44)의 측부에 고리(91)와 래치(92)로 이루어진 연결수단(9)을 갖추게 하되, 상기 연결수단(9)의 고리(91)는 측면판(42)의 후방단부에 갖추게 하고, 래치(92)는 후면판(44)의 측부에 갖추게 하여 측면판(42)과 후면판(44)을 세웠을 때 서로 결합을 이루거나 분리 할 수 있어 필요에 따라 운반함(4)은 박스형을 이루거나 평판형을 이루게 된다.The rear end of the side plate 42 and the side of the rear plate 44 are provided with connecting means 9 consisting of a ring 91 and a latch 92, And the latch 92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rear plate 44 so that the side plate 42 and the rear plate 44 can be engaged with or separated from each other when the side plate 42 and the rear plate 44 are set up If necessary, the carrier 4 may be box-shaped or plate-shaped.

상기 측면판(42)과 후면판(43)을 세웠을 때는 상기 연결수단(9)을 이용하여 일체를 이루게 하여 박스형을 이루게 하고, 이러한 상태에서는 사다리장치가 장착된 차체를 이동시키고자 할 경우이고, 화물을 운송하기 위해서는 상기 연결수단(9)을 해지하여 양 측면판(42)과 후면판(44) 및 전면판(43)을 펼쳐 밑면판(41)과 수평을 이루게 하면서 후면보조판(45)과 전면보조판을 펼쳐 운반함(4)이 전체적으로 사각 평면을 이룸으로써 한번 운송하는데 보다 많은 화물을 용이하게 운송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side plates 42 and the rear plate 43 are erected, they are integrally formed by using the connecting means 9 to form a box shape. In this state, the vehicle body equipped with the ladder device is moved, The side plates 42 and the rear plate 44 and the front plate 43 are unfolded to be horizontal with the bottom plate 41 and the rear auxiliary plate 45 By opening the front access panel, the carrier (4) has a square plane as a whole, so that more cargo can be easily transported in one transportation.

따라서, 사다리차를 이동시킬 경우에는 이동시 안정성을 갖추기 위해서는 밑면판(41)과 동일한 면을 이루도록 펼쳐진 양 측면판(42)과 후면판(44) 및 전면판(43)을 접어 세우면서 연결수단(9)에 의해 서로 결합을 이루도록 결합하고, 전면보조판과 후면보조판(45) 역시 전면판(43)과 후면판(44)측으로 절첩시켜 박스형으로 변형시켜 그 부피를 최소화함으로써 이동시 안정성을 갖추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ladder carriage is moved, the side plates 42, the rear plate 44, and the front plate 43 are folded up so as to form the same plane as the bottom plate 41, And the front and rear auxiliary plates 45 and 45 are also folded toward the front plate 43 and the rear plate 44 so as to be deformed into a box shape so as to minimize the volume thereof,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운반함(4)은 밑면판(41)과 양 측면판(42) 및 전면판(43)과 후면판(44) 그리고 전면보조판과 후면보조판(45)이 단순히 힌지결합부(10)에 의해 일체를 이루면서 밑면판(41)을 중심으로 수직으로 세워지거나 절첩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별도의 연결수단(9)을 통하여 일체를 이룬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carrier 4, the bottom plate 41, the side plates 42, the front plate 43 and the rear plate 44, and the front and rear auxiliary plates 45 are simply hinged (10), and is vertically erected or folded about the bottom plate (41). Thus,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integrated through the separate connecting means (9).

또한, 종래의 운반함(4)은 양 측면판(42)과 후면판(44) 및 전면판(43)을 펼친 후에 각 모서리의 공간을 커버하는 전면보조판과 후면보조판(45)을 펼쳤을 때, 밑면판(41)과 동일한 면을 이룰 수 있도록 받쳐주는 지지수단이 없음으로 해서, 쉽게 변형이 이루어져 안전사고(화물의 낙상사고)를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When the front and rear supporting plates 45 and 45 covering the space of each corner are opened after the both side plates 42 and the rear plate 44 and the front plate 43 are unfolded, There is no support means for supporting the same surface as that of the bottom plate 41, so that there is a problem that a safety accident (falling accident of cargo) occurs due to the deformation.

또한, 종래의 운반함(4)은 양 측면판(42)과 후면판(44) 및 전면판(43)은 적재되는 화물의 중량과 사용정도(사용기간)에 따라 변형(펼쳤을 때 밑면판과 펼친면이 동일면을 이루지 못하고 쳐지는 변형)이 발행했을 경우 이를 보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In the conventional carrier 4, the side plates 42, the rear plate 44 and the front plate 43 are deformed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cargo to be loaded and the use period (period of use) A deformed deformed surface that does not form the same surface of the expanded surface) is issued, there is a problem that it can not be corrected.

또한, 종래의 운반함(4)은 밑면판(41)의 전방에 힌지결합부(10)에 의해 전면판(43)이 단순한 결합상태에서 펼쳐진 상태이므로, 차체를 현장으로 이동하기 위하여 도로를 주행하다 보면 사다리붐대(1)에 전면판(43)이 부딪히면서 소음이 크게 발생하고, 도로환경(비포장이나 요철구간이 많은 경우)에 따라 차체진동으로 인한 충격이 운반함(4)에 전달되면서 단순히 힌지결합을 이루고 있는 전면판(43)이 변형되거나 힌지결합부(10)가 파손되면서 심한 경우에는 밑면판(41)으로부터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the conventional carrier 4, the front plate 43 is unfolded by the hinge engaging portion 10 in front of the bottom plate 41 in a simple engaged state. Therefore, in order to move the vehicle body to the field, The front plate 43 collides with the ladder boom 1 to generate a large noise and the shock due to the body vibration is transmitted to the conveyor 4 in response to the road environment (in the case of unplugged or uneven portion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ront plate 43 which is coupled is deformed or the hinge coupling part 10 is broken and it is separated from the bottom plate 41 in severe cases.

(특허문헌 0001)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444904호의 “사다리차에 구비되는 운반대”(2009.06.09.)(Patent Literature 0001) "Carrier equipped on a ladder" of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0444904 (2009.06.09.)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운반함이 지닌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펼쳐진 운반함을 접었을 때 고정축으로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고가사다리차의 운반카용 운반함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levator car which is capable of maintaining a stable state by a fixed shaft when the unfolded carrier is folded. And the lik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운반함을 이루는 전면보조판과 후면보조판을 펼쳤을 때, 밑면판과 동일한 수평면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 고가사다리차용 운반카의 운반함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ransportation box for a ladder carriage for an elevated ladder which can maintain the same horizontal plane as the bottom plate when the front and rear auxiliary plates are formed.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펼쳐진 운반함의 양 측면판과 후면판 및 전면판이 쳐짐변형이 생겼을 경우, 간단하게 밑면판과 동일한 수평면을 이룰 수 있도록 조정할 수 있도록 한 고가사다리차의 운반카용 운반함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arrying carriage for an elevated ladder car which can be easily adjusted to achieve the same horizontal plane as the bottom plate when both side plates, rear plate and front plate of the unfolded carrier are deformed The purpose is to provid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운반함을 박스형으로 접은 상태에서 이동할 때 운반함의 전면판이 세워진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도로상황에 관계없이 소음을 최소화 하면서 전면판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고가사다리차용 운반카의 운반함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preventing the front plate from being damaged while minimizing noise regardless of the road condition by allowing the front plate of the carrying case to be maintained in a standing state when the carrier is moved in a box-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rrier for a high-priced ladder car.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설명하기에 앞서, 상면이 개방된 상태의 육면체형상을 이루는 운반함은 밑면과 양 측면 및 전·후면으로 이루어고, 상기 각 면을 펼쳤을 때 발생하는 공간을 커버하기 위한 공간면으로 이루어져 전체적으로 펼쳤을 때 직사각면을 이루게 되는데, 상기 각각의 면들은 골격을 갖추기 위하여 사각틀을 이루는 메인프레임과 사각틀의 내측공간을 지지하고 상부에 덮어지는 판재(투명의 유리섬유강화프라스틱소재)를 받쳐주기 위해 격자형을 이루는 다수의 보조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구성은 동일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설명하는데 있어서는 상기 구성요소들을 생략하고 포괄적인 명칭인 밑면판, 전면판, 후면판, 양 측면판, 전면보조판, 후면보조판을 사용하여 설명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efore describing the technical constru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carrier having a hexahedron shape with its top surface opened is composed of a bottom surface, both side surfaces and front and rear surfaces, And each of the surfaces supports the inner space of the main frame and the squarrel to form the skeleton,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frame and the upper space (Transparent glass fiber-reinforced plastic material), and this structure is a known technique generally used in the same field. Therefore, in describing the technical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 components may be omitted and the generic names bottom plate, front plate, back plate, Side plate, front access plate, and rear access plat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고가사다리차용 운반카의 운반함”은, 이동대차와 각도조정이 가능하도록 일단은 힌지축 결합을 이루고 다른 일단은 유압실린더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을 이루고 있는 밑면판과, 상기 밑면판의 외주면 각 면에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수단에 의해 결합을 이루고 있는 양 측면판과 전면판 및 후면판과, 상기 양 측면판의 양 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결합을 이루는 한 쌍의 전면보조판과 한 쌍의 후면보조판을 포함하는 공지의 사다리차용 운반카의 운반함에 있어서,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object, the " elevator ladder carriage car carrying carriage "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inge shaft coupling at one end and an other coupling end A pair of side plates, a front plate and a rear plate coupled to each other by respective hinge means so as to be rotatable on respective surfaces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bottom plate; In a known conveyor for a ladder carriage including a pair of front auxiliary plates and a pair of rear auxiliary plates forming a coupling,

상기 밑면판과 양 측면판 및 후면판은 다수의 등간격을 이루는 힌지수단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일체를 이루고, 상기 양 측면판과 전면보조판 및 후면보조판은 가변힌지수단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일체를 이루며, 상기 밑면판과 전면판은 다수의 등간격을 이루는 스냅힌지수단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일체를 이루고, 상기 양 측면판과 후면판 및 전면판은 수평조정수단에 의해 밑면판과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전면판과 후면판의 양측에 지지편을 갖추게 하여 펼쳐지는 전면보조판과 후면보조판을 받쳐줄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양 측면판의 외측 하단부에 거치편을 갖추게 하여 절첩되는 후면보조판을 받쳐줄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ottom plate, the side plates, and the rear plate are integrally formed so as to be rotatable by a plurality of equally spaced hinge means, and the both side plates, the front and back side plates are integrally formed so as to be rotatable by the variable hinge means The bottom plate and the front plate are integrally rotatable by a plurality of equally spaced snap hinge means and the both side plates, the back plate and the front plate can be kept horizontal with the bottom plate by the horizontal adjusting means The front and rear supporting plates are support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plate and the rear plate so as to support the front and rear supporting plates. So that it is possible to obtain a desired imag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가사다리차용 운반카의 운반함”의 상기 힌지수단은 밑면판을 이루는 프레임과 용접에 의해 일체를 이루며 상부에 회전공간부가 갖춰지고 힌지홀과 고정홀을 갖춘 평판형의 고정힌지브라켓과, 양 측면판 및 후면판을 이루는 프레임과 용접에 의해 일체를 이루며 하단부에 돌출형의 스토퍼가 갖춰지고 힌지돌기와 고정관통홀을 갖춘 평판형의 회동힌지브라켓과, 상기 고정힌지브라켓의 힌지홀에 회동힌지브라켓의 힌지돌기가 끼워져 일체를 이루게 하고, 회동힌지브라켓을 회전시켜 고정홀과 고정관통홀이 일치하였을 때 끼워지는 고정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inge means of the carrying case of the elevator ladder c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hinge means integrally formed by welding with a frame constituting a bottom plate, a rotary space portion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 fixed hinge bracket, a flat plate type rotary hinge bracket integrally formed by welding with a frame constituting both side plates and a rear plate and having a protruding stopper at its lower end and having a hinge projection and a fixed through hole; And a fixing shaft which is fitted to the hinge hole when the hinge protrusion of the hinge bracket is fitted into the hinge hole and the rotary hinge bracket is rotated so that the fixing hole and the fixing through hole coincide with each oth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소사다리차용 운반카의 운반함”의 상기 가변힌지수단은 양 측면판을 이루는 양 측면의 프레임 상·중·하단에 등간격을 이루며 용접에 의해 일체를 이루는 고정힌지관과, 전면보조판과 후면보조판을 이루는 일측면에 상하로 용접에 의해 일체를 이루는 가변힌지관과, 상기 고정힌지관과 가변힌지관을 축결합시키는 가변힌지축과, 상기 가변힌지관과 고정힌지관 사이에 설치되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variable hinge means of the " carrying case of the elevator ladder truck for high ladder car "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xed hinge pipe integrally formed by welding at equal intervals on the upper, middle, A variable hinge tube integrally formed by welding up and down on one side of a front auxiliary plate and a rear auxiliary plate, a variable hinge shaft axially connecting the fixed hinge pipe and the variable hinge pipe, And a coil spring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il spring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가사다차용 운반카의 운반함”의 상기 스냅힌지수단은 밑면판을 이루는 프레임과 용접에 의해 일체를 이루며 상부에 회전공간부를 갖추고 힌지홀과 고정홀을 갖춘 평판형의 고정스냅힌지브라켓과, 전면판을 이루는 프레임과 용접에 의해 일체를 이루며 하단부에 돌출형의 스토퍼가 갖춰지고, 힌지돌기와 스냅관통홀을 갖춘 평판형의 회전스냅힌지브라켓과, 상기 스냅관통홀에 볼과 스프링이 순차적으로 끼워져 볼트에 의해 스프링에 압력을 가해 볼이 스냅관통홀로부터 부분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nap hinge means of the " carrying case of a high-value saddle-riding car "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grally formed by welding with a frame constituting a bottom plate and has a flat space- A rotary snap hinge bracket having a snap hinge bracket and a protruding stopper integrally formed at a lower end thereof by welding with a frame constituting the front plate and having a hinge projection and a snap through hole; The spring is sequentially inserted and the ball is pressurized by the bolt to partially protrude from the snap through hol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가사다리차용 운반카의 운반함”의 상기 수평조정수단은 밑면판을 이루는 프레임과 용접에 의해 일체를 이루고 있는 고정·고정스냅힌지브라켓의 일측면에 너트홀을 갖춘 지지브라켓을 갖추게 하고, 상기 너트홀에 고정너트를 갖춘 위치가변볼트를 결합시켜 위치가변볼트의 머리부가 회전·회전스냅힌지브라켓의 하단부에 갖춰진 스토퍼와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 the horizontal adjusting means of the " carrying case of the elevator ladder car carrying car "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xed and fixed snap hinge bracket integrally formed by welding with a frame constituting the bottom plate, And the head of the position variable bolt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topper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rotation / rotation snap hinge bracket.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운반카의 운반함을 이루는 양 측면판과 후면판을 접을 경우, 힌지수단의 구성요소인 회전힌지브라켓을 회전시켜 고정관통홀을 고정힌지브라켓의 고정홀과 일치시키면서 고정축을 끼워넣는 것으로 양 측면판과 후면판은 밑면판과 직각상태로 새워져 안정된 상태를 이루게 되며, 따라서, 종래와 같이 양 측면판과 후면판을 별도의 연결장치를 이용하여 연결할 필요가 없으므로 연결장치의 장착에 따른 작업성은 물론 제작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hen the side plates and the rear plate are folded, the rotary hinge bracket, which is a component of the hinge means, is rotated to align the fixed through holes with the fixing holes of the fixed hinge bracket By inserting the fixing shaft, the both side plates and the rear plate are bent at right angles to the bottom plate to be in a stable state. Therefore, there is no need to connect the both side plates and the back plate using a separate connecting device as in the conventional cas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workability according to the mounting of the apparatus is reduced as well as the manufacturing cost.

또한, 본 발명은, 운반카의 운반함을 이루는 양 측면판의 양 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전면보조판과 후면보조판은 고정힌지관과 가변힌지관이 가변힌지축에 의해 일체를 이루며, 상기 고정힌지관과 가변힌지관 사이에 코일스프링이 탄지하고 있으므로 양측면판을 세워 접은 상태에서 차체를 이동할 경우, 차체의 진동을 코일스프링이 흡수하여 진동소음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전면보조판과 후면보조판을 양 측면판의 외면에 접고자 들어 올릴 때, 코일스프링을 압축시킨 상태에서 측면판의 하단에 갖춰진 거치편에 얹어지거나 밑면판에 얹어짐으로 코일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전면보조판과 후면보조판은 각각 밑면판과 거치편에 밀착된 상태를 이루어 보다 안정적으로 절첩되는 효과도 있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auxiliary plate and the rear auxiliary plate, which are rotatably coupled to both ends of both side plates constituting the carrier of the transportation car, are integrally formed by the fixed hinge pipe and the variable hinge pipe by the variable hinge axis, Since the coil spring rises between the hinge tube and the variable hinge tube, when the vehicle body is moved in a folded state with the both side plates being raised, the vibration of the vehicle body is absorbed by the coil spring and the vibration noise is reduced. When the rear auxiliary plate is folded on the outer surface of both side plates, the coil spring is compressed and placed on the mounting piece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side plate or placed on the bottom plate, The auxiliary plates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plate and the mounting piece, respectively, so that the auxiliary plates are folded more stably.

또한, 본 발명은, 전면판을 밑면판과 직각을 이루도록 세우거나 전면판을 밑면판과 동일한 수평면을 이루도록 펼치고자 할 경우, 밑면판과 전면판을 회전가능하도록 일체를 이루게 하는 스냅힌지수단의 스프링을 탄지한 볼에 의해 간단하게 안정된 상태로 세워지거나 펼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이러한 효과로 인하여 차체가 이동할 때, 종래와 같이 전면판이 펼쳐진 상태로 이동함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소음과 전면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ront plate is erected at right angles to the bottom plate or when the front plate is to be extended in the same horizontal plane as the bottom plate, the spring of the snap hinge means, When the vehicle body is moved due to such an effect, the noise that may occur due to the movement of the front plate in the unfolded state and the damage of the front plate can be prevente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prevented.

또한, 본 발명은, 고정힌지브라켓과 고정스냅힌지브라켓에 갖춰진 수평조정수단에 의해 양 측면판과 후면판을 펼친 상태에서 중량물인 화물을 얹어 반복적으로 운송을 하다 보면, 양 측면판과 후면판에 발생되는 변형(밑면판과 동일한 수평면을 이루지 못하고 쳐지는 변형)에 대해 즉각적으로 변형된 상태를 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이러한 변형에 대한 조정효과로 인하여 운송중인 화물이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등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heavy cargo is repeatedly transported in a state in which the both side plates and the rear plate are extended by the horizontal adjusting means provided to the fixed hinge bracket and the fixed snap hinge bracket, There is an effect that the deformed state can be adjusted immediately against the generated deformation (deformation that does not form the same horizontal plane as the base plate), and the adjustment effect to such deformation can prevent the falling It is possible to prevent safety accidents in advan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운반함이 고가사다리차에 펼쳐진 상태의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운반함이 펼쳐진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운반함이 접힌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운반함의 힌지수단을 나타낸 것으로,
도 4a는 힌지수단을 부분 절개한 분해사시도,
도 4b는 힌지수단을 부분 절개하여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4c는 힌지수단을 부분 절개하여 회전시켜 고정한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운반함의 힌지수단과 수평조정수단을 나타낸 단면도,
도 6의 (a)와 (b)는 본 발명에 따른 운반함에 갖춰진 수평조정수단의 작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운반함의 가변힌지수단을 나타낸 부분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힌지수단을 부분확대한 분해 사시도,
도 9는 도 7의 A부분 확대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운반함의 스냅힌지수단을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운반함의 스냅힌지수단을 확대한 요부분해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운반함의 스냅힌지수단의 작용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요부 확대도를 포함하는 단면도,
도 13은 종래 운반함을 포함한 운반카가 장착된 사다리차의 측면도,
도 14는 종래 사다리차용 운반함을 나타낸 사시도,
도 15는 종래 사다리차용 운반함을 펼친상태의 사시도 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mounted state in which a carr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eployed in a high-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arr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n unfolded state, Fig.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rr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folded state,
Figure 4 shows the hinge means of the carrier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 4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hinge means,
FIG. 4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inge means in a partially cutaway state,
Fig. 4C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inge means in a partially cutaway state,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hinge means and a leveling means of a carrier according to the invention,
6 (a) and 6 (b)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horizontal adjusting means provided in the carr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variable hinge means of a carr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variable hinge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part A of Fig. 7,
Figure 1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nap hinge means of the carrier according to the invention,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nap hinge means of the carr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sectional view including a main part enlarged view for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snap hinge means of the carr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side view of a ladder car equipped with a transportation vehicle including a conventional carrier,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ladder car carrier,
Fig. 15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ladder car carrier. Fig.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운반함이 고가사다리차에 펼쳐진 상태의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운반함이 펼쳐진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운반함이 접힌 상태의 사시도 이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arr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n unfolded state, and Fig. 3 is a side view of the carr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It is a folded perspective view.

상기 예시도 1과 2에 표현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가사다리차용 운반카의 운반함은 밑면판(110)을 중심으로 양 측면판(120)과 전면판(130) 및 후면판(140)이 갖춰지고, 상기 양 측면판(120)의 양 단에는 전면보조판(150)과 후면보조판(160)이 갖춰져 운반함본체(100)를 이루되, 상기 운반함본체(100)를 펼쳤을 때에 전체적으로 직사각형을 이루고 있어 화물의 적재단면을 최대한 확보하게 된다.1 and 2, the carrying case of the elevator ladder c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wo side plates 120, a front plate 130 and a rear plate 140 The both side plates 120 are provided with a front auxiliary plate 150 and a rear auxiliary plate 160 to form a carrying body 100. When the carrying body 100 is opened, It has a rectangular shape to ensure the maximum cross-section of cargo.

여기서, 양 측면판(120)과 후면판(140)의 외측과 후면보조판(160)의 외측에 갖춰진 파이프관은 양 측면판(120)과 후면판(140) 및 후면보조판(160)을 세우거나 펼칠 때, 작업자가 용이하게 잡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손잡이 이고, 또한, 각 면에 등간격으로 갖춰진 “ㄷ”자형 브라켓은 적재된 화물이 운송중에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바(도면상 미도시 되었음)를 설치할 수 있는 홀더로서, 이러한 작용을 하는 손잡이나 안전바를 설치하기 위한 홀더는 고가사다리차에 장착되는 운반카의 운반함에 이미 폭 넓게 적용된 기술구성 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이에 대한 상세한 기술을 생략한다.The pipe pipes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both side plates 120 and the rear plate 140 and on the outer side of the rear side auxiliary plate 160 are formed by arranging both the side plates 120 and the rear plate 140 and the rear side plate 160 The brackets are equidistantly arranged on each side so that the loaded cargo is prevented from slipping during transportation. The safety bar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holder for installing the handle or the safety bar having such a function is a technology construction already widely applied to a carrier of a transportation car mounted on a high-priced ladder,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와 같이 전체적으로 펼쳤을 때 직사각형을 이루는 운반함은 예시도 3에 표현된 바와 같이, 밑면판(110)을 중심으로 양 측면판(120)과 후면판(140)은 힌지수단(200)에 의해 수직으로 세워지고, 전면판(130)은 스냅힌지수단(400)에 의해 수직으로 세워져 상면이 개방된 박스형을 이루게 된다.3, the two side plates 120 and the rear plate 140 are vertically arranged by the hinge means 200 about the bottom plate 110, as shown in FIG. 3, And the front plate 130 is vertically erected by the snap hinge means 400 so as to form a box shape with its top surface opened.

이때, 수직으로 세워진 양 측면판(120)의 양 단에 갖춰진 후면보조판(160)과 전면보조판(150)은 가변힌지수단(300)에 의해 절첩되어 지되, 상기 후면조보판(160)은 측면판(120)의 외면으로 절첩되고, 전면보조판(150)은 양 측면판(120)의 내측으로 절첩되어 스냅힌지수단(400)에 의해 수직으로 세워지는 전면판(130)이 전면보조판(150)을 안정적으로 받쳐주면서 상부가 개방된 박스형의 운반함을 이루게 된다.At this time, the rear auxiliary plate 160 and the front auxiliary plate 150, which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vertically erected both side plates 120, are folded by the variable hinge means 300, The front side support plate 150 is folded to the inside of the both side plates 120 and the front plate 130 vertically erected by the snap hinge means 400 is folded back to the front side support plate 150 And a box-shaped transport box with an open top is formed while stably supporting it.

상기와 같이 양 측면판(120)과 후면판(140)이 밑면판(110)과 동일한 수평면을 이루게 하기 위해 펼치거나, 상기 밑면판(110)과 직각을 이루도록 양 측면판(120)과 후면판(140)을 세워지게 하는 것은 힌지수단(200)에 의해 이뤄지게 되는데,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는데 있어서, 상기 밑면판(110)과 양 측면판(120) 또는 후면판(140)에 설치된 힌지수단(200)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양 측면판(120)에 설치된 하나의 힌지수단(200)을 설명하기로 한다.The two side plates 120 and the rear plate 140 may be extended to form the same horizontal plane as the bottom plate 110 or the side plates 120 and the rear plate 140 may be formed at right angles to the bottom plate 110, The hinge means 200 installed on the bottom plate 110 and both the side plates 120 or the back plate 140 may be formed by hinge means 200. In this case, The hinge unit 200 installed on both side plates 120 will be described.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운반함의 힌지수단을 나타낸 것으로, 도 4a는 힌지수단을 부분 절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4b는 힌지수단을 부분 절개하여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4c는 힌지수단을 부분 절개하여 회전시켜 고정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운반함의 힌지수단과 수평조정수단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6의 (a)와 (b)는 본 발명에 따른 운반함에 갖춰진 수평조정수단의 작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이다.Figure 4 shows the hinge means of the carrier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4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hinge means, Figure 4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inge means in a partially cutaway state, Figure 4c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inge means partially cut and rotated and fixed, Figure 5 shows the hinge means and the leveling means of the carr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6 (a) and 6 (b)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horizontal adjusting means provided in the carr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예시도면에 표현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힌지수단(200)은 예시도 4의 (a)(b)(c)에 표현된 바와 같이, 회전공간부(211)와 힌지홀(212) 및 고정홀(213)을 갖춘 고정힌지브라켓(210)과, 스토퍼(221)와 힌지돌기(222) 및 고정관통홀(223)을 갖춘 회전힌지브라켓(220)과, 측면판(120)의 프레임에 연결고리에 의해 부착된 고정축(224)으로 이루어져 있다.4 (a), 4 (b) and 4 (c), the hinge means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rotary space portion 211 and the hinge hole 212, A rotary hinge bracket 220 having a stopper 221, a hinge protrusion 222 and a fixed through hole 223; And a fixed shaft 224 attached by a connecting ring.

상기 고정힌지브라켓(210)은 밑면판(110)의 프레임과 용접에 의해 일체를 이루고, 회전힌지브라켓(220)은 측면판(120)의 프레임과 용접에 의해 일체를 이루고 있으며, 상기 회전힌지브라켓(220)의 힌지돌기(222)가 고정힌지브라켓(210)의 힌지홀(212)에 끼워져 회전 가능하도록 일체를 이룸으로써, 결과적으로 측면판(120)은 밑면판(110)과 일체를 이루게 된다.The fixed hinge bracket 210 is integrally formed by welding with the frame of the bottom plate 110. The rotary hinge bracket 220 is integrally formed by welding with the frame of the side plate 120, The side plate 120 is integrated with the bottom plate 110 by integrally forming the hinge protrusion 222 of the hinge bracket 220 in the hinge hole 212 of the fixed hinge bracket 210 so as to be rotatable .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힌지수단은 예시도 4의 (a)에 표현된 바와 같이, 밑면판(110)의 프레임과 측면판(120)의 프레임이 맞닿은 상태는 고정힌지브라켓(210)의 고정홀(213)과 회전힌지브라켓(220)의 고정관통홀(223)의 위치는 힌지돌기(222)를 중심점으로 하여 직각을 이루고 있으며, 고정힌지브라켓(210)의 힌지홀(212)과 고정홀(213)간의 간격과 회전힌지브라켓(220)의 힌지돌기(222)와 고정관통홀(223) 간의 간격은 동일한 간격을 이루고 있다.4 (a), a state where the frame of the bottom plate 110 and the frame of the side plate 12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s fixed to the fixed hinge bracket 210 The hole 213 and the fixed through hole 223 of the rotary hinge bracket 220 are at right angles to each other with the hinge protrusion 222 as a central point. The hinge hole 212 of the fixed hinge bracket 210,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hinge projections 222 of the rotary hinge bracket 220 and the fixed through-holes 223 are equal to each other.

따라서, 예시도 4의 (b)에 표현된 바와 같이 측면판(120)의 프레임과 일체를 이루고 있는 회전힌지브라켓(220)을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을 시키게 되면, 힌지돌기(222)를 축으로 하여 회전힌지브라켓(220)이 회전하게 되고, 이때 회전힌지브라켓(220)이 부착된 측면판(120)의 프레임은 고정힌지브라켓(210)의 상부에 형성된 회전공간부(211)측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회전힌지브라켓(220)의 고정관통홀(223)은 고정힌지브라켓(210)의 고정홀(213) 측으로 이동하여 고정홀(213)과 고정관통홀(223)은 일치하게 된다.4 (b), when the rotary hinge bracket 220, which is integrated with the frame of the side plate 120, is rotat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the hinge projections 222 The frame of the side plate 120 to which the rotary hinge bracket 220 is attached moves to the rotary space portion 211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xed hinge bracket 210, The fixed through hole 223 of the rotary hinge bracket 220 moves toward the fixed hole 213 of the fixed hinge bracket 210 so that the fixed hole 213 and the fixed through hole 223 coincide with each other.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예시도 4의 (c)에 표현된 바와 같이, 연결고리에 의해 측면판(120)의 프레임에 부착되어 있던 고정축(224)을 일치된 고정홀(213)과 고정관통홀(223)에 끼워 넣으면, 측면판(120)은 밑면판(110)과 직각을 이루는 상태로 세워지게 되는 것이다.4 (c), the fixing shaft 224 attached to the frame of the side plate 120 is fixed to the fixed hole 213 and the fixing hole 213, The side plate 120 is erected at a right angle to the bottom plate 110.

이를 첨부된 예시도 5와 6의 (a)(b)를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밑면판(110)의 프레임과 직각방향으로 판형상의 고정힌지브라켓(210)의 일측부가 용접에 의해 일체를 이루고, 측면판(120)의 프레임과 직각방향으로 판형상의 회전힌지브라켓(220)의 상부가 용접에 의해 일체를 이루면서, 회전힌지브라켓(220)의 힌지돌기(222)가 고정힌지브라켓(210)의 힌지홀(212)에 끼워져 회전 가능하도록 일체를 이룸으로써, 밑면판(110)에 측면판(120)은 회전 가능한 상태로 일체를 이루며, 회전힌지브라켓(220)의 하단부에 갖춰진 스토퍼(221)는 후술하는 수평조정수단(500)의 위지가변볼트(510)에 지지되어 결과적으로 측면판(120)은 밑면판(110)과 동일한 수평면을 이루게 된다.(예시도 5 참조)5 and 6 (a) and 6 (b), the one side of the plate-shaped fixed hinge bracket 210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rame of the bottom plate 110 is integrally welded The hinge protrusion 222 of the rotary hinge bracket 220 is fixed to the fixed hinge bracket 210 while the upper portion of the plate-shaped rotary hinge bracket 220 is integrally formed by welding, The side plate 120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ottom plate 110 in a rotatable state and the stopper 221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rotation hinge bracket 220 is inserted into the hinge hole 212 of the rotary hinge bracket 220, The side plate 120 is supported by the variable bolt 510 of the horizontal adjusting means 500 to be described later so that the side plate 120 has the same horizontal plane as that of the bottom plate 110. (See FIG. 5, for example)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측면판(120)의 외측에 부착되어 있는 파이프관으로 되어 있는 손잡이(도면상 미도시되었음)를 잡아서 들어 올리게 되면, 회전힌지브라켓(220)의 힌지돌기(222)가 고정힌지브라켓(210)의 힌지홀(212) 내에서 회전하게 되면서 측면판(120)의 프레임이 고정힌지브라켓(210)의 회전공간부(211)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회전힌지브라켓(220)의 고정관통홀(223)이 고정홀(213)과 일치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축(224)을 일치된 고정관통홀(223)과 고정홀(213)에 끼워 넣는 것으로 측면판(120)은 세워진 상태로 고정된다.The hinge protrusion 222 of the rotary hinge bracket 220 is engaged with the fixed hinge 220 of the rotary hinge bracket 220. In this state, The rotation of the frame of the side plate 120 toward the rotation space portion 211 of the fixed hinge bracket 210 causes the fixed hinge bracket 220 to rotate in the fixed hinge bracket 220, The side plate 120 is set in a standing state by fitting the fixing shaft 224 into the fixed through hole 223 and the fixing hole 213 which are aligned with each other as described above when the fixing hole 223 coincides with the fixing hole 213 .

이와 같은 상태에서 측면판(120)을 밑면판(110)과 동일한 수평면을 이루고자 할 경우, 상기 고정핀(224)을 고정관통홀(223)과 고정홀(213)로부터 분리시키고 측면판(120)의 손잡이를 잡고 화살표와 같이 회전시키면, 측면판(120)의 프레임과 일체를 이루고 있는 회전힌지브라켓(220)의 하단부에 갖춰진 스토퍼(221)가 수평조정수단(500)의 위치가변볼트(520)에 지지되면서 측면판(120)은 밑면판(110)과 동일한 수평면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예시도 6의 a와 b참조)In this state, when the side plate 120 is to be formed in the same horizontal plane as that of the bottom plate 110, the fixing pin 224 is separated from the fixed through hole 223 and the fixing hole 213, The stopper 221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rotary hinge bracket 220 integral with the frame of the side plate 120 is moved to the position variable bolt 520 of the horizontal adjusting means 500, The side plate 120 is formed in the same horizontal plane as the bottom plate 110 (see FIGS. 6A and 6B)

상기 수평조정수단(500)은 너트홀(511)을 갖춘 지지브라켓(510)과 고정너트(530)를 갖춘 위치가변볼트(520)로 이루어져 있되, 상기 지지브라켓(510)은 밑면판(110)의 프레임 하단부와 고정힌지브라켓(210)의 측면에 용접에 의해 일체를 이루고 있으며, 상기 지지브라켓(510)의 너트홀(511)에는 위치가변볼트(520)가 나사결합을 이루고 있다.The horizontal adjusting means 500 includes a supporting bracket 510 having a nut hole 511 and a position variable bolt 520 having a fixing nut 530. The supporting bracket 510 is fixed to the bottom plate 110, And the position variable bolt 520 is screwed to the nut hole 511 of the support bracket 510. The bolt 520 is screwed into the nut hole 511 of the support bracket 510. [

이와 같은 수평조정수단(500)은 밑면판(110)의 프레임에 등간격으로 부착된 모든 고정힌지브라켓(210)에 갖춰지고, 상기 고정힌지브라켓(210)과 힌지결합을 이루면서 측면판(120)의 프레임에 등간격으로 부착된 회전힌지브라켓(220)의 스토퍼(221)를 상기 위치가변볼트(520)가 받쳐 주게 된다.The horizontal adjusting means 500 is provided on all the fixed hinge brackets 210 attached to the frame of the bottom plate 110 at regular intervals and hinged to the fixed hinge bracket 210, The position variable bolt 520 supports the stopper 221 of the rotary hinge bracket 220 attached to the frame of the rotary hinge bracket 220 at equal intervals.

따라서, 수평조정수단(500)에 의해 밑면판(110)과 동일한 수평면을 이루는 측면판(120)은 안정된 상태를 이루게 되나, 상기와 같은 상태로 장기간에 걸쳐 화물을 적재하여 운송을 반복적으로 하다 보면 측면판(120)이 밑면판(110)과 동일한 수평면을 이루지 못하고 쳐지는 변형이 발생되는데, 이때, 수평조정수단(500)의 고정너트(530)를 풀어주고, 위치가변볼트(520)를 회전힌지브라켓(220)측으로 이동을 시켜 측면판(120)이 밑면판(110)과 동일한 수평면을 이루게 하고, 풀어준 고정너트(530)를 지지브라켓(510)측에 밀착되도록 잠가주면 위치가변볼트(520)는 고정된다.Therefore, although the side plate 120, which has the same horizontal plane as the bottom plate 110, is stabilized by the horizontal adjusting unit 500, the cargo is loaded for a long period of time in such a state, The fixing bolt 530 of the horizontal adjusting means 500 is loosened and the position variable bolt 520 is rotated (rotated) The side plate 120 is moved to the side of the hinge bracket 220 to form the same horizontal surface as the bottom plate 110 and the locking nut 530 is locked so as to be closely attached to the supporting bracket 510, 520 are fixed.

즉, 화물을 반복적으로 펼쳐진 운반함에 적재하여 운송하다 보면 양 측면판(120)과 후면판(140)은 부분적으로 수평상태를 벗어나게 되는 변형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때, 변형된 부분을 간단하게 수평조정수단(500)의 위치가변볼트(520)를 이용하여 부분적으로 수평상태를 조정할 수 있다.(예시도 5와 예시도 6의 a,b참조)In other words, when the cargo is loaded and transported in the repeatedly transported cargo, both side plates 120 and the rear plate 140 may be deformed to be partially out of the horizontal state. In this case, The horizontal position can be partially adjusted by using the position variable bolt 520 of the means 500. (See Fig. 5 and Figs. 6A and 6B)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운반함의 가변힌지수단을 나타낸 부분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힌지수단을 부분확대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7일 A부분 확대 사시도 이다.FIG. 7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variable hinge means of the carr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ortion of the variable hinge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portion A of FIG.

상기 예시도에 표현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변힌지수단(300)은 고정힌지관(310)과 가변힌지관(320) 그리고 가변힌지축(330) 및 코일스프링(340)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와 같은 가변힌지수단(300)은 양 측면판(120)의 양 측단에 설치된 전면보조판(150)과 후면보조판(160)을 회전가능하게 하는 작용을 한다.The variable hinge means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xed hinge tube 310, a variable hinge tube 320, a variable hinge shaft 330, and a coil spring 340, The variable hinge means 300 serves to rotate the front and rear assist plates 150 and 160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both side plates 120.

여기서, 양 측면판(120)과 전면보조판(150)을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변힌지수단(300)의 고정힌지관(310)은 양 측면판(120)의 측면 프레임 내측으로 용접에 의해 일체를 이루고, 양 측면판(120)과 후면보조판(160)을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변힌지수단(300)의 고정힌지관(310)은 양 측면판(120)의 측면 프레임 외측으로 용접에 의해 일체를 이루고 있되, 상기 각각의 고정힌지관(310)은 상·중·하단으로 부착되어 있으며 그 사이에 가변힌지관(320)이 상하로 설치되는데, 상기 각각의 가변힌지관(320)은 전면보조판(150)의 측면 프레임의 내측과 후면보조판(160)의 측면 프레임 외측에 용접에 의해 일체를 이루고 있다.The fixed hinge pipe 310 of the variable hinge unit 300 rotatably installed on the both side plates 120 and the front side plate 150 is integrally formed by welding to the inside of the side frame of both side plates 120 The fixed hinge pipe 310 of the variable hinge means 300 rotatably installed on both the side plates 120 and the rear side plate 160 is integrally formed by welding to the outside of the side frames of both side plates 120 Each of the fixed hinge pipes 310 is attached at the upper, middle, and lower ends, and a variable hinge pipe 320 is install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fixed hinge pipes 310, 150 are welded to the inside of the side frame and the side frame of the rear auxiliary plate 160 by welding.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가변힌지축(330)이 고정힌지관(310)과 가변힌지관(320)에 끼워져 일체를 이루게 되는데, 상기 고정힌지관(310)과 가변힌지관(320) 사이에 코일스프링(340)이 탄지되는 상태로 가변힌지축(330)이 끼워지게 되며, 상기 가변힌지축(330)의 상단과 하단에는 너트홈(331)이 갖춰져 있어 와셔(332)와 렌치볼트(333)가 너트홈(331)에 결합되어 끼워진 가변힌지축(330)은 고정힌지관(31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으면서 가변힌지관(320)이 가변힌지축(330)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되므로, 전면보조판(150)은 측면판(120)의 내측으로, 후면보조판(160)은 측면판(120)의 외측으로 180도 회전되어 절첩 된다.In this state, the variable hinge shaft 330 is inserted into the fixed hinge pipe 310 and the variable hinge pipe 320 so as to form an integral body. The fixed hinge pipe 310 and the variable hinge pipe 320, The variable hinge shaft 330 is fitted in a state in which the washer 332 and the wrench bolt 333 are fitted in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variable hinge shaft 330, The variable hinge shaft 330 inserted into the nut groove 331 is not detached from the fixed hinge pipe 310 and the variable hinge pipe 320 is rotated with the variable hinge shaft 330 as the rotary shaft. 150 are folded inside the side plate 120 and the rear side plate 160 is rotated 180 degrees outwardly of the side plate 120.

특히, 세워진 상태인 측면판(120)의 하단 프레임 외측에는 거치편(121)을 갖추게 하여 절첩되는 후면보조판(160)의 하단 프레임을 거치시키게 되는데, 상기 가변힌지축(330)에 탄지되어 있는 코일스프링(340)의 탄발력으로 인해 후면보조판(160)은 수직하방향으로 압력을 받게 된다.Particularly, the lower frame of the rear side supporting plate 160, which is folded with the mounting piece 121, is mounted on the outer side of the lower frame of the side plate 120 in a standing state. The rear supporting plate 160 is pressed in the vertical downward direction due to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340.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밑면판(110)과 수평면을 이루도록 측면판(120)을 펼친 상태에서는 후면보조판(160)도 밑면판(110)과 동일한 수평면을 이루고 있으므로 가변힌지축(330)에 끼워진 각각의 고정힌지관(310)과 가변힌지관(320)은 하나의 코일스프링(340)을 탄지한 상태로 일정한 간격을 이루고 있으나, 측면판(120)을 세워 후면보조판(160)을 측면판(120)과 절첩되게 회전시키고자 후면보조판(160)의 손잡이를 잡고 들어 올리면, 가변힌지관(320)이 코일스프링(340)을 압축시키면서 가변힌지축(330)을 따라 상승하게 된다. Specifically, when the side plate 120 is formed in a horizontal plane with the bottom plate 110, the rear plate 160 is formed in the same horizontal plane as the bottom plate 110. Therefore, The fixed hinge tube 310 and the variable hinge tube 32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single coil spring 340 but the side plate 120 is raised so that the rear auxiliary plate 160 is connected to the side plate 120 The variable hinge tube 320 moves upward along the variable hinge axis 330 while compressing the coil spring 340. In this case,

이러한 상태에서 후면보조판(160)을 측면판(120)의 외측면에 접하도록 회전시켜 상기 측면판(120)의 하단 프레임에 부착된 거치편(121)에 후면보조판(160)의 하단 프레임이 걸리도록 내려놓으면, 절첩된 후면보조판(160)은 상기 압축된 코일스프링(340)의 탄발력이 가해지게 되므로, 후면보조판(160)은 거치편(121)에 밀착된 상태로 안정되게 고정된다.The lower frame of the rear supporting plate 160 is engaged with the mounting piece 121 attached to the lower frame of the side plate 120 by rotating the rear supporting plate 160 in contact with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side plate 120, The rear supporting plate 160 is stably fixed in a state of being in tight contact with the supporting piece 121 since the elastic force of the compressed coil spring 340 is applied to the folded rear supporting plate 160.

여기서, 상기 전면보조판(150)은 도면상 양 측면판(120)의 내측으로 90도 접히게 표현하였으나 실질적으로는 양 측면판(120)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접히므로 전면보조판(150)의 하단은 밑면판(110)에 지지되어 안정된 상태를 이루고, 후술하는 밑면판(110)과 전면판(130)을 일체를 이루게 하는 스냅힌지수단(400)에 의해 외측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받쳐주게 됨으로 전면보조판(150)은 안정된 상태가 유지된다.The front side support plate 150 is folded at 90 degrees to the inside of the both side plates 120 in the figure but is fold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ide surfaces of the both side plates 120, Is supported by the bottom plate 110 to be in a stable state and supported by the snap hinge means 400 for integrally forming the bottom plate 110 and the front plate 130 to be described later, (150) is maintained in a stable state.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운반함의 스냅힌지수단을 나타낸 사시도 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운반함의 스냅힌지수단을 확대한 요부분해 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운반함의 스냅힌지수단의 작용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요부 확대도를 포함하는 단면도 이다.Fig.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nap hinge means of the carr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snap hinge means of the carr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nap hinge means of the carr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including a main part enlarged view for showing an operating state.

상기 예시도에 표현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운반함의 스냅힌지수단(400)은 밑면판(110)의 프레임과 용접에 의해 일체를 이루는 고정스냅힌지브라켓(410)과 전면판(130)의 프레임과 용접에 의해 일체를 이루는 회전스냅힌지브라켓(42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스냅힌지브라켓(410)은 스냅회전공간부(411)와 스냅힌지홀(412) 및 스냅고정홀(413)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스냅힌지브라켓(420)은 스냅스토퍼(421)와 스냅힌지돌기(422) 및 스냅관통홀(423)로 이루어져 있다.The snap hinge means 400 of the carr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xed snap hinge bracket 410 integrally formed with a frame of the bottom plate 110 and a fixed snap hinge bracket 410 integrally formed with the frame of the front plate 130 And a rotary snap hinge bracket 420 integrally formed with the frame by welding. The fixed snap hinge bracket 410 is fixed to the snap rotation space 411, the snap hinge hole 412, and the snap fixing hole 413 And the rotation snap hinge bracket 420 includes a snap stopper 421, a snap hinge protrusion 422, and a snap-through hole 423.

여기서, 고정스냅힌지브라켓(410)과 회전스냅힌지브라켓(420)의 기술적 구성요소는 전술한 힌지수단(200)의 고정힌지브라켓(210)과 회전힌지브라켓(220)의 기술적 구성요소와 부분적으로 동일하고, 그 기능과 작용역시 동일하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나, 각 구성요소의 명칭과 도면부호는 달리하여 본 발명의 스냅힌지수단(400)의 기술적 특징을 설명한다.Here, the technical components of the fixed snap hinge bracket 410 and the rotating snap hinge bracket 420 are partially different from the technical components of the fixed hinge bracket 210 and the rotary hinge bracket 220 of the above-described hinge means 200 The description of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snap hinge means 400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ade different from the names and reference numerals of the respective components.

상기 스냅힌지수단(400)의 기술적 특징인 스냅고정홀(413)은 그 내주면에 나사산(414)을 갖추게 하여 볼(415)과 스프링(416)을 순차적으로 스냅고정홀(413)에 투입하고, 볼트(417)를 스냅고정홀(413)에 결합시키면 나사결합되는 볼트(417)의 단부가 스프링(416)을 압착시키게 되어 볼(415)의 일부분이 스냅고정홀(413)로부터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The snap fitting hole 413 which is a technical feature of the snap hinge means 400 is provided with a screw thread 414 on its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that the ball 415 and the spring 416 are sequentially inserted into the snap fitting hole 413, When the bolt 417 is engaged with the snap fitting hole 413, the end of the bolt 417 which is threaded is pressed against the spring 416, so that a part of the ball 415 protrudes from the snap fitting hole 413 .

상기 스냅고정홀(413)의 나사산(414)이 갖춰진 내주면의 직경은, 볼(415)이 투입되는 일측면 홀 직경은 볼(415)의 직경보다 크게 하고, 볼(415)이 돌출되는 타측면의 홀 직경은 볼(415)의 직경보다 작게 하여 볼트(417)에 의해 압축된 스프링(416)의 탄발력이 가해지는 볼(415)이 부분적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The diameter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lt 414 of the snap fitting hole 413 is set so that the diameter of one side hole into which the ball 415 is inserted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ball 415, The diameter of the hole 415 is made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ball 415 so that the ball 415 to which the spring force of the spring 416 compressed by the bolt 417 is applied is partially projected.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밑면판(110)과 동일한 수평면을 이루도록 펼쳐져 있던 전면판(130)을 세우게 되면, 상기 전면판(130)의 하단 프레임과 일체를 이루고 있는 회전스냅힌지브라켓(420)이 회전하게 된다.The rotary snap hinge bracket 420 integrally formed with the lower end frame of the front plate 130 rotates and is rota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lower frame of the front plate 130, do.

이때, 상기 고정스냅힌지브라켓(410)의 스냅고정홀(413)로부터 부분 돌출되어 있던 볼(415)은 회전되는 회전스냅힌지브라켓(420)에 눌려 스프링(416)을 압축시키면서 스냅고정홀(413) 내부로 밀려들어가며, 계속해서 회전스냅힌지브라켓(420)이 회전하여 스냅관통홀(423)이 스냅고정홀(413)과 일치하게 되면, 스프링(416)을 압축시키면서 밀려들어가 있던 볼(415)이 스프링(416)의 탄발력에 의해 부분 돌출되어 돌출된 볼(415)의 일부분이 스냅관통홀(423)에 걸리게 되어 회전스냅힌지브라켓(420)은 고정된 상태를 이루게 되어 결과적으로 전면판(130)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된다.The ball 415 partially protruded from the snap fitting hole 413 of the fixed snap hinge bracket 410 is pressed against the rotating snap hinge bracket 420 to be rotated while compressing the spring 416,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snap hinge bracket 420 causes the ball 415 to be pushed while pressing the spring 416 when the snap through hole 423 coincides with the snap fitting hole 413, A part of the ball 415 partially protruding and protruding due to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416 is caught by the snap through hole 423 so that the rotation snap hinge bracket 420 is fixed, 130 stably maintain the vertically erected stat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운반함본체(100)는 힌지수단(200)을 이용하여 양 측면판(120)과 후면판(140)을 세우거나 펼칠 수 있으며, 가변힌지수단(300)을 이용하여 전면보조판(150)과 후면보조판(160)을 세우거나 펼칠 수 있고, 또한 스냅힌지수단(400)을 이용하여 전면판(130)을 세우거나 펼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arrier main body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structed by using the hinge means 200 to set up or unfold both side plates 120 and the rear plate 140, and by using the variable hinge means 300 The front and rear auxiliary plates 150 and 160 can be raised or lowered and the front plate 130 can be raised or lowered using the snap hinge means 400. [

상기 운반함본체(100)를 이루는 각각의 판들이 세워져 박스형을 이루고 있는 상태에서 평판형으로 펼치고자 할 경우, 후면판(140)의 힌지수단(200)을 고정시키고 있는 고정축(224)을 분리시켜 후면판(140)을 수평면이 되게 회전시키고, 이어서 전면판(130)은 작업자가 가볍게 잡아 수평방향으로 당기는 것으로 회전이 되어 밑면판(110)과 동일한 수평면을 이루게 된다, When the respective plates constituting the carrier main body 100 are raised to be expanded in a plate shape in a box shape, the fixing shaft 224 fixing the hinge means 200 of the back plate 140 is separated The rear plate 140 is rotated to a horizontal plane and then the front plate 130 is held by the operator so as to be pull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be rotated to form the same horizontal plane as the bottom plate 110,

이러한 상태에서 양 측면판(120)에 하단의 거치편(121)에 걸쳐있는 후방보조판(160)을 들어 올리면서 측면판(120)과 동일한 면을 이루도록 회전시키고, 또한 전면보조판(150)을 밑면판(110)으로부터 벗어나도록 회전시켜 역시 측면판(120)과 동일한 면을 이루도록 회전시키고, 힌지수단(200)의 고정축(224)을 분리시키는 것으로 측면판(120)은 밑면판(110)과 동일한 수평면이 이루어지도록 회전되는데, 상기 측면판(120)의 양단에 가변힌지수단(300)에 의해 일체를 이루고 있는 후면보조판(160)과 전면보조판(150)은 후면판(140)과 전면판(130)의 양 단부에 갖춰진 각각의 지지편(141)(131)에 의해 지지되어 펼쳐진 각각의 판들은 밑면판(110)과 동일한 수평면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In this state, the rear supporting plate 160, which spans the mounting piece 121 at the lower end, is lifted up to both side plates 120 so as to be flush with the side plates 120, The side plate 120 is separated from the bottom plate 110 by being rotated so as to be separated from the plate 110 so as to be rotated to form the same plane as the side plate 120 and to separate the fixing shaft 224 of the hinge means 200. [ The rear auxiliary plate 160 and the front auxiliary plate 150 integrally formed at both ends of the side plate 120 by the variable hinge means 300 are connected to the rear plate 140 and the front plate 150. [ 130 are formed in the same horizontal plane as that of the bottom plate 110. The supporting plates 141,

상기와 같이 펼쳐진 평판형의 운반함본체(100)를 다시 박스형의 운반함본체(100)로 접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양 측면판(120)과 후면판(140)을 수직으로 세워 각각의 고정축(224)으로 고정을 시키고, 양 측면판(120)의 양 단에 갖춰진 후면보조판(160)과 전면보조판(150)은 각각 세워진 측면판(120)의 외측과 내측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후면보조판(160)은 거치편(121)에 이해 고정되고, 전면보조판(150)은 밑면판(110)에 얹어지면서 세워지는 전면판(130)이 전면보조판(150)을 받쳐주게 되어 전체적으로 안정된 박스형의 운반함본체(100)를 갖추게 된다.
When the flat plate-like carrier body 100 is folded back into the box-shaped carrier body 100, the both side plates 120 and the rear plate 140 are vertically raised, The rear auxiliary plate 160 and the front auxiliary plate 150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both side plates 120 are fixed by the shaft 224 and rotated in the outer side and the inward direction of the raised side plate 120, The front plate 130 is mounted on the bottom plate 110 to support the front plate 150 so that the entire front plate 150 is supported by the stationary plate 121, And the main body 100 is provided.

100 : 운반함본체,
110 : 밑면판,
120 : 측면판, 121 : 거치편,
130 : 전면판, 131 : 지지편,
140 : 후면판, 141 : 지지편,
150 : 전면보조판,
160 : 후면보조판,
200 : 힌지수단,
210 : 고정힌지브라켓,
211 : 회전공간부, 212 : 힌지홀, 213 : 고정홀,
220 : 회전힌지브라켓,
221 : 스토퍼, 222 : 힌지돌기, 223 : 고정관통홀,
224 : 고정축,
300 : 가변힌지수단
310 : 고정힌지관,
320 : 가변힌지관,
330 : 가변힌지축,
331 : 너트홈, 332 : 와셔, 333 : 렌치볼트,
340 : 코일스프링,
400 : 스냅힌지수단,
410 : 고정스냅힌지브라켓,
411 : 스냅회전공간부, 412 : 스냅힌지홀,
413 : 스냅고정홀, 414 : 나사산,
415 : 볼, 416 : 스프링,
417 : 볼트,
420 : 회전스냅힌지브라켓,
421 : 스냅스토퍼, 422 : 스냅힌지돌기,
423 : 스냅관통홀,
500 : 수평조정수단,
510 : 지지브라켓,
511 : 너트홀,
520 : 위치가변볼트,
530 : 고정너트.
100: carrier body,
110: bottom plate,
120: side plate, 121: mount,
130: front plate, 131: supporting piece,
140: rear plate, 141: supporting piece,
150: front auxiliary plate,
160: rear auxiliary plate,
200: hinge means,
210: Fixing hinge bracket,
211: rotation space part, 212: hinge hole, 213: fixing hole,
220: Rotating hinge bracket,
221: stopper, 222: hinge projection, 223: fixed through hole,
224: fixed shaft,
300: Variable hinge means
310: Fixed hinge tube,
320: Variable hinge tube,
330: variable hinge axis,
331: nut groove, 332: washer, 333: wrench bolt,
340: coil spring,
400: snap hinge means,
410: Fixed snap hinge bracket,
411: snap rotation space portion, 412: snap hinge hole,
413: Snap fixing hole, 414: Threaded,
415: ball, 416: spring,
417: Bolts,
420: Rotating snap hinge bracket,
421: Snap stopper, 422: Snap hinge protrusion,
423: Snap-through hole,
500: horizontal adjusting means,
510: support bracket,
511: nut hole,
520: Position variable bolt,
530: Fixing nut.

Claims (6)

이동대차와 각도조정이 가능하도록 일단은 힌지축 결합을 이루고, 다른 일단은 유압실린더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을 이루고 있는 밑면판과, 상기 밑면판의 외주면 각 면에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수단에 의해 결합을 이루고 있는 양 측면판과 전면판 및 후면판과, 상기 양 측면판의 양 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결합을 이루는 한 쌍의 전면보조판과 한 쌍의 후면보조판을 포함하는 공지의 고가사다리차용 운반카의 운반함에 있어서,
상기 밑면판(110)과 양 측면판(120) 및 후면판(140)은 다수의 등간격을 이루는 힌지수단(200)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일체를 이루고, 상기 양 측면판(120)과 전면보조판(150) 및 후면보조판(160)은 가변힌지수단(300)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일체를 이루며, 상기 밑면판(110)과 전면판(130)은 다수의 등간격을 이루는 스냅힌지수단(400)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일체를 이루도록 갖춰져 운반함본체(100)가 이루어지되, 상기 양 측면판(120)과 후면판(140) 및 전면판(130)은 수평조정수단(500)에 의해 밑면판(110)과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전면판(130)과 후면판(140)의 양측에 지지편(131,141)을 갖추게 하여 펼쳐지는 전면보조판(150)과 후면보조판(160)을 받쳐줄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양 측면판(120)의 외측 하단부에 거치편(121)을 갖추게 하여 절첩되는 후면보조판(160)을 받쳐줄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가사다리차용 운반카의 운반함.
A lower plate coupled at one end to the hinge axis so as to be adjustable in angle with the moving carriage so as to be rotatable by the hydraulic cylinder at the other end and a hinge unit A pair of front auxiliary plates and a pair of rear auxiliary plates which are hinged to each other at both ends of the both side plates, and a pair of rear auxiliary plates, both of which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 front elevating plate and a rear plate, In the carrying case of the car,
The bottom plate 110 and both the side plates 120 and the rear plate 140 are integrally formed to be rotatable by a plurality of equally spaced hinge means 200, The bottom plate 110 and the front plate 130 are integrally formed to be rotatable by the variable hinge means 300. The bottom plate 110 and the front plate 130 ar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equally spaced snap hinge means 400, The both side plates 120, the rear plate 140 and the front plate 130 are connected to the bottom plate (not shown) by the horizontal adjusting means 500, The front and rear supporting plates 150 and 160 can be supported by supporting members 131 and 141 on both sides of the front and rear plates 130 and 140 And a rear supporting plate (16) folded to have a mounting piece (121) at an outer lower side of the both side plates (120) 0) of the elevator ladder truck.
제1항에 있어서,
힌지수단(200)은 밑면판(110)을 이루는 프레임과 용접에 의해 일체를 이루며 상부에 회전공간부(211)가 갖춰지고 힌지홀(212)과 고정홀(213)을 갖춘 평판형의 고정힌지브라켓(210)과, 양 측면판(120) 및 후면판(140)을 이루는 프레임과 용접에 의해 일체를 이루며 하단부에 돌출형의 스토퍼(221)가 갖춰지고 힌지돌기(222)와 고정관통홀(223)을 갖춘 평판형의 회동힌지브라켓(220)과, 상기 고정힌지브라켓(210)의 힌지홀(212)에 회동힌지브라켓(220)의 힌지돌기(222)가 끼워져 일체를 이루게 하고, 회동힌지브라켓(220)을 회전시켜 고정홀(213)과 고정관통홀(223)이 일치하였을 때 끼워지는 고정축(224)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가사다리차용 운반카의 운반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inge means 200 is integrally formed by welding with a frame constituting the bottom plate 110 and is provided with a rotary space portion 211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has a hinge hole 212 and a fixing hole 213, A protrusion type stopper 221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bracket 210 and is integrally welded to a frame constituting the side plates 120 and the rear plate 140. The hinge protrusion 222 and the fixed through- And a hinge protrusion 222 of a rotating hinge bracket 220 is inserted into a hinge hole 212 of the fixed hinge bracket 210 to form an integral body, And a fixing shaft (224) which is engaged when the fixing hole (213) and the fixing through hole (223) coincide with each other by rotating the bracket (220).
제1항에 있어서,
가변힌지수단(300)은 양 측면판(120)을 이루는 양 측면의 프레임 상·중·하단에 등간격을 이루며 용접에 의해 일체를 이루는 고정힌지관(310)과, 전면보조판(150)과 후면보조판(160)을 이루는 일측면의 프레임에 상하로 용접에 의해 일체를 이루는 가변힌지관(320)과, 상기 고정힌지관(310)과 가변힌지관(320)을 축결합시키는 가변힌지축(330)과, 상기 가변힌지관(320)과 고정힌지관(310) 사이에 설치되는 코일스프링(34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가변힌지축(330)의 상하단에 너트홈(331)이 갖춰지고, 상기 너트홈(331)에 와셔(332)를 포함한 렌치볼트(333)를 갖추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가사다리차용 운반카의 운반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variable hinge means 300 includes a fixed hinge pipe 310 integrally formed by welding at equal intervals on the upper, middle, and lower ends of both sides of the side plates 120, a front auxiliary plate 150, A variable hinge pipe 320 integrally formed by welding up and down on a frame on one side of the auxiliary plate 160 and a variable hinge shaft 330 for axially coupling the fixed hinge pipe 310 and the variable hinge pipe 320 And a coil spring 340 installed between the variable hinge tube 320 and the fixed hinge tube 310. The variable hinge shaft 330 is provided with nut grooves 331 at upper and lower ends thereof, Wherein the nut groove (331) is provided with a wrench bolt (333) including a washer (332).
제1항에 있어서,
스냅힌지수단(400)은 밑면판(110)을 이루는 프레임과 용접에 의해 일체를 이루며 상부에 스냅회전공간부(411)를 갖추고 스냅힌지홀(412)과 스냅고정홀(413)을 갖춘 평판형의 고정스냅힌지브라켓(410)과, 전면판(130)을 이루는 프레임과 용접에 의해 일체를 이루며 하단부에 돌출형의 스냅스토퍼(421)가 갖춰지고, 스냅힌지돌기(422)와 스냅관통홀(423)을 갖춘 평판형의 회전스냅힌지브라켓(42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스냅고정홀(413)의 내주면에 나사부(414)를 갖추게 하고 볼(415)과 스프링(416)을 순차적으로 끼우고 볼트(417)를 결합시켜 스프링(416)에 압력을 가해 볼(415)이 스냅고정홀(413)로부터 부분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가사다리차용 운반카의 운반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nap hinge means 400 is integrally formed by welding with a frame constituting the bottom plate 110 and has a snap rotation space portion 411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is provided with a snap hinge hole 412 and a snap fit hole 413, The snap hinge protrusions 422 and the snap-through holes 421 are integrally formed by welding with the frame constituting the front plate 130. The snap- A screw 414 is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nap fit hole 413 and a ball 415 and a spring 416 are successively fitted to the bolt 414, And the ball 415 is partially protruded from the snap fitting hole 413 by applying pressure to the spring 416 by engaging the spring 417 with the spring 416. [
제1항에 있어서,
수평조정수단(500)은 밑면판(110)을 이루는 프레임과 용접에 의해 일체를 이루고 있는 고정힌지브라켓(210) 또는 고정스냅힌지브라켓(410)의 일측면에 너트홀(511)을 갖춘 지지브라켓(510)을 갖추게 하고, 상기 너트홀(511)에 고정너트(521)를 갖춘 위치가변볼트(520)를 결합시켜 위치가변볼트(520)의 머리부가 회전힌지브라켓(220) 또는 회전스냅힌지브라켓(420)의 하단부에 갖춰진 스토퍼(221) 또는 스냅스토퍼(421)와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가사다리차용 운반카의 운반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orizontal adjusting means 500 includes a fixed hinge bracket 210 or a fixed snap hinge bracket 410 which is integrally welded to a frame constituting the bottom plate 110. The horizontal bracket 210 has a nut hole 511 formed at one side thereof, And a position variable bolt 520 having a fixing nut 521 is coupled to the nut hole 511 so that the head of the position variable bolt 520 is connected to the rotary hinge bracket 220 or the rotary snap hinge bracket 520, And a stopper (221) or a snap stopper (421)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elevator car (420).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스냅힌지수단(400)의 고정스냅힌지브라켓(410)에 갖춰져 있는 스냅고정홀(413)은 볼(415)이 투입되는 일측면 홀의 직경은 볼(415)의 직경보다 크게 하고, 볼(415)이 돌출되는 타측면의 홀의 직경은 볼(415)의 직경보다 작게 하여 스프링(416)을 압축시키는 볼트(417)에 의해 압축된 스프링(416)의 탄발력이 가해지는 볼(415)이 부분적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가사다리차용 운반카의 운반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4,
The diameter of the one side hole into which the ball 415 is inserted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ball 415 and the diameter of the ball 415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ball 415, The diameter of the hole on the other side protruding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ball 415 so that the ball 415 to which the spring force of the spring 416 compressed by the bolt 417 compressing the spring 416 is partially applied Wherein the elevator car is a high-priced ladder car.
KR1020140147235A 2014-10-28 2014-10-28 Carries a car for carrying high ladder KR10164435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7235A KR101644352B1 (en) 2014-10-28 2014-10-28 Carries a car for carrying high ladd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7235A KR101644352B1 (en) 2014-10-28 2014-10-28 Carries a car for carrying high ladd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0137A true KR20160050137A (en) 2016-05-11
KR101644352B1 KR101644352B1 (en) 2016-08-02

Family

ID=56025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7235A KR101644352B1 (en) 2014-10-28 2014-10-28 Carries a car for carrying high ladd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4352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6425A (en) * 2018-11-30 2020-06-10 송복석 Expandable bucket safety handrail structure with foldable structure
KR20210049280A (en) * 2019-10-25 2021-05-06 주식회사 호룡 Loading device for transport cart for high ladder
KR20220025357A (en) * 2020-08-24 2022-03-03 (주)성암이앤씨 Table lift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1565B1 (en) * 2019-05-28 2020-01-23 원광종합건설 주식회사 Structural trolley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3589U (en) * 1993-11-24 1994-09-09 株式会社小松製作所 Work platform of aerial work platform
KR200286124Y1 (en) * 2002-05-30 2002-08-22 최길호 Structure of a Carriage Case for elevated a ladder truck
KR200336905Y1 (en) * 2003-08-27 2004-01-03 김정웅 Loading Base for Ladder Truck
KR100444904B1 (en) 2003-11-29 2004-08-21 주식회사 엘에스텍 Back-light Unit Utilizing Flat Fluorescent Lamp
KR20140008595A (en) * 2012-07-09 2014-01-22 대한중공업(주) Foldable bucket for cran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3589U (en) * 1993-11-24 1994-09-09 株式会社小松製作所 Work platform of aerial work platform
KR200286124Y1 (en) * 2002-05-30 2002-08-22 최길호 Structure of a Carriage Case for elevated a ladder truck
KR200336905Y1 (en) * 2003-08-27 2004-01-03 김정웅 Loading Base for Ladder Truck
KR100444904B1 (en) 2003-11-29 2004-08-21 주식회사 엘에스텍 Back-light Unit Utilizing Flat Fluorescent Lamp
KR20140008595A (en) * 2012-07-09 2014-01-22 대한중공업(주) Foldable bucket for cran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6425A (en) * 2018-11-30 2020-06-10 송복석 Expandable bucket safety handrail structure with foldable structure
KR20210049280A (en) * 2019-10-25 2021-05-06 주식회사 호룡 Loading device for transport cart for high ladder
KR20220025357A (en) * 2020-08-24 2022-03-03 (주)성암이앤씨 Table lif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4352B1 (en) 2016-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4352B1 (en) Carries a car for carrying high ladder
US20150267396A1 (en) Expandable iso shelters
US8904736B2 (en) Vehicle and mast mounting assembly therefor
US8544213B2 (en) Transforming structure with tower shuttle
JP5154745B2 (en) Self-lifting container
US8368606B1 (en) Trailer mounted satellite system
US9559232B1 (en) Folding deployment system for solar panels
US9394708B2 (en) Articulated floor structure for a mobile stage framework
US10207552B2 (en) Deployable containers, systems and methods for deploying containers
JP6097723B2 (en) Mobile solar power generator
CN103011033B (en) High-altitude platform system and comprise the construction machinery and equipment of this high-altitude platform system
KR20110009069A (en) Apparatus for holding glass in plate vehicle
CN107672640B (en) Assembled LED display device transport vehicle
US20190145613A1 (en) Folding light tower
CN105605977A (en) High-load multifunctional firing platform
KR200475608Y1 (en) A working tray for hanging to truck container
CN208216818U (en) A kind of collapsible climbing machine
JP2007198000A (en) Ladder for trailer
JP2021187581A (en) Lifting device and lifting system
CN205365676U (en) Heavy object shifts car
KR102294749B1 (en) Loading device for transport cart for high ladder
JP3195945U (en) Tire safety fence
JP2013121881A (en) Jig for transporting passenger conveyor and method for transporting passenger conveyor
AU2013201513A1 (en)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Raising and Lowering a Panel
CN108357545A (en) A kind of collapsible climb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