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0135A - 차량용 오디오 볼륨 제어 방법 및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오디오 볼륨 제어 방법 및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0135A
KR20160050135A KR1020140147166A KR20140147166A KR20160050135A KR 20160050135 A KR20160050135 A KR 20160050135A KR 1020140147166 A KR1020140147166 A KR 1020140147166A KR 20140147166 A KR20140147166 A KR 20140147166A KR 20160050135 A KR20160050135 A KR 201600501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ume
occupant
vehicle
voice
audio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71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6653B1 (ko
Inventor
유법원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471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6653B1/ko
Publication of KR20160050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01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6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66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7/00Volume compression or expansion in amplifiers
    • H03G7/007Volume compression or expansion in amplifiers of digital or coded sign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7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occupant comfort, e.g. for automatic adjustment of appliances according to personal settings, e.g. seats, mirrors, steering wheel
    • B60R16/0373Voice control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5/00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 G10L25/48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 H03G3/20Automatic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오디오 볼륨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오디오 장치 동작시에 탑승자 감지부가 차량 내 탑승자를 감지하는 단계, 탑승자 감지부를 통해 2명 이상의 탑승자가 감지되면 음성 인식부가 탑승자의 음성을 인식하는 단계 및 음성 인식부를 통해 탑승자의 음성이 인식되면 제어부가 오디오 장치의 볼륨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오디오 볼륨 제어 방법 및 제어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VOLUME OF AUDIO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오디오 볼륨 제어 방법 및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내 운전자 이외의 탑승자가 존재하는 상황에서 탑승자들의 음성이 감지되면 자동으로 오디오 볼륨을 조절하는, 차량용 오디오 볼륨 제어 방법 및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요즘은 전자장치의 발달로 인하여 자동차의 성능향상을 위해 많은 부분에서 전자장치의 제어에 의존하고 있다. 일례로 엔진의 성능향상을 위해 여러 가지의 센서가 사용되어 최적의 엔진 효율을 발생시키고 있으며 이로 인해 차량에 대한 신뢰도가 높아지고 있다.
또한 이와 같이 발달된 전자장치는 차량의 근본적인 목적 달성을 위한 엔진구동시 뿐만 아니라 운전자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한 안전장치나 운전의 편의를 위한 갖가지 부가장치, 주행장치 등에도 적용되고 있다.
특히, 운전자의 편의와 쾌적한 운행상태를 위해 오디오 장치가 설치되어 방송국에서 송신되는 라디오 주파수를 통해 각종 정보나 음악 등을 출력하거나 mp3 파일 또는 CD의 음원을 통해서 음악을 재생할 수 있다.
오디오 장치가 발전함에 따라서 오디오 품질 및 출력 효율성 등에 대한 소비자들의 기대가 상승하고 있다. 이제는 차량에서 고품질 및 고효율의 오디오 시스템을 기대하는 것이다.
즉, 단순히 운전자가 오디오 장치를 온시켜서 원하는 라디오나 음악을 재생하는 수준에서 더 나아가 운전자에게 가장 적합한 상태의 라디오나 음악을 능동적으로 재생하기 위한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1-0054946호(2011.05.25.공개, 발명의 명칭 : 차량용 오디오 시스템)가 있다.
종래에는 차량 주행 중에 라디오나 음악이 재생되고 있을 때, 차량 탑승자들이 대화를 하기 위해서는 오디오 장치의 볼륨을 직접 낮추고 대화가 끝나면 다시 오디오 장치의 볼륨을 높여야 했다.
이 경우에 운전자가 다른 탑승자와 대화를 하기 위해서는 차량 운전 중에 오디오 장치를 조작해야 했기 때문에 사고 발생 위험이 증가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차량 내 운전자 이외의 탑승자가 존재하는 상황에서 탑승자들의 음성이 감지되면 자동으로 오디오 볼륨을 조절하는, 차량용 오디오 볼륨 제어 방법 및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용 오디오 볼륨 제어 방법은 오디오 장치 동작시에 탑승자 감지부가 차량 내 탑승자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탑승자 감지부를 통해 2명 이상의 탑승자가 감지되면 음성 인식부가 상기 탑승자의 음성을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음성 인식부를 통해 탑승자의 음성이 인식되면 제어부가 상기 오디오 장치의 볼륨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차량 내 탑승자를 감지하는 단계에서, 상기 탑승자 감지부는 차량 시트에 가해지는 무게 또는 압력에 기초하여 차량 내 탑승자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오디오 장치의 볼륨을 조절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성 인식부를 통해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 이상 상기 탑승자의 음성이 인식되면 상기 오디오 장치의 볼륨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오디오 장치의 볼륨을 조절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탑승자의 음성이 상대적으로 저음일수록 상기 오디오 장치의 볼륨을 상대적으로 더 많이 낮추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탑승자의 음성을 인식한 이후에, 상기 제어부가 핸즈프리 장치의 동작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핸즈프리 장치가 동작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탑승자의 음성이 인식되면 상기 오디오 장치의 볼륨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오디오 볼륨 제어 장치는, 오디오 장치 동작시에 차량 내 탑승자를 감지하는 탑승자 감지부; 상기 탑승자 감지부를 통해 2명 이상의 탑승자가 감지되면 상기 탑승자의 음성을 인식하는 음성 인식부; 및 상기 음성 인식부를 통해 탑승자의 음성이 인식되면 상기 오디오 장치의 볼륨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탑승자 감지부는 차량 시트에 가해지는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 감지부; 및 상기 차량 시트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감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차량 시트에 가해지는 무게 또는 압력에 기초하여 차량 내 탑승자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성 인식부를 통해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 이상 상기 탑승자의 음성이 인식되면 상기 오디오 장치의 볼륨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탑승자의 음성이 상대적으로 저음일수록 상기 오디오 장치의 볼륨을 상대적으로 더 많이 낮추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핸즈프리 장치의 동작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핸즈프리 장치가 동작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탑승자 감지부를 통해 차량 내 2명 이상의 탑승자가 감지되고, 상기 음성 인식부를 통해 상기 탑승자의 음성이 인식되면 상기 오디오 장치의 볼륨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 내에 2명 이상의 탑승자가 서로 대화하는 것으로 감지되면 자동으로 오디오 장치의 볼륨을 낮춤으로써, 탑승자들이 오디오 장치의 출력으로부터 방해받지 않고 대화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에 장착된 종래의 구성들을 통해 수집되는 신호를 통해 차량 내에서 탑승자들의 대화를 감지하기 때문에 별도의 새로운 구성의 추가없이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오디오 볼륨 제어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오디오 볼륨 제어 방법의 구현 과정을 설명하는 절차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오디오 볼륨 제어 방법 및 제어 장치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오디오 볼륨 제어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오디오 볼륨 제어 장치는 탑승자 감지부(100), 음성 인식부(200) 및 제어부(300)를 포함한다.
탑승자 감지부(100)는 차량 내 탑승자를 감지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탑승자 감지부(100)는 차량 시트에 가해지는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 감지부(120) 및 차량 시트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감지부(140)를 포함한다.
즉, 차량에 탑승자가 몇 명인지에 따라서 차량 시트에 가해지는 무게 또는 압력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 탑승자 감지부(100)는 차량 시트에 가해지는 무게 또는 압력에 기초하여 차량 내 탑승자를 감지한다.
구체적으로 무게 감지부(120) 또는 압력 감지부(140)는 복수개의 센서를 포함하여 차량의 시트에 분산되어 장착됨으로써 각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차량 내 탑승자 특히 몇 명의 탑승자가 탑승했는지 감지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 탑승자 감지부(100)는 전술한 방법 이외에 다양한 방법을 통해 차량 내 탑승자를 감지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탑승자 감지부(100)는 영상 촬영부(미도시)를 포함하여 차량 내부를 촬영하고 영상 처리를 통해 차량 시트에 착석한 탑승자가 있는지 판단하는 방식으로 차량 내 탑승자를 감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본 실시예는 오디오 장치(400)에서 재생되는 라디오나 음악으로 인해 탑승자들의 대화가 방해받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므로, 오디오 장치(400)가 동작하지 않는 상황에서 탑승자를 감지하는 것은 무의미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탑승자 감지부(100)는 차량의 오디오 장치(400)가 동작하고 있을 때 차량 내 탑승자를 감지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탑승자 감지부(100)는 차량에 새롭게 추가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므로, 종래 차량에 포함된 구성의 감지 신호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례로, 차량에는 일정 무게 이상의 탑승자가 탑승할 경우 에어백 작동 여부를 제어하는 승객감지시스템(Passive Occupant Detection System, PODS)이 적용되어 있으므로, 본 실시예에서의 탑승자 감지부(100)는 승객감지시스템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차량 내 탑승자를 감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음성 인식부(200)는 탑승자 감지부(100)를 통해 2명 이상의 탑승자가 감지되면 탑승자의 음성을 인식한다.
즉, 본 실시예는 오디오 장치(400)에서 재생되는 라디오나 음악으로 인해 탑승자들의 대화가 방해받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므로, 차량 내에서 탑승자 간의 대화가 감지되면 오디오 장치(400)의 볼륨을 자동으로 낮출 수 있도록 탑승자의 음성을 인식한다.
구체적으로 음성 인식부(200)는 사람의 가청 주파수 대역에 해당하는 16Hz ~ 20kHz 대역의 음파가 입력되었을 때 탑승자가 발화한 음성으로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전술하지 않은 다양한 방식을 통해서도 탑승자의 음성을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제어부(300)는 차량 내에서 2명 이상의 탑승자가 감지되는 상황에서 탑승자의 음성이 인식되면 오디오 장치(400)의 볼륨을 조절하되, 특히 오디오 장치(400)의 볼륨을 낮춤으로써 라디오나 음악 재생으로 인해 탑승자들의 대화가 방해받지 않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00)는 2명 이상의 탑승자가 감지되는 상황에서 음성 인식부(200)를 통해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 이상 탑승자의 음성이 인식되면 오디오 장치(400)의 볼륨을 조절한다.
즉, 탑승자들이 대화가 아닌 혼잣말을 한 경우에도 오디오 장치(400)의 볼륨을 낮춘다면 탑승자들은 오히려 오디오 장치(400)에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므로, 제어부(300)는 기준 시간 이상 탑승자의 음성이 인식되는 경우에만 오디오 장치(400)의 볼륨을 조절한다.
따라서, 기준 시간은 통상적인 경우에 탑승자들의 발화가 각각 한 번씩 수행되어 대화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인정될 수 있을 정도의 시간으로 설정되며, 사용자의 선택 등에 따라 다양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0)는 음성 인식부(200)를 통해 인식되는 탑승자의 음성이 상대적으로 저음일수록 오디오 장치(400)의 볼륨을 상대적으로 더 많이 낮출 수 있다.
즉, 탑승자의 음성이 저음인 경우에는 오디오 장치(400)의 볼륨이 낮은 경우에도 오디오 장치(400)의 출력이 크게 방해가 될 수 있고, 탑승자의 음성이 고음인 경우에는 오디오 장치(400)의 볼륨이 높은 경우에도 오디오 장치(400)의 출력이 거의 방해가 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300)는 탑승자의 음성이 고음인지 저음인지를 추가로 반영하여 오디오 장치(400)의 볼륨을 조절함으로써, 탑승자들이 대화 상대방의 음성을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더불어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300)는 음성 인식부(200)를 통해서 탑승자의 음성을 인식한 이후에, 추가로 차량 내부의 핸즈프리 장치(미도시)의 동작 여부를 감지하고 핸즈프리 장치로부터 동작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상태에서 탑승자의 음성이 인식되면 오디오 장치(400)의 볼륨을 조절할 수도 있다.
차량 내부에는 운전자의 편의를 돕기 위해 운전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각종 장치의 조작을 지원하는 핸즈프리 장치가 장착되어 있는데, 음성 인식부(200)를 통해서 탑승자의 음성이 인식되었지만 이러한 음성이 핸즈프리 장치의 사용을 위한 음성 발화인 경우에 제어부(300)는 오디오 장치(400)의 볼륨을 조절하지 않는다.
즉, 차량의 핸즈프리 장치를 조작하기 위한 발화는 일회성일 가능성이 높아 오디오 장치(400)의 볼륨을 조절하는 것이 오히려 탑승자의 의사와 반할 수 있으므로 제어부(300)는 탑승자의 음성이 인식되더라도 핸즈프리 장치가 동작하고 있는 경우에는 오디오 장치(400)의 볼륨을 조절하지 않는다.
전술한 탑승자 감지부(100), 음성 인식부(200) 및 제어부(300)의 동작은 주기적으로 수행되기 때문에, 특정 주기에서는 차량 내 탑승자가 감지되는 상황에서 탑승자의 음성이 인식되어 오디오 장치(400)의 볼륨을 조절하였더라도 다음 주기에서 탑승자의 음성이 인식되지 않으면 제어부(300)는 다시 오디오 장치(400)의 볼륨을 원래 상태로 조절하는 것이 타당하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00)는 오디오 장치(400)의 볼륨을 낮춘 이후에, 음성 인식부(200)를 통해 일정 시간 이상 탑승자의 음성이 인식되지 않으면 대화가 끝난 것으로 판단하여 다시 오디오 장치(400)의 볼륨을 올림으로써 대화가 끝난 탑승자가 이전과 동일한 볼륨의 라디오 또는 음악을 들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전술한 차량용 오디오 볼륨 제어 기술의 동작 유무에 관한 탑승자의 의사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미도시)를 별도로 포함하여, 탑승자가 해당 기술의 동작 여부를 자유롭게 선택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오디오 볼륨 제어 방법의 구현 과정을 설명하는 절차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오디오 볼륨 제어 방법의 구현 과정을 살펴보면, 오디오 장치(400) 동작시에(S10) 탑승자 감지부(100)는 차량 내 탑승자를 감지한다(S20).
본 실시예는 오디오 장치(400)에서 재생되는 라디오나 음악으로 인해 탑승자들의 대화가 방해받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므로, 오디오 장치(400)가 동작하지 않는 상황에서 탑승자를 감지하는 것은 무의미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탑승자 감지부(100)는 차량의 오디오 장치(400)가 동작하고 있을 때 차량 내 탑승자를 감지한다.
구체적으로 탑승자 감지부(100)는 차량 시트에 가해지는 무게 또는 압력에 기초하여 차량 내 탑승자를 감지한다.
즉, 차량에 탑승자가 몇 명인지에 따라서 차량 시트에 가해지는 무게 또는 압력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 탑승자 감지부(100)는 차량 시트에 가해지는 무게 또는 압력에 기초하여 차량 내 탑승자를 감지한다.
그리고 탑승자 감지부(100)를 통해서 2명 이상의 탑승자가 감지되면(S30), 음성 인식부(200)는 탑승자의 음성을 인식한다(S40).
즉, 본 실시예는 오디오 장치(400)에서 재생되는 라디오나 음악으로 인해 탑승자들의 대화가 방해받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므로, 대화가 가능하도록 2명 이상의 탑승자가 감지되는 경우에 탑승자의 음성을 인식한다.
이어서 탑승자의 음성이 인식되면 제어부(300)는 오디오 장치(400)의 볼륨을 조절한다(S50).
구체적으로 제어부(300)는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 이상 탑승자의 음성이 인식되면 오디오 장치(400)의 볼륨을 조절한다.
즉, 탑승자들이 대화가 아닌 혼잣말을 한 경우에도 오디오 장치(400)의 볼륨을 낮춘다면 탑승자들은 오히려 오디오 장치(400)에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므로, 제어부(300)는 기준 시간 이상 탑승자의 음성이 인식되는 경우에만 오디오 장치(400)의 볼륨을 조절한다.
특히, 전술한 단계(S50)에서 제어부(300)는 음성 인식부(200)를 통해 인식되는 탑승자의 음성이 상대적으로 저음일수록 오디오 장치(400)의 볼륨을 상대적으로 더 많이 낮출 수 있다.
즉, 탑승자의 음성이 저음인 경우에는 오디오 장치(400)의 볼륨이 낮은 경우에도 오디오 장치(400)의 출력이 크게 방해가 될 수 있고, 탑승자의 음성이 고음인 경우에는 오디오 장치(400)의 볼륨이 높은 경우에도 오디오 장치(400)의 출력이 거의 방해가 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300)는 탑승자의 음성이 고음인지 저음인지를 추가로 반영하여 오디오 장치(400)의 볼륨을 조절함으로써, 탑승자들이 통화 상대방의 음성을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전술한 단계(S50)에서 제어부(300)는 핸즈프리 장치의 동작에 관한 신호를 수신하여 핸즈프리 장치가 동작하지 않는 상태에서 탑승자의 음성이 인식되면 오디오 장치(400)의 볼륨을 낮춘다.
즉, 차량의 핸즈프리 장치를 조작하기 위한 발화는 일회성일 가능성이 높아 오디오 장치(400)의 볼륨을 조절하는 것이 오히려 탑승자의 의사와 반할 수 있으므로 제어부(300)는 탑승자의 음성이 인식되더라도 핸즈프리 장치가 동작하고 있는 경우에는 오디오 장치(400)의 볼륨을 조절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 내에 2명 이상의 탑승자가 서로 대화하는 것으로 감지되면 자동으로 오디오 장치의 볼륨을 낮춤으로써, 탑승자들이 오디오 장치의 출력으로부터 방해받지 않고 대화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차량에 장착된 종래의 구성들을 통해 수집되는 신호를 통해 차량 내에서 탑승자들의 대화를 감지하기 때문에 별도의 새로운 구성의 추가없이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탑승자 감지부
120: 무게 감지부
140: 압력 감지부
200: 음성 인식부
300: 제어부
400: 오디오 장치

Claims (10)

  1. 오디오 장치 동작시에 탑승자 감지부가 차량 내 탑승자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탑승자 감지부를 통해 2명 이상의 탑승자가 감지되면 음성 인식부가 상기 탑승자의 음성을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음성 인식부를 통해 탑승자의 음성이 인식되면 제어부가 상기 오디오 장치의 볼륨을 조절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용 오디오 볼륨 제어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내 탑승자를 감지하는 단계에서, 상기 탑승자 감지부는 차량 시트에 가해지는 무게 또는 압력에 기초하여 차량 내 탑승자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오디오 볼륨 제어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장치의 볼륨을 조절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성 인식부를 통해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 이상 상기 탑승자의 음성이 인식되면 상기 오디오 장치의 볼륨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오디오 볼륨 제어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장치의 볼륨을 조절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탑승자의 음성이 상대적으로 저음일수록 상기 오디오 장치의 볼륨을 상대적으로 더 많이 낮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오디오 볼륨 제어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자의 음성을 인식한 이후에, 상기 제어부가 핸즈프리 장치의 동작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핸즈프리 장치가 동작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탑승자의 음성이 인식되면 상기 오디오 장치의 볼륨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오디오 볼륨 제어 방법.
  6. 오디오 장치 동작시에 차량 내 탑승자를 감지하는 탑승자 감지부;
    상기 탑승자 감지부를 통해 2명 이상의 탑승자가 감지되면 상기 탑승자의 음성을 인식하는 음성 인식부; 및
    상기 음성 인식부를 통해 탑승자의 음성이 인식되면 상기 오디오 장치의 볼륨을 조절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차량용 오디오 볼륨 제어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자 감지부는 차량 시트에 가해지는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 감지부; 및
    상기 차량 시트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감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차량 시트에 가해지는 무게 또는 압력에 기초하여 차량 내 탑승자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오디오 볼륨 제어 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성 인식부를 통해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 이상 상기 탑승자의 음성이 인식되면 상기 오디오 장치의 볼륨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오디오 볼륨 제어 장치.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탑승자의 음성이 상대적으로 저음일수록 상기 오디오 장치의 볼륨을 상대적으로 더 많이 낮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오디오 볼륨 제어 장치.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핸즈프리 장치의 동작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핸즈프리 장치가 동작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탑승자 감지부를 통해 차량 내 2명 이상의 탑승자가 감지되고, 상기 음성 인식부를 통해 상기 탑승자의 음성이 인식되면 상기 오디오 장치의 볼륨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오디오 볼륨 제어 장치.
KR1020140147166A 2014-10-28 2014-10-28 차량용 오디오 볼륨 제어 방법 및 제어 장치 KR1023166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7166A KR102316653B1 (ko) 2014-10-28 2014-10-28 차량용 오디오 볼륨 제어 방법 및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7166A KR102316653B1 (ko) 2014-10-28 2014-10-28 차량용 오디오 볼륨 제어 방법 및 제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0135A true KR20160050135A (ko) 2016-05-11
KR102316653B1 KR102316653B1 (ko) 2021-10-26

Family

ID=56025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7166A KR102316653B1 (ko) 2014-10-28 2014-10-28 차량용 오디오 볼륨 제어 방법 및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665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6662A (ko) * 2016-12-09 2018-06-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오디오 자동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90106916A (ko) 2019-08-30 2019-09-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향 제어 시스템, 장치 및 방법
KR20210097324A (ko) 2020-01-30 2021-08-09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의 능동 음장 제어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1695A (ko) * 1997-12-31 1999-07-26 김덕중 차량의 승차위치에 따른 오디오시스템의 음향밸런스장치 및 그제어방법
KR100246220B1 (ko) * 1997-10-16 2000-04-01 오상수 카 오디오의 음량 자동 조절장치
JP2002171587A (ja) * 2000-11-30 2002-06-14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車載音響装置の音量調節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音声認識装置
KR20060030296A (ko) * 2004-10-05 2006-04-10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차량용 오디오시스템의 자동 음향 조절 장치 및 방법
JP2006121270A (ja) * 2004-10-20 2006-05-11 Clarion Co Ltd ハンズフリー通話装置
KR20130036492A (ko) * 2011-10-04 2013-04-1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후석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6220B1 (ko) * 1997-10-16 2000-04-01 오상수 카 오디오의 음량 자동 조절장치
KR19990061695A (ko) * 1997-12-31 1999-07-26 김덕중 차량의 승차위치에 따른 오디오시스템의 음향밸런스장치 및 그제어방법
JP2002171587A (ja) * 2000-11-30 2002-06-14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車載音響装置の音量調節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音声認識装置
KR20060030296A (ko) * 2004-10-05 2006-04-10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차량용 오디오시스템의 자동 음향 조절 장치 및 방법
JP2006121270A (ja) * 2004-10-20 2006-05-11 Clarion Co Ltd ハンズフリー通話装置
KR20130036492A (ko) * 2011-10-04 2013-04-1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후석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6662A (ko) * 2016-12-09 2018-06-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오디오 자동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90106916A (ko) 2019-08-30 2019-09-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향 제어 시스템, 장치 및 방법
US11003414B2 (en) 2019-08-30 2021-05-11 Lg Electronics Inc. Acoustic control system, apparatus and method
KR20210097324A (ko) 2020-01-30 2021-08-09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의 능동 음장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6653B1 (ko) 2021-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78355B2 (en) System and method for acoustic management
US9264527B2 (en) Hands-free telephone conversation apparatus
CN106231497B (zh) 车载扬声器播放音量调整装置、方法及车辆
US9386381B2 (en) Vehicle communication with a hearing aid device
KR20160050135A (ko) 차량용 오디오 볼륨 제어 방법 및 제어 장치
JP2003274482A (ja) 音声出力処理装置
CN107920152B (zh) 响应hvac引起的车辆麦克风抖振
KR102338041B1 (ko) 음성 인식 장치 및 방법
JP2006211365A (ja) ハンズフリー装置、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割り込み着信通知方法
WO2011152920A1 (en) Method for adjusting a voice recognition system comprising a speaker and a microphone, and voice recognition system
JP2011172059A (ja) 音声出力システム
US2019022875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ivacy enhancement
KR20210110599A (ko) 차내 헤드폰 음향 증강 현실 시스템
JP2007043356A (ja) 音量自動調節装置および音量自動調節方法
KR102373248B1 (ko) 차량 사운드 제어 장치 및 방법
JP6272142B2 (ja) 車載用音響装置
JP2002171587A (ja) 車載音響装置の音量調節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音声認識装置
US1032125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ound in vehicle
JP2011148473A (ja) 車載用音響装置及び、車載用音響装置の音量調整方法
KR101788188B1 (ko) 스마트 기기의 음향 출력을 고려한 차량의 음향 모드 변경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KR102491937B1 (ko) 차량용 위험 상황 대처 장치 및 방법
JP4929899B2 (ja) 音声入出力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2297078B1 (ko) 차량의 능동 음장 제어방법
JP2019075598A (ja) 感度調整装置、車載システム、車用ヘッドレスト及び信号処理装置
JP2018164144A (ja) 車載音場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