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1937B1 - 차량용 위험 상황 대처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위험 상황 대처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1937B1
KR102491937B1 KR1020150142634A KR20150142634A KR102491937B1 KR 102491937 B1 KR102491937 B1 KR 102491937B1 KR 1020150142634 A KR1020150142634 A KR 1020150142634A KR 20150142634 A KR20150142634 A KR 20150142634A KR 102491937 B1 KR102491937 B1 KR 1024919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information
vehicle
unit
function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2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3204A (ko
Inventor
김종운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426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1937B1/ko
Publication of KR201700432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32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19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19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60Q5/005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automatically actuated
    • B60Q5/006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automatically actuated indicating risk of collision between vehicles or with pedestri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5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responding to signals from another vehicle, e.g. emergency vehicl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외부에서 발생된 소리 정보를 분석하여 차량에서 각 상황에 적합한 기능을 실행하는 차량용 위험 상황 대처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차량의 외부에서 발생된 소리 정보를 획득하는 소리 정보 획득부; 소리 정보가 미리 정해진 위험 신호를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소리 정보 판단부; 및 소리 정보가 위험 신호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차량에서 미리 정해진 기능을 실행하는 지정 기능 실행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위험 상황 대처 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dangerous situation in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위험 상황 대처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사고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한 차량용 위험 상황 대처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운전 중에 멀티미디어 기기의 볼륨을 크게 설정하면 차량의 외부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듣지 못하는 일이 발생한다. 예컨대 위험을 알리기 위한 주변 차량의 경적 소리, 앰뷸런스 소리 등을 듣지 못하는 경우 위급 상황에 적절하게 대처하지 못해 사고 위험성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4-0025096호는 외부의 상황을 인지하여 차량의 운전자에게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장치에 대하여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이 장치는 위험물을 적재한 차량이 접근할 때 이 상황을 인지하는 것에 국한되어 있어 외부의 다양한 상황에 대한 인지에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차량의 외부에서 발생된 소리 정보를 분석하여 차량에서 각 상황에 적합한 기능을 실행하는 차량용 위험 상황 대처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사항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차량의 외부에서 발생된 소리 정보를 획득하는 소리 정보 획득부; 상기 소리 정보가 미리 정해진 위험 신호를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소리 정보 판단부; 및 상기 소리 정보가 상기 위험 신호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차량에서 미리 정해진 기능을 실행하는 지정 기능 실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위험 상황 대처 장치를 제안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리 정보 획득부는 상기 차량의 외부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소리 정보 획득 기기를 이용하여 상기 소리 정보를 획득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리 정보 판단부는, 상기 소리 정보에 포함된 주파수 성분을 검출하는 주파수 성분 검출부; 상기 주파수 성분이 상기 위험 신호와 관련된 패턴 정보에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주파수 성분 비교부; 및 상기 주파수 성분이 상기 패턴 정보에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소리 정보가 상기 위험 신호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주파수 성분이 상기 패턴 정보에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소리 정보가 상기 위험 신호를 포함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위험 신호 여부 판단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리 정보 판단부는 상기 위험 신호로 미리 정해진 차량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이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정 기능 실행부는 상기 차량에 장착된 멀티미디어 기기의 음량을 조절하는 제1 기능, 상기 멀티미디어 기기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경고 메시지를 표시하는 제2 기능, 상기 멀티미디어 기기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내부에 상기 소리 정보를 출력하는 제3 기능, 및 상기 차량의 주행을 제어하는 제4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상기 미리 정해진 기능으로 실행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정 기능 실행부는 상기 제3 기능을 상기 미리 정해진 기능으로 실행할 때 상기 제1 기능을 먼저 실행하고 상기 제3 기능을 이후 실행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정 기능 실행부는, 상기 차량에 장착된 멀티미디어 기기가 음악 또는 방송을 출력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음악/방송 출력 판단부; 상기 음악 또는 상기 방송을 출력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멀티미디어 기기의 음량이 기준 음량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음량 판단부; 상기 멀티미디어 기기의 음량이 상기 기준 음량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멀티미디어 기기의 음량을 조절하는 제1 기능 및 상기 멀티미디어 기기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경고 메시지를 표시하는 제2 기능을 상기 미리 정해진 기능으로 실행하는 제1 기기 제어부; 및 상기 음악 또는 상기 방송을 출력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거나 상기 멀티미디어 기기의 음량이 상기 기준 음량 미만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2 기능을 상기 미리 정해진 기능으로 실행하는 제2 기기 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정 기능 실행부는, 상기 소리 정보가 상기 위험 신호로 상기 미리 정해진 차량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소리 정보가 발생된 위치를 추정하는 소리 위치 추정부; 및 상기 소리 정보가 발생된 위치를 기초로 상기 미리 정해진 기능으로 상기 차량의 주행을 제어하는 제4 기능을 실행하는 차량 주행 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리 위치 추정부는, 상기 차량의 외부에 장착된 소리 정보 획득 기기들 중에서 상기 소리 정보를 획득한 기기를 추출하는 기기 추출부; 및 상기 소리 정보를 획득한 기기의 위치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 이내의 영역을 상기 소리 정보가 발생된 위치로 추정하는 영역 결정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리 위치 추정부는, 상기 소리 정보를 획득한 기기가 적어도 두 개일 때 상기 소리 정보의 음량을 기초로 하나의 기기를 선택하는 기기 선택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외부에서 발생된 소리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소리 정보가 미리 정해진 위험 신호를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소리 정보가 상기 위험 신호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차량에서 미리 정해진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위험 상황 대처 방법을 제안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외부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소리 정보 획득 기기를 이용하여 상기 소리 정보를 획득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소리 정보에 포함된 주파수 성분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주파수 성분이 상기 위험 신호와 관련된 패턴 정보에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주파수 성분이 상기 패턴 정보에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소리 정보가 상기 위험 신호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주파수 성분이 상기 패턴 정보에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소리 정보가 상기 위험 신호를 포함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위험 신호로 미리 정해진 차량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이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에 장착된 멀티미디어 기기의 음량을 조절하는 제1 기능, 상기 멀티미디어 기기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경고 메시지를 표시하는 제2 기능, 상기 멀티미디어 기기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내부에 상기 소리 정보를 출력하는 제3 기능, 및 상기 차량의 주행을 제어하는 제4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상기 미리 정해진 기능으로 실행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3 기능을 상기 미리 정해진 기능으로 실행할 때 상기 제1 기능을 먼저 실행하고 상기 제3 기능을 이후 실행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에 장착된 멀티미디어 기기가 음악 또는 방송을 출력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음악 또는 상기 방송을 출력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멀티미디어 기기의 음량이 기준 음량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멀티미디어 기기의 음량이 상기 기준 음량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멀티미디어 기기의 음량을 조절하는 제1 기능 및 상기 멀티미디어 기기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경고 메시지를 표시하는 제2 기능을 상기 미리 정해진 기능으로 실행하는 단계; 및 상기 음악 또는 상기 방송을 출력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거나 상기 멀티미디어 기기의 음량이 상기 기준 음량 미만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2 기능을 상기 미리 정해진 기능으로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소리 정보가 상기 위험 신호로 상기 미리 정해진 차량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소리 정보가 발생된 위치를 추정하는 단계; 및 상기 소리 정보가 발생된 위치를 기초로 상기 미리 정해진 기능으로 상기 차량의 주행을 제어하는 제4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추정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외부에 장착된 소리 정보 획득 기기들 중에서 상기 소리 정보를 획득한 기기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소리 정보를 획득한 기기의 위치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 이내의 영역을 상기 소리 정보가 발생된 위치로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위치로 추정하는 단계 사이에, 상기 소리 정보를 획득한 기기가 적어도 두 개일 때 상기 소리 정보의 음량을 기초로 하나의 기기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한 구성들을 통하여 다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긴급 상황에 빠르게 대처하여 사고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둘째, 외부 소리 중에 운전자에게 인지해야 할 소리를 들을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외부 환경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위험 경고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위험 경고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위험 상황 대처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차량용 위험 상황 대처 장치를 구성하는 소리 정보 판단부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차량용 위험 상황 대처 장치를 구성하는 지정 기능 실행부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제1 블록도이다.
도 6은 차량용 위험 상황 대처 장치를 구성하는 지정 기능 실행부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제2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위험 상황 대처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서는 차량 외부 소리에 따른 운전자 위험 경고 방법에 대하여 제안한다. 본 발명은 차량 외부에서 발생하는 특정 위험 소리를 인지하여 운전자에게 알려줌으로써 사고 위험성을 감소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외부 소음이 차단된 차량 실내에서 타 차량의 경적 소리나 구급 차량의 소리 등을 듣지 못해 긴급 상황에 빠르게 대처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차량 외부 마이크를 통해 수용된 소음을 분석하여 특정 음향이 감지될 경우 차량용 멀티미디어 기기의 볼륨 제어, 디스플레이 표시 등 운전자에게 경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운전자의 조작 없이도 외부 소음을 분석한 후 운전자에게 전달할 필요가 있는 소리만 판단하여 운전자에게 경고하거나 멀티미디어 기기의 볼륨을 제어하여 운전자의 안전을 도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해당 상황 발생시 운전자에게 위험 상황을 알리는 방법으로 디스플레이를 통한 알림 방법, 멀티미디어 기기의 볼륨 제어 방법, 외부의 유의미한 소음을 운전자에게 스피커를 통해 그대로 전달하는 방법, 앰뷸런스 접근시 앰뷸런스가 어느 방향에서 접근하는지 알려주어 미리 회피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등을 이용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위험 경고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운전자 위험 경고 시스템(100)은 위급 상황 또는 사고 위험 상황을 운전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향 센서(110), AVN(120), 디스플레이부(130) 및 스피커(140)를 포함한다.
음향 센서(110)는 차량의 외부에서 발생된 소리를 획득하는 것으로서, 제1 제어부(111) 및 마이크(Microphone; 112)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112)는 차량의 외부 소리를 입력받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1 제어부(111)는 마이크(112)로 입력된 외부 소리가 노이즈인지 아니면 특정 소리(ex. 주변 차량의 경적 소리, 앰뷸런스 소리 등)인지를 판단하여 AVN(120)으로 알려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AVN(120)은 차량용 멀티미디어 기기로서, 음향 센서(110)로부터 신호를 받아 볼륨 제어 및 디스플레이부(130)에 특정 문구를 띄어주는 제2 제어부(121)를 포함한다.
스피커(140)는 음향 센서(110)에 의해 획득된 외부 소리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상 운전자 위험 경고 시스템(10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운전자 위험 경고 시스템(100)의 동작 원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음향 센서(110)는 마이크(112)를 통해 들어오는 외부 소리가 노이즈인지 아니면 특정 소리인지를 판단한다. 음향 센서(110)가 외부 소리를 노이즈와 특정 소리로 구분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주변 차량의 경적 소리, 앰뷸런스 소리 등은 특정 주파수 성분을 많이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 신호들을 패턴화하여 음향 센서(110)의 메모리부(미도시)에 저장해 놓고, 마이크(112)를 통해 외부 소리가 입력될 때마다 제1 제어부(111)가 마이크(112)로 들어오는 신호와 메모리부에 저장된 정보를 비교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 비교 과정에서 외부 소리가 의미있는 소리(즉 특정 소리)라고 판단되면, 제1 제어부(111)는 AVN(120)으로 신호를 전달한다.
제2 제어부(121)는 음향 센서(110)로부터 신호가 들어올 경우, 우선 운전자가 이용하고 있는 모드 및 음향 볼륨 레벨을 인지한다. USB 및 CD와 같은 모드에서는 제2 제어부(121)는 현재 재생되고 있는 음향 레벨을 인지하여 특정 볼륨 이상으로 동작하고 있다면, 차량 외부 소리를 듣지 못할 것으로 판단하여 볼륨 레벨을 일시적으로 줄이도록 한다.
제2 제어부(121)는 추가적으로 디스플레이부(130)에 외부 소리에 대한 경고 메시지를 띄어주도록 하여 운전자가 외부 소리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볼륨 제어는 음향 센서(110)에서 신호가 계속 전달되는 동안 유지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위험 경고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운전자 위험 경고 시스템(100)의 동작 과정은 도 2의 플로우 챠트와 같다. 이하 설명은 도 1 및 도 2를 참조한다.
먼저 차량 외부에 장착된 마이크(112)로부터 소리를 지속적으로 입력받는다(S210).
입력받은 소리는 제1 제어부(111)를 통해 의미있는 소리인지 판단한다(S220). 제1 제어부(111)는 입력받은 소리를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패턴들과 비교하여 일치할 경우, 의미있는 신호라고 판단하여 AVN(120)으로 신호를 전달한다(S230). 반면 주변 노이즈로 판단되면, S210 단계로 회귀하여 지속적으로 외부 입력 신호를 받아들여 S220 단계의 비교 판단 과정을 거치게 된다.
AVN(120)은 음향 센서(110)로부터 신호를 받게 되면 현재 사용자가 이용하고 있는 AVN 모드를 확인한다(S240). AVN(120)은 모드를 판단하여 음악 재생 환경인지 아닌지 판단한다.
음악 재생 환경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AVN(120)은 디스플레이부(130)에 경고 문구만을 팝업으로 띄우도록 한다(S270).
반면 음악 재생 환경인 것으로 판단되면 즉 AVN(120)의 현재 모드가 USB 및 CD 음악 재생, 블루투스 스트리밍(Bluetooth Streaming) 모드 등인 것으로 판단되면, AVN(120)은 내부 음악 볼륨에 따라 차량 외부 소리를 못 들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AVN 볼륨 레벨을 판단한다(S250).
볼륨이 특정 레벨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AVN(120)은 볼륨을 일정 레벨 이하로 낮추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130)에 경고 메시지를 같이 띄우도록 한다(S260).
반면 볼륨이 특정 레벨에 못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면, AVN(120)은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하여 경고 메시지만 띄우게 된다(S270).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차량 탑승자의 안락함을 중요시하여 차량 외부 소음의 차단 성능을 높일 경우 유의미한 외부 소음을 운전자가 인식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충분히 전술한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이상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일실시 형태로부터 추론 가능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위험 상황 대처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에 따르면, 차량용 위험 상황 대처 장치(300)는 소리 정보 획득부(310), 소리 정보 판단부(320), 지정 기능 실행부(330), 전원부(340) 및 주제어부(350)를 포함한다.
전원부(340)는 차량용 위험 상황 대처 장치(300)를 구성하는 각 구성에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주제어부(350)는 차량용 위험 상황 대처 장치(300)를 구성하는 각 구성의 전체 작동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차량용 위험 상황 대처 장치(300)가 AVN 헤드 유닛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고려할 때 전원부(340)와 주제어부(350)는 본 실시예에서 구비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소리 정보 획득부(310)는 차량의 외부에서 발생된 소리 정보를 획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소리 정보 획득부(310)는 도 1에서 음향 센서(110)를 구성하는 마이크(112)에 대응하는 개념이다. 한편 상기에서 소리 정보는 음성 정보와 음향 정보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소리 정보 획득부(310)는 차량의 외부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소리 정보 획득 기기를 이용하여 소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소리 정보 획득 기기에는 예컨대 마이크로폰(Microphone)이 있다.
소리 정보 판단부(320)는 소리 정보 획득부(310)에 의해 획득된 소리 정보가 미리 정해진 위험 신호를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소리 정보 판단부(320)는 도 1에서 음향 센서(110)를 구성하는 제1 제어부(111)에 대응하는 개념이다. 한편 상기에서 위험 신호에는 예컨대 주변 차량의 경적 소리, 구급 차량(Ambulance)의 소리 등이 있다.
도 4는 차량용 위험 상황 대처 장치를 구성하는 소리 정보 판단부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에 따르면, 소리 정보 판단부(320)는 주파수 성분 검출부(321), 주파수 성분 비교부(322) 및 위험 신호 여부 판단부(323)를 포함할 수 있다.
주파수 성분 검출부(321)는 소리 정보 획득부(310)에 의해 획득된 소리 정보에 포함된 주파수 성분을 검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주파수 성분 비교부(322)는 주파수 성분 검출부(321)에 의해 검출된 주파수 성분이 위험 신호와 관련된 패턴 정보에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소리 정보 판단부(320)는 패턴 정보를 미리 저장하기 위해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소리 정보 판단부(320)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지 않고, 이동통신망이나 인터넷망에 접속할 수 있는 차량 기기(ex. WiFi 모듈)를 이용하여 외부에 구비된 서버로부터 패턴 정보를 획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위험 신호 여부 판단부(323)는 주파수 성분 비교부(322)에 의해 주파수 성분이 패턴 정보에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소리 정보가 위험 신호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위험 신호 여부 판단부(323)는 주파수 성분이 패턴 정보에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소리 정보가 위험 신호를 포함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소리 정보 판단부(320)는 위험 신호로 미리 정해진 차량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이용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차량에는 예컨대 구급 차량(Ambulance)이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지정 기능 실행부(330)는 소리 정보 판단부(320)에 의해 소리 정보가 위험 신호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차량에서 미리 정해진 기능을 실행한다. 지정 기능 실행부(330)는 도 1에서 AVN(120)을 구성하는 제2 제어부(121)에 대응하는 개념이다.
지정 기능 실행부(330)는 차량에 장착된 멀티미디어 기기의 음량을 조절하는 제1 기능, 멀티미디어 기기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경고 메시지를 표시하는 제2 기능, 멀티미디어 기기를 이용하여 차량의 내부에 소리 정보를 출력하는 제3 기능, 및 차량의 주행을 제어하는 제4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미리 정해진 기능으로 실행할 수 있다.
지정 기능 실행부(330)는 제3 기능을 미리 정해진 기능으로 실행할 때 제1 기능을 먼저 실행하고 제3 기능을 이후 실행할 수 있다.
도 5는 차량용 위험 상황 대처 장치를 구성하는 지정 기능 실행부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제1 블록도이다.
도 5에 따르면, 지정 기능 실행부(330)는 음악/방송 출력 판단부(331), 음량 판단부(332), 제1 기기 제어부(333) 및 제2 기기 제어부(334)를 포함할 수 있다.
음악/방송 출력 판단부(331)는 차량에 장착된 멀티미디어 기기가 음악 또는 방송을 출력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음량 판단부(332)는 음악/방송 출력 판단부(331)에 의해 음악 또는 방송을 출력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멀티미디어 기기의 음량이 기준 음량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에서 방송은 라디오 방송, DMB를 통한 TV 방송 등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제1 기기 제어부(333)는 음량 판단부(332)에 의해 멀티미디어 기기의 음량이 기준 음량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1 기능(멀티미디어 기기의 음량을 조절하는 기능)과 제2 기능(멀티미디어 기기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경고 메시지를 표시하는 기능)을 미리 정해진 기능으로 함께 실행한다.
제2 기기 제어부(334)는 음악/방송 출력 판단부(331)에 의해 음악 또는 방송을 출력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거나 음량 판단부(332)에 의해 멀티미디어 기기의 음량이 기준 음량 미만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2 기능만을 미리 정해진 기능으로 실행한다.
도 6은 차량용 위험 상황 대처 장치를 구성하는 지정 기능 실행부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제2 블록도이다.
도 6에 따르면, 지정 기능 실행부(330)는 소리 위치 추정부(335) 및 차량 주행 제어부(337)를 포함할 수 있다.
소리 위치 추정부(335)는 소리 정보 판단부(320)에 의해 소리 정보가 위험 신호로 미리 정해진 차량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소리 정보가 발생된 위치를 추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차량 주행 제어부(337)는 소리 정보가 발생된 위치를 기초로 미리 정해진 기능으로 제4 기능(차량의 주행을 제어하는 기능)을 실행한다.
지정 기능 실행부(330)는 오브젝트 추적부(3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오브젝트 추적부(336)는 소리 위치 추정부(335)에 의해 소리 정보가 발생된 위치가 추정되면 이 소리 정보를 발생시킨 오브젝트를 추적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오브젝트 추적부(336)는 오브젝트를 추적하여 얻은 결과를 차량 주행 제어부(337)에 통지함으로써 차량 주행 제어부(337)가 차량의 주행을 실시간으로 제어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지정 기능 실행부(330)는 제1 형태(음악/방송 출력 판단부(331), 음량 판단부(332), 제1 기기 제어부(333) 및 제2 기기 제어부(334)를 포함하는 형태)와 제2 형태(소리 위치 추정부(335), 오브젝트 추적부(336) 및 차량 주행 제어부(337)를 포함하는 형태)를 결합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지정 기능 실행부(330)가 제1 형태와 제2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만으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소리 위치 추정부(335)는 기기 추출부(335a) 및 영역 결정부(335c)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 추출부(335a)는 차량의 외부에 장착된 소리 정보 획득 기기들 중에서 소리 정보를 획득한 기기를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영역 결정부(335c)는 소리 정보를 획득한 기기의 위치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 이내의 영역을 소리 정보가 발생된 위치로 추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소리 위치 추정부(335)는 기기 선택부(335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기 선택부(335b)는 기기 추출부(335a)에 의해 추출된 기기(소리 정보를 획득한 기기)가 적어도 두 개일 때 소리 정보의 음량을 기초로 하나의 기기를 선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기기 선택부(335b)는 이렇게 선택된 기기를 영역 결정부(335c)에 통지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통상적으로 소리 발생 지점으로부터 근거리에 위치한 기기가 음량이 더 큰 소리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점을 참작하여 여러 개의 기기들 중에서 상대적으로 음량이 더 큰 소리 정보를 획득한 기기를 선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차량용 위험 상황 대처 장치(300)의 작동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위험 상황 대처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설명은 도 3 및 도 7을 참조한다.
먼저 소리 정보 획득부(310)가 차량의 외부에서 발생된 소리 정보를 획득한다(S410).
이후 소리 정보 판단부(320)가 소리 정보 획득부(310)에 의해 획득된 소리 정보가 미리 정해진 위험 신호를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20).
소리 정보가 위험 신호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지정 기능 실행부(330)가 차량에서 미리 정해진 기능을 실행한다(S430).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USB 메모리, CD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등과 같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기록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캐리어 웨이브 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상세한 설명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차량의 외부에서 발생된 소리 정보를 획득하는 소리 정보 획득부;
    상기 소리 정보가 미리 정해진 위험 신호를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소리 정보 판단부; 및
    상기 소리 정보가 상기 위험 신호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차량에서 미리 정해진 기능을 실행하는 지정 기능 실행부
    를 포함하고,
    상기 지정 기능 실행부는, 상기 소리 정보가 상기 위험 신호로 상기 미리 정해진 차량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소리 정보가 발생된 위치를 추정하는 소리 위치 추정부; 및 상기 소리 정보가 발생된 위치를 기초로 상기 미리 정해진 기능으로 상기 차량의 주행을 제어하는 제4 기능을 실행하는 차량 주행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소리 위치 추정부는, 상기 차량의 외부에 장착된 소리 정보 획득 기기들 중에서 상기 소리 정보를 획득한 기기를 추출하는 기기 추출부; 및 상기 소리 정보를 획득한 기기의 위치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 이내의 영역을 상기 소리 정보가 발생된 위치로 추정하는 영역 결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소리 위치 추정부는, 상기 소리 정보를 획득한 기기가 적어도 두 개일 때 상기 소리 정보의 음량을 기초로 하나의 기기를 선택하는 기기 선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위험 상황 대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리 정보 획득부는 상기 차량의 외부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소리 정보 획득 기기를 이용하여 상기 소리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위험 상황 대처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리 정보 판단부는,
    상기 소리 정보에 포함된 주파수 성분을 검출하는 주파수 성분 검출부;
    상기 주파수 성분이 상기 위험 신호와 관련된 패턴 정보에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주파수 성분 비교부; 및
    상기 주파수 성분이 상기 패턴 정보에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소리 정보가 상기 위험 신호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주파수 성분이 상기 패턴 정보에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소리 정보가 상기 위험 신호를 포함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위험 신호 여부 판단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위험 상황 대처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리 정보 판단부는 상기 위험 신호로 미리 정해진 차량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위험 상황 대처 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차량의 외부에서 발생된 소리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소리 정보가 미리 정해진 위험 신호를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소리 정보가 상기 위험 신호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차량에서 미리 정해진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소리 정보가 상기 위험 신호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차량에서 미리 정해진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소리 정보가 상기 위험 신호로 상기 미리 정해진 차량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소리 정보가 발생된 위치를 추정하고 상기 소리 정보가 발생된 위치를 기초로 상기 미리 정해진 기능으로 상기 차량의 주행을 제어하는 제4 기능을 실행하며,
    상기 소리 정보가 상기 위험 신호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차량에서 미리 정해진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외부에 장착된 소리 정보 획득 기기들 중에서 상기 소리 정보를 획득한 기기를 추출하고, 상기 소리 정보를 획득한 기기의 위치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 이내의 영역을 상기 소리 정보가 발생된 위치로 추정하며,
    상기 소리 정보가 상기 위험 신호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차량에서 미리 정해진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소리 정보를 획득한 기기가 적어도 두 개일 때 상기 소리 정보의 음량을 기초로 하나의 기기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위험 상황 대처 방법.
KR1020150142634A 2015-10-13 2015-10-13 차량용 위험 상황 대처 장치 및 방법 KR1024919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2634A KR102491937B1 (ko) 2015-10-13 2015-10-13 차량용 위험 상황 대처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2634A KR102491937B1 (ko) 2015-10-13 2015-10-13 차량용 위험 상황 대처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3204A KR20170043204A (ko) 2017-04-21
KR102491937B1 true KR102491937B1 (ko) 2023-01-26

Family

ID=58705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2634A KR102491937B1 (ko) 2015-10-13 2015-10-13 차량용 위험 상황 대처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19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97946B (zh) * 2020-07-28 2024-03-01 博泰车联网科技(上海)股份有限公司 辅助驾驶智能控制方法、车载终端以及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96070A (ja) * 2004-09-28 2006-04-13 Yamaha Corp 車載用音源システム
JP2014056513A (ja) * 2012-09-13 2014-03-27 Toyota Motor Corp 運転支援装置及び運転支援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4484B1 (ko) * 2003-04-21 2005-09-14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타 차량의 경적 알림 장치 및 방법
KR20060088650A (ko) * 2005-02-02 2006-08-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 오디오의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101610443B1 (ko) * 2013-12-20 2016-04-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운전 보조 장치 및 운전 보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96070A (ja) * 2004-09-28 2006-04-13 Yamaha Corp 車載用音源システム
JP2014056513A (ja) * 2012-09-13 2014-03-27 Toyota Motor Corp 運転支援装置及び運転支援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3204A (ko) 2017-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658548B (zh) 用外部声音向车辆驾乘人员警告外部事件并掩蔽车内谈话
RU2714805C2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для осуществления скрытного вызова оператора аварийно-спасательных служб (варианты)
RU2711094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привлечения внимания водител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US10699546B2 (en) Headphone and headphone safety device for alerting user from impending hazard, and method thereof
KR101478951B1 (ko) 비가청 근접 경고 신호 발생을 통한 보행자 안전 알림 방법 및 시스템
WO2018125351A1 (en) Modification of distracting sounds
US10720897B2 (en) Processing device, server device, output method, and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KR102491937B1 (ko) 차량용 위험 상황 대처 장치 및 방법
WO2018079623A1 (ja) 処理装置、サーバ装置、出力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666041B2 (en) Haptic microphone
KR102316653B1 (ko) 차량용 오디오 볼륨 제어 방법 및 제어 장치
EP1744450A1 (en) Electronic device
US10864889B2 (en) Vehicle operating method and vehicle operating apparatus
US11626096B2 (en)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055192B1 (en) Mobile phones with warnings of approaching vehicles
JP6910721B2 (ja) 電子装置および情報端末システム
CN106941649B (zh) 改变车辆的音频输出模式的方法及其装置
WO2015145731A1 (ja) 車両情報通知装置
EP4345811A1 (en) Vehicle-mounted audio playing method and apparatus, and multimedia host and storage medium
KR101687894B1 (ko) 안전과 편의를 위한 사용자 단말의 음성 출력 제어 장치
JP7303173B2 (ja) 情報処理装置、移動体、出力制御装置、端末、情報処理方法、出力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4074620A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以及非易失性存储介质
KR101725676B1 (ko) 경적 신호 발생 방법, 이를 실행하는 장치, 경적 신호 수신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CN117048535A (zh) 用于控制车载多媒体播放的方法和车载多媒体系统
JP2023142953A (ja) 報知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