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9116A - 에이프런 컨베이어의 버킷 탈락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에이프런 컨베이어의 버킷 탈락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9116A
KR20160049116A KR1020140145133A KR20140145133A KR20160049116A KR 20160049116 A KR20160049116 A KR 20160049116A KR 1020140145133 A KR1020140145133 A KR 1020140145133A KR 20140145133 A KR20140145133 A KR 20140145133A KR 20160049116 A KR20160049116 A KR 201600491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et
conveyor
support
lower portion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5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7200B1 (ko
Inventor
박성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401451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7200B1/ko
Publication of KR20160049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91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72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72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30Details; Auxiliary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Conveyors (AREA)

Abstract

에이프런 컨베이어의 버킷 탈락 방지 장치가 제공된다. 에이프런 컨베이어의 버킷 탈락 방지 장치는, 에이프런 컨베이어의 버킷 탈락 방지 장치에 있어서, 버킷의 처짐에 의한 와이어의 변화를 감지하여 버킷의 탈락을 감지하는 감지부와, 버킷의 탈락이 감지되면, 버킷의 하부에서 버킷을 지지하는 버킷 지지부를 포함함으로써, 구동 모터에 걸리는 과부하를 방지하고, 버킷의 추가적인 탈락을 방지하여 대형 설비 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에이프런 컨베이어의 버킷 탈락 방지 장치{APPARATUS FOR PREVENTING FAILER OF BUCKET OF APRON CONVEYOR}
본 출원은, 에이프런 컨베이어의 버킷 탈락 방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이넥스(FINEX) 공정은 철광석의 가루형태인 분(粉)광석을 환원시킨 후 고온의 성형철(HCI)을 만들고, 일반탄 또한 성형탄(BC)으로 가공한 뒤 용융로에서 성형탄과 성형철을 용융해 쇳물을 생산하는 방식이다.
상술한 파이넥스(FINEX) 공정에서는 고온의 성형철(Hot Compacted Iron, HCI)을 용융로로 이송하기 위해 에이프런 버킷 컨베이어가 사용되고 있다. 에이프런 버킷 컨베이어는 좌우에 병행하여 순환 구동되는 한 쌍의 무단형 체인 사이에 다수의 버킷이 회전 운동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고, 수평부의 왕측 반송로의 도중에 형성된 반송물의 공급부에서 버킷으로 향하여 반송물이 투입되고, 왕측 반송로의 상방으로 버킷이 운반되어 배출 위치 앞에서 버킷이 반전되어 반송물이 버킷으로부터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종래 기술의 경우 컨베이어 상의 버킷이 아래로 처져 궤도로부터 이탈되는 경우, 이를 알 수 없어 체인을 구동하는 구동 모터는 계속적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구동 모터에 과부하가 걸리게 되며, 버킷이 궤도로부터 탈락하게 되는 경우에는 대형 설비 사고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관련 기술로는 한국공개특허 제2008-0025265호(‘버켓 컨베이어’, 공개일: 2008년 03월 20일)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08-0025265호(‘버켓 컨베이어’, 공개일: 2008년 03월 20일)
본 출원은, 구동 모터에 걸리는 과부하를 방지하고, 버킷의 추가적인 탈락을 방지하여 대형 설비 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에이프런 컨베이어의 버킷 탈락 방지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버킷의 처짐에 의한 와이어의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버킷의 탈락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버킷의 탈락이 감지되면, 상기 버킷의 하부에서 상기 버킷을 지지하는 버킷 지지부를 포함하는 버킷 탈락 방지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감지부는, 상기 와이어의 변화를 감지하는 감지 센서; 및 상기 버킷의 양 측면에 배치된 한 쌍의 제1 고정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버킷의 하부에 설치되며, 일측은 상기 한 쌍의 제1 고정 프레임 중 하나에 고정되며, 타측은 상기 한 쌍의 제1 고정 프레임 중 나머지 하나에 부착된 고정 부재를 통과하여 상기 감지 센서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버킷 하부의 휠이 주행하는 레일에는 제1 관통홈이 형성되며, 상기 와이어는 상기 레일에 형성된 제1 관통 홈을 통과하여 대향하는 쪽의 제1 고정 프레임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감지부는, 상기 버킷 컨베이어의 이동 경로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감지 센서는, 풀 코드 스위치(Pull Cord Switch)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버킷 탈락 방지 장치는, 상기 버킷의 탈락이 감지되면, 상기 버킷 컨베이어의 구동 모터를 정지시키는 탈락 방지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버킷 지지부는, 상기 버킷의 양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제2 고정 프레임; 상기 제2 고정 프레임에 체결되어 상기 제2 고정 프레임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버킷의 하부로 이동하여 상기 버킷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지지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버킷 하부의 휠이 주행하는 레일에는 일정 크기의 제2 관통홈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 롤러는, 상기 레일에 형성된 제2 관통홈을 통과하여 상기 버킷을 하부에서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버킷 지지부는, 상기 버킷 컨베이어의 이동 경로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버킷의 처짐으로 인한 버킷의 탈락을 감지하고, 버킷의 탈락이 감지되면 버킷을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구동 모터에 걸리는 과부하를 방지하고, 버킷의 추가적인 탈락을 방지하여 대형 설비 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버킷 탈락 방지 장치가 적용되는 에이프런 컨베이어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버킷의 탈락을 감지하는 감지부의 구성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감지부를 도시한 것으로, 버킷의 이동 방향으로 바라본 구성도이다.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감지부를 도시한 것으로, 버킷의 측면에서 바라본 구성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버킷 지지부의 구성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버킷 지지부를 도시한 것으로, 버킷의 측면에서 바라본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의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버킷 탈락 방지 장치가 적용되는 에이프런 버킷 컨베이어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이프런 버킷 컨베이어는 고온의 성형철(Hot Compacted Iron, HCI)을 HCI 빈(Bin)(105) 및 용융로(106)로 이송하는 장치로, 고온의 성형철(HCI)을 수용 가능한 복수의 버킷(101)을 구비한 무단형 체인(102)이 구동 모터(104)와 스프로킷(103)에 의해 회전 구동됨으로써, 화살표(D) 방향으로 순환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술한 에이프런 버킷 컨베이어에 적용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버킷 탈락 방지 장치는, 버킷의 처짐에 의한 가변되는 와이어를 감지하여 버킷의 탈락을 감지하는 감지부(후술하는 도 2a의 200 참조)와, 버킷의 탈락이 감지되면, 버킷의 하부에서 버킷을 지지하는 버킷 지지부(후술하는 도 3a의 300 참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도 2a 내지 도 3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버킷 탈락 방지 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버킷의 탈락을 감지하는 감지부의 구성도이다. 그리고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감지부를 도시한 것으로, 버킷의 이동 방향으로 바라본 구성도이며,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감지부를 도시한 것으로, 버킷의 측면에서 바라본 구성도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부(200)는 와이어(211)의 변화를 감지하는 감지 센서(220)와, 버킷(101)의 양 측면에 배치된 한 쌍의 제1 고정 프레임(210)을 포함하고, 와이어(211)는 버킷(101)의 하부에 설치되며, 일측은 한 쌍의 제1 고정 프레임(210) 중 하나에 고정되며, 타측은 한 쌍의 제1 고정 프레임(210) 중 나머지 하나에 부착된 고정 부재(210a)를 통과하여 감지 센서(220)에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고정 부재(210a)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고정 프레임(210)에 부착된 고리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감지 센서(220)는, 예를 들면 풀 코드 스위치(Pull Cord Switch)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감지부(200)는, 버킷 컨베이어의 이동 경로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도 2b 및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킷(101)의 휠(203)은 레일(202) 위를 주행하며, 레일(202)은 하부 베이스(201)에 의해 지지되며, 버킷(101) 하부의 휠(203)이 주행하는 레일(202)에는 일정한 크기의 제1 관통홈(201a)이 형성되며, 와이어(211)는 레일(202)에 형성된 제1 관통 홈(201a)을 통과하여 대향하는 쪽의 제1 고정 프레임(210)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면부호 212는 와이어(211)와는 다른 와이어를 도시한 것으로, 와이어(212)는 버킷(101)의 측면을 따라 일정 간격을 가지고 설치된 제1 고정 프레임(210)에 고정 부재(210b)를 통과하여 감지 센서(220)에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와이어(212)는 작업자에 의해 당겨지도록 구성되며, 버킷 탈락과 같은 비상 상황이 발생된 경우에 작업자는 와이어(212)를 당겨 감지 센서(220)를 수동으로 동작시킬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탈락 방지 제어부(230)는 구동 모터(104)로 동작 정지 명령을 전달함으로써, 에이프런 컨베이어의 동작을 정지시킬 수도 있다.
이하,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버킷의 탈락을 감지하는 감지부의 동작 원리를 설명한다.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킷(101)의 처짐으로 인해 버킷(101)이 레일(202)에 형성된 제1 관통 홈(201a)을 통과하여 대향하는 쪽의 제1 고정 프레임(210)에 연결된 와이어(211)를 누르게 되면, 감지 센서(220), 예를 들면, 풀 코드 스위치는 이를 감지하여 탈락 감지 신호를 생성하며, 생성된 탈락 감지 신호는 탈락 방지 제어부(230)로 전송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탈락 방지 제어부(230)는 구동 모터(104)로 동작 정지 명령을 전달함으로써, 에이프런 컨베이어의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다. 또는 실시 형태에 따라서는 후술하는 버킷 지지부(도 3a의 300 참조)를 제어하여 버킷(101)의 하부에서 버킷(101)을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버킷 지지부에 대해서는 설명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버킷 지지부의 구성도이며,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버킷 지지부를 도시한 것으로, 버킷의 측면에서 바라본 구성도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킷 지지부(300)는 버킷의 양 측면에서 버킷(101) 쪽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제2 고정 프레임(302)와, 제2 고정 프레임(302)에 체결되어 제2 고정 프레임(302)이 회전함에 따라 버킷의 하부로 이동하여 버킷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지지 롤러(30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고정 프레임(302)와 지지 롤러(301)는 체결 부재(303)에 의해 상호 연결되며, 탈락 방지 제어부(23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제2 고정 프레임(302)이 회전함에 따라 지지 롤러(301)로 함께 회전하여 버킷의 하부에서 버킷을 지지할 수 있다. 상술한 버킷 지지부(300)는 버킷 컨베이어의 이동 경로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킷(101) 하부의 휠(203)이 주행하는 레일(202)에는 일정 크기의 제2 관통홈(201b)이 형성되어 있으며, 지지 롤러(301)는, 레일(202)에 형성된 제2 관통홈(201b)을 통과하여 회전함으로써, 버킷(101)을 하부에서 지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버킷의 처짐으로 인한 버킷의 탈락을 감지하고, 버킷의 탈락이 감지되면 버킷을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구동 모터에 걸리는 과부하를 방지하고, 버킷의 추가적인 탈락을 방지하여 대형 설비 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한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권리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101: 버킷 102: 체인
103: 스프로킷 104: 구동 모터
105: HCI 빈 106: 용융로
200: 감지부 201: 하부 베이스
201a: 제1 관통 홈 201b: 제2 관통 홈
202: 레일 203: 휠
210: 제1 고정 프레임 210a, 210b: 고정부재
211, 212: 와이어 220: 감지 센서
300: 버킷 지지부 301: 지지 롤러
302: 제2 고정 프레임 303: 체결 부재

Claims (9)

  1. 에이프런 컨베이어의 버킷 탈락 방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버킷의 처짐에 의한 와이어의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버킷의 탈락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버킷의 탈락이 감지되면, 상기 버킷의 하부에서 상기 버킷을 지지하는 버킷 지지부를 포함하는 버킷 탈락 방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와이어의 변화를 감지하는 감지 센서; 및
    상기 버킷의 양 측면에 배치된 한 쌍의 제1 고정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버킷의 하부에 설치되며, 일측은 상기 한 쌍의 제1 고정 프레임 중 하나에 고정되며, 타측은 상기 한 쌍의 제1 고정 프레임 중 나머지 하나에 부착된 고정 부재를 통과하여 상기 감지 센서에 연결되는 버킷 탈락 방지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킷 하부의 휠이 주행하는 레일에는 제1 관통홈이 형성되며,
    상기 와이어는 상기 레일에 형성된 제1 관통 홈을 통과하여 대향하는 쪽의 제1 고정 프레임에 연결되는 버킷 탈락 방지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버킷 컨베이어의 이동 경로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버킷 탈락 방지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센서는,
    풀 코드 스위치(Pull Cord Switch)를 포함하는 버킷 탈락 방지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킷 탈락 방지 장치는,
    상기 버킷의 탈락이 감지되면, 상기 버킷 컨베이어의 구동 모터를 정지시키는 탈락 방지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버킷 탈락 방지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킷 지지부는,
    상기 버킷의 양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제2 고정 프레임; 및
    상기 제2 고정 프레임에 체결되어 상기 제2 고정 프레임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버킷의 하부로 이동하여 상기 버킷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지지 롤러를 포함하는 버킷 탈락 방지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버킷 하부의 휠이 주행하는 레일에는 일정 크기의 제2 관통홈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 롤러는, 상기 레일에 형성된 제2 관통홈을 통과하여 상기 버킷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버킷 탈락 방지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킷 지지부는,
    상기 버킷 컨베이어의 이동 경로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버킷 탈락 방지 장치.
KR1020140145133A 2014-10-24 2014-10-24 에이프런 컨베이어의 버킷 탈락 방지 장치 KR1016472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5133A KR101647200B1 (ko) 2014-10-24 2014-10-24 에이프런 컨베이어의 버킷 탈락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5133A KR101647200B1 (ko) 2014-10-24 2014-10-24 에이프런 컨베이어의 버킷 탈락 방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9116A true KR20160049116A (ko) 2016-05-09
KR101647200B1 KR101647200B1 (ko) 2016-08-10

Family

ID=56020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5133A KR101647200B1 (ko) 2014-10-24 2014-10-24 에이프런 컨베이어의 버킷 탈락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72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8170B1 (ko) * 2017-03-20 2018-12-11 현대제철 주식회사 연속식 언로딩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3555U (ko) * 1997-09-27 1999-04-15 이구택 슈트하부 벨트 절손 감지장치
KR20040025746A (ko) * 2001-08-10 2004-03-25 막스 뵈글 바우운터네뭉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강성 트랙
KR20080025265A (ko) 2006-09-16 2008-03-20 김옥자 버켓 컨베이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3555U (ko) * 1997-09-27 1999-04-15 이구택 슈트하부 벨트 절손 감지장치
KR20040025746A (ko) * 2001-08-10 2004-03-25 막스 뵈글 바우운터네뭉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강성 트랙
KR20080025265A (ko) 2006-09-16 2008-03-20 김옥자 버켓 컨베이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7200B1 (ko) 2016-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39051B2 (ja) ベルトコンベヤ装置
CN104334280A (zh) 立式输送机
KR101647200B1 (ko) 에이프런 컨베이어의 버킷 탈락 방지 장치
KR101466638B1 (ko) 벨트 찢김 검지 장치가 구비된 벨트 컨베이어 및 이를 이용한 벨트 찢김 검지 방법
KR101237085B1 (ko) 연속식 하역기용 이물질 감지장치
KR101388022B1 (ko) 트리퍼 장치
KR101320120B1 (ko) 트리퍼카용 낙광 방지장치
CN109466908A (zh) 供给装置
KR102089144B1 (ko) 벨트컨베이어용 철편제거장치
JP6712564B2 (ja) 異物検知装置
KR101295599B1 (ko) 벨트컨베이어용 손상 감지장치
KR101504932B1 (ko) 연속하역장비용 주행휠 보호장치
JP2017145068A (ja) ベルトコンベアにおけるコンベアベルトの片寄り防止装置およびその装置を用いたコンベアベルトの片寄り防止方法
KR101257462B1 (ko) 연속식 하역기용 이송물 넘침 방지장치
KR102106740B1 (ko) 레일용 캐리어 역흐름 방지 장치
KR20140042086A (ko) 연속하역장비용 주행휠 보호장치
KR101633982B1 (ko) 컨베이어 벨트의 절손 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절손 감지 방법
KR200462268Y1 (ko) 벨트 컨베이어용 낙광 방지장치
KR102394792B1 (ko) 벨트컨베이어 손상방지장치
KR101605230B1 (ko) 텐션 웨이트 균형조절 장치
KR102485098B1 (ko) 수직 컨베이어 또는 추가 컨베이어뿐만 아니라, 수직 컨베이어와 추가 컨베이어의 어셈블리
KR102057780B1 (ko) 버켓 이탈 감지장치
KR101223111B1 (ko) 벨트콘베이어의 운송물 낙하 방지 장치
KR20120121555A (ko) 컨베이어벨트 손상감지장치
KR101938066B1 (ko) 벨트컨베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