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8823A -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 제조 기계 - Google Patents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 제조 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8823A
KR20160048823A KR1020167006634A KR20167006634A KR20160048823A KR 20160048823 A KR20160048823 A KR 20160048823A KR 1020167006634 A KR1020167006634 A KR 1020167006634A KR 20167006634 A KR20167006634 A KR 20167006634A KR 20160048823 A KR20160048823 A KR 201600488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sule
actuator
housing
transverse walls
beve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6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띠유 오잔느
디디에 뷔아그니오
Original Assignee
네스텍 소시에테아노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스텍 소시에테아노님 filed Critical 네스텍 소시에테아노님
Publication of KR201600488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88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0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 A47J31/407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with ingredient-containing cartridges; Cartridge-perfor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47J31/360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with a mechanism arranged to move the brewing chamber between loading, infusing and ejecting stations
    • A47J31/3623Cartridges being employed
    • A47J31/3633Means to perform transfer from a loading position to an infusing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47J31/360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with a mechanism arranged to move the brewing chamber between loading, infusing and ejecting stations
    • A47J31/3623Cartridges being employed
    • A47J31/3628Perforating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47J31/366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whereby the loading of the brewing chamber with the brewing material is performed by the user
    • A47J31/3671Loose coffee being employ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47J31/366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whereby the loading of the brewing chamber with the brewing material is performed by the user
    • A47J31/3676Cartridges being employed
    • A47J31/369Impermeable cartridges being employ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0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 A47J31/405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with one or more infusion chambers moving successively between loading, infusing and dumping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계 내에 캡슐을 도입하고, 음료 제조를 위해 캡슐을 위치설정하고 그리고 캡슐을 배출하기 위한 모듈(1)을 포함하는, 캡슐로부터 음료를 제조하도록 설계된 음료 제조 기계로서,
상기 모듈은: - 두 개의 횡방향 벽들(2a, 2b)과 후방 및 전방 단부들(2c, 2d)을 갖는 하우징(2),
- 캡슐 결합 부재 (3), 및
- 핸들(41)을 포함하는 작동기(4)를 포함하고, - 하우징의 횡방향 벽들 각각은 안내 만곡부(23a, 23b)를 포함하고,
- 캡슐 결합 부재는 두 개의 횡방향 안내 핀들(31a, 31b)을 포함하며, 횡방향 안내 핀들 각각은 하우징 횡방향 벽들의 안내 만곡부들(23a, 23b) 중 하나와 상호협력하고,
작동기는:. 고정축(42) - 작동기가 상기 고정축 둘레를 회전할 수 있음 -, 및
. 작동기 핸들의 후방 단부(41a)를 고정축(42)에 연결하는 두 개의 횡방향 벽들(43a, 43b)을 포함하고,
상기 횡방향 벽들 각각은 캡슐 결합 부재의 횡방향 안내 핀들(31a, 31b)과 상호협력하는 안내 만곡부(431a, 431b)를 포함하는, 음료 제조 기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 제조 기계{BEVERAGE PRODUCTION MACHINE USING CAPSULES}
본 발명은 캡슐 내에 함유되는 성분들에 기초하여 음료 또는 다른 액체 식료품을 제조하는 분야에 관한 것이다.
캡슐 내에 유체를 주입함으로써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기계들은 주지되어 있다. 음료를 제조하는 방법은 원칙적으로 다음과 같다. 음료 제조 기계의 음료 제조 모듈 내로 캡슐을 삽입한다. 모듈은 액체를 캡슐 내에 함유된 성분과 상호작용하게 하기 위해서 예를 들어 온수와 같은 액체를 캡슐 내로 주입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몇몇 음료 제조 기술들은 커피 음료 같은 가압식 주입을 필요로 하고, 예컨대 브루잉 차(brewing tea)와 같은 다른 것들은 주위 압력에서 만들어질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양 시나리오들에서 응용을 찾을 수 있다. 상호작용의 결과물, 즉 생성된 음료 또는 액체 식료품은 이어서 캡슐로부터 배출되고, 예컨대 음료용 출구 아래에 놓인 컵과 같은 용기에 공급된다.
본 발명은 특히, 캡슐 삽입 위치로부터 음료 제조 위치로 변위된 다음에 다시 캡슐 삽입 위치로 되돌릴 수 있는 캡슐 결합 부재를 갖는 모듈을 포함하는 음료 제조 기계에 관한 것이다. 모듈은 이러한 최종 단계 동안 캡슐 결합 부재로부터 캡슐을 배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그러한 기계는 음료 제조 위치에 대해 오프셋된 캡슐 방출 위치를 갖는 이점을 제공한다. 이러한 이점은, 기계가 음료 유동 경로의 수직에 대해 오프셋된 위치에서 캡슐의 방출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음료가 기계와 접촉하지 않고서 음료를 캡슐로부터 컵 내로 직접 전달하도록 기계 및 캡슐이 창안되는 경우에 관심 대상이다. 그러한 음료 제조 기계가 EP-A1-2 033 551호에 기재되어 있다.
그러한 기계에서, 캡슐은 음료 제조 모듈 내에 도입되고, 사전-고정 아암에 의해 사전-결합 위치에서 유지되며, 이어서 캡슐에 대한 캡슐 결합 부재의 이동에 더하여 캡슐 형상에 등각(conformal)인 캡슐 결합 부재에 의해 결합된다. 이러한 이동의 마지막에서, 캡슐은 캡슐 결합 부재와 기계의 다른 부분 사이에 클램핑되고, 대체로 물인 희석액이 캡슐 내의 성분들과 상호작용하기 위해 도입될 수 있다. 생성되는 음료는 캡슐 결합 동안 캡슐에 제공되고/되거나 기계에 의해 생성된 출구를 통해 캡슐로부터 유출되고, 중력에 의해 컵 내에 떨어진다. 일단 음료가 전달되었다면, 캡슐 결합 부재는 음료 유동 경로의 수직에 대해 오프셋된 위치를 향해 캡슐을 드래그(drag)하는 캡슐 방출 위치로 다시 이동한다. 캡슐 결합 부재의 이동은 선형 이동과 단부 선회 이동의 조합이며, 이 단부 선회 이동은 캡슐이 중력에 의해 캡슐 결합 부재로부터 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캡슐의 결합해제를 돕는다.
캡슐 결합 부재의 이러한 특정 이동은 두 개의 안내 만곡부들 내에서 캡슐 결합 부재의 횡방향 측면들에 부착된 안내 핀들에 의해 동시에 획득된다. 제1 안내 만곡부는 모듈의 하우징 내에 설계되고, 제2 안내 만곡부는 무릎 관절 기구(knee joint mechanism)의 연결 장치들 중 하나 내에 설계된다. 무릎 관절 기구의 단부는 핸들인데, 이는 - 작동 시에 - 양쪽 안내 만곡부들을 통한 캡슐 결합 부재의 변위를 가능하게 한다.
무릎 관절 기구의 문제점은 그것이 다수의 상이한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는 것이다. 이들 상이한 구성요소들의 조달은 기계의 제조 가격을 상승시킨다. 그들의 조립에는 시간이 오래 걸리고, 이는 역시 기계의 제조 가격을 상승시킨다.
본 발명의 목적은 캡슐 결합 부재의 동일한 이동의 구현을 위해 대안적인 기구를 제안하는 것인데, 상기 기구는 공지의 무릎 관절 기구보다 제조 비용이 저렴하다.
본 발명은 캡슐로부터 음료를 제조하도록 설계된 음료 제조 기계로서, 기계 내에 캡슐을 도입하고, 음료 제조를 위해 캡슐을 위치설정하고 그리고 캡슐을 배출하기 위한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모듈은:
- 두 개의 횡방향 벽들과 후방 및 전방 단부들 및 하우징 전방 단부에서 기계 내에 캡슐을 도입하도록 설계된 하나의 상부 개구를 갖는 하우징,
- 하우징 횡방향 벽들 내에서 두 개의 위치들 - 하나의 제1 위치는 하우징 후방 단부 근처의 캡슐 삽입 또는 배출 개방 위치이고 다른 제2 위치는 하우징 전방 단부 근처의 음료 제조 폐쇄 위치임 - 사이에서 종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는 캡슐 결합 부재, 및
- 기계 내에 캡슐을 도입하도록 설계된 하우징 상부 개구를 개방 및 폐쇄하도록 설계된 핸들을 포함하는 작동기를 포함하고,
여기서:
- 하우징의 횡방향 벽들 각각은 안내 만곡부를 포함하고,
- 캡슐 결합 부재는 두 개의 횡방향 안내 핀들을 포함하며, 횡방향 안내 핀들 각각은 하우징 횡방향 벽들 중 하나의 하우징 횡방향 벽의 하나의 안내 만곡부와 상호협력하고, 이러한 상호협력은 캡슐 결합 부재를 두 개의 위치들 사이에서 변위시키도록 설계되고,
- 작동기는:
. 하우징 후방 단부에서 하우징 횡방향 벽들에 그리고 그들 사이에 수직으로 부착되는 고정축 - 작동기가 상기 고정축 둘레를 회전할 수 있음 -, 및
. 작동기 핸들의 후방 단부를 고정축에 연결하는 두 개의 횡방향 벽들을 포함하고,
상기 횡방향 벽들 각각은 캡슐 결합 부재의 하나의 횡방향 안내 핀과 상호협력하는 안내 만곡부를 포함하는, 음료 제조 기계에 관련된다.
본 발명의 기계의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모듈은 EP-A1-2 053 551호에 기재된 모듈의 특징부들 대부분을 제공할 수 있다. 그것은 음료 제조를 위해 캡슐이 도입되어 처리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하우징은 두 개의 횡방향 벽들, 후방 및 전방 단부들, 및 하우징 전방 단부 근처에서 기계 내에 캡슐을 도입하도록 설계된 하나의 상부 개구를 제공한다. 이러한 상부 개구는 통상 수동으로 작동되는 핸들에 의해 개방 또는 폐쇄된다. 이러한 핸들은 음료 제조 모듈 내부에서의 캡슐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작동기의 일부이다.
본 출원에서, 용어들 "후방", "전방", "횡방향", "상부"는 본 발명의 특징부들의 상대적 위치설정을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이들 용어들은 예를 들어 도 1, 도 2, 및 도 8a 내지 도 8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의 제조를 위해 사용된 경우 그의 정상 배향에 있는 기계를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모듈은 하우징 횡방향 벽들 내에서 두 개의 위치들 사이에서 종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는 캡슐 결합 부재를 포함한다. 캡슐 결합 부재의 제1 위치는 각각 캡슐 결합 부재 내에 또는 그로부터 캡슐이 삽입 또는 배출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캡슐 결합 부재는 캡슐 형상에 등각의 형상을 제공한다. 이러한 부재는 삽입 또는 배출 위치에서 개방된다. 이러한 제1 위치에서, 캡슐 결합 부재는 하우징 후방 단부 근처에 있다. 캡슐 결합 부재의 제2 위치는 캡슐 내부에서의 음료 제조를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제2 위치에서, 캡슐은 캡슐 결합 부재와 하우징의 전방 단부 사이에 유지된다.
바람직하게는, 하우징의 전방 단부는 캡슐로부터의 음료의 배출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캡슐의 일부를 개방하도록 구성된 개방 부재를 포함한다. 이러한 개방 부재는 WO 2010/146101호에 기재된 장치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하우징의 전방 단부는 캡슐과 상호협력하여 그를 식별하도록 구성된 식별 부재를 포함한다. 이러한 식별 부재는 EP 1 950 150호에 기재된 장치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하우징은, 캡슐이 하우징 전방 단부에서 상부 개구를 통해 도입될 때 그리고 캡슐 결합 부재가 캡슐과 결합하기 위해 작동기에 의해 이동되기 전에 하우징 내에 캡슐을 사전 위치설정하기 위한 아암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캡슐 결합 부재는 캡슐을 천공하고 캡슐 내에 유체를 도입하기 위한 유체 주입 바늘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바늘은 캡슐 결합 부재의 후방 측면으로부터 상기 부재의 내부로 돌출해 있다. 캡슐은, 캡슐이 캡슐 결합 부재 내부에 결합되는 경우 바늘에 의해 개방된다. 이러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캡슐 결합 부재의 후방 단부는 유체 공급원에 연결되어서, 유체 - 보통은 물 - 가 바늘을 통해 캡슐 내부로 주입되게 한다. 본 발명에서는, EP 2 080 454호에 기재된 바와 같은 바늘이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두 개의 위치들 사이에서 캡슐 결합 부재를 변위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캡슐 결합 부재는 두 개의 횡방향 안내 핀들을 포함하고, 상기 횡방향 안내 핀들 각각은 하우징 횡방향 벽의 안내 만곡부들 중 하나 내에서 활주할 수 있다. 각각의 횡방향 측면 상에서, 핀은 하우징 횡방향 벽 내부에 설계된 안내 만곡부 내에서 활주한다. 하우징 횡방향 벽 내의 상기 안내 만곡부들의 설계는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서의 캡슐 결합 부재의 공간 이동을 한정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의 횡방향 벽들 각각은 적어도 두 개의 상이한 세그먼트들로 구성된 안내 만곡부를 포함하는데, 세그먼트들은:
- 하우징의 전방 단부 근처의 본질적 수평 선형 세그먼트, 및
- 하우징의 후방 단부 근처의 캡슐 삽입 또는 배출 위치로 상승하는 경사 세그먼트이다.
하우징 횡방향 벽들 내의 이들 안내 만곡부들을 추종하는 캡슐 결합 부재의 횡방향 핀들은 캡슐 결합 부재를 상기 만곡부들에 대응하는 이동으로 구동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은 적어도 두 개의 상이한 세그먼트들로 구성된 안내 만곡부들에 대해, 캡슐 결합 부재는 하우징의 전방 단부 근처의 선형 변위와 하우징의 후방 단부 근처의 경사 변위의 조합에 따라 이동된다. 캡슐 결합 부재의 변위 동안의 이러한 방향 변화는 캡슐 결합 부재가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이동할 때 캡슐의 결합해제 및 배출을 개선시키는 선회 이동을 생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작동기는 하우징 후방 단부에서 하우징 횡방향 벽들 사이에 수직으로 부착되는 고정축을 포함하는데, 작동기가 상기 고정축 둘레를 회전할 수 있다. 그의 전방 단부에서, 작동기는 하우징 내의 상부 개구를 개방 및 폐쇄하기 위해 이러한 고정축 둘레를 회전할 수 있는 핸들을 포함한다. 작동기는 고정축에 작동기 핸들의 후방 단부를 연결하는 두 개의 횡방향 벽들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작동기 횡방향 벽들 각각의 후방 단부는 작동기 고정축이 결합되는 구멍을 포함한다. 따라서, 핸들의 이동은 고정축 둘레에서의 횡방향 벽들의 이동을 유도한다. 작동기의 횡방향 벽들 각각은 캡슐 결합 부재의 하나의 횡방향 안내 핀과 상호 협력하는 안내 만곡부를 포함한다.
작동기 횡방향 벽들 내부의 안내 만곡부들의 설계는 작동기 고정축 둘레에서의 핸들의 회전이 하우징 횡방향 벽들의 안내 만곡부들 내에서의 캡슐 결합 부재의 횡방향 안내 핀들의 변위를 유도하도록 되어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작동기의 핸들 및 두 개의 횡방향 벽들은 하나의 단일편 재료로 제조된다. 바람직하게는, 작동기는 플라스틱제이고 사출 성형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작동기는 고정축 둘레의 작동기 횡방향 벽들 각각의 후방 단부에서 구멍들의 위치 조정을 가능하게 하는 조정 장치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조정 장치는:
- 두 개의 횡방향 벽들 사이에서 작동기의 후방 단부에 고정 부착되는 챔버,
- 고정축에 고정 부착되는 챔버 -
이들 두 개의 챔버들은 작동기의 후방 단부에 고정 부착된 챔버가 고정축에 고정 부착된 챔버 내에서 활주할 수 있도록 그리고 폐쇄된 볼륨을 형성할 수 있도록 치수가 정해지고 하나가 다른 하나에 대해 위치설정됨 -, 및
- 두 개의 챔버들에 의해 형성된 폐쇄된 볼륨의 내부에 위치되는 스프링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작동기의 후방 단부에 고정 부착된 챔버가 고정축에 고정 부착된 챔버 내에서 활주하도록 가압되고 결과적으로 작동기 횡방향 벽들 각각의 후방 단부에 있는 구멍들이 고정축 둘레를 활주할 수 있도록 하는 스프링의 힘이 설정된다.
바람직하게는, 핸들, 두 개의 횡방향 벽들, 및 작동기의 두 개의 횡방향 벽들 사이에서 작동기의 후방 단부에 고정 부착된 챔버는 하나의 단일편 재료로 제조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기계에 사용되는 캡슐은 음료 성분들이 함유되는 인클로저(enclosure)를 포함한다. 이들 성분들은 예를 들어 다음의 목록에서 선택될 수 있다: 차잎들, 허브 또는 과일 차잎들, 로스팅 및 그라인딩된 커피, 가용성 음료 성분들,... 인클로저는 일반적으로 삼각형, 원형, 타원형, 계란형, 정사각형, 직사각형 또는 다각형 단면과 같은 상이한 단면들을 포괄할 수 있는 컵-형상 하우징이다. 인클로저는 일반적으로 커버, 바람직하게는 평면 커버에 의해 폐쇄된다. 본 발명의 캡슐은 일반적으로 인클로저의 에지에 림(rim)을 제공한다. 커버는 이러한 림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캡슐은 바람직하게는, (그의 성질 또는 그의 두께 중 어느 하나에 기인하여) 충분히 경질인 재료로 제조되어, 그것이 제1 캡슐 결합 부재 내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부재의 마찰 수단에 의해 변형되지 않게 된다. 달리, 제1 캡슐 결합 부재의 이동 동안 캡슐을 유지시킬 정도로 마찰력이 충분히 강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변위가능한 캡슐 결합 부재는 중공 벨(bell) 부재의 형상을 갖는 요소를 포함하고, 캡슐은 상기 중공 벨 부재의 적어도 일부분에 등각인 인클로저 외부 형상을 제공한다. "등각"이라 함은, 캡슐 외부 형상이 중공 벨 형상 외부 형상의 적어도 일부분과 매칭하기 위해 정의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캡슐의 외부 윤곽의 적어도 일부는 중공 벨 부재 내에 수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은 다음의 도면들과 관련하여 더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캡슐을 도입하고, 음료 제조를 위해 캡슐을 위치설정하고, 음료 제조 장치 내의 캡슐을 배출하기 위한 모듈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모듈 하우징이 투명한 것을 제외하고는 도 1에 대응한다.
도 3은 도 1의 모듈의 후방측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모듈의 작동기의 후방측의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1의 모듈 내의 작동기, 고정축 및 조정 장치의 도면들이다.
도 7은 모듈의 후방부의 종단면도이다.
도 8a 내지 도 8e는 핸들의 개방 이동 동안의 모듈의 종단면도들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제조 장치의 모듈(1)을 도시한다. 모듈은 음료의 제조를 위한 캡슐의 도입 및 위치설정과 캡슐의 배출을 가능하게 한다. 모듈은 음료의 제조를 위한 위치에 도시되어 있다. 모듈은 하우징(2)을 포함한다. 도 1은 하우징의 횡방향 벽(2a)과 후방 및 전방 단부들(2c, 2d)을 도시한다. 하우징은, 그 상측에, 하우징 전방 단부(2d) 근처의 기계 내에 캡슐을 도입하도록 설계된 상부 개구(21)를 제공한다. 상부 개구(21)는 핸들(41)에 의해 폐쇄된다. 횡방향 벽(2a)은 안내 핀(31a)이 활주할 수 있는 안내 만곡부(23a)를 포함한다. 다른 하우징 횡방향 벽(2b)이 동일한 만곡부를 포함한다(도 3 참조).
도 2에서, 하우징(2)은 모듈의 내부 부품들이 보이도록 투명하게 만들어져 있다. 모듈(1)은 하우징 전방 단부(2d) 근처의 음료 제조를 위한 제2 위치에 캡슐 결합 부재(3)를 포함한다. 모듈은, 전방 단부에, 캡슐 결합 부재(3)에 결합되는 캡슐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부재(6)를 포함한다.
캡슐 결합 부재(3)는 두 개의 횡방향 안내 핀들(31a, 31b)을 포함하며, 횡방향 안내 핀들 각각은 하우징 횡방향 벽들(2a, 2b)의 안내 만곡부들(23a, 23b) 중 하나와 상호협력한다. 이들 안내 만곡부들은 두 개의 상이한 세그먼트들로 구성된다: 하우징의 전방 단부(2d) 근처의 본질적 수평 선형 세그먼트(232), 및 하우징의 후방 단부(2c) 근처로 상승하는 경사 선형 세그먼트(231). 이들 안내 만곡부들(23a, 23b)을 추종함으로써, 캡슐 결합 부재의 횡방향 핀들(31a, 31b)은 하우징의 전방 단부(2d) 근처의 선형 변위와 하우징의 후방 단부(2c) 근처의 경사 변위의 조합에 따라 상기 부재를 이동시킨다. 전방 단부(2d)로부터 후방 단부(2c)로의 캡슐 결합 부재의 변위 동안의 이러한 방향 변화는 선회 이동을 생성하여 캡슐을 결합해제 및 배출한다. 배출은 또한, 캡슐을 내측에 결합한 캡슐 결합 부재가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캡슐의 림과 결합하기 위해서 하우징 내에서 약간 상승하는 핀(7)의 존재에 기인한다.
모듈은 음료를 제조하기 위해 조작자가 수동으로 작동시키는 작동기를 포함한다. 작동기는 상부 개구(21)를 폐쇄할 수 있는 핸들(41), 및 하우징 후방 단부에서 하우징 횡방향 벽들(2a, 2b) 사이에 수직으로 부착되는 고정축(42)을 포함한다. 작동기는 상기 고정축 둘레를 회전할 수 있다. 작동기는 작동기 핸들의 후방 단부(41a)를 고정축(42)에 연결(join)하는 두 개의 횡방향 벽들(43a, 43b)을 포함하고, 상기 횡방향 벽들 각각은 캡슐 결합 부재의 횡방향 안내 핀들(31a, 31b)과 상호협력하는 안내 만곡부(431a, 431b)를 포함한다.
결과적으로, 작동기의 유일한 이동은 고정축(42) 둘레에서의 상기 작동기의 회전이며, 이러한 작동기(4)의 이동은 작동기의 안내 만곡부들(431a, 431b) 내에서의 안내 핀들(3a, 3b)의 이동에 기인하여 캡슐 결합 부재(3)의 이동을 유도한다.
작동기(4)의 이동은 핸들(41)에 의해 유도된다. 이어서, 조작자가 음료를 제조하고자 할 경우:
- 그는 하우징의 상부 개구(21)로부터 핸들(41)을 제거하기 위해서 그것을 위로 당긴다. 이러한 핸들의 이동은 도 1 및 도 2에서의 시계방향으로 고정축(42) 둘레에서의 작동기(4)의 회전을 유도한다. 이어서, 횡방향 핀들(31a, 31b)이 하우징의 후방 단부(2c)에서 그리고 또한 캡슐 결합 부재(3)에서 당겨지는데, 이는 캡슐의 자유로운 도입을 위해 상부 개구(21) 아래의 하우징(3)에 공간을 만들어준다. 캡슐은 보유 아암(5)에 의해 상기 공간 내부에 보유된다.
- 이어서, 조작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개구(21)를 폐쇄하기 위해서 핸들(41)을 가압하기 시작한다. 이러한 핸들의 이동은 도 1 및 도 2에서의 반시계방향으로 고정축(42) 둘레에서의 작동기(4)의 회전을 유도한다. 이어서, 횡방향 핀들(31a, 31b)이 하우징의 전방 단부(2d)의 방향으로 그리고 또한 캡슐 결합 부재(3)의 방향으로 당겨진다. 이러한 이동 동안, 캡슐 결합 부재(3)는 캡슐과 결합하여 그를 보유 아암(5)으로부터 자유롭게 한다. 이러한 이동은 캡슐이 하우징의 전방 단부(2d)에 도달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별 부재(6)와 접촉 상태로 될 때까지 계속된다. 이러한 위치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 공급원(31)을 통해 캡슐 결합 부재에 유체, 통상적으로 온수를 도입함으로써 음료가 제조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e는 캡슐 결합 부재로부터 캡슐을 배출하기 위한 작동기의 후속 이동을 도시한다.
도 3 내지 도 7은 작동기(4) 및 고정축(42)의 상대 위치의 조정을 가능하게 하는 조정 장치를 도시한다. 이러한 조정은 작동기가, 캡슐 결합 부재가 하우징의 전방 단부에 대해 가압될 때인 폐쇄 위치에 있는 것으로 가정할 경우 작동기(4)와 고정축(42) 사이에 작용하는 폐쇄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는 폐쇄력이 음료 제조 기계의 동작 및 사용 동안 변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관심 대상이다. 게다가, 작동기 및 고정축이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되기 때문에, 기계의 긴 수명주기 동안 폐쇄 기구의 이들 구성요소들의 변형 또는 왜곡이 발생하여 폐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더욱이, 폐쇄 기구의 구성요소 부품들은 일반적으로 자동으로 제작 및 조립된다. 따라서, 제조 공정 동안, 구성요소 부품들의 측정치들에 관련한 편차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는 폐쇄 기구의 구성요소 부품들이 조립될 때의 폐쇄력의 불일치로 이어진다.
본 발명에서는, 조정 장치가 고정축(42) 둘레의 작동기 횡방향 벽들(43a, 43b) 각각의 후방 단부에서의 구멍들(433a, 433b)의 위치 조정을 가능하게 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조정 장치는 두 개의 챔버들을 포함하는데, 하나의 챔버(44)는 작동기의 일부이고 다른 챔버(45)는 고정축에 부착되어 있다. 챔버들은 탄성 구성요소, 바람직하게는 스프링(46)이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하나가 다른 하나 내로 활주할 수 있다. 하나의 챔버가 다른 챔버 내에서 활주할 가능성으로 인해, 작동기(4)와 고정축(42)의 연결은 느슨해질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챔버(44)는 작동기의 두 개의 횡방향 벽들(43a, 43b) 사이에서 작동기(4)의 후방 단부에 고정 부착되고, 그 후방 단부에서 개방된다. 다른 챔버(45)는 고정축(42)에 고정 부착된다. 축(42)은 하우징 후방 단부에서 하우징 횡방향 벽들(2a, 2b) 사이에 고정 부착된다. 그 결과, 챔버(45) 및 축(42)은 이동될 수가 없다. 챔버(45)는 그 전방 단부에서 개방된다. 이러한 챔버(45)는 작동기 내의 챔버(44)보다 더 작다. 양쪽 챔버들(44, 45)은 하우징 횡방향 벽들(2a, 2b)의 중간에 위치되어, 축(42)에 부착된 챔버(45)가 작동기의 챔버(44) 내부를 활주할 수 있게 한다. 양쪽 챔버들에 의해 형성된 공간 내에 스프링(46)이 위치되어, 양쪽 챔버들 사이에서 압축되고 작동기의 챔버(44)를 고정축의 챔버(45)로부터 멀리 떨어지도록 힘을 가해준다.
고정축(42)이 위치되는 작동기 횡방향 벽들(43a, 43b) 각각의 후방 단부에 있는 구멍들(433a, 433b)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축(42) 둘레를 단단히 끼워맞추지 못한다. 하지만, 스프링(46)에 의해 가해진 힘으로 인해, 구멍들(433a, 433b)의 후방 측면들이 고정축(42)과 접촉하도록 당겨진다.
작동기가 회전되는 경우, 작동기(4)에 의해 고정축(42) 상에 가해진 힘은 그들의 접촉 지점에 손상을 주지 않고 전달(bear)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조정 장치가 작동기 챔버(44)에 의해 스프링 상에 가해진 힘에 대한 스프링의 반작용에 의해 작동기의 구멍들(433a, 433b)을 고정축 둘레에서 활주하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두 개의 방향 화살표들은 챔버들이 하나를 다른 하나 둘레에서 어떻게 활주시킬 수 있는지 그리고 구멍들이 축 둘레에서 어떻게 활주할 수 있는지를 예시한다).
스프링의 압축은, 스프링이 조작자에 의해 핸들 상에 가장 강한 힘이 발휘되어야 하는 위치로 될 때 핸들의 이동을 용이하게 한다. 스프링은 작은 변위(바람직하게는 2 mm 미만)를 가능하게 하며, 조작자에게 부드러운 느낌을 제공한다.
더욱이, 음료 제조 동안, 스프링에 의해 가해진 힘은 하우징의 전방 단부에 대해 캡슐 결합 부재(3)를 폐쇄된 상태로 유지시키며, 캡슐에 물이 도입될 때 캡슐 내부의 약한 압력 증가로 상기 캡슐 결합 부재가 개방되는 것을 회피하게 해준다.
도 5는 핸들(41), 두 개의 횡방향 벽들(43a, 43b), 및 작동기의 후방 단부에 고정 부착된 챔버(44)가 하나의 단일편 재료로 제조된다는 사실을 도시한다.
도 8a 내지 도 8e는, 핸들(41)이 캡슐을 도입하도록 설계된 하우징 상부 개구를 폐쇄하는 제2 위치 - 이는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위치임 - 로부터 상기 개구가 핸들에 의해 더 이상 커버되지 않는 제1 위치 - 이는 캡슐이 모듈 내에 도입될 수 있는 위치임 - 까지 이동되는 경우의, 모듈의 상이한 내부 요소들의 변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기계는 적은 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고 가장 저렴한 제조 비용을 가능하게 하는 폐쇄 기구를 제공하는 이점을 제공한다.
폐쇄 기구는 또한, 폐쇄 기구의 구성요소들의 손상을 방지하는 폐쇄력의 조정 장치를 포함하는 이점을 제공한다. 추가적으로, 이러한 조정 장치는 기계 제조 단계들의 마지막에 설정될 필요는 없다. 따라서, 상기 제조 단계는 삭제될 수 있다.

Claims (11)

  1. 캡슐로부터 음료를 제조하도록 설계된 음료 제조 기계로서, 상기 기계 내에 상기 캡슐을 도입하고, 음료 제조를 위해 상기 캡슐을 위치설정하고 그리고 상기 캡슐을 배출하기 위한 모듈(1)을 포함하고, 상기 모듈은:
    - 두 개의 횡방향 벽들(2a, 2b)과 후방 및 전방 단부들(2c, 2d) 및 상기 전방 단부에서 상기 기계 내에 캡슐을 도입하도록 설계된 하나의 상부 개구(21)를 갖는 하우징(2),
    - 상기 하우징의 상기 횡방향 벽들 내에서 두 개의 위치들 - 하나의 제1 위치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후방 단부(2c) 근처의 캡슐 삽입 또는 배출 개방 위치이고 다른 제2 위치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전방 단부(2d) 근처의 음료 제조 폐쇄 위치임 - 사이에서 종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는 캡슐 결합 부재(3), 및
    - 상기 기계 내에 캡슐을 도입하도록 설계된 상기 하우징의 상기 상부 개구(21)를 개방 및 폐쇄하도록 설계된 핸들(41)을 포함하는 작동기(4)를 포함하고,
    여기서:
    - 상기 하우징의 상기 횡방향 벽들 각각은 안내 만곡부(23a, 23b)를 포함하고,
    - 상기 캡슐 결합 부재는 두 개의 횡방향 안내 핀들(31a, 31b)을 포함하며, 상기 횡방향 안내 핀들 각각은 상기 하우징의 상기 횡방향 벽들의 상기 안내 만곡부들(23a, 23b) 중 하나와 상호협력하고, 이러한 상호협력은 상기 캡슐 결합 부재를 상기 두 개의 위치들 사이에서 변위시키도록 설계되고,
    - 상기 작동기는:
    . 상기 하우징의 상기 후방 단부에서 상기 하우징의 상기 횡방향 벽들(2a, 2b) 사이에 수직으로 부착되는 고정축(42) - 상기 작동기가 상기 고정축 둘레를 회전할 수 있음 -, 및
    . 상기 작동기의 상기 핸들의 후방 단부(41a)를 상기 고정축(42)에 연결하는 두 개의 횡방향 벽들(43a, 43b)을 포함하고,
    상기 횡방향 벽들 각각은 상기 캡슐 결합 부재의 상기 횡방향 안내 핀들(31a, 31b)과 상호협력하는 안내 만곡부(431a, 431b)를 포함하는, 음료 제조 기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기의 상기 횡방향 벽들(43a, 43b) 내부의 상기 안내 만곡부들(431a, 431b)의 설계는 상기 작동기의 상기 고정축(42) 둘레에서의 상기 핸들(41)의 회전이 상기 하우징의 상기 횡방향 벽들의 상기 안내 만곡부들(23a, 23b) 내에서의 상기 캡슐 결합 부재의 상기 횡방향 안내 핀들(31a, 31b)의 변위를 유도하도록 되어 있는, 음료 제조 기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기의 상기 횡방향 벽들 각각의 상기 후방 단부(432a, 432b)는 상기 작동기의 상기 고정축(42)이 결합되는 구멍(433a, 433b)을 포함하는, 음료 제조 기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및 상기 두 개의 횡방향 벽들은 하나의 단일편 재료로 제조되는, 음료 제조 기계.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기는 상기 고정축(42) 둘레의 상기 작동기의 상기 횡방향 벽들 각각의 상기 후방 단부에서 구멍들(433a, 433b)의 위치 조정을 가능하게 하는 조정 장치를 포함하는, 음료 제조 기계.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장치는:
    - 상기 두 개의 횡방향 벽들(43a, 43b) 사이에서 상기 작동기의 상기 후방 단부에 고정 부착되는 챔버(44),
    - 상기 고정축(42)에 고정 부착되는 챔버(45) -
    두 개의 상기 챔버들(44, 45)은 상기 작동기의 상기 후방 단부에 고정 부착된 상기 챔버가 상기 고정축에 고정 부착된 상기 챔버 내에서 활주할 수 있도록 그리고 폐쇄된 볼륨을 형성할 수 있도록 치수가 정해지고 하나가 다른 하나에 대해 위치설정됨 -, 및
    - 두 개의 상기 챔버들에 의해 형성된 상기 폐쇄된 볼륨의 내부에 위치되는 스프링(46)을 포함하는, 음료 제조 기계.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상기 두 개의 횡방향 벽들, 및 상기 작동기의 상기 두 개의 횡방향 벽들 사이에서 상기 작동기의 상기 후방 단부에 고정 부착된 상기 챔버는 하나의 단일편 재료로 제조되는, 음료 제조 기계.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 결합 부재는 상기 캡슐을 개방하고 상기 캡슐 내에 유체를 도입하기 위한 유체 주입 바늘을 포함하는, 음료 제조 기계.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 결합 부재의 상기 후방 단부(31)는 유체 공급원에 연결되는, 음료 제조 기계.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 결합 부재(3)는 캡슐 형상에 등각(conformal)의 형상을 제공하는, 음료 제조 기계.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5)을 사전 위치설정하기 위한 아암을 포함하는, 음료 제조 기계.
KR1020167006634A 2013-09-03 2014-08-26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 제조 기계 KR2016004882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3182849 2013-09-03
EP13182849.3 2013-09-03
PCT/EP2014/068064 WO2015032651A1 (en) 2013-09-03 2014-08-26 Beverage production machine using capsul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8823A true KR20160048823A (ko) 2016-05-04

Family

ID=49115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6634A KR20160048823A (ko) 2013-09-03 2014-08-26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 제조 기계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0398253B2 (ko)
EP (1) EP3041390B1 (ko)
JP (1) JP6362703B2 (ko)
KR (1) KR20160048823A (ko)
CN (1) CN105517469B (ko)
AU (1) AU2014317330B2 (ko)
CA (1) CA2917211A1 (ko)
RU (1) RU2664248C2 (ko)
WO (1) WO20150326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G11201708226VA (en) * 2015-06-16 2018-01-30 Nestec Sa Beverage production system using capsules
CN106993951B (zh) * 2016-01-26 2019-07-19 漳州灿坤实业有限公司 酿造装置
PT3463004T (pt) * 2016-05-23 2023-12-22 Nestle Sa Remoção de uma cápsula de um suporte de cápsula
KR102425041B1 (ko) 2016-07-26 2022-07-25 소시에떼 데 프로듀이 네슬레 소시에떼아노님 캡슐 및 음료 제조 시스템
WO2018019570A1 (en) 2016-07-26 2018-02-01 Nestec S.A. Capsule and beverage production system
JP7008042B2 (ja) 2016-07-26 2022-01-25 ソシエテ・デ・プロデュイ・ネスレ・エス・アー 飲料を調製するためのカプセル
FR3054829B1 (fr) * 2016-08-04 2018-08-31 Bilel BELBECIR Machine de fabrication de capsules contenant un produit a melanger a de l'eau, notamment au moyen d'un dispositif a percolateur
BR112019008836A2 (pt) 2016-11-09 2019-07-09 Pepsico Inc conjuntos de fabricação de bebida carbonatada, métodos, e sistemas
IT201600126287A1 (it) * 2016-12-14 2018-06-14 Caffitaly System Spa Apparecchiatura per la preparazione di una bevanda tramite infusione di una sostanza alimentare con acqua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00574A1 (fr) * 1998-11-16 2000-05-17 Societe Des Produits Nestle S.A. Procédé et dispositif d'extraction d'une capsule fermée
ES2227953T3 (es) * 1999-10-28 2005-04-01 Societe Des Produits Nestle S.A. Dispositivo para la eyeccion de capsula.
TR200402491T4 (tr) 2000-11-28 2004-12-21 Societe Des Produits Nestle S.A. Süzme tertibatı.
FI20002746A (fi) 2000-12-14 2002-06-15 Andritz Oy Menetelmä ja laite massan syöttämiseksi valkaisutorniin
ITPN20020093A1 (it) * 2002-12-02 2004-06-03 Necta Vending Solutions Spa Gruppo infusore a comando meccanico e fluidodinamico.
ITMI20042256A1 (it) 2004-11-22 2005-02-22 Antonio Locati Gruppo erogatore per macchine per la realizzazione di infusi in genere in particooare caffe'espresso
US7513192B2 (en) 2006-03-23 2009-04-07 Keurig, Incorporated Beverage forming device with opening/closing mechanism for a beverage cartridge receiver
PL1859714T3 (pl) 2006-05-24 2009-07-31 Nestec Sa Urządzenie do zaparzania i układ kapsuły do zaparzania z uchwytem kapsuły dla ułatwienia wkładania i wyjmowania kapsuł
ES2384218T3 (es) * 2006-05-24 2012-07-02 Nestec S.A. Módulo de perforación de cápsulas
ITFI20060194A1 (it) * 2006-08-04 2008-02-05 Saeco Ipr Ltd Dispositivo di infusione per la preparazione di bevande da capsule monodose
DK1950150T3 (da) 2007-01-24 2010-05-17 Nestec Sa Identifikation af drikkevareingrediensindeholdende kapsler
CN100544647C (zh) 2007-06-15 2009-09-30 宁波三A集团电器有限公司 咖啡机中咖啡包的自动脱落机构
ITFI20070267A1 (it) 2007-11-28 2009-05-29 Saeco Ipr Ltd "gruppo di infusione per la preparazione di bevande da confezioni monodose e macchina comprendente detto gruppo"
DE602008002045D1 (de) 2008-01-18 2010-09-16 Nestec Sa Getränkeautomat und Durchbohrungsteil für eine Öffnungsvorrichtung eines Getränkeautomaten
EP2263501B1 (en) 2009-06-17 2015-11-25 Nestec S.A. Opening means for a capsule-based beverage preparation device
IT1395966B1 (it) 2009-08-03 2012-11-02 Torino Politecnico Macchina per la preparazione di bevande mediante infusione di un prodotto contenuto in una capsula o simile
IT1395049B1 (it) * 2009-08-10 2012-09-05 Capitani Srl Gruppo di infusione
WO2011042400A2 (en) 2009-10-05 2011-04-14 Nestec S.A. Cartridge extraction device
IT1399732B1 (it) 2010-05-04 2013-05-03 Mac Design S R L Gruppo di posizionamento ed estrazione di cialde monouso in macchine da caffè
SG185450A1 (en) 2010-05-19 2012-12-28 Nestec Sa Beverage production system using capsules
DE102011011204A1 (de) 2010-05-28 2011-12-01 Eugster/Frismag Ag Brühvorrichtung zum Extrahieren einer Portionskapsel, Verfahren zum Betrieb einer Brühvorrichtung und Verwendung einer Brühvorrichtung
EP2603121B1 (en) 2010-08-13 2017-04-19 Koninklijke Philips N.V. Brewing device for preparing a food product
BR112013007997A2 (pt) 2010-10-08 2020-01-07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Unidade de preparo para preparar bebidas a partir de cápsulas pré-embaladas e máquina de produção de bebida
WO2012072761A1 (en) 2010-12-01 2012-06-07 Nestec S.A. Beverage machine with reliable user-indicator
EP2543290A1 (en) 2011-07-08 2013-01-0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Brewing unit with a water heater
CN102429582B (zh) 2011-12-13 2014-06-25 广东新宝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饮料淬取机构
CN114098591A (zh) 2020-09-01 2022-03-01 宁波新跃医疗科技股份有限公司 可视尿路内腔吸引器及其制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198890A1 (en) 2016-07-14
CN105517469B (zh) 2019-01-22
JP6362703B2 (ja) 2018-07-25
JP2016531683A (ja) 2016-10-13
AU2014317330B2 (en) 2019-06-27
EP3041390A1 (en) 2016-07-13
WO2015032651A1 (en) 2015-03-12
CA2917211A1 (en) 2015-03-12
RU2016104662A3 (ko) 2018-05-21
EP3041390B1 (en) 2017-08-23
US10398253B2 (en) 2019-09-03
RU2016104662A (ru) 2017-08-15
RU2664248C2 (ru) 2018-08-15
AU2014317330A1 (en) 2016-01-21
CN105517469A (zh) 2016-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48823A (ko)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 제조 기계
US10307011B2 (en) Brewing module and method of using same
AU2011254753B2 (en) Beverage production system using capsules
JP6618919B2 (ja) 飲料を調製するためのパック及びマシン
US8613247B2 (en) Device and arrangement for preparing a liquid foodstuff or semi-luxury product and portioned packaging
EP3490906B1 (en) Capsule and beverage production system
EP3490907B1 (en) Capsule for preparing beverage
US10537201B2 (en) Beverage production system using capsules
EP2820981A1 (en) Beverage production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