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7675A - 표시장치 및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및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7675A
KR20160047675A KR1020140143633A KR20140143633A KR20160047675A KR 20160047675 A KR20160047675 A KR 20160047675A KR 1020140143633 A KR1020140143633 A KR 1020140143633A KR 20140143633 A KR20140143633 A KR 20140143633A KR 20160047675 A KR20160047675 A KR 201600476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ensing data
memory
sensing
memory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3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4906B1 (ko
Inventor
백현철
김지훈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43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4906B1/ko
Priority to US14/880,747 priority patent/US9881557B2/en
Priority to CN201510686355.5A priority patent/CN105551415B/zh
Publication of KR201600476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76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49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49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75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39Pixel structures
    • G09G2300/0452Details of colour pixel setup, e.g. pixel composed of a red, a blue and two green compon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7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the drivers handling digital grey scale data, e.g. use of D/A conver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85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using tables for spatial correction of display data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9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by monitoring one or more pixels in the display panel, e.g. by monitoring a fixed reference pixel
    • G09G2320/0295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by monitoring one or more pixels in the display panel, e.g. by monitoring a fixed reference pixel by monitoring each display pixe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4Maintain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43Preventing or counteracting the effects of ageing
    • G09G2320/045Compensation of drifts in the characteristics of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 라인들 및 게이트 라인들이 형성되고 데이터 라인들 및 게이트 라인들이 교차하는 지점마다 서브픽셀이 형성되며 서브픽셀 열 내 회로와 연결되는 센싱 라인이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서브픽셀 열마다 하나씩 형성된 표시패널, 데이터 라인들로 데이터 전압을 공급하는 데이터 구동부, 각 센싱 라인에 대응되는 센싱채널을 통해 측정된 센싱 전압을 디지털 형태의 센싱 데이터로 변환하는 ADC(Analog Digital Converter) 및 데이터 구동부를 제어하며 센싱 데이터에 근거하여 해당 서브픽셀로 공급하는 데이터를 변경하되 센싱 데이터가 비정상인 경우 이전 센싱 데이터에 근거하여 해당 서브픽셀로 공급하는 데이터를 변경하는 픽셀 보상을 수행하는 타이밍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표시장치 및 제어장치{DISPLAY DEVICE AND CONTROLLER}
본 발명은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장치에 대한 요구가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근래에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플라즈마표시장치(PDP: Plasma Display Panel), 유기발광표시장치(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등과 같은 여러 가지 표시장치가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표시장치는 데이터 라인들과 게이트 라인들이 형성되고, 데이터 라인들과 게이트 라인들이 서로 교차하는 지점에 서브픽셀들이 정의된 표시패널을 포함하고, 데이터 라인들로 데이터 신호를 공급하는 데이터 구동부와, 게이트 라인들로 스캔 신호를 공급하는 게이트 구동부 등을 더 포함한다.
표시패널에 정의된 각 서브픽셀에는 트랜지스터가 배치되는데, 각 서브픽셀 내 트랜지스터의 특성치가 구동 시간에 따라 변화되거나, 각 서브픽셀 간 트랜지스터의 특성치 편차가 발생할 수 있다. 또는, 표시장치가 유기발광표시장치인 경우, 각 서브픽셀 내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의 열화의 편차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각 서브픽셀 간 휘도 불균일을 발생시켜 화질을 저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서브픽셀 간 휘도 불균일을 해결하기 위해, 회로 내 소자(예: 트랜지스터, 유기발광다이오드)의 특성치 변화 또는 편차를 보상해주기 위한 픽셀 보상 기술이 제안되었다.
이러한 픽셀 보상은 서브픽셀 내 회로의 특정 노드를 센싱하고, 그 센싱 결과를 이용하여, 각 서브픽셀로 공급되는 데이터를 변경함으로써, 서브픽셀의 휘도 불 균일을 방지 또는 줄여주는 기술이다.
종래, 이러한 픽셀 보상 기능을 제공함에도 불구하고, 서브픽셀의 휘도 보상 또는 각 서브픽셀 간 휘도 편차 보상이 되지 못하는 현상이 여전히 발생해 오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픽셀 보상 기능을 제공하며, 픽셀 보상을 실패한 경우 이전 이전 센싱 데이터를 근거로 데이터를 보상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데이터 라인들 및 게이트 라인들이 형성되고 데이터 라인들 및 게이트 라인들이 교차하는 지점마다 서브픽셀이 형성되며 서브픽셀 열 내 회로와 연결되는 센싱 라인이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서브픽셀 열마다 하나씩 형성된 표시패널, 데이터 라인들로 데이터 전압을 공급하는 데이터 구동부, 각 센싱 라인에 대응되는 센싱채널을 통해 측정된 센싱 전압을 디지털 형태의 센싱 데이터로 변환하는 ADC(Analog Digital Converter) 및 데이터 구동부를 제어하며 센싱 데이터에 근거하여 해당 서브픽셀로 공급하는 데이터를 변경하되 센싱 데이터가 비정상인 경우 이전 센싱 데이터에 근거하여 해당 서브픽셀로 공급하는 데이터를 변경하는 픽셀 보상을 수행하는 타이밍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데이터 구동부를 제어하며 센싱 데이터에 근거하여 해당 서브픽셀로 공급하는 데이터를 변경하되 센싱 데이터가 비정상인 경우 이전 센싱 데이터에 근거하여 해당 서브픽셀로 공급하는 데이터를 변경하는 픽셀 보상을 수행하는 타이밍 컨트롤러 및 센싱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픽셀 보상 기능을 제공하며, 픽셀 보상을 실패한 경우 이전 센싱 데이터를 근거로 데이터를 보상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개략적인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서, 데이터 구동부의 데이터 구동 집적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픽셀 보상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서, ADC의 센싱 및 컨버팅 기능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걔념도이다.
도 6은 메모리의 일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OFF-RS 보상을 수행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7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OFF-RS 보상을 수행하는 방법을 구체화한 흐름도들이다.
도 10은 화상이 변질되어 화면에 문제가 생겼을 때 최신 OFF-RS 데이터를 삭제하고 화상을 원상회복하는 과정들을 도시하고 있다.
도 11은 메모리의 다른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2 메모리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3은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데이터 구동부 및 제어장치의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00)의 개략적인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00)는, 표시패널(110), 데이터 구동부(120), 게이트 구동부(130), 타이밍 컨트롤러(140) 등을 포함한다.
표시패널(110)에는, 데이터 라인들(DL1, DL2, ... , DLm) 및 게이트 라인들(GL1, GL2 ... , GLn)이 형성되고, 데이터 라인들(DL1, DL2, ... , DLm) 및 게이트 라인들(GL1, GL2 ... , GLn)이 교차하는 지점마다 서브픽셀(SP: Sub Pixel)이 형성된다.
데이터 구동부(120)는 데이터 라인들로 데이터 전압을 공급한다.
이러한 데이터 구동부(120)는 둘 이상의 데이터 구동 집적회로(DIC: Data Driver Integrated Circuit, 200)를 포함한다.
게이트 구동부(130)는 게이트 라인들을 스캔 신호를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타이밍 컨트롤러(140)는 데이터 구동부(120) 및 게이트 구동부(130)를 제어한다.
한편, 표시패널(110)에 형성된 서브픽셀에는 적어도 하나의 트랜지스터(Transistor)를 포함하는 회로가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서브픽셀 내 회로는, 적어도 하나의 트랜지스터 이외에, 회로 설계 방식 또는 표시장치 종류 등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캐패시터 및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00)는, 서브픽셀 내 회로에 포함된 트랜지스터의 특성치(예: 문턱전압, 이동도 등)의 변화 또는 편차에 따라 발생하는 서브픽셀 간 휘도 편차를 보상해주기 위한 "픽셀 보상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00)는, 픽셀 보상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서브픽셀 내 회로에 포함된 트랜지스터의 특성치를 센싱하기 위한 구성이 필요하다.
이에, 표시패널(110)에는, 서브픽셀 내 회로와 연결되며,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서브픽셀 열마다 존재하는 "센싱 라인(SL: Sensing Line)"이 하나씩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센싱 라인이 둘 이상의 서브픽셀 열마다 존재하는 공유 구조를 적용하는 경우, 하나의 센싱 라인은, 3개 서브픽셀 열(적색 서브픽셀 열, 녹색 서브픽셀 열, 청색 서브픽셀 열) 마다 존재할 수도 있다.
즉, 1개의 픽셀이 3개의 서브픽셀(적색 서브픽셀(R), 녹색 서브픽셀(G), 청색 서브픽셀(B))로 이루어진 경우, 하나의 센싱 라인은 1개의 픽셀 열마다 존재한다고 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하나의 센싱 라인은, 4개 서브픽셀 열(적색 서브픽셀 열, 흰색 서브픽셀 열, 녹색 서브픽셀 열, 청색 서브픽셀 열) 마다 존재할 수도 있다. 즉, 1개의 픽셀이 4개의 서브픽셀(적색 서브픽셀(R), 흰색 서브픽셀(W), 녹색 서브픽셀(G), 청색 서브픽셀(B))로 이루어진 경우, 하나의 센싱 라인은 1개의 픽셀 열마다 존재한다고 볼 수 있다.
한편, 픽셀 보상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00)는, "센싱 라인" 구성 이외에, 각 센싱 라인(SL)을 통해 측정된 센싱 전압(Vsen: Sensing Voltage)을 디지털 형태의 센싱 데이터(Dsen: Sensing Data)로 변환하는 "센싱 유닛"과, 이러한 센싱 유닛에 의해 센싱되어 출력된 센싱 데이터를 토대로 픽셀 보상을 위해 서브픽셀로 공급할 데이터를 변환하는 "픽셀 보상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위에서 언급한 센싱 유닛을 아날로그 디지털 컨버터(ADC: Analog Digital Converter)라고도 하며, 줄여서, "ADC"라고 기재한다.
이러한 ADC는, 표시장치(100) 내 그 어떠한 위치에 있어서도 무방하나, 본 명세서 및 도면에서는 데이터 구동 집적회로 내부에 포함된 것으로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위에서 언급한 픽셀 보상 유닛은, 표시장치(100) 내 그 어떠한 위치에 있어도 무방하나, 본 명세서 및 도면에서는 타이밍 컨트롤러(140) 내부에 포함된 것으로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00)에서, 데이터 구동부(120)의 데이터 구동 집적회로(2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각 데이터 구동 집적회로(200)는, 담당하는 다수의 서브픽셀로 데이터 전압(Vdata)를 공급하기 위한 구동 구성과, 담당하는 다수의 서브픽셀에 대한 센싱 구성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구동 구성은, 타이밍 컨트롤러(140)로부터 입력된 데이터(Data)를 아날로그 형태의 데이터 전압(Vdata)으로 변환하는 디지털 아날로그 컨버터(DAC: Digital Analog Converter, 이하 "DAC"라고 함, 210)를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센싱 구성은, 담당하는 다수의 서브픽셀 내 회로의 센싱 노드의 전압(Vsen)을 둘 이상의 센싱 라인(센싱채널과 동일한 개념일 수 있음)을 통해 센싱하여 디지털 형태의 센싱 데이터(Dsen)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ADC(2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데이터 구동 집적회로(200)에 이러한 1개의 ADC(220)가 포함된다. 따라서, 표시장치(100)에 둘 이상의 데이터 구동 집적회로(200)가 있다면, ADC(220)도 표시장치(100)에 둘 이상 존재하게 된다.
하나의 데이터 구동 집적회로(200)에 포함된 1개의 ADC(220)는, 둘 이상의 센싱 라인(SL)과 연결되어, 각 센싱 라인을 통해, 전압(Vsen)을 센싱한다.
여기서, 1개의 센싱 라인(SL)은 ADC(220)와 1개 또는 2개 이상의 서브픽셀 열을 연결해준다. 즉, 1개의 ADC(220)에 연결된 둘 이상의 센싱 라인 각각은, 1개의 서브픽셀 내 회로의 센싱 노드의 전압을 센싱하는 라인일 수도 있지만, 공유 구조의 경우, 2개 이상의 서브픽셀 내 회로의 센싱 노드의 전압을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센싱하는 라인일 수도 있다.
하나의 데이터 구동 집적회로(200)에 포함된 ADC(220)는, 둘 이상의 센싱 라인 각각에 대응되는 센싱채널을 통해 측정된 센싱 전압(Vsen)을 디지털 형태의 센싱 데이터(Dsen)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00)의 픽셀 보상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데이터 구동 집적회로(200) 내 ADC(220)는, 서브픽셀(SP) 내 회로에 연결된 센싱 라인(SL)을 통해 서브픽셀(SP) 내 회로 상의 센싱 노드(예: 트랜지스터의 소스 또는 드레인 노드)의 전압(Vsen)을 센싱하고 이를 디지털 형태의 센싱 데이터(Dsen)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타이밍 컨트롤러(140)는, 센싱 데이터(Dsen)를 이용하여, 서브픽셀(SP) 내 트랜지스터(TR)의 특성치(예: 문턱전압(Vth), 이동도(μ) 등)를 보상해주기 위하여, 해당 서브픽셀(SP)로 공급할 데이터(Data)를 변경하고, 변경 데이터(Data')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데이터 구동 집적회로(200) 내 DAC(210)는, 변경 데이터(Data')를 데이터 전압(Vdata')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따라서, 해당 서브픽셀(SP)은 트랜지스터(TR)의 특성치를 보상할 수 있는 데이터 전압(Vdata')을 데이터 라인(DL)을 통해 공급받게 되고, 해당 서브픽셀(SP)의 휘도 불균일이 방지 또는 저감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간략하게 설명한 픽셀 보상에 대하여,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00)의 픽셀 보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00)에서, ADC(220)의 센싱 및 컨버팅 기능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걔념도이다.
도 4의 예시에서, 1개의 ADC(220)는 3개의 센싱채널(CH1, CH2, CH3)을 갖는다. 이러한 3개의 센싱채널(CH1, CH2, CH3)은, 3개의 센싱 라인(SL1, SL2, SL3)과 대응되어 연결된다. 이러한 3개의 센싱 라인(SL1, SL2, SL3) 각각은, 4개의 서브픽셀(SP)에 연결된다. 4개의 서브픽셀(SP)은 하나의 픽셀(P)을 구성할 수 있다. 일 예로, 4개의 서브픽셀(SP)은 적색 서브픽셀(R), 흰색 서브픽셀(W), 녹색 서브픽셀(G) 및 청색 서브픽셀(B)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ADC(220)는, 한 시점에서, 3개의 센싱 라인(SL1, SL2, SL3) 각각을 통해, 1개의 서브픽셀(SP)에서의 센싱 노드의 전압(Vsen)을 센싱할 수 있다.
한편,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3개의 센싱 라인(SL1, SL2, SL3) 각각에는 해당 서브픽셀 내 센싱 노드의 센싱 전압(Vsen)이 저장되는 래치(L1, L2, L3)가 연결된다. 위에서 언급한 래치(L1, L2, L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패시터(Capacitor)로 구현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ADC(220)는, 3개의 센싱채널(CH1, CH2, CH3)을 통해 센싱한 전압(Vsen1, Vsen2, Vsen3)을 디지털 형태로 변환하고, 변환된 센싱 데이터(Dsen1, Dsen2, Dsen3)을 출력하여 메모리(400)에 저장시킨다.
도 4를 참조하면, 타이밍 컨트롤러(140)는, 전술한 바와 같이, ADC(220)에 센싱되어 메모리(400)에 저장된 센싱 데이터(Dsen1, Dsen2, Dsen3, ...)을 모두 읽어와, 서브픽셀로 공급할 데이터(Data)를 변경하여 변경된 데이터(Data')를 데이터 구동 집적회로(200)로 출력한다.
이에 따라, 데이터 구동 집적회로(200)는, 변경된 데이터(Data')를 입력받아 아날로그 형태의 데이터 전압(Vdata')으로 변환하여 출력 버퍼(미도시)를 통해 해당 서브 픽셀로 공급한다.
한편, 표시장치(100)의 전원이 켜져 있는 동안, 서브픽셀 내 트랜지스터의 이동도(μ: Mobility)를 보상하는 픽셀 보상이 실시간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여기서, 표시장치(100)의 전원이 켜져 있는 동안 실시간으로 이동도를 보상하는 픽셀 보상은 실시간(RT: Real Time, 이하 "RT"라고 함) 보상이라고 한다.
전술한 RT 보상을 위해, 타이밍 컨트롤러(140)는, 수직 동기신호(Vsync) 상의 블랭크 타임(Blank Time)에 각 서브픽셀 내 트랜지스터의 이동도(Mobility)를 보상하는 픽셀 보상(RT 보상)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타이밍 컨트롤러(140)는, 표시장치(100)의 전원 오프 신호 발생 시, 각 서브픽셀 내 트랜지스터의 문턱전압(Vth: Threshold Voltage)을 보상하는 픽셀 보상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장치(100)의 전원 오프 신호 발생 시, 각 서브픽셀 내 트랜지스터의 문턱전압을 보상하는 픽셀 보상을 "오프 실시간 센싱(OFF-RS: OFF Realtime Sensing, 이하 "OFF-RS"라 함)"라고 한다.
도 6은 메모리의 일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메모리(400)는 각 서브픽셀 내 트랜지스터의 이동도를 보상하는 픽셀 보상(RT 보상)을 수행할 때 사용할 RT 센싱 데이터(Dsen1, Dsen2, Dsen3, ...)를 저장하는 제3메모리영역(430), 각 서브픽셀 내 트랜지스터의 문턱전압을 보상하는 픽셀 보상(OFF-RS)을 수행할 때 사용할 OFF-RS 센싱 데이터(Dsen1, Dsen2, Dsen3, ...)를 저장하는 제1메모리영역(410), 처음으로 서브픽셀(SP) 내 트랜지스터(TR)의 특성치(예: 문턱전압(Vth), 이동도(μ) 등)를 보상하는데 사용할 센싱 데이터 또는 RT 보상(이동도 보상)과 OFF-RS 보상(문턱 전압 보상)을 통해 데이터(Data)를 해당 서브픽셀의 휘도 보상을 위한 보상 데이터(Data')를 저장하는 제2메모리영역(4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메모리영역(410, 420, 430)은 데이터를 룩업데이블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메모리영역(430)은 각 서브픽셀 내 트랜지스터의 이동도를 보상하는 픽셀 보상(RT 보상)을 수행할 때 사용할 OFF-RS 센싱 데이터(Dsen1, Dsen2, Dsen3, ...)를 제1룩 업 데이블로 저장할 수 있다.
이후, RT 보상(이동도 보상)과 OFF-RS 보상(문턱 전압 보상)을 통해 데이터(Data)를 해당 서브픽셀의 휘도 보상을 위한 보상 데이터(Data')로 변경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표시장치(100)의 전원 오프 신호 발생 시, 각 서브픽셀 내 트랜지스터의 문턱전압을 보상하는 OFF-RS 보상을 수행한다. 이때 표시장치(100)은 OFF-RS 보상이 적절하게 수행되도록 파워 시퀀스(Power Sequence)를 설계해야 한다.
일반적인 OFF-RS 보상시 표시장치(100)의 전원 오프 시 표시장치(100)에 OFF-RS 보상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OFF-RS 신호가 인가되면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각 서브픽셀의 문턱 전압을 센싱하고 이 센싱한 전압(Vsen1, Vsen2, Vsen3)을 디지털 형태로 변환하고, 변환된 OFF-RS 센싱 데이터(Dsen1, Dsen2, Dsen3)을 출력하여 메모리(400)의 제1메모리영역(410)에 저장시킨다. 이때 이전에 저장된 OFF-RS 센싱 데이터(Dsen1, Dsen2, Dsen3)를 메모리(400)의 제1메모리영역(410)에서 삭제한다.
이때 비정상적으로 표시장치(100)의 전원 오프 시 OFF-RS가 수행되지 않고 표시장치(100)의 전원 온시 이전에 저장된 OFF-RS 센싱 데이터를 사용하여 데이터(Data)를 해당 서브픽셀의 휘도 보상을 위한 보상 데이터(Data')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집적회로(120) 등 회로나 표시패널(110)의 상태에 따라 비정상적으로 OFF-RS 보상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OFF-RS 센싱 데이터가 비정상적인 상태를 판단하는 방법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이전 OFF-RS 센싱 데이터는 삭제되기 때문에 문제가 발생했을 때 이전 상태로 되돌릴 수 있는 방법이 없다. 이에 따라 트랜지스터의 신뢰성 문제나 회로 EMI나 FPGA 구동 버그에 따라 비정상적 구동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타이밍 컨트롤러(140)는 센싱 데이터가 비정상인 경우 이전 센싱 데이터에 근거하여 해당 서브픽셀로 공급하는 데이터(Data)를 변경하는 픽셀 보상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타이밍 컨트롤러(140)는 이전 OFF-RS 센싱 데이터를 도 6에 도시한 제2메모리영역(420)에 백업해 놓는다. 이후 타이밍 컨트롤러(140)는 각 서브픽셀의 센싱 데이터가 비정상인지를 판단한다. 다시 말해 타이밍 컨트롤러(140)는 OFF-RS 동작 중 센싱된 결과값(센싱 데이터)을 가지고 OFF-RS 동작이 정상적인 상황에서 진행되고 있는지 판단한다.
센싱 데이터가 비정상인지 판단하기 위해, 각 서브픽셀의 최대 문턱전압과 최대 문턱전압을 초과하는 서브픽셀들의 최대 개수를 지정해 놓는다. 타이밍 컨트롤러(140)는 OFF-RS 진행시 센싱 데이터가 최대 문턱전압을 넘는 개수를 기록했다가 각 서브픽셀의 센싱 데이터들이 최대 문턱전압을 초과하는 서브픽셀들의 최대 개수를 초과하면 센싱 데이터가 비정상 또는 OFF-RS의 실패로 판단한다.
센싱 데이터가 비정상인지 판단하기 위해, 타이밍 컨트롤러(140)는 보상 데이터(Data')에 해당 서브픽셀의 휘도를 보상한 보상값이 아닌 특정 표기된 데이터가 들어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지정된 최대 회수를 초과하여 보상 데이터(Data')에 보상값이 아닌 특정 표기된 데이터가 들어있으면 센싱 데이터가 비정상 또는 OFF-RS의 실패로 판단한다.
타이밍 컨트롤러(140)는 센싱 데이터가 비정상인 경우 이전 센싱 데이터에 근거하여 해당 서브픽셀로 공급하는 데이터(Data)를 해당 서브픽셀의 휘도 보상을 위한 보상 데이터(Data')로 변경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타이밍 컨트롤러(140)는 제2메모리영역(420)에 백업해 놓은 이전 OFF-RS 센싱 데이터를 제1메모리영역(410)으로 이동해 놓는다. 따라서, 표시장치(100)의 전원 온시 타이밍 컨트롤러(140)는 제1메모리영역(410)에 저장된 OFF-RS 센싱 데이터, 즉 제2메모리영역(420)에 저장해 놓았다가 제1메모리영역(410)로 이동한 이전 OFF-RS 센싱 데이터에 근거하여 각 서브픽셀로 공급하는 데이터(Data)를 해당 서브픽셀의 휘도 보상을 위한 보상 데이터(Data')로 변경한다.
타이밍 컨트롤러(140)는 센싱 데이터가 정상인 경우 해당 OFF-RS 동작에서 획득한 센싱 데이터에 근거하여 해당 서브픽셀로 공급하는 데이터(Data)를 해당 서브픽셀의 휘도 보상을 위한 보상 데이터(Data')로 변경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표시장치(100)의 전원 온시 타이밍 컨트롤러(140)는 제1메모리영역(410)에 저장된 OFF-RS 센싱 데이터에 근거하여 각 서브픽셀로 공급하는 데이터(Data)를 해당 서브픽셀의 휘도 보상을 위한 보상 데이터(Data')로 변경한다.
전술한 예에서 센싱 데이터가 비정상인 경우 타이밍 컨트롤러(140)는 제2메모리영역(420)에 백업해 놓은 이전 OFF-RS 센싱 데이터를 제1메모리영역(410)으로 이동해 놓고, 표시장치(100)의 전원 온시 타이밍 제2메모리영역(420)에 저장해 놓았다가 제1메모리영역(410)로 이동한 이전 OFF-RS 센싱 데이터에 근거하여 각 서브픽셀로 공급하는 데이터(Data)를 해당 서브픽셀의 휘도 보상을 위한 보상 데이터(Data')로 변경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센싱 데이터가 비정상인 경우 이외에 외부 입력, 예를 들어 사용자의 입력이 있는 경우 타이밍 컨트롤러(140)는 제2메모리영역(420)에 백업해 놓은 이전 OFF-RS 센싱 데이터를 제1메모리영역(410)으로 이동해 놓고, 표시장치(100)의 전원 온시 타이밍 제2메모리영역(420)에 저장해 놓았다가 제1메모리영역(410)로 이동한 이전 OFF-RS 센싱 데이터에 근거하여 각 서브픽셀로 공급하는 데이터(Data)를 해당 서브픽셀의 휘도 보상을 위한 보상 데이터(Data')로 변경할 수 있다. 이 경우에 표시장치(100)의 전원 오프시 OFF-RS 동작을 생략할 수도 있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OFF-RS 보상을 수행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OFF-RS 보상을 수행하는 방법(700)은 이전 OFF-RS 센싱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S710), 문턱전압을 센싱하는 단계(S720), 센싱 데이터가 비정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730), 센싱 데이터가 비정상인 경우 OFF-RS 센싱 데이터를 삭제하고 저장된 이전 OFF-RS 센싱 데이터를 유지하는 단계(S740), 센싱 데이터가 정상인 경우 OFF 센싱 데이터를 저장하고 이전 OFF-RS 센싱 데이터를 삭제하는 단계(S750)을 포함한다.
도 8 및 도 9는 도 7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OFF-RS 보상을 수행하는 방법을 구체화한 흐름도들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이전 OFF-RS 센싱 데이터를 도 6에 도시한 제2메모리영역(420)에 백업해 놓는다(S810).
다음으로 ADC(220)를 통해 OFF-RS 센싱 데이터를 검출한다(S820).
다음으로 보상 데이터(Data')에 해당 서브픽셀의 휘도를 보상한 보상값이 아닌 특정 표기된 데이터가 들어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보상 데이터에 표시하는 코드인 BPC 코드 발생 횟수를 검출한다(S825).
다음으로 센싱 데이터가 비정상인지 판단하기 위해, OFF-RS 진행시 각 서브픽셀의 센싱 데이터들이 최대 문턱전압을 초과하는 서브픽셀들의 최대 개수를 초과하거나 BPC 코드 발생 회수가 지정된 최대 BPC 코드 발생 횟수를 초과하는지 판단한다(S830).
만약, S830단계에서 "예"에 해당하면 OFF-RS 에러 횟수에 1을 추가한다(S840). OFF-RS 에러 회수가 최대 OFF-RS 에러 횟수를 초과하는지 판단한다(S850). 다시 말해 S850단계에서 센싱 데이터가 비정상 또는 OFF-RS의 실패로 판단한다. 예를 들어 최대 OFF-RS 에러 횟수는 1 또는 2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만약 S850단계에서 "예"이면(센싱 데이터가 비정상 또는 OFF-RS의 실패로 판단하면) OFF-RS 복구를 시작한다(S860).
S830단계에서 "아니오"에 해당하면(센싱 데이터가 정상 또는 OFF-RS의 성공으로 판단하면) OFF-RS 센싱 데이터를 메모리(400)의 제1메모리영역(410)에 저장하고 제2메모리영역(420)에 백업해 놓은 기존 OFF-RS 센싱 데이터를 삭제한다(S870).
도 9를 참조하면, OFF-RS 복구를 시작하면 제1메모리영역(410)에 저장된 OFF-RS 센싱 데이터를 삭제하고 제2메모리영역(420)에 저장된 이전 OFF-RS 센싱 데이터를 제1메모리영역(410)으로 이동한다(S880).
센싱 데이터의 비정상 또는 OFF-RS의 실패 여부에 관계없이 표시장치(100)의 전원 온시 타이밍 제1메모리영역(410)에 저장된 OFF-RS 센싱 데이터에 근거하여 각 서브픽셀로 공급하는 데이터(Data)를 해당 서브픽셀의 휘도 보상을 위한 보상 데이터(Data')로 변경한다.
전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OFF-RS 픽셀 보상 진행 시 발행하는 문제점을 미리 파악하고 재진행을 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OFF-RS 픽셀 보상이 정상진행이 되었지만 화면상으로 문제가 있을 경우 이전 센싱 데이터를 근거로 데이터를 보상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모리(400)는 OFF-RS 센싱 데이터(Dsen1, Dsen2, Dsen3, ...)를 저장하는 제1메모리영역(410), RT 센싱 데이터(Dsen1, Dsen2, Dsen3, ...)를 저장하는 제3메모리영역(430), 최초 센싱 데이터 또는 보상 데이터(Data')를 저장하는 제2메모리영역(420)을 포함한다.
이때 제2메모리영역(1020)이 수정되지 않고 OFF-RS 보상시 OFF-RS 센싱 데이터만 업데이트를 진행한다. 그러나 도 7 내지 도 9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OFF-RS 센싱 데이터가 비정상이거나 OFF-RS 실패와 같은 발생하였을 때에는 OFF-RS 센싱 데이터를 지울 수 있고 OFF-RS 센싱 데이터를 삭제하더라도 제2메모리영역(420)에 저장된 센싱 데이터 또는 보상 데이터는 최초 센싱 데이터 또는 보상 데이터이므로 트랜지스터의 특성치의 변화를 반영하지 못하게 된다.
표시패널(110)에 존재하는 많은 불량 중 하나는 OFF-RS 동작 후 화상이 변질되는 문제이다. 이러한 문제는 대부분 OFF-RS 센싱 데이터를 삭제한 후 다시 OFF-RS 동작을 수행하면 화면이 정상적으로 돌아오게 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화상이 변질되어 화면에 문제가 생겼을 때 최신 OFF-RS 데이터를 삭제하고 화상을 원상회복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도 10은 화상이 변질되어 화면에 문제가 생겼을 때 최신 OFF-RS 데이터를 삭제하고 화상을 원상회복하는 과정들을 도시하고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140)는 도 10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OFF-RS 보상을 수행할 때 제1메모리영역(410)에 저장된 기존 OFF-RS 센싱 데이터를 제2메모리영역(420)에 저장해 놓는다.
타이밍 컨트롤러(140)는 외부 호스트 시스템으로부터 OFF-RS 센싱 데이터를 삭제하는 신호를 수신하면, 도 10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메모리영역(410)에 저장된 최신 OFF-RS 센싱 데이터를 삭제한다. 이때 표시장치(100) 또는 표시장치(100)가 포함된 전자제품에 OFF-RS 센싱 데이터를 삭제할 수 있는 버튼을 누르면 특정 인터페이스, 예를 들어 I2C를 통해 외부 호스트 시스템은 타이밍 컨트롤러(140)에 OFF-RS 센싱 데이터를 삭제하는 신호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제품은, 텔레비젼 시스템, 홈 시어터 시스템, 셋톱박스, 네비게이션 시스템, DVD 플레이어, 블루레이 플레이어, 개인용 컴퓨터(PC), 폰 시스템(Phone system), 노트북, 모니터 등 표시장치(100)를 포함하는 전자제품을 의미한다.
타이밍 컨트롤러(140)는 도 10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메모리영역(420)에 저장된 이전 OFF-RS 센싱 데이터를 제1메모리영역(410)으로 이동한다. 결과적으로 제1메모리영역(410)에 OFF-RS 센싱 데이터를 저장하나 최신 OFF-RS 센싱 데이터가 저장된 것이 아니라 이전 OFF-RS 센싱 데이터가 저장된다. 따라서, 다음 표시장치(100)의 전원 온시 타이밍 컨트롤러(140)는 제1메모리영역(410)에 저장된 OFF-RS 센셍 데이터에 기초하여 각 서브픽셀의 데이터(Data)를 보상 데이터(Data')로 변환한다.
도 10에 도시한 메모리 구조를 이용하여 OFF-RS의 실패시 이전 OFF-RS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각 서브픽셀의 데이터(Data)를 보상 데이터(Data')로 변환하는 점에서 기존 메모리 구조를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1은 메모리의 다른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메모리(40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OFF-RS 센싱 데이터(Dsen1, Dsen2, Dsen3, ...)를 저장하는 제1메모리영역(1010), RT 센싱 데이터(Dsen1, Dsen2, Dsen3, ...)를 저장하는 제3메모리영역(1030), 최초 센싱 데이터 또는 보상 데이터(Data')를 저장하는 제2메모리영역(1020)을 포함하는 점은 도 6에 도시한 메모리(400)와 동일하다. 도 10에 도시한 메모리(400)는 OFF-RS 센싱 데이터(Dsen1, Dsen2, Dsen3, ...)를 저장하는 제1메모리영역(1010)이 두개의 메모리영역들(1010a, 1010b)로 나누어져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140)는 도 1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OFF-RS 보상시 두개의 제1메모리영역들(1010a, 1010b) 중 하나(1010a)에 센싱 데이터를 저장한다. 타이밍 컨트롤러(140)는 도 1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음 OFF-RS 보상시 다른 제1메모리영역(1010b)에 센싱 데이터를 저장하고 이전 센싱 데이터를 하나의 제1메모리영역(1010a)에서 삭제한다.
타이밍 컨트롤러(140)는 도 11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OFF-RS 보상을 수행할 때 제1메모리영역(1010b)에 저장된 기존 OFF-RS 센싱 데이터를 제2메모리영역(420)에 저장해 놓는다.
타이밍 컨트롤러(140)는 외부 호스트 시스템으로부터 OFF-RS 센싱 데이터를 삭제하는 신호를 수신하면, 도 10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메모리영역(1010a)에 저장된 최신 OFF-RS 센싱 데이터를 삭제한다. 이때 표시장치(100) 또는 표시장치(100)가 포함된 전자제품에 OFF-RS 센싱 데이터를 삭제할 수 있는 버튼을 누르면 특정 인터페이스, 예를 들어 I2C를 통해 외부 호스트 시스템은 타이밍 컨트롤러(140)에 OFF-RS 센싱 데이터를 삭제하는 신호를 제공한다.
타이밍 컨트롤러(140)는 도 10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메모리영역(1020)에 저장된 이전 OFF-RS 센싱 데이터를 제1메모리영역(1010a)으로 이동한다. 결과적으로 제1메모리영역(1010a)에 OFF-RS 센싱 데이터를 저장하나 최신 OFF-RS 센싱 데이터가 저장된 것이 아니라 이전 OFF-RS 센싱 데이터가 저장된다. 따라서, 다음 표시장치(100)의 전원 온시 타이밍 컨트롤러(140)는 제1메모리영역(1010a)에 저장된 OFF-RS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각 서브픽셀의 데이터(Data)를 보상 데이터(Data')로 변환한다.
만약 다른 제1메모리영역(1010b)에 최신 OFF-RS 센싱 데이터를 저장해야 할 경우 타이밍 컨트롤러(140)는 다른 제1메모리영역(1010b)에 저장된 최신 OFF-RS 센싱 데이터를 삭제하고 제2메모리영역(1020)에 저장된 기존 OFF-RS 센싱 데이터를 다른 제1메모리영역(1010b)으로 이동한다.
다음 표시장치(100)의 전원 온시 타이밍 컨트롤러(140)는 다른 제1메모리영역(1010a)에 저장된 OFF-RS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각 서브픽셀의 데이터(Data)를 보상 데이터(Data')로 변환한다.
위와 같이 OFF-RS 동작을 진행을 하면 OFF-RS시에 문제가 발생했을 때 최신 OFF-RS 센싱 데이터를 삭제하고 이전 OFF-RS 센싱 데이터를 저장해 놓고 각 서브픽셀의 데이터를 보상하므로 OFF-RS시 발생한 문제가 사라진다. 특히 OFF-RS 동작 진행 중 발생하는 문제를 사용자나 전자제품 완성품 업체에서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2 메모리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메모리(400)는 OFF-RS 센싱 데이터(Dsen1, Dsen2, Dsen3, ...)를 저장하는 제1메모리영역(1210), RT 센싱 데이터(Dsen1, Dsen2, Dsen3, ...)를 저장하는 제3메모리영역(1230), 최초 센싱 데이터 또는 보상 데이터(Data')를 저장하는 제2메모리영역(1220)을 포함하는 점은 도 11에 도시한 메모리(400)와 동일하다. 도 12에 도시한 메모리(400)는 OFF-RS 센싱 데이터(Dsen1, Dsen2, Dsen3, ...)를 저장하는 제1메모리영역(1010)이 세개의 메모리영역들(1010a, 1010b, 1010c)로 나누어져 있다.
도 11에 도시한 메모리 구조를 이용하여 타이밍 컨트를러(140)가 이전 OFF-RS 센싱 데이터를 제2메모리영역(1220)에 백업해 놓지만 도 12에 도시한 메모리 구조를 이용할 경우 타이밍 컨트롤러(140)는 세번째 제1메모리영역(1212c)에 이전 OFF-RS 센싱 데이터를 저장해 놓고 OFF-RS 불량, 예를 들어 일회성 또는 단말성 OFF-RS 불량시 두개의 제1메모리영역들(1210a, 1210b) 중 하나에 저장된 최신 OFF-RS 센싱 데이터를 삭제하고 세번째 제1메모리영역(1210c)에 저장된 이전 OFF-RS 센싱 데이터를 해당 제1메모리영역로 이동한다.
이를 통해 단발성 OFF_RS 불량에 의한 표시장치의 폐기 비용을 절감하고 최신 OFF_RS 센싱 데이터 삭제시 제2메모리영역(1220)에 저장된 최초 센싱 데이터 또는 보상 데이터를 삭제하지 않고 단말성 OFF-RS 불량시 문턱전압 이동에 따라 화상 변질 문제를 백업된 OFF_RS 센싱 데이터를 활용하여 해결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메모리(400)가 타이밍 컨트롤러(140)와 별도로 구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3은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데이터 구동부 및 제어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어장치(1300)는 타이밍 컨트롤러(140')과 메모리(400')를 포함한다. 제어장치(1300)는 하나의 집적회로로 구현할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140')는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메모리(400)의 저장된 센싱 데이터를 근거로 데이터를 보상하는 타이밍 컨트롤러(14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다.
메모리(400')는 도 6 및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 전솔한 메모리(4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OFF-RS 센싱 데이터에 근거하여 해당 서브픽셀로 공급하는 데이터(Data)를 변경하되 OFF-RS 센싱 데이터가 비정상인 경우 이전 OFF-RS 센싱 데이터에 근거하여 해당 서브픽셀로 공급하는 데이터(Data)를 변경하는 OFF-RS 보상을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RT 센싱 데이터에 근거하여 해당 서브픽셀로 공급하는 데이터(Data)를 변경하되 RT 센싱 데이터가 비정상인 경우 이전 RT 센싱 데이터에 근거하여 해당 서브픽셀로 공급하는 데이터(Data)를 변경하는 RT 보상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도 10에서 OFF-RS 센싱 데이터를 제2메모리영역(420)에 저장해 놓았다가 OFF-RS 센싱 데이터가 비정상인 경우 이전 OFF-RS 센싱 데이터를 제1메모리영역(410)으로 이동하는 것과 동일하게 RT 센싱 데이터를 제2메모리영역(420)에 저장해 놓았다가 RT 센싱 데이터가 비정상인 경우 이전 RT 센셍 데이터를 제3메모리영역(430)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에서 제1메모리영역(1010, 1230)이 각각 두개 또는 세개의 메모리영역들로 구분된 것을 설명하였으나 동일하게 제3메모리영역(1030, 1230)도 각각 두개 또는 세개의 메모리영역들로 구분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픽셀 보상 진행 시 발행하는 문제점을 미리 파악하고 재 진행을 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픽셀 보상이 정상진행이 되었지만 화면상으로 문제가 있을 경우 이전 센싱 데이터를 근거로 데이터를 보상할 수 있다.
이상에서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구성의 결합, 분리, 치환 및 변경 등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표시장치
111: 표시패널
120: 데이터 구동부
130: 게이트 구동부
140: 타이밍 컨트롤러
200: 데이터 구동 집적회로
210: DAC (Digital Analog Converter)
220: ADC (Analog Digital Converter)
400: 메모리

Claims (14)

  1. 데이터 라인들 및 게이트 라인들이 형성되고, 상기 데이터 라인들 및 상기 게이트 라인들이 교차하는 지점마다 서브픽셀이 형성되며, 상기 서브픽셀 열 내 회로와 연결되는 센싱 라인이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서브픽셀 열마다 하나씩 형성된 표시패널;
    상기 데이터 라인들로 데이터 전압을 공급하는 데이터 구동부;
    상기 각 센싱 라인에 대응되는 센싱채널을 통해 측정된 센싱 전압을 디지털 형태의 센싱 데이터로 변환하는 ADC(Analog Digital Converter); 및
    상기 데이터 구동부를 제어하며, 상기 센싱 데이터에 근거하여 해당 서브픽셀로 공급하는 데이터를 변경하되 상기 센싱 데이터가 비정상인 경우 이전 센싱 데이터에 근거하여 해당 서브픽셀로 공급하는 데이터를 변경하는 픽셀 보상을 수행하는 타이밍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는,
    상기 표시장치의 전원 오프 신호 발생 시, 각 서브픽셀 내 트랜지스터의 문턱전압을 보상하는 상기 픽셀 보상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표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각 서브픽셀의 센싱 데이트를 저장하는 제1메모리영역과 최초 각 서브픽셀의 센싱 데이터 또는 보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2메모리영역을 포함하는 메모리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는, 상기 픽셀 보상시 이전 센싱 데이터를 제2메모리영역에 백업하고 상기 센싱 데이터가 비정상인 경우 제2메모리영역에 저장된 이전 센싱 데이터를 제1메모리영역으로 이동하여 제1메모리영역에 저장된 센싱 데이터에 근거하여 해당 서브픽셀로 공급하는 데이터를 변경하는 픽셀 보상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각 서브픽셀의 센싱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1메모리영역과 최초 각 서브픽셀의 센싱 데이터 또는 보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2메모리영역을 포함하는 메모리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는, 외부 호스트 시스템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면 이전 센싱 데이터를 제2메모리영역에 백업하고 상기 센싱 데이터가 비정상인 경우 제2메모리영역에 저장된 이전 센싱 데이터를 제1메모리영역으로 이동하여 제1메모리영역에 저장된 센싱 데이터에 근거하여 해당 서브픽셀로 공급하는 데이터를 변경하는 픽셀 보상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메모리영역은 두개의 메모리영역들로 구분되고, 두개의 메모리영역들에 픽셀 보상마다 순차적으로 최신 센싱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을 특정으로 하는 표시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각 서브픽셀의 센싱 데이터를 저장하는 세개의 메모리영역들로 구분되는 제1메모리영역과 최초 각 서브픽셀의 센싱 데이터 또는 보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2메모리영역을 포함하는 메모리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는, 상기 제1메모리영역의 세개의 메모리영역들 중 두개의 메모리영역들에 픽셀 보상마다 순차적으로 최신 센싱 데이터를 저장하고, 이전 센싱 데이터를 상기 제1메모리영역의 세개의 메모리영역들 중 하나에 백업하고 상기 센싱 데이터가 비정상인 경우 상기 제1메모리영역의 세개의 메모리영역들 중 하나에 저장된 이전 센싱 데이터를 제1메모리영역의 두개의 메모리영역들 중 하나로 이동하여 메모리영역의 두개의 메모리영역들 중 하나 저장된 센싱 데이터에 근거하여 해당 서브픽셀로 공급하는 데이터를 변경하는 픽셀 보상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는,
    각 서브픽셀의 센싱 데이터들이 최대 문턱전압을 초과하는 서브픽셀들의 최대 개수를 초과하거나 최대 회수를 초과하여 보상 데이터에 보상값이 아닌 특정 표기된 데이터가 들어있으면 센싱 데이터가 비정상인 것을 판단하는 것으로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8. 데이터 구동부를 제어하며, 센싱 데이터에 근거하여 해당 서브픽셀로 공급하는 데이터를 변경하되 상기 센싱 데이터가 비정상인 경우 이전 센싱 데이터에 근거하여 해당 서브픽셀로 공급하는 데이터를 변경하는 픽셀 보상을 수행하는 타이밍 컨트롤러; 및
    상기 센싱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제어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는,
    상기 표시장치의 전원 오프 신호 발생 시, 각 서브픽셀 내 트랜지스터의 문턱전압을 보상하는 상기 픽셀 보상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각 서브픽셀의 센싱 데이트를 저장하는 제1메모리영역과 최초 각 서브픽셀의 센싱 데이터 또는 보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2메모리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는, 상기 픽셀 보상시 이전 센싱 데이터를 제2메모리영역에 백업하고 상기 센싱 데이터가 비정상인 경우 제2메모리영역에 저장된 이전 센싱 데이터를 제1메모리영역으로 이동하여 제1메모리영역에 저장된 센싱 데이터에 근거하여 해당 서브픽셀로 공급하는 데이터를 변경하는 픽셀 보상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각 서브픽셀의 센싱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1메모리영역과 최초 각 서브픽셀의 센싱 데이터 또는 보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2메모리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는, 외부 호스트 시스템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면 이전 센싱 데이터를 제2메모리영역에 백업하고 상기 센싱 데이터가 비정상인 경우 제2메모리영역에 저장된 이전 센싱 데이터를 제1메모리영역으로 이동하여 제1메모리영역에 저장된 센싱 데이터에 근거하여 해당 서브픽셀로 공급하는 데이터를 변경하는 픽셀 보상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메모리영역은 두개의 메모리영역들로 구분되고, 두개의 메모리영역들에 픽셀 보상마다 순차적으로 최신 센싱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을 특정으로 하는 제어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각 서브픽셀의 센싱 데이터를 저장하는 세개의 메모리영역들로 구분되는 제1메모리영역과 최초 각 서브픽셀의 센싱 데이터 또는 보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2메모리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는, 상기 제1메모리영역의 세개의 메모리영역들 중 두개의 메모리영역들에 픽셀 보상마다 순차적으로 최신 센싱 데이터를 저장하고, 이전 센싱 데이터를 상기 제1메모리영역의 세개의 메모리영역들 중 하나에 백업하고 상기 센싱 데이터가 비정상인 경우 상기 제1메모리영역의 세개의 메모리영역들 중 하나에 저장된 이전 센싱 데이터를 제1메모리영역의 두개의 메모리영역들 중 하나로 이동하여 메모리영역의 두개의 메모리영역들 중 하나 저장된 센싱 데이터에 근거하여 해당 서브픽셀로 공급하는 데이터를 변경하는 픽셀 보상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장치.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는,
    각 서브픽셀의 센싱 데이터들이 최대 문턱전압을 초과하는 서브픽셀들의 최대 개수를 초과하거나 최대 회수를 초과하여 보상 데이터에 보상값이 아닌 특정 표기된 데이터가 들어있으면 센싱 데이터가 비정상인 것을 판단하는 것으로 특징으로 하는 제어장치.
KR1020140143633A 2014-10-22 2014-10-22 표시장치 및 제어장치 KR1021849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3633A KR102184906B1 (ko) 2014-10-22 2014-10-22 표시장치 및 제어장치
US14/880,747 US9881557B2 (en) 2014-10-22 2015-10-12 Display device and control device
CN201510686355.5A CN105551415B (zh) 2014-10-22 2015-10-21 显示装置和控制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3633A KR102184906B1 (ko) 2014-10-22 2014-10-22 표시장치 및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7675A true KR20160047675A (ko) 2016-05-03
KR102184906B1 KR102184906B1 (ko) 2020-12-02

Family

ID=55792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3633A KR102184906B1 (ko) 2014-10-22 2014-10-22 표시장치 및 제어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881557B2 (ko)
KR (1) KR102184906B1 (ko)
CN (1) CN105551415B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5387A (ko) * 2016-08-30 2018-03-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표시장치, 컨트롤러
KR20190016829A (ko) * 2017-08-09 2019-02-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CN110998704A (zh) * 2017-07-21 2020-04-10 硅工厂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感测电路和源极驱动器集成电路
US11030927B2 (en) 2018-11-06 2021-06-08 Samsung Display Co., Ltd. Method of performing a sensing operation in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US20220178692A1 (en) * 2017-12-21 2022-06-09 Mindmaze Holding Sa System, method and apparatus of a motion sensing stack with a camera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6346B1 (ko) * 2016-04-26 2022-06-10 주식회사 엘엑스세미콘 화소센싱장치 및 패널구동장치
CN106328059B (zh) * 2016-09-07 2017-10-2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用于电学补偿的存储器中数据更新的方法和装置
KR102335407B1 (ko) * 2017-04-07 2021-12-06 주식회사 엘엑스세미콘 픽셀 보상 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
CN107633810B (zh) * 2017-10-27 2019-10-1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像素电路补偿方法及装置、显示面板和显示装置
CN107863054A (zh) * 2017-11-07 2018-03-30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修复感测信号线的方法、装置和显示装置
KR102510912B1 (ko) * 2018-03-19 2023-03-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크랙 검사 방법
CN108806609B (zh) * 2018-06-15 2020-03-3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数据处理方法及其装置、介质
CN110400548B (zh) * 2019-07-05 2021-02-02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显示器的白平衡调整系统及其调整方法
TWI749689B (zh) * 2019-09-08 2021-12-11 聯詠科技股份有限公司 用於觸控顯示裝置之驅動系統、感測方法及驅動電路
CN110930913B (zh) * 2019-12-10 2021-10-2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补偿数据、数据的检测方法及其装置、显示面板
KR20220011835A (ko) * 2020-07-21 2022-02-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잔상 보상을 수행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잔상 보상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15244A1 (en) * 2005-11-22 2007-05-24 Samsung Electronic Co., Ltd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20110084955A1 (en) * 2009-10-12 2011-04-14 Yang-Wan Kim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US20140294090A1 (en) * 2013-03-29 2014-10-02 Mediatek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rranging pixels of picture in storage units each having storage size not divisible by pixel siz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12455B2 (ja) * 1999-10-07 2005-01-19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データ記録・再生装置、映像データの記録・再生方法およびディスクドライブユニット
GB0323767D0 (en) * 2003-10-10 2003-11-12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s
KR100568592B1 (ko) * 2003-12-30 2006-04-07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표시장치와 그의 구동방법
JP2006309104A (ja) * 2004-07-30 2006-11-09 Sanyo Electric Co Ltd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駆動型表示装置
CN101320179B (zh) 2007-06-06 2011-07-27 奇美电子股份有限公司 液晶显示装置
KR101416904B1 (ko) * 2007-11-07 2014-07-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화소 구동 장치
US8405582B2 (en) * 2008-06-11 2013-03-26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1331750B1 (ko) * 2009-09-04 2013-11-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101388286B1 (ko) 2009-11-24 2014-04-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CN102750903B (zh) 2012-06-28 2015-07-01 昆山工研院新型平板显示技术中心有限公司 有机发光显示器系统及其消除亮度不均匀的方法
KR101975215B1 (ko) * 2012-12-17 2019-08-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2051633B1 (ko) * 2013-05-27 2019-12-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화소,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1703748B1 (ko) * 2014-05-12 2017-02-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생체 효과 영상을 제공하는 전자 기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15244A1 (en) * 2005-11-22 2007-05-24 Samsung Electronic Co., Ltd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20110084955A1 (en) * 2009-10-12 2011-04-14 Yang-Wan Kim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US20140294090A1 (en) * 2013-03-29 2014-10-02 Mediatek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rranging pixels of picture in storage units each having storage size not divisible by pixel siz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5387A (ko) * 2016-08-30 2018-03-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표시장치, 컨트롤러
CN110998704A (zh) * 2017-07-21 2020-04-10 硅工厂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感测电路和源极驱动器集成电路
CN110998704B (zh) * 2017-07-21 2022-06-03 硅工厂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感测电路和源极驱动器集成电路
KR20190016829A (ko) * 2017-08-09 2019-02-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US20220178692A1 (en) * 2017-12-21 2022-06-09 Mindmaze Holding Sa System, method and apparatus of a motion sensing stack with a camera system
US11030927B2 (en) 2018-11-06 2021-06-08 Samsung Display Co., Ltd. Method of performing a sensing operation in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551415B (zh) 2018-06-15
US9881557B2 (en) 2018-01-30
KR102184906B1 (ko) 2020-12-02
US20160117974A1 (en) 2016-04-28
CN105551415A (zh) 2016-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47675A (ko) 표시장치 및 제어장치
KR102493643B1 (ko) 표시장치
KR102167246B1 (ko) 표시장치
CN108021270B (zh) 触摸传感器集成型电致发光显示装置
KR102288961B1 (ko) 유기발광표시패널,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2274698B1 (ko) 표시패널의 분할 구동을 제어하는 타이밍 컨트롤러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
KR102537376B1 (ko) 게이트 구동 방법, 센싱 구동 방법, 게이트 드라이버 및 유기발광표시장치
KR20210039556A (ko)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 구동 방법
KR20200041208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패널
KR20170026929A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2577409B1 (ko) 리셋회로,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2449681B1 (ko) 유기발광표시패널,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200005347A (ko) 유기발광표시장치, 데이터구동회로, 컨트롤러 및 구동방법
KR102423045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2437684B1 (ko) 표시장치
KR20160082852A (ko)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2549884B1 (ko) 표시장치 및 이의 리페어 방법
KR102561589B1 (ko) 게이트 구동 방법, 센싱 구동 방법, 게이트 드라이버 및 유기발광표시장치
KR102215935B1 (ko)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2228631B1 (ko) 표시장치, 표시패널 및 타이밍 컨트롤러
KR102182190B1 (ko) 표시장치 및 타이밍 컨트롤러
KR102453087B1 (ko) 표시장치 및 데이터 구동부, 표시장치의 데이터 보상 방법
KR102249546B1 (ko) 표시장치
JP2009216852A (ja) 電気光学装置及び電気光学装置の駆動方法
KR20160089648A (ko) 제어회로장치 및 이를 포함한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