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7067A - 오실레이팅 쏘우 장치 - Google Patents

오실레이팅 쏘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7067A
KR20160047067A KR1020140142801A KR20140142801A KR20160047067A KR 20160047067 A KR20160047067 A KR 20160047067A KR 1020140142801 A KR1020140142801 A KR 1020140142801A KR 20140142801 A KR20140142801 A KR 20140142801A KR 20160047067 A KR20160047067 A KR 201600470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w
cam
lever
rotary cam
operation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2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명수
Original Assignee
박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명수 filed Critical 박명수
Priority to KR10201401428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47067A/ko
Publication of KR20160047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70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4Surgical saws ;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4Surgical saws ; Accessories therefor
    • A61B17/142Surgical saws ; Accessories therefor with reciprocating saw blades, e.g. with cutting edges at the distal end of the saw bla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4Surgical saws ; Accessories therefor
    • A61B17/15Guid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068Surgical cutting instruments using mechanical vibrations, e.g. ultrason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13Component parts
    • A61B17/1628Motors; Power suppl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13Component parts
    • A61B17/1631Special drive shafts, e.g. flexible shaf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367Details of actuation of instruments, e.g. relations between pushing buttons, or the like, and activation of the tool, working tip, or the like
    • A61B2017/00398Details of actuation of instruments, e.g. relations between pushing buttons, or the like, and activation of the tool, working tip, or the like using powered actuators, e.g. stepper motors, soleno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016Endoscopic cutting instruments, e.g. arthroscopes, resectoscopes
    • A61B17/32002Endoscopic cutting instruments, e.g. arthroscopes, resectoscopes with continuously rota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cutting instruments
    • A61B2017/320028Endoscopic cutting instruments, e.g. arthroscopes, resectoscopes with continuously rota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cutting instruments with reciprocating move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오실레이팅 쏘우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실레이팅 쏘우 장치는 ⅰ)건 몸체의 손잡이 부분에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구동 모터와, ⅱ)세 개의 캠 돌기를 외주 연에 형성하고 구동 모터와 연결되며, 구동 모터에 대응하는 수직 방향의 회전 중심선 상에 배치되는 로터리 캠과, ⅲ)구동 모터에 수직한 수평 방향으로 건 몸체의 건 부분에 배치되고, 캠 돌기와 선택적으로 캠 접촉하며 건 부분에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작동 레버와, ⅳ)구동 모터의 회전 동력을 로터리 캠을 통해 작동 레버로 전달하는 동력전달 경로와 일 직선 상에 위치하며, 작동 레버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쏘우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오실레이팅 쏘우 장치 {OSCILLATING SAW DEVICE}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오실레이팅 쏘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정형외과 수술에서 뼈를 절개 또는 절단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는 수술용 오실레이팅 쏘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외과 수술에서 사용하는 수술용 의료 기계는 뼈를 절개 및 절단하고, 뼈에 구멍을 뚫거나 핀을 삽입하기 위한 오실레이팅 쏘우 장치 및 드릴 장치를 예로 들 수 있다.
이 중에서 오실레이팅 쏘우(Oscillating Saw) 장치는 의료용 핸드 피스의 일종으로, 정형외과 수술 시, 쏘우를 통해 뼈를 절삭하는 용도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오실레이팅 쏘우 장치는 무릎 인공관절 및 엉덩이 관절(고관절) 치환술 등에서 뼈를 절단하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수술용 오실레이팅 쏘우 장치는 모터와 같은 구동수단에 의하여 쏘우를 좌우 방향으로 고속 회전시키며 뼈를 절단하는 자동 방식이 주를 이루고 있다.
예를 들면, 수술용 오실레이팅 쏘우 장치는 전동 공구와 같이 조작버튼을 지닌 건 형상의 본체에 구성되며, 구동수단을 통하여 쏘우를 좌우 방향으로 반복 회전시키며 뼈를 절단할 수 있다.
이러한 오실레이팅 쏘우 장치는 본체에 설치되는 모터로서의 구동수단과, 구동수단의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과, 동력전달수단에 연결되며 구동수단의 회전운동을 좌우 반복 회전운동으로 전환하는 방향전환수단과, 방향전환수단에 연결되며 쏘우를 체결하는 체결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오실레이팅 쏘우 장치는 구동수단의 회전 동력을 동력전달수단을 통해 방향전환수단으로 전달하며, 그 방향전환수단을 통해 구동수단의 회전 운동을 좌우 반복 회전운동으로 전환시킴으로써 쏘우를 좌우 방향으로 반복 회전시키며 뼈를 절단할 수 있다.
여기서, 오실레이팅 쏘우 장치는 구동수단의 회전동력을 동력전달수단을 통해 방향전환수단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 경로를 기준할 때, 쏘우가 동력전달 경로의 일직 선 상에 위치하고 있지 않다.
즉, 쏘우는 동력전달 방향(수평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동력전달 경로와 일정 거리를 두고 체결수단을 통해 방향전환수단과 연결되며 그 방향전환수단과 수직 방향으로 일정 거리 떨어지며 수평 방향으로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오실레이팅 쏘우 장치는 쏘우가 동력전달 경로의 일직 선 상에 위치하지 않고, 방향전환수단과 수직 방향으로 일정 거리 떨어져 고정되어 있으므로, 뼈를 아래에서 위로 절단할 때 본체를 거꾸로 뒤집어야 하는 등의 불편함을 야기할 수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쏘우가 동력전달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동력전달 경로와 일정 거리를 두고 체결수단을 통해 방향전환수단과 연결되므로, 쏘우의 좌우 반복 회전 시 소음 및 진동이 발생할 수 있고, 동력전달 효율에 불리하며, 전체적인 구조 및 조립 작업이 복잡하고, 부품수의 증가로 인한 제작 원가의 상승을 초래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4-0004883호 (2014. 01. 14. 공개)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어느 위치에서도 편리하게 뼈를 절단할 수 있고, 소음 및 진동을 최소화시키며 동력전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부품 수를 줄일 수 있으며, 전체적인 구조 및 조립을 단순화시킬 수 있도록 한 오실레이팅 쏘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실레이팅 쏘우 장치는, ⅰ)건 몸체의 손잡이 부분에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구동 모터와, ⅱ)세 개의 캠 돌기를 외주 연에 형성하고 상기 구동 모터와 연결되며, 상기 구동 모터에 대응하는 수직 방향의 회전 중심선 상에 배치되는 로터리 캠과, ⅲ)상기 구동 모터에 수직한 수평 방향으로 상기 건 몸체의 건 부분에 배치되고, 상기 캠 돌기와 선택적으로 캠 접촉하며 상기 건 부분에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작동 레버와, ⅳ)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 동력을 상기 로터리 캠을 통해 상기 작동 레버로 전달하는 동력전달 경로와 일 직선 상에 위치하며, 상기 작동 레버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쏘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오실레이팅 쏘우 장치는, 상기 로터리 캠의 회전 중심선과 상기 작동 레버의 회전 중심선이 서로 평행하게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오실레이팅 쏘우 장치는, 상기 구동 모터의 구동 중심점, 상기 로터리 캠의 회전 중심점 및 상기 작동 레버의 회전 중심점이 일 직선 상에 위치하며 직렬 동력전달 계통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오실레이팅 쏘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작동 레버는 레버 회전축을 통해 상기 건 부분에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오실레이팅 쏘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버 회전축의 상단 및 하단에는 상기 건 부분으로 지지되는 레버 베어링이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오실레이팅 쏘우 장치는, 상기 쏘우를 통해 전달되는 하중을 상기 레버 베어링이 감당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오실레이팅 쏘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 캠은 기어들을 통해 상기 구동 모터의 구동축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오실레이팅 쏘우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어들은 상기 구동 모터의 구동축에 연결되는 구동 기어와, 상기 구동 기어와 치합되며 상기 로터리 캠과 결합되는 종동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오실레이팅 쏘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종동 기어 및 로터리 캠은 캠 회전축에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오실레이팅 쏘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캠 회전축의 상단 및 하단에는 상기 건 부분으로 지지되는 캠 베어링이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오실레이팅 쏘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 캠은 삼각 단면의 형상을 지니며 외주 연에 상기 캠 돌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오실레이팅 쏘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작동 레버는 상기 로터리 캠을 감싸는 한 쌍의 포크를 지니며 상기 캠 돌기와 캠 접촉하는 포크부와, 상기 포크부에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건 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바디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오실레이팅 쏘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레버 베어링을 통해 상기 건 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레버 회전축과, 상기 쏘우의 결합 단부를 지지하는 척킹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오실레이팅 쏘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척킹홈에는 상기 쏘우의 결합 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유닛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오실레이팅 쏘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쏘우는 상기 고정유닛에 의해 상기 작동 레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탈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오실레이팅 쏘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쏘우의 결합 단부에는 상기 작동 레버의 길이 방향을 따라 탈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오실레이팅 쏘우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작동 레버의 척킹홈에 끼워진 상기 쏘우의 결합 단부를 지지하고 상기 쏘우의 탈착홈을 통해 상기 척킹홈 부위를 관통하며 결합되는 체결부재와, 상기 체결부재의 관통 단에 체결되는 나비형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오실레이팅 쏘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작동 레버의 척킹홈에 끼워진 상기 쏘우의 결합 단부를 지지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나비형 너트와 체결되는 나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오실레이팅 쏘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의 가장자리 측에는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오실레이팅 쏘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의 척킹홈 가장자리 측에는 상기 결합홈에 끼워지는 결합 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오실레이팅 쏘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쏘우는 상기 지지판과 척킹홈 사이에서 상기 작동 레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며 상기 탈착홈을 통해 상기 나사부로부터 이탈되거나 그 나사부에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구동 모터의 구동 중심점, 로터리 캠의 회전 중심점, 작동 레버의 회전 중심점 및 쏘우의 고정 중심점이 수평 방향으로 연결되는 일 직선 상에 위치하며 직렬 동력전달 계통을 형성하므로,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뼈를 아래에서 위로 절단할 때 본체를 거꾸로 뒤집어야 하는 등의 불편함을 해소하여 어느 위치에서도 뼈를 편리하게 절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쏘우의 동력전달을 직렬 계통으로 구현함에 따라 동력전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소음 및 진동을 최소화시킬 수 있고, 부품 수를 줄일 수 있으며, 전체적인 구조 및 조립을 단순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쏘우를 고정하는 고정유닛을 해체하지 않고서도 그 쏘우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작동 레버의 척킹홈에 탈착시킬 수 있으므로, 쏘우의 분리 및 교체 작업을 단순하고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뼈를 절단하는 과정에 쏘우를 통해 전달되는 축 하중을 레버 베어링이 감당하게 되므로, 축 하중이 로터리 캠을 통해 구동 모터에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구동 모터의 용량 및 크기를 줄일 수 있으며, 비교적 작은 모터 용량으로도 쏘우에 대한 동력전달 토크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축 하중이 작동 레버를 통해 로터리 캠으로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로터리 캠과 작동 레버 간의 마찰, 마모 및 소음을 최소화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구동 모터를 건 몸체의 손잡이 부분에 수직 방향으로 배치하므로, 전체적인 구조 및 조립이 간단하고, 제작 원가를 줄일 수 있으며, 로터리 캠에 대한 그리스 실링이 간단하고, 건 몸체에 작용하는 회전 모멘트를 줄임으로써 사용자의 손으로 전달되는 하중의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로터리 캠의 무게 중심이 캠 회전축의 축 상에 위치하며 로터리 캠이 상시 접촉 마찰 상태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로터리 캠의 회전 진동, 소음 및 충격을 줄일 수 있다.
이 도면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는데 참조하기 위함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한 도면에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실레이팅 쏘우 장치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실레이팅 쏘우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실레이팅 쏘우 장치를 도시한 정면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실레이팅 쏘우 장치를 도시한 평면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실레이팅 쏘우 장치의 쏘우 결합 구조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실레이팅 쏘우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구성의 명칭을 제1, 제2 등으로 구분한 것은 그 구성이 동일한 관계로 이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하기의 설명에서 반드시 그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유닛", "...수단", "...부", "...부재"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하는 포괄적인 구성의 단위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실레이팅 쏘우 장치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정면 구성도이고, 도 4는 도 1의 평면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실레이팅 쏘우 장치(100)는 정형외과 수술용 의료기계로서, 뼈를 정밀하게 절개하거나 절단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오실레이팅 쏘우 장치(100)는 톱날이 형성된 쏘우를 전기적인 동력으로 일정 구간 좌우 방향으로 반복 회전시킴으로써 무릎 인공관절 및 엉덩이 관절(고관절) 치환술 등에서 뼈를 절단하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되며, 상기한 바와 같은 쏘우잉 방식으로 소정의 절단 대상물을 절단하는 다양한 종류 및 용도의 절단장치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은 전동 드릴, 전동 임팩트 등과 같은 전동 공구에 적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오실레이팅 쏘우 장치(100)는 동력을 전달하는 경로와 일 직선으로 쏘우를 설치하여 쏘우의 동력전달을 직렬 계통으로 구현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어느 위치에서도 편리하게 뼈를 절단할 수 있고, 소음 및 진동을 최소화시키며 동력전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부품 수를 줄일 수 있으며, 전체적인 구조 및 조립을 단순화시킬 수 있는 오실레이팅 쏘우 장치(100)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오실레이팅 쏘우 장치(100)는 건 몸체(10), 구동 모터(20), 동력전달유닛(30), 작동 레버(50) 그리고 쏘우(70)를 포함하며, 이를 구성 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건 몸체(10)는 이하에서 설명될 각종 구성 요소들을 지지하는 것으로, 그 구성 요소들을 지지하기 위한 브라켓, 커버, 플레이트, 격벽, 리브, 레일, 블록, 칼라 등과 같은 각종 부속요소들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부속 요소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각종 구성 요소들을 설치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 상기한 부속 요소들을 건 몸체(10)로 통칭한다.
여기서, 상기 건 몸체(10)는 일반적인 전동 공구의 본체와 같이 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손잡이 부분(11)과, 그 손잡이 부분(11)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연결되는 건 부분(12)을 형성하고 있다.
이 경우, 상기 손잡이 부분(11)에는 뒤에서 더욱 설명될 구동 모터(20)에 전기적인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트리거 스위치 및 배터리를 장착하기 위한 배터리 장착부 등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구동 모터(20)는 건 몸체(10)의 트리거 스위치를 통해 전기적인 신호를 인가받아 구동하는 것으로, 건 몸체(10)의 손잡이 부분(11)에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구동 모터(20)는 트리거 스위치를 통해 인가되는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축(21)을 구비하고 있으며, 그 구동축(21)이 상측에 위치하고 있다. 즉, 상기 구동 모터(20)는 이의 구동 중심선(L1)이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고 있으며, 구동 중심점이 상측에 위치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 모터(20)는 손잡이 부분(11)의 크기를 줄이기 위해 수직 방향으로의 길이가 비교적 길고, 외경이 비교적 작은 구조의 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동력전달유닛(30)은 구동 모터(20)에 의해 회전하며 그 구동 모터(20)의 회전 동력을 뒤에서 더욱 설명될 작동 레버(50)로 전달하는 것으로, 구동 모터(20)의 회전운동을 작동 레버(50)의 좌우 반복 회전운동으로 변환시키는 기능을 하게 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동력전달유닛(30)은 구동 모터(20)와 연결되는 로터리 캠(31)을 포함한다.
상기 로터리 캠(31)은 구동 모터(20)의 구동 중심선(L1)에 대응하는 수직 방향의 회전 중심선(L2) 상에 배치되며, 건 몸체(10)의 건 부분(1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즉, 상기 로터리 캠(31)은 구동 모터(20)의 구동 중심선(L1)에 대해 이의 회전 중심선(L2)이 상호 평행하게 위치하고 있으며, 회전 중심점이 구동 모터(20)의 구동 중심점과 수평 방향으로 연결하는 일 직선 상에 위치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로터리 캠(31)은 기어들(33, 35)을 통해 구동 모터(20)의 구동축(21)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기어들(33, 35)은 구동 모터(20)의 회전 속도를 감속 또는 증속시키기 위한 변속 기구로서 구비되는 바, 구동 모터(20)의 구동축(21)에 설치되는 구동 기어(33)와, 그 구동 기어(33)에 치합되며 로터리 캠(31)과 일체로 결합되는 종동 기어(35)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종동 기어(35) 및 로터리 캠(31)은 캠 회전축(37)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바, 그 캠 회전축(37)은 상단부 및 하단부가 원형의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상단부와 하단부를 제외한 부분이 다각형의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종동 기어(35) 및 로터리 캠(31)은 다각형의 단면 형상 부분에 수직 방향으로 끼워지며 와셔들(38)을 통해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터리 캠(31)의 무게 중심은 캠 회전축(37)의 축상에 위치하고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캠 회전축(37)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는 건 몸체(10)의 건 부분(12)에 종동 기어(35) 및 로터리 캠(3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캠 베어링(39)이 각각 설치된다. 상기 캠 베어링(39)은 캠 회전축(37)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각각 설치되며, 건 부분(12)에 구비된 장착홈에 장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로터리 캠(31)은 구동 모터(20)의 회전 운동을 작동 레버(50)의 좌우 반복 회전운동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삼각 단면의 형상을 지닌 캠 몸체와 그 캠 몸체의 외주 연에 형성되는 세 개의 캠 돌기(32)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캠 돌기들(32)은 로터리 캠(31)의 회전 방향을 따라 면 가장자리 부분의 외주 연에 일정한 간격(120도)을 두고 삼각 단면 형상의 각 모서리 부분에 라운드 형태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세 개의 캠 돌기(32)를 가진 삼각 형상의 로터리 캠(31)을 적용함으로 로터리 캠(31)의 무게 중심이 캠 회전축(37)의 축상에 위치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로터리 캠(31)의 원심력이 상실되어 회전 진동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작동 레버(50)는 구동 모터(20)에 의해 로터리 캠(31)이 회전함에 따라 그 로터리 캠(31)의 캠 돌기들(32)을 통해 좌우 방향으로 일정 구간 반복 회전 운동하는 것이다.
상기 작동 레버(50)는 구동 모터(20)에 수직한 수평 방향으로 건 몸체(10)의 건 부분(12)에 배치되고, 로터리 캠(31)의 캠 돌기들(32)과 캠 접촉하며 그 건 부분(12)에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작동 레버(50)는 로터리 캠(31)의 회전 중심선(L2)에 대응하는 수직 방향의 회전 중심선(L3) 상에 배치되며, 건 부분(12)에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상태로 그 건 부분(1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작동 레버(50)는 로터리 캠(31)의 회전 중심선(L2)에 대해 이의 회전 중심선(L3)이 상호 평행하게 위치하고 있으며, 이의 회전 중심점이 구동 모터(20)의 구동 중심점 및 로터리 캠(31)의 회전 중심점과 수평 방향으로 연결하는 일 직선 상에 위치하고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구동 모터(20)의 구동 중심점, 로터리 캠(31)의 회전 중심점 및 작동 레버(50)의 회전 중심점이 일 직선 상에 위치하며 직렬 동력전달 계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작동 레버(50)는 레버 회전축(51)을 통해 건 몸체(10)의 건 부분(12)에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작동 레버(50)는 로터리 캠(31)을 감싸며 그 로터리 캠(31)의 캠 돌기들(32)과 캠 접촉하는 포크부(53)와, 그 포크부(53)에 일체로 연결되며 건 부분(1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바디부(55)를 포함한다.
상기 포크부(53)는 작동 레버(50)의 일측 단부에 구비되는데, 로터리 캠(31)을 감싸며 캠 돌기들(32)과 캠 접촉하는 한 쌍의 포크(54)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바디부(55)는 위에서 언급한 바 있듯이 건 부분(1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레버 회전축(51)을 형성하고 있으며, 뒤에서 더욱 설명될 쏘우(70)를 지지하는 척킹홈(57)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레버 회전축(51)은 바디부(55)의 상하면에 일체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구동 모터(20)로부터 로터리 캠(31)을 통해 전달되는 동력의 전달 경로(동력전달 경로)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척킹홈(57)은 쏘우(70)의 결합 단부를 지지하는 것으로, 바디부(55)에서 전체 작동 레버(50)의 다른 일측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척킹홈(57)은 쏘우(70)의 결합 단부에 대응하는 형상으로서 작동 레버(50)의 다른 일측 단부에 원형의 지지면(58a)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척킹홈(57)은 쏘우(70) 결합 단부의 위치를 규제하기 위한 규제단(58b)을 지지면(58a)과 일체로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레버 회전축(51)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는 건 몸체(10)의 건 부분(12)에 작동 레버(5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레버 베어링(59)이 각각 설치된다. 상기 레버 베어링(59)은 레버 회전축(51)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각각에 설치되며, 건 부분(12)에 구비된 장착홈에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레버 베어링(59)은 뒤에서 더욱 설명될 쏘우(70)를 통해 전달되는 하중을 감당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쏘우(70)는 뼈를 쏘우잉 방식으로 절단하는 것으로서, 일정 폭과 길이를 지닌 판재 톱으로 구비된다.
상기 쏘우(70)의 일측 단부는 작동 레버(50)의 척킹홈(57)에 결합되는 결합 단부로서, 그 척킹홈(57)의 지지면(58a)에 대응하는 원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뒤에서 더욱 설명될 고정유닛(80)을 통해 작동 레버(50)의 척킹홈(57)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쏘우(70)의 다른 일측 단부에는 뼈를 절단하기 위한 톱날(71)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쏘우(70)의 결합 단부(일측 단부)에는 위에서 언급한 바 있는 동력전달 경로 즉, 작동 레버(5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의 탈착홈(7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탈착홈(73)을 이용한 쏘우(70)와 작동 레버(50)의 조립 구조는 뒤에서 더욱 자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상기와 같은 쏘우(70)는 구동 모터(20)의 회전 동력을 동력전달유닛(30)의 로터리 캠(31)을 통해 작동 레버(50)로 전달하는 동력전달 경로와 일 직선 상에 위치하며 그 작동 레버(50)의 척킹홈(57)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쏘우(70)는 뒤에서 더욱 설명될 고정유닛(80)에 의해 동력전달 경로(작동 레버의 길이 방향)를 따라 그 작동 레버(50)의 척킹홈(57)에 슬라이딩 탈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작동 레버(50)의 척킹홈(57)에 설치되며, 쏘우(70)의 결합 단부를 고정시키는 고정유닛(80)을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작동 레버(50) 및 고정유닛(80)은 동력전달 경로와 일 직선 상에 위치하는 바,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구동 모터(20), 동력전달유닛(30), 작동 레버(50) 및 고정유닛(80)은 건 부분(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직렬 동력전달 계통을 형성하고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구동 모터(20)의 구동 중심점, 로터리 캠(31)의 회전 중심점, 작동 레버(50)의 회전 중심점 및 쏘우(70)의 고정 중심점이 일 직선 상에 위치하며 직렬 동력전달 계통을 형성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실레이팅 쏘우 장치의 쏘우 결합 구조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고정유닛(80)은 체결부재(81)와 나비형 너트(83)를 포함한다.
상기 체결부재(81)는 작동 레버(50)의 척킹홈(57)에 끼워진 쏘우(70)의 결합 단부를 지지하는 것으로, 그 쏘우(70)의 탈착홈(73)을 통해 척킹홈(57) 부위를 관통하며 결합된다.
이러한 체결부재(81)는 작동 레버(50)의 척킹홈(57)에 끼워진 쏘우(70)의 결합 단부를 실질적으로 지지하는 지지판(85)과, 그 지지판(85)에 일체로 형성되는 나사부(87)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판(85)은 작동 레버(50)의 척킹홈(57)에 대응하는 형상으로서 원반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나사부(87)는 지지판(85)의 저면 중앙에 일체로 길게 돌출 형성되며, 이의 외주 면에는 나사 산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나사부(87)는 척킹홈(57)의 지지면(58a) 중앙에 형성된 결합공(58c)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바, 쏘우(70)의 탈착홈(73)을 통해 상기 결합공(58c)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판(85)의 가장자리 측에는 결합홈(89)을 형성하고 있는데, 그 결합홈(89)에는 작동 레버(50)의 바디부(55) 일부가 끼워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바디부(55)의 척킹홈(57) 가장자리 측에는 지지판(85)의 결합홈(89)에 끼워지는 결합 돌기(58d)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 돌기(58d)는 위에서 언급한 바 있는 척킹홈(57)의 규제단(58b)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체결부재(81)의 지지판(85)에 결합홈(89)을 형성하고 그 결합홈(89)에 끼워지는 결합 돌기(58d)를 척킹홈(57)의 가장자리 측에 형성하므로, 작동 레버(50)의 척킹홈(57)에 끼워진 쏘우(70)를 고정하는 체결부재(81)의 나사부(87)가 나비형 너트(83)로부터 풀려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나비형 너트(83)는 손가락으로 돌려서 볼트에 체결할 수 있는 손잡이를 가진 너트로 그 손잡이 부분이 나비의 날개 모양으로 형성된 것이다. 상기 나비형 너트(83)는 쏘우(70)의 탈착홈(73) 및 척킹홈(57)의 결합공(58c)을 관통한 상기 나사부(87)의 관통 단부에 체결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작동 레버(50)의 척킹홈(57)에 쏘우(70)의 결합 단부를 끼우고 그 결합 단부의 상면으로 체결부재(81)의 지지판(85)을 밀착시키며 그 체결부재(81)의 나사부(87)를 쏘우(70)의 탈착홈(73)을 통해 척킹홈(57)의 결합공(58c)에 결합하고, 그 나사부(87)의 관통 단부에 나비형 너트(83)를 체결하면, 쏘우(70)를 작동 레버(50)의 척킹홈(57)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상태에서 나비형 너트(83)의 조임을 해제하면, 쏘우(70)는 체결부재(81)의 지지판(85)과 척킹홈(57)의 지지면(58a) 사이에서 동력전달 경로(작동 레버의 길이 방향)를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탈착홈(73)을 통해 체결부재(81)의 나사부(87)로부터 이탈되며 작동 레버(5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쏘우(70)를 작동 레버(50)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 그 쏘우(70) 또는 다른 쏘우(70)는 체결부재(81)의 지지판(85)과 척킹홈(57)의 지지면(58a) 사이에서 동력전달 경로를 따라 슬라이딩되며 탈착홈(73)을 통해 체결부재(81)의 나사부(87)에 장착되며 작동 레버(50)의 척킹홈(57)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작동 레버(50)의 척킹홈(57)에 대한 쏘우(70)의 고정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작동 레버(50)와 나비형 너트(83) 사이에서 체결부재(81)의 나사부(87)에 끼워지는 스프링 와셔(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를 설치할 수도 있다. 이러한 스프링 와셔는 원호 방향을 따라 웨이브를 형성하고 있는 공지 기술의 웨이브 와셔로 구비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실레이팅 쏘우 장치(100)의 조립 과정 및 작동을 앞서 개시한 도면들 및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실레이팅 쏘우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앞서 개시한 도면들과 함께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우선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건 몸체(10)의 손잡이 부분(11)에 구동 모터(20)가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 있다. 이 때 상기 구동 모터(20)는 이의 구동 중심선(L1)이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고 있으며, 구동 중심점이 상측에 위치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동력전달유닛(30)의 로터리 캠(31)은 기어들(33, 35)을 통해 구동 모터(20)의 구동축(21)에 연결되어 있으며, 캠 베어링(39)을 통해 건 몸체(10)의 건 부분(1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상태에 있다.
이 때, 상기 로터리 캠(31)은 구동 모터(20)의 구동 중심선(L1)에 대응하는 수직 방향의 회전 중심선(L2) 상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로터리 캠(31)은 구동 모터(20)의 구동 중심선(L1)에 대해 이의 회전 중심선(L2)이 상호 평행하게 위치하고 있으며, 회전 중심점이 구동 모터(20)의 구동 중심점과 수평 방향으로 연결되는 일 직선 상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작동 레버(50)는 로터리 캠(31)의 회전 중심선(L2)에 대응하는 수직 방향의 회전 중심선(L3) 상에 배치되며, 건 부분(12)에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상태로 그 건 부분(1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상태에 있다.
이 때, 상기 작동 레버(50)는 로터리 캠(31)의 회전 중심선(L2)에 대해 이의 회전 중심선(L3)이 상호 평행하게 위치하고 있으며, 이의 회전 중심점이 구동 모터(20)의 구동 중심점 및 로터리 캠(31)의 회전 중심점과 수평 방향으로 연결되는 일 직선 상에 위치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작동 레버(50)의 포크부(53)는 로터리 캠(31)을 감싸며 그 로터리 캠(31)의 캠 돌기들(32)과 캠 접촉하고 있으며, 작동 레버(50)의 바디부(55)는 레버 회전축(51) 및 레버 베어링(59)을 통해 건 몸체(10)의 건 부분(1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상태에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작동 레버(50)의 척킹홈(57)에 쏘우(70)의 결합 단부를 끼우고 그 결합 단부의 상면으로 체결부재(81)의 지지판(85)을 밀착시키며 그 체결부재(81)의 나사부(87)를 쏘우(70)의 탈착홈(73)을 통해 척킹홈(57)의 결합공(58c)에 결합한다.
이 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지지판(85)의 결합홈(89)에 척킹홈(57) 가장자리 측의 결합 돌기(58d)를 끼우며 나사부(87)를 쏘우(70)의 탈착홈(73)을 통해 척킹홈(57)의 결합공(58c)에 결합한다.
그리고 나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한 나사부(87)의 관통 단부에 나비형 너트(83)를 체결하면, 쏘우(70)를 작동 레버(50)의 척킹홈(57)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구동 모터(20)의 구동 중심점, 로터리 캠(31)의 회전 중심점, 작동 레버(50)의 회전 중심점 및 쏘우(70)의 고정 중심점이 수평 방향으로 연결되는 일 직선 상에 위치하며 직렬 동력전달 계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쏘우(70)를 작동 레버(50)의 척킹홈(57)에 결합한 상태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정형외과 수술 시, 건 몸체(10)의 트리거 스위치를 통해 구동 모터(20)에 전기적인 신호를 인가한다.
그러면, 구동 모터(20)의 구동축(21)은 일측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로터리 캠(31)은 기어들(33, 35)을 통해 변속된 상태에서 다른 일측 방향으로 기 설정된 회전 속도로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구동 모터(20)에 의해 로터리 캠(31)이 회전함에 따라 그 로터리 캠(31)의 캠 돌기들(32)이 작동 레버(50)의 포크부(53)에 캠 접촉되면서 그 작동 레버(50)를 레버 회전축(51)을 통해 좌우 방향으로 일정 구간 반복 회전 운동을 하게 된다.
즉, 상기 로터리 캠(31)이 삼각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삼각 단면의 모서리 부분에 캠 돌기(32)를 형성하며 그 캠 돌기(32)가 작동 레버(50)의 포크부(53)에 캠 접촉하고 있으므로, 상기 작동 레버(50)는 로터리 캠(31)의 1 회전 시 3번의 진동(좌우 반복 회전 운동)을 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도 6에서와 같이 로터리 캠(31)이 회전하며 어느 하나의 캠 돌기(32)가 작동 레버(50)의 포크부(53)에 캠 접촉됨으로써 그 작동 레버(50)를 레버 회전축(51)을 중심으로 하여 우측 방향으로 일정 구간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도 7에서와 같이 로터리 캠(31)이 회전하며 다른 하나의 캠 돌기(32)가 작동 레버(50)의 포크부(53)에 캠 접촉됨으로써 그 작동 레버(50)를 레버 회전축(51)을 중심으로 하여 좌측 방향으로 일정 구간 회전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구동 모터(20)에 의해 로터리 캠(31)이 회전함에 따라 그 로터리 캠(31)의 캠 돌기들(32)이 포크부(53)의 포크(54)에 번갈아 가며 캠 접촉됨으로써 작동 레버(50)를 좌우 방향으로 일정 구간 반복 회전시킬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고정유닛(80)을 통해 작동 레버(50)에 쏘우(70)를 고정하고 있으므로, 그 작동 레버(50)와 함께 좌우 방향으로 반복 회전하는 쏘우(70)를 통해 뼈를 절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뼈를 절단하는 과정에 쏘우(70)를 통해 전달되는 축 하중(뼈를 절단하기 위해 누르는 힘)을 작동 레버(50)를 회전시키기 위한 레버 베어링(59)이 감당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쏘우(70)를 통해 전달되는 축 하중을 로터리 캠(31)이 그대로 받지 않고, 레버 회전축(51)에 결합된 레버 베어링(59)에서 상쇄시킬 수 있고, 그 축 하중이 로터리 캠(31)을 통해 구동 모터(20)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뼈를 절단할 때 쏘우(70)를 통해 전달되는 축 하중을 레버 베어링(56)에서 레버 회전축(51)이 감당하므로, 그 축 하중이 작동 레버(50)를 통해 로터리 캠(31)으로 전달되지 않게 된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로터리 캠(31)이 쏘우(70)를 통해 전달되는 축 하중을 축 하중을 직접적으로 받지 않고, 구동 모터(20)에 의해 회전하면서 레버 베어링(56)에 작용하는 축 하중 자체를 작동 레버(50)의 좌우 회전 방향으로 전달할 수 있다.
다른 한편, 수술이 완료된 상태에서, 쏘우(70)를 작동 레버(50)의 척킹홈(57)으로부터 분리코자 하는 경우, 우선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나비형 너트(83)의 조임을 해제한다.
그러면, 체결부재(81)의 지지판(85)과 척킹홈(57)의 지지면(58a) 사이에서 쏘우(70)의 결합 단부에 작용하는 고정력이 해제됨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지지판(85)과 지지면(58a) 사이에서 쏘우(70)를 동력전달 경로(작동 레버의 길이 방향)를 따라 슬라이딩시키며 작동 레버(5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즉, 쏘우(70)는 체결부재(81)의 지지판(85)과 지지면(58a) 사이에서 동력전달 경로(작동 레버의 길이 방향)를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탈착홈(73)을 통해 체결부재(81)의 나사부(87)로부터 이탈되며 작동 레버(50)의 척킹홈(57)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쏘우(70)를 작동 레버(50)의 척킹홈(57)으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 다른 쏘우(70)를 작동 레버(50)의 척킹홈(57)에 장착코자 하는 경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지지판(85)과 지지면(58a) 사이로 쏘우(70)를 동력전달 경로(작동 레버의 길이 방향)를 따라 슬라이딩시키며 탈착홈(73)을 통해 체결부재(81)의 나사부(87)에 장착한다.
그 후,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한 나비형 너트(83)를 조이게 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작용으로서 상기 쏘우(70)의 결합 단부를 작동 레버(50)의 척킹홈(57)에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실레이팅 쏘우 장치(100)에 의하면, 구동 모터(20)의 구동 중심점, 로터리 캠(31)의 회전 중심점, 작동 레버(50)의 회전 중심점 및 쏘우(70)의 고정 중심점이 수평 방향으로 연결되는 일 직선 상에 위치하며 직렬 동력전달 계통을 형성하므로,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뼈를 아래에서 위로 절단할 때 본체를 거꾸로 뒤집어야 하는 등의 불편함을 해소하여 어느 위치에서도 뼈를 편리하게 절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쏘우(70)의 동력전달을 직렬 계통으로 구현함에 따라 동력전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소음 및 진동을 최소화시킬 수 있고, 부품 수를 줄일 수 있으며, 전체적인 구조 및 조립을 단순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쏘우(70)를 고정하는 고정유닛(80)을 해체하지 않고서도 그 쏘우(70)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작동 레버(50)의 척킹홈(57)에 탈착시킬 수 있으므로, 쏘우(70)의 분리 및 교체 작업을 단순하고 간편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뼈를 절단하는 과정에 쏘우(70)를 통해 전달되는 레버 베어링(59)에서 감당하게 되므로, 로터리 캠(31)이 축 하중을 그대로 받지 않고 구동 모터(20)에 의해 회전하면서 레버 베어링(56)에 작용하는 축 하중 자체를 작동 레버(50)의 좌우 회전 방향으로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쏘우(70)에 작용하는 축 하중이 로터리 캠(31)을 통해 구동 모터(20)에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구동 모터(20)의 용량 및 크기를 줄일 수 있으며, 비교적 작은 모터 용량으로도 쏘우(70)에 대한 동력전달 토크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뼈를 절단할 때 쏘우(70)에 작용하는 축 하중이 작동 레버(50)를 통해 로터리 캠(31)으로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로터리 캠(31)과 작동 레버(50) 간의 마찰, 마모 및 소음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구동 모터(20)를 건 몸체(10)의 손잡이 부분(11)에 수직 방향으로 배치하므로, 전체적인 구조 및 조립이 간단하고, 제작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로터리 캠(31)에 대한 그리스 실링이 간단하고, 건 몸체(10)에 작용하는 회전 모멘트를 줄임으로써 사용자의 손으로 전달되는 하중의 부담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로터리 캠(31)의 무게 중심이 캠 회전축(37)의 축 상에 위치하고 있으며, 로터리 캠(31)이 상시 접촉 마찰 상태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로터리 캠(31)의 회전 진동, 소음 및 충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체결부재(81)와 작동 레버(50)의 척킹홈(57) 부위를 결합홈(89)과 결합 돌기(58d)를 통해 결합할 수 있으므로, 쏘우(70)를 통한 뼈의 절단 시 진동에 의해 체결부재(81)가 나비형 너트(83)로부터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본 명세서에서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건 몸체 11... 손잡이 부분
12... 건 부분 20... 구동 모터
21... 구동축 30... 동력전달유닛
31... 로터리 캠 32... 캠 돌기
33... 구동 기어 35... 종동 기어
37... 캠 회전축 38... 와셔
39... 캠 베어링 50... 작동 레버
51... 레버 회전축 53... 포크부
54... 포크 55... 바디부
57... 척킹홈 58a... 지지면
58b... 규제단 58c... 결합공
58d... 결합 돌기 59... 레버 베어링
70... 쏘우 71... 톱날
73... 탈착홈 80... 고정유닛
81... 체결부재 83... 나비형 너트
85... 지지판 87... 나사부
89... 결합홈 L1... 구동 중심선
L2, L3... 회전 중심선

Claims (17)

  1. 건 몸체의 손잡이 부분에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구동 모터;
    세 개의 캠 돌기를 외주 연에 형성하고 상기 구동 모터와 연결되며, 상기 구동 모터에 대응하는 수직 방향의 회전 중심선 상에 배치되는 로터리 캠;
    상기 구동 모터에 수직한 수평 방향으로 상기 건 몸체의 건 부분에 배치되고, 상기 캠 돌기와 선택적으로 캠 접촉하며 상기 건 부분에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작동 레버; 및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 동력을 상기 로터리 캠을 통해 상기 작동 레버로 전달하는 동력전달 경로와 일 직선 상에 위치하며, 상기 작동 레버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쏘우;
    를 포함하는 오실레이팅 쏘우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 캠의 회전 중심선과 상기 작동 레버의 회전 중심선이 서로 평행하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실레이팅 쏘우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모터의 구동 중심점, 상기 로터리 캠의 회전 중심점 및 상기 작동 레버의 회전 중심점이 일 직선 상에 위치하며 직렬 동력전달 계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실레이팅 쏘우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레버는 레버 회전축을 통해 상기 건 부분에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레버 회전축의 상단 및 하단에는 상기 건 부분으로 지지되는 레버 베어링이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실레이팅 쏘우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쏘우를 통해 전달되는 하중을 상기 레버 베어링이 감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실레이팅 쏘우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 캠은 기어들을 통해 상기 구동 모터의 구동축과 연결되며,
    상기 기어들은 상기 구동 모터의 구동축에 연결되는 구동 기어와, 상기 구동 기어와 치합되며 상기 로터리 캠과 결합되는 종동 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실레이팅 쏘우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 기어 및 로터리 캠은 캠 회전축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상기 캠 회전축의 상단 및 하단에는 상기 건 부분으로 지지되는 캠 베어링이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실레이팅 쏘우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 캠은 삼각 단면의 형상을 지니며 외주 연에 상기 캠 돌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실레이팅 쏘우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레버는,
    상기 로터리 캠을 감싸는 한 쌍의 포크를 지니며 상기 캠 돌기와 캠 접촉하는 포크부와,
    상기 포크부에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건 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바디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실레이팅 쏘우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레버 베어링을 통해 상기 건 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레버 회전축과,
    상기 쏘우의 결합 단부를 지지하는 척킹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실레이팅 쏘우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척킹홈에는 상기 쏘우의 결합 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유닛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실레이팅 쏘우 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쏘우는,
    상기 고정유닛에 의해 상기 작동 레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실레이팅 쏘우 장치.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쏘우의 결합 단부에는 상기 작동 레버의 길이 방향을 따라 탈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실레이팅 쏘우 장치.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작동 레버의 척킹홈에 끼워진 상기 쏘우의 결합 단부를 지지하고 상기 쏘우의 탈착홈을 통해 상기 척킹홈 부위를 관통하며 결합되는 체결부재와,
    상기 체결부재의 관통 단에 체결되는 나비형 너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실레이팅 쏘우 장치.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작동 레버의 척킹홈에 끼워진 상기 쏘우의 결합 단부를 지지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나비형 너트와 체결되는 나사부
    를 포함하는 오실레이팅 쏘우 장치.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의 가장자리 측에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바디부의 척킹홈 가장자리 측에는 상기 결합홈에 끼워지는 결합 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실레이팅 쏘우 장치.
  17.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쏘우는,
    상기 지지판과 척킹홈 사이에서 상기 작동 레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며 상기 탈착홈을 통해 상기 나사부로부터 이탈되거나 그 나사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실레이팅 쏘우 장치.
KR1020140142801A 2014-10-21 2014-10-21 오실레이팅 쏘우 장치 KR201600470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2801A KR20160047067A (ko) 2014-10-21 2014-10-21 오실레이팅 쏘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2801A KR20160047067A (ko) 2014-10-21 2014-10-21 오실레이팅 쏘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7067A true KR20160047067A (ko) 2016-05-02

Family

ID=56021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2801A KR20160047067A (ko) 2014-10-21 2014-10-21 오실레이팅 쏘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4706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79243A (zh) * 2018-10-12 2018-12-25 海联锯业科技有限公司 一种锯齿可更换式摆动锯片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79243A (zh) * 2018-10-12 2018-12-25 海联锯业科技有限公司 一种锯齿可更换式摆动锯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99341B2 (en) Power tool
US10307904B2 (en) Power tool
US8387717B2 (en) Multi directional oscillation from a rotational source
EP2135713A2 (en) Auxiliary handle
US9227290B2 (en) Power-driven hand tool
US10058926B2 (en) Power tool
EP2926745B1 (en) Handheld power machine for orthopaedic drill and saw and orthopaedic drill and saw power system with same
JP2018505066A (ja) 手持ち式工作機械
US4353425A (en) Guide tube support for rotary impact hammer
CN101612729A (zh) 手持式作业工具
KR101476257B1 (ko) 임팩트 전동공구의 조작장치
US8985235B2 (en) Anti-vibration structure for a handle of a portable brush cutter
KR20160047067A (ko) 오실레이팅 쏘우 장치
JP6113003B2 (ja) 手持ち式電動工具
JP2017177309A (ja) アタッチメントおよび作業工具
JP6924981B2 (ja) 切断工具
JP2001287201A (ja) 携帯動力工具
US20210129311A1 (en) Universal Chisel Attachment
JP6502786B2 (ja) 作業工具
KR20160021544A (ko) 오실레이팅 쏘우 장치
JP6529169B2 (ja) 作業工具
CN209831548U (zh) 吸尘钻头的防共转配件、锤钻
KR101626455B1 (ko) 오실레이팅 쏘우 장치
US10518399B2 (en) Clutch device and power tool with clutch device
KR101568836B1 (ko) 오실레이팅 쏘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