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7018A - 롤 비전 프레스 - Google Patents

롤 비전 프레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7018A
KR20160047018A KR1020140142405A KR20140142405A KR20160047018A KR 20160047018 A KR20160047018 A KR 20160047018A KR 1020140142405 A KR1020140142405 A KR 1020140142405A KR 20140142405 A KR20140142405 A KR 20140142405A KR 20160047018 A KR20160047018 A KR 201600470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vision
roll
press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2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4220B1 (ko
Inventor
조은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테크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테크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테크아이
Priority to KR1020140142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4220B1/ko
Publication of KR20160047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70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42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42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38Cutting-out; Stamping-out
    • B26F1/40Cutting-out; Stamping-out using a press, e.g. of the ram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007Control means comprising cameras, vision or image process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2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with interrelated action between the cutting member and work fe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롤(roll) 상태로 공급되는 타발 소재를 연속적으로 이송하면서 이송 피치마다 타발을 수행하기 위해 얼라인 마크를 영상 픽업하고 타발 위치를 선정하고 소재를 타발하여 롤 상태로 다시 감아 배출하거나 또는 선정한 패널 사이즈로 절단하여 가공완료된 소재를 얻는 RTR, RTC 방식의 비전 프레스에 관한 것으로, Z축 방향으로 구동하는 상부 금형과, 소재를 지지하는 하부 금형(또는 지그), 이 상하 금형의 이격 틈 사이로 진입하여 소재에 마련된 마크를 인식하는 수단으로 비전부를 형성하고, 비전부 인식 위치에 일치하도록 타발 구동부를 조정하여 타발 위치를 정위치에 맞추고 정위치 조정이 종료되면 상하 금형 사이로 진입한 상기 비전부가 진입 역방향으로 진출한 후 타발 구동부가 Z 축 방향 타발 구동을 이루어 타발하고, 소재가 연속적인 롤 공급을 이룸으로 간헐 이송되는 소재를 상기 구동으로 연속적으로 타발하는 롤 비전 프레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비전 프레스{Vision Press}
본 발명은 비전 프레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롤(roll) 상태로 공급되는 타발 소재를 연속적으로 이송하면서 이송 피치마다 타발을 수행하는 프레스에 관한 것으로 영상 픽업으로 타발 위치를 선정하고 소재를 타발하여 롤 상태로 다시 감아 배출하거나 또는 선정한 패널 사이즈로 절단하여 가공완료된 소재를 얻는 RTR, RTC 방식의 비전 프레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레스는 설계된 소망의 형상을 반복적으로 균일하게 얻기 위해 사용되며 소재에 따라서 다양한 설계의 금형, 목형, 피나클 등으로 대별되는 절단 형틀을 탑재하여 구동하는 설비를 말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프레스는 주로 소형의 정보통신 기기(스마트 폰, 태블릿 PC)나 그와 관련되는 전자 부품으로 사용되는 OCA 필름 또는 이들에 관련되는 여러 유형의 자재를 타발하는데 유용한 프레스에 관하여 설명한다.
비전프레스로 통칭하는 구조는 얼라인 마크가 마련된 타발 소재와, 이 마크를 카메라로 영상 픽업하여 타발 금형의 위치에 소재를 정렬하는 정밀 서보 시스템을 포함하며 이 서보 시스템의 통제하에 소재를 타발하는 장치이다.
상기 타발되는 소재들은 매우 다양하며 정보 통신 기기의 부품으로 주로 활용되는 소재들은 다층 연질 필름 등이 주대상이며, 이들은 고 집적화된 회로 패턴 등을 부가한 것들이어서 타발의 정밀도가 매우 크게 요구되고 있으며 그 정밀도는 미크론 단위로 관리되고 있으며 이러한 정밀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불량으로 사용이 불가능하다.
상기 타발되는 소재들은 롤로 감겨 이루어진 시트를 풀면서 타발하고 다시 롤로 감아 가공 완료하는 ROLL TO ROLL(RTR), ROLL TO SHEET(RTC) 등의 형식으로 구분되고 있기도 하다.
비전 프레스의 개념에 대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공급되는 소재가 시트 타입인 경우에는 상하 금형으로 이루어지는 타발 금형 사이에 시트를 전개시켜 고정한 클램핑 아암을 형성하고 일정한 위치에서 얼라인 판독이 이루어지면 타발 위치로 클램핑 아암이 X, Y축 방향으로 개략 이송되고 타발 정밀도를 위해 사전에 입력된 얼라인 위치에 정확하게 일치시키기 위해 상기 클램핑 아암이 미세 조정된 후 프레스 타발을 이루는 유형이다.
이는 시트 타입의 비전 프레스에서 주로 사용된다.
그러나 소재 자체가 롤 공급 타입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시트 타입의 비전 프레스와는 달리 소재를 움직여 얼라인 위치에 정밀하게 조정할 수 없는 구조적 한계가 있다.
구조적 한계라 함은 소재 피딩 방향을 제외한 X축 방향의 위치 조정, 또는 θ축 방향의 위치 조정은 소재의 주름을 초래하고 피딩 방향의 사행을 초래하므로 구조적 어려움이 많이 따른다.
소재가 롤 타입으로 공급되는 경우에 적용되는 롤 비전 프레스의 일례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타발 소재가 롤 형태로 장착되어 투입되는 롤 소재 공급부(100), 롤에서 풀려 공급되는 소재의 사행(斜行)을 방지하기 위해 소재에 일정 장력을 가하는 공급조절부(200), 소재에 인쇄 등을 통해 마련되는 비전 인식마크를 영상 픽업하는 카메라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비전부(300)과, 얼라인 인식된 정위치로 이동하여 타발 위치에 정확하게 정렬하고 상, 하형으로 타발을 이루는 프레스부(400)와, 타발 완료된 소재를 일정 피치(타발 간격) 잡아당겨 이송하는 피딩조절부(500)와, 타발 완료된 소재를 일정 피치로 절단 배출하기 위한 절단부(6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절단부(600)는 필요에 따라서 다시 롤 상태로 감아서 배출하도록 변형되어 실시되기도 한다.
상기 롤 비전 프레스에서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도 2 도시와 같다.
비전 마크를 인식하고 타발하는 요부 구성을 살펴보면 비전부(300)와 프레스부(400)는 일정거리(P) 이격된 상태로 이루어져 비전 카메라가 마크를 인식한 위치로 프레스부가 이동하여 타발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프레스부 이동 간에는 인식된 얼라인 위치 정보 값에 따라 서보 제어되면서 X, Y 및 θ축 방향의 변위가 이루어지면서 이동이 완료된다.
이후 프레스 구동이 이루어져 타발을 이루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 롤 타입 비전 프레스의 경우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다.
영상 픽업 장치인 비전부(300)은 프레스부(400) 전단에 독립적으로 위치하도록 이루어져 비전부에서 얼라인 마크 인식 후 비전부와 타발 구동부 사이의 이격된 거리 만큼 소재를 추가 이송하여 정위치 정렬하도록 이루어지는 구조인 경우에는 비전 얼라인 위치 인식 후 소재 추가 이송으로 인하여 타발 위치 어긋남(얼라인 위치 변화)이 발생하여 타발 정밀도 저하의 원인이 되어 불량 양산의 가능성이 빈발한다.
이점을 개선하고자 종래 또 다른 제안에 따르면 비전부의 얼라인 마크 인식 후 소재를 추가 이송하는 것이 아니고 소재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프레스부(400)를 소재 공급 방향의 역방향으로 이동시켜 타발 위치에 이르게 하는 구조가 공지되어 있기도 하다.
그러나 이 역시 고 하중의 프레스 구조를 이루는 프레스부를 원점에서 타발 위치로 이송하고 타발 후 다시 원점 위치로 역 이송을 반복하는 것에 따른 타발 정밀도 저하와 이송 반복에 따른 텍 타임(TACT TIME) 저하로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결과적으로 제품 생산성 향상을 목적으로 롤 타입의 소재 공급과 반복적인 타발 및 소재의 자동 배출 등 일련의 과정을 무인 자동화하는 설비의 제작과 사용 목적에 부합하지 못하는 결과가 초래되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롤 비전 프레스가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다음과 같은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비전부의 얼라인 인식 위치를 상, 하 프레스 금형의 중심 근방에서 영상 픽업하도록 이루고 얼라인 인식 후 소재 또는 타발 금형이 장착된 타발 구동부의 보정 이송 거리를 없애거나 극소화하여 얼라인 인식 위치와 타발 위치의 어긋남을 극소화하여 타발 정밀도가 대폭 향상된 비전 프레스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타발 소재에 마련된 얼라인 마크를 인식하는 비전부가 상, 하 금형 사이 중심 부근까지 이동하여 마크 인식하고 인식이 완료된 후 타발 금형이 X, Y 및 θ축 조정을 마치면 금형 외부로 이동하도록 출몰하는 비전부를 마련하여 텍타임이 대폭 향상되고 생산성이 극대화된 비전 프레스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비전부를 얼라인 마크 위치로 출몰 구동하게 이루어 따른 빠른 이송 시간을 구현하며 얼라인 인식을 위한 비전부를 경량 어셈블리의 구조로 이루어 관련 구동계를 소형화 하는데 유용한 비전 프레스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타발 소재의 유형에 따라 얼라인 마크가 이송 중심 축 선상을 기준으로 등거리에 위치하지 아니하는 비 대칭적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도 얼라인 위치에 쉽게 셋팅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비전 프레스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수단에 의한다.
상, 하형으로 이루어지는 타발 금형(또는 지그와 이 지그에 장착되는 목형, 피나클을 포함한다)을 대향 수직 구동하도록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타발 구동부와, 인식 마크가 마련된 타발 소재와, 상기 타발 금형을 X, Y, Z 및 θ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한 이송부와, 상기 타발 소재의 마크를 영상 픽업하는 비전부로 이루어 공급되는 소재의 마크를 인식하여 소재에 대하여 타발 금형을 정 위치에 정렬하고 타발하는 롤 비전 프레스에 있어,
상기 Z축 방향으로 구동하는 상부 금형과, 소재를 지지하는 하부 금형(또는 지그), 이 상하 금형의 이격 틈 사이로 진입하여 소재에 마련된 마크를 인식하는 수단으로 비전부를 형성하고, 비전부 인식 위치에 일치하도록 타발 구동부를 조정하여 타발 위치를 정위치에 맞추고 정위치 조정이 종료되면 상하 금형 사이로 진입한 상기 비전부가 진입 역방향으로 진출한 후 타발 구동부가 Z 축 방향 타발 구동을 이루어 타발하고, 소재가 연속적인 롤 공급을 이룸으로 간헐 이송되는 소재를 상기 구동으로 연속적으로 타발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에 의한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는다.
본 발명은 비전부의 얼라인 인식 위치가 실질적으로 타발을 이루는 프레스 금형의 중심 근방에서 영상 픽업하므로 얼라인 인식 후 타발 구동부의 보정 이송 거리를 없애거나 극소화하여 타발 정밀도가 대폭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타발 소재에 마련된 얼라인 마크를 인식하는 비전부가 상, 하 금형 사이 중심 부근까지 진입하여 마크 인식하고 인식에 맞추어 타발 금형을 X, Y 및 θ축 조정하면 진입한 비전부가 금형 외부로 이동하도록 출몰하는 비전부를 마련하여 소재 가공에 소요되는 시간(텍 타임)이 줄어들어 생산성이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비전부를 얼라인 마크 위치로 출몰 구동하게 이루어 따른 빠른 이송 시간을 구현하며 얼라인 인식을 위한 비전부를 경량 어셈블리의 구조로 이루어 관련 구동계를 소형화하기에 유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비전부의 카메라 픽업 위치를 비 대칭적으로 조절 할 수도 있도록 변형하면 가공 소재의 얼라인 마크가 이송 방향 중심 축 선상에서 비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도 용이하게 얼라인 위치에 셋팅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롤 비전 프레스의 개념도.
도 2는 종래 롤 비전 프레스로써 요부 구성 개요를 도시한 개략도.
도 3는 본 발명 비전 프레스로써 요부 구성 개요를 도시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 분해 상태의 구성도.
도 5은 본 발명의 정면 상태도.
도 6는 본 발명의 평면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사시 상태도.
도 8은 도 7 발명의 변형 실시예로서의 사시 상태도.
도 9은 본 발명을 적용한 프레스 장치를 도시한 작동상태도.
도 3 도시와 같이 본 발명은 상, 하형으로 이루어지는 타발 금형(또는 지그와 이 지그에 장착되는 목형, 피나클을 포함한다)을 대향 수직 구동하도록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타발 구동부와, 상기 타발 구동부를 X, Y축 및 θ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한 이송부와, 타발 소재의 마크를 영상 픽업하는 비전부로 이루어 공급되는 소재의 마크를 인식하여 소재 타발 위치에 대하여 타발 금형을 정 위치에 정렬하고 타발하는 롤 비전 프레스에 있어, 상기 비전부는 롤 타발 소재의 공급 축 방향(Y축방향)을 따라 상기 상, 하형 사이 내부로 카메라가 진입 구동하여 얼라인 마크를 인식하고, 인식 마크의 위치에 따라 타발 구동부 정렬이 이루어지면 진입 역방향으로 진출 구동하고 타발 구동부 타발에 의해 소재를 가공하는 비전부 어셈블리(V)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비전부 어셈블리는 1쌍의 카메라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타발 구동부와 하나의 몸체가 되도록 고정 결합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비전부 어셈블리의 카메라는 X, Y 및 Z축 방향으로 거리 조정이 가능하도록 이루어 타발 소재의 얼라인 마크 간격 및 이송 피치(타발 제품의 레이아웃)에 따라 카메라를 적정 위치로 셋업 할 수 있게 하고, 카메라 픽업 영상의 선명도를 위해 수직 방향으로의 조절도 가능하게 구성한다.
한편, 상기 1쌍의 카메라는 X축 방향에 대하여 카메라 사이의 거리를 상호 반대방향으로 등거리로 이동케 하여 간격 조정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는 X축 방향에 대하여 각각 독립적으로 간격 조정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한다.
상기 비전부 어셈블리(V)는 하판 조립체(P1), 비전 카메라에 전, 후진 구동력을 전달하는 중간판 조립체(P2), X, Y, Z축 방향으로 비전 카메라 위치 조절을 이루는 상판 조립체(P3)로 적층 조립하여 이루어진다.
하판 조립체(P1)는 하판(1)과, 이 하판의 상부 양단으로 LM가이드(10)를 결합하고, 중앙에 볼 스크류(11)를 양단 축 받이 사이에 형성하며, 볼스크류 너트에는 너트 브라켓(12)을 끼워 결합한다.
볼 스크류(11)의 너트는 미 도시되었으나 이는 기성 부품으로 볼 스크류 회전에 따라 이송되는 너트이며 이 너트 외경에 브라켓(12)을 가공하여 결합한 것이다.
상기 브라켓(12)에는 중간 판의 단부를 체결하여 이송 너트의 구동에 따라 중간판 조립체(P2)가 연동하도록 구성된다.
볼 스크류(11) 축 일단에는 피동 플리(13)를 결합하여 이루고 브라켓(16)에 고정한 서보 모터(17) 축 단에는 구동 플리(14)를 결합하여 양측 플리를 타이밍벨트(15)로써 연결하여 서보 모터 구동력이 볼 스크류(11)에 전달되도록 이루어 프레스부(400)에 하판(1) 전단부의 볼트공(1a)을 관통하는 볼트 체결에 의해 결합 고정한다.
중간판 조립체(P2)는 중간판(2)과, 이 중간판 하부 양단으로 스페이서 블럭(21) 개재하여 상기 하판 조립체(P1)의 LM가이드(10)의 LM블럭에 결합도록 이루고 중간판 상부 중앙에는 얇고 넓은 가이드 판(22)을 나사 체결하여 이송되는 타발 소재를 가이드 하도록 이루어진다.
중간판(2)은 상술한 바와 같이 하판의 너트 브라켓(12)에 체결 고정된다.
상판 조립체(P3)는 상판(3), 이 상판의 양단에 상판의 높이 조절을 이루는 카메라 높이 조절부(30)를 마련하고, 하부 전면으로는 LM가이드(31)를 횡설하여 나사 결합하고 상부 후면부로는 카메라 간격 조절부(50)를 결합하여 이루되 상기 LM가이드(31) 하방에는 1쌍의 카메라를 갖는 카메라 고정부(40)를 결합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카메라 높이 조절부(30)는 상판(3) 양단에 체결한 브라켓(33)과 이 브라켓의 가이드 핀에 안내되는 장공(321)을 형성한 승강 블럭(32)을 대면 결합하고 상판(3) 상부로부터 관통 체결된 승강위치 조정볼트(323)에 의해 승강 위치 조정되고 조정된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결합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카메라 고정부(40)는 Y축 방향 카메라 출몰을 이루도록 카메라 고정판(410)과 카메라 브라켓(420) 사이에 LM가이드(41)를 개재하여 이루되 카메라 고정판(410)에는 장공(412)을 형성하고 이 장공을 관통하여 하부의 카메라 브라켓(420) 간에 카메라 출몰 위치 조정 후 고정되도록 체결력을 가하는 고정핸들(414)을 체결하여 이루어진다.
카메라(44)는 좌우에 1쌍으로 구성되며 각 카메라(44)는 상기 카메라 브라켓(420)에 체결 구성한다.
상기 카메라를 X축 방향으로 넓히거나 좁히고 조정된 위치를 고정하기 위하여 카메라 간격 조절부(50)가 이루어져 있다.
이 조절부(50)는 상판(3) 전면 하부에 나사 체결한 LM가이드(31)의 LM블럭에 고정한 카메라 고정판(410)의 체결공(416)에 브라켓(510)을 각각 체결하고 두 브라켓의 중앙부분에 축받이(530)를 위치케 하여 상판(3) 상부 중앙에 체결 고정하며 상기 두 브라켓(510)을 리드스크류(550)로써 관통 체결하되 양단에 너트(520)로 리드스크류에 치합되도록 끼워 브라켓(510)에 체결하여 이루며 축받이(530)에는 고정핸들(540)을 나사결합하여 리드스크류의 조정된 위치를 유지하도록 고정력을 제공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리드스크류는 하나의 봉체로 이루어지며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각각 왼나사와 오른 나사로 형성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이러한 구조를 이루는 경우에는 1쌍의 카메라는 서로의 반대방향 즉 서로 멀어지거나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동시 조절이 이루어지는 구조이다.
한편 상기 리드스크류는 동 축선 상에 위치하며 2개로 분할된 봉체의 축으로 이루고 리드스크류 양단부에 축받이(532)와 고정핸들(534)를 더 부가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는 카메라 X축 방향 위치 조정시 1쌍의 카메라는 각각 별개로 위치 조정하고 고정하도록 이루어지는 구조이다(도 8 참조).
미 설명된 부호로서 19는 플리(13, 14) 커버를, 551은 리드 스크류의 좌우 이탈을 방지하는 클램르를, 552는 리드스크류 지지 베어링을 나타내며 이는 축받이(530) 양단에서 리드스크류에 관통 결합되고 스크류 축의 회전과 이탈을 방지하는 작용을 이룬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의 제 작용에 대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통상의 구조와 작용에 따라 롤 비전 프레스에 타발 소재를 셋팅한다.
타발 소재는 롤 소재 공급부(100)에서 풀려 공급조절부(200), 비전부(300), 프레스부(400) 및 피딩조절부(500)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공지된 기술에 따라 적절 장력과 사행 방지를 위한 조정이 이루어지면서 숙련자에 의해 셋팅된다.
이때 타발 소재에 마련된 얼라인 마크는 비전부의 카메라 하부에 셋팅되도록 타발 소재의 위치 조정이 이루어지고 통상의 비전 프레스 셋팅 과정으로 얼라인 마크 등록 및 피치 인식이 완료된다.
상기 얼라인 인식 과정에서 타발 소재에 마련된 얼라인 마크의 간격에 따라 카메라 간격 조절부(50)를 통해 카메라를 X축 방향으로 좌우 조정하여 마크와 카메라 영상 픽업 부분을 정확하게 일치시켜주면 된다.
또한 선명한 영상 픽업을 위하여 Z축 방향으로 카메라 초점거리를 맞추기 위해서는 카메라 높이 조절부(30)의 승강위치 조정볼트(323)를 풀거나 조여주면 승강블럭(32)과 브라켓(33)사이의 거리조절이 이루어지면서 중간판 조립체(P2)로부터 상판조립체(P1)가 승강되고 상판(3)에 결합된 카메라 고정부(40)의 높낮이가 조정되면서 결합된 카메라위치 조정으로 초점을 맞추게 되고 선명한 초점은 영상 픽업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수행하는 작용을 이룬다.
또한 타발 소재의 피치에 따라서는 Y축 방향의 카메라 위치 조절도 필요한데 이때는 고정핸들(414)을 풀고 LM가이드(41)로 슬라이드 결합된 카메라 브라켓(420)을 움직여 위치 조정하고 조정이 완료되면 고정핸들을 잠가서 위치 고정을 이룬다.
상기와 같이 셋팅이 완료되면 설정한 피치로 롤 타발 소재가 당겨 이송되는데 비전 어셈블리(V)의 카메라(44)는 타발 소재의 피치 이송 후 프레스 타발구동부의 상, 하형 사이로 진입하게 된다.
즉, 서보모터(17) 구동으로 플리(13, 14)와 타이밍 벨트(15)를 통해 회전력이 볼스크류(11)에 전달되면 볼 스크류 축에 결합되어 있는 너트와 너트브라켓(12)이 Y축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 구동은 상기 너트 브라켓에 결합 구성된 중간판 조립체(P2)를 밀어 LM가이드(10)에 슬라이드되면서 그 상부에 탑재된 중간판 조립체(P2)와 중간판 조립체 상부에 고정된 상판조립체(P3)가 함께 Y축 방향으로 진입 이동하고 선단으로 돌출된 위치에 있는 1쌍의 카메라(44)는 상, 하형 사이로 깁숙하게 진입하고 진입 위치는 타발 위치에 존재하게 되는 타발 소재의 얼라인 위치가 된다.
카메라 진입이 완료된 후 얼라인 마크 인식을 위한 영상 픽업이 이루어지고 이 영상 정보를 통해 타발 금형이 정확하게 타발 지점에 맞추는 과정은 통상의 컴퓨터 연산에 의하며 얼라인 오차는 타발구동부 위치 수정으로 이루어지는데 본 발명은 비전 어셈블리(V)에 카메라(44)가 얼라인 마크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타발구동부는 X,Y 및 θ 축 방향으로 미세 이동하여 수정이 완료된다.
타발 지점에 프레스를 맞추는 수정이 완료되면 비전 어셈블리(V)의 서보모터(17)는 역구동하고 이 동력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 중간판 조립체(P3, P2)를 진입 역방향으로 후퇴시켜 프레스 작동시 간섭되지 아니하는 영점위치로 이동한다.
비전 카메라의 후퇴가 완료되면 프레스 구동이 이루어지고 프레스는 극도의 정밀도로 타발을 완료하게 된다.
타발이 완료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셋팅된 피치로 타발 소재를 당겨 후속하는 타발 소재의 타발 준비가 이루어진다.
이 과정을 반복하면서 롤 비전 프레스는 순차적인 반복 타발을 이루게 된다.
가이드 판(22)은 연속 공급되는 타발 소재의 처짐을 방지하여 영상 픽업효과를 극대화하도록 소재를 가이드 한다.
상기 작용을 이루는 본 발명은 비전 프레스의 가공 정밀도가 1/100 ~ 1/1000 mm를 다투는 극 정밀도를 요구 사양에 따라 얼라인 인식 위치가 곧 타발 위치이므로 얼라인 인식 후 타발까지 소요시간이 짧아지며 얼라인 인식을 지속적으로 이루는 과정에서 함께 타발 구동부 조종이 이루어지고 타발 구동부 조정이 완료되면 비전 카메라라 후퇴 한 직후 그 상태에서 곧 바로 타발이 이루어지므로 인식과 타발 위치를 따로 하던 종래의 오차 발생률에 비해 비약적으로 정밀도 향상이 이루어져 불량품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롤 공급이 가능한 타발 소재의 연속 타발이 가능하다.
예로써 OCA 필름, FPCB 및 이 소재들과 관련된 여러 부자재 등 정밀도를 요하는 타발에 유용하다.
P1: 하판 조립체 P2: 중간판 조립체
P3: 상판 조립체 V: 비전 어셈블리
1: 하판 2: 중간판
3: 상판 10, 31, 41: LM가이드
11: 볼 스크류 12: 너트 브라켓
30: 카메라 높이 조절부 40: 카메라 고정부
44: 카메라 50: 카메라 간격 조절부

Claims (10)

  1. 상, 하형으로 이루어지는 타발 금형(또는 지그와 이 지그에 장착되는 목형, 피나클을 포함한다)을 대향 수직 구동하도록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타발 구동부와, 상기 타발 구동부를 X, Y, Z 및 θ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한 이송부와, 타발 소재의 마크를 영상 픽업하는 비전부로 이루어 공급되는 소재의 마크를 인식하여 소재에 대하여 타발 금형을 정 위치에 정렬하고 타발하는 롤 비전 프레스에 있어서,
    비전부는 롤 타발 소재의 공급 축 방향을 따라서 상기 상, 하형 사이 내부로 카메라가 진입 구동하여 얼라인 마크를 인식하고, 인식 마크의 위치에 따라 타발 구동부 정렬이 이루어지면 진입 역방향으로 원위치 구동하고, 얼라인 인식 완료에 따라 타발 구동부 타발에 의해 소재를 가공하도록 Y축 방향으로 출몰하는 비전부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전 프레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비전부 어셈블리는 1쌍의 카메라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타발 구동부와 하나의 몸체가 되도록 고정 결합되어 일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전 프레스.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비전부 어셈블리의 카메라는 X, Y 및 Z축 방향으로 거리 조정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전 프레스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1쌍의 카메라는 X축 방향에 대하여 상호 반대방향으로 등거리 간격 조정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전 프레스.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1쌍의 카메라는 X축 방향에 대하여 각각 독립적으로 간격 조정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전 프레스.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비전부 어셈블리(V)는 하판 조립체(P1), 비전 카메라에 전, 후진 구동력을 전달하는 중간판 조립체(P2), X, Y, Z축 방향으로 비전 카메라 위치 조절을 이루는 상판 조립체(P3)로 적층 조립하여 이루되,
    하판(1)과, 이 하판의 상부 양단으로 LM가이드(10)를 결합하고, 중앙에 볼 스크류(11)를 양단 축 받이 사이에 형성하며, 볼스크류 너트에는 너트 브라켓(12)을 끼워 결합하여 이루고, 상기 브라켓(12)에는 중간 판의 단부를 체결하여 이송 너트의 구동에 따라 중간판 조립체(P2)가 연동하도록 이루며, 볼 스크류(11) 축 일단에는 피동 플리(13)를 결합하여 이루고 브라켓(16)에 고정한 서보 모터(17) 축 단에는 구동 플리(14)를 결합하여 양측 플리를 타이밍벨트(15)로써 연결하여 서보 모터 구동력이 볼 스크류(11)에 전달되도록 이루어 프레스부(400)에 하판(1) 전단부의 볼트공(1a)을 관통하는 볼트 체결에 의해 결합 고정하여 이루어지는 하판 조립체(P1)와,
    중간판(2)과, 이 중간판 하부 양단으로 스페이서 블럭(21) 개재하여 상기 하판 조립체(P1)의 LM가이드(10)의 LM블럭에 결합도록 이루어지는 중간판 조립체(P2)와,
    상판(3), 이 상판의 양단에 상판의 높이 조절을 이루는 카메라 높이 조절부(30)를 마련하고, 하부 전면으로는 LM가이드(31)를 횡설하여 나사 결합하고 상부 후면부로는 카메라 간격 조절부(50)를 결합하여 이루되 상기 LM가이드(31) 하방에는 1쌍의 카메라를 갖는 카메라 고정부(40)를 결합한 상판 조립체(P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전 프레스.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높이 조절부(30)는 상판(3) 양단에 체결한 브라켓(33)과 이 브라켓의 가이드 핀에 안내되는 장공(321)을 형성한 승강 블럭(32)을 대면 결합하고 상판(3) 상부로부터 관통 체결된 승강위치 조정볼트(323)에 의해 승강 위치 조정되고 조정된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전 프레스.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고정부(40)는 Y축 방향 카메라 출몰을 이루도록 카메라 고정판(410)과 카메라 브라켓(420) 사이에 LM가이드(41)를 개재하여 이루되 카메라 고정판(410)에는 장공(412)을 형성하고 이 장공을 관통하여 하부의 카메라 브라켓(420) 간에 카메라 출몰 위치 조정 후 고정되도록 체결력을 가하는 고정핸들(414)을 체결하여 이루고, 카메라(44)는 좌우에 1쌍으로 구성되며 각 카메라(44)는 상기 카메라 브라켓(420)에 체결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전 프레스.
  9. 청구항 6에 있어서, 카메라 간격 조절부(50)는 상판(3) 전면 하부에 나사 체결한 LM가이드(31)의 LM블럭에 고정한 카메라 고정판(410)의 체결공(416)에 브라켓(510)을 각각 체결하고 두 브라켓의 중앙부분에 축받이(530)를 위치케 하여 상판(3) 상부 중앙에 체결 고정하며 상기 두 브라켓(510)을 리드스크류(550)로써 관통 체결하되 양단에 너트(520)로 리드스크류에 치합되도록 끼워 브라켓(510)에 체결하여 이루며 축받이(530)에는 고정핸들(540)을 나사결합하여 이루되, 상기 리드스크류는 하나의 봉체로 이루어지며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각각 왼나사와 오른 나사로 형성하여 1쌍의 카메라는 서로의 반대방향 동시 조절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전 프레스.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카메라 간격 조절부(50)는 상판(3) 전면 하부에 나사 체결한 LM가이드(31)의 LM블럭에 고정한 카메라 고정판(410)의 체결공(416)에 브라켓(510)을 각각 체결하고 두 브라켓의 중앙부분에 축받이(530)를 위치케 하여 상판(3) 상부 중앙에 체결 고정하며 상기 두 브라켓(510)을 리드스크류(550)로써 관통 체결하되 양단에 너트(520)로 리드스크류에 치합되도록 끼워 브라켓(510)에 체결하여 이루며 상기 리드스크류는 동 축선 상에 위치하며 2개로 분할된 봉체의 축으로 이루고 리드스크류 양단부에 축받이(532)와 고정핸들(534)을 부가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전 프레스.
KR1020140142405A 2014-10-21 2014-10-21 롤 비전 프레스 KR1016242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2405A KR101624220B1 (ko) 2014-10-21 2014-10-21 롤 비전 프레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2405A KR101624220B1 (ko) 2014-10-21 2014-10-21 롤 비전 프레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7018A true KR20160047018A (ko) 2016-05-02
KR101624220B1 KR101624220B1 (ko) 2016-05-26

Family

ID=56021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2405A KR101624220B1 (ko) 2014-10-21 2014-10-21 롤 비전 프레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42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4498B1 (ko) * 2019-04-11 2020-10-12 김진묵 테스트스트립용 필름 커팅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83498B2 (ja) 1999-12-15 2006-06-0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子部品の圧着方法
JP4376951B1 (ja) * 2008-07-31 2009-12-02 富士商工株式会社 プレス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プレス方法
KR101375227B1 (ko) * 2012-09-13 2014-03-18 주식회사 테크아이 비젼프레스의 비젼카메라 이동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4498B1 (ko) * 2019-04-11 2020-10-12 김진묵 테스트스트립용 필름 커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4220B1 (ko) 2016-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09132B1 (en) Glass plate cut-out, method for positioning cut-out glass plate, and device for same
CN211917062U (zh) 一种ccd模切机
US712117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unching out a plurality of parts from tape-like member
KR20090057872A (ko) 기판 타발 장치
CN104227780A (zh) 柔性线路板辅材万能连续模冲方法及装置
KR20160126122A (ko) 연성회로기판 보호용 커버레이 천공장치
KR101624220B1 (ko) 롤 비전 프레스
JP6691362B2 (ja) コイル材搬送装置、プレスシステム、およびコイル材搬送方法
CN110919766A (zh) 一种ccd模切机
KR101604069B1 (ko) 다층 시트 부재용 프레스 가공 장치
KR102032912B1 (ko) 스트레치 필름을 이용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용 필름 절단 장치
KR100575559B1 (ko) 커버레이 부착 시스템
JP2007027560A (ja) 粘着性テープの貼着装置及び貼着方法
CN102688953B (zh) 一种汽车生产线的板料对中调整装置及其对中调整方法
CN108353533B (zh) 弯曲装置
CN211250293U (zh) 一种冲型机传料的校正装置
JP3496212B2 (ja) 打ち抜き方法およびこの方法に用いる打ち抜き装置
KR102073516B1 (ko) 인쇄된 소재의 정 위치 전단가공방법
KR101482092B1 (ko)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으로의 모듈 접지장치
KR101487128B1 (ko) 트윈 피더가 구비된 타발장치
JP3988031B2 (ja) 連続プレス加工方法及びその装置
JP2562506B2 (ja) 帯材の加工方法
JP2021009931A (ja) 貼り付け装置及び貼り付け方法
CN110238524A (zh) 一种自动调整高度的激光拼板工作台
CN216178091U (zh) 一种用于中小型产品的快速转贴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