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6561A - 영상 관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 관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6561A
KR20160046561A KR1020140142634A KR20140142634A KR20160046561A KR 20160046561 A KR20160046561 A KR 20160046561A KR 1020140142634 A KR1020140142634 A KR 1020140142634A KR 20140142634 A KR20140142634 A KR 20140142634A KR 20160046561 A KR20160046561 A KR 201600465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cessor
image data
image
present
recei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2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7433B1 (ko
Inventor
구주완
Original Assignee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426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7433B1/ko
Publication of KR201600465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65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74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74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5High-definition televi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 관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프로세서가 수신된 영상 데이터의 디스플레이를 처리하도록 하는 영상 관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관리 장치는 네트워크를 통한 영상 데이터의 송수신 및 수신된 영상 데이터의 디스플레이를 처리하는 제 1 프로세서, 및 상기 수신된 영상 데이터의 저장을 처리하는 제 2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영상 관리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image}
본 발명은 영상 관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프로세서가 수신된 영상 데이터의 디스플레이를 처리하도록 하는 영상 관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폐쇄회로 텔레비전(Closed Circuit Television)은 특정 수신자를 대상으로 영상을 전송하는 텔레비전 방식으로, 영상의 송수신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며 수신 대상 이외는 임의로 수신할 수 없도록 되어 있어 폐쇄회로 텔레비전이라고 한다.
폐쇄회로 텔레비전은 때로 산업용 텔레비전(Industrial Television)의 약어인 ITV로 불리기도 하는데 방송 텔레비전 이외의 산업용, 교육용, 의료용, 방재용 및 사내의 영상 정보 전달용 등으로 그 용도가 다양하며 특히 폐쇄회로 텔레비전에 의한 영상 정보 전송은 다른 데이터 전송이나 음성 정보 전송에 비해 취급 정보량이 압도적으로 많아 현장의 분위기나 사람의 감정까지도 전송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폐쇄회로 텔레비전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카메라는 일반적으로 폐쇄회로 카메라라고 불리는데, 폐쇄회로 카메라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전하 결합 소자 또는 시모스와 같은 촬상 소자를 이용하여 렌즈로 입력된 영상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고, 케이블을 이용하여 모니터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400)에 변환된 전기적인 신호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폐쇄회로 텔레비전 시스템은 연결된 대상 이외에는 임의로 수신할 수 없도록 되어 있는데, 예를 들어 원격지에 있는 사용자는 폐쇄회로 화면을 볼 수 없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네트워크 카메라가 등장하게 되었는데, 네트워크 카메라는 카메라뿐만 아니라 영상을 처리할 수 있는 수단 및 네트워크 카드가 내장되어 있어서 인터넷을 통하여 원격지의 사용자에게 촬영된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카메라의 촬영 영상은 NVR(Network Video Recorder)에 저장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하여 네트워크 카메라와 NVR간의 네트워크 설정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 및 디스플레이 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영상 컨텐츠의 해상도가 증가하게 되었다. 예를 들어, 1920x1080 해상도의 풀 HD(Full High Definition) 영상이 제공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3840x2160 해상도의 울트라 HD(Ultra High Definition) 영상이 제공되고 있는 것이다. 또한, 7680x4320 해상도의 영상이 개발 중에 있으며 곧 공개될 예정이다.
이와 같은 고 해상도의 영상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프로세서의 성능 향상도 수반되어야 하는데, 종래 NVR의 경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프로세서와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프로세서간의 영상 데이터 전달로 인하여 별도의 연산이 발생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영상 데이터 전달을 수행하기 위한 연산으로 인하여 전체적인 영상 처리 성능이 저하된다.
따라서, 고 해상도의 영상을 처리함에 있어서 영상 데이터의 전달에 소요되는 연산을 감소시키는 발명의 등장이 요구된다.
한국공개특허 10-1999-0061544호 (1999.07.26)
본 발명은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프로세서가 수신된 영상 데이터의 디스플레이를 처리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관리 장치는 네트워크를 통한 영상 데이터의 송수신 및 수신된 영상 데이터의 디스플레이를 처리하는 제 1 프로세서, 및 상기 수신된 영상 데이터의 저장을 처리하는 제 2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관리 방법은 원칩의 제 1 프로세서가 네트워크를 통한 영상 데이터의 송수신 및 수신된 영상 데이터의 디스플레이를 처리하는 단계, 및 제 2 프로세서가 상기 수신된 영상 데이터의 저장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영상 관리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프로세서가 수신된 영상 데이터의 디스플레이를 처리하도록 함으로써 고 해상도의 영상을 처리함에 있어서 영상 데이터의 전달에 소요되는 연산을 감소시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관리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프로세서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2 프로세서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데이터가 출력되는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데이터가 저장되는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데이터가 분석 처리되는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관리 장치를 구성하는 각 프로세서에 의한 연산 능력의 비교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영상 관리 시스템(10)은 카메라(100), 영상 관리 장치(200), 모니터링 장치(300), 디스플레이 장치(400) 및 네트워크(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카메라(100)는 전하 결합 소자(CCD; Charge Coupled Device) 또는 시모스(CMOS; 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소자 등을 이용하여 피사체에 의해 반사된 빛을 수신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바꾸는 촬영 수단(미도시), 촬영된 영상에서 노이즈를 제거하거나 필요한 특성만을 추출하거나 원본 영상을 인코딩하여 데이터의 크기가 축소된 압축된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처리 수단(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100)는 영상 처리 수단에 의하여 처리된 영상을 송신하고 제어 신호 등을 수신하는 통신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수단은 예를 들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 Network Interface Card)를 의미할 수 있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100)는 자신만의 IP 주소가 부여된 네트워크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관리 장치(200)는 NVR(Network Video Recorder)와 같이 네트워크(500)를 통하여 수신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장치로서, 이를 위하여 저장 수단 및 통신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영상 관리 장치(200)에 구비된 통신 수단도 카메라(100)와 마찬가지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를 의미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이에 따라 영상 관리 장치(200)도 자신만의 IP 주소가 부여된 장치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영상 관리 장치(200)에는 수신된 영상을 출력하는 출력 수단이 포함될 수 있다.
모니터링 장치(300)는 네트워크(500)를 통하여 카메라(100)에 접속하고, 카메라(100)에 의하여 생성된 영상을 수신하여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카메라(100)에는 IP 주소가 할당될 수 있는데, 모니터링 장치(300)는 IP 주소를 이용하여 특정 카메라(100)에 접속할 수 있고, 해당 카메라(100)에 의하여 생성된 영상을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네트워크(500)는 카메라(100), 영상 관리 장치(200), 모니터링 장치(300) 및 디스플레이 장치(400)를 서로 연결하여 각 장치간 데이터의 송수신을 중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네트워크(500)에서 이용되는 통신 방식은 유선 또는 무선의 인터넷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전화망 또는 이동 통신망 등 별도의 유선 또는 무선망에 의한 통신 방식이 네트워크(500)에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통신 방식을 복합적으로 구성함으로써 본 발명의 네트워크(500)가 그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400)는 영상 관리 장치(200)에서 출력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영상 관리 장치(200)는 네트워크(500)를 통하여 카메라(100)로부터 수신된 영상을 출력하거나 저장할 수 있는데, 영상 관리 장치(200)가 수신된 영상 또는 저장된 영상을 출력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400)는 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100)는 풀 HD(Full High Definition) 해상도 또는 울트라 HD(Ultra High Definition) 해상도의 영상을 생성하여 송신하는 것일 수 있는데, 이와 같은 고 해상도의 영상을 수신하여 처리하기 위해서는 영상 관리 장치(200)에 구비된 프로세서의 성능 향상도 수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높은 성능의 프로세서를 장착하는 경우 단가 상승의 요인이 될 수 있는데, 이에 본 발명의 영상 관리 장치(200)는 영상을 분산 처리하는 복수의 프로세서를 구비할 수 있다.
특히, 복수의 프로세서가 구비된 경우 프로세서간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연산이 발생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영상 관리 장치(200)는 프로세서간 데이터 송수신을 최소화하거나 연산량이 감소된 상태로 데이터 송수신이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전체적인 성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관리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로서, 영상 관리 장치(200)는 제 1 프로세서(211), 제 2 프로세서(212), 제 3 프로세서(213), 저장부(220), 통신부(230) 및 출력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 프로세서(211)는 네트워크(500)를 통한 영상 데이터의 송수신 및 수신된 영상 데이터의 디스플레이를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 1 프로세서(211)는 영상 데이터의 송수신 및 디스플레이를 처리하는 별도의 수단을 구비할 수 있는데, 도 3은 이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프로세서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제 1 프로세서(211)는 통신 처리부(310) 및 디스플레이 처리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통신 처리부(310)는 통신부(230)에게 네트워크 자원을 할당하고 통신부(230)에 의한 세션 구성에 필요한 연산을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통신 처리부(310)는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제 2 프로세서(212) 또는 제 3 프로세서(213)로 전달하는데 필요한 연산을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통신 처리부(310)는 송수신되는 영상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여 보다 원활한 데이터의 흐름을 도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처리부(320)는 디스플레이하고자 하는 화면을 구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영상 관리 장치(200)는 복수의 카메라(100)로부터 영상을 수신할 수 있는데, 디스플레이 처리부(320)는 수신된 복수의 영상을 하나의 화면으로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화면이 울트라 HD 해상도를 갖고 있고 4개의 카메라(100)로부터 영상이 수신된 경우 디스플레이 처리부(320)는 수신된 각 영상을 업 스케일링 또는 다운 스케일링하여 풀 HD 해상도로 변환하고, 4개의 풀 HD 영상을 조합하여 하나의 울트라 HD 해상도의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처리부(320)는 특정 카메라(100)로부터 수신된 영상을 화면의 특정 영역에 배치시키거나, 수신된 영상에 대한 화질 개선 처리 또는 특수 효과 처리 등의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다시 도 2를 설명하면, 통신부(230)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방식으로 네트워크(500)에 참여할 수 있다. 통신부(230)가 이용하는 통신 방식으로는 이더넷(Ethernet), 공중 교환 전화망(PSTN;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이동 통신망, 무선 랜(Wireless LAN), 블루투스(Bluetooth), Wi-Fi(Wireless Fidelity),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HSDPA(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등이 있을 수 있는데, 그 중 이더넷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출력부(240)는 제 1 프로세서(211)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처리된 영상을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출력부(240)는 BT 1120 방식으로 영상을 출력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출력부(240)에 의하여 출력된 영상은 디스플레이 장치(400)로 전달되어 디스플레이 장치(400)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프로세서(211)는 원칩(one-chip)의 프로세서일 수 있는데, 영상 데이터의 송수신 및 영상 데이터의 디스플레이 처리가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영상 데이터의 송수신 및 영상 데이터의 디스플레이 처리가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수행됨에 따라 수신된 영상을 디스플레이 처리함에 있어서 프로세서간 데이터 송수신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영상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프로세서와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처리하는 프로세서가 별도로 구비된 경우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처리함에 있어서 프로세서간 데이터 송수신이 발생하게 되는데,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제 1 프로세서(211)는 원칩 프로세서의 형태로 영상 데이터의 송수신 및 디스플레이 처리를 수행하기 때문에 프로세서간 데이터 송수신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제 2 프로세서(212)는 수신된 영상 데이터의 저장 및 판독을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영상 관리 장치(200)는 NVR일 수 있는데, 제 2 프로세서(212)는 네트워크(500)를 통하여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저장부(220)에 저장하거나 저장부(220)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판독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2 프로세서(212)는 영상 데이터의 기록 및 판독을 처리하는 별도의 수단을 구비할 수 있는데, 도 4는 이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2 프로세서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제 2 프로세서(212)는 데이터 기록 처리부(410) 및 데이터 판독 처리부(4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데이터 기록 처리부(410)는 영상 데이터를 저장부(220)에 기록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데이터 판독 처리부(420)는 저장부(220)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판독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제 2 프로세서(212)는 RAID(Redundant Array of Inexpensive Disk) 방식으로 저장 처리 또는 판독 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데, 이 때 데이터 기록 처리부(410)는 데이터를 분할하여 저장부(220)에 기록할 수 있으며, 데이터 판독 처리부(420)는 분할되어 저장된 데이터를 병렬로 판독할 수 있다. RAID 방식에 따라 데이터 기록 및 판독을 수행함에 따라 영상 데이터에 대한 빠른 저장 및 판독이 가능하게 된다.
다시 도 2를 설명하면, 저장부(220)는 제 2 프로세서(212)에 의하여 처리된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저장부(220)는 하드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CF 카드(Compact Flash Card), SD 카드(Secure Digital Card), SM 카드(Smart Media Card), MMC(Multimedia Card)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 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한 모듈로서 영상 관리 장치(200)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고, 별도의 장치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제 1 프로세서(211)의 연산 능력은 제 2 프로세서(212)의 연산 능력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프로세서(211)는 네트워크(500)를 통하여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영상 데이터의 디스플레이 처리를 수행하며,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제 2 프로세서(212)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이러한 작업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연산량이 영상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판독하는 제 2 프로세서(212)의 연산량보다 크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서로 다른 연산 능력을 가진 프로세서를 장착함으로써 전체 영상 관리 장치(200)를 제조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제 3 프로세서(213)는 제 1 프로세서(211)로부터 전달받은 영상을 분석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제 3 프로세서(213)는 움직임 감지(motion detection) 또는 얼굴 인식(face recognition) 등의 분석을 수행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제 3 프로세서(213)가 포함된 형태 또는 제 3 프로세서(213)가 제거된 형태의 영상 관리 장치(200)가 구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데이터가 출력되는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카메라(100)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은 네트워크(500)를 통하여 영상 관리 장치(200)의 제 1 프로세서(211)로 전달되는데, 수신된 영상 데이터의 디스플레이 명령이 발생한 경우 제 1 프로세서(211)는 수신된 영상을 그대로 출력하여 디스플레이 장치(400)로 하여금 디스플레이하도록 할 수 있다.
수신된 영상이 프로세서간 전달 없이 그대로 출력됨에 따라 프로세서간 데이터 전달을 위한 연산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데이터가 저장되는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카메라(100)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은 네트워크(500)를 통하여 영상 관리 장치(200)의 제 1 프로세서(211)로 전달되는데, 수신된 영상 데이터의 저장 명령이 발생한 경우 제 1 프로세서(211)는 수신된 영상을 제 2 프로세서(212)로 전달하여 저장부(220)에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 1 프로세서(211)는 제 2 프로세서(212)로 영상 데이터를 전달하면서 동일한 영상 데이터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영상 데이터의 저장과 디스플레이가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데이터가 분석 처리되는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카메라(100)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은 네트워크(500)를 통하여 영상 관리 장치(200)의 제 1 프로세서(211)로 전달되는데, 수신된 영상 데이터의 분석 명령이 발생한 경우 제 1 프로세서(211)는 수신된 영상을 제 3 프로세서(213)로 전달하여 분석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 1 프로세서(211)는 제 3 프로세서(213)로 영상 데이터를 전달하면서 동일한 영상 데이터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영상 데이터의 분석과 디스플레이가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게 된다.
또한, 제 1 프로세서(211)는 제 2 프로세서(212) 및 제 3 프로세서(213)로 영상 데이터를 전달하면서 동일한 영상 데이터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영상 데이터의 저장, 분석 및 디스플레이가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관리 장치를 구성하는 각 프로세서에 의한 연산 능력의 비교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디스플레이를 위한 처리를 수행하는데 많은 연산량이 발생하는데, 본 발명에서 이러한 작업은 제 1 프로세서(211)가 수행한다.
따라서, 제 1 프로세서(211)는 비교적 높은 연산 능력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와 동일한 연산 능력을 가진 제 2 프로세서(212) 및 제 3 프로세서(213)를 구비하는 경우 불필요한 비용이 발생할 수 있게 된다.
즉, 제 1 프로세서(211)에 비하여 제 2 프로세서(212) 및 제 3 프로세서(213)가 수행하여야 하는 연산량은 크지 않은데, 제 1 프로세서(211)의 연산 능력과 동일한 연산 능력을 가진 제 2 프로세서(212) 및 제 3 프로세서(213)를 영상 관리 장치(200)게 장착하는 경우 영상 관리 장치(200)의 비용이 불필요하게 증가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관리 장치(200)에 구비된 복수의 프로세서는 서로 상이한 연산 능력을 가질 수 있는데, 그 순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프로세서(211), 제 3 프로세서(213) 및 제 2 프로세서(212)의 순일 수 있다.
즉, 제 1 프로세서(211)의 연산 능력이 가장 크고, 그 다음 제 3 프로세서(213)의 연산 능력이 크며, 제 3 프로세서(213)의 연산 능력이 가장 작을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복수의 프로세서의 연산 능력을 서로 상이하게 함으로써 영상 관리 장치를 구현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이 절감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8은 제 1 프로세서(211), 제 3 프로세서(213) 및 제 2 프로세서(212)의 순으로 연산 능력이 분포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각 프로세서에 의하여 수행되는 기능을 다르게 분배함으로써 프로세서간 연산 능력의 분포는 다르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211: 제 1 프로세서 212: 제 2 프로세서
213: 제 3 프로세서 220: 저장부
230: 통신부 240: 출력부

Claims (6)

  1. 네트워크를 통한 영상 데이터의 송수신 및 수신된 영상 데이터의 디스플레이를 처리하는 제 1 프로세서; 및
    상기 수신된 영상 데이터의 저장을 처리하는 제 2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영상 관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로세서는 원칩(one-chip)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영상 관리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로세서의 연산 능력은 상기 제 2 프로세서의 연산 능력보다 큰 영상 관리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영상 데이터의 저장 명령이 발생한 경우 상기 제 1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제 2 프로세서로 전달하는 영상 관리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데이터는 풀 HD(Full High Definition) 영상 또는 울트라 HD(Ultra High Definition) 영상을 포함하는 영상 관리 장치.
  6. 원칩(one-chip)의 제 1 프로세서가 네트워크를 통한 영상 데이터의 송수신 및 수신된 영상 데이터의 디스플레이를 처리하는 단계; 및
    제 2 프로세서가 상기 수신된 영상 데이터의 저장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관리 방법.
KR1020140142634A 2014-10-21 2014-10-21 영상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21374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2634A KR102137433B1 (ko) 2014-10-21 2014-10-21 영상 관리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2634A KR102137433B1 (ko) 2014-10-21 2014-10-21 영상 관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6561A true KR20160046561A (ko) 2016-04-29
KR102137433B1 KR102137433B1 (ko) 2020-07-24

Family

ID=55915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2634A KR102137433B1 (ko) 2014-10-21 2014-10-21 영상 관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74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60191A1 (ko) * 2018-02-19 2019-08-22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1544A (ko) 1997-12-31 1999-07-26 추호석 산업용 로봇 교시조작기
KR20140036733A (ko) * 2012-09-18 2014-03-26 셀로코주식회사 센서 네트워크용 시스템 온 칩 프로세서 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1544A (ko) 1997-12-31 1999-07-26 추호석 산업용 로봇 교시조작기
KR20140036733A (ko) * 2012-09-18 2014-03-26 셀로코주식회사 센서 네트워크용 시스템 온 칩 프로세서 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60191A1 (ko) * 2018-02-19 2019-08-22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US11295589B2 (en) 2018-02-19 2022-04-05 Hanwha Techwin Co., Ltd. Image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for simultaneously transmitting a plurality of pieces of image data obtained from a plurality of camera modu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7433B1 (ko) 2020-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244858A1 (en) Communication system and relaying device
US8305448B2 (en) Selective privacy protection for imaged matter
CN109963083B (zh) 图像处理器、图像处理方法、拍摄装置和电子设备
JP2016197858A (ja) リアルタイム画像ステッチ装置およびリアルタイム画像ステッチ方法
CN111066059A (zh) 局部色调映射
JP2005287029A (ja) データを動的に処理する方法及びデジタルカメラ
US20200244950A1 (en) Image Sensor Blemish Detection
CN115526787A (zh) 视频处理方法和装置
KR101932539B1 (ko) 동영상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촬영 장치
WO2019218147A1 (zh) 一种监控视频的传输方法、装置及设备
JP2008109364A (ja) カメラサーバシステム、データの処理方法、およびカメラサーバ
US9609215B2 (en) Moving-image recording/reproduction apparatus
KR102137433B1 (ko) 영상 관리 장치 및 방법
CN112788198B (zh) 摄影装置、传送系统及方法、记录介质和计算机装置
KR100490948B1 (ko) 영상 전송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네트워크 카메라시스템
TWM453210U (zh) 異地備援的監控系統及攝影裝置
US1049179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imaging devices
EP2495972A1 (en) Monitoring device and method for monitoring a location
JP6658504B2 (ja) 撮像装置、撮像方法および撮像システム
KR20130058807A (ko) Sip프로토콜 및 화면통합제어 모듈 일체형 네트워크 카메라
JP2018201106A (ja) 撮像システム
WO2022061723A1 (zh) 一种图像处理方法、设备、终端及存储介质
US20240179425A1 (en) Image sensor with multiple image readout
JP5131954B2 (ja) ビデオレコーダ並びにカメラシステム
WO2022121504A1 (zh) 图像处理方法、图像处理器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