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6217A - 스마트기기에서의 데이터통신 관리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기기에서의 데이터통신 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6217A
KR20160046217A KR1020140142005A KR20140142005A KR20160046217A KR 20160046217 A KR20160046217 A KR 20160046217A KR 1020140142005 A KR1020140142005 A KR 1020140142005A KR 20140142005 A KR20140142005 A KR 20140142005A KR 20160046217 A KR20160046217 A KR 201600462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execution
data communication
activation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2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0754B1 (ko
Inventor
정임영
장재진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420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0754B1/ko
Publication of KR20160046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62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0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07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60Subscription-based services using application servers or record carriers, e.g. SIM application toolk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및 데이터 통신의 활성화를 유지 또는 차단하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데이터 사용 및 배터리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스마트기기에서의 데이터통신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기기에서의 데이터통신 관리방법은 통신망을 통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구성됨과 더불어, 정보를 표시출력하기 위한 표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스마트기기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데이터 통신 시도가 이루어지는지를 확인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단계에서 데이터 통신 시도가 이루어지면,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활성화 선택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표시수단을 통해 표시출력하는 제2 단계, 상기 제2 단계에서 제공되는 활성화 선택메시지에 대해 활성화 유지정보가 선택되면, 해당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제2 단계에서 제공되는 활성화 선택메시지에 대해 활성화 차단정보가 선택되면, 해당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데이터 통신을 차단함과 더불어,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종료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마트기기에서의 데이터통신 관리방법{Method for data communication management of Smart Device}
본 발명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및 데이터 통신의 활성화를 유지 또는 차단하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데이터 사용 및 배터리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스마트기기에서의 데이터통신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기기는 인터넷 통신과 정보검색 등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단말기로서 휴대단말에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휴대단말을 의미한다.
즉, 상기한 스마트기기는 이동중에도 통신기능을 수행하는 기본적인 휴대폰 기능에 충실하면서도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DA) 기능이나 리모컨 기능(일부)을 수행하도록 구성됨은 물론, 무선 인터넷 기능의 지원으로 인터넷 및 컴퓨터에 접속되어 이메일, 웹브라우징, 팩스, 온라인 뱅킹 또는 게임 등을 실행하는 단말기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최근에는 보다 나은 처리 능력 및 부가 기능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면서, 스마트기기에는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듀얼 프로세서 및 다중 프로세서와 같은 최신 기술들이 채용되어지고 있다.
또한, 스마트기기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야 하는 바, 스마트기기의 성능 향상에 부응하여 다양한 종류의 어플리케이션이 개발되어지고 있다. 즉, 사용자는 스마트기기에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함으로써 각종 서비스를 제공받게 된다.
이때, 상기한 스마트기기는 통상 데이터, 즉 통신자원 사용량에 따라 요금이 부가되고, 상기한 어플리케이션은 서비스 제공을 위해 요금이 부가되는 데이터를 사용하게 된다.
그런데, 사용자가 구비한 스마트기기에 설치된 각 어플리케이션의 종류를 사용자가 모두 인지하지는 못하는 바, 사용자가 인지하지 못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데이터와 배터리의 낭비가 발생될 수 있다. 즉,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사용자가 세부적으로 인지하지 못하는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짐으로 인해 통신 요금이 부가되는 데이터가 낭비될 수 있다. 또한, 이는 휴대성 기기의 배터리를 빠르게 소진시키는 역할도 하기에 사용자가 인지하지 못하는 사이 배터리의 전력도 함께 낭비된다고 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데이터 사용량에 따라 과금되는 통신서비스의 이용은 결국 사용자의 통신 비용을 증가시키는 요인이 된다. 특히, 해외에서 통신서비스를 제공받는 스마트기기의 경우, 국외 로밍요금에서 데이터 요금의 비중이 상당하기 때문에 데이터 통신 사용에 대한 관리가 더욱 요구된다.
[선행특허]
1. 특허공개 제2013-0095202호(발명의 명칭 : 네트워크 비용을 고려한 콘텐츠 캐시 관리 방법 및 장치)
2. 특허공개 제2012-0088376호(발명의 명칭 : 무선 자원 제어 상태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시 데이터 통신 활성화 선택메시지 또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선택메시지를 표시창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데이터 통신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유지하거나 또는 차단하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데이터 사용을 최소화하여 데이터 사용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스마트기기에서의 데이터통신 관리방법을 제공함에 그 기술적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통신망을 통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구성됨과 더불어, 정보를 표시출력하기 위한 표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스마트기기에서의 데이터 통신 관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데이터 통신 시도가 이루어지는지를 확인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단계에서 데이터 통신 시도가 이루어지면,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활성화 선택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표시수단을 통해 표시출력하는 제2 단계, 상기 제2 단계에서 제공되는 활성화 선택메시지에 대해 활성화 유지정보가 선택되면, 해당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제2 단계에서 제공되는 활성화 선택메시지에 대해 활성화 차단정보가 선택되면, 해당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데이터 통신을 차단함과 더불어,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종료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에서의 데이터 통신 관리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제1 단계는 데이터 패킷에 통신접속 관련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근거로 데이터 통신 시도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에서의 데이터 통신 관리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제3 단계는 활성화 유지정보가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정보를 활성화 선택 어플리케이션 목록에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단계는 제1 단계에서 데이터 통신 시도가 이루어지면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 선택 어플리케이션 목록에 존재하는지를 확인하여 활성화 선택 어플리케이션 목록에 없는 경우 활성화 선택메시지를 표시수단으로 표시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에서의 데이터 통신 관리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제3 단계에서 활성화 선택 어플리케이션 목록으로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 종료된 경우에는 활성화 선택 어플리케이션 목록에서 해당 어플리케이션정보를 클리어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에서의 데이터 통신 관리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제2 단계에서 생성되는 활성화 선택메시지는 어플리케이션 명과, 데이터 통신을 유지하여 활성화 하기 위한 "유지" 선택항목과, 데이터 통신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 선택항목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에서의 데이터 통신 관리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표시수단이 오프상태인 경우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데이터 통신 시도가 이루어지는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에서의 데이터 통신 관리방법이 제공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측면에 의하면 통신망을 통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구성됨과 더불어, 정보를 표시출력하기 위한 표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스마트기기에서의 데이터 통신 관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데이터 통신 활성화 상태를 등록하는 제21단계와,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데이터 통신 시도가 이루어지는지를 확인하는 제22 단계와, 상기 제22 단계에서 데이터 통신 시도가 이루어지면,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데이터 통신 활성화 상태가 등록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제23 단계, 상기 제23 단계에서 데이터 통신 활성화 상태가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등록된 데이터 통신 활성화 상태에 대응되도록 데이터 통신을 유지하거나 또는 데이터 통신을 차단하는 제24 단계, 상기 제23 단계에서 데이터 통신 활성화 상태가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활성화 선택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표시수단을 통해 표시출력하는 제25 단계, 상기 제25 단계에서 표시출력되는 활성화 선택메시지에 대해 활성화 유지정보가 선택되면, 해당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26 단계 및, 상기 제25 단계에서 표시출력되는 활성화 선택메시지에 대해 활성화 차단정보가 선택되면, 해당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데이터 통신을 차단함과 더불어,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종료하는 제27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에서의 데이터 통신 관리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제21 단계는 데이터 통신 활성화 상태를 고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활성화 유지 어플리케이션 목록과, 데이터 통신을 차단하기 위한 활성화 차단 어플리케이션 목록으로 구분하여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에서의 데이터 통신 관리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제23 단계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 유지 어플리케이션 목록 또는 활성화 차단 어플리케이션 목록에 포함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에서의 데이터 통신 관리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제26 단계는 활성화 유지정보가 선택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활성화 선택 어플리케이션 목록에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3 단계는 제22 단계에서 데이터 통신 시도가 이루어지면 상기 제21 단계 및 상기 제26 단계에서 등록된 어플리케이션 목록을 근거로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데이터 통신 활성화 상태의 등록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에서의 데이터 통신 관리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제26 단계에서 활성화 선택 어플리케이션 목록으로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 종료된 경우에는 활성화 선택 어플리케이션 목록에서 해당 어플리케이션정보를 클리어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에서의 데이터 통신 관리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제27 단계에서 활성화 선택메시지에 대해 활성화 차단정보가 선택된 경우,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 차단선택 이력정보로 저장함과 더불어,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차단횟수가 일정 수 이상인 경우,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 차단 어플리케이션 목록에 자동 추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에서의 데이터 통신 관리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제27 단계에서 상기 활성화 차단선택 이력정보 중 어플리케이션의 최초 차단 선택일로부터 기 설정된 이력저장기간 동안 기 설정된 횟수 만큼의 활성화 차단 선택이 이루어진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 차단 어플리케이션 목록에 자동 추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에서의 데이터 통신 관리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제25 단계에서 생성되는 활성화 선택메시지는 어플리케이션 명과, 데이터 통신을 유지하여 활성화 하기 위한 "유지" 선택항목과, 데이터 통신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 선택항목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에서의 데이터 통신 관리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제22 단계는 데이터 패킷에 통신접속 관련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근거로 데이터 통신 시도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에서의 데이터 통신 관리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제22 단계는 상기 표시수단이 오프상태인 경우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데이터 통신 시도가 이루어지는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에서의 데이터 통신 관리방법이 제공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측면에 의하면 통신망을 통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구성됨과 더불어, 정보를 표시출력하기 위한 표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스마트기기에서의 데이터 통신 관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함과 더불어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데이터메모리에 저장하는 제111단계와, 상기 스마트기기의 표시수단의 상태가 확인하여 표시수단의 상태가 오프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111단계에서 저장된 실행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활성화 선택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표시수단을 통해 표시출력하는 제112 단계, 상기 제112 단계에서 제공되는 활성화 선택메시지에 대해 실행 유지정보가 선택되면, 해당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유지하고, 실행 차단정보가 선택되면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는 제113 단계 및, 상기 표시수단의 상태가 오프상태인 상태에서 실행 시도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해서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차단하는 제114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에서의 데이터 통신 관리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제114 단계는 표시수단의 상태가 오프상태인 상태에서 실행 차단된 어플리케이션정보를 임시차단 어플리케이션 목록에 저장하고, 표시수단의 상태가 온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임시차단 어플리케이션 목록으로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 선택메시지를 표시수단으로 표시출력하며, 사용자에 의해 실행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에서의 데이터 통신 관리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활성화 선택메시지 또는 상기 실행 선택메시지는 어플리케이션 명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위한 제1 선택항목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종료하기 위한 제2 선택항목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에서의 데이터 통신 관리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제114 단계에서 실행 선택메시지에 대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및 종료가 선택이 완료되면 임시차단 어플리케이션 목록을 클리어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에서의 데이터 통신 관리방법이 제공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측면에 의하면통신망을 통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구성됨과 더불어, 정보를 표시출력하기 위한 표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스마트기기에서의 데이터 통신 관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상태를 등록하는 제131단계와,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함과 더불어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데이터메모리에 저장하는 제132단계, 상기 스마트기기의 표시수단의 상태를 확인하여 표시수단의 상태가 오프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132단계에서 저장된 실행 어플리케이션 중 상기 제 131단계에서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가 등록되어 있지 않은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활성화 선택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표시수단을 통해 표시출력하는 제133 단계, 상기 제133 단계에서 제공되는 활성화 선택메시지에 대해 실행 유지정보가 선택되면, 해당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유지하고, 실행 차단정보가 선택되면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는 제134 단계 및, 상기 표시수단의 상태가 오프상태인 상태에서 실행 시도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해서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제 131단계에서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가 차단상태이거나 미등록된 경우에 한하여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차단하는 제135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에서의 데이터 통신 관리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제131 단계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를 고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실행 유지 어플리케이션 목록과,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차단하기 위한 실행 차단 어플리케이션 목록으로 구분하여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에서의 데이터 통신 관리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제135 단계는 표시수단의 상태가 오프상태인 상태에서 실행 차단된 어플리케이션정보를 임시차단 어플리케이션 목록에 저장하고, 표시수단의 상태가 온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임시차단 어플리케이션 목록으로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 선택메시지를 표시수단으로 표시출력하며, 사용자에 의해 실행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에서의 데이터 통신 관리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활성화 선택메시지 또는 실행 선택메시지는 어플리케이션 명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위한 제1 선택항목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종료하기 위한 제2 선택항목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에서의 데이터 통신 관리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제135 단계에서 실행 선택메시지에 대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및 종료가 선택이 완료되면 임시차단 어플리케이션 목록을 클리어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에서의 데이터 통신 관리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른 데이터 사용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스마트기기에서의 데이터 사용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되고, 또한 스마트기기의 배터리 전력도 절약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사용가능한 데이터량이 한정적인 사용자에게 데이터 사용에 따른 과금 부담을 감소시키는 효과 및 사용자가 과금 및 배터리 소진의 근거를 확인할 수 있어 보다 계획적인 소비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기준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강제 종료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인식하지 못한 채 설치되어 실행되는 악성 어플리케이션 등에 의한 피해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음은 물론, 전체적인 실행 어플리케이션의 수가 감소됨으로써 스마트기기의 효율적인 배터리 사용도 가능하게 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기기가 적용되는 통신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2는 도1에 도시된 스마트기기(100)의 내부구성을 기능적으로 분리하여 나타낸 블럭구성도.
도3은 도2에 도시된 표시창(130)으로 제공되는 활성화 선택메시지를 예시한 도면.
도4 내지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기기에서의 데이터 통신 관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기기가 적용되는 통신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통신시스템은 스마트기기(100)가 통신망(1)을 통해 서비스제공서버(200) 및, 통신서버(300)와 결합되어 무선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서비스제공서버(200)는 스마트기기(100)로 서비스제공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함과 더불어, 스마트기기(1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통신망(1)을 통한 데이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스마트기기(100)로 해당 서비스를 제공한다.
상기 통신서버(300)는 상기 스마트기기(100)의 통신망(1)을 통한 데이터통신을 전반적으로 관리함과 더불어, 타 통신단말(미도시)과의 음성통신을 포함하는 각종 통신서비스를 제공하고, 데이터 사용량에 대응되는 과금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상기 통신서버(300)도 상기 서비스제공서버(200)와 마찬가지로, 서비스제공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스마트기기(100)로 제공하고, 스마트기기(1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해당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기기(100)는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로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 상태에서, 임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른 데이터 통신 시도가 요구되거나 표시창의 상태를 근거로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활성화 선택 메시지를 표시출력하고, 이에 대해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활성화 상태에 대응되도록 데이터 통신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유지하거나 또는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도2는 도1에 도시된 스마트기기(100)의 내부구성을 기능적으로 분리하여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기기(100)는 무선통신부(110)와, 정보입력부(120), 표시창(130), 음성입출력부(140), 프로그램 저장부(150), 데이터메모리(160) 및, 제어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무선통신부(110)는 상기 통신망(1)을 통해 서비스제공서버(200) 또는 통신서버(300)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장치이다. 이때, 상기 무선통신부(110)는 패킷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정보입력부(120)는 스마트기기(100) 이용을 위한 각종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표시창(130)에 터치패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정보입력부(120)는 사용자에게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및, 데이터 통신의 활성화 여부 또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정보를 입력하도록 제공한다.
상기 표시창(130)은 상기 스마트기기(100) 이용 관련 각종 화면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이때, 상기 표시창(130)은 어플리케이션 설치 화면정보와, 어플리케이션 실행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활성화 선택메시지 또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선택메시지를 표시출력한다. 예컨대, 상기 활성화 선택메시지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 명"(A)과, 활성화 상태로써 데이터 통신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하도록 하는 "유지" 항목(B) 및, 비활성화 상태로써 데이터 통신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차단하도록 하는 "차단"항목(C)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음성입출력부(140)는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위한 마이크 등의 음성입력수단과, 음성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 등의 음성출력수단으로 구성되어 음성통신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프로그램저장부(15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기기의 제작시에 미리 설치되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동의에 따라 임의 어플리케이션에서 파생되거나 또는 서비스제공장치(200)나 통신서버(300)로부터 일방적으로 제공되어 설치되어지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메모리(160)는 상기 제어부(170)를 통해 제공되는 스마트기기(100) 구동을 위한 각종 처리정보가 저장된다. 이때, 상기 데이터메모리(160)는 활성화 선택 어플리케이션 목록과, 활성화 유지 어플리케이션 목록 및, 활성화 차단 어플리케이션 목록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활성화 선택 어플리케이션 목록은 표시창(130)을 통해 제공되는 활성화 선택 메시지에 대해 유지 선택된 어플리케이션 정보이고, 활성화 유지 어플리케이션 목록은 사용자에 의해 항상 데이터 통신을 유지하도록 미리 설정 등록된 어플리케이션 정보이며, 활성화 차단 어플리케이션 목록은 사용자에 의해 항상 데이터 통신을 차단하도록 미리 설정 등록된 어플리케이션 정보이다. 또한, 상기 데이터메모리(160)는 현재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목록과, 일정 조건에 따라 강제적으로 실행 차단된 임시차단 어플케이션 목록이 저장된다.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정보입력부(110)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를 근거로 무선통신부(110)를 통해 서비스제공서버(200) 또는 통신서버(300)로부터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프로그램저장부(140)에 저장 및 실행 구동함과 더불어, 상기 프로그램저장부(140)에 저장된 임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무선통신부(110)를 통해 데이터 통신 요구를 시도하고자 하는 경우 또는 표시창(130)이 오프상태인 경우에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활성화 선택메시지 또는 실행 선택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표시창(130)을 통해 표시출력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70)는 표시창(130)을 통해 출력되는 활성화 선택메시지에 대해 정보입력부(120)로부터 활성화상태, 즉 "유지"항목(도3의 (B))이 선택되는 경우에는 상기 무선통신부(110)를 통해 해당 어플리케이션 실행 또는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고, 정보입력부(120)로부터 비활성화 상태, 즉 "차단"항목(도3의 (C))이 선택되는 경우에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종료하도록 구성된다.
이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기기에서의 데이터 통신 관리방법을 도4 내지 도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에서의 데이터 통신 관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먼저, 스마트기기(100)의 프로그램 저장부(140)에 다수의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현재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정보가 데이터메모리(160)에 저장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어부(170)는 임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제어부(170)는 데이터 통신요구에 대한 시도가 이루어지는지를 판단한다(ST1). 즉, 상기 제어부(170)는 프로그램 저장부(140)에서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함과 더불어, 무선통신부(110)를 통해 데이터 통신접속 관련 데이터패킷이 생성되는지를 확인한다. 예컨대, 상기 제어부(170)는 해당 데이터패킷의 특정 영역에 통신 접속관련 명칭이 포함되는지를 근거로 데이터 통신요구 시도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ST1단계에서 해당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데이터 통신요구에 대한 시도가 있다고 판단되면, 데이터메모리(160)에 저장되지 않은 신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인지를 확인한다(ST2). 이때, 상기 제어부(170)는 데이터메모리(160)에 저장된 현재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이라고 판단되면,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데이터 통신처리를 수행한다(ST3). 즉, 상기 제어부(170)는 데이터 통신 유지상태로 설정되어 현재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에 대해서는 데이터 통신을 종료시까지 지속적으로 유지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을 정상적으로 수행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ST2단계에서 신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이라판단되면, 상기 무선통신부(110)를 통해 해당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데이터 통신을 일시 중단함과 더불어,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활성화 선택메시지를 생성하여 표시창(130)으로 표시출력한다(ST4).
이때,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ST2단계에서 표시창(130)을 통해 표시 출력되는 활성화 선택메시지에서 "유지"항목(도3의 (B))이 선택되는지를 확인하는 바(ST5), "차단"항목(도3의 (C))이 선택된 경우에는 상기 무선통신부(110)를 통해 해당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데이터 통신시도를 차단함과 더불어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한다(ST6).
한편,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ST5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정보입력부(120)를 통해 "유지"항목(도3의 (B))이 선택된 경우에는 상기 무선통신부(110)를 통해 해당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데이터 통신을 수행함과 더불어 데이터메모리(160)에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어플리케이션, 즉 활성화 선택 어플리케이션 목록으로 저장하여 실행을 유지한다(ST7). 이후, 상기 제어부(170)는 데이터메모리(160)에 활성화 선택 어플리케이션에 대해서는 데이터 통신을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종료시까지 수행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170)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 종료되는지를 확인하여(ST8),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 종료된 경우에는 데이터메모리(160)에서 활성화 선택 어플리케이션 목록에서 해당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클리어시킨다(ST9).
또한, 상기 도4에 도시된 제1 실시예에 있어서는 새롭게 실행되는 모든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데이터 통신 시도를 확인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데이터 통신 활성화 상태를 선택하도록 실시하였으나,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미리 고정적으로 데이터 통신을 유지하는 어플리케이션과 데이터 통신을 차단하는 어플리케이션 목록을 등록하여 두고, 데이터 통신에 대한 유지 및 차단상태가 미등록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해서만 상술한 활성화 선택메시지를 통한 데이터 통신 차단 및 유지를 설정하도록 실시할 수 있다.
도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의 데이터 통신 관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스마트기기(100)의 프로그램 저장부(140)에 다수의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는 스마트기기(100)의 정보입력부(120)를 이용하여 기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데이터 통신 활성화 상태 즉, 데이터 통신의 유지 또는 차단 상태를 설정 등록한다(ST21). 이때, 스마트기기(100)에 설치된 모든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데이터 통신에 대한 유지 또는 차단 상태를 미리 설정할 필요는 없다. 즉, 사용자는 반드시 실행되어야하는 어플리케이션이거나 또는 반드시 차단하여야 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해서만 데이터 통신 활성화 상태를 미리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는 데이터 통신 활성화에 대한 확인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해서는 데이터 통신 활성화 상태를 미리 설정하지 않음으로써, 사용자가 상황에 따라 데이터 통신을 유지하거나 또는 차단하는 것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데이터 통신 활성화 상태에 대한 설정방법은 예컨대, 스마트기기의 환경선택 조작 등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ST21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데이터 통신 유지 어플리케이션은 데이터메모리(160)의 활성화 유지 어플리케이션 목록으로 등록되고, 데이터 통신 차단 어플리케이션은 데이터메모리(160)의 활성화 차단 어플리케이션 목록으로 각각 서로 다른 영역에 저장 등록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스마트기기(100)의 제어부(170)는 데이터통신 시도 요구가 있는지를 확인한다(ST22).
이때, 제어부(170)는 상기 ST22단계에서, 데이터통신 시도 요구가 있다고 판단되면, 해당 데이터 통신을 요구하는 어플리케이션이 데이터메모리(160)에 데이터 통신 활성화 상태가 미등록된 어플리케이션인지를 확인한다(ST23). 즉, 제어부(170)는 데이터메모리(160)에 활성화 유지 어플리케이션 목록 및 활성화 차단 어플리케이션 목록을 확인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가 등록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70)는 데이터메모리(160)에 활성화 선택 어플리케이션 목록을 확인하여 이에 대한 존재유무를 고려하여 어플리케이션의 미등록 상태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활성화 선택 어플리케이션 목록은 이후에 설명할 ST26 단계에서 수행되는 것으로, 이전 흐름에서 미리 설정된 정보이다.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ST23단계에서 데이터메모리(160)에 데이터 통신 활성화 상태가 등록된 어플리케이션이라고 판단되면, 데이터메모리(160)에 등록된 데이터 통신 활성화 상태에 따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유지하거나 또는 데이터 통신을 차단하여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강제 종료한다(ST24).
한편,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ST23단계에서 데이터메모리(160)에 데이터 통신 활성화 상태가 미등록된 어플리케이션이라고 판단되면, 활성화 선택메시지를 생성하여 표시창(130)으로 표시출력한다(ST25).
이때,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ST25단계에서 표시창(130)을 통해 표시 출력되는 활성화 선택메시지에서 "유지"항목(도3의 (B))이 선택되는지를 확인하는 바(ST26), "차단"항목(도3의 (C))이 선택된 경우에는 상기 무선통신부(110)를 통해 해당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데이터 통신시도를 차단함과 더불어,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종료한다(ST27).
한편,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ST26단계에서 "유지"항목(도3의 (B))이 선택된 경우에는 상기 무선통신부(110)를 통해 해당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데이터 통신을 수행함과 더불어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유지하도록 해당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데이터메모리(160)에 활성화 선택 어플리케이션으로 등록 저장한다(ST29).
이어, 상기 제어부(170)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 종료되는지를 확인하여(ST29), 실행 종료된 활성화 선택 어플리케이션에 대해서는 데이터메모리(160)에서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클리어시킨다(ST30). 이때,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ST21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해서는 실행이 종료되더라도 해당 어플리케이션은 클리어시키지 않는다.
한편,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스마트기기의 현재 상태에 상관없이 데이터 통신의 활성화 및 비활성화를 선택하도록 실시하였으나, 도6과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기기의 표시창이 "오프(OFF)" 상태인 경우에 한하여 상술한 데이터 통신의 활성화 상태를 선택하도록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의 데이터 통신 관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스마트기기(100)의 프로그램 저장부(140)에 다수의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어부(170)는 표시창(130)의 온/오프 상태를 감시한다(ST51). 예컨대, 상기 스마트기기(100)가 안드로이드 단말인 경우, 제어부(170)는 표시창(130)으로 "ACTION_SCREEN_OFF", 또는 "ACTION_SCREEN_ON" 정보가 제공되는지를 확인한다.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ST51 단계에서 표시창(130)의 현재 상태가 오프(OFF)상태라고 확인되면(ST52), 제어부(170)는 도4에서 데이터 통신요구 시도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ST1단계 이후의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도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의 데이터 통신 관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스마트기기(100)의 프로그램 저장부(140)에 다수의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는 스마트기기(100)의 정보입력부(120)를 이용하여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데이터 통신 활성화 상태, 즉 데이터 통신의 유지 또는 차단 상태를 설정한다(ST71).
이후, 제어부(170)는 표시창(130)의 온/오프 상태를 감시하여(ST72), 표시창(130)의 현재 상태가 오프(OFF)상태라고 확인되면(ST73), 제어부(170)는 도5에서 데이터 통신요구 시도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ST22단계 이후의 동작을 수행한다.
즉,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스마트기기에서 새롭게 실행되는 데이터 통신이 요구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데이터 통신 활성화 여부를 사용자가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도 모르게 수행되는 원하지 않는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 통신으로 인해 데이터 사용이 낭비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활성화 선택메시지에 대해 활성화 차단정보가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 차단선택 이력정보로서 저장하여, 동일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차단횟수가 일정 수 이상인 경우,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 차단 어플리케이션 목록에 자동 추가함과 더불어, 활성화 차단선택 이력정보에서 해당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클리어시키도록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활성화 차단선택 이력정보는 어플리케이션의 최초 차단 선택일로부터 일정 이력저장기간을 설정하여 해당 이력저장기간 동안 기 설정된 횟수만큼의 활성화 차단 선택이 이루어진 경우에 해당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활성화 차단 어플리케이션 목록에 자동 추가하도록 실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는 데이터 사용량을 절감함과 더불어, 배터리 사용도 동시에 절약할 수 있도록 도8과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기기의 표시창이 "오프(OFF)" 상태인 경우에 한하여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상태를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함과 더불어 새로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차단하도록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스마트기기(100)의 프로그램 저장부(140)에 다수의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현재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정보가 데이터메모리(160)에 저장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어부(170)는 표시창(130)의 온/오프 상태를 감시한다(ST111).
이때,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ST111 단계에서 표시창(130)의 현재 상태가 오프(OFF)상태라고 확인되면, 데이터메모리(160)에 저장된 현재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목록에 대한 어플리케이션 활성화 선택메시지를 생성하여 표시창(130)으로 표시출력한다(ST112). 즉, 상기 어플리케이션 활성화 선택메시지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명(A)과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유지"(B) 선택항목 및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상태를 차단시키기 위한 "차단"(C) 선택항목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70)는 기본적으로 스마트기기를 구동하기 유지 하기위한 OS(Operating System)용 프로그램 및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에 대해서는 항상 동작이 유지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ST111단계에서 표시창(130)을 통해 표시 출력되는 어플리케이션 활성화 선택메시지에서 "유지"항목이 선택되는지를 확인하는 바(ST113), "차단"항목이 선택된 경우에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완전히 종료함과 더불어, 데이터메모리(160)에 저장된 실행 어플리케이션 목록에서 클리어시킨다(ST114). 이때,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함으로 인해 데이터 통신이 자동으로 차단되어 데이터 사용량이 절감됨은 물론,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지 않는 어플리케이션의 경우 배터리 사용이 절약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ST113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정보입력부(120)를 통해 "유지"항목이 선택된 경우에는 해당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유지한다(ST115). 이때, 상기 제어부(170)는 "유지"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른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70)는 표시창(130)이 오프상태에서 신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시도가 있는지를 확인하여(ST116), 신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시도가 있는 경우,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차단함과 더불어, 해당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데이터메모리(160)에 임시차단 어플리케이션 목록으로 저장한다(ST117).
이어, 상기 제어부(170)는 표시창(130)의 현재 상태가 "온(ON)" 상태인지를 확인하고(ST118), 표시창(130)의 현재 상태가 "온(ON)" 상태인 경우, 데이터메모리(160)에 저장된 임시차단 어플리케이션 목록에 대한 실행 선택메시지를 표시창(130)을 통해 표시출력하여, 사용자에 의해 실행 요구가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함과 더불어, 데이터메모리(160)에 저장된 임시차단 어플리케이션 목록을 클리어시킨다(ST119). 이때, 상기 실행 선택메시지는 어플리케이션 명과,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실행" 선택항목과,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지 않도록 하기 위한 "종료" 선택항목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실행 선택메시지는 임시차단 어플리케이션 목록으로 저장된 모든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각각 표시출력된다.
한편, 상기 도8에 있어서는 표시창(130)이 오프상태인 경우, 현재 실행중인 모든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활성화 여부를 확인함과 더불어, 표시창(130)이 오프상태에서 실행 시도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해서는 실행을 차단하도록 실시하였으나,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미리 고정적으로 실행을 유지하는 어플리케이션과 실행을 차단하는 어플리케이션 목록을 등록하여 두고, 표시창(130)이 오프상태인 경우, 현재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중 실행상태가 미등록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활성화 유지 여부를 사용자로 하여금 선택하도록 함과 더불어, 표시창(130)이 오프상태에서 실행시도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해서는 실행상태가 차단 상태이거나 실행상태가 미등록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차단하도록 실시할 수 있다.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스마트기기(100)의 프로그램 저장부(140)에 다수의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 해당 어플리케이션 정보는 데이터메모리(160)에 실행 어플리케이션 목록으로 저장된다.
또한, 사용자는 스마트기기(100)의 정보입력부(120)를 이용하여 기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상태 즉, 실행 유지 또는 실행 차단 상태를 설정 등록한다(ST131). 이때,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실행 유지 어플리케이션은 데이터메모리(160)의 실행유지 어플리케이션 목록으로 등록되고, 실행 차단 어플리케이션은 데이터메모리(160)의 실행차단 어플리케이션 목록으로 각각 서로 다른 영역에 저장 등록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제어부(170)는 표시창(130)의 온/오프 상태를 감시한다(ST132).
이때,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ST132단계에서 표시창(130)의 현재 상태가 오프(OFF)상태라고 확인되면,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ST131단계에서 데이터메모리(160)에 저장된 실행 어플리케이션 중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가 미등록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활성화 선택메시지를 생성하여 표시창(130)으로 표시출력한다(ST133). 이때, 상기 제어부(170)는 데이터메모리(160)에 저장된 실행 어플리케이션 중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가 등록된 어플리케이션은 등록된 실행 상태에 대응되도록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유지하거나 또는 차단, 즉 강제 종료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ST133단계에서 표시창(130)을 통해 표시 출력되는 어플리케이션 활성화 선택메시지에서 "유지"항목이 선택되는지를 확인하는 바(ST134), "차단"항목이 선택된 경우에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완전히 종료함과 더불어, 데이터메모리(160)에 저장된 실행 어플리케이션 목록에서 클리어시킨다(ST1135).
또한,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ST134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정보입력부(120)를 통해 "유지"항목이 선택된 경우에는 해당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유지한다(ST136).
또한, 상기 제어부(170)는 신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시도가 있는지를 확인하여(ST137), 신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시도가 있는 경우,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데이터메모리(160)에 실행 상태가 미등록된 어플리케이션인지를 확인한다(ST138).
상기 ST138 단계에서 실행시도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상태 등록된 어플리케이션인 경우, 제어부(170)는 등록된 실행 상태에 대응되도록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유지하거나 또는 차단, 즉 강제 종료한다(ST139).
한편, 상기 ST138 단계에서 실행시도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상태 미등록된 어플리케이션인 경우,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차단함과 더불어, 해당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데이터메모리(160)에 임시차단 어플리케이션 목록으로 저장한다(ST140).
이어, 상기 제어부(170)는 표시창(130)의 현재 상태가 "온(ON)" 상태인지를 확인하고(ST141), 표시창(130)의 현재 상태가 "온(ON)" 상태인 경우, 데이터메모리(160)에 저장된 차단설정 어플리케이션 목록에 대한 실행 선택메시지를 표시창(130)을 통해 표시출력하여, 사용자에 의해 실행 요구가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함과 더불어, 데이터메모리(160)에 저장된 임시차단 어플리케이션 목록을 클리어시킨다(ST142). 이때, 상기 실행 선택메시지는 어플리케이션 명과,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실행" 선택항목과,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지 않도록 하기 위한 "종료" 선택항목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표시창이 오프되는 경우에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차단하도록 함으로써,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른 데이터 사용 및 배터리 사용을 동시에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등록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00 : 스마트기기, 110 : 무선통신부,
120 : 정보 입력부, 130 : 표시창,
140 : 음성 입출력부, 150 : 프로그램 저장부,
160 : 데이터메모리, 170 : 제어부,
200 : 서비스제공서버, 300 : 통신서버,
1 : 통신망.

Claims (25)

  1. 통신망을 통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구성됨과 더불어, 정보를 표시출력하기 위한 표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스마트기기에서의 데이터 통신 관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데이터 통신 시도가 이루어지는지를 확인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단계에서 데이터 통신 시도가 이루어지면,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활성화 선택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표시수단을 통해 표시출력하는 제2 단계,
    상기 제2 단계에서 제공되는 활성화 선택메시지에 대해 활성화 유지정보가 선택되면, 해당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제2 단계에서 제공되는 활성화 선택메시지에 대해 활성화 차단정보가 선택되면, 해당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데이터 통신을 차단함과 더불어,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종료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에서의 데이터 통신 관리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데이터 패킷에 통신접속 관련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근거로 데이터 통신 시도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에서의 데이터 통신 관리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활성화 유지정보가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정보를 활성화 선택 어플리케이션 목록에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단계는 제1 단계에서 데이터 통신 시도가 이루어지면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 선택 어플리케이션 목록에 존재하는지를 확인하여 활성화 선택 어플리케이션 목록에 없는 경우 활성화 선택메시지를 표시수단으로 표시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에서의 데이터 통신 관리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에서 활성화 선택 어플리케이션 목록으로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 종료된 경우에는 활성화 선택 어플리케이션 목록에서 해당 어플리케이션정보를 클리어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에서의 데이터 통신 관리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에서 생성되는 활성화 선택메시지는 어플리케이션 명과, 데이터 통신을 유지하여 활성화 하기 위한 "유지" 선택항목과, 데이터 통신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 선택항목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에서의 데이터 통신 관리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표시수단이 오프상태인 경우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데이터 통신 시도가 이루어지는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에서의 데이터 통신 관리방법.
  7. 통신망을 통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구성됨과 더불어, 정보를 표시출력하기 위한 표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스마트기기에서의 데이터 통신 관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데이터 통신 활성화 상태를 등록하는 제21단계와,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데이터 통신 시도가 이루어지는지를 확인하는 제22 단계와,
    상기 제22 단계에서 데이터 통신 시도가 이루어지면,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데이터 통신 활성화 상태가 등록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제23 단계,
    상기 제23 단계에서 데이터 통신 활성화 상태가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등록된 데이터 통신 활성화 상태에 대응되도록 데이터 통신을 유지하거나 또는 데이터 통신을 차단하는 제24 단계,
    상기 제23 단계에서 데이터 통신 활성화 상태가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활성화 선택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표시수단을 통해 표시출력하는 제25 단계,
    상기 제25 단계에서 표시출력되는 활성화 선택메시지에 대해 활성화 유지정보가 선택되면, 해당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26 단계 및,
    상기 제25 단계에서 표시출력되는 활성화 선택메시지에 대해 활성화 차단정보가 선택되면, 해당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데이터 통신을 차단함과 더불어,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종료하는 제27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에서의 데이터 통신 관리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1 단계는 데이터 통신 활성화 상태를 고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활성화 유지 어플리케이션 목록과, 데이터 통신을 차단하기 위한 활성화 차단 어플리케이션 목록으로 구분하여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에서의 데이터 통신 관리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3 단계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 유지 어플리케이션 목록 또는 활성화 차단 어플리케이션 목록에 포함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에서의 데이터 통신 관리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6 단계는 활성화 유지정보가 선택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활성화 선택 어플리케이션 목록에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3 단계는 제22 단계에서 데이터 통신 시도가 이루어지면 상기 제21 단계 및 상기 제26 단계에서 등록된 어플리케이션 목록을 근거로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데이터 통신 활성화 상태의 등록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에서의 데이터 통신 관리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6 단계에서 활성화 선택 어플리케이션 목록으로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 종료된 경우에는 활성화 선택 어플리케이션 목록에서 해당 어플리케이션정보를 클리어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에서의 데이터 통신 관리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7 단계에서 활성화 선택메시지에 대해 활성화 차단정보가 선택된 경우,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 차단선택 이력정보로 저장함과 더불어,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차단횟수가 일정 수 이상인 경우,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 차단 어플리케이션 목록에 자동 추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에서의 데이터 통신 관리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7 단계에서 상기 활성화 차단선택 이력정보 중 어플리케이션의 최초 차단 선택일로부터 기 설정된 이력저장기간 동안 기 설정된 횟수 만큼의 활성화 차단 선택이 이루어진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 차단 어플리케이션 목록에 자동 추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에서의 데이터 통신 관리방법.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5 단계에서 생성되는 활성화 선택메시지는 어플리케이션 명과, 데이터 통신을 유지하여 활성화 하기 위한 "유지" 선택항목과, 데이터 통신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 선택항목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에서의 데이터 통신 관리방법.
  15.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2 단계는 데이터 패킷에 통신접속 관련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근거로 데이터 통신 시도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에서의 데이터 통신 관리방법.
  16.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2 단계는 상기 표시수단이 오프상태인 경우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데이터 통신 시도가 이루어지는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에서의 데이터 통신 관리방법.
  17. 통신망을 통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구성됨과 더불어, 정보를 표시출력하기 위한 표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스마트기기에서의 데이터 통신 관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함과 더불어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데이터메모리에 저장하는 제111단계와,
    상기 스마트기기의 표시수단의 상태가 확인하여 표시수단의 상태가 오프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111단계에서 저장된 실행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활성화 선택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표시수단을 통해 표시출력하는 제112 단계,
    상기 제112 단계에서 제공되는 활성화 선택메시지에 대해 실행 유지정보가 선택되면, 해당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유지하고, 실행 차단정보가 선택되면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는 제113 단계 및,
    상기 표시수단의 상태가 오프상태인 상태에서 실행 시도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해서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차단하는 제114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에서의 데이터 통신 관리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14 단계는 표시수단의 상태가 오프상태인 상태에서 실행 차단된 어플리케이션정보를 임시차단 어플리케이션 목록에 저장하고,
    표시수단의 상태가 온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임시차단 어플리케이션 목록으로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 선택메시지를 표시수단으로 표시출력하며,
    사용자에 의해 실행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에서의 데이터 통신 관리방법.
  19.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 선택메시지 또는 상기 실행 선택메시지는 어플리케이션 명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위한 제1 선택항목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종료하기 위한 제2 선택항목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에서의 데이터 통신 관리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14 단계에서 실행 선택메시지에 대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및 종료가 선택이 완료되면 임시차단 어플리케이션 목록을 클리어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에서의 데이터 통신 관리방법.
  21. 통신망을 통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구성됨과 더불어, 정보를 표시출력하기 위한 표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스마트기기에서의 데이터 통신 관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상태를 등록하는 제131단계와,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함과 더불어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데이터메모리에 저장하는 제132단계,
    상기 스마트기기의 표시수단의 상태를 확인하여 표시수단의 상태가 오프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132단계에서 저장된 실행 어플리케이션 중 상기 제 131단계에서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가 등록되어 있지 않은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활성화 선택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표시수단을 통해 표시출력하는 제133 단계,
    상기 제133 단계에서 제공되는 활성화 선택메시지에 대해 실행 유지정보가 선택되면, 해당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유지하고, 실행 차단정보가 선택되면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는 제134 단계 및,
    상기 표시수단의 상태가 오프상태인 상태에서 실행 시도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해서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제 131단계에서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가 차단상태이거나 미등록된 경우에 한하여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차단하는 제135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에서의 데이터 통신 관리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31 단계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를 고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실행 유지 어플리케이션 목록과,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차단하기 위한 실행 차단 어플리케이션 목록으로 구분하여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에서의 데이터 통신 관리방법.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35 단계는 표시수단의 상태가 오프상태인 상태에서 실행 차단된 어플리케이션정보를 임시차단 어플리케이션 목록에 저장하고,
    표시수단의 상태가 온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임시차단 어플리케이션 목록으로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 선택메시지를 표시수단으로 표시출력하며,
    사용자에 의해 실행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에서의 데이터 통신 관리방법.
  24. 제21항 또는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 선택메시지 또는 실행 선택메시지는 어플리케이션 명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위한 제1 선택항목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종료하기 위한 제2 선택항목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에서의 데이터 통신 관리방법.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35 단계에서 실행 선택메시지에 대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및 종료가 선택이 완료되면 임시차단 어플리케이션 목록을 클리어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에서의 데이터 통신 관리방법.
KR1020140142005A 2014-10-20 2014-10-20 스마트기기에서의 데이터통신 관리방법 KR1016407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2005A KR101640754B1 (ko) 2014-10-20 2014-10-20 스마트기기에서의 데이터통신 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2005A KR101640754B1 (ko) 2014-10-20 2014-10-20 스마트기기에서의 데이터통신 관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6217A true KR20160046217A (ko) 2016-04-28
KR101640754B1 KR101640754B1 (ko) 2016-07-19

Family

ID=55915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2005A KR101640754B1 (ko) 2014-10-20 2014-10-20 스마트기기에서의 데이터통신 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07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4841B1 (ko) 2018-01-09 2023-03-28 삼성전자주식회사 기기의 어플리케이션에 선택적으로 네트워크 기능을 제공하는 기술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34814A (ja) * 2008-07-29 2010-02-12 Softbank Mobile Corp 携帯通信端末、携帯通信端末制御方法及び携帯通信端末制御プログラム
KR20110102880A (ko) * 2008-12-04 2011-09-19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잠금된 디스플레이를 통한 선택된 데이터의 제공
KR20110129335A (ko) * 2010-05-25 2011-12-0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에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을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34814A (ja) * 2008-07-29 2010-02-12 Softbank Mobile Corp 携帯通信端末、携帯通信端末制御方法及び携帯通信端末制御プログラム
KR20110102880A (ko) * 2008-12-04 2011-09-19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잠금된 디스플레이를 통한 선택된 데이터의 제공
KR20110129335A (ko) * 2010-05-25 2011-12-0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에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을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위키폰 - 스마트폰 데이터 차단/ 새는 데이터 잡자, 2013.10.01*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0754B1 (ko) 2016-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99118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rioritizing voice call requests during data communication sessions with a mobile device
JP4996077B2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通信中継装置、通信端末装置、および通信端末装置用プログラム
JP2010527057A (ja) アプリケーションをローカルで起動すべきかまたはリモートでウェブアプとして起動すべきかを決定する装置
US9552490B1 (en) Managing resource dependent workflows
CN100517221C (zh) 高效多处理器系统及其方法
US1064976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eventing service disruption during software updates
EP4066441B1 (en) Management of iot device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CN102571996A (zh) Ip地址分配方法、装置以及网络系统
CN113448749A (zh) 一种优化执行预期定时任务的方法、系统、设备及介质
CN108847976A (zh) 配网控制方法、移动终端、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1401067B (zh) 用于在通信网中传输程控装置的程序更新的方法
US8082339B2 (en) Electronic device network having graceful denial of service
CN105824660A (zh) 一种应用程序的更新方法及终端
CN108882277A (zh) 一种版本升级的方法及装置
KR101640754B1 (ko) 스마트기기에서의 데이터통신 관리방법
EP3457669A1 (en) Method and device for sending messages
CN102053917B (zh) 一种降低内存占用的智能卡及其处理指令的方法
CN113448607B (zh) 用于固件升级的方法、装置和智能家电
CN102891806B (zh) 一种对使用受限资源的批量操作的调度方法和装置
EP2887727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gestion control
CN106027309B (zh) 设备状态信息的获取方法和装置
CN113271648B (zh) Usim管理方法、usim和用户终端
KR20130066421A (ko) 단말 및 단말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 방법
CN113271647B (zh) Usim卡管理方法、移动设备和用户终端
JP4246235B2 (ja) 電気通信ネットワーク加入者の個人データをバックアップする方法、装置、および関連サー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