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5494A - 차량용 변속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변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5494A
KR20160045494A KR1020140141155A KR20140141155A KR20160045494A KR 20160045494 A KR20160045494 A KR 20160045494A KR 1020140141155 A KR1020140141155 A KR 1020140141155A KR 20140141155 A KR20140141155 A KR 20140141155A KR 20160045494 A KR20160045494 A KR 201600454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input
shaft
speed change
output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1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46871B1 (ko
Inventor
이승호
박종술
송민준
박종효
이병현
김종민
이경훈
조창연
황성욱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411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6871B1/ko
Priority to US14/559,608 priority patent/US9518633B2/en
Priority to DE102014118198.0A priority patent/DE102014118198B4/de
Priority to CN201410811574.7A priority patent/CN105782358B/zh
Publication of KR20160045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54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68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68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 F16H3/006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power being selectively transmitted by either one of the parallel flow path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 F16H3/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3/0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xclusively or essentially with continuously meshing gears, that can be disengaged from their shafts
    • F16H3/087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xclusively or essentially with continuously meshing gears, that can be disengaged from their shaft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gears
    • F16H3/093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xclusively or essentially with continuously meshing gears, that can be disengaged from their shaft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gears with two or more countershaf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04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 B60K1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of change-speed gea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00Systems comprising a plurality of actuated clutches
    • F16D21/02Systems comprising a plurality of actuated clutches for interconnecting three or more shafts or other transmission members in different ways
    • F16D21/06Systems comprising a plurality of actuated clutches for interconnecting three or more shafts or other transmission members in different ways at least two driving shafts or two driven shafts being concentr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 F16H3/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3/2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xclusively or essentially using gears that can be moved out of gear
    • F16H3/3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xclusively or essentially using gears that can be moved out of gear with synchro-mesh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 F16H3/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3/0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xclusively or essentially with continuously meshing gears, that can be disengaged from their shafts
    • F16H2003/082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xclusively or essentially with continuously meshing gears, that can be disengaged from their shaf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at least one reverse ge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 F16H3/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3/0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xclusively or essentially with continuously meshing gears, that can be disengaged from their shafts
    • F16H2003/0826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xclusively or essentially with continuously meshing gears, that can be disengaged from their shafts wherein at least one gear on the input shaft, or on a countershaft is used for two different forward gear ratio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 F16H3/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3/0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xclusively or essentially with continuously meshing gears, that can be disengaged from their shafts
    • F16H3/087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xclusively or essentially with continuously meshing gears, that can be disengaged from their shaft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gears
    • F16H3/093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xclusively or essentially with continuously meshing gears, that can be disengaged from their shaft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gears with two or more countershafts
    • F16H2003/0931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xclusively or essentially with continuously meshing gears, that can be disengaged from their shaft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gears with two or more countershafts each countershaft having an output gear meshing with a single common gear on the output sha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200/00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 F16H2200/003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forward speeds
    • F16H2200/0056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forward speeds the gear ratios comprising seven forward spee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e Of Transmissions (AREA)

Abstract

차량용 변속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장치는 동축선 상에 서로 간섭 없이 중첩 배치되어 각각의 클러치를 통하여 동력원의 회전동력이 입력되며, 각각 복수개의 입력기어가 구성된 2개의 입력축; 상기 입력축에 각각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2개의 입력축 상의 각 입력기어에 각각 외접 치합되는 복수개의 전진 변속용 변속기어, 및 각 전진 변속용 변속기어와 동기 연결하는 각각의 동기유닛이 배치되고, 각각 종감속기어와 외접 치합된 하나씩의 출력기어가 구성된 2개의 출력축; 상기 출력축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후진 아이들 축을 구비하며, 상기 2개의 입력축 중 어느 하나의 입력축 상의 하나의 입력기어와 외접 치합된 제1 아이들 기어와, 상기 2개의 출력축 중 어느 하나의 출력축 상의 하나의 변속기어와 외접 치합된 제2 아이들 기어가 각각 상기 후진 아이들 축 상에 배치되어 동기유닛의 작동에 의해 상기 동력원의 회전동력을 상기 하나의 입력축과 상기 하나의 출력축 상의 변속기어를 통해 전달받아 다른 하나의 입력축으로 역회전 전달하는 후진변속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변속장치{POWER TRANSMISSION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더블 클러치가 적용되는 차량용 변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후진 관련 부품수를 축소하여 전장을 최소화하며, 중량을 저감하는 차량용 변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 있어서의 친환경 기술은 미래 자동차 산업의 생존이 달린 핵심 기술로서, 자동차 메이커들은 환경 및 연비 규제를 달성하기 위한 친환경 자동차 개발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상기 미래형 자동차 기술은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기 자동차(EV : Electric Vehicle),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HEV : Hybrid Electric Vehicle), 효율과 편의성을 향상시킨 더블 클러치 변속기(DCT : Double Clutch Transmission)를 예로 들 수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과 관련되는 더블 클러치 변속기(DCT)는 자동 변속기내에 2개의 클러치 기구(clutch device)와, 기본적인 수동 변속기의 기어 트레인을 보유하며, 엔진으로부터 입력되는 회전력을 2개의 클러치를 이용하여 2개의 입력축에 선택적으로 전달하고, 상기한 기어 트레인을 이용하여 변속한 후, 출력한다.
이러한 더블 클러치 변속기(DCT)는 5단 이상의 고단 변속기를 컴팩트(compact)하게 구현하기 위해 시도되고 있으며, 2개의 클러치와 동기장치(synchronizing device)들을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함으로써, 운전자의 수동적인 변속을 불필요하게 하는 AMT(Auto Manual Transmission)로 구현되고 있다.
이에 따라, 더블 클러치 변속기(DCT)는 유성기어 타입의 자동 변속기와 비교하여 동력전달 효율이 우수하고, 다단화에 따른 부품의 변경 및 추가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어 연비 규제와 다단화 효율의 중요성에 부응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각광을 받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후진용 싱크로나이저와 후진용 기어를 별도의 후진 아이들 축에 배치하여 엔진의 회전동력을 하나의 입력축으로부터 다른 하나의 입력축으로 역회전 전달하여 기존의 전진용 변속기어 하나를 통해 후진 변속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전체적인 부품수 축소로 전장을 최소화하여 탑제성을 향상시키며, 중량을 저감하는 차량용 변속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 예에서는 차량용 변속장치에 있어서, 동축선 상에 서로 간섭 없이 중첩 배치되어 각각의 클러치를 통하여 동력원의 회전동력이 입력되며, 각각 복수개의 입력기어가 구성된 2개의 입력축; 상기 입력축에 각각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2개의 입력축 상의 각 입력기어에 각각 외접 치합되는 복수개의 전진 변속용 변속기어, 및 각 전진 변속용 변속기어와 동기 연결하는 각각의 동기유닛이 배치되고, 각각 종감속기어와 외접 치합된 하나씩의 출력기어가 구성된 2개의 출력축; 상기 출력축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후진 아이들 축을 구비하며, 상기 2개의 입력축 중 어느 하나의 입력축 상의 하나의 입력기어와 외접 치합된 제1 아이들 기어와, 상기 2개의 출력축 중 어느 하나의 출력축 상의 하나의 변속기어와 외접 치합된 제2 아이들 기어가 각각 상기 후진 아이들 축 상에 배치되어 동기유닛의 작동에 의해 상기 동력원의 회전동력을 상기 하나의 입력축과 상기 하나의 출력축 상의 변속기어를 통해 전달받아 다른 하나의 입력축으로 역회전 전달하는 후진변속수단을 포함하는 차량용 변속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2개의 입력축 중, 하나의 입력축 상의 하나의 입력기어로부터 정회전 입력되는 상기 동력원의 회전동력을 상기 하나의 입력축 상의 하나의 입력기어에 외접 치합된 하나의 출력축 상의 전진 변속용 변속기어와, 상기 후진변속수단과, 상기 다른 하나의 입력축 상의 하나의 입력기어와, 상기 다른 하나의 입력축 상의 다른 하나의 입력기어와, 상기 다른 하나의 입력축 상의 다른 하나의 입력기어에 외접 치합되어 상기 하나의 출력축에 동기 연결된 다른 전진 변속용 변속기어와, 상기 하나의 출력축, 및 상기 하나의 출력축 상의 출력기어에 외접 치합된 종감속기어를 통하여 역회전 감속 출력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후진 변속단의 동력전달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2개의 입력축은 제1 클러치를 통하여 상기 동력원의 회전동력이 입력되는 제1 입력축과, 중공축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 입력축의 외주 측에 회전 간섭 없이 배치되어 제2 클러치를 통하여 상기 동력원의 회전동력이 입력되는 제2 입력축으로 구성되고, 상기 2개의 출력축은 상기 제1, 제2 입력축과 평행하게 배치되며, 제1 출력기어를 통하여 디프렌셜의 종감속기어에 동력 연결되는 제1출력축과, 상기 제1, 제2 입력축과 평행하게 배치되며, 제2 출력기어를 통하여 디프렌셜의 종감속기어에 동력 연결되는 제2출력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입력축은 상기 제2 입력축과 중첩되지 않은 부분에 제1, 제2, 제3, 제4 입력기어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2 입력축은 제5, 제6 입력기어가 배치되며, 상기 제1 출력축은 상기 제1, 제2, 제3, 제4, 제5, 제6 입력기어 중, 4개의 입력기어에 각각 외접 치합되어 동기유닛에 의해 동기 연결되는 제1속, 제2속, 제4속, 제5속 변속기어가 외주면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출력축은 제1, 제2, 제3, 제4, 제5, 제6 입력기어 중, 3개의 입력기어에 각각 외접 치합되어 동기유닛에 의해 동기 연결되는 제3속, 제6속, 제7속 변속기어가 외주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기유닛은 상기 제1속 변속기어와 제5속 변속기어를 상기 제1 출력축에 선택적으로 동기 연결하는 제1 싱크로나이저; 상기 제2속 변속기어와 제4속 변속기어를 상기 제1 출력축에 선택적으로 동기 연결하는 제2 싱크로나이저; 상기 제3속 변속기어와 제7속 변속기어를 상기 제2 출력축에 선택적으로 동기 연결하는 제3 싱크로나이저; 상기 제6속 변속기어를 상기 제2 출력축에 선택적으로 동기 연결하는 제4 싱크로나이저; 상기 제1 또는 제2 아이들 기어를 상기 후진 아이들 축에 선택적으로 동기 연결하는 제5 싱크로나이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후진 변속단의 동력전달경로에서, 상기 하나의 입력축 상의 하나의 입력기어는 상기 제2 입력축 상의 제5 입력기어이고, 상기 하나의 입력축 상의 하나의 입력기어에 외접 치합된 하나의 출력축 상의 전진 변속용 변속기어는 제1 출력축의 제2속 변속기어이고, 상기 다른 하나의 입력축 상의 하나의 입력기어는 제1 입력축 상의 제1 입력기어이고, 상기 다른 하나의 입력축 상의 다른 하나의 입력기어는 제1 입력기어 상의 제2 입력기어이고, 상기 다른 하나의 입력축 상의 다른 하나의 입력기어에 외접 치합되어 상기 하나의 출력축에 동기 연결된 다른 전진 변속용 변속기어는 상기 제1 출력축 상의 제1속 변속기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후진변속수단은 상기 제1 출력축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후진 아이들 축; 상기 후진 아이들 축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입력축 상의 제1 입력기어와 외접 치합되는 제1 아이들 기어; 상기 후진 아이들 축 상에 고정 배치되어 상기 제2 입력축 상의 제5 입력기어와 외접 치합된 상기 제1 출력축 상의 제2속 변속기어와 외접 치합되는 제2 아이들 기어; 상기 제1 아이들 기어를 상기 후진 아이들 축에 선택적으로 동기 연결하는 제5 싱크로나이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진 변속단의 동력전달경로에서, 상기 하나의 입력축 상의 하나의 입력기어는 상기 제2 입력축 상의 제6 입력기어이고, 상기 하나의 입력축 상의 하나의 입력기어에 외접 치합된 하나의 출력축 상의 전진 변속용 변속기어는 제1 출력축의 제4속 변속기어이고, 상기 다른 하나의 입력축 상의 하나의 입력기어는 제1 입력축 상의 제1 입력기어이고, 상기 다른 하나의 입력축 상의 다른 하나의 입력기어는 제1 입력기어 상의 제2 입력기어이고, 상기 다른 하나의 입력축 상의 다른 하나의 입력기어에 외접 치합되어 상기 하나의 출력축에 동기 연결된 다른 전진 변속용 변속기어는 상기 제1 출력축 상의 제1속 변속기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후진변속수단은 상기 제1 출력축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후진 아이들 축; 상기 후진 아이들 축 상에 고정 배치되어 상기 제1 입력축 상의 제1 입력기어와 외접 치합되는 제1 아이들 기어; 상기 후진 아이들 축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입력축 상의 제6 입력기어와 외접 치합된 상기 제1 출력축 상의 제4속 변속기어와 외접 치합되는 제2 아이들 기어; 상기 제2 아이들 기어를 상기 후진 아이들 축에 선택적으로 동기 연결하는 제5 싱크로나이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후진 변속에 관련하는 1개의 싱크로나이저와 기어들을 별도의 후진 아이들 축 상에 배치하여 엔진의 회전동력을 하나의 입력축으로부터 다른 하나의 입력축으로 역회전 전달하여 하나의 전진용 변속기어를 통해 후진 변속을 이루도록 하여 전체적인 부품수를 줄이고, 이로 인해 변속장치의 전체적인 설계 폭(전장)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부품수를 줄여 중량 및 생산원가를 절감 할 수 있으며, 변속장치의 전장을 줄여 탑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장치의 기어 배치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장치의 변속 작동표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장치의 후진 변속시 동력 전달 경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장치의 기어 배치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장치의 후진 변속시 동력 전달 경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적용하여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 구성들의 명칭을 제1, 제2 등으로 구분한 것은 그 구성들의 명칭이 동일하여 이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반드시 그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장치의 기어 배치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변속장치는 제1, 제2 클러치(first and second clutches)(CL1)(CL2)로 이루어져 동력원(엔진 또는 모터)의 동력을 단속하는 동력단속수단, 제1, 제2 입력축(first and second input shafts)(IS1)(IS2)으로 이루어지는 입력수단, 상기 입력수단을 통하여 입력되는 회전동력을 각 변속단에 따라 선택적으로 변속하여 출력하는 변속출력수단, 및 후진변속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동력원은 통상의 내연기관을 이용하는 수동 또는 자동 변속기 차량에서는 엔진이 될 수 있으며,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전기 자동차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경우에는 모터가 될 수 있다.
상기 동력단속수단을 형성하는 제1, 제2 클러치(CL1)(CL2)는 동력원의 회전동력을 상기 제1, 제2 입력축(IS1)(IS2)에 선택적으로 전달한다.
상기 제1 클러치(C1)는 엔진(ENG)의 회전력을 제1 입력축(IS1)에 선택적으로 전달하고, 제2 클러치(CL2)는 엔진(ENG)의 회전력을 제2 입력축(IS2)에 선택적으로 전달한다.
상기 동력단속수단을 형성하는 상기 제1, 제2 클러치(CL1)(CL2)는 통상의 유체 다판 클러치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반적인 건식 다판 클러치로도 적용될 수 있으며, 유압제어시스템(미도시)에 의하여 작동 및 비작동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입력수단은 상기 제1 클러치(CL1)를 통해 동력원의 출력 측과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제1 입력축(IS1)과, 중공축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 입력축(IS1)의 외주 측에 상호 회전 간섭 없이 중첩 배치되어 상기 제2 클러치(CL2)를 통해 동력원의 출력 측과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제2 입력축(IS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입력축(IS1)에는 제1, 제2, 제3, 제4 입력기어(G1)(G2)(G3)((G4)가 상호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데, 이들 기어는 상기 제2 입력축(IS2)을 관통한 제1 입력축(IS1)의 후측 부분에 배치되며, 엔진 측으로부터 제1, 제2, 제3, 제4 입력기어(G1)(G2)(G3)(G4)가 차례로 배치된다.
상기 제2 입력축(IS2)에는 제5, 제6 입력기어(G5)(G6)가 상호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데, 이들 기어는 엔진 측에 제5 입력기어(G5)가 배치되고, 엔진의 반대측에 제6 입력기어(G6)가 배치된다.
이에 따라, 제1 클러치(CL1)가 작동하면 제1 입력축(IS1)이 회전하면서 제1, 제2, 제3, 제4 입력기어(G1)(G2)(G3)(G4)를 구동시키고, 제2 클러치(CL2)가 작동하면 제2 입력축(IS2)이 회전하면서 제5, 제6 입력기어(G5)(G6)를 구동시키게 된다.
상기에서 제1, 2, 3, 4, 5, 6 입력기어(G1)(G2)(G3)(G4)(G5)(G6)는 각 변속단별 입력기어로서, 제1 입력기어(G1)는 제7속을 구현하기 위한 입력기어이고, 제2 입력기어(G1)는 제1속을 구현하기 위한 입력기어이고, 제3 입력기어(G3)는 제3속을 구현하기 위한 입력기어이며, 제4 입력기어(G4)는 제5속을 구현하기 위한 입력기어이다.
또한, 제5 입력기어(G5)는 제2속을 구현하기 위한 입력기어이고, 제6 입력기어(G6)는 제4속 및 제6속을 구현하기 위한 입력기어이다.
즉, 이러한 입력기어들(G1,G2,G3,G4,G5,G6)은 각각의 변속단을 구현하기 위해 기어 잇수가 설정되며, 상기 제1 입력축(IS1)에는 홀수 변속단을 구현하기 위한 입력기어들(G1,G2,G3,G4)이 형성되고, 제2 입력축(IS2)에는 짝수 변속단을 구현하기 위한 입력기어들(G5,G6)이 형성된다.
상기 변속출력수단은 상기 제1, 제2 입력축(IS1)(IS2)과 일정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 제2 출력축(OS1)(OS2)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출력축(OS1)에는 제1속 변속기어(D1) 및 제5속 변속기어(D5)가 이웃하여 배치되고, 제1속 변속기어(D1) 및 제5속 변속기어(D5)를 상기 제1 출력축(OS1)에 선택적으로 동기 연결하는 동기유닛인 제1 싱크로나이저(SL1)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 출력축(OS1)에는 제2속 변속기어(D2) 및 제4속 변속기어(D4)가 배치되고, 제2속 변속기어(D2) 및 제4속 변속기어(D4)를 상기 제1 출력축(OS1)에 선택적으로 동기 연결하는 동기유닛인 제2 싱크로나이저(SL2)가 구성되며, 전단부에는 제1 출력기어(OG1)가 구성된다.
상기 제1 싱크로나이저(SL1)는 제1 출력축(OS1)의 후측에 배치되고, 제2 싱크로나이저(SL2)는 제1 출력축(OS1)의 전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1속 변속기어(D1)는 제2 입력기어(G2)와 외접 치합되고, 제5속 변속기어(D5)는 제4 입력기어(G4)와 외접 치합된다.
상기 제2속 변속기어(D2)는 제5 입력기어(G5)와 외접 치합되고, 제4속 변속기어(D4)는 제6 입력기어(G6)와 외접 치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출력기어(OG1)는 상기 제1 출력축(OS1)으로 전달되는 회전동력을 종감속기어(FD)를 통하여 디프렌셜(DIFF)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제2 출력축(OS2)에는 제3속 변속기어(D3) 및 제7속 변속기어(D7)가 배치되고, 제3 변속기어(D3) 및 제7속 변속기어(D7)를 상기 제2 출력축(OS2)에 선택적으로 동기 연결하는 동기유닛인 제3 싱크로나이저(SL3)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2 출력축(OS2)에는 제6속 변속기어(D6)가 배치되고, 제6속 변속기어(D3)를 상기 제2 출력축(OS2)에 선택적으로 동기 연결하는 동기유닛인 제4 싱크로나이저(SL4)가 구성되며, 전단부에는 제2 출력기어(OG2)가 구성된다.
상기 제3 싱크로나이저(SL3)는 제2 출력축(OS2)의 후측에 배치되고, 제4 싱크로나이저(SL4)는 제2 출력축(OS2)의 전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3속 변속기어(D3)는 제3 입력기어(G3)와 외접 치합되고, 제7속 변속기어(D7)는 제1 입력기어(G1)와 외접 치합된다.
상기 제6속 변속기어(D6)는 제6 입력기어(G6)와 외접 치합되고, 상기 제2 출력기어(OG2)는 제2 출력축(OS2)으로 전달되는 회전동력을 종감속기어(FD)를 통하여 디프렌셜(DIFF)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출력기어(OG1)와 제2 출력기어(OG2)는 상기와 같이, 종감속기어(FD)와 외접 치합되어 최종 감속이 이루어지며, 최종 감속이 이루어진 회전동력은 상기 디프렌셜(DIFF)를 통해 구동륜으로 전달된다.
한편, 후진변속수단은 상기 제1, 제2 입력축(IS1)(IS2)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후진 아이들 축(IDS)을 포함한다.
상기 후진 아이들 축(IDS)에는 제1 아이들 기어(IDG1)와 제2 아이들 기어(IDG2)가 이웃하게 구성되는데, 상기 제1 아이들 기어(IDG1)는 후진 아이들 축(IDS)과 회전 간섭 없이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아이들 기어(IDG2)는 아이들 축(IDS)과 일체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후진 아이들 축(IDS)에는 제1 아이들 기어(IDG1)를 상기 후진 아이들 축(IDS)에 선택적으로 동기 연결하는 동기유닛인 제5 싱크로나이저(SL5)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아이들 기어(IDG1)는 제1 입력축(IS1)의 제1 입력기어(G1)와 외접 치합되고, 상기 제2 아이들 기어(IDS2)는 상기 제1 출력축(OS1) 상의 제2속 변속기어(D2)와 외접 치합된다.
상기에서 제1, 제2, 제3, 제4, 제5 싱크로나이저(SL1 ~ SL5)는 공지의 구성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상기 제1, 제2, 제3, 제4, 제5 싱크로나이저(SL1 ~ SL5)에 적용되는 각각의 슬리이브(SLE1)(SLE2)(SLE3)(SLE4)(SLE5)는 공지에서와 같이 별도의 액추에이터(미도시)를 통하여 작동되며, 상기 액추에이터는 변속기 제어유닛에 의하여 제어된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P는 파킹기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장치의 변속 작동표이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각 변속단별 작동을 설명한다.
[전진 1속]
전진 1속에서는 상기 제1 싱크로나이저(SL1)의 슬리이브(SEL1)를 통해 제1속 변속기어(D1)와 제1 출력축(OS1)을 동기시킨 다음, 제1 클러치(CL1)를 작동시키면 전진 제1속 변속이 이루어진다.
[전진 2속]
상기 제1속의 상태에서, 차속이 증가하여 제2속으로 변속하는 경우, 상기 제2 싱크로나이저(SL2)의 슬리이브(SLE2)를 통해 제2속 변속기어(D2)와 제2 출력축(OS2)을 동기시킨 다음, 제1 클러치(CL1)의 작동을 해제하면서 제1 클러치(CL1)를 작동시키면 전진 제2속 변속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전진 제2속 변속이 완료된 후에는 제1 싱크로나이저(SL1)의 슬리이브(SLE1)를 중립의 상태로 이동시킨다.
[전진 3속]
상기 제2속의 상태에서, 차속이 증가하여 제3속으로 변속하는 경우, 상기 제3 싱크로나이저(SL3)의 슬리이브(SLE3)를 통해 제3속 변속기어(D3)와 제2 출력축(OS2)을 동기시킨 다음, 제2 클러치(CL2)의 작동을 해제하면서 제1 클러치(CL1)를 작동시키면 전진 제3속 변속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전진 제3속 변속이 완료된 후에는 제2 싱크로나이저(SL2)의 슬리이브(SLE2)를 중립의 상태로 이동시킨다.
[전진 4속]
상기 제3속의 상태에서, 차속이 증가하여 제4속으로 변속하는 경우, 상기 제2 싱크로나이저(SL2)의 슬리이브(SLE2)를 통해 제4속 변속기어(D4)와 제1 출력축(OS1)을 동기시킨 다음, 제1 클러치(CL1)의 작동을 해제하면서 제2 클러치(CL2)를 작동시키면 전진 제4속 변속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전진 제4속 변속이 완료된 후에는 제3 싱크로나이저(SL3)의 슬리이브(SLE3)를 중립의 상태로 이동시킨다.
[전진 5속]
상기 제4속의 상태에서, 차속이 증가하여 제5속으로 변속하는 경우, 상기 제1 싱크로나이저(SL1)의 슬리이브(SLE1)를 통해 제5속 변속기어(D5)와 제1 출력축(OS1)을 동기시킨 다음, 제2 클러치(CL2)의 작동을 해제하면서 제1 클러치(CL1)를 작동시키면 전진 제5속 변속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전진 제5속 변속이 완료된 후에는 제2 싱크로나이저(SL2)의 슬리이브(SLE2)를 중립의 상태로 이동시킨다.
[전진 6속]
상기 제5속의 상태에서, 차속이 증가하여 제6속으로 변속하는 경우, 상기 제4 싱크로나이저(SL4)의 슬리이브(SLE4)를 통해 제6속 변속기어(D6)와 제2 출력축(OS2)을 동기시킨 다음, 제1 클러치(CL1)의 작동을 해제하면서 제2 클러치(CL2)를 작동시키면 전진 제6속 변속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전진 제6속 변속이 완료된 후에는 제1 싱크로나이저(SL1)의 슬리이브(SLE1)를 중립의 상태로 이동시킨다.
[전진 7속]
상기 제6속의 상태에서, 차속이 증가하여 제7속으로 변속하는 경우, 상기 제3 싱크로나이저(SL3)의 슬리이브(SLE3)를 통해 제7속 변속기어(D7)와 제2 출력축(OS2)을 동기시킨 다음, 제2 클러치(CL2)의 작동을 해제하면서 제1 클러치(CL1)를 작동시키면 전진 제7속 변속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전진 제7속 변속이 완료된 후에는 제4 싱크로나이저(SL4)의 슬리이브(SLE4)를 중립의 상태로 이동시킨다.
[후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장치의 후진 변속시 동력 전달 경로도이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후진 변속을 위해서는 상기 제1 싱크로나이저(SL1)의 슬리이브(SEL1)를 통해 제1속 변속기어(D1)와 제1 출력축(OS1)을 동기시킴과 동시에 제5 싱크로나이저(SL1)의 슬리이브(SLE5)를 통해 제1 아이들 기어(IDG1)와 후진 아이들 축(IDS)를 동기시킨 다음, 제2 클러치(CL2)를 작동시키면 후진 변속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동력원의 회전동력은 제2 입력축(IS2), 제5 입력기어(G5), 제2속 변속기어(D2), 제2 아이들 기어(IDG2), 후진 아이들 축(IDS), 제5 싱크로나이저(SL5), 제1 아이들 기어(IDG1), 제1 입력기어(G1), 제2 입력기어(G2), 제1 변속기어(D1), 제1 싱크로나이저(SL1), 제1 출력축(OS1), 제1 출력기어(OG1), 종감속기어(FD), 디프렌셜(DIFF)로 전달되면서 후진 주행이 이루어진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장치의 기어 배치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변속장치는 상기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1, 제2 클러치(first and second clutches)(CL1)(CL2)로 이루어져 동력원(엔진 또는 모터)의 동력을 단속하는 동력단속수단, 제1, 제2 입력축(first and second input shafts)(IS1)(IS2)으로 이루어지는 입력수단, 상기 입력수단을 통하여 입력되는 회전동력을 각 변속단에 따라 선택적으로 변속하여 출력하는 변속출력수단, 및 후진변속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동력원은 통상의 내연기관을 이용하는 수동 또는 자동 변속기 차량에서는 엔진이 될 수 있으며,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전기 자동차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경우에는 모터가 될 수 있다.
상기 동력단속수단을 형성하는 제1, 제2 클러치(CL1)(CL2)는 동력원의 회전동력을 상기 제1, 제2 입력축(IS1)(IS2)에 선택적으로 전달한다.
상기 제1 클러치(C1)는 엔진(ENG)의 회전력을 제1 입력축(IS1)에 선택적으로 전달하고, 제2 클러치(CL2)는 엔진(ENG)의 회전력을 제2 입력축(IS2)에 선택적으로 전달한다.
상기 동력단속수단을 형성하는 상기 제1, 제2 클러치(CL1)(CL2)는 통상의 유체 다판 클러치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반적인 건식 다판 클러치로도 적용될 수 있으며, 유압제어시스템(미도시)에 의하여 작동 및 비작동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입력수단은 상기 제1 클러치(CL1)를 통해 동력원의 출력 측과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제1 입력축(IS1)과, 중공축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 입력축(IS1)의 외주 측에 상호 회전 간섭 없이 중첩 배치되어 상기 제2 클러치(CL2)를 통해 동력원의 출력 측과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제2 입력축(IS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입력축(IS1)에는 제1, 제2, 제3, 제4 입력기어(G1)(G2)(G3)((G4)가 상호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데, 이들 기어는 상기 제2 입력축(IS2)을 관통한 제1 입력축(IS1)의 후측 부분에 배치되며, 엔진 측으로부터 제1, 제2, 제3, 제4 입력기어(G1)(G2)(G3)(G4)가 차례로 배치된다.
상기 제2 입력축(IS2)에는 제5, 제6 입력기어(G5)(G6)가 상호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데, 이들 기어는 엔진 측에 제5 입력기어(G5)가 배치되고, 엔진의 반대 측에 제6 입력기어(G6)가 배치된다.
이에 따라, 제1 클러치(CL1)가 작동하면 제1 입력축(IS1)이 회전하면서 제1, 제2, 제3, 제4 입력기어(G1)(G2)(G3)(G4)를 구동시키고, 제2 클러치(CL2)가 작동하면 제2 입력축(IS2)이 회전하면서 제5, 제6 입력기어(G5)(G6)를 구동시키게 된다.
상기에서 제1, 2, 3, 4, 5, 6 입력기어(G1)(G2)(G3)(G4)(G5)(G6)는 각 변속단별 입력기어로서, 제1 입력기어(G1)는 제7속을 구현하기 위한 입력기어이고, 제2 입력기어(G1)는 제1속을 구현하기 위한 입력기어이고, 제3 입력기어(G3)는 제3속을 구현하기 위한 입력기어이며, 제4 입력기어(G4)는 제5속을 구현하기 위한 입력기어이다.
또한, 제5 입력기어(G5)는 제2속을 구현하기 위한 입력기어이고, 제6 입력기어(G6)는 제4속 및 제6속을 구현하기 위한 입력기어이다.
즉, 이러한 입력기어들(G1,G2,G3,G4,G5,G6)은 각각의 변속단을 구현하기 위해 기어 잇수가 설정되며, 상기 제1 입력축(IS1)에는 홀수 변속단을 구현하기 위한 입력기어들(G1,G2,G3,G4)이 형성되고, 제2 입력축(IS2)에는 짝수 변속단을 구현하기 위한 입력기어들(G5,G6)이 형성된다.
상기 변속출력수단은 상기 제1, 제2 입력축(IS1)(IS2)과 일정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 제2 출력축(OS1)(OS2)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출력축(OS1)에는 제1속 변속기어(D1) 및 제5속 변속기어(D5)가 이웃하여 배치되고, 제1속 변속기어(D1) 및 제5속 변속기어(D5)를 상기 제1 출력축(OS1)에 선택적으로 동기 연결하는 동기유닛인 제1 싱크로나이저(SL1)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 출력축(OS1)에는 제2속 변속기어(D2) 및 제4속 변속기어(D4)가 배치되고, 제2속 변속기어(D2) 및 제4속 변속기어(D4)를 상기 제1 출력축(OS1)에 선택적으로 동기 연결하는 동기유닛인 제2 싱크로나이저(SL2)가 구성되며, 전단부에는 제1 출력기어(OG1)가 구성된다.
상기 제1 싱크로나이저(SL1)는 제1 출력축(OS1)의 후측에 배치되고, 제2 싱크로나이저(SL2)는 제1 출력축(OS1)의 전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1속 변속기어(D1)는 제2 입력기어(G2)와 외접 치합되고, 제5속 변속기어(D5)는 제4 입력기어(G4)와 외접 치합된다.
상기 제2속 변속기어(D2)는 제5 입력기어(G5)와 외접 치합되고, 제4속 변속기어(D4)는 제6 입력기어(G6)와 외접 치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출력기어(OG1)는 상기 제1 출력축(OS1)으로 전달되는 회전동력을 종감속기어(FD)를 통하여 디프렌셜(DIFF)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제2 출력축(OS2)에는 제3속 변속기어(D3) 및 제7속 변속기어(D7)가 배치되고, 제3 변속기어(D3) 및 제7속 변속기어(D7)를 상기 제2 출력축(OS2)에 선택적으로 동기 연결하는 동기유닛인 제3 싱크로나이저(SL3)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2 출력축(OS20에는 제6속 변속기어(D6)가 배치되고, 제6속 변속기어(D3)를 상기 제2 출력축(OS2)에 선택적으로 동기 연결하는 동기유닛인 제4 싱크로나이저(SL4)가 구성되며, 전단부에는 제2 출력기어(OG2)가 구성된다.
상기 제3 싱크로나이저(SL3)는 제2 출력축(OS2)의 후측에 배치되고, 제4 싱크로나이저(SL4)는 제2 출력축(OS2)의 전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3속 변속기어(D3)는 제3 입력기어(G3)와 외접 치합되고, 제7속 변속기어(D7)는 제1 입력기어(G1)와 외접 치합된다.
상기 제6속 변속기어(D6)는 제6 입력기어(G6)와 외접 치합되고, 상기 제2 출력기어(OG2)는 제2 출력축(OS2)으로 전달되는 회전동력을 종감속기어(FD)를 통하여 디프렌셜(DIFF)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출력기어(OG1)와 제2 출력기어(OG2)는 상기와 같이, 종감속기어(FD)와 외접 치합되어 최종 감속이 이루어지며, 최종 감속이 이루어진 회전동력은 상기 디프렌셜(DIFF)를 통해 구동륜으로 전달된다.
한편, 후진변속수단은 상기 제1, 제2 입력축(IS1)(IS2)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후진 아이들 축(IDS)을 포함한다.
상기 후진 아이들 축(IDS)에는 제1 아이들 기어(IDG1)와 제2 아이들 기어(IDG2)가 이웃하게 구성되는데, 상기 제1 아이들 기어(IDG1)는 후진 아이들 축(IDS)과 일체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아이들 기어(IDG2)는 아이들 축(IDS)과 회전 간섭 없이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후진 아이들 축(IDS)에는 제2 아이들 기어(IDG2)를 상기 후진 아이들 축(IDS)에 선택적으로 동기 연결하는 동기유닛인 제5 싱크로나이저(SL5)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아이들 기어(IDG1)는 제1 입력축(IS1)의 제1 입력기어(G1)와 외접 치합되고, 상기 제2 아이들 기어(IDS2)는 상기 제1 출력축(OS1)의 제4속 변속기어(D4)와 외접 치합된다.
상기에서 제1, 제2, 제3, 제4, 제5 싱크로나이저(SL1 ~ SL5)는 공지의 구성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상기 제1, 제2, 제3, 제4, 제5 싱크로나이저(SL1 ~ SL5)에 적용되는 각각의 슬리이브(SLE1)(SLE2)(SLE3)(SLE4)(SLE5)는 공지에서와 같이 별도의 액추에이터(미도시)를 통하여 작동되며, 상기 액추에이터는 변속기 제어유닛에 의하여 제어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장치는 동력단속수단, 입력수단, 변속출력수단이 상기 제1 실시 예에 따른 변속장치와 동일하게 구성되지만, 후진변속수단의 일부 구성만이 다르다.
즉,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서는 후진변속수단의 제1 아이들 기어(ISG1)를 제1 입력기어(G1)와 외접 치합하고, 제2 아이들 기어(IDG2)를 제2속 변속기어(D2)와 외접 치합하였으나, 제2 실시 예에서는 제1 아이들 기어(ISG1)를 제1 입력기어(G1)와 외접 치합하고, 제2 아이들 기어(IDG2)를 제4속 변속기어(D4)와 외접 치합하였다.
이에 따라, 각 변속단에서의 제1, 제2, 제3, 제4, 제5 싱크로나이저(SL1)(SL2)(SL3)(SL4)(SL5) 및 제1, 제2 클러치(CL1)(CL2)의 작동은 도 2와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장치의 후진 변속시 동력 전달 경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서는 후진 변속을 위해서 제1 실시 예와 동일하게 상기 제1 싱크로나이저(SL1)의 슬리이브(SEL1)를 통해 제1속 변속기어(D1)와 제1 출력축(OS1)을 동기시킴과 동시에 제5 싱크로나이더(SL1)의 슬리이브(SLE5)를 통해 제2 아이들 기어(IDG2)와 후진 아이들 축(IDS)를 동기시킨 다음, 제2 클러치(CL2)를 작동시키면 후진 변속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동력원의 회전동력은 제2 입력축(IS2), 제6 입력기어(G6), 제4속 변속기어(D4), 제2 아이들 기어(IDG2), 제5 싱크로나이저(SL5), 후진 아이들 축(IDS), 제1 아이들 기어(IDG1), 제1 입력기어(G1), 제2 입력기어(G2), 제1속 변속기어(D1), 제1 싱크로나이저(SL1), 제1 출력축(OS1), 제1 출력기어(OG1), 종감속기어(FD), 디프렌셜(DIFF)로 전달되면서 후진 주행이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개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발명하여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IS1... 제1 입력축
IS2... 제2 입력축
OS1... 제1 출력축
OS2... 제2 출력축
OG1... 제1 출력기어
OG2... 제2 출력기어
IDS... 후진 아이들 축
IDG1, IDG2... 제1, 제2 아이들 기어
CL1, CL2... 제1, 제2 클러치
D1, D2, D3, D4, D5, D6, D7... 제1속, 제2속, 제3속, 제4속, 제5속, 제6속, 제7속 변속기어
G1, G2, G3, G4, G5, G6... 제1, 제2, 제3, 제4, 제5, 제6 입력기어
SL1, SL2, SL3, SL4, SL5... 제1, 제2, 제3, 제4, 제5 싱크로나이저

Claims (21)

  1. 차량용 변속장치에 있어서,
    동축선 상에 서로 간섭 없이 중첩 배치되어 각각의 클러치를 통하여 동력원의 회전동력이 입력되며, 각각 복수개의 입력기어가 구성된 2개의 입력축;
    상기 입력축에 각각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2개의 입력축 상의 각 입력기어에 각각 외접 치합되는 복수개의 전진 변속용 변속기어, 및 각 전진 변속용 변속기어와 동기 연결하는 각각의 동기유닛이 배치되고, 각각 종감속기어와 외접 치합된 하나씩의 출력기어가 구성된 2개의 출력축;
    상기 출력축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후진 아이들 축을 구비하며, 상기 2개의 입력축 중 어느 하나의 입력축 상의 하나의 입력기어와 외접 치합된 제1 아이들 기어와, 상기 2개의 출력축 중 어느 하나의 출력축 상의 하나의 변속기어와 외접 치합된 제2 아이들 기어가 각각 상기 후진 아이들 축 상에 배치되어 동기유닛의 작동에 의해 상기 동력원의 회전동력을 상기 하나의 입력축과 상기 하나의 출력축 상의 변속기어를 통해 전달받아 다른 하나의 입력축으로 역회전 전달하는 후진변속수단;
    을 포함하는 차량용 변속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입력축 중, 하나의 입력축 상의 하나의 입력기어로부터 정회전 입력되는 상기 동력원의 회전동력을 상기 하나의 입력축 상의 하나의 입력기어에 외접 치합된 하나의 출력축 상의 전진 변속용 변속기어와, 상기 후진변속수단과, 상기 다른 하나의 입력축 상의 하나의 입력기어와, 상기 다른 하나의 입력축 상의 다른 하나의 입력기어와, 상기 다른 하나의 입력축 상의 다른 하나의 입력기어에 외접 치합되어 상기 하나의 출력축에 동기 연결된 다른 전진 변속용 변속기어와, 상기 하나의 출력축, 및 상기 하나의 출력축 상의 출력기어에 외접 치합된 종감속기어를 통하여 역회전 감속 출력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후진 변속단의 동력전달경로를 형성하는 차량용 변속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입력축은
    제1 클러치를 통하여 상기 동력원의 회전동력이 입력되는 제1 입력축과, 중공축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 입력축의 외주 측에 회전 간섭 없이 배치되어 제2 클러치를 통하여 상기 동력원의 회전동력이 입력되는 제2 입력축으로 구성되고,
    상기 2개의 출력축은
    상기 제1, 제2 입력축과 평행하게 배치되며, 제1 출력기어를 통하여 디프렌셜의 종감속기어에 동력 연결되는 제1출력축과, 상기 제1, 제2 입력축과 평행하게 배치되며, 제2 출력기어를 통하여 디프렌셜의 종감속기어에 동력 연결되는 제2출력축으로 구성되는 차량용 변속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축은 상기 제2 입력축과 중첩되지 않은 부분에 제1, 제2, 제3, 제4 입력기어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2 입력축은 제5, 제6 입력기어가 배치되며,
    상기 제1 출력축은 상기 제1, 제2, 제3, 제4, 제5, 제6 입력기어 중, 4개의 입력기어에 각각 외접 치합되어 동기유닛에 의해 동기 연결되는 제1속, 제2속, 제4속, 제5속 변속기어가 외주면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출력축은 제1, 제2, 제3, 제4, 제5, 제6 입력기어 중, 3개의 입력기어에 각각 외접 치합되어 동기유닛에 의해 동기 연결되는 제3속, 제6속, 제7속 변속기어가 외주면 상에 배치되는 차량용 변속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유닛은
    상기 제1속 변속기어와 제5속 변속기어를 상기 제1 출력축에 선택적으로 동기 연결하는 제1 싱크로나이저;
    상기 제2속 변속기어와 제4속 변속기어를 상기 제1 출력축에 선택적으로 동기 연결하는 제2 싱크로나이저;
    상기 제3속 변속기어와 제7속 변속기어를 상기 제2 출력축에 선택적으로 동기 연결하는 제3 싱크로나이저;
    상기 제6속 변속기어를 상기 제2 출력축에 선택적으로 동기 연결하는 제4 싱크로나이저;
    상기 제1 또는 제2 아이들 기어를 상기 후진 아이들 축에 선택적으로 동기 연결하는 제5 싱크로나이저;
    로 이루어지는 차량용 변속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후진 변속단의 동력전달경로에서,
    상기 하나의 입력축 상의 하나의 입력기어는 상기 제2 입력축 상의 제5 입력기어이고,
    상기 하나의 입력축 상의 하나의 입력기어에 외접 치합된 하나의 출력축 상의 전진 변속용 변속기어는 제1 출력축의 제2속 변속기어이고,
    상기 다른 하나의 입력축 상의 하나의 입력기어는 제1 입력축 상의 제1 입력기어이고,
    상기 다른 하나의 입력축 상의 다른 하나의 입력기어는 제1 입력기어 상의 제2 입력기어이고,
    상기 다른 하나의 입력축 상의 다른 하나의 입력기어에 외접 치합되어 상기 하나의 출력축에 동기 연결된 다른 전진 변속용 변속기어는 상기 제1 출력축 상의 제1속 변속기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변속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후진변속수단은
    상기 제1 출력축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후진 아이들 축;
    상기 후진 아이들 축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입력축 상의 제1 입력기어와 외접 치합되는 제1 아이들 기어;
    상기 후진 아이들 축 상에 고정 배치되어 상기 제2 입력축 상의 제5 입력기어와 외접 치합된 상기 제1 출력축 상의 제2속 변속기어와 외접 치합되는 제2 아이들 기어;
    상기 제1 아이들 기어를 상기 후진 아이들 축에 선택적으로 동기 연결하는 제5 싱크로나이저;
    을 포함하는 차량용 변속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후진 변속단의 동력전달경로에서,
    상기 하나의 입력축 상의 하나의 입력기어는 상기 제2 입력축 상의 제6 입력기어이고,
    상기 하나의 입력축 상의 하나의 입력기어에 외접 치합된 하나의 출력축 상의 전진 변속용 변속기어는 제1 출력축의 제4속 변속기어이고,
    상기 다른 하나의 입력축 상의 하나의 입력기어는 제1 입력축 상의 제1 입력기어이고,
    상기 다른 하나의 입력축 상의 다른 하나의 입력기어는 제1 입력기어 상의 제2 입력기어이고,
    상기 다른 하나의 입력축 상의 다른 하나의 입력기어에 외접 치합되어 상기 하나의 출력축에 동기 연결된 다른 전진 변속용 변속기어는 상기 제1 출력축 상의 제1속 변속기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변속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후진변속수단은
    상기 제1 출력축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후진 아이들 축;
    상기 후진 아이들 축 상에 고정 배치되어 상기 제1 입력축 상의 제1 입력기어와 외접 치합되는 제1 아이들 기어;
    상기 후진 아이들 축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입력축 상의 제6 입력기어와 외접 치합된 상기 제1 출력축 상의 제4속 변속기어와 외접 치합되는 제2 아이들 기어;
    상기 제2 아이들 기어를 상기 후진 아이들 축에 선택적으로 동기 연결하는 제5 싱크로나이저;
    를 포함하는 차량용 변속장치.
  10. 차량용 변속장치에 있어서,
    제1 클러치를 통하여 상기 동력원의 회전동력이 입력되며, 제1, 제2, 제3, 제4 입력기어가 구성된 제1 입력축;
    중공축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 입력축의 외주 측에 회전 간섭 없이 배치되어 제2 클러치를 통하여 상기 동력원의 회전동력이 입력되며, 제5, 제6 입력기어가 구성되는 제2 입력축;
    상기 제1, 제2 입력축과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2, 제4, 제5, 제6 입력기어에 각각 외접 치합되어 동기유닛에 의해 동기 연결되는 제1속, 제5속, 제2속, 제4속 변속기어가 외주면 상에 배치되며, 일단부에는 디프렌셜의 종감속기어에 외접 치합되는 제1 출력기어가 구성되는 제1 출력축;
    상기 제1, 제2 입력축과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제3, 제6 입력기어에 각각 외접 치합되어 동기유닛에 의해 동기 연결되는 제7속, 제3속, 제6속 변속기어가 외주면 상에 배치되며, 일단부에는 디프렌셜의 종감속기어에 외접 치합되는 제2 출력기어가 구성되는 제2 출력축;
    상기 제1 출력축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후진 아이들 축 상에, 상기 제1 입력축 상의 하나의 입력기어와 외접 치합되는 제1 아이들 기어와, 상기 제2 입력축 상의 하나의 입력기어에 외접 치합된 상기 제1 출력축 상의 하나의 변속기어와 외접 치합되는 제2 아이들 기어를 구성하되, 제1, 제2 아이들 기어 중, 하나의 아이들 기어를 동기유닛에 의해 상기 후진 아이들 축에 동기 연결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동력원의 회전동력을 상기 제2 입력축과 상기 제1 출력축 상의 다른 하나의 변속기어를 통해 전달받아 상기 제1 입력축으로 역회전 전달하는 후진변속수단;
    을 포함하는 차량용 변속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축은 상기 제2 입력축과 중첩되지 않은 부분에 제1, 제2, 제3, 제4 입력기어가 상기 엔진으로부터 엔진의 반대측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2 입력축은 상기 엔진으로부터 엔진의 반대측으로 제5, 제6 입력기어가 배치되며,
    상기 제1 출력축은 외주면 상에 상기 엔진으로부터 엔진의 반대측으로 제2속, 제4속, 제1속, 제5속 변속기어가 순차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2 출력축은 외주면 상에 상기 엔진으로부터 엔진의 반대측으로 제6속, 제7속, 제3속 변속기어가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차량용 변속장치.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축 상의 하나의 입력기어가 제1 입력기어이고,
    상기 제2 입력축 상의 하나의 입력기어가 제5 입력기어이고,
    상기 제2 입력축 상의 하나의 입력기어에 외접 치합된 상기 제1 출력축 상의 하나의 변속기어가 제2속 변속기어이고,
    상기 제1, 제2 아이들 기어 중, 하나의 아이들 기어가 제1 아이들 기어이고,
    상기 제1 출력축 상의 다른 하나의 변속기어가 제1속 변속기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변속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입력축 상의 제5 입력기어로부터 정회전 입력되는 상기 동력원의 회전동력을 상기 제2 입력축 상의 제5 입력기어에 외접 치합된 제1 출력축 상의 제2속 변속기어와, 상기 후진변속수단과, 상기 제1 입력축 상의 제1 입력기어와, 제2 입력기어와, 상기 제2 입력기어에 외접 치합되어 상기 제1 출력축에 동기 연결된 제1속 변속기어와, 상기 제1 출력축, 및 상기 제1 출력기어에 외접 치합된 종감속기어를 통하여 역회전 감속 출력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후진 변속단의 동력전달경로를 형성하는 차량용 변속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유닛은
    상기 제1속 변속기어와 제5속 변속기어를 상기 제1 출력축에 선택적으로 동기 연결하는 제1 싱크로나이저;
    상기 제2속 변속기어와 제4속 변속기어를 상기 제1 출력축에 선택적으로 동기 연결하는 제2 싱크로나이저;
    상기 제3속 변속기어와 제7속 변속기어를 상기 제2 출력축에 선택적으로 동기 연결하는 제3 싱크로나이저;
    상기 제6속 변속기어를 상기 제2 출력축에 선택적으로 동기 연결하는 제4 싱크로나이저;
    상기 제1 아이들 기어를 상기 후진 아이들 축에 선택적으로 동기 연결하는 제5 싱크로나이저;
    로 이루어지는 차량용 변속장치.
  15.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축 상의 하나의 입력기어가 제1 입력기어이고,
    상기 제2 입력축 상의 하나의 입력기어가 제6 입력기어이고,
    상기 제2 입력축 상의 하나의 입력기어에 외접 치합된 상기 제1 출력축 상의 하나의 변속기어가 제4속 변속기어이고,
    상기 제1, 제2 아이들 기어 중, 하나의 아이들 기어가 제2 아이들 기어이고,
    상기 제1 출력축 상의 다른 하나의 변속기어가 제1속 변속기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변속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입력축 상의 제6 입력기어로부터 정회전 입력되는 상기 동력원의 회전동력을 상기 제2 입력축 상의 제6 입력기어에 외접 치합된 제1 출력축 상의 제4속 변속기어와, 상기 후진변속수단과, 상기 제1 입력축 상의 제1 입력기어와, 제2 입력기어와, 상기 제2 입력기어에 외접 치합되어 상기 제1 출력축에 동기 연결된 제1속 변속기어와, 상기 제1 출력축, 및 상기 제1 출력기어에 외접 치합된 종감속기어를 통하여 역회전 감속 출력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후진 변속단의 동력전달경로를 형성하는 차량용 변속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유닛은
    상기 제1속 변속기어와 제5속 변속기어를 상기 제1 출력축에 선택적으로 동기 연결하는 제1 싱크로나이저;
    상기 제2속 변속기어와 제4속 변속기어를 상기 제1 출력축에 선택적으로 동기 연결하는 제2 싱크로나이저;
    상기 제3속 변속기어와 제7속 변속기어를 상기 제2 출력축에 선택적으로 동기 연결하는 제3 싱크로나이저;
    상기 제6속 변속기어를 상기 제2 출력축에 선택적으로 동기 연결하는 제4 싱크로나이저;
    상기 제2 아이들 기어를 상기 후진 아이들 축에 선택적으로 동기 연결하는 제5 싱크로나이저;
    로 이루어지는 차량용 변속장치.
  18. 차량용 변속장치에 있어서,
    제1 클러치를 통하여 상기 동력원의 회전동력이 입력되며, 제1, 제2, 제3, 제4 입력기어가 상기 엔진으로부터 엔진의 반대측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구성되는 제1 입력축;
    중공축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 입력축의 외주 측에 회전 간섭 없이 배치되어 제2 클러치를 통하여 상기 동력원의 회전동력이 입력되며, 상기 엔진으로부터 엔진의 반대측으로 제5, 제6 입력기어가 순차적으로 구성되는 제2 입력축;
    상기 제1, 제2 입력축과 평행하게 배치되며, 외주면 상에는 상기 제2, 제4, 제5, 제6 입력기어에 각각 외접 치합되어 동기유닛에 의해 동기 연결되는 제1속, 제5속, 제2속, 제4속 변속기어가 상기 엔진으로부터 엔진의 반대측으로 순차 배치되며, 일단부에는 디프렌셜의 종감속기어에 외접 치합되는 제1 출력기어가 구성되는 제1 출력축;
    상기 제1, 제2 입력축과 평행하게 배치되며, 외주면 상에는 상기 제1, 제3, 제6 입력기어에 각각 외접 치합되어 동기유닛에 의해 동기 연결되는 제7속, 제3속, 제6속 변속기어가 상기 엔진으로부터 엔진의 반대측으로 순차 배치되며, 일단부에는 디프렌셜의 종감속기어에 외접 치합되는 제2 출력기어가 구성되는 제2 출력축;
    상기 제1 출력축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후진 아이들 축 상에, 상기 제1 입력축 상의 제1 입력기어와 외접 치합되는 제1 아이들 기어와, 상기 제2 입력축 상의 제5 입력기어에 외접 치합된 상기 제1 출력축 상의 제2속 변속기어와 외접 치합되는 제2 아이들 기어를 구성하며, 상기 제1 아이들 기어는 동기유닛에 의해 상기 후진 아이들 축에 동기 연결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동력원의 회전동력을 상기 제2 입력축과 상기 제1 출력축 상의 제1속 변속기어를 통해 전달받아 상기 제1 입력축으로 역회전 전달하는 후진변속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입력축 상의 제5 입력기어로부터 정회전 입력되는 상기 동력원의 회전동력을 상기 제2 입력축 상의 제5 입력기어에 외접 치합된 제1 출력축 상의 제2속 변속기어와, 상기 후진변속수단과, 상기 제1 입력축 상의 제1 입력기어와, 제2 입력기어와, 상기 제2 입력기어에 외접 치합되어 상기 제1 출력축에 동기 연결된 제1속 변속기어와, 상기 제1 출력축, 및 상기 제1 출력기어에 외접 치합된 종감속기어를 통하여 역회전 감속 출력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후진 변속단의 동력전달경로를 형성하는 차량용 변속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유닛은
    상기 제1속 변속기어와 제5속 변속기어를 상기 제1 출력축에 선택적으로 동기 연결하는 제1 싱크로나이저;
    상기 제2속 변속기어와 제4속 변속기어를 상기 제1 출력축에 선택적으로 동기 연결하는 제2 싱크로나이저;
    상기 제3속 변속기어와 제7속 변속기어를 상기 제2 출력축에 선택적으로 동기 연결하는 제3 싱크로나이저;
    상기 제6속 변속기어를 상기 제2 출력축에 선택적으로 동기 연결하는 제4 싱크로나이저;
    상기 제1 아이들 기어를 상기 후진 아이들 축에 선택적으로 동기 연결하는 제5 싱크로나이저;
    로 이루어지는 차량용 변속장치.
  20. 차량용 변속장치에 있어서,
    제1 클러치를 통하여 상기 동력원의 회전동력이 입력되며, 제1, 제2, 제3, 제4 입력기어가 상기 엔진으로부터 엔진의 반대측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구성되는 제1 입력축;
    중공축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 입력축의 외주 측에 회전 간섭 없이 배치되어 제2 클러치를 통하여 상기 동력원의 회전동력이 입력되며, 상기 엔진으로부터 엔진의 반대측으로 제5, 제6 입력기어가 순차적으로 구성되는 제2 입력축;
    상기 제1, 제2 입력축과 평행하게 배치되며, 외주면 상에는 상기 제2, 제4, 제5, 제6 입력기어에 각각 외접 치합되어 동기유닛에 의해 동기 연결되는 제1속, 제5속, 제2속, 제4속 변속기어가 상기 엔진으로부터 엔진의 반대측으로 순차 배치되며, 일단부에는 디프렌셜의 종감속기어에 외접 치합되는 제1 출력기어가 구성되는 제1 출력축;
    상기 제1, 제2 입력축과 평행하게 배치되며, 외주면 상에는 상기 제1, 제3, 제6 입력기어에 각각 외접 치합되어 동기유닛에 의해 동기 연결되는 제7속, 제3속, 제6속 변속기어가 상기 엔진으로부터 엔진의 반대측으로 순차 배치되며, 일단부에는 디프렌셜의 종감속기어에 외접 치합되는 제2 출력기어가 구성되는 제2 출력축;
    상기 제1 출력축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후진 아이들 축 상에, 상기 제1 입력축 상의 제1 입력기어와 외접 치합되는 제1 아이들 기어와, 상기 제2 입력축 상의 제6 입력기어에 외접 치합된 상기 제1 출력축 상의 제4속 변속기어와 외접 치합되는 제2 아이들 기어를 구성하며, 상기 제2 아이들 기어는 동기유닛에 의해 상기 후진 아이들 축에 동기 연결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동력원의 회전동력을 상기 제2 입력축과 상기 제1 출력축 상의 제4속 변속기어를 통해 전달받아 상기 제1 입력축으로 역회전 전달하는 후진변속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입력축 상의 제6 입력기어로부터 정회전 입력되는 상기 동력원의 회전동력을 상기 제2 입력축 상의 제6 입력기어에 외접 치합된 제1 출력축 상의 제4속 변속기어와, 상기 후진변속수단과, 상기 제1 입력축 상의 제1 입력기어와, 제2 입력기어와, 상기 제2 입력기어에 외접 치합되어 상기 제1 출력축에 동기 연결된 제1속 변속기어와, 상기 제1 출력축, 및 상기 제1 출력기어에 외접 치합된 종감속기어를 통하여 역회전 감속 출력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후진 변속단의 동력전달경로를 형성하는 차량용 변속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유닛은
    상기 제1속 변속기어와 제5속 변속기어를 상기 제1 출력축에 선택적으로 동기 연결하는 제1 싱크로나이저;
    상기 제2속 변속기어와 제4속 변속기어를 상기 제1 출력축에 선택적으로 동기 연결하는 제2 싱크로나이저;
    상기 제3속 변속기어와 제7속 변속기어를 상기 제2 출력축에 선택적으로 동기 연결하는 제3 싱크로나이저;
    상기 제6속 변속기어를 상기 제2 출력축에 선택적으로 동기 연결하는 제4 싱크로나이저;
    상기 제2 아이들 기어를 상기 후진 아이들 축에 선택적으로 동기 연결하는 제5 싱크로나이저;
    로 이루어지는 차량용 변속장치.
KR1020140141155A 2014-10-17 2014-10-17 차량용 변속장치 KR1018468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1155A KR101846871B1 (ko) 2014-10-17 2014-10-17 차량용 변속장치
US14/559,608 US9518633B2 (en) 2014-10-17 2014-12-03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for vehicle
DE102014118198.0A DE102014118198B4 (de) 2014-10-17 2014-12-09 Leistungsgetriebevorrichtung für ein Fahrzeug
CN201410811574.7A CN105782358B (zh) 2014-10-17 2014-12-23 用于车辆的动力传动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1155A KR101846871B1 (ko) 2014-10-17 2014-10-17 차량용 변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5494A true KR20160045494A (ko) 2016-04-27
KR101846871B1 KR101846871B1 (ko) 2018-04-09

Family

ID=55637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1155A KR101846871B1 (ko) 2014-10-17 2014-10-17 차량용 변속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518633B2 (ko)
KR (1) KR101846871B1 (ko)
CN (1) CN105782358B (ko)
DE (1) DE102014118198B4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30175B2 (en) 2016-10-21 2019-06-25 Hyundai Motor Company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for vehic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220627A1 (de) * 2015-10-22 2017-04-27 Deere & Company Gruppenschaltgetriebe
KR101807149B1 (ko) * 2016-10-21 2017-12-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변속장치
KR102663655B1 (ko) * 2016-11-29 2024-05-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변속기
KR102453352B1 (ko) * 2017-10-11 2022-10-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변속장치
KR20200103221A (ko) * 2019-02-22 2020-09-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dct
KR20210013453A (ko) * 2019-07-25 2021-02-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용 동력전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89483A (en) * 1970-01-27 1971-06-29 Dana Corp Variable speed transmission
JP2004263708A (ja) * 2003-01-14 2004-09-24 Kyowa Metal Work Co Ltd ツインクラッチ式変速機
DE10305241A1 (de) 2003-02-08 2004-09-23 Zf Friedrichshafen Ag Sechs- oder siebengängiges Doppelkupplungsgetriebe
DE102004001278B4 (de) * 2004-01-07 2015-08-13 Volkswagen Ag Doppelkupplungsgetriebe für ein Kraftfahrzeug
JP4809629B2 (ja) * 2005-05-25 2011-11-09 アイシン・エーアイ株式会社 変速操作装置
JP4439479B2 (ja) * 2006-02-24 2010-03-24 ジヤトコ株式会社 自動車用変速機
US7490526B2 (en) * 2006-05-22 2009-02-17 Magna Powertrain Usa, Inc. Dual clutch powershift transmission with transfer shaft
JP2007332991A (ja) * 2006-06-12 2007-12-27 Aisin Ai Co Ltd 歯車変速装置
JP2007331654A (ja) 2006-06-16 2007-12-27 Aisin Ai Co Ltd パーキングロック機能を備えた歯車変速装置
KR100802712B1 (ko) 2006-10-18 2008-02-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전기 차량용 듀얼 클러치 변속기
KR101063506B1 (ko) * 2010-05-13 2011-09-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더블 클러치 변속기
CN201916428U (zh) * 2010-12-20 2011-08-03 浙江吉利汽车研究院有限公司 双离合器式自动变速器
DE102011051360B4 (de) * 2011-06-27 2022-05-25 Dr. Ing. H.C. F. Porsche Ag Getriebe mit ausgelagertem Rückwärtsgang
CN103148175B (zh) * 2013-02-28 2016-04-13 浙江吉利汽车研究院有限公司杭州分公司 汽车双离合器自动变速器
KR20140141155A (ko) 2013-05-31 2014-12-10 주식회사 생 라이닝 시트를 사용한 라이닝 방법 및 그것이 적용된 물탱크
CN103542044B (zh) * 2013-09-25 2016-12-07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车辆的双离合器自动变速器
KR101483694B1 (ko) * 2013-10-15 2015-01-16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변속장치
KR101601081B1 (ko) * 2013-12-18 2016-03-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변속장치
KR101628147B1 (ko) * 2013-12-31 2016-06-08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변속장치
CN203686005U (zh) * 2014-01-07 2014-07-02 吉孚动力技术(中国)有限公司 一种双离合器变速箱
CN103851134B (zh) * 2014-03-31 2017-11-28 奇瑞控股有限公司 一种汽车双离合器变速器及其变速方法
DE102014213459A1 (de) * 2014-07-10 2016-01-14 Zf Friedrichshafen Ag Doppelkupplungsgetriebe eines Kraftfahrzeug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30175B2 (en) 2016-10-21 2019-06-25 Hyundai Motor Company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f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4118198B4 (de) 2017-11-30
CN105782358A (zh) 2016-07-20
DE102014118198A1 (de) 2016-04-21
KR101846871B1 (ko) 2018-04-09
US20160108993A1 (en) 2016-04-21
US9518633B2 (en) 2016-12-13
CN105782358B (zh) 2019-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9483B1 (ko) 차량용 변속장치
KR101483694B1 (ko) 차량용 변속장치
KR101362059B1 (ko) 더블 클러치 변속기
KR101846871B1 (ko) 차량용 변속장치
KR101588775B1 (ko) 차량용 변속장치
KR20160035759A (ko) 차량용 변속장치
KR101518948B1 (ko) 차량의 변속장치
KR101807147B1 (ko) 차량용 변속장치
KR101703576B1 (ko) 차량의 변속장치
KR101416405B1 (ko) 차량용 변속장치
KR101628147B1 (ko) 차량용 변속장치
KR101588796B1 (ko) 차량용 변속장치
KR101744819B1 (ko) 차량용 변속장치
KR101807149B1 (ko) 차량용 변속장치
KR101294089B1 (ko) 차량용 변속장치
KR101500354B1 (ko) 차량용 변속장치
KR101744837B1 (ko)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의 동력전달장치
KR20160035655A (ko) 차량의 변속장치
KR101836281B1 (ko) 차량용 변속장치
KR20150071608A (ko)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의 변속장치
KR101484231B1 (ko) 차량용 변속장치
KR20180040975A (ko) 차량용 변속장치
KR101416377B1 (ko) 차량용 변속장치
KR101655149B1 (ko) 차량용 변속장치
KR101294090B1 (ko) 차량용 변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5411;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0919

Effective date: 20180117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