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4917A - 봉투형 세제 - Google Patents

봉투형 세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4917A
KR20160044917A KR1020140140016A KR20140140016A KR20160044917A KR 20160044917 A KR20160044917 A KR 20160044917A KR 1020140140016 A KR1020140140016 A KR 1020140140016A KR 20140140016 A KR20140140016 A KR 20140140016A KR 20160044917 A KR20160044917 A KR 201600449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rgent
weight
film
parts
envel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0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3709B1 (ko
Inventor
신만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40140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3709B1/ko
Priority to PCT/KR2015/009213 priority patent/WO2016060378A1/ko
Priority to CN201580010664.9A priority patent/CN106062167A/zh
Priority to US15/517,258 priority patent/US10723984B2/en
Publication of KR201600449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49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3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37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7/00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66Non-ionic compounds
    • C11D1/83Mixtures of non-ionic with anio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7/00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 C11D17/04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combined with or containing other objects
    • C11D17/041Compositions releasably affixed on a substrate or incorporated into a dispensing means
    • C11D17/042Water soluble or water disintegrable containers or substrates containing cleaning compositions or additives for cleaning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7/00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 C11D17/06Powder; Flakes; Free-flowing mixtures;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2Inorganic compounds ; Elemental compounds
    • C11D3/04Water-soluble compounds
    • C11D3/10Carbonates ; Bi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0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1D3/2003Alcohols; Phenols
    • C11D3/2041Dihydric alcohols
    • C11D3/2044Dihydric alcohols linear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0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1D3/2003Alcohols; Phenols
    • C11D3/2065Polyhydric 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0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1D3/2093Esters; 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7Polymers
    • C11D3/374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1D3/3753Polyvinylalcohol; Ethers or ester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8Products with no well-defined composition, e.g. natural products
    • C11D3/386Preparations containing enzymes, e.g. protease or amylase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8Products with no well-defined composition, e.g. natural products
    • C11D3/386Preparations containing enzymes, e.g. protease or amylase
    • C11D3/38609Protease or amylase in solid compositions only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02Anionic compounds
    • C11D1/12Sulfonic acids or sulfuric acid esters; Salts thereof
    • C11D1/28Sulfonation products derived from fatty acids or their derivatives, e.g. esters, a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66Non-ionic compounds
    • C11D1/72Ethers of polyoxyalkylene glyco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b)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c) 필름 형성 수용성 고분자; d) 알칼리 빌더; 및 e) 가소제를 포함하는 봉투 형태 세제 제조를 위한 세제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봉투형 세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봉투형 세제{Envelope type detergent}
본 발명은 세탁용 세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세탁물을 담을 수 있는 봉투형 세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물의 세탁은 세탁기에 세제를 투입하여 이루어지고 있으며, 세제의 형태에 관계없이 세탁량을 기준으로 소비자가 직접 세제를 계량하여 사용하고 있다. 대부분의 소비자는 세제의 사용방법으로 제시되어 있는 세탁량에 따른 세제 표준 사용량을 기준으로 세제를 사용하고 있으나, 세탁량 및 세제 표준 사용량을 정확하게 판단하는 것이 사실상 어려우며, 사용자 임의로 세제량을 계측하여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세제가 과다 사용되거나 또는 과소 사용되어 원하는 세탁 효과를 얻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공간적, 비용적 문제로 세탁물은 대체로 일정량이 될 때까지 모아 두었다가, 다시 세탁물을 분류해서 세탁기에 투입하여 세탁하게 되며, 그 분류과정에서 보관된 세탁물에서 오는 냄새 및 촉감의 불쾌감과 번거로움이 존재하게 된다.
세탁기 투입용 세제에는 분말형, 액상형, 캡슐형, 시트형 등이 보급되어 있다. 분말형은 분말이 날리거나 분말상이 세탁물에 잔존하는 등의 문제가 제기되고 있으며, 액상형은 상대적으로 무거워서 소비자가 사용을 꺼리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고분자 필름 소재를 이용한 캡슐형, 시트형 세제가 보급되고 있다.
고분자 필름 소재는 최근 생활용품에의 사용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소재로, 의약품, 화장품, 세제를 포함한 가정용품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식품포장용 투명 필름, 피부 부착형 의료용 또는 피부개선용 시트, 캡슐형 세제, 시트형 세제 등의 기반 소재로 사용되고 있다.
캡슐형 세제와 시트형 세제는 수용성 필름을 이용한 세제로, 분획 상품화의 편리함과, 분말 세제와 액상 세제가 가진 단점을 개선할 수 있어 많은 연구와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구체적으로, 한국 특허공개 10-2012-0021449에서는 세제 성분 및 유연제 성분이 고분자 사슬 사이에 분포되어 있는 필름 형성 수용성 고분자가 필름 형태로 고형화된 세탁용 시트를 개시하고 있다. 한국 특허공개 1999-0030414에서는 분말세제의 비산 현상 방지와 적정 사용량을 유도하여 수질을 보호하기 위해, 1회 표준사용량이 봉지 내에 담긴 1회용 밀폐형 세제의 재질로서, 수용성 폴리비닐알콜 필름, 젤라틴 필름, 전분 필름, 셀룰로오스 필름 등을 개시하고 있다. 한국 특허공개 2004-0067668에는 액체 세정제를 수용성 필름으로 포장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수용성 고분자 필름들을 이용하여 분획 포장하는 경우, 분획 포장한 제품의 보관 또는 운반 시 밀봉이 터져 내용물이 누출되는 현상이 발생하고, 필름의 표면으로 유효 성분들이 스며 나오는 등 제품의 보관 안정성이 매우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수용성 필름은 세제의 포장재로서 사용되므로, 대기 중의 수분에 대한 안정성과 내용물에 대한 내구성이 확보되도록 설계된다. 그 때문에, 세탁시 통상 사용되는 물의 온도에서 용해시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며, 완전 용해가 되지 않아 필름의 잔류물이 남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시트형 세제는 캡슐형 세제의 단점을 많은 부분 개선할 수 있으나, 상술한 바와 같은 세탁물에 따른 적정량의 사용이 어려운 단점이 있으며, 세탁물 보관에 따른 문제점은 그대로 안고 있다.
[특허문헌 1] 한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12-0021449호 [특허문헌 2] 한국 특허공개공보 특1999-0030414호 [특허문헌 3] 한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04-0067668호
이에 본 발명은 일정량의 세탁물을 담을 수 있는 봉투형 세제를 제공하려고 한다.
또한 세탁물을 담을 수 있는 봉투형 세제를 제조하기 위한 세제 조성물을 제공하려고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세탁물을 담을 수 있는 봉투형 세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봉투형 세제는 고분자 필름상에 세제 성분이 고형화되어 포함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봉투형 세제는 두께 0.004㎛ 내지 2.0 mm의 필름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세탁물을 담을 수 있는 봉투형 세제를 제조하기 위한 세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세제 조성물은 a)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3-40중량부; b)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5-40중량부; c) 필름 형성 수용성 고분자는 건조 후 필름 총 중량으로서 5-90중량부; d) 알칼리 빌더 1-30중량부; 및 e) 가소제 1-2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a)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polyoxyethylene alkyl ether), 코코넛 디에탄올아미드(coconut diethanolamide), 지방산 알카놀아민(fatty acid alkanolamine), 아민 옥사이드(amine oxide), 알킬 폴리글루코시드(alkyl polyglucoside), 메틸 폴리에틸렌 알킬 에테르(methyl polyethylene alkyl ether), 및 슈가 에테르(sugar ether)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b)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알파 술포지방산 메틸에스테르염, 알파-올레핀 술포네이트 및 소디움 라우릴 설페이트(sodium lauryl sulfate)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c) 필름 형성 수용성 고분자는 검화도가 75 내지 95%이고, 평균 중합도 100 내지 3000인 폴리비닐알콜 (Polyvinyl alcohol)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d) 알칼리 빌더는 탄산나트륨, 중탄산나트륨, 및 황산나트륨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e) 가소제는 트리메틸올프로판(Trimethylol propane), 에틸렌 글리콜(Ethylene glycol), 디부틸 프탈레이트(Dibutyl phthalate) 및 시트르산(citric acid)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세제 조성물은 향료, 단백질 분해효소, 지질 분해효소, 탄수화물 분해효소, 셀룰로오스 분해효소, 표백제, 형광염료, 및 이염방지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첨가제를 상기 세제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0.3 내지 10 중량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봉투형 세제는 1회용으로 제형화된 세제 봉투에 세탁물을 투입하여 사용할 수 있어, 세제 사용의 정량화가 용이하다.
또한 다양한 크기의 봉투형 세제의 제공이 가능하여, 빨래 종류별로 봉투에 보관한 후, 세탁시 세제 봉투째 세탁기에 투입하여 세탁할 수 있어, 보관 후 따로 분류하는 번거로움과 보관으로 인해 발생하는 불쾌감을 없앨 수 있다.
또한 찬물에서의 용해성이 우수하고, 세탁 과정에서 수분에 의한 뭉침 현상이 거의 없으며, 특히 세탁시 세제 잔류물이 남지 않으며, 저장 안정성이 우수하고, 보관 편리성이 우수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봉투형 세제의 사진이다.
도 2는 비교예 1에 따라 제작된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3은 비교예 2에 따라 제작된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발명자들은 세탁시 세제를 과다 사용하거나 과소 사용하여 세척 효과를 온전하게 얻을 수 없고, 세탁물이 일정량 모일 때까지 같은 용기에 보관 후 여러 분류 기준에 따라 다시 분류하여야 하는 번거로움과, 보관으로 인해 생기는 불쾌감을 없앨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봉투형 세제는 세탁물을 담을 수 있는 봉투로, 고분자 필름에 세제 성분이 포함되어 고형화되어 있다. 봉투의 모양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세탁물을 담을 수 있는 형태이면 가능하다. 봉투의 크기도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크기로 제작될 수 있다. 봉투형 세제는 세탁물이 발생할 때부터 분류하고자 하는 기준에 맞는 것끼리 봉투에 담아서 보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봉투에 담을 수 있는 세탁물이 한정되게 되어, 적량의 세제를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봉투형 세제에서, 세제 성분을 포함한 고분자 필름의 두께는 0.004㎛ 내지 2.0mm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0.5mm이다. 두께가 0.004㎛ 미만의 경우 인장강도가 낮아지게 되어 봉투형 세제로서의 제품안정성이 좋지 않으며, 2.0mm를 초과하는 경우 세제의 용해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봉투형 세제의 강도는 5.0~100.0N/mm2, 바람직하게는 30.0~50.0N/mm2이며, 세제의 용해성과 세탁물의 보관성과 사용 편리성면에서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봉투형 세제는 a)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3-40중량부; b)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5-40중량부; c) 필름 형성 수용성 고분자는 건조 후 필름 총 중량으로서 5-90중량부; d) 알칼리 빌더 1-30중량부; 및 e) 가소제 1-20중량부를 포함하는 세제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필름 형성 수용성 고분자"란 필름을 형성할 수 있는 수용성 고분자를 의미하는 것으로, 필름 매트릭스를 형성할 수 있는 성막성이 있으나, 세탁 시에는 물에 의해 필름 형성 수용성 고분자의 엉켜진 고분자 사슬이 다시 풀리게 된다.
본 발명의 봉투형 세제 조성물에서, a)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높은 경도의 세탁수에서의 세정 능력을 보완할 수 있어, 세제의 세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바람직한 예로는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polyoxyethylene alkyl ether), 코코넛 디에탄올아미드(coconut diethanolamide), 지방산 알카놀아민(fatty acid alkanolamine), 아민 옥사이드(amine oxide), 알킬 폴리글루코시드(alkyl polyglucoside), 메틸 폴리에틸렌 알킬 에테르(methyl polyethylene alkyl ether), 또는 슈가 에테르(sugar ether)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이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1종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봉투형 세제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3 내지 4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함량이 3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세정력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4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본 발명에 따른 봉투 형태 세제의 제조 용이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다음으로, b)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와 마찬가지로 세제로서의 기능을 위한 것으로,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바람직한 예로, 알파 술포지방산 메틸에스테르, 알파-올레핀 술포네이트 또는 소디움 라우릴 설페이트(sodium lauryl sulfate)를 들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이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1종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봉투형 세제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4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함량이 5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세정력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4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본 발명에 따른 봉투형 세제의 제조 용이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다음으로, c)의 필름 형성 수용성 고분자는 바람직한 예로는 폴리비닐알콜(Polyvinyl alcohol,PVA) 또는 폴리비닐알코올계 공중합체를 들 수 있으며, 용해성 확보와 봉투 형태의 필름 형성성을 위해, 검화도가 75 내지 95%이고, 평균 중합도가 100 내지 3000인 것이 바람직하다. 검화도가 75% 미만이거나, 95% 초과인 경우 용해도가 낮아 물에 잘 안 녹는다. 또, 평균 중합도가 100 미만인 경우에는 분자량이 너무 낮아 필름 형성이 용이하지 않으며, 필름의 인장강도 등 물성이 좋지 않다. 평균 중합도가 3000 초과인 경우에는 분자량이 너무 높아, 물에 녹이기 힘들고, 녹이더라도 점도가 너무 높아 필름으로 제형화하기 어렵다.
필름 형성 수용성 고분자는 세제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건조 후 필름 총 중량으로서 5 내지 90 중량부로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함량이 5 중량부 미만일 경우 인장강도가 낮아 필름 제조가 어려우며, 9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세탁을 위한 유효 성분의 함량이 지나치게 낮아져 세제 기능이 저하된다.
다음으로, d) 알칼리 빌더는 봉투 형태 세제 조성물에서 pH를 상승시켜, 섬유간 반발력이 증대되게 하여 오구 제거력을 향상시킨다. 또한 산성 성분과 적절한 조합을 통하여 세제 조성물의 pH가 지나치게 높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높은 pH로 인하여 고온 세탁 시 발생할 수 있는 의류 이염의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알칼리 빌더는 산성 성분과의 중화반응을 통하여 수용성 고분자의 공극을 유지하는 작용을 하여, 고분자 필름에 세제 성분이 함침되게 한다.
알칼리 빌더로는 소다회, 탄산나트륨, 중탄산나트륨, 또는 황산나트륨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을 1종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중탄산나트륨과 황산나트륨은 그 함량이 높아질수록 밀도가 높아지므로,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이들을 사용할 경우에는 그 함량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산나트륨과 중탄산나트륨은 pH 조절제로도 사용되어, 세탁수의 pH 완충 역할을 동시에 할 수 있다.
알칼리 빌더는 통상적으로 목적에 따라 그 함량을 적절히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 있어서는 세제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중량부 미만으로 사용하면 고분자 필름의 공극 형성이 낮게 되어 세제 성분의 함침이 어려우며, 30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하면 제조된 봉투형 세제의 용해성이 낮아지게 된다.
다음으로, e) 가소제는 고분자의 필름 형성 개시제로서, 또 봉투 형태 세제에 연성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한다. 바람직한 예로는 트리메틸올프로판(Trimethylol propane), 에틸렌 글리콜(Ethylene glycol), 디부틸 프탈레이트(Dibutyl phthalate) 및 시트르산(Citric acid)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을 1종 이상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가소제는 세제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중량부 미만으로 사용하면 고분자 필름 형성이 잘 안되고, 20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하면 연성이 너무 증가하여, 봉투형 세제로서 적합한 필름 강도를 가질 수 없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봉투형의 세제를 위한 세제 조성물은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프로테아제 등의 단백질 분해효소, 리파아제 등의 지질분해효소, 아밀라아제 등의 탄수화물 분해효소, 셀룰라아제 등의 셀룰로오스 분해효소, 비페닐계 또는 스틸벤계 형광염료, 과탄산소다와 같은 표백제, 또는 이염방지제 등의 첨가제를 세제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추가로 0.3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첨가제 중 일부가 봉투형 세제를 위한 세제 조성물 중에 포함되는 경우에는, 단백질 분해효소, 지질 분해효소, 탄수화물 분해효소, 및 셀룰로오스 분해효소는 세제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추가로 각각 0.01 내지 1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형광염료는 세제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추가로 0.1 내지 1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염방지제는 세제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추가로 0.5 내지 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봉투형 세제는 세제의 조성 성분을 구성하는 원료를 균일하게 혼합하는 단계; 혼합물을 필름화하는 단계; 필름화된 세제 조성물을 봉투 형태로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을 통해 봉투형 세제로 제조된다. 또한 원료 혼합시에는 목적에 따라 상술한 첨가제를 추가로 혼합할 수 있다. 첨가제는 필요에 따라 세제 봉투의 외형에 후가공 형태로 투입할 수도 있다.
원료 혼합시에는 계면활성제의 끓는점 및 고분자의 용융점을 고려한 온도 범위에서 투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하기 표 1에 나타낸 원료를 가열 온도 140℃의 스크류 투입 설비와, 블로잉 필름 캐스팅 장비를 이용하여 봉투형 세제를 제작하였다. 제조된 봉투형 세제 결과물을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따르면, 세탁물을 담을 수 있는 봉투형 세제가 제조된 것을 알 수 있다. 표 1에서 단위는 중량%를 의미한다. 제조된 세제 봉투의 인장 강도를 측정한 결과, 49.11 N/mm2이었다.
실시예 및 비교예서 제조된 세제 봉투의 인장 강도는 하기와 같은 조건에서 측정되었다.
사용기기: JINAN LINGYUE ACCURATE INSTRUMENT, LX-180 모델
샘플크기: 30mm
인장속도: 50mm/min
온도: 15℃
비교예 1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성으로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봉투형 세제를 제작하였다.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 따르면, 가소제가 함유되지 않았기 때문에, 고분자 필름이 양호하게 형성되지 않고 스크류 설비 내에서 덩어리 형태로 굳어버린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비교예 1의 조성으로 제작한 경우, 인장강도가 현저히 낮고 연성을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장강도는 25.16 N/mm2이었다.
비교예 2
스크류 투입시 가열 온도를 160℃로, 실시예 1보다 높게 설정한 것을 제외하고, 표 1에 나타낸 조성으로 하여 실시예 1과 같이 실시하였다.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 따르면, 봉투형 세제로서의 필름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원료를 높은 온도에서 혼합하여, 수용성 고분자와 계면활성제의 기화가 일어나 필름이 형성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또한 기화시 발생하는 버블로 인해 내용물의 균일성이 저하되고 인장 강도가 현저히 저하되어 봉투형 세제 제작 과정에서 끊어짐 현상이 나타났다.
비교예 3
하기 표 1에 나타낸 조성으로 하여 실시예 1과 같이 실시하였다. 그런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본 발명의 세제 조성물의 범위를 만족하지 않아서, 봉투형 세제를 위한 필름이 형성되지 않았다. 이는 과다한 계면활성제가 고분자와 응집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과다한 계면활성제는 표면장력의 저하를 가져오고, 이는 전체 원료의 겔화를 유도하여, 봉투형 세제로서의 필름이 형성되지 않게 하였다.
Figure pat00001

Claims (10)

  1. 세탁물을 담을 수 있는 봉투형 세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는 두께 0.004㎛ 내지 2.0 mm의 필름상인 봉투형 세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상에는 세제 성분이 고형화되어 포함되어 있는 봉투형 세제.
  4. a)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3-40중량부;
    b)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5-40중량부;
    c) 필름 형성 수용성 고분자는 건조 후 필름 총 중량으로서 5-90중량부;
    d) 알칼리 빌더 1-30중량부; 및
    e) 가소제 1-2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투형 세제를 제조하기 위한 세제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a)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polyoxyethylene alkyl ether), 코코넛 디에탄올아미드(coconut diethanolamide), 지방산 알카놀아민(fatty acid alkanolamine), 아민 옥사이드(amine oxide), 알킬 폴리글루코시드(alkyl polyglucoside), 메틸 폴리에틸렌 알킬 에테르(methyl polyethylene alkyl ether), 및 슈가 에테르(sugar ether)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 조성물.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b)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알파 술포지방산 메틸에스테르염, 알파-올레핀 술포네이트 및 소디움 라우릴 설페이트(sodium lauryl sulfate)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 조성물.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c) 필름 형성 수용성 고분자는 검화도가 75 내지 95%이고, 평균 중합도 100 내지 3000인 폴리비닐알콜 (Polyvinyl alcoho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 조성물.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d) 알칼리 빌더는 소다회, 탄산나트륨, 중탄산나트륨, 및 황산나트륨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 조성물.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e) 가소제는 트리메틸올프로판(Trimethylol propane), 에틸렌 글리콜(Ethylene glycol), 디부틸 프탈레이트(Dibutyl phthalate) 및 시트르산(Citric acid)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 조성물.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 조성물은 향료, 단백질 분해효소, 지질 분해효소, 탄수화물 분해효소, 셀룰로오스 분해효소, 표백제, 형광염료, 및 이염방지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첨가제를 상기 세제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0.3 내지 10 중량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 조성물.
KR1020140140016A 2014-10-16 2014-10-16 봉투형 세제 KR1017037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0016A KR101703709B1 (ko) 2014-10-16 2014-10-16 봉투형 세제
PCT/KR2015/009213 WO2016060378A1 (ko) 2014-10-16 2015-09-02 봉투형 세제
CN201580010664.9A CN106062167A (zh) 2014-10-16 2015-09-02 袋形洗涤剂
US15/517,258 US10723984B2 (en) 2014-10-16 2015-09-02 Envelope type deterg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0016A KR101703709B1 (ko) 2014-10-16 2014-10-16 봉투형 세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4917A true KR20160044917A (ko) 2016-04-26
KR101703709B1 KR101703709B1 (ko) 2017-02-07

Family

ID=55746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0016A KR101703709B1 (ko) 2014-10-16 2014-10-16 봉투형 세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723984B2 (ko)
KR (1) KR101703709B1 (ko)
CN (1) CN106062167A (ko)
WO (1) WO201606037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1617A (ko) 2016-09-20 2018-03-2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내수성이 강화된 봉투형 세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79177A1 (en) * 2018-10-19 2020-04-23 Henkel Ag & Co. Kgaa Soluble laundry detergent sheets with textile stiffening agent and cellulase
CN115651781B (zh) * 2022-11-25 2023-12-12 广州洁生日化有限公司 一体式组合物洗涤片及其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46342A1 (en) * 1999-02-05 2000-08-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aundry bag
KR20010011171A (ko) 1999-07-26 2001-02-15 이구택 배가스로 배출되는 황산화물을 저감하는 소결광 제조방법
KR20040067668A (ko) 2003-01-24 2004-07-3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수용성 필름으로 포장된 액체세정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20021449A (ko) 2010-07-30 2012-03-0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수용성 세탁용 시트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297149A (ko) * 1962-08-28
JPS4831725B1 (ko) * 1969-05-12 1973-10-01
US4828744A (en) * 1981-11-10 1989-05-09 The Clorox Company Borate solution soluble polyvinyl alcohol films
GB2365403A (en) * 2000-08-05 2002-02-20 Procter & Gamble Alkaline-soluble bag containing detergent
US6525014B1 (en) * 2002-08-09 2003-02-25 Colgate-Palmolive Company Cleaning wipe comprising a center detergent layer
IL171091A (en) * 2005-09-26 2011-01-31 Samuel Icht Water-soluble detergent film with a print and method of production
CA2651320A1 (en) * 2006-05-05 2007-11-1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ilms with microcapsules
KR100814285B1 (ko) * 2006-08-14 2008-03-18 채경석 수용성 고분자 필름으로 포장한 액상 세탁 세제
EP2213717B1 (en) 2009-01-28 2017-06-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aundry multi-compartment pouch composition
KR101222402B1 (ko) * 2009-02-05 2013-01-1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세탁용 시트
DE202009009335U1 (de) * 2009-07-07 2009-10-01 Thurn-Produkte Gmbh & Co. Kg Behältnis
US8367596B2 (en) * 2009-07-30 2013-02-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aundry detergent compositions in the form of an article
US8691257B2 (en) * 2009-11-30 2014-04-08 Cintas Corporation Water soluble laundry bag and receptacle therefor
KR101443497B1 (ko) * 2013-02-07 2014-09-22 손영진 워싱 패치
US8865638B2 (en) * 2013-03-15 2014-10-21 Church & Dwight Co., Inc. Unit dose laundry compositions
CN103614896B (zh) * 2013-09-17 2018-03-09 浙江理工大学 脏衣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46342A1 (en) * 1999-02-05 2000-08-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aundry bag
KR20010011171A (ko) 1999-07-26 2001-02-15 이구택 배가스로 배출되는 황산화물을 저감하는 소결광 제조방법
KR20040067668A (ko) 2003-01-24 2004-07-3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수용성 필름으로 포장된 액체세정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20021449A (ko) 2010-07-30 2012-03-0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수용성 세탁용 시트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Water soluble laundry bag for infection control in hospitals(2012.12.26.) <인터넷 주소: https://www.youtube.com/watch?v=sRXfnGKl4cc>* *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1617A (ko) 2016-09-20 2018-03-2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내수성이 강화된 봉투형 세제
WO2018056705A1 (ko) * 2016-09-20 2018-03-2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내수성이 강화된 봉투형 세제
US10781412B2 (en) 2016-09-20 2020-09-22 Lg Household & Health Care Ltd. Detergent in the form of a laundry storage envelope having enhanced resistance to wa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313962A1 (en) 2017-11-02
KR101703709B1 (ko) 2017-02-07
US10723984B2 (en) 2020-07-28
CN106062167A (zh) 2016-10-26
WO2016060378A1 (ko) 2016-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62807C (en) Articles comprising water-soluble polyvinyl alcohol film with plasticizer blend and related methods
JP6743031B2 (ja) 可塑剤ブレンドを含む水溶性ポリビニルアルコールフィルム、関連方法及び関連物品
EP2528955B1 (en) Water-soluble film having improved dissolution and stress properties, and packets made therefrom
CA2904373C (en) Water-soluble film for delayed release
AU2015303029B2 (en) Detergent
EP3279303B1 (en) Water-soluble unit dose article comprising an amphoteric surfactant
KR20170052679A (ko) 수용성 폴리비닐 알코올 블렌드 필름을 포함하는 물품 및 관련 방법
KR20170067865A (ko) 수용성 폴리비닐 알코올 블렌드 필름, 관련 방법, 및 관련 물품
JP2014531498A (ja) 改善された界面活性剤溶解性を有する洗浄調合物ならびにその生成方法および使用方法
RU2748885C1 (ru) Унитарное изделие на основе моющего средства для стирки
KR101703709B1 (ko) 봉투형 세제
WO2023168309A1 (en) Water-soluble unit dose article comprising an ethoxylated secondary alcohol non-ionic surfactant
EP1352044A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liquid detergent compositions
EP3363884A1 (en) Use of liquid laundry detergent composition in water-soluble unit dose article to minimize adverse effects upon accidental exposure to contents of
EP3495466A1 (en) Use of a liquid laundry detergent composition
EP3363888A1 (en) Use of liquid laundry detergent composition to minimize adverse effects upon accidental exposure to contents of water-soluble unit dose articles
EP3363887A1 (en) Use of liquid laundry detergent composition to minimize adverse effects upon accidental exposure to contents of water-soluble unit dose articles
WO2023168310A1 (en) Water-soluble unit dose article comprising an ethoxylated secondary alcohol non-ionic surfactant
AU2002225153A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liquid detergent composi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