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2291A - 모바일 기기의 지인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 기기의 지인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2291A
KR20160042291A KR1020140135685A KR20140135685A KR20160042291A KR 20160042291 A KR20160042291 A KR 20160042291A KR 1020140135685 A KR1020140135685 A KR 1020140135685A KR 20140135685 A KR20140135685 A KR 20140135685A KR 20160042291 A KR20160042291 A KR 201600422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mobile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user identification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5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5207B1 (ko
Inventor
김태우
이동활
Original Assignee
민코넷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코넷주식회사 filed Critical 민코넷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356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5207B1/ko
Publication of KR20160042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22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52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52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의 블루투스 근거리 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오프라인 커뮤니티에서 물리적으로 가까이 있는 사용자들을 찾아 지인으로 추천해주는 모바일 기기의 지인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 기기의 지인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은 (a) 모바일 기기를 휴대하는 각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사용자 식별 정보를 서버가 모바일 기기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b) 사용자들의 모바일 기기들에서 각각 일정 시간 간격으로 사용자 식별 정보를 블루투스 신호로 송신하는 단계와, (c) 모바일 기기들에서 주변의 다른 모바일 기기들이 송신하는 사용자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서버에 송신하는 단계와, (d) 서버가 (c) 단계에서 모바일 기기들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한 쌍의 모바일 기기가 서로 상대 모바일 기기의 사용자 식별 정보를 일정 시간 이상 수신하는 경우 해당 모바일 기기의 사용자들을 서로 지인인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와, (e) (d) 단계에서 서버가 서로 지인인 것으로 판단한 사용자들의 모바일 기기들에 대해 상대 사용자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지인 추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모바일 기기의 지인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Acquaintance Recommending Service Using Mobile Device}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의 지인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모바일 기기의 블루투스 근거리 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오프라인 커뮤니티에서 물리적으로 서로 가까이 있는 사용자들을 지인으로 추천할 수 있는 모바일 기기의 지인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 등 모바일 기기의 활용이 증가하면서 많은 사람들이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등과 같은 사회관계망서비스(이하, 'SNS 서비스'라 한다)를 사용하고 있다. 사용자들은 이러한 SNS 서비스를 통해 지인들과 연락을 취하여 관계를 확대하며, 서비스 제공자는 사용자들이 관심을 가질만한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정보의 광고를 통해 수익을 창출한다.
이러한 SNS 서비스의 원활한 사용을 위해서는 다수 사용자와의 지인 관계 (페이스북의 친구, 트위터의 팔로잉/팔로워 등)를 효율적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대부분의 SNS 서비스는 지인을 추천하는 기능이나 지인을 찾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 SNS 서비스는 사용자에게 지인을 추천하기 위해 사용자들이 회원가입 시 입력한 정보나, SNS 서비스 상에서의 활동 이력 등 주로 온라인 상의 정보를 활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오프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지인이거나 알 수도 있는 사람이 분명함에도 불구하고, 온라인 정보 제공량 또는 공유량이 미약하면 지인이 아니거나 지인일 확률이 떨어진다고 판단하기 쉽다.
등록특허공보 제1224312호 (2013. 01. 21.) 공개특허공보 제2013-0089825호 (2013. 08. 13.)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모바일 기기의 블루투스 근거리 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오프라인 커뮤니티에서 물리적으로 가까이 있는 사용자들을 찾아 지인으로 추천함으로써, 오프라인 커뮤니티에서 지인 관계인 사람들이 온라인 상에서도 지인 관계를 맺거나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해주는 모바일 기기의 지인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 기기의 지인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은 모바일 기기를 휴대하는 사용자들 간에 서로 지인인 경우를 파악하여 사용자에게 상기 모바일 기기를 통해 지인을 추천하는 것으로, (a) 상기 모바일 기기를 휴대하는 각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사용자 식별 정보를 상기 서버가 상기 모바일 기기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b) 상기 사용자들의 모바일 기기들에서 각각 일정 시간 간격으로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를 블루투스 신호로 송신하는 단계; (c) 상기 모바일 기기들에서 주변의 다른 모바일 기기들이 송신하는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서버에 송신하는 단계; (d) 상기 서버가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모바일 기기들로부터 수신한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한 쌍의 모바일 기기가 서로 상대 모바일 기기의 사용자 식별 정보를 일정 시간 이상 수신하는 경우 해당 모바일 기기의 사용자들을 서로 지인인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e)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서버가 서로 지인인 것으로 판단한 사용자들의 모바일 기기들에 대해 상대 사용자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지인 추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점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지인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은 블루투스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모바일 기기 사용자와 블루투스 신호의 송수신 반경 내에 일정 시간 이상 머문 다른 모바일 기기 사용자를 지인으로 추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오프라인 커뮤니티에서의 지인과 온라인 상에서 지인 관계를 맺을 수 있도록 해준다. 그리고 사용자가 온라인 상에서 지인 관계를 확장하는데 도움을 주고, 오프라인 지인 관계에도 도움을 준다. 또한 이미 온라인 상에서 지인 관계를 맺고 있는 사용자들에게 상대방에 대한 맞춤형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온라인뿐만 아니라 오프라인 커뮤니티에서의 관계 유지에 도움을 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지인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은 종래의 SNS 서비스와 달리, 근거리에서 함께 활동하면서 상대방의 정보를 전혀 모르거나, 지인 관계를 맺고 있지 않은 경우에도 사용자가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상대방의 기본적인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고, 상대방이 허락하면 상대방에 대한 사용자 개인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일단 근거리 통신 상에서 상대방과 접속한 후에는 근거리 통신 이외의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를 매개로 하여 상대방과 지속적인 관계 유지를 가능하게 해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지인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이용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지인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를 블루트스 신호의 중계기로 활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지인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 기기의 지인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지인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이용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지인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를 블루트스 신호의 중계기로 활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지인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복수의 모바일 기기(100)와, 복수의 모바일 기기(100) 각각에 설치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과, 서버(200)를 포함한다. 모바일 기기(100)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블루투스 모듈을 구비한다. 블루투스 모듈은 BLE(Bluetooth Low Energy) 장치로 구성되어 매우 적은 전력으로 작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지인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은 이러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이용하여 오프라인 커뮤니티에서 지인 관계에 있거나 오프라인 커뮤니티 상에서 상호 활동을 공유하는 사용자들을 지인으로 추천함으로써 온라인 상에서 관계를 맺거나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해준다.
모바일 기기(100)는 이에 설치되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의 작용으로 이에 내장된 블루투스 모듈을 통해 모바일 기기(100)에 저장된 사용자 식별 정보를 블루투스 신호로 외부로 송신할 수 있다. 사용자 식별 정보로는 사용자의 서비스 가입 아이디, 성명, 별명, 프로필 사진, SNS 아이디, 사용자가 소유한 모바일 기기(100)의 맥 어드레스(Mac Address) 등 사용자가 소유한 모바일 기기(100)를 구분할 수 있는 다양한 데이터가 될 수 있다. 사용자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별도의 사용자 승인 없이 공개할 수 있는 최소의 정보를 사용자 식별 정보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사용자 승인이 있어야만 공개하는 사용자 개인 정보도 서비스 이용을 위해 자신의 모바일 기기(100)나 서버(200)에 설정해 놓을 수 있다. 사용자 개인 정보로는 사용자의 프로필 사진, SNS 아이디, 이메일 주소, 전화번호, 사용자가 가입한 SNG(Social Network Game) 리스트, 지인 관계로 승인된 다른 사용자와 온라인 상에서 공유했던 정보(이메일 리스트, 채팅 리스트, 메신저 리스트 등) 등 지인 관계를 맺거나 유지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가 될 수 있다.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서버(200)로부터 제공받아 모바일 기기(100)에 설치할 수 있다. 사용자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자신의 모바일 기기(100)에 설치하고,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작동시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다양한 서비스 실행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서버(200)에 접속하여 서비스 가입을 위한 사용자 등록을 할 수 있다. 물론,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은 별도의 저장 매체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지 않고 온라인으로 서버(200)에 접속하여 서비스에 가입할 수도 있다.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은 모바일 기기(100)에 설치되어 모바일 기기(100)에 서비스 사용을 위한 환경을 제공한다.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은 모바일 기기(100)의 블루투스 모듈을 이용하여 사용자 식별 정보를 블루투스 신호로 사용자 주변으로 송신하고, 사용자 주변으로 송신된 다른 사용자의 블루투스 신호를 수신한다. 즉,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은 모바일 기기(100)를 블루투스 페리퍼럴 모드(BLE peripheral mode)나 블루투스 센트럴 모드(BLE central mode)로 작동시킨다. 블루투스 페리퍼럴 모드에서 모바일 기기(100)는 사용자 식별 정보를 주변으로 일정 시간 간격으로 송신하고, 블루투스 센트럴 모드에서 모바일 기기(100)는 그 주변으로 송신된 다른 사용자의 사용자 식별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블루투스 센트럴 모드에서 모바일 기기(100)는 자신이 수신한 다른 사용자의 사용자 식별 정보를 블루투스 신호로 다시 송신하는 중계기로 작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블루투스 신호 송수신 반경은 10m 내외 또는 그보다 다소 길다. 따라서,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오프라인 모임을 위한 회의실 등 모임 장소(A)가 블루투스 신호 송수신 반경(R)보다 크면 동일한 모임에 참석한 참가자들 중 블루투스 신호 송수신 반경(R)보다 멀리 떨어져 있는 참가자들 사이에는 블루투스 근거리 무선 통신이 어렵다. 따라서, 모임 참가자들의 모바일 기기(100)를 중계기로 활용하여 하나의 모바일 기기(100)에서 송신되는 사용자 식별 정보를 중간에서 중계하면 모임에 참석한 모든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100)가 사용자 식별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다. 이 경우, 하나의 모바일 기기(100)는 중복된 사용자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모바일 기기(100)가 수신하는 중복 사용자 식별 정보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필터링하여 하나의 사용자 식별 정보만을 재송신하도록 함으로써 모바일 기기(100)가 재송신하는 데이터량을 줄일 수 있다.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은 모바일 기기(100)의 백그라운드(background)에서도 실행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모바일 기기(100)의 다른 어플리케이션이나 기능을 사용하더라도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작동하여 사용자 식별 정보를 블루투스 신호로 송신하거나 다른 사용자의 사용자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서버(200)는 사용자들의 모바일 기기(100)가 수신한 사용자 식별 정보를 모바일 기기(100)로부터 수신한다. 그리고 모바일 기기(1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사용자 식별 정보를 수신한 사용자와 그 사용자 식별 정보를 송신한 사용자 사이의 지인 가능성 척도를 산출함으로써, 두 사용자가 지인인지 아닌지 판단한다. 지인 여부 판단에는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기본적으로 블루투스 신호 송수신 반경은 10m 내외 또는 그 보다 다소 긴 거리이므로, 서로 사용자 식별 정보를 주고받는 모바일 기기들(100)의 사용자들은 대략 10m의 근접 거리에 있다고 볼 수 있다. 학교나, 직장, 또는 오프라인 모임 등 오프라인 커뮤니티에서 지인 관계라면 같은 장소에서 함께 있는 시간이 일정 시간 이상이다.
따라서,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1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사용자 식별 정보의 수신자와 송신자가 블루투스 신호의 송수신 반경 내에서 함께 머문 시간을 지인 가능성 척도로 수치화할 수 있다. 그리고 산출된 지인 가능성 척도의 크기에 따라 두 사용자의 지인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즉, 서버(200)는 한 쌍의 모바일 기기(100)가 서로 상대 모바일 기기(100)의 사용자 식별 정보를 일정 시간 이상 수신하는 경우 해당 모바일 기기(100)의 사용자들을 서로 지인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200)는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100)가 수신한 다양한 블루투스 신호 중에서 산출된 지인 가능성 척도가 일정 크기 이상인 것만을 걸러내고,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100)에 그에 대한 지인 추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서버(200)가 제공하는 지인 추천 정보를 보고 해당 사용자가 지인인지 아닌지 판단하고 지인 승인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모바일 기기(100)의 RSSI 정보를 획득하면 그 신호의 세기를 통해 송수신자 간의 거리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도 서버(200)가 수집하여 지인 가능성 척도 산출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기기(100)의 A-GPS 정보와 가속도 센서의 신호 등 모바일 기기(100)의 위치 정보도 서버(200)가 지인을 판단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예컨대, 서비스 사용자들이 우연히 같은 버스나 기차 등 같은 이동 수단을 이용하여 이동하는 경우, 이들은 오프라인 커뮤니티 상에서 지인이 아님에도 블루투스 신호의 송수신 반경 내에서 함께 머문 시간이 일정 크기 이상일 수 있다. 따라서, 서버(200)는 모바일 기기(100)로부터 A-GPS 정보와 가속도 센서의 신호 등 위치 정보를 수집하여 해당 모바일 기기(100)가 이동 중인지 파악한다. 그리고 한 쌍의 모바일 기기(100)가 동일 경로를 이동 중인 것으로 파악된 경우에는 해당 모바일 기기(100)의 사용자들이 서로 지인인 것으로 판단하지 않는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이용하여 모바일 기기의 지인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모바일 기기(100)를 휴대하는 각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사용자 식별 정보를 서버(200)가 모바일 기기(100)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수행한다((a) 단계, S10). 이때, 서버(200)는 사용자로부터 서비스 가입 아이디 등 간단한 정보를 제공받아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서버(200)로부터 서비스 사용을 위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제공받아 자신의 모바일 기기(100)에 설치할 수 있다. 사용자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자신의 사용자 식별 정보와 사용자 개인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 식별 정보는 사용자의 서비스 가입 아이디, 성명, 별명, 프로필 사진, SNS 아이디, 사용자가 소유한 모바일 기기(100)의 맥 어드레스(Mac Address) 등 사용자의 승인 없이 공개할 수 있는 다양한 데이터가 될 수 있다.
또한 서버(200)는 사용자가 지인에게 제공할 것을 허락한 사용자 개인 정보를 모바일 기기(100)로부터 수신하여 사용자 식별 정보에 매칭되도록 저장한다((f) 단계). 사용자 개인 정보는 사용자의 프로필 사진, SNS 아이디, 이메일 주소, 전화번호, 사용자가 가입한 SNG 리스트, 지인 관계로 인정된 두 사용자가 온라인 상에서 공유했던 정보(이메일 리스트, 채팅 리스트, 메신저 리스트 등) 등이 될 수 있다.
사용자는 서비스에 가입하고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자신의 모바일 기기(100)에 설치한 후, 모바일 기기(100)의 블루투스 모듈을 활성화시키고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작동시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은 모바일 기기(100)를 블루투스 페리퍼럴 모드 및 블루투스 센트럴 모드로 작동시킨다. 블루투스 페리퍼럴 모드에서 모바일 기기(100)는 사용자 식별 정보를 일정 시간 각격으로 주변으로 송신한다((b) 단계, S20). 그리고 블루투스 센트럴 모드에서 모바일 기기(100)는 주변의 다른 모바일 기기(100)에서 송신되는 다른 사용자의 사용자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사용자 식별 정보를 서버(200)에 송신한다((c) 단계, S30).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은 모바일 기기(100)의 백그라운드(background)에서도 실행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모바일 기기(100)의 다른 어플리케이션이나 기능을 사용하더라도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모바일 기기(100)의 블루투스 모듈을 작동시켜 사용자 식별 정보를 송신하거나 다른 사용자의 사용자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서버(200)는 모바일 기기(1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한 쌍의 모바일 기기(100)가 서로 상대 모바일 기기(100)의 사용자 식별 정보를 수신한 시간을 파악하고 그로부터 지인 여부를 판단한다((d) 단계, S40). 즉, 한 쌍의 모바일 기기(100)가 서로 상대 모바일 기기(100)의 사용자 식별 정보를 수신한 시간을 지인 가능성 척도로 수치화하고, 지인 가능성 척도가 일정 크기 이상인 사용자들을 지인으로 파악한다. 그리고 서버(200)는 서로 지인인 것으로 판단한 사용자들의 모바일 기기들(100)에 대해 상대 사용자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지인 추천 정보를 송신한다((e) 단계, S50).
이 단계에서 지인 추천 정보로는 해당 사용자의 서비스 가입 아이디, 성명, 별명, 프로필 사진, SNS 아이디 등이 될 수 있다. 모바일 기기(100)가 블루투스 신호로 수신한 사용자 식별 정보가 서비스 가입 아이디, 성명, 별명, 프로필 사진, SNS 아이디라면 서버(200)는 모바일 기기(100)가 수신한 정보를 그대로 화면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만약, 모바일 기기(100)가 블루투스 신호로 수신한 사용자 식별 정보가 모바일 기기(100)의 맥 어드레스라면 서버(200)는 그 맥 어드레스에 매칭되어 모바일 기기(100) 또는 서버(200)에 저장되어 있는 서비스 가입 아이디, 성명, 별명, 프로필 사진, SNS 아이디 등의 정보를 해당 모바일 기기(100)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서버(200)는 모바일 기기들(100)이 블루투스 신호로 수신한 사용자 식별 정보와 함께 모바일 기기들(100) 각각의 위치 정보도 수신한다. 그리고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한 쌍의 모바일 기기(100)가 동일 경로를 이동 중인지 파악한다. 한 쌍의 모바일 기기(100)가 동일 경로를 이동 중인 경우 해당 모바일 기기(100)의 사용자들이 우연히 같은 이동 수단으로 이동 중일 수 있다. 따라서, 서버(200)는 한 쌍의 모바일 기기(100)가 동일 경로를 이동 중 것으로 파악되면, 이들 모바일 기기(100)가 서로 상대 모바일 기기(100)의 사용자 식별 정보를 일정 시간 이상 수신하더라도 해당 모바일 기기(100)의 사용자들이 서로 지인인 것으로 판단하지 않는다.
서버(200)로부터 지인 추천 정보를 제공받은 모바일 기기(100)는 지인 추천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여 사용자의 승인 여부를 입력받고, 그 입력 정보를 서버(200)에 송신한다((g) 단계). 즉, 모바일 기기(100)의 화면에 지인 추천 정보가 표시되면 사용자는 그 지인 추천 정보를 보고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그 지인 추천 정보 대상자를 지인으로 승인할 것인지 결정한다. 사용자가 지인 추천 정보에 대해 지인인 것으로 승인하면 모바일 기기(100)는 그 승인 명령 정보를 서버(200)에 송신한다.
지인인 것으로 승인하는 명령을 모바일 기기(100)가 입력받아 서버(200)에 그 입력 정보를 송신하면, 서버(200)가 지인 승인이 입력된 모바일 기기(100)에 상대 지인의 사용자 개인 정보를 송신한다((h) 단계, S60). 사용자 개인 정보로는 사용자의 프로필 사진, SNS 아이디, 이메일 주소, 전화번호, 사용자가 가입한 SNG 리스트, 지인 관계로 인정된 두 사용자가 온라인 상에서 공유했던 정보(이메일 리스트, 채팅 리스트, 메신저 리스트 등) 등이 될 수 있다.
(c) 단계에서 모바일 기기(100)는 블루투스 센트럴 모드로 작동하면서 자신이 수신한 다른 사용자의 사용자 식별 정보를 블루투스 신호로 다시 송신하는 중계기로 작용할 수 있다((k) 단계).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같은 활동을 위한 회의실 등 모임 장소(A)가 블루투스 신호 송수신 반경(R)보다 큰 경우, 모임에 참석한 사용자들의 모바일 기기들(100)이 다른 모바일 기기들(100)의 사용자 식별 정보를 중계함으로써 같은 활동을 위해 모인 사용자들이 모두 사용자 식별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다.
한편, 오프라인 커뮤니티에서 서로 지인인 것으로 승인된 사용자들이 이미 온라인 상에서 지인 관계를 맺고 있거나, 온라인 상에서 서로 공유했던 정보(이메일 리스트, 채팅 리스트, 메신저 리스트 등)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서버(200)는 (g) 단계에서 사용자가 모바일 기기(100)에 지인인 것으로 승인하는 명령을 입력하면, 지인 관계로 인정된 두 사용자 사이에 주고받은 이메일 리스트나 채팅 리스트 또는 메신저 리스트 등을 상대 모바일 기기(100)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i) 단계). 이러한 기능은 회의를 위해 모인 사용자의 업무 수행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예컨대, 업무 담당자들이 업무 상의 이유로 회동을 하는 경우 같은 회의 공간에 일정 시간 이상을 함께 하게 되는데, 이때 회의 참석자들이 주고받은 이메일을 각자의 모바일 기기(100)에 목록화하여 화면에 표시해주면 회의 참석자들이 회의를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다. 물론, 지인 관계로 인정된 두 사용자가 온라인 상에서 서로 공유했던 정보(이메일 리스트, 채팅 리스트, 메신저 리스트 등)는 서버(200)에 의하지 않고, 해당 서비스 서버(이메일 서버, SNS 서버 등)에서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100)로 송신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지인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은 블루투스 근거리 통신을 이용함으로써 오프라인 커뮤니티에서 지인인 것으로 파악되는 사용자들을 지인으로 추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온라인 상에서 지인 관계를 확장하는데 도움을 주고, 오프라인 지인 관계에도 도움을 준다. 또한 이미 온라인 상에서 지인 관계를 맺고 있는 사용자들에게 상대방에 대한 맞춤형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온라인뿐만 아니라 오프라인 커뮤니티에서의 관계 유지에 도움을 준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지인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은 종래의 SNS 서비스와 달리, 근거리에서 함께 활동하면서 상대방의 정보를 전혀 모르거나, 지인 관계를 맺고 있지 않은 경우에도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상대방의 기본적인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고, 상대방이 허락하면 상대방에 대한 보다 많은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따라서, 일단 근거리 통신 상에서 상대방과 접속한 후에는 근거리 통신 이외의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200)를 매개로 하여 상대방과 지속적인 정보 교환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지인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은 비즈니스 미팅이나 사교 모임 등 다양한 오프라인 모임에 참여한 모바일 기기(100) 사용자들이 간단하게 서로의 연락처(예컨대,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SNS 아이디 등)를 자동으로 손쉽게 교환할 수 있도록 해준다.
즉,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은 (h) 단계에서 서버(200)가 지인 승인이 입력된 모바일 기기(100)에 상대 지인의 사용자 개인 정보로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SNS 아이디 등 상대방의 연락처를 송신하면, 사용자는 자신의 모바일 기기(100)에 모임 참가자들의 연락처를 손쉽게 저장하거나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지인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은 SNG 사용자들이 손쉽게 게임 친구를 추가할 수 있도록 해준다.
즉,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은 (h) 단계에서 서버(200)가 지인 승인이 입력된 모바일 기기(100)에 상대 지인의 사용자 개인 정보로 사용자가 가입한 SNG 리스트를 송신할 수 있다((j) 단계). 사용자는 상대 지인의 SNG 리스트를 보고 상대 지인이 어떤 SNG를 이용하는지 쉽게 알 수 있다. 그리고 상대 지인의 SNG 리스트를 보고 자신이 가입한 SNG를 이용하는 지인을 게임 친구로 등록할 수 있다. 물론, 사용자 개인 정보로서의 SNG 리스트는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100)에 저장되어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100)에서 직접 상대방의 모바일 기기(100)로 송신될 수도 있다.
현재, 대부분의 SNG는 이용자가 SNS 상의 친구를 게임에 초대함으로써 게임에 필요한 아이템을 제공받고, 이용자들 간에 아이템을 상호 교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게임 친구가 많은 사람에게 유리하다. 이러한 이유로 게임 이용자가 게임에 가입하지 않은 사람들에게 아이템 구걸 메시지를 보내는 등의 폐해가 나타나고 있고, 실재 존재하지 않은 가공의 이용자(유령 친구)를 만들어 게임 운영자 측으로부터 제재를 당하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지인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은 오프라인 커뮤니티의 지인 중에서 같은 SNG를 이용하는 이용자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해줌으로써, 사용자가 손쉽게 게임 친구를 추가할 수 있고, 종래의 문제점을 줄일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앞서서는 서버(200)가 지인 추천 정보를 해당 모바일 기기(100)에 제공한 이후의 동작에도 관여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서버(200)는 모바일 기기(100)로부터 사용자 식별 정보를 전송받아 지인 여부를 파악하고 해당 모바일 기기(100)에 지인 추천 정보만 제공하는 역할만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들이 자신의 모바일 기기(100)를 이용하여 상대방과 일대일로 연결되어 지인 승인이나 사용자 개인 정보 송수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앞서서는 서버(200)가 한 쌍의 모바일 기기(100)가 서로 상대 모바일 기기(100)의 사용자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시간을 지인 가능성 척도로 산출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한 쌍의 모바일 기기(100)가 서로 상대 모바일 기기(100)의 사용자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시간과 수신 횟수 모두를 지인 가능성 척도 산출에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 개인 정보는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100)에서 직접 다른 모바일 기기(100)로 송신될 수도 있고, 서버(200)에 저장되어 서버(200)에서 해당 모바일 기기(100)로 송신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의 SNS 아이디나 지인 관계로 인정된 두 사용자가 온라인 상에서 공유했던 정보(이메일 리스트, 채팅 리스트, 메신저 리스트 등) 등의 사용자 개인 정보는 해당 서비스 서버(이메일 서버, SNS 서버 등)를 통해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100)로 송신될 수 있다.
100 : 모바일 기기 200 : 서버

Claims (8)

  1. 모바일 기기를 휴대하는 사용자들 간에 서로 지인인 경우를 파악하여 사용자에게 상기 모바일 기기를 통해 지인을 추천하는 모바일 기기의 지인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모바일 기기를 휴대하는 각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사용자 식별 정보를 상기 서버가 상기 모바일 기기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b) 상기 사용자들의 모바일 기기들에서 각각 일정 시간 간격으로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를 블루투스 신호로 송신하는 단계;
    (c) 상기 모바일 기기들에서 주변의 다른 모바일 기기들이 송신하는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서버에 송신하는 단계;
    (d) 상기 서버가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모바일 기기들로부터 수신한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한 쌍의 모바일 기기가 서로 상대 모바일 기기의 사용자 식별 정보를 일정 시간 이상 수신하는 경우 해당 모바일 기기의 사용자들을 서로 지인인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e)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서버가 서로 지인인 것으로 판단한 사용자들의 모바일 기기들에 대해 상대 사용자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지인 추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의 지인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는 해당 사용자의 서비스 가입 아이디, 성명, 별명, 프로필 사진, SNS 아이디, 사용자가 소유한 모바일 기기의 맥 어드레스(Mac Address)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의 지인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f) 사용자가 지인에게 제공할 것을 허락한 사용자 개인 정보를 상기 서버가 상기 모바일 기기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에 매칭되도록 저장하는 단계;
    (g) 상기 (e) 단계 이후에 상기 모바일 기기가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지인 추천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고 사용자의 승인 여부를 입력 받아 상기 서버에 송신하는 단계; 및
    (h) 상기 (g) 단계에서 사용자가 지인인 것으로 승인하는 명령을 상기 서버가 수신하는 경우, 상기 서버가 상기 (f) 단계에서 저장한 사용자 개인 정보를 상기 모바일 기기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의 지인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의 사용자 개인 정보는, 사용자의 프로필 사진, SNS 아이디, 이름, 이메일 주소, 전화번호, 사용자가 가입한 SNG 리스트, 지인 관계로 인정된 두 사용자가 온라인 상에서 공유했던 정보(이메일 리스트, 채팅 리스트, 메신저 리스트 등)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의 지인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i) 상기 (g) 단계에서 사용자가 상기 모바일 기기에 지인인 것으로 승인하는 명령을 입력하는 경우, 사용자와 지인인 것으로 승인된 다른 사용자가 온라인 상에서 공유했던 이메일 리스트, 채팅 리스트 및 메신저 리스트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의 지인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 3 항에 있어서,
    (j) 상기 (g) 단계에서 사용자가 상기 모바일 기기에 지인인 것으로 승인하는 명령을 입력하는 경우, 상대방이 가입한 SNG 리스트를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의 지인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모바일 기기는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와 함께 자신의 위치 정보를 상기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서버는 상기 모바일 기기가 송신하는 상기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한 쌍의 모바일 기기가 동일 경로를 이동 중인 것으로 파악된 경우에는 해당 모바일 기기의 사용자들이 서로 지인인 것으로 판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의 지인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k)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모바일 기기들이 수신한 다른 모바일 기기들의 사용자 식별 정보를 블루투스 신호로 다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의 지인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40135685A 2014-10-08 2014-10-08 모바일 기기의 지인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6452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5685A KR101645207B1 (ko) 2014-10-08 2014-10-08 모바일 기기의 지인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5685A KR101645207B1 (ko) 2014-10-08 2014-10-08 모바일 기기의 지인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2291A true KR20160042291A (ko) 2016-04-19
KR101645207B1 KR101645207B1 (ko) 2016-08-03

Family

ID=55917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5685A KR101645207B1 (ko) 2014-10-08 2014-10-08 모바일 기기의 지인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52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35653A1 (ko) * 2018-06-04 2019-12-12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근거리 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근처 지인을 파악하기 위한 방법과 시스템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4485A (ko) * 2008-03-31 2009-10-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이것의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를 이용한 대화방법
KR20100129531A (ko) * 2009-06-01 2010-12-09 정태길 택시 운행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01562A (ko) * 2010-06-29 2012-01-04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 및 그의 인맥 추천 방법
KR101224312B1 (ko) 2010-11-23 2013-01-21 한국과학기술원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사용자를 위한 친구 추천 방법, 이를 위한 기록 매체 및 이를 이용하는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및 서버
KR20130021797A (ko) * 2011-08-24 2013-03-06 박용구 친구 추천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30089825A (ko) 2012-01-04 2013-08-13 김가현 전화번호와 연동되는 sns서비스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4485A (ko) * 2008-03-31 2009-10-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이것의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를 이용한 대화방법
KR20100129531A (ko) * 2009-06-01 2010-12-09 정태길 택시 운행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01562A (ko) * 2010-06-29 2012-01-04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 및 그의 인맥 추천 방법
KR101224312B1 (ko) 2010-11-23 2013-01-21 한국과학기술원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사용자를 위한 친구 추천 방법, 이를 위한 기록 매체 및 이를 이용하는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및 서버
KR20130021797A (ko) * 2011-08-24 2013-03-06 박용구 친구 추천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30089825A (ko) 2012-01-04 2013-08-13 김가현 전화번호와 연동되는 sns서비스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35653A1 (ko) * 2018-06-04 2019-12-12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근거리 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근처 지인을 파악하기 위한 방법과 시스템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JP2021532441A (ja) * 2018-06-04 2021-11-25 ライン プラス コーポレーションLINE Plus Corporation 方法、記録媒体および電子機器
US11317258B2 (en) 2018-06-04 2022-04-26 LINE Plus Corporation Methods, systems,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record media for grasping nearby friend based on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5207B1 (ko) 2016-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46353B2 (en) Geo-location systems and methods
US11991587B2 (en) Affinity and proximity information exchange systems and methods
CN106211020A (zh) 移动设备的ad hoc对等联网
CN106464947A (zh) 提供适时媒体推荐
US20160092040A1 (en) Communication device with contact information inference
KR20180019869A (ko) 챗봇을 이용한 개인 비서 서비스 제공 방법
JP5915341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150281369A1 (en) Providing a Shared User Experience to Facilitate Communication
JP2016194797A (ja) 端末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6042867A1 (ja)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50044087A (ko) 모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서비스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CN106164950A (zh) 对群组的跨客户端订阅
US10291575B2 (en) Dynamic authorization using internet-based social networks
KR101645207B1 (ko) 모바일 기기의 지인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736222B1 (ko) 모임 장소 추천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33504A (ko) 차별적 팔로우잉 구조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US20220103511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managing data integration between an external email resource and a group-based communication system
WO2018069912A1 (en) A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covering computerized connections between persons and generating computerized introductions
KR20160049370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온라인 모임 안내 방법 및 온라인 모임 안내 서버
CN104601455B (zh) 一种用于即时通讯软件的信息互动方法及系统
KR20140023204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메시지 송수신 시스템과 방법
JP6788704B2 (ja) サーバ、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558722B2 (en) Provision of on premise ambient service method and apparatus
JP5768158B1 (ja) システム及びサーバ
KR20200122749A (ko) 쪽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