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1595A -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전력 분배 시스템 및 그 분배 방법 - Google Patents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전력 분배 시스템 및 그 분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1595A
KR20160041595A KR1020140135856A KR20140135856A KR20160041595A KR 20160041595 A KR20160041595 A KR 20160041595A KR 1020140135856 A KR1020140135856 A KR 1020140135856A KR 20140135856 A KR20140135856 A KR 20140135856A KR 20160041595 A KR20160041595 A KR 201600415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pside
voltage
power
high voltage
switch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5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상만
여홍욱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358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41595A/ko
Publication of KR20160041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15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1/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service supply to auxiliaries of stations in which electric power is generated, distributed or converte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9/00Energy supply or activ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3/00Driving of auxiliaries
    • B63J2003/001Driving of auxiliaries characterised by type of power supply, or power transmission, e.g. by using electric power or steam

Abstract

본 발명은 터빈 발전기가 동작하지 않을 경우 선체용 고전압 배전반으로부터 고전압을 연결케이블을 거쳐 탑사이드용 고전압 배전반에서 공급받아 탑사이드에 설치된 설비에 전력을 직접 분배함으로써 케이블의 길이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전력 분배 시스템 및 그 분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탑사이드(Topside)와 선체(Hull)를 구비한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전력 분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탑사이드에 설치되고, 복수의 터빈 발전기로부터 생산된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탑사이드에 설치된 설비에 전력을 분배하는 탑사이드용 고전압 배전반; 상기 선체에 설치되고, 상기 탑사이드용 고전압 배전반을 통해 상기 복수의 터빈 발전기로부터 생산된 전력 또는 복수의 디젤 발전기로부터 생산된 전력을 선택적으로 공급받아 상기 선체에 설치된 설비에 전력을 분배하는 선체용 고전압 배전반; 및 상기 탑사이드용 고전압 배전반과 상기 선체용 고전압 배전반을 연결하여 상호간에 고전압을 이송하기 위한 연결케이블을 포함하되, 상기 탑사이드용 고전압 배전반의 동작모드가 비정상모드인 경우 상기 탑사이드용 고전압 배전반은 상기 연결케이블을 통해 상기 선체용 고전압 배전반으로부터 고전압을 공급받아 상기 탑사이드에 설치된 상시 전력이 필요한 설비에 분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분배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전력 분배 시스템 및 그 분배 방법{POWER DISTRIBUTION SYSTEM OF FLOATING MARINE STRUCTURE OF METHOD FOR DISTRIBUTING POWE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전력 분배 시스템 및 그 분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터빈 발전기가 동작하지 않을 경우 선체용 고전압 배전반으로부터 고전압을 연결케이블을 거쳐 탑사이드용 고전압 배전반에서 공급받아 탑사이드에 설치된 설비에 전력을 직접 분배함으로써 케이블의 길이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전력 분배 시스템 및 그 분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부유식 해상 구조물, 즉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선박은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동작하는 전기 설비들이 많이 탑재되어 있다.
FPSO 선박에 탑재되는 전력 설비들 예를 들면, 등화기기, 통신기기, 위치측정장치 외에 상부구조물(topside) 쿨링 펌프, 카고 펌프, 쓰러스터 등이 있고, 또한 선박의 거주구역에는 조리기구, 조명기구, 공기조절장치 등의 전기기구도 탑재된다. 더욱이 선박의 용도에 따라 덱 크레인(deck crane), 전동 해치 등이 탑재될 경우도 있다.
따라서 FPSO 선박에는 각종 전력 설비들에게 공급할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기가 탑재되며, 일반적으로 복수개의 발전기들이 탑재되어 안정적인 전력이 공급된다.
탑재된 발전기들로부터의 생산 전력은 각각의 발전기에 상응하게 설치된 차단기(Breaker)와 모든 발전기에 공통된 메인버스를 경유하여 각종 부하(설비)에 공급된다.
메인버스는 통상적으로 단로기에 의해 분할 가능하고 평상시에는 단로기를 접속상태로 하여 선내에 급전하며, 급전회로 중 어느 부분이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는 단로기를 오픈하여 양호한 회로에만 급전을 계속한다.
메인버스에 연결되어 급전되는 FPSO 선박내의 여러 부하(설비) 들 중에는 고전압(일반적으로 1Kv 이상)이 요구되는 설비들도 있고 저전압(일반적으로 1Kv 이하)이 요구되는 설비들도 상당수 존재한다.
따라서 주발전기에서 생산된 고전압의 전력은 고전압 배전반을 거쳐 각종 고전압설비로 공급되고, 또 고전압의 전력은 변압기를 거쳐 저전압 설비에 적합한 저전압으로 변경된 후 저전압 배전반에서 저전압 설비에 저전압의 전력이 공급된다.
배전반에는 각 발전기에 대해 과부하전류, 역전류 및 부족전압에 대한 보호기기와 주회로 차단을 위한 차단기 및 주변기기, 변압기 등이 내장되거나, 분리하여 설치되어 각각의 설비들에게 필요한 전력을 공급한다.
종래의 FPSO 선종에서 전력 분배 시스템은 탑사이드 고전압 배전반의 경우 터빈발전기(TG)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기 때문에 노멀모드(normal mode)에서 터빈발전기에서 공급된 전력을 각 설비에 공급하고, 선체 고전압 배전반의 경우 터빈 발전기가 동작하지 않을 경우 디젤 발전기(DG)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기 때문에 터빈 발전기에서 전력을 공급받거나 또는 디젤 발전기에서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0001672호(2012.03.08) "보조 배전반을 구비한 FPSO의 전력 분배 시스템"
그러나, 종래의 FPSO 선종에서 전력 분배 시스템은 터빈 발전기가 동작하지 않을 경우 탑사이드에 설치되어 전력을 소비하는 소비처의 경우 선체 고전압 배전반에서 전력을 공급받아야 하므로 탑사이드와 선체간의 거리가 상당히 길어 고전압용 케이블 및 저전압용 케이블의 길이가 증가한다. 특히 Pazflor FPSO의 경우 선체 고전압 배전반에서 탑사이드에 설치된 설비까지의 케이블 길이가 많게는 420meter까지 필요하므로 Pazflor FPSO 전체 케이블 길이가 증가된다.
따라서 터빈발전기가 동작하지 않더라도 선체에 설치된 선체 고전압 배전반으로부터 디젤발전기로부터 생산된 전력을 탑사이드 고전압 배전반에서 공급받아 탑사이드 고전압 배전반에서 탑사이드에 설치된 설비에 전력을 직접 공급하여 케이블 길이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개선된 전력 분배 시스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터빈 발전기가 동작하지 않을 경우 선체용 고전압 배전반으로부터 고전압을 연결케이블을 거쳐 탑사이드용 고전압 배전반에서 공급받아 탑사이드에 설치된 설비에 전력을 직접 분배함으로써 케이블의 길이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전력 분배 시스템 및 그 분배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탑사이드(Topside)와 선체(Hull)를 구비한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전력 분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탑사이드에 설치되고, 복수의 터빈 발전기로부터 생산된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탑사이드에 설치된 설비에 전력을 분배하는 탑사이드용 고전압 배전반; 상기 선체에 설치되고, 상기 탑사이드용 고전압 배전반을 통해 상기 복수의 터빈 발전기로부터 생산된 전력 또는 복수의 디젤 발전기로부터 생산된 전력을 선택적으로 공급받아 상기 선체에 설치된 설비에 전력을 분배하는 선체용 고전압 배전반; 및 상기 탑사이드용 고전압 배전반과 상기 선체용 고전압 배전반을 연결하여 상호간에 고전압을 이송하기 위한 연결케이블을 포함하되, 상기 탑사이드용 고전압 배전반의 동작모드가 비정상모드인 경우 상기 탑사이드용 고전압 배전반은 상기 연결케이블을 통해 상기 선체용 고전압 배전반으로부터 고전압을 공급받아 상기 탑사이드에 설치된 상시 전력이 필요한 설비에 분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분배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탑사이드 고전압 배전반은 상기 동작모드가 비정상모드인 경우 상기 연결케이블을 통해 공급된 고전압을 상기 탑사이드에 설치된 고전압용 비상설비에 분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분배 시스템은 상기 탑사이드용 고전압 배전반로부터 제공된 고전압을 저전압으로 변압하는 변압기; 및 상기 변압기로부터 변압된 저전압을 인가받아 상기 탑사이드에 설치된 저전압용 비상설비에 분배하는 탑사이드용 저전압 배전반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탑사이드(Topside)와 선체(Hull)를 구비한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전력 분배 시스템의 전력 분배 방법으로서, 상기 탑사이드에 설치된 탑사이드용 고전압 배전반의 동작모드가 비정상 모드인 경우 상기 선체에 설치된 선체용 고전압 배전반으로부터 연결케이블을 통해 고전압을 공급받는 단계; 및 상기 공급받은 고전압을 상기 탑사이드에 설치된 상시전력이 필요한 설비에 분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분배 시스템의 전력 분배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분배하는 단계는 상기 공급받은 고전압을 상기 탑사이드에 설치된 고전압용 비상설비에 분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배하는 단계는 상기 공급받은 고전압을 저전압으로 변압하는 단계; 및 상기 변압된 저전압을 탑사이드용 저전압 배전반에 분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력 분배 시스템의 전력 분배 방법은 상기 탑사이드용 저전압 배전반에 분배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탑사이드에 설치된 저전압용 비상설비에 분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터빈 발전기가 동작하지 않을 경우 선체용 고전압 배전반으로부터 고전압을 연결케이블을 거쳐 탑사이드용 고전압 배전반에서 공급받아 탑사이드에 설치된 설비에 전력을 직접 분배함으로써 케이블의 길이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터빈 발전기가 동작하지 않을 경우 선체에서 탑사이드에 설치된 비상설비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고전압용 케이블 및 저전압용 케이블을 추가로 설치하지 않음에 따라 생산성 향상의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해상 구조물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전력 분배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륵도,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전력 분배 시스템을 이용한 전력 분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해상 구조물을 도시한 도면을 도시하고 있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전력 분배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부유식 해상 구조물은 상부구조물인 탑사이드(100)와 하부구조물인 선체(200)를 포함한다.
부유식 해상 구조물, 즉 FPSO 선박의 탑사이드(100)에 설치되는 고전압 설비들로는 씨워터 리프트 펌프(Seawater Lift Pump), HP 피드 펌프(HP Feed Pump), 워터 인젝션 부스터 펌프(Water Injection Booster Pump) 등이 있고, 저전압 설비들로는 공기 압축기(air compressor), 쿨링 워터 펌프(Cooling Water Pump), 핫 워터 순환 펌프(Hot Water Circulation Pump), 오일 트랜스퍼 펌프(Oil Transfer Pump) 등이 있다.
부유식 해상 구조물, 즉 FPSO 선박의 선체(200)에 설치되는 고전압 설비로는 쓰러스터 모터, LNG 카고 펌프, 상부구조 청수 쿨링 펌프(topside fresh water cooling pump), 압축기(compressor), LPG 용 공기 히터(air heater for lpg) 등이 있으며, 저전압 설비로는 저전압 모터, UPS(Uninterruptible Power Supply), 공기조화설비, 덱 크레인(deck crane), 조명기구(lighting), 각종 펌프 등이 있다.
상술된 탑사이드(100) 및 선체(200)에는 고전압을 요구하는 고전압 설비와 저전압을 요구하는 저전압 설비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고전압 설비 및 저전압 설비는 전력을 상시 분배해야 하는 비상설비와 비상시에 전력을 분배하지 않는 설비들이 정해져 있다.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탑사이드(100)와 선체(200)에는 각각 배전반이 설치되며, 배전반을 통하여 해당 구역에 설치되어 있는 설비에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전력 분배 시스템은 크게 탑사이드(100)에 설치된 탑사이드용 고전압 배전반(101)과, 탑사이드(100)와 분리되어 있는 선체(200)에 설치된 선체용 고전압 배전반(201)과, 탑사이드 고전압 배전반(101)과 선체용 고전압 배전반(201) 사이를 연결하여 상호 고전압을 이송하기 위한 연결케이블(L)을 포함한다. 연결케이블(L)은 고전압을 이송하는 고전압(High Voltage) 케이블일 수 있다.
탑사이드 고전압 배전반(101)은 복수의 터빈 발전기(TG)로부터 생산된 전력을 공급받는데, 터빈 발전기(TG)로부터의 전력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동작모드를 비정상모드로 전환하고 선체(200)에 설치된 디젤발전기(DG)로부터 생산된 전력을 연결케이블(L)을 거쳐 공급받아 탑사이드(100) 내에서 상시 전력이 공급되어야 하는 설비들, 예를 들면 고전압 비상설비(TL1, TL2) 및 저전압 비상설비(TL3, TL4)에 전력을 분배한다.
이때 탑사이드 고전압 배전반(101)은 이미 설치되어 있는 고전압용 케이블을 통해 고전압 비상설비(TL1, TL2)에 고전압을 분배하고, 이미 설치되어 있는 저전압용 케이블을 통해 저전압 비상설비(TL3, TL4)에 저전압을 분배한다. 이때 저전압 비상설비(T3, T4)는 탑사이드용 저전압 배전반(103)에 의해 저전압이 분배된다. 탑사이드용 저전압 배전반(103)은 탑사이드 고전압 배전반(101)으로부터 공급된 고전압을 저전압으로 변압하는 변압기(미도시)와 연결되어 있으며, 변압기를 거쳐 변압된 저전압을 공급받는다.
도 2에서는 탑사이드(100)에 하나의 탑사이드용 저전압 배전반(103)이 설치된 것으로 설명하고 있는데, 동작모드가 비정상모드일 경우 탑사이드 내에 설치된 비상설비에 전력을 분배하기 위하여 3개의 탑사이드용 저전압 배전반, 동작모드가 정상모드일 경우에 전력을 분배하기 위한 3개의 탑사이드용 저전압 배전반이 설치될 수 있으나, 탑사이드용 저전압 배전반의 개수가 본 발명을 제한하지는 않는다.
여기서는 터빈 발전기(TG)가 동작하지 않는 비정상모드인 경우, 선체(200)에 설치된 디젤발전기(DG)에서 생산된 전력을 탑사이드용 고전압 배전반(101)에서 연결케이블(L)을 거쳐 공급받고 공급받은 전력을 별도로 고전압 케이블 및 저전압 케이블을 추가로 설치하지 않고도 고전압 비상설비(TL1, TL2) 및 저전압 비상설비(TL3, TL4)에 분배할 수 있음에 따라 기존의 자원을 이용하여 케이블 물량을 절감할 수 있다.
선체용 고전압 배전반(201)은 동작모드가 정상모드인 경우 복수의 터빈 발전기(TG)로부터 생산된 전력을 탑사이드용 고전압 배전반(101)으로부터 연결케이블(L)을 거쳐 공급받아 선체(200)내에 설치된 고전압 설비에 분배되도록 한다.
또한 선체용 고전압 배전반(201)은 선체용 제 1 및 제 2 저전압 배전반(203, 204)에 저전압이 공급되도록 분배한다. 이때 선체용 고전압 배전반(201)과 선체용 제 1 저전압 배전반(203) 사이, 그리고 선체용 고전압 배전반(201)과 선체용 제 2 저전압 배전반(204) 사이에는 변압기(미도시)가 설치되어 선체용 고전압 배전반(201)으로부터 공급된 고전압을 각각 저전압으로 변압하여 선체용 제 1 및 제 2 저전압(203, 204)에 공급되돌고 한다.
선체용 제 1 저전압 배전반(203)은 선체(200)에 설치되어 있는 저전압 설비(HL)에서 요구하는 저전압이 분배되도록 한다. 선체용 제 2 저전압 배전반(204)도 마찬가지로 선체(200)에 설치되어 있는 저전압 설비에서 요구하는 저전압이 분배되도록 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탑사이드와 선체 분리가 되어 있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에서 별도로 추가적인 케이블을 설치하지 않고 탑사이드용 고전압 배전반(101)과 선체용 고전압 배전반(201)을 연결하는 연결케이블(L)을 단방향이 아닌 양방향으로, 즉 탑사이드용 고전압 배전반(101)에서 터빈 발전기(TG)에서 생산된 전력을 공급하고, 터빈 발전기(TG)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 선체용 고전압 배전반(201)에서 디젤 발전기(DG)에서 생산된 전력을 공급받음에 따라 탑사이드내에 설치되어 있는 고전압 비상설비 및 저전압 비상설비에 별도로 케이블을 추가하지 않고 해당 전압을 분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 선체에서 탑사이드에 있는 비상설비에 개별적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필요로 했던 고전압 케이블 및 저전압 케이블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탑사이드용 고전압 배전반에서 탑사이드내에 설치되어 있는 비상설비에 직접 전력을 분배할 경우 케이블 길이가 150미터를 넘지 않아 부유식 해양 구조물에 사용되는 전체 케이블 길이를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전력 분배 시스템을 이용한 전력 분배 방법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전력 분배 시스템을 이용한 전력 분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탑사이드(상부구조물)에 구비된 탑사이드용 고전압 배전반(101)은 동작모드가 정상모드/비정상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1). 여기서 정상모드는 복수의 터빈 발전기(TG)로부터 생산된 전력을 정상적으로 공급받는 모드를 말하고, 비정상모드는 터빈 발전기(TG)의 이상 또는 유지보수로 인하여 터빌 발전기(TG)가 동작하지 않아 터빈 발전기(TG)로부터 생산된 전력을 공급받지 못하는 모드를 말한다. 이때 터빈 발전기(TG)는 여기서는 4개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중에 절반이상이 동작하지 않을때 비정상모드로 설정할 수도 있다.
상기 S11 단계의 판단결과 동작모드가 정상모드인 경우 탑사이드용 고전압 배전반(101)은 탑사이드(100)에 설치된 복수의 터빈 발전기(TG)에서 생산된 전력을 탑사이드(100) 및 선체(200)에 설치된 설비에 분배되도록 한다(S12).
탑사이드용 고전압 배전반(101)은 터빈 발전기(TG)에서 생산된 전력을 탑사이드내에 설치되어 있는 설비들에서 요구하는 전압으로 변압하여 각각 분배한다. 특히 탑사이드용 고전압 배전반(101)은 고전압을 저전압으로 변압하는 변압기를 거쳐서 저전압을 탑사이드용 저전압 배전반(103)에 공급되도록 한다. 탑사이드용 저전압 배전반(103)은 복수의 저전압 설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S11 단계의 판단결과 동작모드가 비정상모드인 경우 탑사이드용 고전압 배전반(101)은 선체(200)에 위치하는 디젤 발전기(DG)로부터 생산된 전력을 공급받는다(S13). 즉 탑사이드용 고전압 배전반(101)은 연결케이블(L)을 거쳐 선체용 고전압 배전반(201)으로부터 고전압을 공급받는다.
탑사이드용 고전압 배전반(101)은 선체용 고전압 배전반(201)으로부터 공급받은 고전압을 탑사이드(100)에 설치된 고전압용 비상설비에 분배한다(S15).
탑사이드용 고전압 배전반(101)은 고전압을 변압한 저전압을 탑사이드용 저전압 배전반(103)에 공급한다(S17).
탑사이드용 저전압용 배전반(103)은 변압기를 거쳐 공급받은 저전압을 저전압 비상설비에 분배한다(S19).
상술된 S13 단계 이후에 상술된 S15 단계 및 상술된 S17 단계를 동시에 수행할 수도 있고 상술된 S17 단계를 먼저 수행한 후에 상술된 S15 단계를 수행할 수도 있다. 여기서는 상술된 S13 단계 이후에 S15 단계를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탑사이드용 고전압 배전반(101)과 선체용 고전압 배전반(201)간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케이블(L)에 의해 터빈 발전기(TG)가 동작하지 않는 비정상 모드에서 선체용 고전압 배전반(201)으로부터 고전압을 연결케이블(L)을 거쳐 공급받아 이미 구축되어 있는 고전압 케이블 및 저전압 케이블을 거쳐서 탑사이드에 있는 비상설시에 전력을 분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선체에서 탑사이드에 있는 비상설비에 개별적으로 전력을 공급했던 종래의 전력 분배 시스템에 비해 훨씬 케이블량을 줄일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100 : 탑사이드 101 : 탑사이드용 고전압 배전반
103 : 탑사이드용 저전압 배전반 200 : 선체
201 : 선체용 고전압 배전반
203, 204 : 선체용 제 1 및 제 2 저전압 배전반
L : 연결케이블

Claims (7)

  1. 탑사이드(Topside)와 선체(Hull)를 구비한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전력 분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탑사이드에 설치되고, 복수의 터빈 발전기로부터 생산된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탑사이드에 설치된 설비에 전력을 분배하는 탑사이드용 고전압 배전반;
    상기 선체에 설치되고, 상기 탑사이드용 고전압 배전반을 통해 상기 복수의 터빈 발전기로부터 생산된 전력 또는 복수의 디젤 발전기로부터 생산된 전력을 선택적으로 공급받아 상기 선체에 설치된 설비에 전력을 분배하는 선체용 고전압 배전반; 및
    상기 탑사이드용 고전압 배전반과 상기 선체용 고전압 배전반을 연결하여 상호간에 고전압을 이송하기 위한 연결케이블을 포함하되,
    상기 탑사이드용 고전압 배전반의 동작모드가 비정상모드인 경우 상기 탑사이드용 고전압 배전반은 상기 연결케이블을 통해 상기 선체용 고전압 배전반으로부터 고전압을 공급받아 상기 탑사이드에 설치된 상시 전력이 필요한 설비에 분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분배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탑사이드 고전압 배전반은
    상기 동작모드가 비정상모드인 경우 상기 연결케이블을 통해 공급된 고전압을 상기 탑사이드에 설치된 고전압용 비상설비에 분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분배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탑사이드용 고전압 배전반로부터 제공된 고전압을 저전압으로 변압하는 변압기; 및
    상기 변압기로부터 변압된 저전압을 인가받아 상기 탑사이드에 설치된 저전압용 비상설비에 분배하는 탑사이드용 저전압 배전반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분배 시스템.
  4. 탑사이드(Topside)와 선체(Hull)를 구비한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전력 분배 시스템의 전력 분배 방법으로서,
    상기 탑사이드에 설치된 탑사이드용 고전압 배전반의 동작모드가 비정상 모드인 경우 상기 선체에 설치된 선체용 고전압 배전반으로부터 연결케이블을 통해 고전압을 공급받는 단계; 및
    상기 공급받은 고전압을 상기 탑사이드에 설치된 상시전력이 필요한 설비에 분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분배 시스템의 전력 분배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분배하는 단계는
    상기 공급받은 고전압을 상기 탑사이드에 설치된 고전압용 비상설비에 분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분배 시스템의 전력 분배 방법.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분배하는 단계는
    상기 공급받은 고전압을 저전압으로 변압하는 단계; 및
    상기 변압된 저전압을 탑사이드용 저전압 배전반에 분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분배 시스템의 전력 분배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탑사이드용 저전압 배전반에 분배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탑사이드에 설치된 저전압용 비상설비에 분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분배 시스템의 전력 분배 방법.
KR1020140135856A 2014-10-08 2014-10-08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전력 분배 시스템 및 그 분배 방법 KR201600415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5856A KR20160041595A (ko) 2014-10-08 2014-10-08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전력 분배 시스템 및 그 분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5856A KR20160041595A (ko) 2014-10-08 2014-10-08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전력 분배 시스템 및 그 분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1595A true KR20160041595A (ko) 2016-04-18

Family

ID=55916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5856A KR20160041595A (ko) 2014-10-08 2014-10-08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전력 분배 시스템 및 그 분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4159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46976B2 (en) System and apparatus for power transfer to vessels
JP5097857B2 (ja) 船に電力を伝達するためのシステム、装置および方法
EP2799328A1 (en) Power system for a floating vessel
CN101836342B (zh) 用于连接动态定位的船舶中的发电机和推进器的电气开关设备及其运行方法
KR20180081762A (ko) 해양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전력 시스템
US10084319B2 (en) Power system comprising a central energy storage system and a method of controlling power transfer in a power system
EP3209556B1 (en) Power system of a floating vessel
KR102222737B1 (ko) 저압 배전이 적용된 선박
KR20180019604A (ko) Dc 그리드
KR102074066B1 (ko) 육상 전력 연계가 가능한 선박용 dc기반 전력 공급 시스템
US11958578B2 (en) Redundant power supply system
CN110797859A (zh) 冗余供电电网和具有冗余供电电网作为具载电网的船
KR20160041595A (ko)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전력 분배 시스템 및 그 분배 방법
KR20120000209U (ko) 고전압배전반이 분리 설치된 lng fpso 선박
KR20070090665A (ko) 대형 컨테이너선의 바우 쓰러스터 단독발전기 연결배전시스템
CN112564270A (zh) 一种船舶的配电板电路和船舶配电系统
KR102044267B1 (ko) 컨테이너선의 배전시스템
KR20190098456A (ko) 선박 배전 시스템
CN106911128A (zh) 一种船舶低压岸电预处理系统
KR101521818B1 (ko) Dps용 전원 공급장치
KR20150055237A (ko) 해양 구조물용 전력 공급장치
KR20170000485U (ko)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생산설비용 배전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