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1540A - 보관링이 구비된 과일수확기 - Google Patents

보관링이 구비된 과일수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1540A
KR20160041540A KR1020140135717A KR20140135717A KR20160041540A KR 20160041540 A KR20160041540 A KR 20160041540A KR 1020140135717 A KR1020140135717 A KR 1020140135717A KR 20140135717 A KR20140135717 A KR 20140135717A KR 20160041540 A KR20160041540 A KR 201600415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storage ring
storage
fruit
fruit harve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57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56574B1 (ko
Inventor
김학대
Original Assignee
김학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학대 filed Critical 김학대
Priority to KR10201401357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6574B1/ko
Publication of KR201600415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15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65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65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6/00Picking of fruits, vegetables, hops, or the like; 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 A01D46/24Devices for picking apples or like fruit
    • A01D46/247Manually operated fruit-pick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6/00Picking of fruits, vegetables, hops, or the like; 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 A01D46/22Baskets or bags attachable to the pick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6/00Picking of fruits, vegetables, hops, or the like; 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 A01D46/24Devices for picking apples or like fruit
    • A01D46/243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manual picking, e.g. ladders, car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6/00Picking of fruits, vegetables, hops, or the like; 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 A01D46/26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Fruit catching devices to be used therewith
    • A01D46/264Devices for beating or vibrating the foliage; Fruit catching devices to be used therewit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Specific Cro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관링이 구비된 과일수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다수의 협지대로 이루어진 과일수확기 통해 사람의 손이 닿지 않는 나무에 매달려있는 각종 과일(감, 사과, 배, 모과 등)을 간편하게 수확할 수 있고 보관시에 협지대 상부에서 보관링을 끼움으로써 협지대의 변형방지 및 보관성을 높일 수 있는 보관링이 구비된 과일수확기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장대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원통형의 결합관과, 상기 결합관 상측벽 둘레에 상향 설치되어 내부에 수집공간부를 형성하고 측부에 칼날부가 형성된 다수의 협지대와, 상기 협지대의 상부에서 끼워지는 보관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보관링이 구비된 과일수확기{Fruit harvester}
본 발명은 보관링이 구비된 과일수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다수의 협지대로 이루어진 과일수확기 통해 사람의 손이 닿지 않는 나무에 매달려있는 각종 과일(감, 사과, 배, 모과 등)을 간편하게 수확할 수 있고 보관시에 협지대 상부에서 보관링을 끼움으로써 협지대의 변형방지 및 보관성을 높일 수 있는 보관링이 구비된 과일수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나무에 매달려 있는 과일을 아무런 도구 없이 수확하는 것은 매우 어렵고 불편한 작업이다. 그로 인해 나무와 같은 높은 곳에 매달려 있는 과일을 수확할 때 낮은 위치에서 장대와 같은 도구를 이용하거나 사다리 등을 이용하여 과일을 수확한다.
이러한 장대를 이용한 과일 수확은 장대만으로 나뭇가지에 매달려있는 과일을 떼어내는 작업이 어렵고 장대에 의해 과일이 손상되거나 과일이 낙하하면서 손상되는 등 문제점이 있고, 사다리를 이용한 방법은 일정높이 이상의 과일은 수확이 어렵고 일일이 사다리를 옮겨가면서 수확작업을 해야 하기 때문에 번거롭고 작업자가 사다리에서 떨어지는 등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다.
이와 같은 도구를 이용한 과일 수확기의 기술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① 특허 제1437265호(과일수확 및 전정용 가위)에는 고정날과 가동날이 축나사로 힌지 연결되고 고정날의 고정부가 장대의 일단에 체결구로 체결되어 고정되며 장대의 타단에 손잡이가 형성되고 가동날의 작동부에 장대 속으로 관통되는 작동봉의 일단이 연결되고 작동봉의 타단은 손잡이의 작동레버에 연결되어 수동으로 가위날을 개폐시키는 기술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과일과 연결된 나뭇가지를 절단하여 과일을 수확하는 도구로서 절단 후 낙하하는 과일이 지면에 부딪혀 손상되기 때문에 작업자가 직접 잡거나 충격완충수단을 설치해야 하는 등 번거롭고 과일의 상부 일측에서 절단해야 하기 때문에 나뭇가지 절단작업이 어렵고 가위의 날 부분에 의한 과일표피손상 등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②특허 제1178183호(사용의 편의성을 갖는 과일 수확 장대)에는 고리와 결합 고정되며 타단은 용이한 파지를 위한 손잡이가 형성되는 긴 봉 형상의 장대와, 상기 고리의 내주면에 결합 고정되며, 내부에는 수확할 과일이 걸리도록 "∨" 형상의 걸림 홈이 형성되는 수거부와, 상기 장대의 타단에 위치하는 것으로, 상부는 상기 장대에 결합 고정되며, 하부는 내부가 관통되는 원형의 고정고리가 형성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고리에 고정되되 내부로 유입되어 유통되는 과일이 배출되도록 개구되는 회수망과, 내부에 공간을 가지며 절개부가 형성된 회수주머니와, 상기 회수주머니를 상기 회수망의 타단에 간편하게 탈착되도록 하는 탈착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 역시 과일을 지지하지 않고 나뭇가지를 절단하여 회수주머니로 낙하된 과일을 수확하는 것으로서, 낙하과정에서 회수주머니 내부에 기존에 수확한 과일들과 부딪혀 손상을 주는 문제가 있고 고리 및 회수주머니 등의 구성들이 부피를 많이 차지하기 때문에 무작위로 나무에 매달려있는 과일들을 정교하게 수확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본 발명자에 의해 특허 제900397호(과일 수확기)가 개시되어 과일수확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게 되었는바, 본 발명은 이러한 과일수확기의 또 다른 형태로 개량발명한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원통형의 결합관에 상향 설치된 다수의 협지대를 통해 과일을 안정적으로 협지하여 과일손상을 최소화하고 상기 협지대에 형성된 칼날부를 통해 가지를 절단하여 과일수확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면서 보관시 협지대의 상부에서 끼워지는 보관링을 통해 협지대의 변형방지 및 보관성을 높일 수 있는 보관링이 구비된 과일수확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장대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원통형의 결합관과, 상기 결합관 상측벽 둘레에 상향 설치되어 내부에 수집공간부를 형성하는 다수의 협지대와, 상기 협지대의 상부에서 끼워지는 보관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협지대는 등간격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협지대는 측부에 칼날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칼날부는 하단에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협지대는 상단에서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의 하단 측부에 결합관까지 보강부가 형성되고, 상기 보강부의 측부에 칼날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관링은 다수의 협지대가 각각 끼워질 수 있도록 결합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협지대는 보관링의 결합구멍이 걸릴 수 있도록 상부에 링지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관링은 결합시 협지대가 내측으로 오므려질 수 있도록 한 크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원통형의 결합관에 상향 설치된 다수의 협지대를 통해 과일을 안정적으로 협지하여 과일손상을 최소화하고 상기 협지대에 형성된 칼날부를 통해 가지를 절단하여 과일수확이 간편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보관시 협지대의 상부에서 끼워지는 보관링을 통해 협지대가 내측으로 오므려질 수 있도록 하여 협지대의 변형을 방지하여 내구연한을 늘릴 수 있으며 협지대의 부피를 줄일 수 있어 보관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보관링에 의해 다수의 협지대를 서로 움직이지 않도록 잡아주어 협지대의 외부충격으로부터 협지대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보관링이 구비된 과일수확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협지대를 나타낸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보관링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보관링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보관링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대(10)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원통형의 결합관(20)과, 상기 결합관(20) 상측벽 둘레에 상향 설치되어 내부에 수집공간부를 형성하는 다수의 협지대(30)와, 상기 협지대(30)의 상부에서 끼워지는 보관링(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관(20)은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장대(10)의 상단부에 끼워져 체결부재(21)를 통해 결합되는 구성으로서, 하부는 개구된 형태로 이루어져 장대(1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고 상부는 막혀있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의 협지대(30)는 결합관(20)의 상측별 둘레에 일체로 형성되며 다수의 협지대(30)가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내측에 상광하협(上廣下狹)상으로 이루어진 수집공간부를 형성하고 협지대(30)의 측부에는 칼날부(33)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협지대(30)는 상부로 갈수록 외측으로 벌어지는 형태로서 과일의 크기에 맞게 협지할 수 있도록 하고, 각각의 협지대(30)는 외측방향으로 탄력적으로 벌어져 과일이 수집공간부 내에서 협지된 상태에서 장대(10)를 회전시켜 협지대(30)에 형성된 칼날부(33)에 의해 나무가지를 절단하여 과일을 수확한다.
상기 협지대(30)는 상단에서 폭이 좁고 모서리가 곡면으로 형성된 가이드부(31)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31)의 하단 양측부에 가이드부(31) 보다 비교적 두께가 얇은 보강부(32)가 결합관(20) 까지 형성되고, 상기 보강부(32)의 측부에 끝부분이 날카로운 칼날부(33)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부(31)는 과일이 손상되지 않고 수집공간부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며 보강부(32)는 협지대(30)가 외력에 잘 견딜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아울러 상기 칼날부(33)의 하단에는 걸림턱(33a)이 형성되는데, 이는 과일 수확시 상기 걸림턱(33a)을 나뭇가지의 일부분을 걸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느끼는 과일수확기의 무게를 최소화함으로써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걸림턱(33a)은 너무 크게 형성될 경우 과일수확작업에 방해될 수 있기 때문에 작은 나무가지 정도가 걸릴 수 있을 정도의 약3mm ~ 5mm 정도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보관링(40)은 보관시 협지대(30)의 상부에서 끼워져 협지대(30)의 변형을 방지하고 협지대(30)가 차지하는 부피를 줄여 보관성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상기 보관링(40)은 "O"링 형태로 구비되어 다수의 협지대(30)가 각각 끼워질 수 있도록 결합구멍(41)이 협지대(30)와 대응되는 위치에 등간격으로 관통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관링(40)의 크기는 협지대(30)의 최상단의 벌어진 크기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야 한다. 즉, 보관링(40) 결합시 협지대(30)가 내측으로 오므려질 수 있도록 한 크기로 형성되어 사용시 과일이나 다른 요인으로 인해 외측으로 벌어진 협지대(30)를 다시 내측으로 오므리게 하여 협지대(30)의 벌어짐 정도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협지대(30)는 상부에 링지지부(34)를 형성하여 보관링(40)의 결합구멍(41)이 걸릴 수 있도록 하는데, 이는 보관링(40)을 협지대(30)에 결합시 상부에서 이격거리 즉, 보관링(40)이 협지대(30)의 상부에서 내려온 위치에 따라 협지대(30)의 오므려지는 정도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결합시 보관링(40)의 위치를 일정하게 하여 협지대(30)의 변형방지 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링지지부(34)는 보관링(40)이 협지대(30)의 약 1/4 내지 1/3 지점으로 비교적 상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좋은데, 만약 링지지부(34)가 협지대(30)의 가운데나 하부에 위치할 경우 보관링(40)의 분해 결합이 어렵고 협지대(30)의 내측으로 오므리는 효과도 저하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보관링이 구비된 과일수확기의 작용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보관링이 구비된 과일수확기는 과일수확시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협지대(30)에서 보관링(40)을 분리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과일의 협지과정에서 과일에 의해 협지대(30)가 외측으로 벌어지게 되고 사용후 협지대(30)는 원래위치로 정확히 돌아오지 않고 최초의 상태보다 미세한 거리만큼 외측으로 벌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이 반복된다면 협지대(30)는 더욱 벌어지게 되고 그로인해 협지력이 감소되어 과일수확기의 성능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그러므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후 보관링(40)을 상부에서 끼움 결합하게 되면 보관링(40)에 의해 협지대(30)는 내측으로 휘어져 다수의 협지대(30)가 오므려진 형태가 된다. 이때 오므려진 정도는 보관링(40)이 분리된 협지대(30)의 원래 상부 벌어짐 정도보다 더 좁기 때문에 보관링(40)에 의해 협지대(30)는 벌어짐에 따른 변형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협지력을 더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장대 20 : 결합관
21 : 체결부재 30 : 협지대
31 : 가이드부 32 : 보강부
33 : 칼날부 33a : 걸림턱
34 : 링지지부 40 : 보관링
41 : 결합구멍

Claims (8)

  1. 장대(10)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원통형의 결합관(20)과,
    상기 결합관(20) 상측벽 둘레에 상향 설치되어 내측에 수집공간부를 형성하는 다수의 협지대(30)와,
    상기 협지대(30)의 상부에서 끼워지는 보관링(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링이 구비된 과일수확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협지대(30)는 등간격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링이 구비된 과일수확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협지대(30)는 측부에 칼날부(3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링이 구비된 과일수확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칼날부는(33) 하단에 걸림턱(33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링이 구비된 과일수확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협지대(30)는 상단에서 가이드부(31)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31)의 하단 측부에 결합관(20)까지 보강부(32)가 형성되고, 상기 보강부(32)의 측부에 칼날부(33)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링이 구비된 과일수확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링(40)은 다수의 협지대(30)가 각각 끼워질 수 있도록 결합구멍(4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링이 구비된 과일수확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협지대(30)는 보관링(40)의 결합구멍(41)이 걸릴 수 있도록 상부에 링지지부(3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링이 구비된 과일수확기.
  8. 제 1항 또는 6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링(40)은 결합시 협지대(30)가 내측으로 오므려질 수 있도록 한 크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링이 구비된 과일수확기.


KR1020140135717A 2014-10-08 2014-10-08 보관링이 구비된 과일수확기 KR1016565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5717A KR101656574B1 (ko) 2014-10-08 2014-10-08 보관링이 구비된 과일수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5717A KR101656574B1 (ko) 2014-10-08 2014-10-08 보관링이 구비된 과일수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1540A true KR20160041540A (ko) 2016-04-18
KR101656574B1 KR101656574B1 (ko) 2016-09-09

Family

ID=55916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5717A KR101656574B1 (ko) 2014-10-08 2014-10-08 보관링이 구비된 과일수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657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48487A (zh) * 2019-01-17 2019-04-02 中南林业科技大学 坚果采摘机和坚果采摘方法
CN109819770A (zh) * 2019-03-19 2019-05-31 泰顺县维能家庭农场 一种猕猴桃无伤采摘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5220A (ko) * 2004-08-31 2006-02-16 이상호 과일채취기
KR100900397B1 (ko) * 2008-09-29 2009-06-02 김학대 과일 수확기
KR20100001059U (ko) * 2008-07-22 2010-02-01 김학대 과일 수확기
KR20110000689U (ko) * 2009-07-15 2011-01-21 김학대 과일 수확기용 지지부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5220A (ko) * 2004-08-31 2006-02-16 이상호 과일채취기
KR20100001059U (ko) * 2008-07-22 2010-02-01 김학대 과일 수확기
KR100900397B1 (ko) * 2008-09-29 2009-06-02 김학대 과일 수확기
KR20110000689U (ko) * 2009-07-15 2011-01-21 김학대 과일 수확기용 지지부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48487A (zh) * 2019-01-17 2019-04-02 中南林业科技大学 坚果采摘机和坚果采摘方法
CN109548487B (zh) * 2019-01-17 2021-08-10 中南林业科技大学 坚果采摘机和坚果采摘方法
CN109819770A (zh) * 2019-03-19 2019-05-31 泰顺县维能家庭农场 一种猕猴桃无伤采摘设备
CN109819770B (zh) * 2019-03-19 2020-10-30 泰顺县维能家庭农场 一种猕猴桃无伤采摘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6574B1 (ko) 2016-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013779A1 (en) Fruits Plucking Device
US10736269B2 (en) Fruit picker
US9526208B2 (en) Tree mounted tarp device
KR200474453Y1 (ko) 과일 수확기
KR101656574B1 (ko) 보관링이 구비된 과일수확기
US20090025357A1 (en) Tree fruit collection device v-shaped support
US20150296710A1 (en) Fruit Collecting Device
KR20150002757U (ko) 과일 수확기
KR101715711B1 (ko) 고소 전지칼
CN205389518U (zh) 一种脐橙采摘器
KR102034242B1 (ko) 농작물 수확기
KR200478386Y1 (ko) 과일 수확기
US20220053699A1 (en) Fruit Harvesting Apparatus and Method of Use
CN104488446A (zh) 摘果剪
KR20130010661A (ko) 개인식 과일 수확기
CN110720445B (zh) 一种防止马蜂飞出的马蜂窝摘除装置
KR20120005338U (ko) 과실 수확기
JP2017127298A (ja) 果実取り具
CN203884230U (zh) 水果采摘器
KR101323682B1 (ko) 과실수확기구
JP2014039521A (ja) ゴーヤなどツル性植物の収穫カッター
KR102334572B1 (ko) 휴대형 과실 수확 장치
KR20130141323A (ko) 햇순채취기
KR20180099409A (ko) 과일수확기에 사용되는 스톱퍼
TWM514191U (zh) 水果採收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2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