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9889A - 스프레이 분사용 무기질계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바닥마감공법 - Google Patents

스프레이 분사용 무기질계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바닥마감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9889A
KR20160039889A KR1020140133178A KR20140133178A KR20160039889A KR 20160039889 A KR20160039889 A KR 20160039889A KR 1020140133178 A KR1020140133178 A KR 1020140133178A KR 20140133178 A KR20140133178 A KR 20140133178A KR 20160039889 A KR20160039889 A KR 201600398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inorganic
coating composition
agent
spra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3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01833B1 (ko
Inventor
김석
Original Assignee
김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석 filed Critical 김석
Priority to KR1020140133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1833B1/ko
Publication of KR201600398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98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1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18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46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with organic materials
    • C04B41/48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41/488Other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4B41/4884Polyurethanes; Polyisocyan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2Flooring or floor layers made of masses in situ, e.g. seamless magnesite floors, terrazzo gypsum flo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00034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mixtures
    • C04B2111/00146Sprayable or pumpable mixtures
    • C04B2111/00155Sprayable, i.e. concrete-like, materials able to be shaped by spraying instead of by casting, e.g. gunite

Abstract

본 발명은 스프레이(spray) 분사가 가능한 바닥마감용 도료 조성물에 관한 것로서 캐스터오일을 포함하는 주제(A), 경화제(B), 및 드라이몰탈(C)을 A:B:C = 1~2: 1~2: 6~8 의 비율로 포함하는 3성분형 무기질계 폴리우레탄 도료 조성물을 이용하고, 드라이몰탈 중 골재의 크기를 12~80 메쉬(mesh) 통과분으로서 0.1~1.5 mm로 함으로써 스프레이 분사방식의 도막형성 공법에 적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시공한 방수도막은 우수한 압축강도와 탄성 및 내균열성을 나타내고 친환경적이며 습윤면에서도 부착성이 우수하여 별도의 프라이머층을 형성할 필요가 없다. 또한, 5℃ 정도의 저온에서도 작업성이 우수하고 아민브러싱 및 백화현상이 없으며, 속경화성으로 시공 다음날 보행이 가능하다. 더욱이, 시공단가가 낮아 경제적이면서도 우수한 항균성, 내열수성을 나타낸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스프레이 분사용 무기질계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바닥마감공법 {Inorganic-based Paint Composition for Spraying and Method for Preparing Floor Finish Structur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무기질계 드라이몰탈과 유기 성분인 폴리우레탄 수지의 복합체 형태로서 스프레이 분사용으로 적합한 무기질계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바닥마감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토목, 건축 분야에서는 건축물의 노화 방지 및 누수 억제를 위해 건축물의 옥상, 지하층 및 외벽에 필수적으로 방수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시멘트 등의 충전재에 에폭시수지나 우레탄수지와 같은 화학혼화제를 혼합한 몰탈 조성물들이 건축물의 방수처리, 내벽 및 외벽 등 표면화장, 보수재, 마감재, 포장재 등에 사용되고 있다.
에폭시수지계 몰탈은 400 kg/cm2 이상의 높은 압축강도를 발현하지만, 탄성이 극히 적어서 충격에 의해 깨지기 쉽고 하지층 콘크리트와의 열팽창계수 차이로 인해 냉,고온 접촉시 들뜸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에폭시수지는 폴리아민 등과 같은 방향성이 강한 경화제와 독성이 강한 점도조절제를 사용하기 때문에 냄새가 강하고 환경유해물질을 발생시킨다.
반면 우레탄수지계 몰탈은 신장률, 인장률이 크므로 균열 추종성이 좋고 내구성이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우레탄 방수공법은 경화제 안에 함유된 이소시아네이트(NCO)라는 물질이 물과 접촉하여 반응하게 되면, 이산화탄소가 발생하여 방수층이 부풀어 오르고 핀홀 및 들뜸 현상이 일어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종래의 우레탄 바닥마감공법 및 2액형 유성제품은 함수율 8% 이하일 경우(육안의 확인시 바닥면이 건조된 상태뿐만 아니라, 모체안에 습기가 함습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만 가능하다. 하지만, 4계절이 뚜렷한 우리나라의 경우 날씨의 변동이 심하여 옥외의 바탕면에는 함수율을 8% 이하로 맞추어 시공하기가 매우 어렵다. 특히, 습윤 바탕면에는 우레탄 방수시공 전 반드시 접착력의 보장을 위하여 프라이머 공정이 수행되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우레탄계, 에폭시계 방수재는 이음매 없는(seamless) 방수층을 형성하기 때문에 복잡한 부분이나 수직부분의 시공이 용이하지만, 하지와의 부착력이 부족하고 기포발생에 의해서 국부적인 부박현상과 같은 하자 발생이 자주 일어난다. 특히 하지의 수분함량을 8% 이하인 조건에서 시공하여야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어서 한계가 있다.
또한, 기존의 도막 방수재는 각종 희석재와 미반응 단량체들과 같은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다량 사용하므로 식품공장, 전자기기공장, 반도체 공장, 정밀화학공장 등과 같이 고도의 청결성이 요구되는 곳에는 사용할 수가 없다. 위와 같은 현재 사용되고 있는 여러 시멘트 조성물들은 특성 면에서 뿐 아니라 환경적인 면에서도 여러 가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어, 친환경적인 시멘트 조성물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박리, 균열, 마모 등의 하자가 발생하지 않고 내구성이 우수하며 물리적/화학적 성능과 속건성, 내오염성,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바닥마감에 적용할 수 있는 스프레이 분사용 무기질계 도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식품공장, 제약공장, 전자기기공장, 정밀화학공장 등과 같이 고도의 청결성이 요구되는 곳에서도 적용될 수 있도록 친환경적이고 동절기 저온에서도 시공이 가능한 바닥마감 공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스프레이 분사용으로서 3성분형 무기질계 폴리우레탄 도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예에서, 캐스터 오일 40-60 중량%, 사슬연장제 1-10 중량%, 점감제 20-30 중량%, 물 20-30 중량%, 산촉매 0.1-1 중량%, 항균제 1-10 중량%, 및 잔류량의 첨가제를 포함하는 주제(A), 디페닐메테인디이소시아네이트 100중량%을 포함하는 경화제(B), 및 무기질 성분을 포함하는 드라이몰탈(C)을 포함하는 3성분형 무기질계 폴리우레탄 도료 조성물을 이용한다.
일 예에서, 상기 각 성분의 함량비는 A:B:C = 1~2: 1~2: 6~8이다.
일 예에서, 상기 드라이몰탈(C)은 시멘트, 충전재, 유동화제, 및 골재를 포함하고, 이 중 골재의 크기는 12~80 메쉬(mesh) 통과분으로서 0.1~1.5 mm일 수 있다.
상기 주제(A)는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을 3~5 중량%을 더욱 포함하고, 광택도(60°)가 50~95일 수 있다.
상기 캐스터오일의 OH 당량 : 경화제의 NCO 당량은 1.0:4.0~5.0 의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캐스터오일은 수산기값(Hydroxyl Value) 160~163, 비누화값(Saponification Value) 177~185, 요오드값(Iodine Value) 82~90 범위일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사슬연장제는 알킬렌 옥사이드계 수지이고, 수산가는 650~700(mgKOH/g), 산가는 0.05(mgKOH/g) 이하, 점도는 900~1100cps 범위일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산촉매는 농도 85% 이상의 인산(H3PO4)이고 0.1-0.8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항균제는 순도 85% 이상의 파인오일(Pine Oil)을 1-5 중량% 범위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하기 단계들을 포함하며, 상술한 스프레이 분사용 무기질계 폴리우레탄 도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바닥을 시공하는 공법에 관한 기술이다.
a. 시공하고자 하는 바닥인 하지면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평활하게 하는 하지면 정리단계;
b. 캐스터 오일 40-60 중량%, 사슬연장제 1-10 중량%, 점감제 20-30 중량%, 물 20-30 중량%, 산촉매 0.1-1 중량%, 항균제 1-10 중량%, 및 잔류량의 첨가제를 포함하는 주제(A), 디페닐메테인디이소시아네이트 100중량%을 포함하는 경화제(B), 및 무기질 성분을 포함하는 드라이몰탈(C)을 포함하는 3성분형 무기질계 폴리우레탄 도료 조성물을 각 성분의 함량비 A: B: C = 1~2: 1~2: 6~8로 배합하는 배합단계;
c. 상기 정리된 하지면 상에 상기 배합된 무기질계 폴리우레탄 도료 조성물을 스프레이 분사하여 0.2 ~ 6mm 의 두께로 도막을 형성하는 단계;
본 발명에 따른 스프레이 분사용 무기질계 폴리우레탄 도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시공한 도막은 300kg/㎠ 이상의 우수한 압축강도와 탄성 및 내균열성을 나타내고 친환경적이고 습윤면에서도 부착성이 우수하여 별도의 프라이머층을 형성할 필요가 없으며, 5℃ 정도의 저온에서도 작업성이 우수하고 아민브러싱 및 백화현상이 없으며, 속경화성으로 시공 다음날 보행이 가능하다. 또한,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을 첨가하면 광택이 부여됨으로써 별도의 상도를 형성할 필요가 없고, 스프레이 분사법에 의하므로 시공단가가 낮아 경제적이면서도 우수한 항균성, 내열수성을 나타낸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는, 달리 정의되지 않는 이상, 하기의 정의를 가지며 본 발명의 관련 분야에서 통상의 당업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바와 같은 의미에 부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는 바람직한 방법이나 시료가 기재되나, 이와 유사하거나 동등한 것들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 참고문헌으로 기재되는 모든 간행물의 내용은 본 발명에 도입된다.
용어 "약"이라는 것은 참조 양, 수준, 값, 수, 빈도, 퍼센트, 치수, 크기, 양, 중량 또는 길이에 대해 30, 25, 20, 25, 10, 9, 8, 7, 6, 5, 4, 3, 2 또는 1% 정도로 변하는 양, 수준, 값, 수, 빈도, 퍼센트, 치수, 크기, 양, 중량 또는 길이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를 통해, 문맥에서 달리 필요하지 않으면, "포함하다" 및 "포함하는"이란 말은 제시된 단계 또는 구성요소, 또는 단계 또는 구성요소들의 군을 포함하나, 임의의 다른 단계 또는 구성요소, 또는 단계 또는 구성요소들의 군이 배제되지는 않음을 내포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3성분형 무기질계 폴리우레탄 도료 조성물을 이용한 스프레이(spray) 분사가 가능한 바닥마감용 도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3성분형 무기질계 폴리우레탄 도료 조성물은 주제(A), 경화제(B), 드라이몰탈(C)의 3성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각 성분의 함량비는 약 A: B: C = 1~2: 1~2: 6~8로서 무기질 성분을 함유하는 드라이몰탈(C)의 함량이 주제(A)와 경화제(B)의 혼합으로 형성되는 폴리우레탄 수지에 비해 2배 이상인 무기질계 폴리우레탄 도료 조성물이다. 이하 각 성분별로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주제(A)
상기 주제(A)는 캐스터 오일 40-60 중량%, 사슬연장제 1-10 중량%, 점감제 20-30 중량%, 물 20-30 중량%, 산촉매 0.1-1 중량%, 항균제 1-10 중량%, 및 잔류량의 첨가제를 포함한다.
상기 주제(A)의 주성분은 OH기를 갖는 폴리올로서 식물성 천연소재인 캐스터 오일을 40-60 중량%, 바람직하게는 40-50 중량%로 포함하고 있다. 캐스터 오일은 여타의 식물성 기름과 달리 고점도이고 마찰계수가 낮으며 친수성이라는 특징이 있어서 경화제(B)와의 반응에 의해 폴리우레탄 중합시 우수한 인장강도, 압축강도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우수한 항균성, 내구성, 내약품성과 영하 40℃ 에서도 견디는 우수한 내한성, 130℃ 이하의 끓는 물에서도 견디는 내열수성을 동시에 갖고 있다.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캐스터오일은 수산기값(Hydroxyl Value) 160~163, 비누화값(Saponification Value) 177~185, 요오드값(Iodine Value) 82~90 범위일 수 있다.
상기 사슬연장제는 알킬렌 옥사이드계 수지이고, 수산가는 650~700(mgKOH/g), 산가는 0.05(mgKOH/g) 이하, 점도는 900~1100cps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예에서, KPX 케미칼사의 사슬연장제 제품이 이용가능하다. 사슬연장제의 첨가량은 1-10 중량%, 바람직하게는 1-5 중량%가 적당하다.
상기 점감제는 수지의 점도를 저하시켜 몰탈(C)과의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환경규제를 받지 않는 TXIB (2,2,4-트리메틸-1,3펜탄디올디이소부틸레이트), DOP(디옥틸 프탈레이트), DBP(디부틸 프탈레이트) 중에서 선택되며, 구체적인 예에서 정우화학 제품이 이용가능하다. 점감제의 첨가량은 20-30 중량%, 바람직하게는 20-25 중량% 정도이다.
상기 물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상수도물 또는 증류수가 이용될 수 있고 첨가량은 20-30 중량%, 바람직하게는 20-25 중량%일 수 있으며, 유기용제를 사용하지 않아 휘발성 물질이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 산촉매는 예를 들어, 농도 85% 이상의 인산(H3PO4)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0.1-1 중량%, 바람직하게는 0.1-0.8 중량% 정도의 함량을 첨가하는 것이 적당하다.
상기 항균제는 식물성 오일, 바람직하게는 에이치켐사 제품인 순도 85% 이상의 파인오일(Pine Oil)이 이용될 수 있으며, 1-10 중량% 범위, 바람직하게는 1-5 중량% 범위 내에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로는 예를 들어, 몰탈(C)의 유동성을 높이기 위한 분산제가 1-5중량% 첨가될 수 있고, 폴리실록산 용액 등의 소포제 1-5중량%, 또는 6대 중금속 미함유 무기안료가 5-10중량% 범위 내에서 포함될 수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주제(A)에는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이 약 3~5 중량%의 범위로 더욱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의 실험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무기질계 폴리우레탄 도료로 형성된 도막의 광택도를 측정한 결과 에틸렌글리콜을 첨가하지 않으면 광택도가 낮지만, 에틸렌글리콜의 첨가량에 따라 50~95의 광택도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3 참조).
이와 같이 에틸렌글리콜을 첨가하면 건조 도막에 광택을 부여할 수 있으므로 내오염성이 향상되고 무기계 또는 유기계의 상도를 추가로 도장할 필요가 없다는 큰 잇점이 있다.
경화제(B)
경화제(B) 성분은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인 디페닐메테인디이소시아네이트(MDI)를 100% 이용한다. MDI는 가격이 저렴하면서도 친환경적인 소재로서 본 발명에서는 MDI만을 100% 이용한다.
상기 경화제는 주제 중의 폴리올과 반응하여 폴리우레탄 수지를 형성하므로 이의 함량은 주제 중의 폴리올의 함량과의 관계에서 결정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도료 조성물에서, 주제(A) 중 폴리올의 OH 당량 : 경화제 중 NCO 당량은 바람직하게는 1.0:4.0~5.0 의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드라이몰탈(C)
무기질 성분을 포함하는 드라이몰탈(C)은 예를 들어, 시멘트, 충전재, 유동화제, 및 골재를 포함한다.
상기 시멘트는 포틀랜드 시멘트, 백시멘트, 고로시멘트, 플라이에쉬 시멘트, 알루미나 시멘트 등 시중에서 사용되고 있는 것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충전재는 실리카, 플라이애쉬, 슬래그, 실리카흄, 탄산칼슘, 황산바륨 등과 같은 입자형 충전재와 탄소섬유, 유리섬유, 아라미드섬유, 철섬유, 세라믹섬유 등과 같은 섬유형 충전재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유동화제는 드라이몰탈의 유동성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서 폴리리그닌술폰산축합물계, 폴리나프탈렌술폰산나트륨축합물계, 폴리카르본산계, 폴리멜라민술폰산나트륨축합물계, 인산에스테르계, 비이온계면화성제계, 음이온계면활성제계 등 통상 알려진 계면활성제류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골재는 모래, 자갈 등과 같은 규산질계 골재와 백운석 등과 같은 무기질계 골재가 포함된다.
본 발명은 스프레이 분사 방식에 적합하도록 골재의 크기를 한정하고 있는 점에 특징이 있다.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골재의 크기는 12~80 메쉬(mesh) 통과분으로서 약 0.1~1.5 mm이며, 상기 범위를 벗어나 골재의 크기가 너무 크면 스프레이 분사에 적용이 어렵고 반대로 골재 입자가 너무 작으면 응집 현상으로 균일한 도막 형성이 어렵다.
본 발명은 또한, 상술한 스프레이 분사용 무기질계 폴리우레탄 도료 조성물을 적용한 바닥마감공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닥마감공법의 각 단계 별로 설명한다.
a. 하지면 정리단계
하지면은 바닥, 방수도막을 시공하고자 하는 면으로서 수평면인 바닥 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벽면이 여기에 해당한다. 이러한 하지면(1)의 정리단계(a)는 먼저 하지면의 표면 수분이 12% 이하가 되도록 건조한다.
종전의 에폭시수지계 몰탈이나 우레탄수지계 몰탈의 경우 표면 수분율이 8% 이하가 되어야 시공이 가능했던 데 비해 본 발명에 따른 3성분형 무기질계 폴리우레탄 도료 조성물은 우레탄과 시멘트의 수경화성 발현으로 12% 이하라면 시공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하지면(1)의 굴곡이나 노화부분, 녹, 먼지, 모래 등 이물질을 브러쉬 등으로 제거하고, 접착력의 강화와 표면의 평활도를 높이기 위해 연삭기, 그라인더 등 당업계에서 통상 사용되는 장비를 이용하여 면갈이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줄눈 작업의 경우 끝단 부위는 시공두께의 두배 정도로 커팅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면갈이 후 잔류물 역시 깨끗하게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b. 스프레이 분사용 무기질계 폴리우레탄 도료 조성물 배합단계
다음으로, 도막층의 형성을 위한 전단계로서 배합단계(b)를 거친다. 이 단계(b)에서는 상술한 본 발명의 3성분형 무기질계 폴리우레탄 도료 조성물을 이용한다. 배합단계(b)에서는 먼저, 주제인 성분(A)와 경화제인 성분(B)를 혼합한다. 이 때 상기 캐스터오일의 OH 당량 : 경화제의 NCO 당량이 1.0: 4.0~5.0 의 비율이 되도록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혼합액에 몰탈인 성분(C)를 천천히 부으면서 균일하게 혼합한다. 각 성분의 혼합비는 주제(A):경화제(B):드라이몰탈(C)=1~2: 1~2: 6~8 (중량%) 인 것이 바람직하다.
c. 도막층의 형성단계
도막층의 형성단계(c)에서는 단계(b)에서 배합된 혼합물을 하지면 상에 스프레이 분사 방식을 이용하여 평활하게 도포한다. 이러한 도막층 도포 작업은 배합 후 10분 이내에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프레이 분사방식을 이용하면 평활하고 이음매 없는 바닥마감을 경제성 있게 시공가능하고, 시공 목적에 따라 박막으로부터 후막까지 도막의 두께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막층의 도포 두께는 하지면의 건조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표면 수분율이 10% 이하라면 약 0.2 mm 이하의 두께로 도포한다. 1차 도막층의 두께는 0.2mm ~ 6mm가 적당하다. 수 회의 도포 단계를 통해 소망하는 도막층의 두께를 달성하는 경우 도포 공정의 간격은 23℃를 기준으로 10 시간 이상이 바람직하다. 도막층의 형성시 온도는 5℃ 이상이 바람직하고, 수분 응축을 피하기 위해서 바닥 표면의 온도는 이슬점 이상이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닥마감공법은 별도의 프라이머 층을 형성하거나 도막층 상에 무황변 우레탄 수지와 같은 상도를 추가로 형성할 필요가 없이 단 1회의 도막 공정만으로도 우수한 물성의 바닥마감을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1-1. 하지면 정리단계
하지면을 충분히 건조시켜 표면수분율이 12% 이하가 되게 한 후, 표면 브러싱 작업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연삭기를 이용하여 접착력 강화를 위한 면갈이를 하고, 잔류 이물질을 제거한다.
1-2. 도료 조성물 배합단계
피마자유(천경실업) 40~60g, 사슬연장제(폴리에테르폴리올, KPX)1~10g, 점감제(정우화학) 20~30g, 항균제(에이치켐) 1~10g, 산촉매(대정화금) 0.1~1g, 증류수 20~30g, 분산제(켐리치교역) 1~5g, 소포제(켐리치교역) 1~5g, 및 안료 5~10g를 혼합하여 주제 150g을 준비한다. 경화제로 p-MDI(crude-MDI) 150g에 주제 150g을 넣고 30초간 고속 교반한다. 여기에 드라이몰탈 700g을 천천히 붓고 30초간 고속 교반한다.
1-3. 도막층 형성단계
1-2에서 배합한 1차 도막조성물을 0.2mm~6mm의 두께로 스프레이 분사 방식으로 도막층을 형성한다.
[실시예 2]
실시예 1-2에서 주제에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을 3-5g 더욱 첨가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도막층을 형성하였다.
[비교예 1]
하지면 상에 에폭시/폴리아마이드 수지의 2액형 도료로 구성된 프라이머(진도화성, EP-101)을 롤러도장 방법으로 도포하여 50㎛ 두께의 프라이머층을 형성하였다. 12시간 경과 후 에폭시/아민 수지성분의 에폭시수지도료(진도화성, EF-502)을 스크래퍼 도장방법으로 도포하여 바닥층을 3mm 두께로 형성하였다.
[시험예 1]
실시예 1에서 3성분형 무기질계 폴리우레탄 도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한 건조도막의 내화학약품성 및 항균성을 비교예 1의 에폭시수지-몰탈과 비교한 실험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Figure pat00001

[시험예 2]
실시예 1에서 3성분형 무기질계 폴리우레탄 도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한 건조도막의 윤하중 저항성능을 KS F 4937에 개시된 방법에 따라 시험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3성분형 무기질계 폴리우레탄 도료 조성물을 이용하면 MMA 바닥제, 유성에폭시수지도막(에폭시라이닝)에 비해 마모깊이가 절반 수준으로 현저히 낮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표 2] 윤하중 저항성능 시험 결과
Figure pat00002

또한, KS F 4937 오염물질방출시험 방법으로 오염물 방출성능을 시험하였고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5를 참조하면, 휘발성 물질의 배출량이 낮고 포름알데히드나 톨루엔도 거의 방출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표 3]
Figure pat00003

[시험예 3]
에틸렌글리콜을 첨가하지 않은 실시예 1의 건조도막과 에틸렌글리콜을 첨가한 실시예 2의 건조도막에 대해 Sheen Instruments Glossmeter(60°)로 광택도 차이를 측정하여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표 4]
Figure pat00004

실시예 1의 도막은 거의 무광택으로서 내오염성이 떨어지는 문제 등이 발생하므로 무기계나 유기계의 상도를 도장하여 보완되나, 실시예 2의 도막은 유광택 도막으로서 내오염성의 성능이 향상되어 오염성물질의 청소 및 제거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8)

  1. 스프레이(spray) 분사가 가능한 바닥마감용 도료 조성물로서,
    캐스터 오일 40-60 중량%, 사슬연장제 1-10 중량%, 점감제 20-30 중량%, 물 20-30 중량%, 산촉매 0.1-1 중량%, 항균제 1-10 중량%, 및 잔류량의 첨가제를 포함하는 주제(A), 디페닐메테인디이소시아네이트 100중량%을 포함하는 경화제(B), 및 무기질 성분을 포함하는 드라이몰탈(C)을 포함하는 3성분형 무기질계 폴리우레탄 도료이고,
    상기 각 성분의 함량비는 A: B: C = 1~2: 1~2: 6~8이며, 상기 드라이몰탈(C)은 시멘트, 충전재, 유동화제, 및 골재를 포함하고, 이 중 골재의 크기는 12~80 메쉬(mesh) 통과분으로서 0.1~1.5 mm인, 스프레이 분사용 무기질계 폴리우레탄 도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A)는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을 3~5 중량%을 더욱 포함하고, 상기 도료 조성물의 도막시 광택도(60°)가 50~9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 분사용 무기질계 폴리우레탄 도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스터오일의 OH 당량 : 경화제의 NCO 당량은 1.0: 4.0~5.0 의 비율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 분사용 무기질계 폴리우레탄 도료 조성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캐스터오일은 수산기값(Hydroxyl Value) 160~163, 비누화값(Saponification Value) 177~185, 요오드값(Iodine Value) 82~90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 분사용 무기질계 폴리우레탄 도료 조성물.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슬연장제는 알킬렌 옥사이드계 수지이고, 수산가는 650~700(mgKOH/g), 산가는 0.05(mgKOH/g) 이하, 점도는 900~1100cps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 분사용 무기질계 폴리우레탄 도료 조성물.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산촉매는 농도 85% 이상의 인산(H3PO4)을 0.1-0.8 중량%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 분사용 무기질계 폴리우레탄 도료 조성물.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제는 순도 85% 이상의 파인오일(Pine Oil)을 1-5 중량% 범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 분사용 무기질계 폴리우레탄 도료 조성물.
  8. 시공하고자 하는 바닥인 하지면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평활하게 하는 하지면 정리단계;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스프레이 분사용 무기질계 폴리우레탄 도료 조성물을 배합하는 단계; 및
    상기 정리된 하지면 상에 상기 배합된 무기질계 폴리우레탄 도료 조성물을 스프레이 분사하여 0.2mm ~ 6mm 의 두께로 도막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기질계 폴리우레탄 도막의 바닥마감공법.
KR1020140133178A 2014-10-02 2014-10-02 스프레이 분사용 무기질계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바닥마감공법 KR1018018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3178A KR101801833B1 (ko) 2014-10-02 2014-10-02 스프레이 분사용 무기질계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바닥마감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3178A KR101801833B1 (ko) 2014-10-02 2014-10-02 스프레이 분사용 무기질계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바닥마감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9889A true KR20160039889A (ko) 2016-04-12
KR101801833B1 KR101801833B1 (ko) 2017-11-28

Family

ID=55801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3178A KR101801833B1 (ko) 2014-10-02 2014-10-02 스프레이 분사용 무기질계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바닥마감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183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2043B1 (ko) * 2020-05-12 2020-10-30 주식회사 평강산업개발 상도용 2액형 무황변 중방식 도료 및 이를 이용한 중방식 도장 방법
CN111875291A (zh) * 2020-08-07 2020-11-03 三棵树涂料股份有限公司 一种抗喷涂发花喷涂质感漆及其制备工艺
WO2021022923A1 (zh) * 2019-08-02 2021-02-11 江苏凯伦建材股份有限公司 一种双组份渗透反应型防水涂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230168120A (ko) * 2022-06-03 2023-12-12 한성대학교 산학협력단 내마모성 및 분산성이 향상된 친환경 폴리머를 이용한 코팅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80004B2 (ja) 2005-06-28 2012-11-21 株式会社イノアックコーポレーション ポリウレタン発泡体
KR101088748B1 (ko) * 2010-12-17 2011-12-01 주식회사 우린코퍼레이션 내화학성과 내열성이 우수한 친환경 수지몰탈 바닥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바닥재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039376B1 (ko) * 2011-02-09 2011-06-13 티아이브이건설 주식회사 수분산성 무기질계 폴리우레탄 방수재 및 이를 이용한 도막방수공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22923A1 (zh) * 2019-08-02 2021-02-11 江苏凯伦建材股份有限公司 一种双组份渗透反应型防水涂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2172043B1 (ko) * 2020-05-12 2020-10-30 주식회사 평강산업개발 상도용 2액형 무황변 중방식 도료 및 이를 이용한 중방식 도장 방법
CN111875291A (zh) * 2020-08-07 2020-11-03 三棵树涂料股份有限公司 一种抗喷涂发花喷涂质感漆及其制备工艺
KR20230168120A (ko) * 2022-06-03 2023-12-12 한성대학교 산학협력단 내마모성 및 분산성이 향상된 친환경 폴리머를 이용한 코팅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1833B1 (ko) 2017-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2723B1 (ko) 무기계 폴리머 스톤몰탈 마감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873051B1 (ko) 친환경적이고 고기능성을 겸비한 무기계 폴리머 수지몰탈마감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892247B1 (ko) 친환경성 폴리우레탄계-시멘트 조성물
KR101867864B1 (ko) 기능성이 개선된 콘크리트 슬래브 마감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슬래브 마감 시공 방법
KR101717128B1 (ko) 에폭시계 방수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과 수처리 시설물의 표면 도장공법
KR101133782B1 (ko) 고분자 융합 신소재와 탄소 나노튜브 단면 보수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성 증대를 위한 표면 처리 공법과 그 콘크리트 구조물
KR101801833B1 (ko) 스프레이 분사용 무기질계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바닥마감공법
JP6407594B2 (ja) 水系ポリウレタン組成物及びこの床下地コンクリートへの施工方法
KR102056891B1 (ko) 고기능성 콘크리트 바닥 마감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축용 콘크리트 바닥 마감 시공 방법
CN106927725A (zh) 水性彩砂自流平聚氨酯砂浆
KR100932716B1 (ko) 미세 표면 구조를 가지는 바닥재 조성물 및 이에 의한 바닥재
JP2017039623A (ja) 水硬性ポリマーセメント組成物
US10858289B2 (en) Reducing blister formation in polyurethane cementitious hybrid systems
JP2015081325A (ja) 水系ポリウレタン組成物及びこれの床下地コンクリートへの施工方法
KR101039376B1 (ko) 수분산성 무기질계 폴리우레탄 방수재 및 이를 이용한 도막방수공법
KR102576376B1 (ko) 항균성 및 다기능성을 보유한 무용제형 폴리우레탄크리트 바닥제 및 이를 이용한 바닥 시공방법
AU2012344079B2 (en) Repair method for road surfacings, in particular for open-pored asphalts
JP6659385B2 (ja) 水硬性ポリマーセメント組成物及びこれによる床構造
KR102130473B1 (ko) 친환경 바닥 마감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 바닥 마감 시공 방법
KR102351177B1 (ko) 단면보수용 시멘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JP6530291B2 (ja) 水硬性ポリマーセメント組成物
US9221996B2 (en) Process for repairing road surfacing systems, in particular for open-pore asphalts
CN106927724A (zh) 重载荷防滑型水性聚氨酯砂浆
JP2006240919A (ja) 水性ウレタン系セメント組成物
KR101457037B1 (ko) 고강도 바닥재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