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9395A - 음식물 쓰레기용 탈수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 쓰레기용 탈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9395A
KR20160039395A KR1020140132398A KR20140132398A KR20160039395A KR 20160039395 A KR20160039395 A KR 20160039395A KR 1020140132398 A KR1020140132398 A KR 1020140132398A KR 20140132398 A KR20140132398 A KR 20140132398A KR 20160039395 A KR20160039395 A KR 201600393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watering
scraper
food waste
line
dehyd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2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혜진
Original Assignee
김혜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혜진 filed Critical 김혜진
Priority to KR10201401323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39395A/ko
Publication of KR201600393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93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0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 B04B1/2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discharging solid particles from the bowl by a conveying screw coaxial with the bowl axis and rotating relatively to the bow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5/00Other accessories for centrifu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 탈수, 건조공정을 거쳐 음식물 처리가 이루어지되 탈수공정에 있는 탈수장치의 탈수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음식물 쓰레기용 탈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복수의 탈수구멍이 형성되고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는 탈수관로와, 상기 탈수관로의 내부에 이송스크류가 설치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압축 이송시키는 과정에서 탈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되 상기 탈수관로의 외측에 복수의 스크레이퍼가 배치되어 좌우로 왕복운동하면서 탈수구멍을 막고 있는 슬러지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슬러지 제거부재를 구비하여서 된 음식물 쓰레기용 탈수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음식물 쓰레기용 탈수장치{dehydrator of food waste}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용 탈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 탈수, 건조공정을 거쳐 음식물 처리가 이루어지되 탈수공정에 있는 탈수장치의 탈수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음식물 쓰레기용 탈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식당 등에서 발생하는 음식물 쓰레기는 그 양이 상당히 많고 다량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기온이 높을 경우 쉽게 부패될 뿐만 아니라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는 대부분 유기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대로 땅속에 매립할 경우 심한 악취와 함께 침출수가 발생하여 토양이나 지하수를 오염시키는 심각한 환경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이와 같은 음식물 쓰레기는 자원 낭비를 초래함은 물론 폐기처리에 따른 환경 오염 즉, 음식물 쓰레기에서 발생하는 침출수로 인하여 토양오염과 수질오염을 초래하고, 음식물의 부패에 따른 악취와 병해충으로 인하여 각종 피부질환 및 전염성 질병을 유발하는 등 환경 오염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환경 오염과 자원 낭비를 줄이고자 음식물 쓰레기를 일반 쓰레기와 분리 수거하여 가축용 사료나 또는 농작물에 시비되는 퇴비로 재활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최근 가정이나 식당에서 수거된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기 위한 선행기술로서 특허출원 제10-2008-1559호 및 특허 10-1305831호, 특허 10-1218873호 등으로 다수 개시되어 있으며, 그 구성은 대체적으로 수거된 음식물 쓰레기에 혼합되어 있는 각종 비닐류와 젓가락, 병마개 등 금속류를 제거하는 이물질 선별단계와, 상기 이물질 선별공정을 거친 음식물 쓰레기를 적당한 크기로 절단하는 분쇄단계와, 상기 분쇄단계를 거쳐 이송 공급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압축하여 음식물 쓰레기에 함유된 수분을 제거하는 탈수단계와, 상기 수분이 어느 정도 제거된 음식물 쓰레기를 가열 건조하는 건조단계와, 상기 건조된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의 선행기술을 포함하는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수단에서는 호퍼 하부의 회전칼날에 의해 분쇄되어 낙하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탈수장치에 공급한 다음 탈수장치의 복수의 탈수구멍이 구비된 탈수관로 내에서 이송스크류에 의해 압축 이송하는 과정에서 탈수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으나, 음식물 쓰레기가 탈수관로에서 압축되면서 발생되는 슬러지가 탈수구멍을 막게 되면서 탈수구멍의 탈수기능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등 탈수효율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탈수장치의 탈수관로에서 이송스크류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가 압축 이송되어 복수로 형성시킨 탈수구멍을 통해 탈수가 이루어지되 탈수관로의 외측에서 복수의 스크레이퍼가 좌우로 왕복운동하는 슬러지 제거부재가 구비되어 탈수관로에서 음식물 쓰레기가 압축되면서 발생되는 슬러지에 의해 막혀 있는 탈수구멍 내의 슬러지를 제거하여 탈수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음식물 쓰레기용 탈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탈수구멍이 형성되고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는 탈수관로와, 상기 탈수관로의 내부에 이송스크류가 설치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압축 이송시키는 과정에서 탈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되 상기 탈수관로의 외측에 복수의 스크레이퍼가 배치되어 좌우로 왕복운동하면서 탈수구멍을 막고 있는 슬러지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슬러지 제거부재를 구비하여서 된 음식물 쓰레기용 탈수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탈수관로는 통형으로 구비되고 탈수관로의 둘레에 등간격으로 복수의 탈수구멍이 형성되되 상기 탈수구멍의 외측은 탈수관로의 외주면에 형성시킨 장방형의 가이드홈에 형성되어 스크레이퍼가 가이드홈을 따라 좌우로 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러지 제거부재는; 탈수관로의 원둘레방향에 형성된 탈수구멍에 대응되고 탈수구멍의 외측에 각각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한 복수의 스크레이퍼와, 상기 스크레이퍼를 탈수관로의 외측방향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일측에 연결되어 스크레이퍼가 좌우로 왕복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왕복이동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크레이퍼는 원판체의 내측을 절개하여 링형 지지대를 구비하고 지지대의 내주면에 등간격으로 내향 돌출되게 형성된 복수의 스크레이퍼를 구비하는 형태로 지지대와 스크레이퍼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크레이퍼는 링형 지지대에 스크레이퍼의 후단부를 체결부재로 각각 고정시키는 형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크레이퍼는 칼날형, 핀형, 브러시형 중에서 어느 하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음식물 쓰레기용 탈수장치는 탈수관로에서 이송스크류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가 압축 이송되면서 발생되는 슬러지에 의해 탈수구멍이 막히는 것을 탈수관로의 외측에서 스크레이퍼에 의해 탈수구멍에 있는 슬러지를 분리 배출시키는 수단에 의해 탈수구멍 내의 슬러지를 제거하여 탈수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탈수장치가 적용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과정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용 탈수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용 탈수장치의 구성을 보인 일부 절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용 탈수장치의 주요구성을 나타낸 일부 학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용 탈수장치에서 탈수구멍이 원형의 통공으로 구비된 것을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용 탈수장치에서 지지대와 스크레이퍼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용 탈수장치에서 스크레이퍼가 핀형으로 구비된 것을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용 탈수장치에서 스크레이퍼가 브러시형으로 구비된 것을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일반적인 음식물 쓰레기 처리수단은,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는 호퍼 및 분쇄칼날이 구비된 분쇄장치(A)를 거쳐 분쇄가 이루어진 다음, 이어서 일정크기로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 분쇄물은 탈수장치(B)로 보내져서 이송크스류(20)에 의해 탈수관로(10)를 수평 이송되는 과정에서 탈수가 되고, 이어서 히팅수단이 구비된 건조장치(C)를 통과하면서 건조 및 배출이 되는 구성에 의해 통상의 분쇄, 탈수, 건조공정을 거쳐 배출이 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수단의 하나인 탈수공정에 사용되는 탈수장치에 해당된다.
본 발명에 따른 탈수장치(B)는, 복수의 탈수구멍(12)이 형성되고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는 탈수관로(10)와, 상기 탈수관로(10)의 내부에 이송크스류(20)가 설치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압축 이송시키는 과정에서 탈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되 상기 탈수관로(10)의 외측에 복수의 스크레이퍼(32)가 원호상으로 배치되어 좌우로 왕복운동하면서 탈수구멍(12)을 막고 있는 슬러지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슬러지 제거부재(30)를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탈수관로(10)는 통형으로 구비되고 음식물 쓰레기가 수평 이송될 수 있도록 하면서 탈수관로(10)의 둘레에 등간격으로 복수의 탈수구멍(12)이 형성되며, 상기 탈수구멍(12)의 내측 부분은 원형의 통공부 또는 좌우로 길게 형성된 장방형 통공부로 형성되고, 탈수구멍(12)의 외측은 탈수관로(10)의 외주면에 형성시킨 장방형의 가이드홈(14)에 형성되어 스크레이퍼(32)가 가이드홈(14)을 따라 좌우로 왕복운동하면서 탈수구멍(12)에 있는 슬러지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탈수구멍(12)은 탈수관로(10)의 원둘레를 따라 전체적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탈수관로(10)의 상부는 탈수구멍(12)이 형성되지 않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슬러지 제거부재(30)는; 탈수관로(10)의 원둘레방향에 형성된 탈수구멍(12)에 대응되고 탈수구멍(12)의 외측에 각각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한 복수의 스크레이퍼(32)와, 상기 스크레이퍼(32)를 탈수관로(10)의 외측방향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지지대(34)와, 상기 지지대(34)의 일측에 연결되어 스크레이퍼(32)가 좌우로 왕복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왕복이동대(36)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스크레이퍼(32)는 원판체의 내측을 절개하여 링형 지지대(34)를 구비하고 지지대(34)의 내주면에 등간격으로 내향 돌출되게 형성된 복수의 스크레이퍼(32)를 구비하는 형태로 지지대(34)와 스크레이퍼(3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 스크레이퍼(32)의 또 다른 구성 실시예로서, 링형 지지대(34)에 스크레이퍼(32)의 후단부를 볼트 등의 체결부재로 각각 고정시키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스크레이퍼(32)의 형태로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칼날형(32a), 핀형(32b), 다수의 솔부를 가진 브러시형(32c)으로 구비된다.
상기 왕복이동대(36)는 탈수구멍(12)이 막히는 정도를 감안하여 설정된 속도로 왕복운동을 하되 1분당 수회 정도의 저속으로 왕복운동을 하게 되며, 왕복이동대(36)의 왕복이동수단은 모터(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작동되는 크랭크 작용으로 왕복 운동이 이루어지거나, 도시된 바와 같이 왕복이동대(36)를 실린더(40)의 피스톤로드와 연결시켜 실린더(40)에 의해 왕복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며, 이러한 왕복이동수단은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이를 한정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는 호퍼 및 분쇄칼날이 구비된 분쇄장치(A)를 거쳐 일정 크기로 분쇄가 된 다음 탈수장치(B)로 이송 공급이 되면 이송크스류(20)에 의해 탈수관로(10)를 수평 이송되는 과정에서 탈수가 된다.
즉, 탈수장치(B)의 탈수관로(10)에서 이송크스류(20)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가 압축 이송되어 복수로 형성시킨 탈수구멍(12)을 통해 탈수가 이루어지되 탈수관로(10)에서 음식물 쓰레기가 압축되면서 발생되는 슬러지에 의해 탈수구멍(12)을 막게 되면서 탈수를 방해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은 탈수관로(10)의 외측에서 복수의 스크레이퍼(32)가 좌우로 왕복운동하면서 탈수구멍(12)을 막고 있는 슬러지를 분리 배출하는 형태로 제거하여 탈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므로 탈수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A ; 분쇄장치 B : 탈수장치
C : 건조장치 10 : 탈수관로
12 : 탈수구멍 14 : 가이드홈
20 : 이송스크류 30 : 슬러지 제거부재
32 : 스크레이퍼 32a : 칼날형
32b : 핀형 32c : 브러시형
34 : 지지대 36 : 왕복이동대
40 : 실린더

Claims (6)

  1. 복수의 탈수구멍(12)이 형성되고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는 탈수관로(10)와,
    상기 탈수관로(10)의 내부에 이송크스류(20)가 설치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압축 이송시키는 과정에서 탈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되
    상기 탈수관로(10)의 외측에 복수의 스크레이퍼(32)가 배치되어 좌우로 왕복운동하면서 탈수구멍(12)을 막고 있는 슬러지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슬러지 제거부재(30)를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용 탈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관로(10)는 통형으로 구비되고 탈수관로(10)의 둘레에 등간격으로 복수의 탈수구멍(12)이 형성되되 상기 탈수구멍(12)의 외측은 탈수관로(10)의 외주면에 형성시킨 장방형의 가이드홈(14)에 형성되어 스크레이퍼(32)가 가이드홈(14)을 따라 좌우로 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용 탈수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 제거부재(30)는;
    탈수관로(10)의 원둘레방향에 형성된 탈수구멍(12)에 대응되고 탈수구멍(12)의 외측에 각각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한 복수의 스크레이퍼(32)와, 상기 스크레이퍼(32)를 탈수관로(10)의 외측방향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지지대(34)와, 상기 지지대(34)의 일측에 연결되어 스크레이퍼(32)가 좌우로 왕복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왕복이동대(36)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용 탈수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레이퍼(32)는 원판체의 내측을 절개하여 링형 지지대(34)를 구비하고 지지대(34)의 내주면에 등간격으로 내향 돌출되게 형성된 복수의 스크레이퍼(32)를 구비하는 형태로 지지대(34)와 스크레이퍼(3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용 탈수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레이퍼(32)는 링형 지지대(34)에 스크레이퍼(32)의 후단부를 체결부재로 각각 고정시키는 형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용 탈수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레이퍼(32)는 칼날형, 핀형, 브러시형 중에서 어느 하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용 탈수장치.




KR1020140132398A 2014-10-01 2014-10-01 음식물 쓰레기용 탈수장치 KR201600393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2398A KR20160039395A (ko) 2014-10-01 2014-10-01 음식물 쓰레기용 탈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2398A KR20160039395A (ko) 2014-10-01 2014-10-01 음식물 쓰레기용 탈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9395A true KR20160039395A (ko) 2016-04-11

Family

ID=55800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2398A KR20160039395A (ko) 2014-10-01 2014-10-01 음식물 쓰레기용 탈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3939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124182A1 (de) 2016-03-31 2017-10-05 Hyundai Motor Company Kontinuierlich-Variable-Ventilzeitsteuerung-Vorrichtung und Motor, der mit derselben ausgestattet is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124182A1 (de) 2016-03-31 2017-10-05 Hyundai Motor Company Kontinuierlich-Variable-Ventilzeitsteuerung-Vorrichtung und Motor, der mit derselben ausgestattet is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9644B1 (ko) 폐비닐을 이용한 펠렛 제조장치
CN102921703B (zh) 厨余垃圾预处理工艺及系统
KR20080113686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60039401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US20150040779A1 (en) Screw press dewatering device using shearing blade
KR101438024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148154B1 (ko) 가축 살처분 사체의 처리장치
KR101239581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CN104492782A (zh) 一种厨房垃圾处理方法
KR101779105B1 (ko) 가축 부산물 분쇄장치
KR101033226B1 (ko) 음식물쓰레기 탈수 분리장치
KR20160039395A (ko) 음식물 쓰레기용 탈수장치
KR20160039403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탈수 및 분쇄기
KR200482420Y1 (ko) 압착식 음식물 쓰레기 탈수장치
KR200141913Y1 (ko) 전기 삼투식 압축 탈수장치
KR101494101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US9365009B2 (en) Plate press system and process
KR20160095301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CN210701651U (zh) 一种高效分离易腐垃圾的滚筒筛
KR20160000474U (ko)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
CN210497622U (zh) 干法化制畜禽无害化处理系统
KR101852612B1 (ko) 선별망 조절장치를 가지는 음식물 파쇄기
CN108043865B (zh) 一种具有干燥粉碎功能的厨余垃圾箱
KR101339848B1 (ko) 이동식 가축 살처분 사체의 처리장치
KR20160126833A (ko) 오수 배수 기능이 향상된 음식물 처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